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153A - 새들 클립 - Google Patents

새들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153A
KR20180079153A KR1020170103370A KR20170103370A KR20180079153A KR 20180079153 A KR20180079153 A KR 20180079153A KR 1020170103370 A KR1020170103370 A KR 1020170103370A KR 20170103370 A KR20170103370 A KR 20170103370A KR 20180079153 A KR20180079153 A KR 20180079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plate
pair
saddle clip
cen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석
Original Assignee
오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석 filed Critical 오준석
Publication of KR2018007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6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새들 클립에 관한 것이며, 새들 클립은 중심 플레이트, 상기 중심 플레이트의 양 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부,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 플레이트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휘어짐 방지부 및 상기 중심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플레이트를 대상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새들 클립을 상기 대상체에 체결하기 위한 직결 나사가 관통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날개부는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새들 클립{SADDLE CLIP}
본원은 새들 클립에 관한 것이다.
플레이트 형상의 물건을 고정시키거나 플레이트 형상의 물건 간의 연결, 체결을 위하여 새들 클립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틸 그레이팅(grating)과 같은 것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새들 클립을 그레이팅의 상부에 위치시켜 새들 클립과 그레이팅을 1차적으로 결합하고, 새들 클립의 중간부위를 통과하여 지면까지 직결 나사를 관통시켜 그레이팅을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1(a)는 종래의 새들 클립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1(b)는 종래의 새들 클립에 직결 나사가 체결된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종래의 새들 클립(10)은 새들 클립의 양 날개 부분(11)이 새들 클립(10)의 중심부(12)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각 날개 부분(11)의 절곡부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레이팅(20)의 일부가 삽입되는 날개부(11)의 홈이 'ㄷ'자 형상의 직각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새들 클립(10)에 직결 나사(30)가 체결되면, 새들 클립의 중심부(12)의 하측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어 새들 클립(10)의 중심부(12)가 하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또한, 양 날개부(11)의 'ㄷ'자 홈에 그레이팅(2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측 방향으로 새들 클립(10)에 힘이 작용하게 되어 새들 클립(10)의 양 날개(11)의 부분이 그레이팅(20)의 일부에 의해 위로 들리게 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새들 클립(10)의 경우 직결 나사(30)가 체결됨에 따라 직결 나사(30)의 체결 전과 후의 새들 클립(10)의 모양이 변형되고, 그에 따라 그레이팅(20)이 대상체(21)에 안정적으로 고정, 체결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0993호(공개일: 2013.08.16)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결 나사의 체결 시 새들 클립의 형상 변경을 최소화하고, 직결 나사의 체결 이후에도 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체결 및 고정시킬 수 있는 새들 클립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클립은, 중심 플레이트, 상기 중심 플레이트의 양 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부,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 플레이트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휘어짐 방지부, 및 상기 중심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플레이트를 대상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새들 클립을 상기 대상체에 체결하기 위한 직결 나사가 관통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날개부는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날개부는, 상기 중심 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중심 플레이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제1연장부와 마주보는 제3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새들 클립이 상기 대상체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플레이트의 일 영역이 상기 제1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 및 상기 제3연장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상기 제3연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새들 클립이 상기 대상체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3연장부의 사이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휘어짐 방지부는, 상기 관통부에 상기 직결 나사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중심 플레이트가 하측 방향으로 휘어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휘어짐 방지부는, 상기 중앙 플레이트 전측과 후측에 한 쌍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새들 클립이 중심 플레이트로부터 양 측에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부 및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휘어짐 방지부 포함함으로써, 직결 나사의 체결 시 새들 클립의 형상 변경을 최소화하고, 직결 나사의 체결 이후에도 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체결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도1(a)는 종래의 새들 클립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새들 클립에 직결 나사가 체결된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클립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클립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클립이 플레이트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클립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클립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클립이 플레이트 및 대상체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클립(100)은 중심 플레이트(110), 한 쌍의 날개부(120), 휘어짐 방지부(130) 및 관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새들 클립(100)은 플레이트(200)를 대상체(210)에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플레이트(200)는 선박 등의 플랫폼(platform)과 같은 개방된 공간이나 하수도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하는 격자모양의 패널로서, 주로 주철이나 기타 합금강 또는 합성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gratin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대상체(210)는 플레이트(200)가 고정 장착되는 영역으로서 플레이트(200)를 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이든 포함할 수 있다.
