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058B1 -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058B1
KR101762058B1 KR1020157036793A KR20157036793A KR101762058B1 KR 101762058 B1 KR101762058 B1 KR 101762058B1 KR 1020157036793 A KR1020157036793 A KR 1020157036793A KR 20157036793 A KR20157036793 A KR 20157036793A KR 101762058 B1 KR101762058 B1 KR 10176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ethanol
concentration
aldehyde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700A (ko
Inventor
마나부 무토
이쿠오 아오야마
아키 우에사카
마리코 스기무라
가츠유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6006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26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 C12Q1/3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involving dehydrogen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2/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aldehyde or oxo group of donors (1.2)
    • C12Y102/01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aldehyde or oxo group of donors (1.2) with NAD+ or NADP+ as acceptor (1.2.1)
    • C12Y102/01003Aldehyde dehydrogenase (NAD+) (1.2.1.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9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alcohol, e.g. ethanol in brea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0Determining the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피험자가 에탄올을 섭취한 후, 피험자의 호기를 채취하고, 이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농도를 측정한다. 이 측정값으로부터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를 산출한다. 이 비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및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판정한다.

Description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및 프로그램{METHOD FOR DETERMINING ALDEHYDE-DEGRADING ENZYME ACTIVITY GENOTYPE, METHOD FOR DETERMINING SQUAMOUS EPITHELIAL CANCER ONSET RISK, DEVICE FOR DETERMINING SQUAMOUS EPITHELIAL CANCER ONSET RISK, AND PROGRAM}
본 발명은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하는 방법,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함으로써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판정하는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알코올과 각종 질환의 관계가 명백해지고 있다. 특히, 과도한 알코올의 섭취와, 암 발생 위험도의 관계에 대해서도 명백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790792호 (이하, 문헌 1 이라고 한다) 에 의하면, 두경부와 식도의 양방에 편평 상피암이 발증되어 있는 환자는, 식도 점막에 다발이형상피가 발증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다발이형상피는, 알코올을 기호하는 환자에게서만 볼 수 있다. 이 것으로부터, 편평 상피암과 알코올 섭취 사이에는 관계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유전자가, 알코올 탈수소 효소 (ADH) 의 구조를 결정하는 유전자형 중 하나인 ADH3-2 알릴과, 알데히드 탈수소 효소 (ALDH) 의 구조를 결정하는 유전자형 중 하나인 ALDH2-2 알릴의 양방을 갖는 경우, 이 환자는 다발이형상피가 발증되기 쉽다. 이 때문에, 유전자 검사에 의해, 편평 상피암의 발생 위험도를 판정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을 사용하여 유전자 검사를 실시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리고, 또한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일부 인간들만 유전자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또, 유전자 검사를 실시하면, 윤리상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단시간에, 염가로, 또한 간편하게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판정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검사 방법이 있으면, 절주 및 금주의 지도에 따라 편평 상피암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거나, 또는,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를 환자에게 재촉함으로써 편평 상피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간편하게 판정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환자의 피부에 알코올을 함유한 천을 일정 시간 접촉시킨 후에 피부 색의 변화를 확인하는 패치 테스트, 및 환자가 음주한 후에 환자의 안면이 홍조를 띄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Flushing 문진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패치 테스트 및 Flushing 문진법은 유전자 검사보다 정확도가 낮다.
또, 문헌 1 에서는, 알코올 섭취 후의 호기 (呼氣) 중의 알데히드 농도와, 유전자형의 조합 사이의 관계성을 이용하여,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판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서는, 일정 농도의 알코올을 일정량 섭취한 후,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고,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급격한 상승이 확인된 경우나, 시간 경과에 따른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감소도가 작은 경우에, ADH3-2 알릴과 ALDH2-2 알릴의 조합을 갖는다고 판정하여,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한다.
그러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더욱 정확도 높고, 단시간에, 또한 염가로 판정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높은 정확도로 판정할 수 있는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높은 정확도로 판정할 수 있는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은,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는 스텝과,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상기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를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비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는, 종말 (終末) 호기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하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비와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비가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는, 상기 피험자의 1 회의 호흡에 있어서의 호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는, 상기 피험자의 소정 시간 내의 전체 호기이다.
본 발명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은,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에 함유되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는 스텝과,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상기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를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비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판정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는, 종말 호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하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비와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비가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하고,
상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낮다고 판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하는 스텝에 있어서, 상기 비와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가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하고,
상기 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낮다고 판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는, 상기 피험자의 1 회의 호흡에 있어서의 호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는, 상기 피험자의 소정 시간 내의 전체 호기이다.
