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273B1 -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273B1
KR101764273B1 KR1020160116420A KR20160116420A KR101764273B1 KR 101764273 B1 KR101764273 B1 KR 101764273B1 KR 1020160116420 A KR1020160116420 A KR 1020160116420A KR 20160116420 A KR20160116420 A KR 20160116420A KR 101764273 B1 KR101764273 B1 KR 101764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fting
contact
impact
stag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이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이광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Priority to KR1020160116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는, 무대 장비가 탑재되어 있는 무대 장비 본체 무대 장비 본체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를 권선하도록 구성되어 무대 장비 본체를 승강시키는 리프팅 유닛, 무대 장비 본체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와이어로프에 위치 고정되는 접촉 유닛, 그리고 리프팅 유닛에 위치하며, 접촉 유닛에 접촉되면서 리프팅 유닛의 작동을 정지시켜 무대 장비 본체의 상승 동작을 제한하는 상승 제한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대 장비의 상승 시에 와이어로프의 접촉 유닛이 상승 제한 유닛에 접촉되면서 충돌을 완화하면서 방지하여 무대 장비와 승강 구동 관련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STAGE EQIPMENT LIFER HAVING FUNCTION FOR PREVENTING FROM LIFTING IMPACT}
본 발명은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대 조명의 상승 정지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극, 무용, 오페라 등 각종 무대 공연에는 무대의 배경을 설치하거나 각종 조명장치 등을 설치하기 위해서 승강 무대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 무대 장치에는 무대를 조명하는 조명기구는 물론 공연내용에 필요한 효과를 연출하는 효과기구, 무대를 객석과 가변적으로 격리시키는 막 승강 기구 등, 다양한 장비들이 설치된다.
승강 무대 장치에 설치되는 무대에 필요한 장비들은 대개 관리 및 보수와, 공연 연출을 위한 이유로서 승강 무대 장치에 탑재되고,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승강 무대 장치는 무대의 천장 상에 인위적으로 확보된 공간에 설치되거나, 상기 공간을 확보할 수 없을 경우에는 무대 장비 본체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기들을 하나의 설비로서 일체로 제작하여서 각종 장비들을 수용한 상태에서 직접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승강 무대 장치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권선기에 와이어가 감기면서 각종 장비들이 탑재된 무대 장비 본체가 상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종 장비들이 탑재된 무대 장비 본체는 일정 횟수로 권선기에 감기는 와이어에 의해 일정 높이까지 상승된 후에 멈추게 된다.
승강 무대 장치가 설치되는 무대의 상부에는 권선기가 탑재되어 있는 리프팅 프레임이 배치된다. 권선기가 작동되어 무대 장비 본체가 상승되는 경우, 권선기의 권선 횟수나 와이어 길이의 오차에 의해 무대 장비 본체와 리프팅 프레임이 충돌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따라 무대 장비 본체에 탑재된 각종 장비들의 파손될 수 있었으며, 리프팅 프레임 상의 승강 구동 관련 요소들이 충격을 받아 고장이 일어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승강 무대 장비의 상승 시에 충돌을 완화하면서 방지하여 무대 장비와 승강 구동 관련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는, 무대 장비가 탑재되어 있는 무대 장비 본체; 상기 무대 장비 본체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를 권선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무대 장비 본체를 승강시키는 리프팅 유닛; 상기 무대 장비 본체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로프에 위치 고정되는 접촉 유닛; 및 상기 리프팅 유닛에 위치하며, 상기 접촉 유닛에 접촉되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무대 장비 본체의 상승 동작을 제한하는 상승 제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상승 제한 유닛은 상기 리프팅 유닛의 와이어로프 이동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접촉 유닛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 스프링; 및 상기 충격 흡수 스프링을 상기 리프팅 유닛의 하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고정부는 상기 충격 흡수 스프링을 통과하여 상기 리프팅 유닛의 하부에 한 쌍으로 위치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 볼트; 및 상기 충격 흡수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 볼트에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접촉 유닛에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는 충격 접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승 제한 유닛은 상기 충격 접촉 부재에 접촉되는 리밋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밋 스위치는 상기 접촉 유닛이 상기 충격 접촉 부재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리프팅 유닛의 리프팅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유닛은, 리프팅 본체; 상기 리프팅 본체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로프를 감고 풀도록 구성되는 권선 유닛; 및 상기 리프팅 본체 상에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권선 유닛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풀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승 제한 유닛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 풀리 유닛 중 하나에 배치되되, 상기 접촉 유닛은, 상기 와이어로프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중앙부재; 및 상기 중앙부재를 