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071B1 - 사람 검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람 검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071B1
KR101764071B1 KR1020160166327A KR20160166327A KR101764071B1 KR 101764071 B1 KR101764071 B1 KR 101764071B1 KR 1020160166327 A KR1020160166327 A KR 1020160166327A KR 20160166327 A KR20160166327 A KR 20160166327A KR 101764071 B1 KR101764071 B1 KR 101764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person
area
uni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131A (ko
Inventor
고이치로 구이
도시하루 다케노우치
야스히로 모리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2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12Image segmentation details
    • G06T2207/20132Image cr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4Image subtr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larm System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햇빛 등에 기인한 오검지가 생기기 어려운 사람 검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체재 영역에서의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평가값의 변화량을 누적한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이상으로 되면,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미만인 상태가 유지 시간에 걸쳐 계속되면,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유지 시간보다 짧은 리셋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움직임량을 리셋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사람 검지 시스템{HUMAN DETECTING SYSTEM}
본 발명은 사람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이용하여, 침입자를 검지하는 사람 검지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0-348268호(이하, 「문헌 1」이라 함) 참조).
문헌 1에 기재된 사람 검지 시스템(인체 검지 장치)에서는, 감시 영역 내의 화상을 촬상하는 화상 입력 수단과, 화상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화상으로부터 인체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사람 검지 시스템에서는, 임의의 시간차를 갖고 촬상된 동일 영역의 2매의 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얻고, 2치화된 차분 화상에 나타나는 각각의 상에 대한 면적값을 이용하여, 인체의 유무가 판정되고 있다.
그런데, 예를 들면 창으로부터 들어오는 햇빛이 마루 등을 국소적으로 비춤으로써, 감시 영역 내에 다른 영역보다 휘도가 높은 「일조(日照) 스폿」이 생기는 일이 있다. 이러한 일조 스폿은 시간 경과에 따라 감시 영역 내를 이동한다. 차분 화상으로부터 사람의 유무를 판정하는 종래의 사람 검지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일조 스폿의 이동이, 감시 영역 내에서의 사람의 움직임으로 잘못 판정되어, 오검지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햇빛 등에 기인한 오검지가 생기기 어려운 사람 검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은, 촬상부가 촬상한 해석 화상의 검지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 영역 내의 사람을 둘러싸는 식별 영역을 상기 해석 화상에 작성하는 작성부를 구비한다. 상기 검지부는 상기 검지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이동 검지 모드와, 상기 검지 영역 내에서 정체한 상기 식별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체재(滯在)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체재 검지 모드를 가진다. 상기 검지부는, 상기 체재 검지 모드에서, 상기 체재 영역에서의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평가값의 변화량을 누적한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이상으로 되면,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검지부는, 상기 체재 검지 모드에서, 상기 움직임량이 상기 검지 임계값 미만인 상태가 유지 시간에 걸쳐 계속되면,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검지부는, 상기 체재 검지 모드에서, 상기 유지 시간보다 짧은 리셋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움직임량을 리셋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은, 촬상부가 촬상한 해석 화상의 검지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 영역 내의 사람을 둘러싸는 식별 영역을 상기 해석 화상에 작성하는 작성부를 구비한다. 상기 검지부는, 상기 검지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이동 검지 모드와, 상기 검지 영역 내에서 정체한 상기 식별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체재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체재 검지 모드를 가진다. 상기 검지부는, 상기 체재 검지 모드에서, 상기 체재 영역에서의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평가값의 변화량을 누적한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이상으로 되면,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검지부는, 상기 체재 검지 모드에서, 상기 움직임량이 상기 검지 임계값 이상으로 될 때마다, 상기 움직임량을 리셋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검지부는, 상기 체재 검지 모드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간격으로 또한 소정의 판정 회수 연속해서 상기 움직임량이 상기 검지 임계값 이상으로 되면,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사람 검지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사람 검지 시스템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도 3(g)는 사람이 검지 영역의 밖으로부터 검지 영역 내로 진입하여, 그 자리에서 멈춰선 후, 검지 영역으로부터 나가는 경우의, 7개의 프레임의 해석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사람 검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사람 검지 시스템 및 비교예에 대해, 체재 검지 모드에서의 움직임량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사람 검지 시스템에 대해, 체재 검지 모드에서의 움직임량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비교예에 대해, 체재 검지 모드에서의 움직임량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사람 검지 시스템에 대해, 체재 검지 모드에서의 움직임량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사람 검지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이하의 각 실시 형태는 사람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을 이용하여 사람을 검지하는 사람 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시 형태 1)
(1) 개요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부(31)와, 작성부(32)를 구비하고 있다. 검지부(31)는 촬상부(2)가 촬상한 해석 화상의 검지 영역(21)(도 3(a) 참조) 내에 사람(70)(도 2 참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작성부(32)는 검지 영역(21) 내의 사람을 둘러싸는 식별 영역(22)(도 3(a) 참조)을 해석 화상에 작성한다.
검지부(31)는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이동 검지 모드와, 검지 영역(21) 내에서 정체한 식별 영역(22)으로 이루어지는 체재 영역(23)(도 3(e) 참조)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체재 검지 모드를 가지고 있다.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체재 영역(23)에서의 사람(70)의 움직임에 따른 평가값의 변화량을 누적한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제 2 임계값) 이상으로 되면,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미만인 상태가 유지 시간 T1에 걸쳐 계속되면,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유지 시간 T1보다 짧은 리셋 시간 T2가 경과할 때마다, 움직임량을 리셋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움직임량」은 평가값의 변화량을 시간축을 따라 누적한 값, 즉 평가값의 누적값이다. 여기서 말하는 「평가값」은, 해석 화상으로부터 도출 가능하고, 체재 영역(23)에서의 사람(70)의 움직임에 따른 값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움직임량」은 체재 영역(23) 내의 적어도 1개의 화소의 휘도값의 변화량을 시간축을 따라 누적한 값(누적값)이다. 이 경우, 체재 영역(23)에서의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평가값」은 체재 영역(23) 내의 적어도 1개의 화소의 휘도값의 변화량이다.
여기서, 검지부(31)는, 이동 검지 모드에서, 식별 영역(22)의 위치 변화량이 정체 임계값 Th1(제 1 임계값) 미만으로 되면, 검지 영역(21) 내에서의 식별 영역(22)의 위치를 고정하고, 식별 영역(22)을 체재 영역(23)으로 한다. 이 때,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에 대해 체재 검지 모드에서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즉, 체재 영역(23)은 검지 영역(21) 내에서의 위치 변화량이 정체 임계값 Th1 미만으로 됨으로써, 검지 영역(21) 내에서만 정체한 식별 영역(22)이다. 이동 검지 모드에서는, 검지부(31)는 검지 영역(21)의 전역을 대상으로 하여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검지 영역(21) 내에서 사람(70)이 크게 이동한 경우라도, 사람(70)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한편, 체재 검지 모드에서는, 검지부(31)는 검지 영역(21) 내에서 정체한 식별 영역(22)인 체재 영역(23), 즉 검지 영역(21) 내에서의 위치가 고정된 식별 영역(22)인 체재 영역(23) 내를 대상으로 하여,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 의하면,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유지 시간 T1보다 짧은 리셋 시간 T2가 경과할 때마다, 움직임량을 리셋한다. 그 때문에, 체재 영역(23) 내에 다른 영역보다 휘도가 높은 「일조 스폿」이 생겨도,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에 이르기 전에, 움직임량이 리셋됨으로써, 오검출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창으로부터 들어오는 햇빛이 마루 등을 국소적으로 비추는 것에 의해 일조 스폿이 생겨도, 일조 스폿의 이동에 기인한 오검지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은 햇빛 등에 기인한 오검지가 생기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햇빛」에는 저녁 햇빛, 아침 햇빛, 및 근처의 건물로부터의 반사광 등이 포함된다.
(2) 상세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이외이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설계 등에 따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2.1) 사람 검지 시스템의 구성
사람 검지 시스템(10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부(2)와, 제어부(3)와, 송신부(4)와, 기억부(5)와, 타이머(7)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부(2)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 등의 광학 부재를 가지는 카메라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부(2)는 오피스의 천정(80)에 부착되고, 오피스 내를 위쪽에서 촬상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부(2)는 동영상을 촬상하고,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화상(해석 화상)을 제어부(3)에 출력한다.
