KR101764369B1 - 그레이팅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369B1
KR101764369B1 KR1020150009750A KR20150009750A KR101764369B1 KR 101764369 B1 KR101764369 B1 KR 101764369B1 KR 1020150009750 A KR1020150009750 A KR 1020150009750A KR 20150009750 A KR20150009750 A KR 20150009750A KR 101764369 B1 KR101764369 B1 KR 101764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base plate
beam member
fram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016A (ko
Inventor
김상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벧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벧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벧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0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3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3Gully gratings with slidable or rotatable lock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이팅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빈 공간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베어링바들을 구비하는 그레이팅을 빔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빈 공간에서 베어링바와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는 본체부; 프레임 또는 베어링바의 일면에 걸릴 수 있도록 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후크부; 및 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빔 부재에 접촉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그레이팅 고정 장치{apparatus for fastening grating}
본 발명은 그레이팅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레이팅을 빔 부재에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한 그레이팅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등에 설치되는 빗물 집배수로(集排水路)의 덮개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복수의 직사각형 격자 구조이다.
최근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그레이팅은 화학 공장, 조선소, 원자력 발전소 등의 플랜트 공장, 선박 등과 같은 구조물의 바닥 또는 계단 등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직사각형 격자 구조의 그레이팅은 프레임, 베어링바(bearing bar), 크로스바(cross bar)를 구비한다. 베어링바와 크로스바는 그레이팅의 사각 테두리를 서로 직각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서로 인접하는 베어링바들의 설치 간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완성된 격자는 직사각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베어링바들 사이에 배치되는 크로스바는 용접에 의해 베어링바 또는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러한 그레이팅은 예를 들어, 다수의 그레이팅들을 연결하여 플랜트의 플로어 등을 구성할 경우, 빔으로 구성된 골조 위에 다수의 그레이팅들을 배치시킨 후, 각각의 그레이팅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빔에 고정된다.
그런데 지금까지 알려진 방식들은 작업성이 떨어지며, 그레이팅이 빔으로부터 이탈되거나 고정 부재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그레이팅을 빔 부재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그레이팅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고정 장치는, 프레임의 빈 공간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베어링바들을 구비하는 그레이팅을 빔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빈 공간에서 베어링바와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는 본체부; 프레임 또는 베어링바의 일면에 걸릴 수 있도록 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후크부; 및 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빔 부재에 접촉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부는: 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빔 부재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빔 부재에 접촉될 수 있는 지지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 플레이트는 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굴곡 연장되고; 지지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경사지게 굴곡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지지 플레이트의 굴곡 경사 각도는 90도 각도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 베이스 플레이트는 지지 플레이트 쪽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그레이팅은 서로 마주하는 프레임과 베어링바 사이 또는 베어링바들 사이를 지그재그 형태로 가로지면서 교호적으로 반복되게 마련되는 크로스바들을 더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이퍼지는 사이드의 각도는 각각의 크로스부재의 지그 재그 형상에 상응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장치는 빔 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에 마련된 관통 구멍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부는 후크부와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고 후크부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고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굴곡 연장되는 후크부가 베어링바 또는 프레임의 상면을 걸어서 고정하고, 그레이팅의 빈 공간에서 베어링바와 평행하게 배치된 본체부의 하단에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가 빔 부재에 고정되기 때문에, 그레이팅의 설치 위치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그레이팅을 견고하게 빔 부재에 고정할 수 있다.
둘째, 본체부의 양단들로부터 각각 대칭되도록 후크부와 베이스부가 굴곡 연장됨으로써, 빔 부재에 대해 그레이팅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셋째,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베이스부를 직접 빔 부재에 접촉시키지 않고, 지지 플레이트의 길이 만큼 베이스 플레이트가 빔 부재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지지 플레이트가 탄성 작용으로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레이팅을 더 안정되게 빔 부재에 고정할 수 있다.
넷째, 베이스부를 관통하는 결합 부재를 기준으로 후크부에 가해지는 모멘트와 지지 플레이트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단에 가해지는 모멘트를 상쇄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 장치 특히, 후크부가 베어링바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고정 장치의 클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고정 장치가 그레이팅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빔 부재에 시공되는 그레이팅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고정 장치의 클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고정 장치가 그레이팅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고정 장치(100)는 빔 부재(10)에 배치된 그레이팅(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립(110)과 결합 볼트(120) 및 결합 너트(130)를 구비한다. 그레이팅(20)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테두리 또는 프레임(30), 프레임(30)의 빈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베어링바들(40), 베어링바들(40)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크로스바들(50)을 구비한다.