본 발명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는,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측정 장치와,
상기 측정 장치로 측정한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상기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를 산출하고, 상기 비에 기초하여 상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가 판정한 상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장치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의 조작 순서를 순차 안내하는 정보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알림 장치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비와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가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하고,
상기 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낮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가 구비하는 컨트롤러의 기능을 실현시킨다. 본 발명은, 프로그램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컴퓨터를 개재하여, 당해 프로그램을 로드하고, 컴퓨터에 상기 컨트롤러로서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이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시험 1 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은 시험 2 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시험 3 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참고 시험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이른 연구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발명자에 의한 연구 결과, 신체에 아세트알데히드가 축적되기 쉬운 인간은, 편평 상피암의 발생 위험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신체에 있어서의 아세트알데히드의 축적 용이성은, 에탄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하는 효소, 및 아세트알데히드를 아세트산으로 분해하는 효소 (알데히드 탈수소 효소, 이후, ALDH 라고 한다) 에 영향을 받는다. 신체에 있어서의 아세트알데히드의 축적 용이성은, 특히, ALDH 의 1 종으로, 저농도의 알데히드를 분해하는 ALDH2 의 활성과 상관된다.
이 ALDH2 의 활성은, ALDH2 의 구조를 결정하는 유전자형 (이후,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라고 한다) 과 상관된다.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에는, 고활성의 ALDH2 에 대응하는 ALDH2-1 알릴 (ALDH2*1/2*1, 이후, ALDH2 활성형이라고 표시한다), 저활성의 ALDH2 에 대응하는 ALDH2-2 알릴 (ALDH2*1/2*2, 이후, ALDH2 저활성형이라고 표시한다), 및 불활성의 ALDH2 에 대응하는 ALDH2-2 알릴 (ALDH2*2/2*2, 이후,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표시한다) 의 3 종류가 존재한다.
발명자에 의한 추가적인 연구 결과,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인 경우, ALDH2 활성형인 경우보다, 두경부 및 식도에 편평 상피암이 발생할 위험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것으로부터,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함으로써,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판정할 수 있다.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인 경우, 알데히드가 분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에탄올 섭취 후의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알데히드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신체로의 에탄올의 흡수 속도, 및 에탄올로부터 아세트알데히드로의 분해 속도는, 개인차나 컨디션에 의해 오차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만으로부터, 알데히드 분해 활성 유전자형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없다.
그래서, 보다 정확한 판정 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발명자가 예의 연구한 결과,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의 에탄올의 농도에 대한 비가,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과 상관되고,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가 작을수록, 아세트알데히드가 분해되기 쉬운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발명자는, 이 비를 구함으로써,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발명자는,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미리 판명되어 있는 복수의 피험자에게, 일정량의 알코올을 섭취시킨 후, 피험자의 호기를 채취하고, 그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인 경우의 비의 범위와,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인 경우의 비의 범위가 대부분 중복되지 않는 것이 알아내었다.
상기 연구 결과에 기초하면,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하기 위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의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의 판정에 있어서는,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또,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가 설정한 임계값보다 큰 경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은,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는 스텝 (이하, 스텝 (a) 라고 한다) 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를 산출하는 스텝 (이하, 스텝 (b) 라고 한다) 과, 이 비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하는 스텝 (이하, 스텝 (c) 라고 한다) 을 포함한다.
먼저, 피험자는 일정량의 에탄올을 섭취한다. 피험자에게 섭취된 에탄올은, 피험자의 체내에서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된다. 에탄올이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요한다. 이 때문에, 피험자가 에탄올을 섭취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시에 피험자의 호기를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험자가 섭취하는 에탄올의 양은 0.2 ∼ 1.0 g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험자가 섭취하는 에탄올의 양이 0.2 g 이상인 경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의 양호한 정확도가 확보된다. 피험자가 섭취하는 에탄올의 양이 1.0 g 이하인 경우, 섭취된 에탄올에 의해 피험자가 취하기 어렵다. 피험자가 섭취하는 에탄올의 양은 0.5 g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피험자는, 예를 들어, 에탄올을 일정량 함유하는 물 등을 경구 섭취한다.