제어부(3)는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 등의 컴퓨터를 주구성으로 하고, 컴퓨터의 메모리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의 프로세서에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적절한 처리를 행한다.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미리 기록되어 있어도 좋고, 인터넷 등의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 제공되어도 좋으며,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되어도 좋다. 제어부(3)는 검지부(31)와, 작성부(32)와, 도출부(33)를 가지고 있다.
검지부(31)는 촬상부(2)가 촬상한 해석 화상의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여기서 말하는 「검지 영역」은, 예를 들면 촬상부(2)가 촬상한 화상(해석 화상)의 일부의 영역이어도 좋고, 촬상부(2)가 촬상한 화상의 모든 영역이어도 좋다. 도 2에서는, 검지 영역(21)이 실제 공간에 존재하도록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것은 실제 공간과 해석 화상의 대응 관계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한 표현이며, 검지 영역(21)이 실제 공간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즉, 검지 영역(21)은, 도 2에서는 가상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실제로는 해석 화상 내에 설정되어 있다.
작성부(32)는 해석 화상의 검지 영역(21) 내의 사람(70)을 둘러싸는 식별 영역(22)을 해석 화상에 작성한다. 작성부(32)에서의 식별 영역(22)의 작성에 있어, 작성부(32)에서의 검지 영역(21) 내의 사람(70)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사람 검지의 기술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배경 차분을 이용하여 검지 영역(21) 내의 사람(70)을 추출하는 수법이어도 좋고, 프레임간 차분을 이용하여 해석 화상 내의 사람(70)의 이동 속도를 도출하는 것에 의해 검지 영역(21) 내의 사람(70)을 추출하는 수법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지 영역(21)은 해석 화상의 일부의 영역이라도 좋고, 작성부(32)는 검지 영역(21)뿐만 아니라 해석 화상의 전체에 대해, 사람(70)을 둘러싸는 식별 영역(22)을 작성한다. 여기서, 작성부(32)는 해석 화상에서의 사람(70)의 폭, 높이에 근거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식별 영역(22)을, 해석 화상 내에 사람(70)을 둘러싸도록 작성한다. 즉, 식별 영역(22)은, 해석 화상 내에서, 사람(70)을 포함하도록 작성되는 영역이다.
도출부(33)는 검지 영역(21) 내에서의 식별 영역(22)의 위치 변화량을 도출한다. 또한, 도출부(33)는 체재 영역(23) 내에서의 움직임량을 도출한다. 여기서 말하는 「체재 영역」은 검지 영역(21) 내에서 정체한 식별 영역(22)이다. 식별 영역(22)의 위치 변화량, 및 체재 영역(23) 내에서의 움직임량의 도출 방법에 대해서는 「(2.2) 기본 동작」의 란에서 설명한다.
송신부(4)는, 제어 대상이 되는 부하(6)에 대해, 검지부(31)의 검지 결과(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른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부(4)는 부하(6)에 대해 직접적으로 제어 신호를 송신해도 좋고, 중계기 등을 거쳐서 간접적으로 제어 신호를 송신해도 좋다. 또한, 송신부(4)의 통신 방식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Wi-Fi(등록 상표) 등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신호선에 의한 유선 통신 방식 등, 적절한 통신 방식을 적용 가능하다.
기억부(5)는 평가 지표로 하는 정체 임계값 Th1(제 1 임계값)과, 검지 임계값 Th2(제 2 임계값)를 기억하고 있다. 또, 기억부(5)는 유지 시간 T1 및 리셋 시간 T2 등의 값도 기억하고 있다.
타이머(7)는 유지 시간 T1(도 5 참조) 및 리셋 시간 T2(도 5 참조)의 계시에 이용된다. 타이머(7)는 카운트값을 제어부(3)에 출력한다. 타이머(7)는 제어부(3)로부터의 리셋 신호를 받고, 카운트값을 리셋한다.
여기서, 검지부(31)는 검지 모드로서, 해석 화상의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이동 검지 모드와,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에 근거하여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체재 검지 모드를 가지고 있다. 검지부(31)는, 이동 검지 모드에서, 식별 영역(22)의 위치 변화량이 정체 임계값 Th1 미만으로 되면, 검지 영역(21) 내에서의 식별 영역(22)의 위치를 고정하고, 식별 영역(22)을 체재 영역(23)으로 하고, 체재 영역(23)에 대해 체재 검지 모드에서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즉, 체재 영역(23)은 검지 영역(21) 내에서의 위치 변화량이 정체 임계값 Th1 미만이 되는 것에 의해, 검지 영역(21) 내에서만 정체한 식별 영역(22)이다.
검지부(31)가 이동 검지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한은, 작성부(32)는,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해석 화상의 검지 영역(21) 내를 사람(70)이 이동함에 따라, 식별 영역(22)의 위치를 갱신함으로써, 검지 영역(21) 내의 사람(70)의 위치를 식별 영역(22)으로 추적한다. 즉, 이동 검지 모드에서는, 검지부(31)는 검지 영역(21)의 전역을 대상으로 하여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검지 영역(21) 내에서 사람(70)이 크게 이동한 경우에도, 사람(7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에 의해 계속적으로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한편, 체재 검지 모드에서는, 검지부(31)는 검지 영역(21) 내에서 정체한 식별 영역(22)인 체재 영역(23), 즉 검지 영역(21) 내에서의 위치가 고정된 식별 영역(22)인 체재 영역(23) 내를 대상으로 하여,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따라서, 체재 검지 모드에서는, 검지부(31)는 사람(70)이 검지 영역(21) 내의 1개소에서 멈추고 있는(정체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도, 사람(70)의 미동을 검지하는 것에 의해,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체재 검지 모드에서는,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과 검지 임계값 Th2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즉,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이면, 검지부(31)는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이에 반해,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미만인 상태가 유지 시간 T1에 걸쳐 계속되면, 검지부(31)는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즉, 검지부(31)의 검지 모드가 체재 검지 모드로 일단 전환되면, 비록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미만이더라도, 검지부(31)는 즉시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다고 판단하지 않고, 유지 시간 T1의 동안은 사람(70)이 존재한다는 판단을 계속한다. 유지 시간 T1은 타이머(7)에 의해 계시되고 있기 때문에,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때마다, 타이머(7)에 리셋 신호를 출력하여, 유지 시간 T1의 카운트값을 리셋한다.
단, 검지부(31)는, 이동 검지 모드와 체재 검지 모드를 완전히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이동 검지 모드로 동작한다. 검지부(31)는, 검지 영역(21) 내에 체재 영역(23)이 출현하면(즉, 식별 영역(22)의 정체가 발생하면), 체재 영역(23) 내에 대해서만 체재 검지 모드로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그리고, 검지부(31)는 검지 영역(21) 중 체재 영역(23) 이외의 영역은 이동 검지 모드로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즉, 검지부(31)는, 검지 영역(21) 내에 체재 영역(23)이 출현하면, 체재 영역(23)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검지 모드를 체재 검지 모드로 하는 것으로서, 검지 모드가 이동 검지 모드로부터 체재 검지 모드로 완전히 전환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체재 검지 모드로부터 이동 검지 모드로의 전환은, 체재 검지 모드에서, 검지부(31)가 체재 영역(23)에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때에 행해진다. 즉,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미만인 상태가 유지 시간 T1에 걸쳐 계속되면,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를 종료한다. 유지 시간 T1의 길이는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유지 시간 T1은 3분~10분 정도이다. 유지 시간 T1은 가변이고 유저가 임의로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로부터 이동 검지 모드로의 전환시, 체재 영역(23)을 해제한다. 여기서 말하는 체재 영역(23)의 해제란, 검지 영역(21) 내에 설정된 체재 영역(23)을 삭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체재 영역(23)을 해제한 경우,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을 식별 영역(22)으로 되돌리는 것이 아니라, 단지 체재 영역(23)의 설정을 해소해도 좋다. 즉, 체재 영역(23)이 해제되면, 검지 영역(21)에서의 체재 영역(23)과 동일한 위치에는, 체재 영역(23)과 식별 영역(22) 모두 남지 않는다.
