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744B1 -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744B1
KR101761744B1 KR1020130137390A KR20130137390A KR101761744B1 KR 101761744 B1 KR101761744 B1 KR 101761744B1 KR 1020130137390 A KR1020130137390 A KR 1020130137390A KR 20130137390 A KR20130137390 A KR 20130137390A KR 101761744 B1 KR101761744 B1 KR 101761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black
lines
current
black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2415A (ko
Inventor
요시히사 노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2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67Post-processing of the composed and rasterized print image
    • G06K15/1869Depleting the print image
    • G06K15/1871Depleting the print image with provisions for image features conservation or enhancement, e.g. conservation or enhancement of zone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화상처리장치, 그것을 제어하는 화상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및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후의 라인들 모두를 포함하는 화상 영역을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도록,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제1 수 및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제2 수에 따라,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수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이전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할 때,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수를 기억부에 기억하고, 상기 카운트된 수는 상기 이전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검출부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제1 수를 검출할 때,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수를 검출하도록 상기 기억된 카운트된 수를 판독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쇄 기능을 갖춘 화상처리장치 중에서, 컴퓨터 등으로 작성한 데이터의 인쇄가 보다 일반적으로 되고 있다. 레이저빔 프린터 등의 화상처리장치는,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인쇄에 관한 코맨드 및 코드화된 문자, 도형정보를 수신한다. 수신한 코맨드 정보를 렌더링 수단에 의해 화소 정보로 변환하고, 이 화소 정보에 의거하여 생성된 화상신호를 기초로 화상을 형성(인쇄)한다.
이 화상형성에서는, 블랙 라인을 검출해서 토너의 적재량(application amount)을 조정하는 조정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이 처리는, 현상시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토너가 용지에 완전하게 정착을 하지 않을 경우 토너 산란과 같은 것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주주사 방향으로 직선을 인쇄했을 경우,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용지(201)에 인쇄된 선(202)으로부터, 용지의 반송 방향의 후방으로 토너가 흩날려서 화상을 망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고온의 히터를 가지는 정착기(301)가 용지(201)를 지나갈 때에, 급격하게 따뜻하게 되는 것으로 용지중의 수분이 수증기(302)가 되어서, 종이로부터 뛰어나간다. 이들의 상황에서, 토너(303)가 얇고 높은 제방형 상태에 있을 경우에, 토너가 용지(201)의 수증기(302)의 힘으로 쓰러져 반송 방향(부주사 방향에 평행하지만 반대방향)의 후방으로 날려버리는 것을 알고 있다. 이후,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 직선인 선화상의 부주사 방향의 후방으로 토너가 흩날려서 화상을 망치는 현상을 "테일링 블러 현상"이라고 부른다. 이때, 용지(201)의 반송 방향을 부주사 방향에 평행하지만 반대방향이라고 하고, 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주주사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용지(201)에 있어서, 정착기(301)에 먼저 도달하는 부분을 상류 에어리어라고 하고, 정착기(301)에 나중에 도달하는 부분을 하류 에어리어라고 한다.
이 "테일링 블러 현상"의 대책으로서는, 종래에 토너의 적재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이용되어도 왔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블랙 에어리어가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선별 처리를 행하였다. 이 블랙 에어리어인가 아닌가에 관한 판정은, 부주사 방향으로 연속적인 블랙 라인의 수를 카운트하고, 그 수가 역치이상이 되면 블랙 에어리어에 돌입했다고 판정하여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이후의 부주사 방향의 하류 에어리어(이후 정착하는 에어리어)를 블랙 에어리어로서 취급한다. 또한, 부주사 방향으로 연속적인 화이트 라인의 수를 카운트하고, 그 연속적인 화이트 라인의 수가 역치이상이 되면, 블랙 에어리어로부터 탈출했다고 판정한다. 탈출 후, 그 이후의 부주사 방향의 하류 에어리어를 비블랙 에어리어로서 취급한다.
