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108A -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108A
KR20210039108A KR1020190121509A KR20190121509A KR20210039108A KR 20210039108 A KR20210039108 A KR 20210039108A KR 1020190121509 A KR1020190121509 A KR 1020190121509A KR 20190121509 A KR20190121509 A KR 20190121509A KR 20210039108 A KR20210039108 A KR 20210039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fixing clip
hole
grating coupl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하철
Original Assignee
전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하철 filed Critical 전하철
Priority to KR1020190121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9108A/ko
Publication of KR20210039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2Gratings; Grid-like panels
    • E04C2/428Separate connecting means, e.g. connecting gratings to underly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자형 볼트의 일측에 나사홀을 형성함으로써 구조물의 서포트의 두께에 상관없이 그레이팅과 구조물을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정클립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일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클립을 어느방향에서도 그레이팅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설치, 해제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체결볼트의 하부에 고무패킹을 결합함으로써 'U'자형 볼트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어 풀림으로 인한 구성요소들의 분실,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GRATING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U'자형 볼트의 일측에 나사홀을 형성함으로써 구조물의 서포트의 두께에 상관없이 그레이팅과 구조물을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등에 설치되는 빗물 집배수로(集排水路)의 덮개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복수의 직사각형 격자 구조이다.
최근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그레이팅은 화학 공장, 조선소, 원자력 발전소 등의 플랜트 공장, 선박 등과 같은 구조물의 바닥 또는 계단 등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직사각형 격자 구조의 그레이팅은 프레임, 베어링바(bearing bar), 크로스바(cross bar)를 구비한다. 베어링바와 크로스바는 그레이팅의 사각 테두리를 서로 직각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서로 인접하는 베어링바들의 설치 간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완성된 격자는 직사각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베어링바들 사이에 배치되는 크로스바는 용접에 의해 베어링바 또는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러한 그레이팅은 예를 들어, 다수의 그레이팅들을 연결하여 플랜트의 플로어 등을 구성할 경우, 빔으로 구성된 골조 위에 다수의 그레이팅들을 배치시킨 후, 각각의 그레이팅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빔에 고정된다.
상술한 그레이팅을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구는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는 바, 특허문헌 1의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앵글이나 H빔의 구조물(20) 상측에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는 복수의 그레이팅 패널(10)과, 양측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그레이팅 패널(10)들 중 서로 근접된 제1,2그레이팅 패널(12,14)들의 상측 테두리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연결클립(110)과, 상기 연결클립(1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양측 단부에 절곡된 끼움편(1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2그레이팅 패널(12,14)의 하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고정홀더(120)와, 상기 연결클립(110)과 고정홀더(12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볼트(140)와, 상기 연결볼트(140)의 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일단부가 고정홀더(120)의 하측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조물(20)에 지지되도록 절곡되며 하측에 상기 연결볼트(140)가 체결되는 고정너트(135)가 일체로 구성된 클램프부재(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는 연결클립, 고정홀더, 연결볼트, 고정너트, 클램프부재로 구성되어 연결클립에 고정홀더의 양단부가가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그레이팅 패널의 하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6927호(2018년 07월 10일 등록)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U'자형 볼트의 일측에 나사홀을 형성함으로써 구조물의 서포트의 두께에 상관없이 그레이팅과 구조물을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고정클립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일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클립을 어느방향에서도 그레이팅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설치, 해제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그리고, 체결볼트의 하부에 고무패킹을 결합함으로써 'U'자형 볼트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어 풀림으로 인한 구성요소들의 분실,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M'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곡된 양측단이 그레이팅(110)의 상측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클립(20)과; 일측에 나사홀(31)이 형성되고, 하측방향으로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타측에 구조물(120)이 고정되도록 하는 'U'자형 볼트(30)와; 상기 고정클립(20)을 관통하고, 상기 'U'자형 볼트(30)의 체결부(32)에 형성된 나사홀(31)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볼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상기 고정클립(20)은 그레이팅(110)의 상측이 삽입되는 절곡부(21)와; 상기 절곡부(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22)와; 상기 연장부(22)를 연결하고, 중심측에 관통홀(231)이 형성된 연결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상기 연결부(23)의 관통홀(231)은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상기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는 개방된 관통홀(231)의 양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이 상측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연장지지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상기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는 개방된 관통홀(231)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수직절곡부(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상기 고정클립(20)의 개방된 관통홀(231)은 중심측으로부터 상기 연장부(22)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형성된 후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상기 체결볼트(4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U'자형 볼트(3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상기 체결볼트(40)는 다각형상의 머리부(41)와 머리부(41)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나사부(42)로 이루어져 상기 'U'자형 볼트(30)의 나사홀(31)에 상기 나사부(42)가 