에탄올을 섭취 후, 호기 채취 전에, 피험자는 입을 헹구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험자의 구강 내에 충치 등이 있으면, 구강 내에 아세트알데히드가 발생하기 때문에,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높은 정확도로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세구를 실시함으로써, 충치 등에 의해 구강 내에 발생하는 아세트알데히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를 채취한다. 이 호기는, 피험자의 1 회의 호흡에 있어서의 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피험자가 에탄올을 섭취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시에, 피험자의 1 회의 호흡에 있어서의 호기를 채취한다. 이 경우, 피험자가 에탄올을 섭취했을 때를 기점으로 하여, 1 ∼ 2 분의 범위 내의 시간이 경과했을 때, 피험자의 호기를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호기는, 종말 호기가 아니어도 되지만, 종말 호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종말 호기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말 호기란, 피험자의 1 회의 호흡에 있어서의 호기 중, 초기에 내뱉는 부분을 제외한 호기이다. 호기 중, 초기에 내뱉는 부분에는, 피험자의 기도 공간 (사강) 에 존재하는 대기가 혼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초기에 내뱉는 부분을 제외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및 에탄올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를 채취하는 경우, 이 호기가, 피험자의 소정 시간의 전체 호기인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피험자가 에탄올을 섭취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했을 때를 기점으로 하는, 소정 시간의 전체 호기를 채취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피험자가 에탄올을 섭취하고 나서, 30 초 ∼ 2 분의 범위 내의 시간이 경과했을 때를 기점으로 하는, 1 분 30 초간 이상의 전체 호기를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피험자가 에탄올을 섭취하고 나서 30 초간 경과했을 때를 기점으로 하는, 1 분 30 초간의 전체 호기를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호기는, 종말 호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말 호기만이 아니어도 된다. 이것은, 피험자의 소정 시간의 전체 호기를 채취하는 경우, 이 호기 중의 초기에 내뱉어진 부분에 대한 종말 호기의 비율이 크기 때문에, 종말 호기만이 아니어도, 측정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농도를 측정한다 (스텝 (a)).
다음으로, 스텝 (a) 에서 측정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및 에탄올 농도에 기초하여,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를 산출한다 (스텝 (b)).
다음으로, 스텝 (b) 에서 산출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한다 (스텝 (c)).
스텝 (c) 에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비교한다. 이 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또, 이 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이 비가 임계값과 동일한 경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해도 되고,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해도 되지만,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임계값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먼저, 에탄올의 섭취량, 에탄올을 섭취하고 나서 호기를 채취할 때까지의 시간 등의 호기 채취의 조건을 결정한다. 계속해서, 미리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판명되어 있는 복수의 인간에게 에탄올을 섭취시키고, 결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호기를 채취하여, 이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를 산출한다. 산출된 비에 기초하여,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인 경우의 비의 범위와,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인 경우의 비의 범위를 산출한다. 이들 2 개의 범위 사이의 경계의 값을 임계값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스텝 (c) 에 있어서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로부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하는 것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로부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해,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텝 (c) 에서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의 역수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의 역수를 비교해도 된다. 이 경우, 비의 역수가 임계값의 역수보다 작으면,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또, 비의 역수가 임계값의 역수보다 크면,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에 의해, 유전자 검사 등을 실시하지 않고,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높은 정확도로 판정할 수 있다.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은,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는 스텝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를 산출하는 스텝과, 이 비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하는 스텝 (이하, 스텝 (d) 라고 한다) 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에서는, 먼저, 상기 서술한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에 있어서의 스텝 (a)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농도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에 있어서의 스텝 (b)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이 비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한다.
스텝 (d) 에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비교한다. 이 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한다. 또, 이 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한 경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한 경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낮다고 판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서술한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에 있어서의 스텝 (c)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한 후,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의 발생 위험도를 판정할 수 있다.
또, 다른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에서는, 스텝 (d) 에 있어서,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직접 판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서술한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에 있어서의 스텝 (b) 에서 산출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이 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 이 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낮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 이 비와 임계값이 동일한 경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해도 되고, 낮다고 판정해도 되지만, 높다고 판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에 의해,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높은 정확도로 판정할 수 있다.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이하, 본 실시형태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 의 일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 는, 측정 장치 (3), 컨트롤러 (4), 출력 장치 (5), 입력 장치 (6), 및 알림 장치 (7) 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 에는, 호기 도입부 (2) 가 접속되어 있다.
호기 도입부 (2) 는, 피험자의 호기를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 내에 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정 장치 (3) 는, 호기 도입부 (2) 로부터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 내에 도입된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및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 (4) 는, 측정 장치 (3) 에서 측정한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를 산출하고, 이 비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력 장치 (5) 는, 컨트롤러 (4) 가 판정한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 장치 (6) 는, 조작하는 자의 조작을 받아 컨트롤러 (4) 에 이 컨트롤러 (4) 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 (3) 는, 분리 칼럼 (31), 및 분리 칼럼 (31) 에 접속된 반도체 가스 센서 (32) 를 구비하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 의 분리 칼럼 (31) 에 가스 유로 (22) 가 접속되고, 가스 유로 (22) 에 캐리어 가스 도입부 (21) 가 접속되어 있다.