선별 처리부는, 블랙 에어리어에 돌입했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상태를 보고, 블랙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제어한다. 이때, "테일링 블러 현상"이 발생하는 빈도가, 화상처리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의 습도레벨이나 온도등의 환경조건에 의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예를 들어, 용지에 사용된 재료가 여러 가지가 존재하지만, 인쇄용지에 사용된 재료의 종류에 따른 발생 빈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전술한 토너의 적재량의 조정 처리를 하드웨어로 행하는 경우에는, 주변화소의 정보를 얻는 참조 윈도우를 설정하고, 그 윈도우용의 라인 버퍼로서 SRAM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회로의 규모가 커져 비용과 소비 전력이 증대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 소프트웨어로 처리하는 경우에도, 워크 메모리와 연산에 의한 CPU의 부하의 증대 때문에, 퍼포먼스가 열화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한편, 주변화소의 정보 중, 화상연산에 필요한 정보만 기억함으로써 메모리 용량을 삭감하고, 예를 들면 원고중의 블랙 줄무늬(streak)를 검출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와 블랙 줄무늬 검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157046호 참조). 이 발명에서는, 블랙 줄무늬 검출에 사용하기 위해서 주사 라인마다, 백화소와 흑화소의 런 길이를 각각 산출하고, 이것들 화이트 및 흑화소의 런 길이에 의해, 주사 라인상에서 백화소로부터 흑화소로 변화되는 위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전에 판독된 주사 라인으로부터 취득된 블랙 줄무늬 위치의 후보를 기억한다. 처리중의 라인에서 백화소로부터 흑화소로 변화된 위치와 블랙 줄무늬 위치의 후보가 일치하면, 블랙 줄무늬 위치의 후보를 남기고, 일치하지 않으면, 그 후보가 제외된다. 특별한 주사 라인 수로 처리를 행하고, 제외되지 않은 블랙 줄무늬 위치의 후보에 의거하여 흑화소의 위치를 블랙 줄무늬 위치로서 검출한다. 이렇게, 좌표위치만을 기억함에 의해, 라인 버퍼를 사용하지 않고 메모리 용량을 삭감하면서 블랙 줄무늬를 검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수법은, 블랙 줄무늬가 주주사 라인의 일부의 장소에만 존재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그렇지만, 토너의 적재량을 저감하기 위해서 좌표정보를 기억하는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각 화소에 대하여 주변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좌표정보용의 메모리 용량이 라인 버퍼의 용량을 넘어서 증대해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상술한 과제를 해소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메모리 용량을 덜 사용하면서 화상 데이터의 흑화소를 선별하여서 상기 테일링 블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처리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및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후의 라인들 모두를 포함하는 화상 영역을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도록,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제1 수 및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제2 수에 따라,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수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이전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할 때,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수를 기억부에 기억하고, 상기 카운트된 수는 상기 이전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검출부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제1 수를 검출할 때,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수를 검출하도록 상기 기억된 카운트된 수를 판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부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일부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구성도다.
도 2는 일반적인 테일링 블러 현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전자사진방식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상기 일반적인 테일링 블러 현상의 발생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간략도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변환부의 구성을 나타내하는 블록도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인 폭 카운터부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랙 에어리어 판정부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별 처리부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별 처리부에 의한 선별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랙 에어리어의 상태마다 블랙 라인 폭들에 대응한 선별 설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부의 실시예에 따른 선별 패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하의 실시예들에 따라 기재된 상기 국면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빔 프린터에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내에 있는 한, 또 다른 종류의 프린터나 팩스밀리 장치등의 전자사진방식의 화상처리장치에 적용하여도 된다. 또한, 흑백 프린터에 대해 설명하지만, 컬러 프린터에도 적용하여도 된다.
먼저, 본 실시예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주사 방향으로 연속적인 블랙 라인의 수를 카운트하고, 그 연속적인 블랙 라인의 수가 제1역치이상의 경우, 블랙 에어리어에 돌입했다고 판정해서 그 블랙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플래그(BkAreaFlag)를 온(on)으로 한다. 그리고, 그 이후의 부주사 방향의 하류 에어리어(이후 정착하는 에어리어)를 블랙 에어리어로서 취급한다. 마찬가지로, 부주사 방향으로 연속적인 화이트 라인의 수를 카운트하고, 그 연속적인 화이트 라인의 수가 제2역치이상의 경우, 블랙 에어리어로부터 탈출했다고 판정해서 블랙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플래그(BkAreaFlag)를 오프(off)로 한다. 그리고, 그 이후의 부주사 방향의 하류 에어리어를 비블랙(non-black) 에어리어로서 취급한다. 또한, 이 블랙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플래그(BkAreaFlag)의 상태에 의거하여 블랙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의 연속적인 블랙 및 화이트 라인의 수에 대한 카운터는, 부주사 방향으로 1라인전의 상류 에어리어(이전에 정착한 에어리어)에 대해 산출되고 기억부에 기억된 계수값이, 현재 처리중의 블랙 혹은 화이트 라인의 수만큼 증가되거나, 그 카운터는 클리어 된다. 또한, 그 결과를, 재차, 기억부에 격납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블랙 에어리어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기 위한 라인의 판단(블랙 라인/화이트 라인/기타)을, 해상도 600dpi에서, 9화소×31라인의 윈도우를 사용해서 행한다. 여기에서, 그 윈도우의 중심을, 주목 화소(윈도우의 왼쪽에서 제5화소, 그 윈도우의 위에서 제16라인)로 하고, 주목 화소를 포함하는 라인을 주목 라인으로 하고, 각 화소에 대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래스터 형식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 윈도우의 사이즈는, 블랙 에어리어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의 사이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더 큰 윈도우로 처리할 수도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구성도다.