체결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상기 고무링(44)은 상기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상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하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는 것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 의하면, 'U'자형 볼트의 일측에 나사홀을 형성함으로써 구조물의 서포트의 두께에 상관없이 그레이팅과 구조물을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클립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일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클립을 어느방향에서도 그레이팅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설치, 해제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체결볼트의 하부에 고무패킹을 결합함으로써 'U'자형 볼트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어 풀림으로 인한 구성요소들의 분실,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고정클립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U"자형 볼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고무패킹이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10)는 고정클립(20), 'U'자형 볼트(30), 체결볼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레이팅(110)은 프레임과 프레임의 내부에 격자형식으로 결합된 크로스바(cross bar)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프레임은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마름모꼴,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다른 기하학적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구조물(120)은 'H'형상의 빔이나 앵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고정클립(20)은 'M'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단이 절곡되어 그레이팅(110)의 상측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그레이팅(110)의 상측이 삽입되는 절곡부(21)와, 절곡부(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22)와, 연장부(22)를 연결하고, 중심측에 관통홀(231)이 형성된 연결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클립(2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4를 참조하면, 고정클립(20)은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곡부(21), 연장부(22), 관통홀(231)이 형성된 연결부(23)로 이루어지거나, 그레이팅(110)에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23)의 관통홀(231)이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레이팅(110)의 크로스바의 하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되어 고정이 더욱 견고하도록 도 4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는 개방된 관통홀(231)의 양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이 상측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연장지지부(24)가 형성되거나, 도 4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는 개방된 관통홀(231)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수직절곡부(25)가 형성되거나, 체결볼트(40)에 의해 그레이팅(110)에 결합 후 외부의 진동 등으로 인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의(e)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클립(20)의 개방된 관통홀(231)은 중심측으로부터 연장부(22)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형성된 후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고정클립(20)의 연장부(22)는 절곡부(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시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측방형에서 횡력이 가해질시 경사진 형상으로 인한 탄성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연장부(22)는 절곡부(21)와 결합된 일측이 연결부(23)와 결합된 타측에 비해 넓은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측방향에서 가해지는 횡력에 대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U'자형 볼트(30)는 일측에 나사홀(31)이 형성되고, 하측방향으로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타측에 구조물(120)이 고정되도록 한다.
'U'자형 볼트(30)는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나사홀(31)이 형성되거나,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이 수평방향으로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나사홀(31)이 형성되거나, 도 5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의 외주면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나사홀(31)이 형성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U'자형 볼트(30)를 나사홀(31)을 비롯한 제조공정을 간단히 하기 위해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성하였다. 이때, 'U'자형 볼트(30)를 나사홀(31)은 1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U'자형 볼트(30)의 일측에 나사홀(31)을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체결볼트(40)가 나사홀(31)에 체결되기 때문에 종래 체결볼트의 체결을 위한 너트의 구성을 없애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특히, 일측의 외주면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렌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다각형상의 외주면을 고정한 상태에서 체결볼트(40)를 체결하면 더욱 견고하게 그레이팅(110)과 구조물(120)을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체결볼트(40)는 다각형상의 머리부(41)와 머리부(41)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나사부(4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에 형성되는 관통홀(231)을 관통하고, 'U'자형 볼트(30)의 나사홀(31)에 나사 체결된다. 이때, 머리부(41)는 본 발명에서는 외주면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다각형상의 홈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외주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다각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10)에 의하면, 'U'자형 볼트(30)의 일측에 나사홀(31)을 형성함으로써 구조물(120)의 서포트의 두께에 상관없이 그레이팅(110)과 구조물(120)을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에 형성되는 관통홀(231)을 일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클립(20)을 어느방향에서도 그레이팅(11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설치, 해제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1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볼트(40)의 하부에 결합되어 'U'자형 볼트(3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체결볼트(40)의 하부에 고무패킹(43)을 결합함으로써 'U'자형 볼트(30)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어 풀림으로 인한 구성요소들의 분실,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체결볼트(40)는 'U'자형 볼트(30)의 나사홀(31)에 나사부(42)가 체결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무링(44)은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상면에 밀착되거나,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하면에 밀착되거나,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는 것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어 진다.