먼저, 그레이팅(2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20)의 길이와 폭은 설치될 장소 또는 사용처의 사이즈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그레이팅(20)의 프레임(30)은 통상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구성된다. 변형예에 따르면, 그레이팅(20)의 프레임(30)은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마름모꼴,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다른 기하학적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그레이팅(20)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을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프레임(30)은 예컨대, 두께가 대략 3mm이고 높이가 대략 25mm인 편평한 형태의 강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프레임(30)은 2개의 단변 프레임(32)과 2개의 장변 프레임(34)을 구비하고, 장,단변 프레임들(32)(34)의 모서리들은 용접 등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프레임(30)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30)은 그레이팅(20)의 용도 또는 설치 장소에 따라 다른 사이즈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베어링바들(40)은 예를 들어, 4각 형태의 프레임(3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또는 피치)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베어링바(40)는 프레임(30)의 장변 프레임(32)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프레임(3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은 물론 그레이팅(2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베어링바(40)는 그 상단이 프레임(30)의 상단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그 양끝단이 장변 프레임(34)의 내벽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바(40)의 양끝단은 용접에 의해 장변 프레임(34)의 내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한 경우 돌기/홈의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프레임(30)과 일체로 가공될 수도 있다.
각각의 베어링바(40)는 프레임(30)의 4각 형상의 빈 공간에 미리 결정된 간격(대략 45mm)으로 프레임(30)과 동일한 기준면에 그 상면이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베어링바들(40) 사이의 간격 또는 피치는 일정하지만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다. 베어링바(40)의 재질은 프레임(30)과 동일할 수도 있고, 그보다 더 약한 재질의 금속이 사용될 수도 있다. 베어링바(40)의 두께는 필요한 하중 조건에 맞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로스바(50)는 서로 인접하는 베어링바들(40) 사이 및 프레임(30)과 이와 인접한 베어링바(40)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각각의 크로스바(50)는 프레임(30)과 베어링바(40) 사이 또는 서로 마주하는 베어링바들(40) 사이를 가로지르는 크로스부들(52)이 지그재그 형태로 교호적으로 반복되며, 프레임(30) 또는 베어링바(40)의 측벽에 접촉될 수 있도록 연속되는 크로스부들(52)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로 편평하게 마련된 설치부(54)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크로스바(50)의 크로스부(52)는 그 끝단(상단)으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사다리꼴 엠보스들(56)을 구비한다.
각각의 크로스바(50)는 장변 프레임(34)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삼각형 등과 같이 각지게 또는 반원 형태와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크로스바(50)의 지그재그 패턴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크로스부(52)는 이웃하는 베어링바들(40) 사이 및 베어링바(40)와 프레임(30) 사이에 배치되고, 설치부(54)는 크로스부들(52)을 연결하는 부위로서 베어링바(40)의 내측면 및/또는 프레임(3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크로스바(50)의 높이는 대략 14mm이다. 변형예에 따르면, 크로스부(54)는 도면에서 라운드 형상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직선형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고정 장치(100)를 설명한다.
클립(110)은 그레이팅(20)의 빈 공간 및/또는 크로스바(50)의 빈 공간에서 베어링바(40)와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는 본체부(60), 프레임(30) 또는 베어링바(40)의 일면(상면)에 걸릴 수 있도록 본체부(60)의 일단(도면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후크부(70), 및 본체부(6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빔 부재(10)에 접촉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80)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80)는 본체부(60)의 타단(도면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82), 및 베이스 플레이트(82)를 빔 부재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D)만큼 이격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8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빔 부재(10)에 접촉될 수 있는 지지 플레이트(84)를 구비한다.
