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132Y1 -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 - Google Patents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132Y1
KR200495132Y1 KR2020200004197U KR20200004197U KR200495132Y1 KR 200495132 Y1 KR200495132 Y1 KR 200495132Y1 KR 2020200004197 U KR2020200004197 U KR 2020200004197U KR 20200004197 U KR20200004197 U KR 20200004197U KR 200495132 Y1 KR200495132 Y1 KR 200495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cover body
cover
fastener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진영
Original Assignee
성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영 filed Critical 성진영
Priority to KR2020200004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덮개 본체가 그레이팅의 상면에 안착되면 덮개 본체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절곡형성되는 절곡 플레이트가 덮개 본체와 배수구 사이의 이격공간을 따라 삽입고정되면서 덮개 본체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외력에 의한 이탈이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덮개 본체의 시공을 위한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GRATING COVER FOR DRAIN}
본 고안은 사각틀 내부에 복수개의 폭방향 프레임 및 복수개의 길이방향 프레임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형태로 결합되며 도로의 배수구 단턱에 거치되는 그레이팅 위에 안착되어 상기 그레이팅을 커버하는 판상체로서 도로 상의 배출수가 하부의 그레이팅을 통해 배수되도록 복수의 배수홀이 관통형성되는 덮개 본체와; 상기 그레이팅 위에 안착된 덮개 본체가 외력에 의한 흔들리거나 그레이팅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본체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절곡형성되어 상기 배수구와 그레이팅의 내벽에 끼움되어 상기 덮개 본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절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는 도로의 빗물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구가 형성되는데, 배수구는 하수관과 연결되어 도로의 빗물 등이 하수구를 통해 하천 등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수구의 입구에는 빗물과 같은 배출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도로의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릴 형태의 그레이팅이 안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그레이팅은 격자 프레임 구조로서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의 유입은 방지할 수 있지만, 격자 프레임 구조의 특성상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 등의 유입은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배수구에 그레이팅이 설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격자 프레임 형태의 그레이팅을 통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이물질, 예를 들면, 담배 꽁초, 나뭇가지 등의 각종 이물질이 배수구로 유입되어 배수구 막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최근에는 그레이팅의 상부에 별도의 그레이팅 덮개를 장착하였다.
종래의 그레이팅 덮개는 그레이팅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담배 꽁초와 같은 작은 크기의 이물질도 유입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배수홀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배수구로 이물질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청소 작업 등이 편리하여 배수구 외관 또한 더욱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그레이팅 덮개는 배수구 위에 단순히 올려진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배수구와 그레이팅 덮개 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에 의해 차량이나 보행자가 그 위를 통과할 때 외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어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될 수 있고, 특히 보행자의 경우 체중에 의해 쉽게 미끄러지면서 보행자가 넘어지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2598호(도로 배수구용 스틸 그레이팅)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덮개 본체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절곡형성되는 절곡 플레이트를 통해 그레이팅의 상면에 신속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그레이팅 덮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배수구 폭의 영향을 받지 않고 덮개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외력으로 인해 그레이팅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그레이팅 덮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배수구의 입구에 형성되는 단턱에 거치되며, 사각틀 내부에 복수개의 폭방향 프레임 및 복수개의 길이방향 프레임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형태로 결합되는 그레이팅 위에 안착되는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의 상면에 안착되어 그레이팅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그레이팅과 대응되는 사각형의 평판형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도로상의 배출수가 하부의 그레이팅을 통해 배수되도록 복수의 배수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덮개 본체와; 상기 그레이팅 상면에 안착된 덮개 본체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거나 그레이팅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본체의 일측 모서리 또는 대응하는 양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절곡형성되어 상기 배수구의 측벽과 그레이팅 사이의 이경공간에 끼움되는 절곡 플레이트와; 상기 그레이팅과 그레이팅 상면에 안착된 덮개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 본체에는 장홀 형상의 체결공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그레이팅의 폭방향 프레임의 저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반원형의 저면 밀착부와, 상기 저면 밀착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며 폭방향 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억지 끼움되어 폭방향 프레임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폭방향 프레임의 두께만큼 이격되는 한 쌍의 측면 밀착부가 일체로 이루어져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덮개 본체의 저면에 밀착되며, 상기 체결공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구를 이용하여 덮개 본체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구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체결구는 덮개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체결공 및 체결구 삽입홈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와 리벳체결되는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덮개 본체가 그레이팅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덮개 본체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절곡형성되는 절곡 플레이트가 덮개 본체와 배수구 사이의 이격공간을 따라 삽입고정되면서 덮개 본체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외력에 의한 이탈이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절곡 플레이트가 일측 또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배수구의 폭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속용이하게 덮개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클립을 통해 덮개 본체를 그레이팅과 견고하게 체결시켜 외력에 의해 임의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적, 물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보행자의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클립의 예시도.