감싸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승 제한 유닛의 리밋 스위치는 상기 가이드 풀리 유닛의 하부 측벽부에 위치하며, 상기 충격 접촉 부재는, 상기 스프링 고정 볼트가 관통하여 위치하는 충격 접촉부; 및 상기 충격 접촉부에 연결되며, 상기 리밋 스위치에 접촉하도록 상기 풀리 유닛의 측벽부 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리밋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대 장비의 상승 시에 와이어로프의 접촉 유닛이 상승 제한 유닛에 접촉되면서 충돌을 완화하면서 방지하여 무대 장비와 승강 구동 관련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의 설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프팅 유닛의 가이드 풀리 유닛과 상승 제한 유닛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접촉 유닛에 의한 상승 제한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이드 풀리 유닛과 상승 제한 유닛의 측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접촉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면의 방향과 위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상정하여 설명하며, 상하좌우는 XY좌표 평면계와 일치하며, 전후좌우는 YZ좌표의 평면계와 일치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실시예들의 도면에서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에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으로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별히 정의된 용어를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한자, 국어 혹은 영어의 사전적인 의미 혹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부합하는 속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포함한다, 구성된다, 또는 구비한다"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가질 수 있음을, "고정 및 구속된다"는 이동과 움직임이 제한됨을, "회전 및 힌지"는 대상 객체의 일부 혹은 전부가 회전하여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리프팅 유닛의 가이드 풀리 유닛과 상승 제한 유닛의 상세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는, 무대 장비가 탑재되어 있는 무대 장비 본체(20), 무대 장비 본체(20)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10)를 권선하도록 구성되어 무대 장비 본체(20)를 승강시키는 리프팅 유닛(100), 무대 장비 본체(20)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와이어로프(10)에 위치 고정되는 접촉 유닛(140), 그리고 리프팅 유닛(100)에 위치하며 접촉 유닛(140)에 접촉되면서 리프팅 유닛(100)의 작동을 정지시켜 무대 장비 본체(20)의 상승 동작을 제한하는 상승 제한 유닛(150)을 포함한다.
무대 장비가 탑재되어 있는 무대 장비 본체(20)는, 무대에서 공연이 시작되고, 바뀌거나 끝나면서 승강될 수 있다. 이러한 무대 장비 본체(20)에는 무대의 공연 효과를 높이기 위한 조명 및 각종 장비들이 탑재될 수 있다.
무대 장비 승강장치는 무대로 내려온 무대 장비가 리프팅 유닛(100)에 의해 위로 상승되도록 구성된다. 리프팅 유닛(100)은 무대 장비 본체(20)를 승강시키기 위한 무대 장비 본체(20)에 연결된 와이어로프(10)를 감고 풀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전동모터에 의해 작동된다.
무대 장비 본체(20)는 리프팅 유닛(100)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된 후, 이동이 정지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무대 장비 본체(20)가 승강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에 입력된 높이보다 높게 상승되는 경우 무대 장비 본체(20)는 리프팅 유닛(100)에 부딪힐 수 있다.
이처럼 무대 장비 본체(20)가 오버 상승되는 경우는 리프팅 유닛(100)의 하부에 있는 상승 제한 유닛(150)에 의해 상승 이동이 제한된다. 상승 제한 유닛(150)은 와이어로프(10)에 의해 상승되는 무대 장비 본체(20)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승 제한 유닛(150)은 기계적으로 혹은 전기적으로 와이어로프(10)의 상승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와이어로프(10)에는 접촉 유닛(140)이 고정되어 있으며, 접촉 유닛(140)이 상승 제한 유닛(150)에 접촉된 경우, 접촉 유닛(140)에 의해 전동모터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와이어로프(10)의 권선 작동이 정지된다. 리프팅 유닛(100)에는 전동모터가 정지될 때, 무대 장비 본체(20)의 자중에 의한 와이어로프(10)의 하강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요소들이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무대 장비의 상승 시에 와이어로프(10)의 접촉 유닛(140)이 상승 제한 유닛(150)에 접촉되는 경우, 충돌에 의한 충격이 완화되면서 더 이상의 상승 작용이 방지되어 무대 장비와 승강 구동 관련 요소들이 보호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의 주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접촉 유닛에 의한 상승 제한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4는 도 1의 가이드 풀리 유닛과 상승 제한 유닛의 측면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접촉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유닛(100)을 정지시키기 위한 상승 제한 유닛(150)은 리프팅 유닛(100)의 와이어로프(10) 이동 경로에 배치되며 접촉 유닛(140)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 스프링(151), 그리고 충격 흡수 스프링(151)을 리프팅 유닛(100)의 하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스프링 고정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 스프링(151)은 와이어로프(10)에 위치 고정된 접촉 유닛(140)의 접촉 시에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요소로서, 스프링 고정부(152)에 완충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프링 고정부(152)는 충격 흡수 스프링(15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 고정부(152)는 충격 흡수 스프링(151)을 통과하여 리프팅 유닛(100)의 하부에 한 쌍으로 위치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 볼트(153), 그리고 충격 흡수 스프링(151)에 의해 지지되어 스프링 고정 볼트(153)에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며 접촉 유닛(140)에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는 충격 접촉 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고정 볼트(153)는 후술되는 리프팅 유닛(100)의 가이드 풀리 유닛(120)의 하부에 체결된다. 