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618B1 - 페이스트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페이스트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618B1
KR101763618B1 KR1020100139197A KR20100139197A KR101763618B1 KR 101763618 B1 KR101763618 B1 KR 101763618B1 KR 1020100139197 A KR1020100139197 A KR 1020100139197A KR 20100139197 A KR20100139197 A KR 20100139197A KR 101763618 B1 KR101763618 B1 KR 10176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s
substrate
paste
dispensing he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294A (ko
Inventor
김현정
방규용
김종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139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6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61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에서는, 대면적의 기판 및 소면적의 기판에 대하여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 있고, 복수의 소면적의 기판에 대하여 동시에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제시한다.

Description

페이스트 디스펜서 {PASTE DISPENSER}
본 발명은 기판상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란 브라운관을 채용한 텔레비전이나 모니터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이다. 평판디스플레이로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액정디스플레이는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된 액정 셀들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액정 셀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이다. 액정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우며 소비전력과 동작 전압이 낮은 장점 등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디스플레이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액정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기판에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을 형성하고, 상부기판에 대응되는 하부기판에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및 화소전극을 형성한다. 이어서, 기판들에 각각 배향막을 도포한 후 이들 사이에 형성될 액정층내의 액정분자에 프리틸트 각(pre-tilt angle)과 배향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배향막을 러빙(rubbing)한다.
그리고, 기판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한편 액정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고 기판들 사이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에 페이스트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하여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한 다음, 기판들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액정패널을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액정패널의 제조에 있어서, 기판상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페이스트 디스펜서(paste dispenser)라는 장비가 이용되고 있다.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프레임상에 배치되며 기판이 탑재되는 스테이지와, 페이스트가 수용되는 시린지 및 시린지와 연통되는 노즐이 장착된 디스펜싱 헤드유닛과,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지지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노즐과 기판의 상대위치를 변화시켜가면서 기판상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최근, 액정패널의 양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판의 면적이 큰 대면적의 기판을 이용하여 액정패널을 제조하고 있다. 대면적의 기판상에 페이스트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대면적의 기판에 대응되는 대면적의 스테이지 및 대형의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대형의 페이스트 디스펜서가 요구된다. 이러한 대형의 페이스트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대면적의 기판뿐만 아니라 소면적의 기판에 대해서도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데, 대형의 페이스트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소면적의 기판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이용되는 공간이 작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도의 측면에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면적의 기판 및 소면적의 기판에 대하여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 있는 페이스트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기판을 함께 수용하고 각 기판상에 페이스트를 동시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정패널의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페이스트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기판이 탑재되는 복수의 스테이지와,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과,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이 구비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과,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를 함께 이동시키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에는, 하나의 기판이 탑재되어 상기 하나의 기판에 페이스트 패턴이 형성되거나, 복수의 기판이 나뉘어 탑재되어 상기 복수의 기판에 각각 페이스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대면적의 기판 및 소면적의 기판에 대하여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 있으며, 특히, 소면적의 기판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소면적의 기판에 대하여 동시에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활용도의 측면에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액정패널의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복수의 스테이지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기판의 크기 또는 복수의 기판에 각각 형성되는 페이스트 패턴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도, 복수의 기판에 동시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디스펜싱 헤드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복수의 스테이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복수의 스테이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복수의 스테이지의 다른 예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복수의 