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311B1 - 그라비어 인쇄판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그라비어 인쇄판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311B1
KR101762311B1 KR1020160014102A KR20160014102A KR101762311B1 KR 101762311 B1 KR101762311 B1 KR 101762311B1 KR 1020160014102 A KR1020160014102 A KR 1020160014102A KR 20160014102 A KR20160014102 A KR 20160014102A KR 101762311 B1 KR101762311 B1 KR 10176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portion
ratio
convex
excluding
area occup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6559A (ko
Inventor
타카시 사와다
야스유키 시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096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16Curved printing plates, especially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04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metallic
    • B41N1/06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metallic for relief printing or intaglio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8Curved printing formes or printing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4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glass or ceramic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서로 접속된 폭이 다른 복수의 직사각형상 부분을 갖는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적합하게 인쇄할 수 있는 그라비어 인쇄판을 제공한다.
제1 부분(32) 중, 제2 부분(33)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제1 볼록부(41A)의 선상부(41a)보다 제2 부분(33)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의 제1 볼록부(41A)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에 대한, 제2 부분(33)에서의 제2 볼록부(42)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의 비((제2 부분(33)에서의 제2 볼록부(42)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제1 부분(32) 중, 제2 부분(33)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제1 볼록부(41A)의 선상부(41a)보다 제2 부분(33)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의 제1 볼록부(41A)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가 0.3 이상 0.9 이하이다.

Description

그라비어 인쇄판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GRAVURE PRINT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그라비어 인쇄판 및 이를 이용한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시, 내부전극을 구성하기 위한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그라비어 인쇄판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을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2-71533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9-218363호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향부와 인출부의 폭이 다른 내부전극을 갖는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의 내부전극을 구성하기 위한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그라비어 인쇄판으로 인쇄하는 것도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대향부와 인출부의 폭이 다른 내부전극을 갖는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의 내부전극을 구성하기 위한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그라비어 인쇄판으로 인쇄한 경우, 내부전극을 적합하게 인쇄할 수 없어서,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갖는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을 제조할 수 없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서로 접속된 폭이 다른 복수의 직사각형상 부분을 갖는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적합하게 인쇄할 수 있는 그라비어 인쇄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어 인쇄판은, 외주면에 도전성 페이스트가 충전되는 오목부를 갖는 그라비어 인쇄판이다. 오목부는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의 제1 부분과, 제1 부분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변(端邊)의 일부로부터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갖는다. 제1 부분 내에는, 제1 볼록부가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되어 있다. 제1 볼록부는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선상(線狀)부를 포함한다. 제1 부분 중, 제2 부분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제1 볼록부의 선상부보다 제2 부분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의 제1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에 대한, 제2 부분에서의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의 비((제2 부분에서의,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제1 부분 중, 제2 부분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제1 볼록부의 선상부보다 제2 부분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의 제1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가 0.3 이상 0.9 이하이다. 이 때문에, 제2 부분에 도전성 페이스트가 과잉 충전되지 않아서, 인쇄 시에 제2 부분의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번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어 인쇄판을 이용함으로써, 서로 접속된 폭이 다른 복수의 직사각형상 부분을 갖는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적합하게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어 인쇄판에서는, 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하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에 대한, 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의 비((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하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가 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하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에 대한, 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의 비((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하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가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회전 방향에서의 제2 부분의 중앙보다 상류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보다 많은 도전성 페이스트가 충전됨과 함께, 인쇄 시에 도전성 페이스트가 제2 부분의 중앙보다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 및 제2 부분으로부터 제1 부분으로 유동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서로 접속된 폭이 다른 복수의 직사각형상 부분을 갖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접속 부분인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번짐이나 불충분함 없이 보다 