도 5a) 및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고정클립을 통해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가 그레이팅와 리벳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타이를 통해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가 그레이팅과 묶음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서 그레이팅(10)이라 함은 도로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배수(1)구의 입구에 형성되는 단턱(2)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사각틀(11) 내부에 복수개의 폭방향 프레임(12) 및 복수개의 길이방향 프레임(1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형태로 결합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것으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에서 상기 그레이팅의 형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기의 그레이팅 위에 설치되어 도로 상의 배출수는 하부의 그레이팅을 통해 배수되도록 하면서도 다양한 이물질 등의 유입은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외력에 의해 그레이팅으로부터 임의로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덮개를 개시한다.
도 1 및 2는 본 고안에 따른 그레이팅 덮개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그레이팅 덮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그레이팅 덮개(100)는 상기 그레이팅(10) 위에 안착되는 덮개 본체(110)와, 상기 덮개 본체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절곡 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덮개 본체(110)는 상기 그레이팅(10)의 상면에 안착되어 그레이팅의 상면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그레이팅과 대응되는 평판형의 판상체이다.
상기 덮개 본체(110)는 도로 상의 배출수가 하부의 그레이팅(10)을 통해 배수되도록 복수의 배수홀(111)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배수홀(111)은 덮개 본체의 사방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열형성되어, 도로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수가 원활하게 그레이팅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절곡 플레이트(120)는 상기 덮개 본체(110)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절곡형성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의 판상체로서, 상기 배수구의 측벽과 그레이팅의 내벽 사이에 끼움되어 상기 덮개 본체를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배수구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배수구보다 좁고 짧은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레이팅의 네 면과 배수구의 내벽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이 존재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이격공간 내부에 절곡 플레이트가 삽입고정되면서 그레이팅 위에 안착된 덮개 본체가 외력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흔들리거나 그레이팅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절곡 플레이트(120)는 상기 덮개 본체의 일측 모서리 또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덮개 본체의 일측 모서리에만 절곡 플레이트가 형성된 그레이팅 덮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덮개 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모서리에 각각 한 쌍의 절곡 플레이트가 형성된 그레이팅 덮개가 도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배수구(2)는 일정한 폭과 길이로 규격화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도 2의 그레이팅 덮개가 그레이팅 위에 안착되면 양측 모서리의 절곡 플레이트가 그레이팅과 배수구 사이의 이격공간 내부로 자연스럽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배수구의 경우 배수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폭이 미세하게 넓거나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 1과 같이 일측 모서리에만 절곡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그레이팅 덮개를 그레이팅 위에 안착시켜 하나의 절곡 플레이트를 통해 덮개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클립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a) 및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정클립을 통해 그레이팅 덮개과 그레이팅이 리벳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먼저, 도 5a) 및 5b)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덮개 본체(110)는 장홀 형상의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12)은 후술할 고정클립 및 체결구를 통해 그레이팅과의 체결을 위한 구멍으로서, 덮개 본체(110)의 사방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여러 곳에 전체적으로 길쭉길쭉한 장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체결공(112)은 체결을 위한 목적으로서 형성된 것이기는 하나, 도로상의 배출수가 하부의 그레이팅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공의 역할 또한 병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현장에 기시공된 그레이팅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후술할 고정클립을 끼움고정한 후 고정클립과 대응되는 위치의 체결공에 체결구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클립(200)은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에서 폭방향 프레임(12)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부(210)와, 상기 끼움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체결구(300)를 통해 덮개 본체와 체결되면서 덮개 본체와 그레이팅을 고정시키는 체결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클립(200)은 폭방향 프레임에 억지끼움이 가능하며 끼움고정된 후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단락이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 강도,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끼움부(210)는 상기 폭방향 프레임의 저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반원형의 저면 밀착부(211) 및 상기 저면 밀착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며 폭방향 프레임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측면 밀착부(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부(210)는 상기 저면 밀착부(211) 및 한 쌍의 측면 밀착부(212)가 일체로 이루어져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측면 밀착부(212)는 폭방향 프레임에 억지끼움시 보다 견고하게 밀착고정되도록 폭방향 프레임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20)는 상기 끼움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덮개 본체(110)의 저면에 밀착되는 부재로서, 상기 체결공(112)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구(300)를 통해 덮개 본체(110)와 체결된다.