검지 영역(21) 내의 복수 개소에 체재 영역(23)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로부터 이동 검지 모드로의 전환에 대해서는 체재 영역(23)마다 행해도 좋고, 모든 체재 영역(23)에 대해 일제히 행해도 좋다.
검지부(31)는, 이동 검지 모드에서, 작성부(32)가 작성한 식별 영역(22)이 검지 영역(21)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해,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식별 영역(22)이 검지 영역(21) 내에 존재하면, 검지부(31)는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식별 영역(22)이 검지 영역(21) 내에 존재하고 있지 않으면, 검지부(31)는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이것에 의해, 검지부(31)는 검지 영역(21) 내의 사람(70)과 검지 영역(21) 외의 사람(70)을 구별하여 검지할 수 있다. 검지부(31)는, 식별 영역(22)이 일부라도 검지 영역(21)에 중복되는 경우에는, 식별 영역(22)이 검지 영역(21)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이 검지 영역(21)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체재 영역(23)이 검지 영역(21) 내에 존재하면, 검지부(31)는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체재 영역(23)이 검지 영역(21) 내에 존재하고 있지 않으면, 검지부(31)는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이 일부라도 검지 영역(21)에 중복되는 경우에는, 체재 영역(23)이 검지 영역(21)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검지부(31)가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검지부(31)의 검지 모드가 체재 검지 모드인지 이동 검지 모드인지에 따라,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최종적인 검지 결과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서는, 검지부(31)가 이동 검지 모드에서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했을 때는 「이동 상태」라고 판단되고, 검지부(31)가 체재 검지 모드에서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했을 때는 「체재 상태」라고 판단된다. 「이동 상태」와 「체재 상태」의 양쪽의 검지 결과가 중복되어 얻어진 경우, 사람 검지 시스템(100)은 「체재 상태」의 검지 결과를 우선적으로 채용한다. 검지부(31)가 이동 검지 모드와 체재 검지 모드 중 어디에서도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사람 검지 시스템(100)은 「부재 상태」라고 판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제어 대상이 되는 부하(6)는 조명 장치이다. 이 부하(6)는 적어도 「점등」과 「소등」의 2개의 동작 모드를 가지고 있다.
부하(6)의 동작 모드가 「소등」인 경우에, 사람(70)이 존재한다고 검지부(31)가 판단하면, 송신부(4)는 부하(6)에 대해 「점등」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점등」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부하(6)는 동작 모드를 「소등」으로부터 「점등」으로 전환한다. 한편, 부하(6)의 동작 모드가 「점등」인 경우에, 검지부(31)가 사람(70)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송신부(4)는 부하(6)에 대해 「소등」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소등」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부하(6)는 동작 모드를 「점등」으로부터 「소등」으로 전환한다.
송신부(4)는 검지 영역(21) 내의 사람(70)이 이동하고 있는(이동 상태에 있는) 것인지, 체재하고 있는(체재 상태에 있는) 것인지를 구별 가능한 형태로 검지 결과를 출력한다. 즉, 송신부(4)는 검지부(31)가 체재 검지 모드에서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때와, 이동 검지 모드에서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때에, 각각 다른 제어 신호를 부하(6)에 송신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람(70)의 이동, 체재에 따라 부하(6)를 제어할 수 있다.
(2.2) 기본 동작
이하,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기본 동작에 대해 도 3(a)~도 3(g)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도 3(g)는 사람(70)이 검지 영역(21) 밖으로부터 검지 영역(21) 내로 진입하고, 그 자리에서 멈춰선(정체한) 후, 검지 영역(21)으로부터 나가는 경우의 7개의 프레임의 해석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도 3(g)에 나타내는 해석 화상은 시계열을 따라 나열하고 있지만, 프레임간의 시간 간격은 적당하다.
우선, 도 3(a)의 상태에서는, 사람(70)이 해석 화상 내(즉, 촬상부(2)의 시야 내)이지만 검지 영역(21)의 밖으로 되는 위치에 존재한다. 그 때문에, 작성부(32)는 해석 화상 내의 사람(70)을 둘러싸도록 해석 화상에 식별 영역(22)을 작성한다. 여기서는,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70)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해석 화상 중 검지 영역(21)의 밖에 식별 영역(22)이 작성된다. 이 때, 검지부(31)는, 이동 검지 모드로 동작하고 있고, 검지 영역(21)에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 즉 「부재 상태」라고 판단한다.
다음에, 도 3(b)의 상태에서는, 해석 화상에서 사람(70)은 검지 영역(21) 내까지 이동하고 있다. 여기서는, 식별 영역(22)은 검지 영역(21)의 에지에 위치하고 있고, 식별 영역(22)의 일부가 검지 영역(21)에 중복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이 때, 검지부(31)는 이동 검지 모드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70)이 존재하는 상태, 즉 「이동 상태」라고 판단한다.
「이동 상태」라는 판단이 되면, 도출부(33)는 연속하는 2개의 프레임간에서의 식별 영역(22)의 중심의 이동 거리를 거리 L로서 산출하고, 거리 L를 식별 영역(22)의 위치 변화량으로서 도출한다. 도 3(b)의 상태로부터 도 3(c)의 상태에 걸쳐서는, 해석 화상에서 사람(70)은 검지 영역(21)을 이동하고 있다. 여기서는, 도 3(b) 및 도 3(c)는 연속하는 2프레임의 해석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도 3(c)의 상태에서는, 도 3(b)에서의 식별 영역(22)의 중심으로부터 도 3(c)에서의 식별 영역(22)의 중심까지의 거리 L이 위치 변화량으로서 도출된다.
이렇게 해서 도출되는 식별 영역(22)의 위치 변화량(거리 L)이 정체 임계값 Th1 이상이면, 검지부(31)는 계속 이동 검지 모드에서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여기서는, 도 3(b) 및 도 3(c)의 어느 경우에서도, 검지부(31)는 이동 검지 모드로 동작하고, 사람(70)이 존재한다(이동 상태)고 판단한다.
다음에, 도 3(d)의 상태에서는, 사람(70)은 도 3(c)의 상태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식별 영역(22)의 위치 변화량(거리 L)이 정체 임계값 Th1 미만으로 되어, 검지부(31)는 검지 모드를 이동 검지 모드로부터 체재 검지 모드로 전환한다. 이 때, 검지부(31)는, 식별 영역(22)의 위치를 고정하고, 도 3(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영역(22)을 체재 영역(23)으로 변경한다. 즉, 위치 변화량이 정체 임계값 Th1 미만인 식별 영역(22)이 있으면, 검지부(31)는, 이 식별 영역(22)을 체재 영역(23)으로 하고, 체재 영역(23)에 대해서만 체재 검지 모드에서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도록, 검지 모드를 부분적으로 체재 검지 모드로 한다.
도 3(e)의 상태에서는,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로 동작하므로,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과 검지 임계값 Th2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또한,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체재 영역(23) 내에서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할 때, 체재 영역(23) 밖이고 또한 해석 화상의 검지 영역(21) 내에 다른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이동 검지 모드로 검지한다. 그 때문에, 체재 영역(23) 내의 사람(70) 이외의 사람이 검지 영역(21) 내에 진입하면, 검지부(31)는 이동 검지 모드에서 이 사람의 존재(진입)를 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움직임량」은 체재 영역(23) 내의 적어도 1개의 화소의 휘도값의 변화량을 시간축을 따라 누적한 값(누적값)이다. 이 경우, 체재 영역(23)에서의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평가값」은 체재 영역(23) 내의 적어도 1개의 화소의 휘도값의 변화량이다.
즉, 도 3(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재 영역(23) 내의 사람(70)이 움직이고 있으면, 체재 영역(23)에서의 화소의 휘도값은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3)가 촬상부(2)로부터 해석 화상을 취득할 때에, 최신의 해석 화상과, 1프레임 전의 해석 화상으로부터 차분 화상을 생성한다. 차분 화상에서의 각 화소의 휘도값은 휘도값의 변화량에 상당한다. 도출부(33)는 차분 화상이 얻어질 때에, 차분 화상에서의 체재 영역(23) 내의 모든 화소의 각각에 대해 휘도값을 누적하는 것에 의해, 체재 영역(23) 내의 모든 화소의 각각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량의 누적값을 도출한다.