적합하게 높은 형상 정밀도로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어 인쇄판에서는, 제2 볼록부가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어 인쇄판에서는, 제2 볼록부는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으로부터 회전 방향의 상류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1 또는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접속된 폭이 다른 복수의 직사각형상 부분을 갖는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적합하게 인쇄할 수 있는 그라비어 인쇄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그라비어 인쇄판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그라비어 인쇄판의 외표면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의 오목부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의 오목부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의 오목부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제조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제조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약도적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제조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약도적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선 IX-IX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선 X-X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 XI-XI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선 XII-XII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13은 변형예에서의 오목부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한,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형태는 단순한 예시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형태에 조금이라도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형태 등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실시형태 등에서 참조하는 도면은 모식적으로 기재된 것이다. 도면에 그려진 물체의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물체의 치수의 비율 등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도면 상호 간에도, 물체의 치수 비율 등이 다른 경우가 있다. 구체적인 물체의 치수 비율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그라비어 인쇄판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그라비어 인쇄판의 외표면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오목부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그라비어 인쇄판(3)은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인쇄하기 위한 것이다. 그라비어 인쇄판(3)은 원기둥 형상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라비어 인쇄판(3)의 외표면(30)에는, 도전성 페이스트가 충전되는 복수의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오목부(31)는, 회전 방향(R)과 축심 방향(C)을 따라 매트릭스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31)는 후술하는 제2 내부전극(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오목부(31)는 제1 부분(32)과 제2 부분(33)을 갖는다. 제1 부분(32)은 직사각형상이다. 제1 부분(32)은 회전 방향(R)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2 부분(33)은, 제1 부분(32)의 회전 방향(R)을 따라 연장되는 단변의 일부로부터 축심 방향(C)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2 부분(33)은 직사각형상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31) 내에는 볼록부(40)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볼록부(40)는 블레이드(blade)에 의해 오목부(31) 내에 충전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양을 제어하거나, 오목부(31) 내에 충전된 도전성 페이스트의 유동 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3 및 후술하는 도 4 및 도 5에서, 빗금을 그은 부분은 영역을 나타내고 있으며 단면을 나타내고 있지 않다.
볼록부(40)는 오목부(31)의 제1 부분(32)과 제2 부분(33)의 양쪽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부분(32)과 제2 부분(33)의 접속부(34, 35) 중 회전 방향(R)의 상류 측(R1)에 위치하는 접속부(34)에는 볼록부(40)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볼록부(40)는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한다. 오목부(31)의 제1 부분(32)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볼록부(41)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볼록부(41)는 축심 방향(C)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볼록부(41)는 각각, 직사각형상의 선상부(41a)와, 복수의 직사각형상의 돌기부(41b)를 갖는다. 선상부(41a)는 회전 방향(R)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선상부(41a)는 제1 부분(32)의 회전 방향(R)의 상류 측 단부와 하류 측 단부를 따라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돌기부(41b)는 각각, 선상부(41a)로부터 축심 방향(C)을 향하여 돌기해 있다.
오목부(31)의 제2 부분(33)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 볼록부(42)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볼록부(42)의 각각은 직사각형상이다. 복수의 제2 볼록부(42)는 회전 방향(R)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볼록부(42)에는 제2-1 볼록부(42a)와, 제2-2 볼록부(42b)가 포함되어 있다. 제2-1 볼록부(42a)와 제2-2 볼록부(42b)의 각각은 축심 방향(C)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2-1 볼록부(42a)는 상대적으로 회전 방향(R)의 상류 측(R1)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2 볼록부(42b)는 상대적으로 회전 방향(R)의 상류 측(R2)에 위치하고 있다. 제2-1 볼록부(42a)는 제2-2 볼록부(42b)보다 짧다. 제2-1 볼록부(42a)는 접속부(34)에까지 도달해 있지 않다. 한편, 제2-2 볼록부(42b)는 접속부(35)에 도달해 있다.
다음으로, 그라비어 인쇄판(3)을 이용하여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의 일종인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서 제조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서 제조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약도적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서 제조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약도적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선 IX-IX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선 X-X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 XI-XI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선 XII-XII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6~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라믹 콘덴서(1)는 콘덴서 본체(10)를 포함하고 있다. 콘덴서 본체(10)는 대략 직방체상이다. 콘덴서 본체(10)의 각(角)부나 능선부는 모따기(chamfered)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둥근 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주면, 측면에는 요철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콘덴서 본체(10)는 제1 및 제2 주면(10a, 10b)과, 제1 및 제2 측면(10c, 10d)과, 제3 및 제4 측면(10e, 10f)을 갖는다.
