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946B1 -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946B1
KR102080946B1 KR1020180153502A KR20180153502A KR102080946B1 KR 102080946 B1 KR102080946 B1 KR 102080946B1 KR 1020180153502 A KR1020180153502 A KR 1020180153502A KR 20180153502 A KR20180153502 A KR 20180153502A KR 102080946 B1 KR102080946 B1 KR 102080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fixing member
fixing
close contact
fix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하철
우상범
박동현
이덕원
Original Assignee
전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하철 filed Critical 전하철
Priority to KR102018015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5Gully gratings with elastic lock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클립의 상부에 위치되는 너트의 조임만으로도 그레이팅을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작업시 2인 1조로 작업하는 부분을 작업자 혼자 가능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레이팅의 상측에 고정클립이 고정되고,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부재가 밀착되도록 하여 너트에 의해 고정클립과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구조 및 결합공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의 연결부가 플레이트의 절개부 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클립의 절곡부와 고정부재가 수직되는 방향으로 그레이팅 및 구조물을 고정하기 때문에 구조물에 그레이팅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GRATING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고정클립의 상부에 위치되는 너트의 조임만으로도 그레이팅을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작업시 2인 1조로 작업하는 부분을 작업자 혼자 가능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등에 설치되는 빗물 집배수로(集排水路)의 덮개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복수의 직사각형 격자 구조이다.
최근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그레이팅은 화학 공장, 조선소, 원자력 발전소 등의 플랜트 공장, 선박 등과 같은 구조물의 바닥 또는 계단 등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직사각형 격자 구조의 그레이팅은 프레임, 베어링바(bearing bar), 크로스바(cross bar)를 구비한다. 베어링바와 크로스바는 그레이팅의 사각 테두리를 서로 직각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서로 인접하는 베어링바들의 설치 간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완성된 격자는 직사각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베어링바들 사이에 배치되는 크로스바는 용접에 의해 베어링바 또는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러한 그레이팅은 예를 들어, 다수의 그레이팅들을 연결하여 플랜트의 플로어 등을 구성할 경우, 빔으로 구성된 골조 위에 다수의 그레이팅들을 배치시킨 후, 각각의 그레이팅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빔에 고정된다.
상술한 그레이팅을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구는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는 바, 특허문헌 1의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앵글이나 H빔의 구조물(20) 상측에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는 복수의 그레이팅 패널(10)과, 양측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그레이팅 패널(10)들 중 서로 근접된 제1,2그레이팅 패널(12,14)들의 상측 테두리에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연결클립(110)과, 상기 연결클립(1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양측 단부에 절곡된 끼움편(1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2그레이팅 패널(12,14)의 하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고정홀더(120)와, 상기 연결클립(110)과 고정홀더(12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볼트(140)와, 상기 연결볼트(140)의 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일단부가 고정홀더(120)의 하측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조물(20)에 지지되도록 절곡되며 하측에 상기 연결볼트(140)가 체결되는 고정너트(135)가 일체로 구성된 클램프부재(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는 연결클립, 고정홀더, 연결볼트, 고정너트, 클램프부재로 구성되어 연결클립에 고정홀더의 양단부가가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그레이팅 패널의 하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6927호(2018년 07월 10일 등록)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고정클립의 상부에 위치되는 너트의 조임만으로도 그레이팅을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작업시 2인 1조로 작업하는 부분을 작업자 혼자 가능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그레이팅의 상측에 고정클립이 고정되고,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부재가 밀착되도록 하여 너트에 의해 고정클립과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구조 및 결합공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그리고, 고정부재의 연결부가 플레이트의 절개부 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클립의 절곡부와 고정부재가 수직되는 방향으로 그레이팅 및 구조물을 고정하기 때문에 구조물에 그레이팅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고정부재의 밀착부에 패킹이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구조물과 밀착시 구조물의 하면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M'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단이 절곡되어 그레이팅(110)의 상측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클립(20)과; 상기 고정클립(20)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절개부(31)가 형성된 플레이트(30)와; 나사산(411)이 형성된 일측이 상기 고정클립(20)을 관통하고, 타측이 구조물(120)에 밀착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의 일측에 체결되는 너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상기 고정클립(20)은 그레이팅(110)의 상측이 삽입되는 절곡부(21)와; 상기 절곡부(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22)와; 상기 연장부(22)를 연결하고, 중심측에 관통홀(231)이 형성된 연결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상기 플레이트(30)는 상기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거나, 상기 연장부(2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연결부(23)의 전방 또는 후방과 연장부(22)로부터 연장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고정클립(20)의 관통홀(231)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50)와 체결되는 나사산(411)이 형성된 나사부(41)와; 상기 구조물(120)의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부(42)와;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부(41)와 밀착부(42)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43)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43)는 상기 플레이트(30)의 절개부(31) 상에 위치되어 상기 너트(50)와 체결시 회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상기 고정부재(40)의 나사부(41)와 밀착부(42)는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43)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상기 고정부재(40)의 밀착부(42)는 끝단이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120)의 하면에 끝단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밀착부(42)에 끼워지는 패킹(4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 의하면, 고정클립의 상부에 위치되는 너트의 조임만으로도 그레이팅을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작업시 2인 1조로 작업하는 부분을 작업자 혼자 가능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레이팅의 상측에 고정클립이 고정되고,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부재가 밀착되도록 하여 너트에 의해 고정클립과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구조 및 결합공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의 연결부가 플레이트의 절개부 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클립의 절곡부와 고정부재가 수직되는 방향으로 그레이팅 및 구조물을 고정하기 때문에 구조물에 그레이팅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재의 밀착부에 패킹이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구조물과 밀착시 구조물의 하면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고정클립의 하부에 플레이트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에서 고정부재에 패킹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10)는 고정클립(20), 플레이트(30), 고정부재(40), 너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레이팅(110)은 프레임과 프레임의 내부에 격자형식으로 결합된 크로스바(cross bar)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프레임은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마름모꼴,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다른 기하학적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구조물(120)은 'H'형상의 빔이나 앵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고정클립(20)은 'M'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단이 절곡되어 그레이팅(110)의 상측이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그레이팅(110)의 상측이 삽입되는 절곡부(21)와, 절곡부(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22)와, 연장부(22)를 연결하고, 중심측에 관통홀(231)이 형성된 연결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플레이트(30)는 고정클립(20)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절개부(31)가 형성된다.