상기 고정클립(200)은 그레이팅(10)의 하부에서 폭방향 프레임의 적절한 위치에 끼움결합되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클립(200)은 그레이팅의 네 방향 모서리에 각각 끼움되도록 최외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폭방향 프레임에 각각 2개의 고정클립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끼움고정될 수 있다. 물론, 체결력을 더욱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클립을 추가적으로 끼움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체결구(300)는 덮개 본체의 외측에서 체결공(112)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220)와 리벳체결되는 리벳일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200)은 폭방향 프레임의 하부에서 끼움부(210)가 끼움고정되면 체결부(220)가 자연스럽게 장홀 형상의 체결공(112)에 의해 외부에서 육안으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덮개 본체의 외측에서 신속용이하게 리벳체결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체결구(300′)는 케이블타이로 구성하여, 케이블타이의 양측 단부가 각각 인접한 한 쌍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삽입된 다음 그레이팅의 하부에서 폭방향 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양측 단부가 묶음고정되어 덮개 본체와 그레이팅을 상호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고정클립과 체결구를 통해 덮개 본체를 그레이팅과 견고하게 체결고정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덮개 본체가 임의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적, 물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보행자의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 : 배수구 2 : 단턱
10 : 그레이팅
11 : 사각틀 12 : 폭방향 프레임
13 : 길이방향 프레임
100 :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
110 : 덮개 본체 111 : 배수홀
112 : 체결공
120 : 절곡 플레이트
200 : 고정클립
210 : 끼움부
220 : 체결부 221 : 체결구 삽입홈
300 : 체결구

Claims (3)

  1.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배수구의 입구에 형성되는 단턱에 거치되며, 사각틀 내부에 복수개의 폭방향 프레임 및 복수개의 길이방향 프레임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형태로 결합되는 그레이팅 위에 안착되는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의 상면에 안착되어 그레이팅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그레이팅과 대응되는 사각형의 평판형 판상체로 이루어지며, 도로상의 배출수가 하부의 그레이팅을 통해 배수되도록 복수의 배수홀(111)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덮개 본체(110)와;
    상기 그레이팅 상면에 안착된 덮개 본체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거나 그레이팅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본체의 일측 모서리 또는 대응하는 양측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절곡형성되어 상기 배수구의 측벽과 그레이팅 사이의 이격공간에 끼움되는 절곡 플레이트(120)와;
    상기 그레이팅과 그레이팅 상면에 안착된 덮개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클립(200);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 본체(110)에는 장홀 형상의 체결공(112)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고정클립(200)은,
    상기 그레이팅의 폭방향 프레임의 저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반원형의 저면 밀착부(211)와, 상기 저면 밀착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며 폭방향 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억지 끼움되어 폭방향 프레임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폭방향 프레임의 두께만큼 이격되는 한 쌍의 측면 밀착부(212)가 일체로 이루어져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끼움부(210)와;
    상기 끼움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호 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덮개 본체(110)의 저면에 밀착되며, 상기 체결공(112)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구(300)를 이용하여 덮개 본체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구 삽입홈(221)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덮개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체결공(112) 및 체결구 삽입홈(221)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220)와 리벳체결되는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