제1 및 제2 주면(10a, 10b)은 각각, 제1 방향인 폭방향(W)과, 제2 방향인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길이방향(L)은 폭방향(W)에 대하여 수직이다. 제1 주면(10a)과 제2 주면(10b)은, 제3 방향인 두께방향(T)으로 대향하고 있다. 두께방향(T)은 길이방향(L)과 폭방향(W)의 각각에 대하여 수직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방향이 폭방향(W)이며, 제2 방향이 길이방향(L)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방향이 길이방향(L)이며, 제2 방향이 폭방향(W)이어도 된다. 즉, 콘덴서 본체(10)의 길이방향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및 제2 측면(10c, 10d)은 각각, 제1 방향인 폭방향(W)과, 제3 방향인 두께방향(T)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1 측면(10c)과 제2 측면(10d)은 길이방향(L)으로 대향하고 있다.
제3 및 제4 측면(10e, 10f)은 각각, 제2 방향인 길이방향(L)과, 제3 방향인 두께방향(T)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3 측면(10e)과 제4 측면(10f)은 폭방향(W)을 따라 대향하고 있다.
콘덴서 본체(10)는 예를 들면, 유전체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세라믹 소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덴서 본체(10)가 유전체 세라믹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유전체 세라믹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BaTiO3, CaTiO3, SrTiO3, CaZrO3 등을 들 수 있다. 세라믹 소체에는 예를 들면, Mn 화합물, Mg 화합물, Si 화합물, Fe 화합물, Cr 화합물, Co 화합물, Ni 화합물, 희토류 화합물 등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덴서 본체(10)의 내부에는 제1 내부전극(11)과 제2 내부전극(12)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내부전극(11)과 제2 내부전극(12)은, 두께방향(T)으로 세라믹부 10g을 통해 대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콘덴서 본체(10) 내에서 복수의 제1 내부전극(11)과 복수의 제2 내부전극(12)이, 두께방향(T)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내부전극(11, 12)은 Ni, Cu, Ag, Pd, Au, Ag-Pd 합금 등의 금속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내부전극(11)은 제1 측면(10c)과, 제2 측면(10d)에 인출되어 있다. 제1 내부전극(11)은, 제1 측면(10c) 상에 배치된 제1 신호단자전극(15)과, 제2 측면(10d) 상에 배치된 제2 신호단자전극(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신호단자전극(15)은 제1 측면(10c) 상으로부터, 제1 및 제2 주면(10a, 10b) 및 제3 및 제4 측면(10e, 10f) 상에까지 도달해 있다. 제2 신호단자전극(16)은 제2 측면(10d) 상으로부터 제1 및 제2 주면(10a, 10b) 및 제3 및 제4 측면(10e, 10f) 상에까지 도달해 있다.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내부전극(12)은 제3 측면(10e)과, 제4 측면(10f)에 인출되어 있다. 제2 내부전극(12)은 제3 측면(10e) 상에 배치된 제1 접지용 단자전극(17)과, 제4 측면(10f) 상에 배치된 제2 접지용 단자전극(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접지용 단자전극(17)은 제3 측면(10e) 상으로부터 제1 및 제2 주면(10a, 10b) 상에까지 도달해 있다. 제2 접지용 단자전극(18)은 제4 측면(10f) 상으로부터 제1 및 제2 주면(10a, 10b) 상에까지 도달해 있다.
제1 및 제2 접지용 단자전극(17, 18)은 각각, 제3 또는 제4 측면(10e, 10f) 상에 마련된 제1 전극층(21)과, 제1 전극층(21) 상에 마련된 제2 전극층(22)을 갖는다.
제1 전극층(21)과, 제2 전극층(22)은 각각, Si를 포함하는 유리와 도전재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 전극층(21, 22)은 각각, Si를 포함하는 유리 분말과 도전재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베이킹함으로써 형성된 소성전극층이다. 도전재는 예를 들면, Ni, Cu, Ag, Pd, Au, Ag-Pd 합금 등의 금속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지용 단자전극(17, 18)은 각각, 제1 및 제2 전극층(21, 22) 이외의 전극층을 더 갖고 있어도 된다. 제1 및 제2 접지용 단자전극(17, 18)은 각각, 예를 들면, 제2 전극층(22) 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도금막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1 및 제2 신호단자전극(15, 16)은 각각, 제1 또는 제2 측면(10c, 10d) 상에 마련된 제3 전극층(23)과, 제3 전극층(23) 상에 마련된 제4 전극층(24)을 갖는다.