중심 플레이트(110)는 총 6면을 이루는 직육면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중심 플레이트(110)의 옆면은 전측 후측 좌측 우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우측,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좌측, 우측에서 좌측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쪽이 후측, 우측에서 좌측으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쪽이 전측일 수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일 수 있다.
한 쌍의 날개부(120)는 중심 플레이트(11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날개부(120)는 새들 클립(100)의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날개부(120)는 중심 플레이트(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날개부(120)는 플레이트(2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날개부(120)는 플레이트(200)가 삽입되어 플레이트(200)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클립(100)의 한 쌍의 날개부(120)가 형성하는 홈은 종래의 새들 클립의 홈과는 달리 90도 각도로 절곡된 'ㄷ'자 형상이 아니며, 플레이트(200)가 접촉하는 접촉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200)와 접촉하는 접촉면은 한 쌍의 날개부(120)의 제 2 연장부(122)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날개부(120)는 각각 제 1 연장부(121), 제 2 연장부(122) 및 제 3 연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장부(121)는 중심 플레이트(110)의 측면으로부터 상층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장부(121)는 중심 플레이트(110)와 수직을 이루며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 1 연장부(121)는 중심 플레이트(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으로부터 절곡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플레이트(200)의 크기에 따라 제1연장부(121)의 길이는 14mm~23mm일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연장부(122)는 중심 플레이트(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연장부(1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좌측 날개부의 제2연장부(122)는 좌측 방향으로, 우측 날개부의 제2연장부(122)는 우측 방향으로 각각 제1연장부(1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연장부(122)는 제 1 연장부(121)로부터 제3연장부(123)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00)의 크기, 두께에 따라 제 2 연장부(122)가 경사진 소정의 각도는 7°~1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00)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제2연장부(122)가 경사진 각도가 증가할 수 있다. 왜냐하면 플레이트(200)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관통 나사가 새들 클립에 체결되었을 때 플레이트(200)로부터 새들 클립의 날개부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하기 때문에, 새들 클립의 제2연장부(122)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기울여 놓기 위함이다. 또한, 플레이트(200)의 크기에 따라 제 2 연장부(122)의 길이는 10mm~13m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연장부(123)는 제2연장부(122)로부터 하측 "?戮막? 절곡 연장되고, 제 1연장부(121)와 마주보며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 3 연장부(123)의 길이는 9mm~12mm 일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날개부(120)의 제1연장부(121), 제2연장부(122) 및 제 3 연장부(123)의 길이 및 두께 등은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한 쌍의 날개부(120)의 제1연장부(121), 제 2연장부(122), 제3연장부(123)의 길이는 새들 클립(100)에 수용되는 플레이트(200)의 규격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 클립(100)이 대상체(210)에 체결되었을 때, 플레이트(200)의 일 영역이 제1연장부(121), 제2연장부(122) 및 제3연장부(123)가 형성하는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휘어짐 방지부(130)는 한 쌍의 날개부(1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중심 플레이트(1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어짐 방지부(130)는 중심 플레이트(1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90도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휘어짐 방지부(130)는 중심 플레이트(110)의 전측과 후측에 한 쌍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휘어짐 방지부(130)는 중심 플레이트(110)에서 한 쌍의 날개부(120)가 형성된 면과 90도 이동된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휘어짐 방지부(130)는 관통부(140)에 직결 나사(150)가 체결되어 새들 클립(100)이 대상체(210)에 고정되었을 때, 직결 나사(150)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따라 중심 플레이트(110)가 하측 방향으로 휘어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휘어짐 방지부(130)를 포함함으로써, 새들 클립(100)을 플레이트(200)와 체결 할 때 중심 플레이트(110)가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휘어짐 방지부(130)는 소정의 두께를 이루며 형성되되, 그 세로의 길이는 중심 플레이트(110)로부터 6mm~8mm이고, 가로의 길이는 20mm~25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통부(140)는 중심 플레이트(110)에 형성되고, 플레이트(200)를 대상체(210)에 고정 체결하기 위해 새들 클립(100)을 대상체(210)에 체결하기 위한 직결 나사(150)가 관통되는 형태일 수 있다.