캐리어 가스 도입부 (21) 는, 가스 유로 (22) 에 캐리어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캐리어 가스 도입부 (21) 는, 예를 들어 캐리어 가스를 저장한 가스 봄베, 또는 캐리어 가스를 가스 유로 (22) 에 보내는 가스 펌프이어도 된다.
호기 도입부 (2) 는, 호기 도입 유로 (23) 를 개재하여, 캐리어 가스 도입부 (21) 와 분리 칼럼 (31) 사이에서 가스 유로 (22) 에 접속되어 있다. 호기 도입부 (2) 는, 예를 들어, 호기 도입 유로 (23) 에 형성된 개구이다. 이 때문에, 피험자의 호기는, 호기 도입부 (2) 로부터 호기 도입 유로 (23) 를 지나 가스 유로 (22) 로 공급된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있어서는, 가스 유로 (22) 에 공급된 피험자의 호기가, 캐리어 가스와 함께 분리 칼럼 (31) 에 공급된다. 호기 및 캐리어 가스에 함유되는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이, 분리 칼럼 (31) 중에 형성된 충전재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분리된다. 분리된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은, 반도체 가스 센서 (32) 로 보내진다. 반도체 가스 센서 (32) 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및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고, 이들 농도에 따른 농도 신호를 컨트롤러 (4) 로 송신한다.
또한, 측정 장치 (3) 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호기에 함유되는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측정 장치 (3) 는, 예를 들어, 가스 검지관, 시약 도포 수정 진동자, 또는 Breath Gas Analyzer (카부시키카이샤 코키 생화학 영양 대사 연구소 제조) 를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용으로 개조한 것이어도 된다.
컨트롤러 (4) 는, 프로그램에 따라 이하에 설명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컴퓨터이다. 컴퓨터는, 주요 하드웨어 요소로서,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용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이 종류의 컴퓨터는, 메모리를 프로세서와 일체로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혹은 프로세서와는 별도로 메모리를 구비하는 구성 등, 어떠한 구성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접속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어도 된다. 또, 프로그램을, 컴퓨터 내에 형성된 ROM (Read Only Memory) 에 미리 격납해 두어도 된다. 또, 컴퓨터를 개재하여, 프로그램을 로드하고, 컴퓨터에 컨트롤러로서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 프로그램 지원 장치로부터 기록 매체에 프로그램을 기록하거나, 혹은, 인터넷과 같은 전기 통신 회로를 통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컨트롤러 (4) 에 실장해도 된다.
임계값은, 예를 들어, 컴퓨터 내의 ROM, 또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또, 임계값은 프로그램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프로그램은, 컨트롤러 (4) 에 이하의 기능을 실현시킨다.
컨트롤러 (4) 는, 측정 장치 (3) 로부터 송신된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의 농도 신호를 수신하고, 이 농도 신호에 기초하여,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를 산출한다.
컨트롤러 (4) 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비교하고, 이 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한다. 또, 이 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낮다고 판정한다. 이 비와 임계값이 동일한 경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해도 되고, 낮다고 판정해도 되지만, 높다고 판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컨트롤러 (4) 에 의한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의 판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러 (4) 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또, 이 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 컨트롤러 (4) 는,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한 후,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 (4) 는,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인 경우,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인 경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낮다고 판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 (4) 는,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에 관한 신호를 출력 장치 (5) 로 송신한다.