제3 전극층(23)과, 제4 전극층(24)은 각각, Si를 포함하는 유리와 도전재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제3 및 제4 전극층(23, 24)은 각각, Si를 포함하는 유리 분말과 도전재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베이킹함으로써 형성된 소성전극층이다. 도전재는 예를 들면, Ni, Cu, Ag, Pd, Au, Ag-Pd 합금 등의 금속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신호단자전극(15, 16)은 각각, 제3 및 제4 전극층(23, 24) 이외의 전극층을 더 갖고 있어도 된다. 제1 및 제2 신호단자전극(15, 16)은 각각, 예를 들면, 제4 전극층(24) 상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도금막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적층 세라믹 콘덴서(1)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 시트를 준비한다. 세라믹 그린 시트는 예를 들면, 세라믹 분말 등을 포함하는 세라믹 페이스트를 인쇄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라믹 그린 시트 상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함으로써, 제1 및 제2 내부전극(11, 12)을 구성하기 위한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형성한다.
제2 내부전극(12)을 구성하기 위한 도전성 페이스트층은, 상기 그라비어 인쇄판(3)을 이용하여 인쇄한다.
다음으로, 도전성 페이스트층이 인쇄되어 있지 않은 여러 장의 세라믹 그린 시트를, 합계 두께가 20㎛ 이상 60㎛ 이하가 되도록 적층하고, 그 위에 제1 내부전극(11)의 형상으로 대응한 형상의 도전성 페이스트층이 형성된 두께가 0.7㎛ 이상 1.2㎛ 이하인 세라믹 그린 시트와, 제2 내부전극(12)의 형상으로 대응한 형상의 도전성 페이스트층이 형성된 두께가 0.7㎛ 이상 1.2㎛ 이하인 세라믹 그린 시트를 교대로 합계 230장 이상 240장 이하 적층한 후에, 도전성 페이스트층이 인쇄되어 있지 않은 여러 장의 세라믹 그린 시트를, 합계 두께가 20㎛ 이상 60㎛ 이하가 되도록 더 적층한다. 그 후, 얻어진 적층체를 두께방향으로 프레스(press)함으로써, 머더 적층체(mother multilayer)를 제작한다.
다음으로, 가상의 커트 라인을 따라 머더 적층체를 커팅함으로써, 머더 적층체로부터 복수의 미가공 세라믹 적층체를 제작한다. 또한 머더 적층체의 커팅은, 다이싱(dicing)이나 프레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미가공 세라믹 적층체 작성 후, 배럴 연마 등에 의해 미가공 세라믹 적층체의 능선부 및 능선부의 모따기, 또는 R 모따기 및 표층의 연마를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미가공 세라믹 적층체의 소성을 실시한다. 소성 온도는, 사용하는 세라믹 재료나 도전성 페이스트의 종류에 의해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라믹 적층체 상에 유리 분말과 도전재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함으로써, 제1 및 제3 전극층(21, 23)을 구성하기 위한 제1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형성한다. 제1 전극층(21)을 구성하기 위한 제1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제3 전극층(23)을 구성하기 위한 제1 도전성 페이스트층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도전성 페이스트층 상에, 제1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전성 페이스트보다 유리 분말의 질량 함유율이 낮은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함으로써, 제2 및 제4 전극층(22, 24)을 구성하기 위한 제2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베이킹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제2 및 제4 전극층(22, 24) 상에 Ni 도금층, Sn 도금층을 이 순서대로 순차 형성함으로써, 신호단자전극(15, 16) 및 접지용 단자전극(17, 18)을 제작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세라믹 콘덴서(1)를 완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신호단자전극이 제1 단자전극을 구성하며, 제2 신호단자전극이 제2 단자전극을 구성하고, 제1 접지용 단자전극이 제3 단자전극을 구성하며, 제2 접지용 단자전극이 제4 단자전극을 구성하고 있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단, 본 발명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접지용 단자전극이 제1 및 제2 단자전극을 구성하고 있으며, 제1 및 제2 신호단자전극이 제3 및 제3 단자전극을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그런데 오목부가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일부분으로부터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갖는 경우, 도전성 페이스트층이 적합하게 인쇄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전성 페이스트층 중 제2 부분이 번지는 경우가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분(32) 중 제2 부분(33)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제1 볼록부(41A)의 선상부(41a)보다 제2 부분(33)측에 위치하는 부분(P1)에서의 제1 볼록부(41)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에 대한, 제2 부분(33)에서의 제2 볼록부(42)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의 비((제2 부분(33)에서의 제2 볼록부(42)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부분(P1)에서의 제1 볼록부(41)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가 0.3 이상 0.9 이하이다. 