스테이지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1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상에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판(S)이 탑재되는 복수의 스테이지(20)와, 복수의 스테이지(20)의 상부에 설치되고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30)과,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30)에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40)과, 프레임(10)상에 설치되며 복수의 스테이지(20)와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스테이지(20)를 함께 이동시키거나 복수의 스테이지(20)를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이동유닛(50)과, 디스펜싱 헤드유닛(4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헤드이동유닛(60)과, 페이스트의 도포를 위하여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스테이지(20)는,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30)의 길이방향과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Y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제1스테이지(21) 및 제2스테이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복수의 스테이지(20)가 세 개 이상으로 구분되는 구성 또는 복수의 스테이지(20)가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30)의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30)은, 제1스테이지(21)의 영역에 위치되는 제1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31)과, 제2스테이지(22)의 영역에 위치되는 제2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30)이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싱 헤드유닛(40)은, 페이스트가 충진되는 시린지(42)와, 시린지(42)와 연통되며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43)과, 노즐(43)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노즐(43)과 기판(S)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변위센서(44)와, 노즐(43) 및 변위센서(44)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구동유닛(45)과, 노즐(43) 및 변위센서(44)를 Z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구동유닛(46)과, 기판(S)상에 형성된 페이스트 패턴(P)의 단면적을 측정하는 단면적센서(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변위센서(44)는 레이저를 발광하는 발광부(441)와, 발광부(441)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기판(S)에서 반사된 레이저가 수광되는 수광부(442)로 구성되며, 발광부(441)에서 발광되고 기판(S)에서 반사된 후 수광부(442)에 결상되는 레이저의 결상위치에 따른 전기신호를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여 기판(S)과 노즐(43) 사이의 간격을 계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면적센서(47)는 기판(S)으로 레이저를 연속적으로 방출하여 페이스트 패턴(P)을 스캔하는 것을 통하여 페이스트 패턴(P)의 단면적을 측정한다. 단면적센서(47)로부터 측정된 페이스트 패턴(P)의 단면적에 관한 데이터는 페이스트 패턴(P)의 불량여부를 측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Z축구동유닛(46)으로는 가동자 및 고정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고정자와 가동자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동작하는 직선구동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Z축구동유닛(46)은 노즐(43) 및 변위센서(44)를 기판(S)에 인접하는 방향 및 기판(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Z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에 따라, 노즐(43)과 기판(S) 사이의 Z축방향으로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기판(S)상에 페이스트가 도포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싱 헤드유닛(40)에는 노즐(43)과 인접한 부위에 기판(S)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촬상장치(4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촬상장치(48)는 노즐(43)의 현재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스테이지이동유닛(50)은, 복수의 스테이지(20)와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스테이지(20)를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테이블(51)과, 복수의 스테이지(20)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테이블(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스테이지이동유닛(50)은, X축테이블(51) 및 Y축테이블(52)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스테이지(20)가 X축방향 및 Y축방향 중 어느 한 쪽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스테이지이동유닛(50)으로는 영구자석이 일렬로 배치되는 고정자와 전자석을 포함하는 가동자로 구성되어 고정자와 가동자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동작하는 리니어서보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헤드이동유닛(60)은, 디스펜싱 헤드유닛(40)을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과 디스펜싱 헤드유닛(40)을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펜싱 헤드유닛(40)을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헤드이동유닛(60)은,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30)에 X축방향으로 배치되는 헤드이동가이드(61)와, 디스펜싱 헤드유닛(40)에 구비되며 헤드이동가이드(61)와 연결되는 헤드이동장치(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헤드이동가이드(61)에는 영구자석이 X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헤드이동장치(62)에는 전자석이 구비될 수 있으며, 헤드이동가이드(61)와 헤드이동장치(62)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디스펜싱 헤드유닛(40)이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30)의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디스펜싱 헤드유닛(50)을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헤드이동유닛(60)은, 스테이지(20)의 양측에 설치되고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63)과,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30)의 양단에 구비되며 가이드레일(63)과 연결되는 지지프레임이동장치(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63)에는 영구자석이 Y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지지프레임이동장치(64)에는 전자석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63)과 지지프레임이동장치(64)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30)이 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30)의 