출력 장치 (5) 는, 컨트롤러 (4) 가 판정한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출력한다. 여기서 말하는 출력이란, 피험자,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 를 조작하는 자 (이하, 조작자라고 한다) 등에,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출력 장치 (5) 는, 조작자, 피험자 등에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나타낼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출력 장치 (5) 는, 예를 들어, 컨트롤러 (4) 가 판정한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표시하는 모니터, 컨트롤러 (4) 가 판정한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인쇄하는 인쇄 장치, 또는 이것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 가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피험자가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높은 정확도로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 는, 알림 장치 (7) 가,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 의 조작 순서를 순차 안내하는 정보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림 장치 (7) 는, 예를 들어, 피험자가 호기 도입부 (2) 에 호기를 도입하는 타이밍, 및 피험자가 호기 도입부 (2) 로의 호기의 도입을 종료하는 타이밍을 알릴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알림이란, 인간의 오감에 호소하는 방법으로, 인간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알림 장치 (7) 는, 조작자, 피험자 등에 대해 알린다. 알리는 방법은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버저음, 음성, 또는 램프의 점등으로 알려도 되고, 모니터에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해도 되며, 이것들을 조합해도 된다.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소정 시간 내의 전체 호기를 채취하는 경우, 알림 장치 (7) 는,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를 채취하는 시기가 도달한 시점에, 이 시기의 도달을 알리고, 또한 호기의 채취 개시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호기의 채취를 종료해야 하는 시기에 도달한 것을 알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력 장치 (5) 가 알림 장치 (7) 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 (5) 가 모니터인 경우, 출력 장치 (5) 가 알림 장치 (7) 를 겸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장치 (7) 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알림 장치 (7) 가 출력 장치 (5) 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알림 장치 (7) 는, 컨트롤러 (4) 에 의해 제어된다. 컨트롤러 (4) 에는 입력 장치 (6) 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 장치 (6) 는, 예를 들어, 스위치, 키보드, 또는 마우스이다. 또, 출력 장치 (5) 가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모니터임으로써, 입력 장치 (6) 가 출력 장치 (5) 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컨트롤러 (4) 는, 입력 장치 (6) 로부터 신호를 받은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경과 시간을 계측할 수 있다. 컨트롤러 (4) 는, 경과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에 도달한 시점에 출력 장치 (5) 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신호를 출력 장치 (5) 가 받으면, 출력 장치 (5) 는 피험자의 호기를 채취해야 하는 시기의 도달을 알릴 수 있다. 출력 장치 (5) 는 아울러, 피험자의 호기를 채취해야 하는 것을 알려도 된다. 컨트롤러 (4) 의 이러한 기능은,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알림 장치 (7) 가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피험자의 호기를 채취해야 하는 시기를, 조작자, 피험자 등이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피험자, 조작자 등이,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 의 조작 순서를 이해할 수 있다. 또, 알림 장치 (7) 가 안내하는 조작 순서에는, 예를 들어, 검사 전의 설명 및 검사시의 시간 관리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판정하는 순서>
이하, 본 실시형태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 를 사용한,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판정하는 순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피험자는 일정량의 에탄올을 경구 섭취한다. 피험자는 에탄올을 섭취 후, 세구를 실시함으로써, 구강 내의 아세트알데히드를 제거한다.
피험자가 에탄올의 섭취를 종료했을 때, 조작자는 입력 장치 (6) 를 조작한다. 이 조작에 의해, 컨트롤러 (4) 가 시간 계측을 개시한다. 시간 계측 개시시부터 일정 시간 경과시에 컨트롤러 (4) 로부터 출력 장치 (5) 에 신호가 송신된다. 본 실시형태의 출력 장치 (5) 는 알림 장치 (7) 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컨트롤러 (4) 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 출력 장치 (5) 는, 호기를 채취해야 하는 시기의 도달을 알린다.
이 알림에 따라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를 채취한다. 피험자는 호기 도입부 (2) 에 호기를 분사한다. 피험자는,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고 호기를 분사하기 위한 세경의 튜브, 또는 입에 대어 호기를 분사하는 페이스마스크를 개재하여, 호기 도입부 (2) 에 호기를 분사한다. 이 경우, 피험자가, 종말 호기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기의 채취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피험자의 호기를 가스 샘플링용의 시판되는 샘플백에 저장하고 나서, 실린지 등으로 호기를 샘플백으로부터 발출하여 호기 도입부 (2) 에 주입해도 되고, 또는, 샘플백과 호기 도입부 (2) 를, 활전 등을 개재하여 직접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 피험자의 종말 호기를 샘플백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기 도입부 (2) 에 분사된 호기는, 측정 장치 (3) 로 보내진다. 본 실시형태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 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 (3) 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프이다. 호기는 캐리어 가스와 함께,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중의 분리 칼럼 (31) 으로 공급된다. 분리 칼럼 (31) 에 있어서, 호기에 함유되는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이 분리된다. 반도체 가스 센서 (32) 는, 분리된 아세트알데히드 및 에탄올의 농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농도에 따른 농도 신호가 반도체 가스 센서 (32) 로부터 컨트롤러 (4) 에 전송된다.
컨트롤러 (4) 는, 측정 장치 (3) 로부터 전송된 농도 신호에 기초하여,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를 산출한다.
컨트롤러 (4) 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와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비교한다. 컨트롤러 (4) 는, 이 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낮다고 판정하고, 이 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한다. 이 비와 임계값이 동일한 경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해도 되고, 낮다고 판정해도 되지만, 높다고 판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컨트롤러 (4) 에 의한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의 판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러 (4) 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또, 이 비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 컨트롤러 (4) 는,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한 후,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 (4) 는,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인 경우,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인 경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낮다고 판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 (4) 는, 판정된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출력 장치 (5) 로 송신한다.