직결 나사(150)를 이용해 새들 클립(100)을 대상체(210)에 체결할 때, 직결 나사(150)와 대상체(210) 사이에 새들 클립(100)의 중심 플레이트(110)가 위치할 수 있다.
직결 나사(150)는 나사의 끝이 드릴날 형태 또는 뾰족한 형태로 되어 있어서 대상체(210)에 구멍을 뚫고 체결할 수 있는 나사를 의미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새들 클립(100)을 이용해 플레이트(200)와 대상체(210)를 고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플레이트(200)의 상측단에 새들 클립(100)의 한 쌍의 날개부(120)를 체결하고, 관통부(140)를 관통해 직결 나사(150)를 대상체(210)에 체결할 수 있다. 새들 클립(100)은 한 쌍의 날개부(120)의 공간에 플레이트(20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날개부(120)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플레이트(200)의 상측단과 한 쌍의 날개부(120)의 제 2 연장부(122)가 접촉될 수 있다. 제 2 연장부(122)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기 때문에, 직결 나사(150)를 체결하기 전에는 플레이트(200)의 상측단과 한 쌍의 날개부(120)의 제 2 연장부(122)가 긴밀하게 접촉되지는 않을 수 있다.
플레이트(200)와 대상체(210)를 고정하기 위해 직결 나사(150)를 사용하여 새들 클립(100)과 대상체(210)를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직결 나사(150)가 대상체(210)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중이 작용하고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플레이트(20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날개부(120)의 제2연장부(122)를 상측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한다. 그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된 제 2 연장부(122)는 플레이트(200)의 상측단과 접촉하면서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새들 클립(100)이 대상체(210)에 체결되었을 때, 한쌍의 날개부(120)의 제2 연장부(122)는 제 1 연장부(121)와 제 3 연장부(123)의 사이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연장부(122)가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플레이트(200)와 새들 클립(100)은 상대적으로 긴밀하게 접촉되고 안정적인 체결을 이룰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새들 클립
110: 중심 플레이트
120: 한 쌍의 날개부
121: 제 1 연장부
122: 제 2 연장부
123: 제 3 연장부
130: 휘어짐 방지부
140: 관통부
150: 직결 나사
200: 플레이트
210: 대상체

Claims (6)

  1. 새들 클립에 있어서,
    중심 플레이트;
    상기 중심 플레이트의 양 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부;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 플레이트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휘어짐 방지부; 및
    상기 중심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플레이트를 대상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새들 클립을 상기 대상체에 체결하기 위한 직결 나사가 관통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날개부는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새들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부는,
    상기 중심 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중심 플레이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제1연장부와 마주보는 제3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새들 클립이 상기 대상체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플레이트의 일 영역이 상기 제1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 및 상기 제3연장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수용되는 것인, 새들 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상기 제3연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것인, 새들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 클립이 상기 대상체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3연장부의 사이에서 수평을 유지하는 것인, 새들 클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어짐 방지부는,
    상기 관통부에 상기 직결 나사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중심 플레이트가 하측 방향으로 휘어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새들 클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휘어짐 방지부는
    상기 중심 플레이트 전측과 후측에 한 쌍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인, 새들 클립.