이 인쇄 시스템에서는, 호스트 컴퓨터(170)와 흑백 프린터(100)가 서로 네트워크(190)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호스트 컴퓨터(170)는, 흑백 프린터(100)에 묘화 코맨드를 보내고, 이것을 받은 흑백 프린터(100)는, 그 묘화 코맨드를 인쇄가능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해서 지면에 인쇄한다.
호스트 컴퓨터(170)는, 어플리케이션(171), 프린터 드라이버(172) 및 네트워크I/F(173)을 구비한다. 어플리케이션(171)은, 호스트 컴퓨터(170)를 동작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며, 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페이지 레이아웃 문서, 워드 프로세싱 문서 또는 그래픽 문서등을 작성한다. 프린터 드라이버(172)는, 이 어플리케이션(171)에서 작성된 문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묘화 코맨드를 생성한다. 이 프린터 드라이버(172)에서 생성되는 묘화 코맨드로서는, PDL(페이지 기술언어)등의 프린터 기술언어가 있다. 또, 묘화 코맨드에는, 통상, 문자나 그래픽, 이미지 등의 데이터의 묘화 명령이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생성된 묘화 코맨드는, 네트워크I/F(173)로부터, 네트워크(190)를 거쳐서 흑백 프린터(100)에 송신된다.
다음에, 흑백 프린터(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흑백 프린터(100)에는, 콘트롤러부(101) 및 프린터부(102)가 구비되어 있다. 콘트롤러부(101)에서는, CPU(112)등의 각종 모듈이 시스템 버스(111)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RAM(114)은, ROM(113)에 격납된 프로그램 데이터를 로드 해서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CPU(112)는, 이 RAM(114)에 로드 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모듈에 코맨드를 출력해서, 프린터(102)를 동작시킨다. 또한, 각 모듈이 코맨드를 실행할 때에 생성되는 데이터 등도 RAM(114)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네트워크I/F(110)는 네트워크(190)와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네트워크I/F(110)는, 이더넷(등록상표)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네트워크(190)를 거쳐서 다른 기기로부터 묘화 코맨드를 수신하고, 또 흑백 프린터(100)의 디바이스 정보(잼(jam) 정보, 종이 사이즈 정보등)를 호스트 컴퓨터(170)에 송신한다.
표시부(116)는, 유저에의 지시나 프린터(102)의 상태들을 가리키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표시한다. 조작부(115)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다.
인터프리터(117)는, 네트워크I/F(110)를 거쳐서 수신한 묘화 코맨드를 해석해서 중간 언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렌더러(118)는, 생성된 중간언어 데이터로부터 래스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처리부(119)는, 그 생성된 래스터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색 변환처리나 룩업 테이블에 의한 감마보정처리나 의사 중간조 처리 등의 화상처리를 행한다. 화상변환부(120)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테일링 블러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선별 처리를 행하고, 프린터부(102)가 출력가능한 포맷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화상변환부(120)의 상세한 설명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콘트롤러부(101)와 접속된 프린터부(102)는, 화상변환부(120)에서 변환된 출력가능한 화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토너를 사용해서 지면 위에 화상을 형성(인쇄)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변환부(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화상변환부(120)는, 화상처리부(119)에서 화상처리가 실행된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고, 선별 처리를 행하면서, 프린터부(102)가 접수할 수 있는 포맷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해서 프린터부(102)에 출력한다.
화상변환부(120)는, 라인 폭 카운터부(401), 블랙 에어리어 판정부(402), 선별 처리부(403), 포맷 변환부(404), 라인 폭 카운트 기억부(405) 및 블랙 에어리어 판정 기억부(406)를 구비한다. 이 화상변환부(120)는, 라인 폭 카운터부(401) 및 블랙 에어리어 판정부(402)에 의한 처리에 따라, 라인 폭 카운트 기억부(405) 및 블랙 에어리어 판정 기억부(406)의 정보를 갱신한다.
이때,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들은 하드웨어로 구성되어도 되거나, 처리 기능들은 ROM(113)으로부터 RAM(114)에 로드 된 프로그램을 CPU(112)가 실행하여서 실현되어도 된다. 그 경우, 그 프로그램은, RAM(114)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RAM(114)에 기록하기 위한 기능들도 지원하는 것으로 한다.