이하, 체재 영역(23) 내의 하나의 화소(이하, 「주목 화소」라고 함)에 주목한 경우의, 움직임량의 도출 방법에 대해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체재 영역(23) 내의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주목 화소의 휘도값이 「1」 변화하면, 주목 화소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량의 누적값은 「1」로 된다. 또, 체재 영역(23) 내의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주목 화소의 휘도값이 「3」 변화하면, 주목 화소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량의 누적값은 「4」로 된다. 또, 체재 영역(23) 내의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주목 화소의 휘도값이 「2」 변화하면, 주목 화소에 대한 휘도값의 변화량의 누적값은 「6」으로 된다. 이렇게 해서 도출되는 휘도값의 변화량의 누적값이 주목 화소에 대한 「움직임량」으로 된다.
그리고, 도출부(33)는 체재 영역(23) 내의 모든 화소의 각각에 대해 움직임량을 도출한다.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는 체재 영역(23) 내의 모든 화소의 각각에 대해, 움직임량과 검지 임계값 Th2를 비교하고,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인 화소에 대해 검지 플래그를 설정한다. 규정 화소수(예를 들면 8화소) 이상의 화소에 대해 검지 플래그가 설정되면,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즉,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 내의 화소 중 규정 화소수 이상의 화소에서,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 시간 T1의 카운트값을 리셋한다(제로로 한다). 또,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움직임량을 리셋한다. 즉,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때에, 체재 영역(23) 내의 모든 화소에 대해 휘도값의 변화량의 누적값을 리셋한다(제로로 한다). 규정 화소수는 1화소라도 좋고, 이 경우, 1화소에서도 검지 플래그가 설정된 시점에서,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도 3(e)의 상태에서는, 체재 영역(23) 내의 사람(70)이 움직이고 있고, 또한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검지부(31)는 사람(70)이 존재하는 상태, 즉 「체재 상태」라고 판단한다.
다음에, 도 3(f)의 상태에서는, 사람(70)은 체재 영역(23)으로부터 나와서, 체재 영역(23)의 밖을 이동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작성부(32)는 해석 화상 내의 사람(70)을 둘러싸도록 새롭게 식별 영역(22)을 작성한다. 도 3(f)의 상태에서는, 해석 화상에서 사람(70)은 검지 영역(21) 내를 이동하고 있다. 이 때, 검지부(31)는 이동 검지 모드로 동작하고 있고, 사람(70)이 존재하는 상태, 즉 「이동 상태」라고 판단한다.
단,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미만으로 되어도, 검지부(31)는 즉시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다고 판단하지 않고, 유지 시간 T1의 동안은 사람(70)이 존재한다는 판단을 계속한다. 즉, 도 3(f)의 상태에서도, 도 3(e)에 나타내는 체재 영역(23)은 해제되지 않고 남게 된다. 따라서, 도 3(f)의 상태에서는,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도 동작하고 있고, 사람(70)이 존재하는 상태, 즉 「체재 상태」라고 판단한다. 결과적으로, 도 3(f)의 상태에서는, 「이동 상태」와 「체재 상태」의 양쪽의 검지 결과가 중복되어 얻어지므로, 검지부(31)는 「체재 상태」의 검지 결과를 우선적으로 채용한다.
또한, 도 3(f)의 상태로부터 도 3(g)의 상태에 걸쳐서는, 해석 화상에서 사람(70)은 검지 영역(21)을 이동하고 있다. 여기서는, 도 3(f) 및 도 3(g)는 연속하는 2프레임의 해석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도 3(g)의 상태에서는, 도 3(f)에서의 식별 영역(22)의 중심으로부터 도 3(g)에서의 식별 영역(22)의 중심까지의 거리 L이 위치 변화량으로서 도출된다. 또, 도 3(g)의 상태에서도, 체재 영역(23)은 해제되지 않고 남아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동 상태」와 「체재 상태」의 양쪽의 검지 결과가 중복되어 얻어지고, 검지부(31)는 「체재 상태」의 검지 결과를 우선적으로 채용한다.
도 3(g) 후, 사람(70)이 검지 영역(21)으로부터 나가면, 이동 검지 모드에서의 검지 결과는 「부재 상태」로 되기 때문에, 유지 시간 T1이 경과하여 체재 영역(23)이 해제되면, 검지부(31)는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 즉 「부재 상태」라고 판단한다. 단, 검지부(31)는, 이동 검지 모드에서도, 검지 영역(21) 내에 식별 영역(22)이 없어지자마자 「부재 상태」라고 판단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지연 시간의 경과 후에 「부재 상태」라고 판단해도 좋다. 지연 시간은 유지 시간 T1과 동일한 길이의 시간이어도 좋고, 다른 길이의 시간이어도 좋다.
(2.3) 구체적 동작
이하,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구체적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서는,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리셋 시간 T2가 경과할 때마다, 도출부(33)에서 도출된 움직임량을 리셋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리셋 시간 T2는 유지 시간 T1보다 짧은 시간이다. 즉,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하지 않아도, 리셋 시간 T2가 경과하면, 움직임량을 리셋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지부(31)는 타이머(7)의 출력을 이용하여 제어부(3)의 내부에서 리셋 시간 T2를 계시하고 있다. 그 때문에, 검지부(31)는 리셋 시간 T2가 경과할 때에, 리셋 시간 T2의 카운트값을 리셋하지만, 타이머(7)로의 리셋 신호의 출력은 행하지 않는다. 즉, 유지 시간 T1의 카운트값에 대해서는, 리셋 시간 T2가 경과해도 리셋되지 않는다. 요컨대, 리셋 시간 T2가 경과할 때마다 검지부(31)가 행하는 리셋은 제어부(3)의 내부의 리셋(내부 리셋)이며, 제어부(3)의 외부에 있는 타이머(7)의 리셋은 포함하지 않는다.
다음에,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구체적 동작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검지부(31)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스텝 S1에서, 검지부(31)는 이동 검지 모드에서 동작을 개시한다. 이 때, 검지부(31)는 이동 검지 모드에서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초기값으로서는, 검지부(31)는 검지 영역(21)에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 즉 「부재 상태」라고 판단한다(스텝 S2).
그 후,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다고 검지부(31)가 판단하고 있는 동안은(스텝 S3의 아니오), 검지부(31)는 「부재 상태」라는 판단 결과를 유지한다.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 것, 즉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70)이 진입한 것을 검지부(31)가 검지하면(스텝 S3의 예), 검지부(31)는 사람(70)이 존재하는 상태, 즉 「이동 상태」라고 판단한다(스텝 S4).
「이동 상태」라는 판단이 이루어지면, 검지부(31)는 도출부(33)에 의해 도출된 식별 영역(22)의 위치 변화량과 정체 임계값 Th1을 비교한다(스텝 S5). 식별 영역(22)의 위치 변화량(거리 L)이 정체 임계값 Th1 이상이면(스텝 S5의 아니오), 검지부(31)는, 스텝 S3으로 되돌아가고, 계속 이동 검지 모드에서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한편, 식별 영역(22)의 위치 변화량(거리 L)이 정체 임계값 Th1 미만이면(스텝 S5의 예), 검지부(31)는, 스텝 S6으로 진행하고, 검지 모드를 이동 검지 모드로부터 체재 검지 모드로 전환한다. 스텝 S6에서 검지부(31)의 검지 모드가 체재 검지 모드로 전환되면, 검지부(31)는 식별 영역(22)을 체재 영역(23)으로 변경한다. 이 때, 검지부(31)는 도출부(33)에서 도출된 움직임량을 리셋하고, 또한 유지 시간 T1의 카운트값을 리셋한다. 따라서, 검지부(31)의 검지 모드가 체재 검지 모드로 전환된 시점에서는, 체재 영역(23) 내의 움직임량 및 유지 시간 T1의 카운트값은 모두 제로이다.