이 때문에, 제2 부분(33)에 도전성 페이스트가 과잉 충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전성 페이스트층 중 제2 부분(33)이 번지지 않아서, 높은 형상 정밀도로 제2 내부전극(12)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갖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1)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라비어 인쇄판에서는 제2 부분(33)의 회전 방향(R)으로의 중앙선으로부터 하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P3)에서의 제2 볼록부(42)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에 대한, 제2 부분(33)의 회전 방향(R)으로의 중앙선으로부터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P2)에서의 제2 볼록부(33)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의 비((절반(P2)에서의 제2 볼록부(33)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절반(P3)에서의 제2 볼록부(42)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가 1보다 크다. 이 때문에, 제2 부분(33)의 상류 측의 절반(P2)에 보다 많은 도전성 페이스트가 충전됨으로써 인쇄된 부분이 불충분해지기 어렵고, 또한 제2 부분의 상류 측에서 하류 측, 및 제2 부분으로부터 제1 부분으로 유동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2 부분 및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접속부에 번짐이나 불충분함이 없는, 보다 높은 형상 정밀도로 제2 내부전극(12)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갖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1)를 보다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층 중 특히 불충분해지기 쉬운, 제2 부분(33)의 상류 측 절반(P2)에 충전된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해 인쇄된 부분의 불충분함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절반(P3)에서의 제2 볼록부(42)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에 대한, 절반(P2)에서의 제2 볼록부(42)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의 비((절반(P2)에서의 제2 볼록부(42)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절반(P3)에서의 제2 볼록부(42)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가 1.06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4.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분(32) 중 회전 방향(R)으로 제2 부분(33)보다 상류 측에 위치하는 부분(P4)에서의 제1 볼록부(41)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부분(P4)에서의 제1 볼록부(41)를 제외한 부분의 면적/부분(P4)의 면적)이, 제1 부분(32) 중 회전 방향(R)으로 제2 부분(33)보다 하류 측에 위치하는 부분(P5)에서의 제1 볼록부(41)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부분(P5)에서의 제1 볼록부(41)를 제외한 부분의 면적/부분(P5)의 면적)보다 크다. 이 때문에, 부분(P4)에 공급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양이 많아진다. 따라서 제1 부분(32)에 충전된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해 인쇄되는 도전성 페이스트층 중, 불충분해지기 쉬운 부분(P4)에 충전된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해 인쇄된 부분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부분(32)에 충전된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해 인쇄되는 도전성 페이스트층 중, 불충분해지기 쉬운 부분(P4)에 충전된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해 인쇄된 부분의 불충분함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부분(P4)에서의 제1 볼록부(41)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부분(P4)에서의 제1 볼록부(41)를 제외한 부분의 면적/부분(P4)의 면적)이, 부분(P5)에서의 제1 볼록부(41)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부분(P5)에서의 제1 볼록부(41)를 제외한 부분의 면적/부분(P5)의 면적)의 1.05배 이상 1.40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34)에는 볼록부(40)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제2 부분(33)에 충전된 도전성 페이스트가 제1 부분(32)의 접속부로 유동되기 쉽다. 따라서 제2 내부전극(12)의 제1 내부전극(11)의 대향부와, 대향부에 접속된 인출부의 접속부가 불충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높은 형상 정밀도로 제2 내부전극(1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갖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1)를 제조할 수 있다.
제2 내부전극(12)을 보다 높은 형상 정밀도로 형성하는 관점에서는, 제2-2 볼록부(42b)가 접속부(35)에 도달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의 면적, 제1 부분의 면적, 제2 부분의 면적 등은 그라비어 인쇄판을, 금속 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상하고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2진화(binarization)하여 오목부와 그 밖의 부분을 구별해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하여 실시할 수 있다. 먼저, 그라비어 인쇄판을, 배율이 10배인 금속 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상한다.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역치를 90으로 하고 2진화하여 오목부와 그 밖의 부분을 구별한다. 그리고 구별된 오목부, 제1 부분, 제2 부분 등의 면적을 산출한다.