라인 폭 카운터부(401)는, 부주사 방향의 상류 에어리어에 관해서, 1라인전의 처리시에 격납된 라인 폭 카운트 값을 라인 폭 카운트 기억부(405)로부터 판독해서, 이것들의 블랙 및 화이트의 카운트 값을 만든다. 화상변환부(120)는, 화상처리부(119)로부터 받은 주목 라인을 포함하는 부주사 방향의 하류 에어리어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장방형 직사각형의 윈도우 화상(예를 들면, 600dpi에서, 주주사 방향의 9화소, 부주사 방향의 31라인)을 취득한다. 그리고, 그것은, 이 장방형 직사각형의 윈도우 화상의 각 라인의 상태(블랙 라인, 또는 화이트 라인, 또는 기타)를, 각 라인의 흑화소수나 비율로부터 판정한다. 이때, 장방형 직사각형의 윈도우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라인 버퍼 등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각 라인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그 윈도우 화상에 있어서, 연속적인 블랙 및 화이트 라인의 수를 카운트한다. 또한, 주목 라인을 처리한 후에, 라인 폭 카운터부(401)에서 카운트한 카운트 값을 라인 폭 카운트 기억부(405)에 기록한다. 라인 폭 카운터부(401)의 상세한 처리는,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블랙 에어리어 판정부(402)는, 라인 폭 카운터부(401)에서 카운트한 연속적인 블랙 라인의 수를 라인 폭 카운트 기억부(405)로부터 판독한다. 다음에, 1라인전의 처리시에 기억된 상기 연속적인 블랙 라인의 수에 근거하여, 현재, 그 라인이 블랙 에어리어내에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블랙 에어리어 플래그를 변화시킨다. 또한, 그 판정 결과를 블랙 에어리어 판정 기억부(406)에 기록한다. 블랙 에어리어 판정부(402)의 상세한 처리는, 도 6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후술한다.
선별 처리부(403)는, 라인 폭 카운트 기억부(405)와 블랙 에어리어 판정 기억부(406)로부터 취득된 라인 폭 정보와 상기 블랙 에어리어 플래그를 기초로, 화상처리부(119)로부터 받은 화상 데이터의 선별 처리를 행한다. 선별 처리부(403)의 상세한 처리는, 도 7의 흐름도를 사용해서 후술한다.
포맷 변환부(404)는, 선별 처리부(403)에서 선별처리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부(102)가 인쇄할 수 있는 포맷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해서, 프린터부(102)에 전달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인 폭 카운터부(401)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이 흐름도는, 제1 실시예에서는 라인 폭 카운터부(401)에 의해 실현된다. 이때, 그 대신에, CPU(112)가, 이 일례를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ROM(113)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실행해도 된다.
이 처리에 의해 주목 라인은, 블랙 라인, 화이트 라인 또는 "기타"로 분류된다. 다음에, 블랙 및 화이트 라인의 연속 카운트 값과, 부주사 방향의 하류 에어리어의 흑 연속 라인 카운트 값(이하, BkLineCnt, WhLineCnt, BottomBkLineCnt)을 산출하기 위해서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우선, 단계S501에서, 라인 폭 카운터부(401)는, 1라인전에 처리한 부주사 방향의 상류 에어리어(윈도우의 1∼15라인째)의 라인 카운트 값을, 라인 폭 카운트 기억부(405)로부터 판독한다. 다음에, 이들을 BkLineCnt, WhLineCnt의 카운트 초기값으로 한다. 또한, 그 BottomBkLineCnt의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단계S502의 처리로 진행되고, 라인 폭 카운터부(401)는, 윈도우의 화상 데이터의 주목 라인(윈도우의 16라인째)의 흑화소의 수나 흑화소의 비율로부터, 그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인가, 화이트 라인인가, 또는 "기타"인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주주사 방향으로 600dpi에서 9화소단위(윈도우 폭)로 처리하는 경우에, 주목 라인의 흑화소의 수가 9일 때, 그 라인이 블랙 라인이라고, 0일 때 화이트 라인이라고, 일부의 기타의 화소수일 때는 기타라고 판정한다.
단계S502에서의 판정 결과가 블랙 라인이었던 경우에는, 단계S503의 처리로 진행되고, 연속적인 블랙 라인 카운트 값(BkLineCnt) 및 하류 에어리어의 흑연속 라인 카운트 값(BottomBkLineCnt)을 1씩 증분시킨다. 또, 화이트 라인이 도중에 끊어지기 때문에, 연속적인 화이트 라인 카운트 값(WhLineCnt)을 "0"으로 클리어해서 확정한다.
한편, 단계S502의 라인 판정 결과가 화이트 라인인 경우에는, 단계S504의 처리로 진행되고, 연속적인 화이트 라인 카운트 값(WhLineCnt)을 1씩 증분시킨다. 또, 블랙 라인이 도중에 끊어지기 때문에, 연속적인 블랙 라인 카운트 값(BkLineCnt)을 "0"으로 클리어해서 확정한다.