이러한 스프링 고정 볼트(153)에는 상기의 충격 흡수 스프링(151)이 끼워지며, 하단부에는 충격 흡수 스프링(151)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충격 접촉 부재(154)가 배치된다. 충격 접촉 부재(154)는 스프링 고정 볼트(153)의 볼트 머리에 의해 하방으로 이탈이 제한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제한 유닛(150)은 충격 접촉 부재(154)에 접촉되는 리밋 스위치(160)를 더 포함하며, 리밋 스위치(160)는 접촉 유닛(140)이 충격 접촉 부재(154)에 접촉되는 경우, 스위치부(161)가 회전되면서 리프팅 유닛(100)의 리프팅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리밋 스위치(160)는 움직이는 물체에 스위치부(161)가 접촉되어 작동 요소를 정지시킬 수 있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리밋 스위치(160)는 접촉 유닛(140)의 상승 한계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접촉 유닛(140)에 접촉될 때 스위치 접점이 연결됨으로써 리프팅 유닛(100)의 전동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리프팅 유닛(100)의 전동모터의 위치 제어를 수행하도록 설계된 리프팅 제어부에 신호가 전달됨으로써 와이어로프(10)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으며, 무대 장비 본체(20)의 상승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상승 제한 유닛(150)의 리밋 스위치(160)는 가이드 풀리 유닛(120)의 하부 측벽부에 위치한다. 또한 충격 접촉 부재(154)는 스프링 고정 볼트(153)가 관통하여 위치하는 충격 접촉부(155), 그리고 충격 접촉부(155)에 연결되며, 리밋 스위치(160)에 접촉하도록 풀리 유닛의 측벽부 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리밋 접촉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리프팅 유닛(100)은 리프팅 본체, 리프팅 본체에 위치하며 와이어로프(10)를 감고 풀도록 구성되는 권선 유닛(110)과, 리프팅 본체 상에 복수로 배치되며 와이어로프(10)를 권선 유닛(110)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풀리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승 제한 유닛(150)은 복수의 가이드 풀리 유닛(120)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와이어로프(10)에 매달린 무대 장비 본체(20)의 상승을 제한할 수 있다. 리프팅 본체는 권선 유닛(110)과 가이드 풀리 유닛(120)이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 요소로서, 권선 유닛(110)과 가이드 풀리 유닛(120)의 하부에 위치한다.
한편 상세하게 도시되진 않았으나 가이드 풀리 유닛(120)에는 와이어로프(10)의 끊어짐에 의한 무대 장비 본체(2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풀리 유닛(120)의 추락 방지 브레이킹 기능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풀리 유닛(120)과 동일 구조를 갖는 요소들이 도시된 등록특허 10-0972000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등록특허 10-0972000에 도시된 추락 방지 안전 기능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풀리 유닛(120)에 적용되며, 본 명세서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촉 유닛(140)은 와이어로프(10)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중앙부재(141)와 중앙부재(141)를 감싸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유닛(140)은 상기의 가이드 풀리 유닛(120)의 하부에 부딪힐 때 고무부재(142)에 의한 완충 작용이 일어나 충격에 의한 무대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접촉 유닛(140)은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하 양단의 와이어로프(10)가 연결될 수 있는 코일 형상의 강선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와이어로프 20: 무대 장비 본체
100: 리프팅 유닛 110: 권선 유닛
120: 가이드 풀리 유닛 140: 접촉 유닛
141: 중앙부재 142: 고무부재
150: 상승 제한 유닛 151: 충격 흡수 스프링
152: 스프링 고정부 153: 스프링 고정 볼트
154: 충격 접촉 부재 155: 충격 접촉부
157: 리밋 접촉부 160: 리밋 스위치

Claims (6)

  1. 무대 장비가 탑재되어 있는 무대 장비 본체;
    상기 무대 장비 본체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를 권선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무대 장비 본체를 승강시키는 리프팅 유닛;
    상기 무대 장비 본체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로프에 위치 고정되는 접촉 유닛; 및
    상기 리프팅 유닛에 위치하며, 상기 접촉 유닛에 접촉되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무대 장비 본체의 상승 동작을 제한하는 상승 제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승 제한 유닛은 상기 리프팅 유닛의 와이어로프 이동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접촉 유닛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 스프링; 및
    상기 충격 흡수 스프링을 상기 리프팅 유닛의 하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고정부는 상기 충격 흡수 스프링을 통과하여 상기 리프팅 유닛의 하부에 한 쌍으로 위치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 볼트; 및
    상기 충격 흡수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스프링 고정 볼트에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접촉 유닛에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는 충격 접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승 제한 유닛은 상기 충격 접촉 부재에 접촉되는 리밋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밋 스위치는 상기 접촉 유닛이 상기 충격 접촉 부재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리프팅 유닛의 리프팅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리프팅 유닛은,