  3. 삭제
KR2020200004197U 2020-11-20 2020-11-20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 KR200495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197U KR200495132Y1 (ko) 2020-11-20 2020-11-20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197U KR200495132Y1 (ko) 2020-11-20 2020-11-20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132Y1 true KR200495132Y1 (ko) 2022-03-11

Family

ID=8081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197U KR200495132Y1 (ko) 2020-11-20 2020-11-20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725B1 (ko) * 2022-07-28 2023-03-16 서일공영 주식회사 손상 방지용 그레이팅
KR102578893B1 (ko) * 2023-03-08 2023-09-15 최진규 배수구용 보조 덮개 및 주 덮개
KR102593126B1 (ko) * 2023-07-28 2023-10-23 박종림 격자형 그레이팅의 하중보강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보강판 설치방법
KR102611173B1 (ko) * 2023-07-04 2023-12-07 주식회사 우수안비티 우수 맨홀 전처리부의 부유물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598Y1 (ko) 2004-10-06 2005-01-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도로 배수구용 스틸 그레이팅
KR101764369B1 (ko) * 2015-01-21 2017-08-02 주식회사 벧엘엔지니어링 그레이팅 고정 장치
KR20190031774A (ko) * 2017-09-18 2019-03-27 기철 김 그레이팅 커버
KR102010187B1 (ko) * 2018-08-09 2019-08-12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598Y1 (ko) 2004-10-06 2005-01-14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도로 배수구용 스틸 그레이팅
KR101764369B1 (ko) * 2015-01-21 2017-08-02 주식회사 벧엘엔지니어링 그레이팅 고정 장치
KR20190031774A (ko) * 2017-09-18 2019-03-27 기철 김 그레이팅 커버
KR102010187B1 (ko) * 2018-08-09 2019-08-12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725B1 (ko) * 2022-07-28 2023-03-16 서일공영 주식회사 손상 방지용 그레이팅
KR102578893B1 (ko) * 2023-03-08 2023-09-15 최진규 배수구용 보조 덮개 및 주 덮개
KR102611173B1 (ko) * 2023-07-04 2023-12-07 주식회사 우수안비티 우수 맨홀 전처리부의 부유물 처리장치
KR102593126B1 (ko) * 2023-07-28 2023-10-23 박종림 격자형 그레이팅의 하중보강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보강판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5132Y1 (ko) 배수구용 그레이팅 덮개
KR101802360B1 (ko) 그레이팅 안전덮개 장착 구조 및 방법
KR101766367B1 (ko) 그레이팅 안전 덮개 조립체
KR101955193B1 (ko) 그레이팅 고정장치
KR101432673B1 (ko) 중 하중용 고강성 그레이팅
KR100553177B1 (ko) 그레이팅
KR200462358Y1 (ko) 글라스 화이버 방충망 창 및 그에 사용되는 방충망 고정대
KR101234678B1 (ko) 천정재 설치구조
US11015331B1 (en) Drainage grating structure
KR101400081B1 (ko) 경사 그레이팅을 구비한 배수모듈
KR102065412B1 (ko) 그레이팅 커버
KR102116866B1 (ko) 배수구 설치용 그레이팅
JP3149460U (ja) 排水溝ユニット
KR200459894Y1 (ko) 그레이팅용 미끄럼방지 클립
JP6445254B2 (ja) 独立構造体および隙間塞ぎ材の取付方法
KR101938285B1 (ko) 그레이팅 안전 덮개
KR101365250B1 (ko) 스틸그레이팅
KR101934921B1 (ko) 매트 고정 구조
KR100744756B1 (ko) 공동주택의 단지 내 도로의 배수홈통 구조
JP4316075B2 (ja) 外装材下端支持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外壁構造
KR101156379B1 (ko) 다방향배수기능과 시공이 용이한 그레이팅 구조
KR100854287B1 (ko) 탄성잠금 그레이팅
KR101753318B1 (ko)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KR20100090895A (ko) 미끄럼 방지 겸용 중하중 그레이팅
KR200485536Y1 (ko) 낙하물의 퇴적을 방지하는 배수구용 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