또한, 단계S502의 판정 결과가 "기타"인 경우에는, 단계S505의 처리로 진행되고, 블랙 및 화이트 라인 양쪽이 도중에 끊어지기 때문에, 상기 블랙 및 화이트의 라인 카운트 값(BkLineCnt, WhLineCnt)을 모두 "0"으로 클리어해서 확정한다. 이때, 카운터 값이 최대값이 된 경우에는, 그 값을 유지한다.
단계S503, 단계S504 또는 단계S505를 실행한 후, 단계S506의 처리로 진행되고, 라인 폭 카운터부(401)는, 각 카운터 값을 라인 폭 카운트 기억부(405)에 기록한다. 이들 카운트 값은, 현재의 라인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상류측에 있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의 수를 계수하는 카운터 값을 나타낸다.
다음에, 단계S507의 처리로 진행되고, 라인 폭 카운터부(401)는, 윈도우의 주목 라인의 하류측의 복수(15라인)의 각 라인에 대하여, 그 라인의 흑화소의 수나 그 라인의 흑화소의 비율로부터, 그 라인이 블랙 라인인가, 화이트 라인인가, 또는 "기타"인가를 판정한다. 다음에, 그 판정 결과가 블랙 라인인 경우에는, 단계S508의 처리로 진행되고, BkLineCnt 및 BottomBkLineCnt을 모두 1씩 증분시킨다. 또한, WhLineCnt를 확정하고, 대응한 계수를 스톱시킨다.
단계S507에서, 그 판정 결과가 화이트 라인인 경우에는, 단계S509의 처리로 진행되고, WhLineCnt을 1씩 증분시킨다. 또, BkLineCnt와 BottomBkLineCnt를 확정하고, 대응한 계수를 스톱시킨다. 단계S507에서, 그 판정 결과가 "기타"인 경우에는, 단계S510의 처리로 진행되고, BkLineCnt, WhLineCnt 및 BottomBkLineCnt를 확정하고, 대응한 계수를 스톱시킨다. 단계S508, 단계S509 또는 단계S510을 실행한 후, 단계S511의 처리로 진행된다. 이때, 상기 단계S508, 단계S509 및 단계S510에 있어서, 한번 결정된 카운터의 값은, 그 윈도우내에서, 다음 라인이 블랙 라인 또는 화이트 라인이라고 판정되는 경우에도 갱신되지 않는다. 단계S511에서, 라인 폭 카운터부(401)는, 윈도우의 하류 라인이 남아있는 것인가 아닌가(다시 말해, 15라인의 처리가 완료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그 처리가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때는 단계S507의 처리로 진행되어서, 전술의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2개의 카운터(BkLineCnt, BottomBkLineCnt)로 상기 선별처리를 제어하지만, 기타인 라인용 카운터를 유지해도 되고, 선별 처리시에 이용해도 된다. 또한, 카운터 값을 확정한 후는, 그 대응한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것을 더 이상 행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화상의 선두 라인에서는, 라인 카운터의 초기화 처리가 이루어진다.
라인 폭 카운터부(401)에 의한 블랙 라인 카운트 값의 갱신이 끝나면, 블랙 에어리어 판정부(402)로 처리가 옮겨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의 흐름도에 의하면, 9화소×31라인의 윈도우마다, 연속적인 블랙 라인수, 연속적인 화이트 라인수 및 하류 에어리어의 블랙의 연속적인 라인수를 따로 따로 카운터에 의해 취득한다. 그후, 이 윈도우를 하류측으로 이동해서 주목 라인을 하류측의 다음 라인으로 이동했을 때, 상류 라인에서 기억되어 있는 상기 카운터의 값을 판독하고, 현재의 주목 라인에 따라, 이것들 카운터의 카운트 값을 갱신한다. 이에 따라,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부주사 방향으로 연속적인 블랙 라인 및 화이트 라인의 라인수, 및 하류 에어리어에서 블랙의 연속적인 라인수를, 적은 메모리 용량으로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랙 에어리어 판정부(402)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이 흐름도에서 나타낸 처리는, 제1 실시예에서는 블랙 에어리어 판정부(402)에서 실행되지만, 그 대신에, CPU(112)가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ROM(113)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실행해도 된다.
우선, 단계S601에서, 블랙 에어리어 판정부(402)는, 1라인전에 처리한 블랙 에어리어 판정 값을 블랙 에어리어 판정 기억부(406)로부터 판독해서 블랙 에어리어 판정 값(이후, BkAreaFlag)의 초기값으로 한다. 다음에, 단계S602의 처리로 진행되고, 블랙 에어리어 판정부(402)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수에 의거하여 현재의 라인이 블랙 에어리어에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연속적인 블랙 라인의 수가 역치(InBkAreaThre)보다 큰 경우에는, 단계S603의 처리로 진행되고, 블랙 에어리어에 돌입했다고 판단하고, 블랙 에어리어 플래그를 온으로 설정한다(BkAreaFlag=True).