그 후,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과 검지 임계값 Th2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스텝 S7).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되어,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한다는 것을 검지부(31)가 검지하면(스텝 S7의 아니오), 검지부(31)는 사람(70)이 존재하는 상태, 즉 「체재 상태」라고 판단한다(스텝 S8). 「체재 상태」라는 판단이 이루어지면, 스텝 S9 및 스텝 S10를 거쳐서 스텝 S7로 되돌아가고, 검지부(31)는 계속 체재 검지 모드에서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스텝 S9에서는, 검지부(31)는 도출부(33)에서 도출된 움직임량을 리셋한다. 스텝 S10에서는, 검지부(31)는 타이머(7)에 리셋 신호를 송신하고, 유지 시간 T1의 카운트값을 리셋한다.
한편,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미만이면(스텝 S7의 예), 검지부(31)는 리셋 시간 T2가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리셋 시간 T2가 경과하고 있으면(스텝 S11의 예), 검지부(31)는 스텝 S12를 거쳐서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리셋 시간 T2가 경과하고 있지 않으면(스텝 S11의 아니오), 검지부(31)는 스텝 S12를 거치지 않고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검지부(31)는 도출부(33)에서 도출된 움직임량을 리셋한다.
스텝 S13에서는, 검지부(31)는 유지 시간 T1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유지 시간 T1의 카운트값에 대해서는, 리셋 시간 T2가 경과해도 리셋되지 않기 때문에, 유지 시간 T1이 경과하는 것은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미만인 상태가 유지 시간 T1 동안 계속한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유지 시간 T1가 경과하고 있지 않으면(스텝 S13의 아니오), 스텝 S7로 되돌아가고, 검지부(31)는 계속 체재 검지 모드에서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유지 시간 T1이 경과하면(스텝 S13의 예), 스텝 S14로 진행하고, 검지부(31)는 검지 모드를 체재 검지 모드로부터 이동 검지 모드로 전환한다. 검지 영역(21) 중 체재 영역(23) 이외의 영역에 대해서는, 검지부(31)는 원래 이동 검지 모드에서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있으므로, 검지 모드가 체재 검지 모드로부터 이동 검지 모드로 전환하는 것은 체재 영역(23) 내에 대해서만이다.
스텝 S14에서 검지부(31)의 검지 모드가 이동 검지 모드로 전환되면, 스텝 S3으로 되돌아가고, 검지부(31)는 이동 검지 모드로 동작한다. 스텝 S14에서 검지부(31)의 검지 모드가 이동 검지 모드로 전환되면,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을 해제한다.
(2.4) 햇빛의 영향
이하,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비교예와 대비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서의 햇빛의 영향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여기서는 창으로부터 저녁 햇빛이 들어오는 저녁의 상황을 상정한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서는, 가로축을 시간축으로 하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의 움직임량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도 6(a) 및 도 6(b)의 모두, 체재 영역(23) 내의 하나의 화소에 주목한 경우의 움직임량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정하는 비교예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리셋 시간 T2가 경과할 때마다, 도출부(33)에서 도출된 움직임량을 리셋하는 기능이 없다는 점에서,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과 상위하다. 즉, 비교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흐름도의 스텝 S11 및 스텝 S12가 없고,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미만이면(스텝 S7의 예), 검지부(31)는 스텝 S11 및 스텝 S12를 거치지 않고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그 외의 구성 및 기능은 비교예와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서 동일하다.
우선, 비교예의 경우의 햇빛(여기서는 저녁 햇빛)의 영향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창으로부터 들어오는 햇빛이 마루 등을 국소적으로 비추는 것에 의해, 검지 영역(21) 내에 다른 영역보다 휘도가 높은 「일조 스폿」가 생기는 일이 있다. 이러한 일조 스폿은 시간 경과에 따라 검지 영역(21) 내를 이동한다. 그 때문에, 체재 영역(23) 내에 일조 스폿이 생긴 경우에는, 일조 스폿의 이동이, 체재 영역(23) 내에서의 사람(70)의 움직임이라고 잘못 판정되어 오검지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통상, 일조 스폿은 1분간에 수㎝ 정도 이동하므로, 이동 검지 모드와 같이, 사람(70)의 이동을 검지하기 위해서 검지부(31)가 비교적 저감도로 동작하는 검지 모드에서는 오검지가 생기기 어렵다. 한편, 체재 검지 모드와 같이, 체재 영역(23) 내의 사람(70)의 미동을 검지하기 위해서 검지부(31)가 비교적 고감도로 동작하는 검지 모드에서는, 일조 스폿의 이동에 의해 오검지가 생기기 쉬워진다.
즉, 비교예에서는, 검지부(31)가 체재 검지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체재 영역(23) 내에 일조 스폿이 생기고 있으면,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도 5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에 변화가 생긴다. 구체적으로는, 일조 스폿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체재 영역(23)에서의 화소의 휘도값의 변화량의 누적값인 움직임량은 시간 경과에 따라 서서히 커진다. 그리고,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되면,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움직임량은 리셋된다.
여기서,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미만인 상태가 유지 시간 T1에 걸쳐 계속되면,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를 종료한다. 바꾸어 말하면, 유지 시간 T1 이내에,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에 이르지 않으면,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를 종료한다. 그 때문에, 일조 스폿의 이동에 기인하여 움직임량이 초기값(제로)으로부터 검지 임계값 Th2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이 유지 시간 T1보다 짧은 경우에, 오검지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비교예에서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재 영역(23)으로부터 사람(70)이 나간 시점(도면 중 「X1」의 시점)으로부터 유지 시간 T1이 경과하기 전에, 일조 스폿의 이동에 따라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에 이르면, 「체재 상태」라고 판단된다. 통상, 일조 스폿의 이동 속도는 일몰이 가까워짐에 따라 빨라진다. 그 결과, 일조 스폿이 체재 영역(23)으로부터 벗어나거나, 또는 일몰로 일조 스폿이 소멸할 때까지는, 검지부(31)는 「체재 상태」라고 계속 판단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 의하면,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유지 시간 T1보다 짧은 리셋 시간 T2가 경과할 때마다, 도출부(33)에서 도출된 움직임량을 리셋한다. 그 때문에, 검지부(31)가 체재 검지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일조 스폿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이 시간 경과에 따라 서서히 커져도,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움직임량은 조금씩 리셋된다. 구체적으로는, 일조 스폿의 이동에 기인하여 움직임량이 초기값(제로)으로부터 검지 임계값 Th2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보다 리셋 시간 T2가 짧게 설정되는 것에 의해,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은 검지 임계값 Th2에 이르기 전에 리셋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서는, 비교예(도 5에 파선으로 나타냄)와는 달리,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에 이르기 전에 리셋되므로, 오검지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서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재 영역(23)으로부터 사람(70)이 나간 시점(도면 중 「X1」의 시점)으로부터 유지 시간 T1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 움직임량은 검지 임계값 Th2 미만으로 억제된다. 그 결과, 체재 영역(23)으로부터 사람(70)이 나간 시점(도면 중 「X1」의 시점)으로부터 유지 시간 T1이 경과하면,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를 종료하여 체재 영역(23)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검지부(31)는 「부재 상태」라고 판단 가능하게 된다. 도 6(a)에서는, 비교예(도 6(b)참조)와의 대비를 위해서, 유지 시간 T1의 경과 후도,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이 변화하도록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는 유지 시간 T1이 경과하여 체재 영역(23)이 해제된 시점에서, 움직임량의 도출도 종료된다. 그 때문에, 도 6(a)의 예에서는, 일몰의 직전에 일사(日射) 스폿의 이동 속도가 빨라져, 리셋 시간 T2 이내에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에 이르러도, 오검지는 생기지 않는다.
여기서는, 저녁 햇빛의 영향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 의하면, 저녁 햇빛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아침 햇빛, 및 근처의 건물로부터의 반사광 등에 기인한 오검지도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리셋 시간 T2의 길이는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용도, 또는 유지 시간 T1과의 관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유지 시간 T1이 3분~10분 정도이면, 일례로서, 리셋 시간 T2는 5초~20초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셋 시간 T2는 가변이고 유저가 임의로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3)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 의하면,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유지 시간 T1보다 짧은 리셋 시간 T2가 경과할 때마다 움직임량을 리셋한다. 그 때문에, 체재 영역(23) 내에 다른 영역보다 휘도가 높은 「일조 스폿」가 생겨도,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에 이르기 전에, 움직임량이 리셋됨으로써, 오검출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창으로부터 들어오는 햇빛이 마루 등을 국소적으로 비추는 것에 의해 일조 스폿이 생겨도, 일조 스폿의 이동에 기인한 오검지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은 햇빛 등에 기인한 오검지가 생기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평가값은 체재 영역(23) 내의 화소의 휘도값의 변화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차분 화상에서의 체재 영역(23) 내의 각 화소에 대해 휘도값을 누적하는 것만의 비교적 간단한 처리에 의해, 움직임량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움직임량을 요구하는 처리에 걸리는 처리 부하를 저감할 있다.