출력 장치 (5) 는, 컨트롤러 (4) 가 판정한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 에 있어서의 출력 장치 (5) 는 모니터이다. 이 경우, 출력 장치 (5) 는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표시한다. 조작자, 피험자 등은, 출력 장치 (5) 에 표시된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출력 장치 (5) 가 프린터인 경우, 출력 장치 (5) 는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지면에 인쇄한다. 조작자, 피험자 등은 인쇄된 지면에 의해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알 수 있다. 출력 장치 (5) 가 프린터및 모니터를 구비하는 경우, 조작자, 피험자 등은 모니터의 표시 및 지면에 의해,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알 수 있다.
<시험>
이하, 본 발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시한 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시험 1)
먼저, 3 시간 이상 절식한 피험자 107 명에게, 물에 보드카를 혼합하여 얻어진 에탄올 농도 0.5 wt% 의 수용액을 100 ㎖ 경구 섭취시켰다. 섭취 후, 피험자에게는 구강 내를 물로 세구시켰다. 또한, 본 시험에 있어서의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은, 유전자 검사에 의해 판명하였다.
계속해서, 섭취시로부터 1 분간 경과시에, 피험자의 호흡 1 회에 있어서 내뱉는 호기를 채취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SGEA-P2, FIS 사 제조) 에 주입하였다. 이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로, 호기에 함유되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고, 그 비를 산출하였다. 이 결과를 도 2 에 나타낸다. 도 2 에 있어서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단위는 ppb 이고, 에탄올 농도의 단위는 ppm 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인 경우의 비의 범위와,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인 경우의 비의 범위가 대부분 중복되지 않았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임계값을 23.3 으로 설정하였다.
이 임계값에 기초하여, 피험자의 유전자형이 미지라고 가정하고,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의 판정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가 23.3 보다 작은 경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하였다. 또,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가 23.3 보다 큰 경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하였다.
또한, 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감도, 특이도, 정확도, 양성 적중률, 음성 적중률을 구하였다.
진짜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인 피험자 중, 본 시험에 있어서도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된 경우를 음성으로 하고,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된 경우를 가짜 양성이라고 한다.
진짜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인 피험자 중, 본 시험에 있어서도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된 경우를 양성으로 하고,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된 경우를 가짜 음성으로 한다.
본 시험에 있어서의 감도란, 진짜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의 피험자 중, 양성이라고 판정된 피험자의 비율을 말한다.
본 시험에 있어서의 특이도란, 진정한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의 피험자 중, 음성이라고 판정된 피험자의 비율을 말한다.
본 시험에 있어서의 정확도란, 전체 피험자 중,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의 판정 결과와, 진짜 유전자형이 일치하고 있는 피험자의 비율을 말한다.
본 시험에 있어서의 양성 적중률이란, 양성이라고 판정된 피험자 중, 진짜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인 피험자의 비율을 말한다.
본 시험에 있어서의 음성 적중률이란, 음성이라고 판정된 피험자 중, 진짜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인 피험자의 비율을 말한다.
이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127614797-pct00001
표 1 로부터, 본 발명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에서는,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충분히 높은 정확도로 판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2)
피험자의 호기를 이하의 방법으로 채취한 것 이외에는, 시험 1 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의 호기를 에탄올의 섭취시로부터 2 분간 경과시에, 피험자의 호흡 1 회에 있어서 내뱉는 호기를 채취하였다. 이 결과를 도 3 에 나타낸다. 도 3 에 있어서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단위는 ppb 이고, 에탄올 농도의 단위는 ppm 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인 경우의 비의 범위와,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인 경우의 비의 범위가 대부분 중복되지 않았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임계값을 23.3 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임계값에 기초하여, 시험 1 과 동일하게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의 판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그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감도, 특이도, 정확도, 양성 적중률, 및 음성 적중률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127614797-pct00002
표 2 로부터, 본 발명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에서는,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충분히 높은 정확도로 판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3)
먼저, 3 시간 이상 절식한 피험자 17 명에 대하여, 물에 보드카를 혼합하여 얻어진 에탄올 농도 0.5 wt% 의 수용액을 100 ㎖ 섭취시켰다. 섭취 후, 피험자에게는 구강 내를 물로 세구시켰다. 또한, 본 시험에 있어서의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은, 유전자 검사에 의해 판명하였다.