한편, 단계S602에서, 연속적인 블랙 라인의 수가 상기 역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6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604에서는, 블랙 에어리어 판정부(402)는, 연속적인 화이트 라인의 수에 의거하여 블랙 에어리어로부터 탈출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연속적인 화이트 라인의 수가 역치보다 큰 경우에는, 단계S605의 처리로 진행되고, 화이트 에어리어에 돌입했다고 판정하고, 그 블랙 에어리어 플래그를 오프한다(BkAreaFlag= False). 한편, 단계S604에서, 연속적인 화이트 라인의 수가 역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606의 처리로 진행되고, 블랙 에어리어의 플래그는 변화시키지 않는다.
단계S603, 단계S605 또는 단계S606을 실행한 후, 단계S607의 처리로 진행되고, 블랙 에어리어 판정부(402)는, 이것들 스텝에서 갱신 또는 유지된 블랙 에어리어 판정 값을 블랙 에어리어 판정 기억부(406)에 기록한다. 이때,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화상의 선두 라인에서는, 블랙 에어리어 플래그의 초기화 처리가 이루어진다. 블랙 에어리어 플래그의 갱신이 끝나면, 선별 처리부(403)에 옮겨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의 흐름도에 의해,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블랙의 라인이 부주사 방향으로 연속적인 라인수가 소정값(역치)이상인 블랙 에어리어가 있다고 적은 메모리 용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별 처리부(403)에 의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이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제1 실시예에서 선별처리부(403)에 의해 실행되지만, 그 대신에, CPU(112)는, 이 처리를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ROM(113)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실행해도 된다.
우선, 단계S701에서, 선별 처리부(403)는, 현재의 주목 화소가 블랙 에어리어에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블랙 에어리어 판정부(402)에 의해 판정된 블랙 에어리어 플래그(BkAreaFlag)에 의거하여 판정한다. 여기에서, 블랙 에어리어에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BkAreaFlag=True), 선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701에서, 블랙 에어리어에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70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02에서, 선별 처리부(403)는, 주목 화소를 포함하는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블랙 라인이 아닌 경우(다시 말해, BkLineCnt=0)에는, 선별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하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702에서, 블랙 라인(다시 말해, 연속적인 블랙 라인의 수(BkLineCnt))가 0이 아닐 때는, 단계S7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703에서, 선별 처리부(403)는, BkLineCnt값, BottomBkLineCnt값 및 후술하는 선별 설정 정보에 따라 선별 처리를 행한다. 이 선별 처리는, 도 8a 내지 8c 및 도 9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별 처리부(403)에 의한 선별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블랙 라인 폭 정보와, 미리 유지하고 있는 선별 설정 정보(도 9)에 근거하여, 선별 처리를 적용한 구체적인 예들을 나타낸다. 이때, 이 선별 설정 정보는, ROM(113)에 격납되어 있고, 선별 처리부(403)의 초기 설정 정보로서 프로그램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다.
도 8a는 선별 처리전을 나타내고, 도 8b는 이 선별 처리후를 나타낸다. 도 8c는 선별 패턴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 선별 설정 정보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 폭이 5라인의 경우(BkLineCnt=5라인), 엣지에 1라인을 남겨서(EdgeLine=1라인), 2라인에 선별 패턴을 적용하는(ApplyLine=2라인) 것으로 가정한다. 다시 말하면, 하기의 식(1)에서와 같이, BottomBkLineCnt값이, EdgeLine보다 크고 (EdgeLine+ApplyLine)이하일 경우에, 선별 패턴을 적용한다.
EdgeLine <BottomBkLineCnt≤(EdgeLine+ApplyLine) ···식 1
또한, 적용하는 선별 패턴은 패턴B(patternB)이어서 ApplyLine이 2라인이기 때문에, 패턴B의 하류의 2라인이 선별 처리에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참조 윈도우에 포함된 화상 데이터의 일부가, 이 패턴B의 부분에 의해 바꿔 놓여지는 것에 의해, 화상 데이터의 선별이 실행된다.