(4) 변형예
이하, 실시 형태 1의 변형예를 열거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촬상부(2), 송신부(4), 기억부(5), 및 타이머(7)는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구성요소이지만, 촬상부(2), 송신부(4), 기억부(5), 및 타이머(7)는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부하(6)는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부하(6)가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복수의 구성요소는 1개의 하우징에 수납되어 1개의 장치를 구성해도 좋고, 복수의 장치로 나뉘어 마련되고, 복수의 장치가 서로 유기적으로 관계를 맺는 1개의 결정된 기능을 발휘해도 좋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검지부(31), 작성부(32), 및 도출부(33)가 제어부(3)에 마련되고, 송신부(4), 기억부(5), 및 타이머(7)이 제어부(3)에 외부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송신부(4), 기억부(5), 및 타이머(7)는 제어부(3)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도출부(33)는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며,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 및 식별 영역(22)의 위치 변화량의 도출은, 예를 들면 검지부(31)가 행해도 좋다.
또한,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제어 대상으로 되는 부하(6)는, 조명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조 기기, 조리 기기 등과 같이, 적어도 2개의 동작 모드를 가지는 전기 기기이면 좋다.
또한, 도출부(33)는, 검지 영역(21) 내에서의 식별 영역(22)의 위치 변화량을 도출할 때에, 반드시 식별 영역(22)의 중심을 기준점으로 하지 않아도 좋다. 즉, 도출부(33)는, 예를 들면 이동하는 전후의 식별 영역(22)의 대표점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이 거리를 식별 영역(22)의 위치 변화량으로서 도출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여기서 말하는 대표점은, 예를 들면 식별 영역(22)의 중심(重心), 꼭지점 등이다.
또한, 검지부(31)에서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검지부(31)의 검지 모드가 체재 검지 모드인지 이동 검지 모드인지에 따라,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최종적인 검지 결과가 상이한 것은 필수의 구성이 아니다. 즉,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서는, 검지부(31)가 이동 검지 모드에서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했을 때(이동 상태)와, 검지부(31)가 체재 검지 모드에서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했을 때(체재 상태)가 구별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는, 검지부(31)에서 「이동 상태」와 「체재 상태」가 구별되는 경우이더라도, 송신부(4)는 「이동 상태」와 「체재 상태」에서 동일한 제어 신호를 부하(6)에 송신해도 좋다.
또한, 타이머(7)는 유지 시간 T1의 계시용과, 리셋 시간 T2의 계시용으로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타이머(7)는 제어부(3)(마이크로컴퓨터)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사람 검지 시스템(100)은, 검지부(31)가 적어도 체재 검지 모드에 대해, 해석 화상에 필터 화상 처리를 적용한 출력 화상을 이용하여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 필터 화상 처리는, 예를 들면 소벨 필터 등의, 미분 필터 화상 처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사람 검지 시스템(100)은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보다 정밀도 높게 검지할 수 있다. 또, 검지부(31)는 이동 검지 모드에서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할 때에도 필터 화상 처리를 적용한 출력 화상을 이용해도 좋다. 필터 화상 처리는 소벨 필터 화상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터 화상 처리는, 예를 들면 1차 미분 필터(예를 들면, 에지 검출, 선 검출 등), 2차 미분 필터(예를 들면, 라플라시안 필터 등), 화상 강조(예를 들면, 저주파 강조, 고주파 강조 등) 등이어도 좋다.
또한, 체재 검지 모드에서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에 이용되는 「움직임량」은 체재 영역(23) 내의 화소의 휘도값의 변화량을 시간축을 따라 누적한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움직임량」은 체재 영역(23)에서의 화소의 휘도값의 변화량의, 대표값(평균값이나 중앙값)으로부터의 편차의 크기의 누적값을 움직임량으로서 도출해도 좋다. 이 경우, 체재 영역(23)에서의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평가값」은 체재 영역(23) 내의 화소의 휘도값의 변화량의, 대표값(평균값이나 중앙값)으로부터의 편차의 크기이다.
또한,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유지 시간 T1가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는, 체재 검지 모드를 종료하고 체재 영역(23)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보다 큰 해제 임계값 Th3(제 3 임계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를 종료하고 체재 영역(23)을 해제해도 좋다. 이와 같이, 움직임량이 해제 임계값 Th3 이상이면, 체재 검지 모드로부터 이동 검지 모드로 검지 모드가 전환됨으로써, 사람(70)이 체재 영역(23) 내로부터 체재 영역(23) 밖으로 이동한 경우에, 검지부(31)는 사람(70)의 존재를 놓치지 않고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움직임량 및 검지 임계값 Th2 등의 2값간의 비교에서, 「미만」으로 하고 있는 것은 2값 중 한쪽이 다른쪽을 하회하고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단,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여기서 말하는 「미만」은 2값이 동일한 경우와, 2값 중 한쪽이 다른쪽을 하회하고 있는 경우의 양쪽을 포함하는 「이하」와 동의(同義)이어도 좋다. 즉, 2값이 동일한 경우를 포함하는지 여부는 임계값 등을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미만」인지 「이하」인지에 기술상의 차이는 없다. 마찬가지로, 「이상」에서도 「보다 크다」와 동의(同義)이어도 좋다.
(실시 형태 2)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은 햇빛 등에 기인한 오검지를 생기기 어렵게 하기 위한 검지부(31)의 구성이 실시 형태 1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과 상위하다. 이하,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지부(31)는, 햇빛 등에 기인한 오검지를 생기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간격으로 또한 소정의 판정 회수 연속하여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되면,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지부(31)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리셋 시간 T2가 경과할 때마다 움직임량을 리셋하는 기능 대신에,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이 된 시간 간격 및 회수에 근거하여,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간격」은 햇빛 등에 기인한 오검지를 구별하기 위해서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간격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간격」은 소정의 오차 범위 내의 편차를 허용한 뒤에 대략 등간격으로 되는 시간 간격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검지부(31)의 동작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가로측을 시간축으로 하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의 움직임량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체재 영역(23) 내의 하나의 화소에 주목한 경우의 움직임량을 나타내고 있다.
검지부(31)가 체재 검지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일조 스폿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은 시간 경과에 따라 서서히 커진다. 그리고, 체재 영역(23)에서의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되면, 검지부(31)는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검지부(31)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될 때마다, 움직임량을 리셋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창으로부터 들어오는 햇빛이 마루 등을 국소적으로 비추는 것에 의해 생기는 일조 스폿에 대해서는, 통상 해석 화상 상에서의 형상 및 이동 속도에 급격한 변화가 생기기 어렵다. 그 때문에, 햇빛 등에 기인하여 움직임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그 증가율(단위 시간당의 증가량)에 급격한 변화는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움직임량은 시간 경과에 따라 리니어하게 증가하고, 검지 임계값 Th2 이상이 될 때마다, 리셋된다. 그 결과,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되는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간격으로 복수회 반복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되는 상태가, 특정의 조건에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 발생한다.
도 7의 예에서는,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되는 상태는 「T11」, 「T12」, 「T13」라고 하는 시간 간격으로 4회 발생하고 있다. 여기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간격」은, 소정의 오차 범위내의 편차를 허용한 대략 등간격으로 되는 시간 간격이다. 일례로서, 소정의 오차 범위는 20%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복수의 시간 간격 T11, T12, T13가 각각 20초, 24초, 16초이었다고 하면, 복수의 시간 간격 T11, T12, T13의 평균값(Tav)은 20초가 되기 때문에, 오차 범위는 4초(20초의 20%)가 된다. 그렇게 하면, 복수의 시간 간격 T11, T12, T13는 모두 20초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오차 범위(20%) 내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간격」이다. 여기서, 판정 회수가 4회라고 하면, 도 7의 예에서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간격으로 또한 소정의 판정 회수 연속하여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검지부(31)는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이것에 의해, 4번째에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된 후, 검지부(31)는 「체재 상태」라고 판단하지 않고, 검지 모드를 체재 검지 모드로부터 이동 검지 모드로 전환한다. 즉, 검지부(31)는, 유지 시간 T1이 경과하고 있지 않아도, 체재 검지 모드를 종료하고 체재 영역(23)을 해제할 수 있다.