본체부(60)는 폭(W)이 대략 20mm이고 길이 방향 높이(Hb)가 대략 28mm인 평판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본체부(60)의 폭(W)과 높이(Hb)는 클립(110)이 사용되는 그레이팅(20)의 프레임(30)과 베어링바(40)의 높이와 크로스바(50)의 구조 및/또는 사이즈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후크부(70)는 본체부(60)의 상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90도 각도로 굴곡되어 연장된다. 후크부(70)는 본체부(60)의 상단으로부터 직각되게 연장되는 가압부(72)와 가압부(72)로부터 본체부(60)와 평행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림부(74)를 구비한다. 후크부(70)의 폭은 본체부(60)의 폭(W)과 동일하며, 후크부(70)의 길이(Lh)는 가압부(72)의 길이로서 대략 17mm이다. 후크부(70)의 길이(Lh)는 프레임(30) 또는 베어링바(40)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후크부(70)의 걸림부(74)의 돌출 길이(Le)는 대략 10mm이다. 후크부(70)의 가압부(72)는 클립(110)이 그레이팅(20)에 결합될 때, 베어링바(40)의 상면에 접촉되어 하방으로 모멘트를 가하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부(80)는 본체부의 타단(하단)으로부터 후크부(70)와 반대 방향으로 직각으로 굴곡되어 연장된다. 베이스부(80)의 폭은 본체부(60)의 폭(W)과 동일하지만 필요에 따라 그것보다 더 크게 하거나 작게 구성할 수도 있다. 베이스부(80)는 대략 26mm의 길이(Lb)를 가진 베이스 플레이트(82)와 베이스 플레이트(82)로부터 90도 각도 미만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되어 그 끝단이 빔 부재(10)에 접촉되는 지지 플레이트(84)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8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84)의 수직 길이(Ls)는 전술한 간격(D)와 동일하게 대략 7mm이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82)에 대한 지지 플레이트(84)의 굴곡 경사 각도(α)를 90°보다 더 작은 각도(45° 내지 89°)를 가지도록 한다.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110)의 베이스부(80) 특히, 바람직하게 베이스 플레이트(82)가 직접 빔 부재(10)에 접촉되도록 배치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 플레이트(84)의 길이 만큼 베이스 플레이트(82)가 빔 부재(10)로부터 이격되도록 클립(110)이 위치되도록 하여, 결합 볼트(120)를 기준으로 후크부(70)에서 가해지는 제1 모멘트와 지지 플레이트(84)의 끝단에서 빔 부재(10)에 의해 가해지는 제2 모멘트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여 클립(110)이 그레이팅(20)을 빔 부재(10)에 대해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정 장치(100)의 사용 시, 클립(110)의 후크부(70)가 베어링바(40)로부터 벗겨져 이탈되는 가능성을 더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두 가지 유형의 모멘트들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클립(110)이 그레이팅(20)에 위치될 때, 본체부(60)는 베어링바(40)의 길이 방향 표면에 접촉되거나 거의 접촉되도록 위치되어야 하는 것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82)는 지지 플레이트 쪽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2개의 사이드들(81)을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82)의 이러한 사이드들(81)의 테이퍼 형상은 클립(110)을 장착하기 위해 크로스바(50)의 지그재그 패턴 사이의 공간으로 클립(110) 특히, 베이스 플레이트(82)를 삽입할 때, 크로스바(50)의 지그재그 패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82)의 형상, 사이즈 및/또는 사이드들의 테이퍼 형상 및 사이즈는 그레이팅(20)에 사용되는 크로스바(50)의 구조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82)의 테이퍼지는 사이드의 각도는 각각의 크로스부재의 지그 재그 형상에 상응하게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82)는 그 대략 중앙 부위에서 빔 부재(10)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볼트(1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에 마련된 장공 형태의 관통 구멍(86)을 구비한다. 전술한 결합 볼트(120)의 일단은 관통 구멍(86)을 관통하여 빔 부재(10)에 체결될 수 있는 뾰죡 나사부(122)가 마련되고, 결합 볼트(120)의 타단에는 예를 들어, 나일론 너트와 같은 결합 너트(130)와 결합될 수 있는 수나사부(124)가 마련된다. 또한, 결합 볼트(120)의 본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82)의 관통 구멍(86) 부분이 안정되게 안착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부(126)를 구비한다.
결합 너트(130)는 베이스 플레이트(82)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결합 볼트(120)의 수나사부(124)에 조여져서 베이스 플레이트(82)를 빔 부재(10) 방향으로 밀게되어, 결국 후크부(70)가 베어링바(40)를 가압시켜 시계 방향 제1 모멘트를 발생시키고, 지지 플레이트(84)가 빔 부재(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지지 플레이트(84)가 굴곡되는 베이스 플레이트(82)의 끝단이 반시계 방향의 제2 모멘트를 발생시키게 한다. 따라서, 결합 너트(130)를 적절한 힘으로 결합 볼트(120)에 체결하면, 제1 모멘트와 제2 모멘트는 서로 균형을 유지하면서 그레이팅(20)을 빔 부재(10)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100)를 이용하여 빔 부재(10)에 시공되는 그레이팅(20)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인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직사각 또는 정사각 구조의 그레이팅(20)을 2개의 평행한 빔 부재(1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레이팅(20)을 빔 부재(1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클립(110)과 결합 볼트(120)와 결합 너트(130)가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는 4개의 고정 장치들(10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장치(100)의 각각의 세트는 그레이팅(2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클립(110)이 배치될 위치를 확인한 후 결합 볼트(120)를 빔 부재(10)에 고정시킨 후, 클립(110)의 베이스 플레이트(82)의 관통 구멍(86)으로 결합 볼트(120)의 수나수부(124)가 돌출되고, 클립(110)의 후크부(70)가 베어링바(40)의 상면에 걸리도록 클립(110)을 위치시킨 후 돌출된 결합 볼트(120)의 수나사부(124)에 결합 너트(130)를 돌려서 체결하면 하나의 세트의 고정이 완료된다. 나머지 세트의 고정 장치들(100)의 설치 동작은 전술한 과정의 반복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 부재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장치(200)는 전술한 결합 볼트와 다른 구조를 가진 결합 볼트(220)가 사용된다. 즉, 결합 볼트(220)는 단지 빔 부재(10)에 박혀 고정되기만 하고, 별도의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클립(110)의 후크부(70)의 가압부(72)의 길이 즉, 본체부(60)와 걸림부(74) 사이의 간격이 그레이팅(20)의 베어링바(40)의 두께 보다 충분히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예는, 후크부(70)의 길이를 충분히 크게 하거나, 아니면 그레이팅(20)의 베어링바(4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있어서, 고정 장치(200)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10...빔 부재 20...그레이팅