KR1020170103370A 2016-12-30 2017-08-16 새들 클립 KR201800791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393 2016-12-30
KR20160183393 2016-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153A true KR20180079153A (ko) 2018-07-10

Family

ID=62915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370A KR20180079153A (ko) 2016-12-30 2017-08-16 새들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91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946B1 (ko) * 2018-12-03 2020-02-24 전하철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KR20200094540A (ko) * 2019-01-30 2020-08-07 전하철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KR102312921B1 (ko) 2020-08-07 2021-10-21 김정욱 그레이팅용 새들 클립
KR102598552B1 (ko) * 2023-03-16 2023-11-03 주식회사 에이제이이앤지 스틸 그레이팅 고정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7533A (en) * 1926-08-11 1929-04-02 Tri Lok Company Clip for gratings
US5566926A (en) * 1994-08-19 1996-10-22 Voight Products Incorporated Resilient safety barrier
US7789365B2 (en) * 2005-07-12 2010-09-07 Hilti Aktiengesellschaft Grid-holding element
KR101174257B1 (ko) * 2012-07-04 2012-08-14 이정호 그레이팅 패널의 고정구 및 그것이 설치된 고정구조
KR101319201B1 (ko) * 2013-08-07 2013-10-18 황태문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용 체결구 및 그것이 포함된 그레이팅 패널의 고정구조
KR20160090016A (ko) *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 벧엘엔지니어링 그레이팅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7533A (en) * 1926-08-11 1929-04-02 Tri Lok Company Clip for gratings
US5566926A (en) * 1994-08-19 1996-10-22 Voight Products Incorporated Resilient safety barrier
US7789365B2 (en) * 2005-07-12 2010-09-07 Hilti Aktiengesellschaft Grid-holding element
KR101174257B1 (ko) * 2012-07-04 2012-08-14 이정호 그레이팅 패널의 고정구 및 그것이 설치된 고정구조
KR101319201B1 (ko) * 2013-08-07 2013-10-18 황태문 선박 또는 해상구조물용 체결구 및 그것이 포함된 그레이팅 패널의 고정구조
KR20160090016A (ko) *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 벧엘엔지니어링 그레이팅 고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946B1 (ko) * 2018-12-03 2020-02-24 전하철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KR20200094540A (ko) * 2019-01-30 2020-08-07 전하철 그레이팅 결합용 고정구
KR102312921B1 (ko) 2020-08-07 2021-10-21 김정욱 그레이팅용 새들 클립
KR102598552B1 (ko) * 2023-03-16 2023-11-03 주식회사 에이제이이앤지 스틸 그레이팅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9153A (ko) 새들 클립
RU2503787C1 (ru) Зажим для материала для наружной отделки и зажи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материала для наружной отделки
US7637527B2 (en) Mounting element, mounting tool, and mounting-set
JP4981893B2 (ja) 固定装置
US20120110944A1 (en) Fastener for building materials
GB2428270A (en) Grating fastener
JP2008542645A (ja) シート状金属ファスナー・クリップ
US9387828B2 (en) Adapter for windshield wiper assembly
TW201739125A (zh) 電信連接器安裝夾
JP4225907B2 (ja) 異なった膨張特性を備えたプレートを結合するための固定クランプ
JP5836066B2 (ja) パネル体取付部材、およびパネル体の取付構造
JP3022813B2 (ja) スナップ取付構造
JP2017063573A (ja) フラットケーブル固定構造
CN107334276A (zh) 柜橱组件
US733832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105988B2 (ja) マグネットキャッチ
US20230006391A1 (en) Holding frame,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JP6849557B2 (ja) 配線・配管材保持台座及び配線・配管材保持装置
JP5329509B2 (ja) 建築用壁面板の取付金具及び建築用壁面構造
JP4782536B2 (ja) 天井下地部材の取付け構造
CZ296993B6 (cs) Upevnovací prvek k uvolnitelnému spojení vzájemnepravoúhle usporádaných plechových desek
US20220416468A1 (en) Holding frame, plug-i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JP6942880B2 (ja) パイプ形状またはチューブ形状の物体を締結するためのクリップ
CN113677240B (zh) 用于抽屉的后壁连接器
JP5952691B2 (ja) 集合端子台装置及び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