(변형예)
도 13은 변형예에서의 오목부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2 볼록부(42)가 각각, 축심 방향(C)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42a, 4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단, 본 발명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볼록부(42)가 제2 부분(33)의 하류 측 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축심 방향(C)을 따라 연장되는 선상의 볼록부(42c)와, 볼록부(42c)로부터 회전 방향(R)을 따라 상류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선상의 1 또는 복수의 볼록부(42d)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조금이라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험예 1)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Ni 도전 페이스트(점도: 0.1Paㆍs 이상 1.0Paㆍs 이하)를 준비했다. 그 Ni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함으로써 세라믹 그린 시트를 제작했다. 다음으로, 그 세라믹 그린 시트에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그라비어 인쇄판(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그라비어 인쇄판을 이용하여, 제2 내부전극(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도전성 페이스트층을 인쇄했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제1 부분의 회전 방향(R)에 따른 치수를 964㎛로 하고, 제2 부분의 회전 방향(R)에 따른 치수를 99㎛로 했다.
다음으로, 하기의 장치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에서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인쇄 상태를 확인했다. 측정 장치: 도레이 엔지니어링 제작 비접촉 3차원 형상 측정 장치
(비교예 1~12, 실시예 2~41)
하기의 표 1~표 3에 나타내는 각 조건의 그라비어판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제작했다. 또한 세라믹 그린 시트의 제작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평가 1)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인쇄 상태의 확인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제2 부분의 불충분함이나 번짐의 유무를 확인했다. 불충분함이나 번짐이 없는 경우를 "○"로 하고, 불충분함이나 번짐이 있는 경우를 "×"로 했다. 결과를 표 1~표 3에 나타낸다.
(평가 2)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인쇄 상태의 확인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접속부의 불충분함이 발생했는지를 확인했다. 불충분함이 없는 경우를 "○"로 하고, 불충분함이 있는 경우를 "×"로 했다. 결과를 표 1~표 3에 나타낸다.
(평가 3)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직류 저항값이 필요한 값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했다. 제1 접지용 단자전극(17)과 제2 접지용 단자전극(18)을 4단자 측정으로 직류 저항을 측정했다. 이번에는, 40㏁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로 하고, 초과하는 것을 "×"로 했다. 결과를 표 1~표 3에 나타낸다.
(평가 4)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인쇄 상태의 확인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제2 부분 상류 측에 번짐이 발생했는지를 확인했다. 번짐이 없는 경우를 "○"로 하고, 번짐이 있는 경우를 "×"로 했다. 결과를 표 1~표 3에 나타낸다.
또한 표 1~표 3에서, "B2"는 부분(P1)에서의 제1 볼록부(41)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1로 했을 때의, 절반(P3)에서의 제2 볼록부(42)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의 비를 의미한다.
"B1"은 부분(P1)에서의 제1 볼록부(41)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1로 했을 때의, 절반(P2)에서의 제2 볼록부(42)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인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6012178662-pat00001
Figure 112016012178662-pat00002
Figure 112016012178662-pat00003
(실시예42~48)
하기의 표 4의 조건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의 그라비어판의 조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여 세라믹 그린 시트를 제작했다.
표 4에서 "C"는 P4에서의 제1 볼록부(41) 이외의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 ((P4에서의 제1 볼록부(41) 이외의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P4의 면적))을 1로 했을 때의, P5에서의 제1 볼록부(41) 이외의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P5에서의 제1 볼록부(41) 이외의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P5의 면적))을 의미한다.