Y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디스펜싱 헤드유닛(40)이 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헤드이동유닛(60)의 동작에 의하여 디스펜싱 헤드유닛(40)이 X축 및 Y축으로 규정되는 XY장비좌표계에 따라 X축방향 및/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헤드이동유닛(60)으로는 리니어서보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노즐(43)로부터 페이스트가 토출되면서 기판(S)상에 페이스트 패턴(P)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스테이지(2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 즉, 기판(S)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노즐(43)이 구비된 디스펜싱 헤드유닛(40)이 헤드이동유닛(60)의 동작에 의하여 기판(S)상에서 X축방향 및 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싱 헤드유닛(4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 즉, 노즐(43)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테이지(20)가 X축방향 및 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20)가 X축방향 또는 Y축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만 이동되고, 디스펜싱 헤드유닛(40)이 Y축방향 또는 X축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20)가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되고, 디스펜싱 헤드유닛(40)이 스테이지(20)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즉,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면적의 기판(S1), 즉, 복수의 스테이지(20) 중 하나의 스테이지(20)의 면적에 비하여 큰 기판(S1)에 페이스트 패턴(P)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스테이지(20)가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대면적의 기판(S1)이 복수의 스테이지(20)에 탑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스테이지(20)에 대면적의 기판(S1)이 탑재되는 경우 제어유닛(70)은 복수의 스테이지(20)와 각각 연결되는 X축테이블(51) 및/또는 Y축테이블(52)의 동작을 서로 동기화하여 복수의 스테이지(20)가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속도로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면적의 기판(S2), 즉, 복수의 스테이지(20) 중 하나의 스테이지(20)의 면적 이하인 기판(S2)에 페이스트 패턴(P)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스테이지(2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소면적의 기판(S2)이 복수의 스테이지(20)에 각각 탑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스테이지(20)의 각각에 대면적의 기판(S2)이 탑재되는 경우 제어유닛(70)은 복수의 스테이지(20)와 각각 연결되는 X축테이블(51) 및/또는 Y축테이블(52)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복수의 스테이지(20)가 각각의 기판(S2)에 대응되는 방향과 속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소면적의 기판(S2)의 크기 또는 소면적의 기판(S2)에 형성되는 페이스트 패턴(P)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도, 복수의 스테이지(20)를 서로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하여 복수의 소면적의 기판(S2)에 동시에 페이스트 패턴(P)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스테이지(20)의 각각에 탑재되는 복수의 소면적의 기판(S2)의 크기가 같고 복수의 소면적의 기판(S2)에 형성되는 페이스트 패턴(P)의 형상이 동일한 경우에는, 제어유닛(70)은 복수의 스테이지(20)와 각각 연결되는 X축테이블(51) 및/또는 Y축테이블(52)의 동작이 서로 동기화되어 복수의 스테이지(20)가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속도로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대면적의 기판(S1)을 복수의 스테이지(20)에 탑재하기 위하여, 복수의 스테이지(20)가 서로 인접되는 경우, 복수의 스테이지(20) 사이에서 대면적의 기판(S)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테이지(20)가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는 돌출부(231)(241)와 요홈부(232)(242)를 가지는 요철형상의 지지부(23)(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부(23)(24)에 의하여 복수의 스테이지(20)는 돌출부(231)(241)와 요홈부(232)(242)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인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복수의 스테이지(20)가 서로 인접하는 경우 복수의 스테이지(20) 사이의 공간은 일렬로 연결되지 않고 복수의 스테이지(2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분포되고, 이에 따라, 지지부(23)(24)에서 대면적의 기판(S1)을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대면적의 기판(S1)이 복수의 스테이지(20)의 사이에서 아래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테이지(20)가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스테이지(20)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간격측정유닛(2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측정유닛(25)으로는 복수의 스테이지(20) 중 어느 하나의 스테이지(20)에 구비되며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구성되는 광학센서(251)와 다른 하나의 스테이지(20)에 구비되는 반사면(252)으로 구성되어, 발광부에서 발광되어 반사면(252)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부로 수광하고 발광된 광의 광량과 반사된 광의 광량과의 차이로부터 복수의 스테이지(20)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는 간격측정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테이지(20) 사이의 간격을 촬상하는 촬상장치(26)를 구비하여, 촬상장치(26)에서 촬상한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스테이지(20)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등, 복수의 스테이지(20)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광학적 또는 기구적인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유닛(70)은 간격측정유닛(25)에서 측정한 복수의 스테이지(20)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스테이지이동유닛(5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면적의 기판(S1)이 복수의 스테이지(20)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대면적의 기판(S1)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복수의 스테이지(20)가 서로 충돌되지 않을 정도로 복수의 스테이지(2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유닛(70)은 스테이지이동유닛(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소면적의 기판(S2)이 복수의 스테이지(20)의 각각에 탑재되는 경우로서 복수의 스테이지(20)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되는 경우, 복수의 스테이지(20)가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이동될 수 있을 정도로 복수의 스테이지(2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유닛(70)은 스테이지이동유닛(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대면적의 기판(S1) 및 소면적의 기판(S2)에 대하여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 있으며, 특히, 소면적의 기판(S2)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소면적의 기판(S2)에 대하여 동시에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활용도의 측면에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복수의 스테이지(20)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기판(S2)의 크기 또는 복수의 기판(S2)에 각각 형성되는 페이스트 패턴(P)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도, 복수의 기판(S2)에 동시에 페이스트 패턴(P)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10: 프레임 20: 스테이지