피험자에게 에탄올을 섭취시키고 나서, 30 초간 경과시를 기점으로 하는 1 분 30 초간의 범위의 시간으로 하는, 피험자의 호흡에 의해 내뱉는 호기 전부를 채취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SGEA-P2, FIS 사 제조) 에 주입하였다. 이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로 호기에 함유되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고, 그 비를 산출하였다. 이 결과를 도 4 에 나타낸다. 도 4 에 있어서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단위는 ppb 이고, 에탄올 농도의 단위는 ppm 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인 경우의 비의 범위와,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인 경우의 비의 범위가 대부분 중복되지 않았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임계값을 23.3 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임계값에 기초하여, 시험 1 과 동일하게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의 판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그 판정 결과에 대하여, 감도, 특이도, 정확도, 양성 적중률, 및 음성 적중률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127614797-pct00003
표 3 으로부터, 본 발명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은,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충분히 높은 정확도로 판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 시험)
먼저, 3 시간 이상 절식한 피험자 107 명에 대하여, 물에 보드카를 혼합하여 얻어진 에탄올 농도 0.5 wt% 의 수용액을 100 ㎖ 섭취시켰다. 섭취 후, 피험자에게는 구강 내를 물로 세구시켰다. 또한, 본 시험에 있어서의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은, 유전자 검사에 의해 판명하였다.
계속해서, 섭취시로부터 2 분간 경과시에, 피험자의 호흡 1 회에 있어서 내뱉는 호기를 채취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SGEA-P2, FIS 사 제조) 에 주입하였다. 이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로, 호기에 함유되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만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를 도 5 에 나타낸다. 도 5 에 있어서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단위는 ppb 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인 경우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범위와,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인 경우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범위의 중복이 컸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임계값을 49 로 설정하였다.
이 임계값에 기초하여,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의 판정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49 보다 작은 경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이라고 판정되었다.
또, 아세트알데히드 농도가 49 보다 큰 경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되었다.
또한, 그 판정 결과에 대하여, 시험 1 과 동일하게 감도, 특이도, 정확도, 양성 적중률, 및 음성 적중률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127614797-pct00004
표 4 로부터, 시험 1 ∼ 3 과 같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와 임계값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만을 임계값과 비교한 참고 시험에 있어서는, 시험 1 ∼ 3 의 판정 방법에 비해 높은 정확도로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을 판정할 수 없다.
또, 본 발명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 및 판정 장치는,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것이다. 또한,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의 판정에 있어서는,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은 피험자를 음성으로 판정하는 비율이 낮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것으로부터,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에 있어서, 정확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 표 1 ∼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 1 ∼ 3 의 판정 방법에서는, 참고 시험에 비해 정확도가 높다.
또, 알코올 패치 테스트에 의한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의 판정에서는, 감도가 74.2 %, 정확도가 71.9 % 이다 (Yokoyama et al.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Prev 6 : 1105-1107, 1997). 이 값과 비교해도, 시험 1 ∼ 3 의 판정 방법은 감도 및 정확도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 및 판정 장치는,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를 높은 정확도로 판정할 수 있다.

Claims (15)

  1.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가 도입되는 호기 도입부와,
    상기 호기 도입부로부터 도입된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와,
    상기 측정 장치로 측정된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상기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가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활성형이고, 상기 비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피험자의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이 ALDH2 저활성형 또는 ALDH2 불활성형이라고 판정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는, 종말 호기를 포함하는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는, 상기 피험자의 1 회의 호흡에 있어서의 호기인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는, 상기 피험자의 소정 시간 내의 전체 호기인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장치의 조작 순서를 순차 안내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 장치를 구비하는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장치.