절개부(31)가 형성된 플레이트(30)는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 즉, 연장부(2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거나(본 발명에서는 전방에 형성),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장부(2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부(23)의 전방 또는 후방과 연장부(22)로부터 연장되어 동시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30)를 고정클립(20)의 하부에 형성시 다양한 방향에서 형성하는 것은 도 8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조물(120)과 그레이팅(110)의 결합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정부재(40)는 나사산(411)이 형성된 일측이 고정클립(20)을 관통하고, 타측이 구조물(120)에 밀착되어 고정클립(20), 그레이팅(110) 및 구조물(120)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부재(40)는 고정클립(20)의 관통홀(231)을 관통하여 너트(50)와 체결되는 나사산(411)이 형성된 나사부(41)와, 구조물(120)에 밀착되는 밀착부(42)와,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나사부(41)와 밀착부(42)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밀착부(42)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끝단이 상측으로 'θ'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구조물(120)의 하면에 끝단이 밀착되도록 하고, 연결부(43)는 플레이트(30)의 절개부(31) 상에 위치되어 너트(50)와 체결시 회동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밀착부(42)의 기울어지는 각도인 'θ'는 5°인 것이 바람직하나, 꼭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고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밀착부(42)의 끝단을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끝단이 구조물(12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은 너트(50)에 의해 조임시 구조물(120)과 접촉하여 밀착시 탄성력을 부여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정부재(40)는 밀착부(42)에 끼워지는 패킹(4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킹(44)은 고무, 우레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밀착부(42)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패킹(44)은 구조물(120)과 밀착시 구조물(120)의 하면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고정부재(40)의 나사부(41)와 밀착부(42)는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결부(43)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부재(40)에 의하면 고정부재(40)의 연결부(43)가 플레이트(30)의 절개부(31) 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클립(20)의 절곡부(21)와 고정부재(40)가 수직되는 방향으로 그레이팅(110) 및 구조물(120)을 고정하기 때문에 구조물(120)에 그레이팅(1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너트(50)는 고정부재(40)의 일측에 체결되는 것으로,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상부에 위치되어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에 형성된 관통홀(231)을 통해 관통된 고정부재(40)의 나사부(41)에 형성된 나사산(411)과 나사 체결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10)에 의하면, 고정클립(20)의 상부에 위치되는 너트(50)의 조임만으로도 그레이팅(110)을 구조물(12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작업시 2인 1조로 작업하는 부분을 작업자 혼자 가능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레이팅(110)의 상측에 고정클립(20)이 고정되고, 구조물(120)의 하부에 고정부재(40)가 밀착되도록 하여 너트(50)에 의해 고정클립(20)과 고정부재(40)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구조 및 결합공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40)의 연결부(43)가 플레이트(30)의 절개부(31) 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클립(20)의 절곡부(21)와 고정부재(40)가 수직되는 방향으로 그레이팅(110) 및 구조물(120)을 고정하기 때문에 구조물(120)에 그레이팅(1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재(40)의 밀착부(42)에 패킹(44)이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구조물(120)과 밀착시 구조물(120)의 하면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10)의 사용상태 즉, 구조물(120)에 그레이팅(110)을 고정하는 것을 살펴보면, 구조물(120)의 상부에 그레이팅(11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고정클립(20)과 고정부재(40)를 너트(50)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때, 너트(50)에 의해 고정클립(20)에 체결된 고정부재(40)는 플레이트(30)의 절개부(31) 상에 연결부(43)가 위치되도록 하고, 너트(50)는 고정부재(40)의 나사부(41)의 나사산(411)과 어느 정도의 여유를 두고 체결된다. 이후, 고정클립(20)에 고정부재(40)가 고정된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10)를 고정클립(20)의 절곡부(21)가 그레이팅(110)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고정부재(40)의 밀착부(42)가 구조물(120)의 하측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너트(50)를 조여 구조물(120)에 그레이팅(110)이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20 : 고정클립 21 : 절곡부
22 : 연장부 23 : 연결부
231 : 관통홀 30 : 플레이트
31 : 절개부 40 : 고정부재
41 : 나사부 411 : 나사산
42 : 밀착부 43 : 연결부
44 : 패킹 50 : 너트
110 : 그레이팅 120 : 구조물

Claims (7)

  1. 'M'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단이 절곡되어 그레이팅(110)의 상측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클립(20)과;