고무링(44)이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상면에 밀착시에는 체결볼트(40)의 머리부(41)의 하면과 밀착되고, 고무링(44)이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하면에 밀착시에는 'U'자형 볼트(30)의 나사홀(31)이 형성된 부분의 상면에 밀착되어 진다.
이와 같은 고무링(44)은 외부의 진동으로부터 'U'자형 볼트(30)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10)에서는 체결볼트(40)의 고무링(44)은 체결볼트(40)의 머리부(41)와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상면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10)의 사용상태 즉, 구조물(120)에 그레이팅(110)을 고정하는 것을 살펴보면, 구조물(120)의 상부에 그레이팅(11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고정클립(20)과 'U'자형 볼트(30)를 체결볼트(40)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때, 'U'자형 볼트(30)의 타측에 구조물(120)이 걸리도록 하여 체결부재(40)의 머리부(41)를 조여 그레이팅(110)과 구조물(120)을 단단히 고정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20 : 고정클립 21 : 절곡부
22 : 연장부 23 : 연결부
231 : 관통홀 30 : 'U'자형 볼트
31 : 나사홀 40 : 체결볼트
41 : 머리부 42 : 나사부
43 : 고무패킹
110 : 그레이팅 120 : 구조물

Claims (9)

  1. 'M'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곡된 양측단이 그레이팅(110)의 상측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클립(20)과;
    일측에 나사홀(31)이 형성되고, 하측방향으로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타측에 구조물(120)이 고정되도록 하는 'U'자형 볼트(30)와;
    상기 고정클립(20)을 관통하고, 상기 'U'자형 볼트(30)의 체결부(32)에 형성된 나사홀(31)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볼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20)은 그레이팅(110)의 상측에 삽입되는 절곡부(21)와;
    상기 절곡부(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22)와;
    상기 연장부(22)를 연결하고, 중심측에 관통홀(231)이 형성된 연결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3)의 관통홀(231)은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는 개방된 관통홀(231)의 양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끝단이 상측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연장지지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는 개방된 관통홀(231)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수직절곡부(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20)의 개방된 관통홀(231)은 중심측으로부터 상기 연장부(22)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형성된 후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4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U'자형 볼트(3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40)는 다각형상의 머리부(41)와 머리부(41)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나사부(42)로 이루어져 상기 'U'자형 볼트(30)의 나사홀(31)에 상기 나사부(42)가 체결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44)은 상기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상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하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는 것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KR1020190121509A 2019-10-01 2019-10-01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KR20210039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509A KR20210039108A (ko) 2019-10-01 2019-10-01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509A KR20210039108A (ko) 2019-10-01 2019-10-01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108A true KR20210039108A (ko) 2021-04-09

Family

ID=7544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509A KR20210039108A (ko) 2019-10-01 2019-10-01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910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927Y1 (ko) 2016-06-27 2018-07-1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927Y1 (ko) 2016-06-27 2018-07-1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161B1 (ko) 그레이팅 패널 체결용 고정구
KR101764369B1 (ko) 그레이팅 고정 장치
KR101955193B1 (ko) 그레이팅 고정장치
KR200486927Y1 (ko)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KR200392080Y1 (ko) 지붕판 고정장치
JP5609517B2 (ja) カバー材取付構造及びカバー材取付金具
KR20210039108A (ko)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JP5124773B2 (ja) スレート葺屋根の補修構造およびその補修工法
USRE40217E1 (en) System for securing composite gratings to structural members
US5911664A (en) Fastening system for securing composite gratings to structural members
KR101770155B1 (ko) 현장 조립형 배수 그레이팅
JP7202147B2 (ja) 建築用金具
KR102257347B1 (ko)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KR100847675B1 (ko) 경량철골용 텍스 행거
JP6085826B2 (ja) 外装構造体の改修金具およびその渡し部材、その突出部固定部材、外装構造体の改修構造
JP6050022B2 (ja) 建築用取付具
US3185269A (en) Grating retaining means
JP2004100239A (ja) 屋根補修工法
KR200203559Y1 (ko) 배수파이프 고정용밴드
JP2003268937A (ja) 屋上支持金物取付構造
KR20150004501U (ko) 태양전지 모듈 고정용 클램프
KR200281572Y1 (ko) 스테인레스 스틸 그레이팅
KR102593126B1 (ko) 격자형 그레이팅의 하중보강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보강판 설치방법
KR102080946B1 (ko)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KR20210116995A (ko)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