30...프레임 40...베어링바
50...크로스바 60...본체부
70...후크부 80...베이스부
82...베이스 플레이트 84...지지 플레이트
86...관통 구멍 100...고정 장치
110...후크 120...결합 볼트
130...결합 너트

Claims (8)

  1. 프레임의 빈 공간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베어링바들을 구비하는 그레이팅을 빔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빈 공간에서 베어링바와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는 본체부;
    프레임 또는 베어링바의 일면에 걸릴 수 있도록 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후크부; 및
    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빔 부재에 접촉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베이스부는:
    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빔 부재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빔 부재에 접촉될 수 있는 지지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베이스 플레이트는 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굴곡 연장되고, 지지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굴곡 연장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지지 플레이트의 굴곡 경사 각도는 90도 각도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고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지지 플레이트 쪽으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고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그레이팅은 서로 마주하는 프레임과 베어링바 사이 또는 베어링바들 사이를 지그재그 형태로 가로지면서 교호적으로 반복되게 마련되는 크로스바들을 더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이퍼지는 사이드의 각도는 각각의 크로스부재의 지그 재그 형상에 상응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고정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빔 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에 마련된 관통 구멍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고정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후크부와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고 후크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고정 장치.
KR1020150009750A 2015-01-21 2015-01-21 그레이팅 고정 장치 KR101764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750A KR101764369B1 (ko) 2015-01-21 2015-01-21 그레이팅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750A KR101764369B1 (ko) 2015-01-21 2015-01-21 그레이팅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016A KR20160090016A (ko) 2016-07-29
KR101764369B1 true KR101764369B1 (ko) 2017-08-02

Family

ID=5661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750A KR101764369B1 (ko) 2015-01-21 2015-01-21 그레이팅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3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132Y1 (ko) * 2020-11-20 2022-03-11 성진영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
KR102598552B1 (ko) 2023-03-16 2023-11-03 주식회사 에이제이이앤지 스틸 그레이팅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153A (ko) * 2016-12-30 2018-07-10 오준석 새들 클립
KR101967915B1 (ko) 2017-01-18 2019-04-10 엠티코리아(주) 패스너 집게
KR102117648B1 (ko) 2017-07-27 2020-06-01 엠티코리아(주) 그레이팅 고정 장치
KR102073604B1 (ko) 2018-02-13 2020-02-06 엠티코리아(주) 그레이팅 고정구용 탈부착 도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985B1 (ko) * 2005-07-12 2013-07-10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그래이팅용 고정 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985B1 (ko) * 2005-07-12 2013-07-10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그래이팅용 고정 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132Y1 (ko) * 2020-11-20 2022-03-11 성진영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
KR102598552B1 (ko) 2023-03-16 2023-11-03 주식회사 에이제이이앤지 스틸 그레이팅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016A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369B1 (ko) 그레이팅 고정 장치
KR101066424B1 (ko) 목재데크 교량 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 방법
KR101955193B1 (ko) 그레이팅 고정장치
WO2017098449A1 (en) Securing clip and system for installation of flooring elements comprising such a securing clip
JP7076333B2 (ja) 支持構造体及び支持構造体を備えた合成スラブ構造
KR101895306B1 (ko)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KR20140102975A (ko) 안전 그레이팅
KR100878184B1 (ko) 물탱크용 기초 프레임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20150112346A (ko) 스틸 그레이팅 고정장치
JP2007170161A (ja) 鉄筋トラス付デッキプレート
JP2012087548A (ja) 鉄筋トラス付きデッキプレート
KR20170011230A (ko)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JP6110835B2 (ja) 掛止金具
JP7386515B2 (ja) 足場構築セット、及び足場を構築する方法
JP6252834B2 (ja) 地下ピット構造
JP6102614B2 (ja) 建物の基礎構造
JP6544514B2 (ja) 鉄筋交差部締結具
KR102257347B1 (ko)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JP7169896B2 (ja) 合成床版及びその施工方法
JP6304696B2 (ja) 仮設構造物の床板固定用具
JP2004083264A (ja) ビーム取付装置
KR100914717B1 (ko) 강화 노치플레이트
JP7269110B2 (ja) ビーム支持装置
KR20210039108A (ko)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