이때, 그 패턴의 사이즈는 도 8c의 4×8사이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입출력 화상의 해상도에 따라 그 사이즈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그 패턴에 등록된 흑백 패턴은, 규칙성이 있는 패턴일 필요는 없다. 또, 라인이 엣지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선별량을 억제하는 패턴을 사용하여도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랙 에어리어의 상태마다, 블랙 라인 폭에 대응하는 선별 설정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예에서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 폭이 5라인의 경우(BkLineCnt=5)에는, 선별 패턴으로서 "패턴B"를 사용하고, 적용하는 라인수(ApplyLine)는 2라인이다. 또한, 엣지 라인(EdgeLine)의 수는 1라인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도 8a와 도 8b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단계S703의 선별 처리에서는, 이 설정 정보와 카운터 정보를 기초로, 선별 패턴, EdgeLine 및 ApplyLine을 바꾸어서 선별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실시예에 따른 단계S703의 선별 처리는, 블랙 라인 폭과 블랙 에어리어 플래그가 확정된 후, 블랙 라인 폭에 근거하여, 선별 위치와 선별량을 결정한다. 즉, 현재의 주목 라인보다 앞의 라인에 대하여 선별 처리가 적용된다. 그 때문에, 선별 처리부(403)는 라인 버퍼를 가지고, 선별 처리부(403)는 라인 버퍼를 사용해서 선별 처리의 유무를 포함해서 완전하게 확정한 라인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라인 데이터를 포맷 변환부(404)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해서, 부주사 방향으로 연속적인 블랙 라인의 수를 산출할 때에, 주목 라인으로부터 부주사 방향의 상류 에어리어의 카운트는, 1라인전의 결과를 기억부에 격납한 것을 사용해서 연산을 행한다. 이에 따라, 윈도우 에어리어를 만드는 라인 버퍼의 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연산량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랙 에어리어의 판단(블랙 라인/화이트 라인/기타)을, 600dpi에서 9화소×31라인의 윈도우 단위로 했을 경우에 대해서 삭감량을 산출한다. 주주사 방향의 화상 사이즈가 13인치인 경우, 보통 7800화소×30라인×1비트의 라인 버퍼가 필요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를 적용했을 경우, 부주사 방향의 상류 에어리어의 15라인의 라인 버퍼 대신에, 블랙 및 화이트 라인용의 카운터(함께 최대4비트)와 블랙 에어리어 판정 값(1비트)의 합계 7800화소×2×(4+1)비트의 버퍼이면 된다. 즉, 7800×20비트분의 버퍼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이후의 실시예에서는 차분만을 설명한다.
도 10은, 일부의 실시예에 따른 선별 패턴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연속적인 블랙 라인 폭이 5, 6, 7 및 8라인일 경우에, 2라인의 선별 패턴A, B 및 3라인의 선별 패턴C를 적용한 예들을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선별 설정 정보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 폭마다, 어느 선별 패턴을 적용할지를 규정한다. 이 선별 설정 정보는, 예를 들면 ROM(113)에 기억되어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전술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다른 선별 처리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제1 실시예에서는, 라인 폭 카운터부(401)로부터 얻은 라인 카운터의 값으로부터 라인 폭을 결정하고, 그 라인 폭에 따라 선별 처리부(403)에서 선별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하여, 제2 실시예에서는, 장치의 특성에 따라 참조 윈도우의 사이즈를 변경 함에 의해, 부주사 방향의 상류 에어리어의 라인 카운터의 최대값을 변화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선별의 특성은,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 속도에 따라 상기 테일링 블러가 발생하는 라인 폭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참조 윈도우의 사이즈가 바뀔 때, 연속적인 라인수의 카운터 값을 바꿀 필요가 있다. 달리 말하면, 라인 폭의 카운트 기억부의 비트 폭을 증감시켜서 버퍼 메모리 용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엔진의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윈도우의 라인 폭을 16라인까지 짧게 해도 된다.
하드웨어에서 처리하는 경우에는, 최대 사이즈로 처리하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참조 윈도우 사이즈를 최적화함으로써, 연산량을 감소하고, CPU등의 프로세서의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상기의 제1 실시예에서는, 라인 폭 카운터부(401)로부터 얻은 라인 카운터의 값으로부터 라인 폭을 결정하고, 그 라인 폭에 따라 선별 처리부(403)에서 선별 처리를 실시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장치의 특성에 따라 참조 윈도우의 사이즈를 변경함으로써 상류 에어리어의 라인 카운터의 최대값을 변화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선별의 특성은, 화상형성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테일링 블러가 발생하는 라인 폭이 다른 것이다. 그렇지만, 테일링 블러가 발생하는 물리적인 라인 폭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해상도가 1200dpi인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그 해상도가 600dpi일 때에 라인 폭의 2배가 된다. 예를 들면, 해상도가 600dpi의 경우에는, 윈도우 사이즈를 16라인으로 하고, 1200dpi일 때는 그 윈도우 사이즈를 32라인으로 한다. 이렇게, 윈도우의 사이즈를 바꾸고, 연속 라인수의 카운터 값을 바꾼다. 즉, 라인 폭 카운트 기억부(405)의 비트 폭을 증감시켜서 버퍼 메모리 용량을 조정한다.