소정의 오차 범위는 사람 검지 시스템(100)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일례로서, 소정의 오차 범위는 15%~2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판정 회수는, 일례로서 10회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의 오차 범위 및 판정 회수는 각각 가변이고 유저가 임의로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검지부(31)와 작성부(32)를 구비하고 있다. 검지부(31)는 촬상부(2)가 촬상한 해석 화상의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작성부(32)는 검지 영역(21) 내의 사람을 둘러싸는 식별 영역(22)을 해석 화상에 작성한다.
검지부(31)는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이동 검지 모드와, 검지 영역(21) 내에서 정체한 식별 영역(22)으로 이루어지는 체재 영역(23)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체재 검지 모드를 가지고 있다.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체재 영역(23)에서의 사람(70)의 움직임에 따른 평가값의 변화량을 누적한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되면,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검지부(31)는,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될 때마다, 움직임량을 리셋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검지부(31)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또한 소정의 판정 회수 연속하여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되면,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되는 상태가, 특정의 조건에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 발생하는 경우에는, 검지부(31)는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체재 영역(23) 내에 다른 영역보다 휘도가 높은 「일조 스폿」가 생겨도,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되는 상태가 특정의 조건에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되고 있으면, 오검지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창으로부터 들어오는 햇빛이 마루 등을 국소적으로 비추는 것에 의해 일조 스폿이 생겨도, 일조 스폿의 이동에 기인한 오검지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은 햇빛 등에 기인한 오검지가 생기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요컨대, 실시 형태 1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서는, 리셋 시간 T2가 경과할 때마다 움직임량을 리셋함으로써,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햇빛 등에 기인한 움직임량의 변화에 대한 감도를 저하시키고 있다. 실시 형태 2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에서는, 특정의 조건에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 발생하는 이벤트를 사람(70)과는 구별하여 판단함으로써,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햇빛 등에 기인한 움직임량의 변화에 대한 감도를 저하시키고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은, 검지부(31)에서, 체재 검지 모드에서 햇빛 등에 기인한 움직임량의 변화에 대한 감도를 저하시킨다고 하는 점에서 공통된다.
그런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간격」은 소정의 오차 범위 내의 편차를 허용한 대략 등간격으로 되는 시간 간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시간 간격이 모두 소정의 범위(예를 들면, 15초~25초) 내에 들어가는 것, 또는 시간 간격이 일정한 비율로 감소(또는 증가)하는 것 등이 「소정의 조건」이어도 좋다.
실시 형태 2의 변형예로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간격으로 또한 소정의 판정 회수 연속하여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Th2 이상으로 되어,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 검지부(31)는 적외선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해도 좋다. 즉, 검지부(31)는, 검지 모드를 체재 검지 모드로부터 이동 검지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적외선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는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검지로 이행한다. 적외선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는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검지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형태 2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은 실시 형태 1의 구성(변형예를 포함)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 가능하다.
(실시 형태 3)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A)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외선 센서(8)와, 시계부(9)와, 전환부(34)를 더 구비하는 점에서, 실시 형태 1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과 상위하다. 이하,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적외선 센서(8)는, 예를 들면 초전형 적외선 센서와 같이, 사람으로부터 나오는 적외선의 수광량의 변화를 파악하여 사람의 존재를 검지하는 수동형의 센서이다. 이러한 종류의 미분형의 적외선 센서(8)는 멈추어 있는(정체하고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적외선의 수광량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검지하지 않고, 이동하고 있는 사람을 검지한다. 적외선 센서(8)의 적외선의 수광 범위는 촬상부(2)에서 촬상되는 해석 화상의 검지 영역(21)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시계부(9)는 현재 시각을 계시한다. 시계부(9)는 제어부(3)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전환부(34)는, 시계부(9)에서 계시되는 현재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따라, 해석 화상을 이용하여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상태와, 적외선 센서(8)의 출력에 근거하여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상태를 전환한다. 일례로서, 저녁 햇빛이 들어오는 시간대(예를 들면, 17시~18시) 및 아침 햇빛이 들어오는 시간대(예를 들면, 7시~8시)에 대해서는, 전환부(34)는 적외선 센서(8)의 출력에 근거하여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상태를 선택한다. 다른 시간대에 대해서는, 전환부(34)는 해석 화상을 이용하여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상태를 선택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녁 햇빛 및 아침 햇빛의 영향이 있는 시간대에는, 검지부(31)는 저녁 햇빛 및 아침 햇빛의 영향을 받기 쉬운 해석 화상을 이용하여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 아니라, 적외선 센서(8)의 출력에 근거하여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전환부(34)에서 이용되는 시간대, 즉 해석 화상을 이용되는 시간대와, 적외선 센서(8)의 출력이 이용되는 시간대는 유저가 임의로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절에 따라 일몰, 일출의 시간이 바뀌므로, 전환부(34)는 시계부(9)의 달력 기능을 이용하여, 계절에 따라 시간대의 설정을 자동적으로 변경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A)에서는, 현재 시각을 계시하는 시계부(9)와, 전환부(34)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전환부(34)는, 시계부(9)에서 계시되는 현재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따라, 해석 화상을 이용하여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상태와, 적외선 센서(8)의 출력에 근거하여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70)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상태를 전환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햇빛 등의 영향이 있는 시간대에는, 검지부(31)는 적외선 센서(8)의 출력에 근거하여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햇빛 등에 기인한 오검지가 보다 생기기 어려워진다.
그런데, 실시 형태 3의 변형예로서, 검지부(31)는 해석 화상을 이용한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검지와, 적외선 센서(8)의 출력에 근거하는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검지를 병행하여 행해도 좋다. 이 경우, 검지부(31)는, 예를 들면 해석 화상을 이용한 검지에서는 사람(70)이 존재한다고 판단되고 있어도, 적외선 센서(8)의 출력에 근거하는 검지에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분)에 걸쳐 사람(70)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판단이 계속되면, 「부재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사람(70)이 부재임에도 불구하고, 햇빛 등의 영향에 의해 장시간에 걸쳐, 검지부(31)에서 사람(70)이 존재한다고 잘못 판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3에서는, 적외선 센서(8)는 사람 검지 시스템(100A)의 구성요소이지만, 적외선 센서(8)는 사람 검지 시스템(100A)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실시 형태 3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A)은 실시 형태 1 또는 2의 구성(변형예를 포함)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 가능하다.
(실시 형태 4)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A)은, 전환부(34)가, 시계부(9)에서 계시되는 현재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따라, 체재 검지 모드에서의 검지부(31)의 감도를 변화시키는 점에서, 실시 형태 3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A)과 상위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외선 센서(8)는 필수의 구성은 아니며 생략 가능하다. 이하, 실시 형태 3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일례로서, 저녁 햇빛이 들어오는 시간대 및 아침 햇빛이 들어오는 시간대에 대해서는,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햇빛 등에 기인한 움직임량의 변화에 대한 감도를 저하시킨 모드(이하, 「저감도 모드」라고 함)로 동작한다. 다른 시간대에 대해서는, 검지부(31)는 체재 검지 모드에서 햇빛 등에 기인한 움직임량의 변화에 대해 고감도로 되는 모드(이하, 「저감도 모드」라고 함)로 동작한다.
저감도 모드는,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셋 시간 T2가 경과할 때마다 움직임량을 리셋함으로써, 햇빛 등에 기인한 움직임량의 변화에 대한 감도를 저하시킨 모드이다. 이 경우의 고감도 모드는 리셋 시간 T2가 경과할 때마다 움직임량을 리셋하는 기능을 무효로 한 체재 검지 모드이다. 또는, 저감도 모드는,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의 조건에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 발생하는 이벤트를 사람(70)과는 구별하여 판단함으로써, 햇빛 등에 기인한 움직임량의 변화에 대한 감도를 저하시킨 모드이다. 이 경우의 고감도 모드는 특정의 조건에 따라 규칙적으로 반복 발생하는 이벤트를 사람(70)과는 구별하여 판단하는 기능을 무효로 한 체재 검지 모드이다.