  6. 컴퓨터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장치가 구비하는 컨트롤러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가 도입되는 호기 도입부와,
    상기 호기 도입부로부터 도입된 상기 피험자의 호기 중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와,
    상기 측정 장치로 측정된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상기 에탄올 농도에 대한 비가 임계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높고, 상기 비가 상기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피험자의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가 낮다고 판정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판정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는, 종말 호기를 포함하는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는, 상기 피험자의 1 회의 호흡에 있어서의 호기인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을 섭취한 피험자의 호기는, 상기 피험자의 소정 시간 내의 전체 호기인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의 조작 순서를 순차 안내하는 정보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알림 장치를 구비하는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12. 컴퓨터에,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가 구비하는 컨트롤러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57036793A 2013-10-31 2014-10-22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762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27301 2013-10-31
JP2013227301 2013-10-31
PCT/JP2014/005365 WO2015064063A1 (ja) 2013-10-31 2014-10-22 アルデヒド分解酵素活性遺伝子型判定方法、扁平上皮癌発生危険度判定方法、扁平上皮癌発生危険度判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700A KR20160068700A (ko) 2016-06-15
KR101762058B1 true KR101762058B1 (ko) 2017-07-26

Family

ID=53003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793A KR101762058B1 (ko) 2013-10-31 2014-10-22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01192B2 (ko)
KR (1) KR101762058B1 (ko)
CN (1) CN105849558B (ko)
TW (1) TWI539162B (ko)
WO (1) WO20150640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7863B2 (ja) * 2018-09-11 2022-06-21 富士通株式会社 推定摂取量演算システム、及び、推定摂取量演算プログラム
KR102461301B1 (ko) * 2022-01-07 2022-10-28 ㈜웰니스컴퍼니올리브 암 발생 위험도 스크리닝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5123A (ja) * 2002-01-21 2003-07-30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呼気による扁平上皮癌発生危険度の簡易判定方法とそのための装置
JP2008122211A (ja) 2006-11-11 2008-05-29 National Cancer Center-Japan 扁平上皮癌危険群の呼気による簡易判定方法と装置及びそのための13cアセトアルデヒド分別分離用チューブ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8969B1 (en) * 2000-09-08 2006-09-19 Affymetrix, Inc. Methods for detecting and diagnosing oral cancer
CA2388761A1 (en) * 2001-06-18 2002-12-18 Pfizer Inc. Wound healing biomark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5123A (ja) * 2002-01-21 2003-07-30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呼気による扁平上皮癌発生危険度の簡易判定方法とそのための装置
JP2008122211A (ja) 2006-11-11 2008-05-29 National Cancer Center-Japan 扁平上皮癌危険群の呼気による簡易判定方法と装置及びそのための13cアセトアルデヒド分別分離用チューブ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cohol. Clin. Exp. Res. 2005, Vol 29, No 11, pp 1959-196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01192B2 (ja) 2016-10-05
KR20160068700A (ko) 2016-06-15
JPWO2015064063A1 (ja) 2017-03-09
CN105849558B (zh) 2019-01-18
TW201530143A (zh) 2015-08-01
CN105849558A (zh) 2016-08-10
TWI539162B (zh) 2016-06-21
WO2015064063A1 (ja)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72809B2 (en) Mouth alcohol tester
JP4927087B2 (ja) 揮発性成分の血中濃度評価方法および装置
US20070224128A1 (en) Drug adherence monitoring system
JP6462142B2 (ja) 癌罹患危険度評価装置、プログラム、及び癌罹患危険度を試験する方法
US20120220845A1 (en) Shock or sepsis early detection method and system
JP3565051B2 (ja) 健康管理装置
JP3174770U (ja) 呼気アルコールテスターおよびドライバーが運転する状態であるか否かを測定する方法
WO2006097716A1 (en) Compliance apparatus
KR101762058B1 (ko) 알데히드 분해 효소 활성 유전자형 판정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방법, 편평 상피암 발생 위험도 판정 장치, 및 프로그램
JP2023509632A (ja) 呼気センサの測定方法及び装置
JP2003270242A (ja) 腸内ガス中の有毒ガスの測定方法及び装置
JP2005069742A (ja) アルコール検知システムアルコールガスセンサーを用い、呼気アルコール濃度を検知するセンサーユニットを持ち測定結果をデジタル表示にて被験者のアルコール濃度を表示する仕組みと、その測定者のデータを市販のパソコン等にデータ転送出来る仕組みと、被験者IDコード(社員no.等)、測定時刻、温度、湿度、測定回数累計、測定結果濃度等を印字(送信)する手段を備えたことを特徴とするアルコール検知システム。
KR20090112299A (ko) 음주측정기
US20080275355A1 (en) Method For Diagnosing An Infectioin Condition
JP2009075088A (ja) 健康状態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JP2015167575A (ja) 体脂肪燃焼状態判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04142A (ja) 呼吸機能検査装置
JP2015102414A (ja)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の検出方法及び検出器具
JP3790792B2 (ja) 呼気による扁平上皮癌発生危険度の簡易判定方法とそのための装置
TWI766640B (zh) 血糖濃度的評估方法及檢測裝置
Sudi et al.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exhaled breath for detection of diabetes mellitus
WO2000036976A1 (en) Detector
KR20190095034A (ko) 손목 휴대용 웨어러블 체지방 연소 테스트 기기
Hu et al. Breath Ethanol and Acetone as Indicators of Serum Glucose Levels
Faiz et al. Design of a device for the assessment of dyspnea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