    리프팅 본체;
    상기 리프팅 본체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로프를 감고 풀도록 구성되는 권선 유닛; 및
    상기 리프팅 본체에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권선 유닛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풀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승 제한 유닛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 풀리 유닛 중 하나에 배치되되,
    상기 접촉 유닛은,
    상기 와이어로프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중앙부재; 및
    상기 중앙부재를 감싸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승 제한 유닛의 리밋 스위치는 상기 가이드 풀리 유닛의 하부 측벽부에 위치하며,
    상기 충격 접촉 부재는,
    상기 스프링 고정 볼트가 관통하여 위치하는 충격 접촉부; 및
    상기 충격 접촉부에 연결되며, 상기 리밋 스위치에 접촉하도록 상기 풀리 유닛의 측벽부 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리밋 접촉부를 포함하는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16420A 2016-09-09 2016-09-09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 KR101764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420A KR101764273B1 (ko) 2016-09-09 2016-09-09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420A KR101764273B1 (ko) 2016-09-09 2016-09-09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273B1 true KR101764273B1 (ko) 2017-08-04

Family

ID=5965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420A KR101764273B1 (ko) 2016-09-09 2016-09-09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2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0980A (zh) * 2017-08-10 2017-11-07 甘肃工大舞台技术工程有限公司 八轴牵引三维多姿态飞行器以及控制方法
KR101880044B1 (ko) 2018-01-19 2018-08-16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설치가 용이한 승강용 무대장치
KR102481473B1 (ko) 2022-02-21 2022-12-23 김창무 원격 제어 가능한 슬래그 제거 장치
KR200496479Y1 (ko) 2022-05-24 2023-02-07 이승범 무대의 머리막 커튼 이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485B1 (ko) 2009-10-29 2012-01-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중추 리미트 장치용 터치바
KR101362410B1 (ko) * 2013-12-18 2014-02-14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무대장치용 구동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485B1 (ko) 2009-10-29 2012-01-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중추 리미트 장치용 터치바
KR101362410B1 (ko) * 2013-12-18 2014-02-14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안전장치가 구비된 무대장치용 구동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0980A (zh) * 2017-08-10 2017-11-07 甘肃工大舞台技术工程有限公司 八轴牵引三维多姿态飞行器以及控制方法
CN107320980B (zh) * 2017-08-10 2023-11-14 甘肃工大舞台技术工程有限公司 八轴牵引三维多姿态飞行器以及控制方法
KR101880044B1 (ko) 2018-01-19 2018-08-16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설치가 용이한 승강용 무대장치
KR102481473B1 (ko) 2022-02-21 2022-12-23 김창무 원격 제어 가능한 슬래그 제거 장치
KR200496479Y1 (ko) 2022-05-24 2023-02-07 이승범 무대의 머리막 커튼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273B1 (ko) 상승 충돌 방지 기능을 갖는 무대 장비 승강장치
KR10227651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2054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FI125176B (fi) Turvalaitteistojärjestelyllä varustettu hissi
KR86000144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45640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3141511A1 (en) Housing assembly for a safety actuation device
KR102566855B1 (ko) 엘리베이터 오버런 시스템
JP4647219B2 (ja) エレベーター昇降路内に一時的な安全空間を作り出すためのストップバー
JP577174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959668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10011020U (ko)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충격완화장치
JP2007521199A (ja) 緩衝懸架装置
KR1019360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190236B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조속기
KR100569799B1 (ko) 균형추
JP2010018373A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制振装置
JP2007008611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検査方法
BRPI0416836B1 (pt) Aparelho elevador compreendendo uma parte de supervisão para detectar anormalidades no movimento de um carro
KR101147824B1 (ko) 엘리베이터용 완충기의 리미트 스위치 장치
JP628974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168167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8204899A (ja) 昇降装置
JP625812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147858B2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