본 실시 형태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A)에서는, 현재 시각을 계시하는 시계부(9)와, 시계부(9)에서 계시되는 현재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따라, 체재 검지 모드에서의 검지부(31)의 감도를 변화시키는 전환부(34)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햇빛 등의 영향이 있는 시간대에는, 검지부(31)는 감도를 저하시킬 수가 있으므로, 햇빛 등에 기인한 오검지가 보다 생기기 어려워진다.
그런데, 실시 형태 3에서 설명한 구성과, 실시 형태 4에서 설명한 구성은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전환부(34)는, 시간대에 따라, 해석 화상을 이용하여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상태와, 적외선 센서(8)의 출력에 근거하여 검지 영역(21)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상태를 전환한다. 또, 전자 상태에서, 전환부(34)는 시간대에 따라 체재 검지 모드에서의 검지부(31)의 감도를 변화시킨다.
실시 형태 4의 사람 검지 시스템(100A)은 실시 형태 1~3의 구성(변형예를 포함)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 가능하다.
그런데, 실시 형태 1~4에서 설명한 제어부(3)는 적당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게 실행하게 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즉,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제어부(3)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며, 예를 들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되거나, 혹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서 제공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제어부(3)의 구성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람(70)을 검지하는 사람 검지 방법으로 판독할 수 있다.
2: 촬상부
8: 적외선 센서
9: 시계부
31: 검지부
32: 작성부
34: 전환부
100, 100A: 사람 검지 시스템
T1: 유지 시간
T2: 리셋 시간

Claims (7)

  1. 촬상부가 촬상한 해석 화상의 검지 영역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 영역 내의 사람을 둘러싸는 식별 영역을 상기 해석 화상에 작성하는 작성부
    를 구비하되,
    상기 검지부는,
    상기 검지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이동 검지 모드와,
    상기 검지 영역 내에서 정체한 상기 식별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체재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체재 검지 모드를 갖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체재 검지 모드에서,
    상기 체재 영역에서의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평가값의 변화량을 누적한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이상으로 되면,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량이 상기 검지 임계값 미만인 상태가 유지 시간에 걸쳐 계속되면,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유지 시간보다 짧은 리셋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움직임량을 리셋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검지 시스템.
  2. 촬상부가 촬상한 해석 화상의 검지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 영역 내의 사람을 둘러싸는 식별 영역을 상기 해석 화상에 작성하는 작성부
    를 구비하되,
    상기 검지부는,
    상기 검지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이동 검지 모드와,
    상기 검지 영역 내에서 정체한 상기 식별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체재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체재 검지 모드를 갖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체재 검지 모드에서,
    상기 체재 영역에서의 사람의 움직임에 따른 평가값의 변화량을 누적한 움직임량이 검지 임계값 이상으로 되면, 사람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량이 상기 검지 임계값 이상이 될 때마다, 상기 움직임량을 리셋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간격으로 또한 소정의 판정 회수 연속하여 상기 움직임량이 상기 검지 임계값 이상으로 되면,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검지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값은 상기 체재 영역 내의 적어도 1개의 화소의 휘도값의 변화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검지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현재 시각을 계시하는 시계부와,
    상기 시계부에서 계시되는 현재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따라, 상기 해석 화상을 이용하여 상기 검지 영역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상태와, 적외선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검지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검지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현재 시각을 계시하는 시계부와,
    상기 시계부에서 계시되는 현재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따라, 상기 해석 화상을 이용하여 상기 검지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상태와, 적외선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검지 영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검지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현재 시각을 계시하는 시계부와,
    상기 시계부에서 계시되는 현재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따라, 상기 체재 검지 모드에서의 상기 검지부의 감도를 변화시키는 전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검지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현재 시각을 계시하는 시계부와,
    상기 시계부에서 계시되는 현재 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따라, 상기 체재 검지 모드에서의 상기 검지부의 감도를 변화시키는 전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검지 시스템.
KR1020160166327A 2015-12-16 2016-12-08 사람 검지 시스템 KR101764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45503A JP6555617B2 (ja) 2015-12-16 2015-12-16 人検知システム
JPJP-P-2015-245503 2015-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131A KR20170072131A (ko) 2017-06-26
KR101764071B1 true KR101764071B1 (ko) 2017-08-01

Family

ID=5908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327A KR101764071B1 (ko) 2015-12-16 2016-12-08 사람 검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555617B2 (ko)
KR (1) KR1017640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2912B2 (ja) * 2017-10-25 2022-01-20 株式会社東芝 画像センサ、人物検知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7286747B2 (ja) * 2017-10-25 2023-06-05 株式会社東芝 画像センサ、動体検知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102042397B1 (ko) * 2018-07-30 2019-11-08 이노뎁 주식회사 압축영상에 대한 신택스 기반의 히트맵 생성 방법
JP6598962B1 (ja) * 2018-10-31 2019-10-30 電気興業株式会社 火災検知装置、火災検知方法及び火災監視システム
JP6972428B2 (ja) * 2019-04-01 2021-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滞在判定装置、滞在判定方法及び滞在判定プログラム
JP7186399B2 (ja) * 2019-04-23 2022-1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点灯システム、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器具
CN115560419B (zh) * 2022-09-23 2023-04-14 冠奕达防爆电器有限公司 一种防爆分析小屋及其运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8268A (ja) 1999-06-07 2000-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人体検知装置
JP4830696B2 (ja) 2006-07-31 2011-12-07 オムロン株式会社 物体認識装置、監視システム、物体認識方法、物体認識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8123B2 (ja) * 1994-11-25 2002-01-21 松下電工株式会社 赤外線式移動体検知装置
JP3678274B2 (ja) * 2001-03-15 2005-08-03 株式会社ノーリツ 人体検出装置
JP4218368B2 (ja) * 2003-02-25 2009-02-0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人検出方法及び人検出装置
JP2008077612A (ja) * 2006-09-25 2008-04-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犯システム
JP2012155917A (ja) * 2011-01-25 2012-08-16 Panasonic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
JP5387595B2 (ja) * 2011-02-24 2014-01-1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人物監視装置、人物監視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004235A (ja) * 2011-06-14 2013-01-07 Panasonic Corp 照明システム
JP2014071482A (ja) * 2012-09-27 2014-04-21 Panasonic Corp 物体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8268A (ja) 1999-06-07 2000-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人体検知装置
JP4830696B2 (ja) 2006-07-31 2011-12-07 オムロン株式会社 物体認識装置、監視システム、物体認識方法、物体認識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11008A (ja) 2017-06-22
JP6555617B2 (ja) 2019-08-07
KR20170072131A (ko)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071B1 (ko) 사람 검지 시스템
KR101640875B1 (ko) 물체 검출 장치
CN108234861B (zh) 监视场景的相机及其聚焦方法
JP2016206139A (ja) ガス検出装置
JP5042177B2 (ja) 画像センサ
JP6189284B2 (ja) 画像センシング装置
JP5393086B2 (ja) 画像センサ
US20130236056A1 (en) Ev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image analysis
JP5761954B2 (ja) 画像センサ
KR100717861B1 (ko)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움직임 검출 방법 및 장치
JP5679760B2 (ja) 侵入物体検出装置
KR20160061614A (ko) 화재 감지 시스템
CN108366210B (zh) 一种无人机及无人机控制方法
JP4002365B2 (ja) 複合型監視装置
JP2012103901A (ja) 侵入物体検出装置
JP5179132B2 (ja) 人体検出装置
JP3862558B2 (ja) 画像センサ及び監視カメラ装置
JP202016750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TWI812896B (zh) 熱像儀健康監測
JP2000197036A (ja) 人体検知装置
JP2006262101A (ja) 画像センシング装置
JP5215707B2 (ja) 煙検出装置
JP2012104963A (ja) 画像監視センサ
JPH0271397A (ja) 画像監視装置
JP2000339554A (ja) 複合型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