    상기 고정클립(20)의 하부에서 하측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절개부(31)가 형성된 플레이트(30)와;
    나사산(411)이 형성된 일측이 상기 고정클립(20)을 관통하고, 타측이 구조물(120)에 밀착되는 고정부재(40)와;
    상기 고정부재(40)의 일측에 체결되는 너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20)은 그레이팅(110)의 상측이 삽입되는 절곡부(21)와;
    상기 절곡부(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22)와;
    상기 연장부(22)를 연결하고, 중심측에 관통홀(231)이 형성된 연결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는 상기 고정클립(20)의 연결부(23)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거나, 상기 연장부(2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연결부(23)의 전방 또는 후방과 연장부(22)로부터 연장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고정클립(20)의 관통홀(231)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50)와 체결되는 나사산(411)이 형성된 나사부(41)와;
    상기 구조물(120)의 하면에 밀착되는 밀착부(42)와;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부(41)와 밀착부(42)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43)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43)는 상기 플레이트(30)의 절개부(31) 상에 위치되어 상기 너트(50)와 체결시 회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나사부(41)와 밀착부(42)는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43)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밀착부(42)는 끝단이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120)의 하면에 끝단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밀착부(42)에 끼워지는 패킹(4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KR1020180153502A 2018-12-03 2018-12-03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KR102080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502A KR102080946B1 (ko) 2018-12-03 2018-12-03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502A KR102080946B1 (ko) 2018-12-03 2018-12-03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946B1 true KR102080946B1 (ko) 2020-02-24

Family

ID=6963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502A KR102080946B1 (ko) 2018-12-03 2018-12-03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9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508Y1 (ko) * 1989-08-19 1992-04-25 삼성전관주식회사 연삭 가공용 지그
KR200418842Y1 (ko) * 2006-03-14 2006-06-14 박무용 딥 데크의 연결부간 고정구조
CN201671937U (zh) * 2010-01-28 2010-12-15 上海宝钢工业检测公司 防腐钩头螺栓
KR20120007822U (ko) * 2011-05-06 2012-1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용 스탑볼트 어셈블리
KR20180079153A (ko) * 2016-12-30 2018-07-10 오준석 새들 클립
KR200486927Y1 (ko) 2016-06-27 2018-07-1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508Y1 (ko) * 1989-08-19 1992-04-25 삼성전관주식회사 연삭 가공용 지그
KR200418842Y1 (ko) * 2006-03-14 2006-06-14 박무용 딥 데크의 연결부간 고정구조
CN201671937U (zh) * 2010-01-28 2010-12-15 上海宝钢工业检测公司 防腐钩头螺栓
KR20120007822U (ko) * 2011-05-06 2012-1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용 스탑볼트 어셈블리
KR200486927Y1 (ko) 2016-06-27 2018-07-1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KR20180079153A (ko) * 2016-12-30 2018-07-10 오준석 새들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024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構造、太陽電池装置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方法
TWM493566U (zh) 建築樑體之連接裝置
US6629678B1 (en) Seismic adapter
KR102080946B1 (ko)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KR102113954B1 (ko) 용접이나 체결나사가 필요없는 사각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JP5703242B2 (ja) 屋根上取付具
JP4361600B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金具及び固定方法
JP6085826B2 (ja) 外装構造体の改修金具およびその渡し部材、その突出部固定部材、外装構造体の改修構造
KR102257347B1 (ko)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JP2013227732A (ja) 建築用取付具
JP5859098B1 (ja) 屋根上取付具
JP4074639B2 (ja) H型鉄骨のウェブ接続用スプライス板の仮止め用治具
JP2019094650A (ja) 天井下地構造
JP4031780B2 (ja) 型枠コーナー部の角締め装置および角締め方法
KR20190091791A (ko) 내진형 조임틀 장치
JP2846556B2 (ja) 建築用パネル材の取付構造
CN220504274U (zh) 一种大跨度曲面单层索网幕墙的连接结构
JP4215125B2 (ja) 支柱固定構造
JP2539109B2 (ja) 建築用接合金具
JP2008175041A (ja) 木造建築物の構造部材の割裂防止と強度向上を図る接合金物
KR20210116995A (ko)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JP6654375B2 (ja) トラス接合構造
KR20210039108A (ko)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JP2023149237A (ja) 天井下地構造
JPS5823843Y2 (ja) 横架材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