(평가 5)
실시예 1의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인쇄 상태의 확인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1 부분에 번짐이 발생했는지를 확인했다. 번짐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로 하고, 번짐이 발생한 경우를 "×"로 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평가 6)
실시예 1의 도전성 페이스트층의 인쇄 상태의 확인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1 부분의 상류 측 부분에 불충분함이 발생했는지를 확인했다. 불충분함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로 하고, 불충분함이 발생한 경우를 "×"로 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12178662-pat00004
1: 적층 세라믹 콘덴서 3: 그라비어 인쇄판
10: 콘덴서 본체 10a: 제1 주면
10b: 제2 주면 10c: 제1 측면
10d: 제2 측면 10e: 제3 측면
10f: 제4 측면 10g: 세라믹부
11: 제1 내부전극 12: 제2 내부전극
15: 제1 신호단자전극 16: 제2 신호단자전극
17: 제1 접지용 단자전극 18: 제2 접지용 단자전극
21: 제1 전극층 22: 제2 전극층
23: 제3 전극층 24: 제4 전극층
30: 외표면 31: 오목부
32: 제1 부분 33: 제2 부분
34, 35: 접속부 40: 볼록부
41: 제1 볼록부 42: 제2 볼록부
42a: 제2-1 볼록부 42b 제2-2 볼록부

Claims (5)

  1. 외주면에 도전성 페이스트가 충전되는 오목부를 갖는 그라비어 인쇄판으로서,
    상기 오목부는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의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변(端邊)의 일부로부터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 내에는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선상(線狀)부를 포함하는 제1 볼록부가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 부분 내에는 제2 볼록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부분 중, 상기 제2 부분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제1 볼록부의 선상부보다 제2 부분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1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에 대한,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의 비((상기 제2 부분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상기 제1 부분 중, 상기 제2 부분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제1 볼록부의 선상부보다 상기 제2 부분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1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가 0.3 이상 0.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 인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하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에 대한, 상기 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의 비((상기 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상기 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하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가 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 인쇄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하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에 대한, 상기 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의 비((상기 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상기 제2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의 중앙선으로부터 하류 측에 위치하는 절반에서의 상기 제2 볼록부를 제외한 부분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가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 인쇄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록부는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 인쇄판.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록부는 축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회전 방향의 상류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1 또는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 인쇄판.
KR1020160014102A 2015-02-05 2016-02-04 그라비어 인쇄판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KR101762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21585A JP6428329B2 (ja) 2015-02-05 2015-02-05 グラビア印刷版及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JP-P-2015-021585 2015-02-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669A Division KR20170089432A (ko) 2015-02-05 2017-07-21 적층 세라믹 콘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559A KR20160096559A (ko) 2016-08-16
KR101762311B1 true KR101762311B1 (ko) 2017-07-27

Family

ID=560829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102A KR101762311B1 (ko) 2015-02-05 2016-02-04 그라비어 인쇄판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170092669A KR20170089432A (ko) 2015-02-05 2017-07-21 적층 세라믹 콘덴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669A KR20170089432A (ko) 2015-02-05 2017-07-21 적층 세라믹 콘덴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58825B1 (ko)
JP (1) JP6428329B2 (ko)
KR (2) KR1017623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66885B2 (ja) * 2018-10-10 2021-04-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印刷用の印刷版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9194A (ja) * 1996-05-21 1997-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凹版オフセット印刷用凹版
JP4007335B2 (ja) * 2003-04-17 2007-11-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012990B2 (ja) * 2004-08-13 2007-11-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924490B2 (ja) 2008-03-10 2012-04-25 Tdk株式会社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JP5454440B2 (ja) 2010-09-29 2014-03-26 Tdk株式会社 印刷用凹版及び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12142451A (ja) * 2010-12-29 2012-07-26 Murata Mfg Co Ltd グラビア印刷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2057909B1 (ko) * 2013-06-14 2019-12-20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의 실장 기판
JP6149813B2 (ja) * 2013-10-28 2017-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版の製造方法、グラビア印刷方法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28329B2 (ja) 2018-11-28
KR20170089432A (ko) 2017-08-03
JP2016141144A (ja) 2016-08-08
US9358825B1 (en) 2016-06-07
KR20160096559A (ko)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6838B2 (en) Laminat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2020867B2 (en) Electronic component
CN102652343B (zh) 层叠型陶瓷电子部件
US9552927B2 (en)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US919021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KR102640896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CN111048310A (zh) 电子部件
KR101397835B1 (ko)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259772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1717254B1 (ko) 세라믹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7169A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101990248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US9287048B2 (en) Capacitor including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terminal electrodes
US20170229244A1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KR20170077542A (ko)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048307B (zh) 电子部件
US9633784B2 (en) Electronic component
US11049651B2 (en)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762311B1 (ko) 그라비어 인쇄판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JP2014222783A (ja)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体
JP2015109413A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
US9922765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laminated electronic component
KR101938555B1 (ko) 콘덴서 및 콘덴서 내장 기판
JP2015026864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CN104240941A (zh) 多层陶瓷电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