30: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 40: 디스펜싱 헤드유닛
50: 스테이지이동유닛 60: 헤드이동유닛

Claims (8)

  1. 기판이 탑재되는 복수의 스테이지;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이 구비되는 디스펜싱 헤드유닛; 및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를 함께 이동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를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스테이지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에는, 하나의 기판이 탑재되어 상기 하나의 기판에 페이스트 패턴이 형성되거나, 복수의 기판이 나뉘어 탑재되어 상기 복수의 기판에 각각 페이스트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이동유닛은,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를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X축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이동유닛은,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를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Y축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을 이동시키는 헤드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이동유닛은,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에 배치되는 헤드이동가이드; 및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헤드이동가이드와 연결되는 헤드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이동유닛은,
    상기 스테이지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 및
    상기 디스펜싱 헤드유닛 지지프레임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연결되는 지지프레임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가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는 요철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에는 상기 복수의 스테이지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간격측정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KR1020100139197A 2010-12-30 2010-12-30 페이스트 디스펜서 KR101763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197A KR101763618B1 (ko) 2010-12-30 2010-12-30 페이스트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197A KR101763618B1 (ko) 2010-12-30 2010-12-30 페이스트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294A KR20120077294A (ko) 2012-07-10
KR101763618B1 true KR101763618B1 (ko) 2017-08-02

Family

ID=4671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197A KR101763618B1 (ko) 2010-12-30 2010-12-30 페이스트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6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5944A (zh) * 2014-11-03 2015-03-25 李良学 一种led点胶封装控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2410A (ja) * 2005-01-17 2006-07-27 Sharp Corp 液体噴射装置
JP2006346593A (ja) * 2005-06-16 2006-12-28 Shibaura Mechatronics Corp ペースト塗布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2410A (ja) * 2005-01-17 2006-07-27 Sharp Corp 液体噴射装置
JP2006346593A (ja) * 2005-06-16 2006-12-28 Shibaura Mechatronics Corp ペースト塗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294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193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
KR20100007272A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인라인 컷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
KR101052491B1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KR20110079024A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TWI328121B (en) Apparatus for inspecting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inspect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20110064110A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
WO2014119304A1 (ja) 下受けピンの配置決定支援装置および配置決定支援方法
CN103293867B (zh) 一种方形基板预对准装置及方法
JP2007233384A (ja) ペーストパターン検査方法
KR101074666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페이스트 도포방법
CN108400256A (zh) 一种贴合方法及系统和蒸镀装置
KR101763618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KR101871171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CN102540578A (zh) 密封胶涂布机
KR20120078545A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KR20080015240A (ko)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다형 대응 클램프 장치 및 그제어방법
JP2007125552A (ja) ペーストディスペンサーのヘッドユニット
JP2014146729A (ja) 下受けピンの配置決定支援装置および配置決定支援方法
JP2014150092A (ja) 下受けピンの配置決定支援装置および配置決定支援方法
KR101207029B1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KR20120077291A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KR101650378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KR20090078520A (ko) 기판 지지기구 및 이를 구비한 기판 검사장치
CN102566149A (zh) 密封胶涂布机
KR20120007329A (ko) 유체토출장치의 헤드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