하드웨어에서 처리하는 경우에는, 최대 사이즈로 처리하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참조 윈도우 사이즈를 최적화함으로써, 연산량을 감소하고, CPU등의 프로세서의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예]
상기의 제1 실시예에서는, 라인 폭 카운터부(401)로부터 얻은 라인 카운터의 값으로부터 라인 폭을 결정하고, 그 라인 폭에 따라 선별 처리부(403)에서 선별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하여, 제4 실시예에서는, 장치의 특성에 따라 참조 윈도우의 사이즈를 변경함으로써 부주사 방향의 상류 에어리어의 라인 카운터의 최대값을 변화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선별의 특성은, 화상형성장치의 주변환경의 습도레벨에 따라 테일링 블러가 발생하는 라인 폭이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습도레벨과 온도로부터 함유 수분량을 추정해서 테일링 블러가 쉽게 일어날 수 있음을 판단하고, 예를 들면 고온다습의 경우에는 보다 큰 라인 폭을 사용하고(예를 들면, 16라인), 저온건조의 경우에는 보다 작은 라인 폭을 사용한다(예를 들면, 4라인). 이렇게 참조 윈도우의 사이즈가 바뀌면, 연속 라인수의 카운터 값을 바꿀 필요가 있다. 달리 말하면, 라인 폭 카운트 기억부(405)의 비트 폭을 증감시켜서 버퍼 메모리 용량을 조정한다.
하드웨어에서 처리하는 경우에는, 최대 사이즈로 처리하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참조 윈도우 사이즈를 최적화함으로써, 연산량을 감소하고, CPU등의 프로세서의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타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9)

  1.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및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후의 라인들 모두를 포함하는 화상 영역을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도록,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제1 수 및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제2 수에 따라,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수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이전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할 때,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수를 기억부에 기억하고,
    상기 카운트된 수는 상기 이전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검출부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제1 수를 검출할 때,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수를 검출하도록 상기 기억된 카운트된 수를 판독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는 선별 처리의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처리의 설정 정보는,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제3 수와 연관되는 상기 선별 처리에서 사용하는 패턴을,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처리부는, 화상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패턴으로 바꿔 놓는, 화상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에 포함된 블랙 화소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은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각 라인은 부주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화상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에 의해 상기 선별 처리를 실행하였던 화상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을 포함하는 화상 영역의 사이즈는,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 속도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주변 환경에 따라 변경되는, 화상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후의 상기 라인들은 부주사 방향인, 화상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기억된 카운트된 수를 판독하고,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및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후의 연속적인 라인들이 라인당 블랙 라인들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따라 상기 판독된 라인들의 수를 증가하고, 상기 증가된 라인들의 수가 역치보다 작은가를 아닌가를 판정하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증가된 수가 상기 역치보다 작고 상기 제2 수가 소정 범위내일 경우에,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전의 연속적인 화이트 라인들의 수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와,
    상기 검출된 수 및 연속적인 화이트 라인들의 상기 판정된 수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이 블랙 영역 또는 화이트 영역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제2 판정부가,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이 화이트 영역인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기억된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 이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제1 수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와, 상기 일부 영역의 화소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일부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제2 수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취득부는 버퍼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화상 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의 화소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상기 판정된 제1 수 및 상기 판정된 제2 수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상기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제1 수를 검출할 때, 상기 검출부는,
    상기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기억된 카운트된 수를 판독하고,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상기 판독된 수를 1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이라면 상기 증가된 수만큼 상기 기억된 카운트된 수를 갱신하고,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이 아니라면 0만큼 상기 기억된 카운트된 수를 갱신하고,
    연속적인 주목 라인에 대한 상기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할 때 상기 갱신된 기억된 카운트된 수는 판독되고 사용되는, 화상처리장치.
  13. 라인 버퍼 메모리의 주목 라인을 처리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목 라인 이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제1 수, 상기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인가 아닌가, 및 상기 주목 라인 이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제2 수에 따라, 상기 주목 라인에 대한 연속적인 블랙 라인의 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수에 따라, 상기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의 판정에 따라 상기 주목 라인에 대한 상기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에서, 제1 라인이 상기 주목 라인으로서 처리되고, 상기 제1 라인이 블랙 라인인 경우에, 상기 검출부는 상기 주목 라인에 대한 연속적인 블랙 라인의 상기 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1 라인 이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또다른 수를 취득하고, 상기 또다른 수를 기억부에 기억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에서, 상기 제1 라인 이후의 제2 라인이 상기 주목 라인으로서 처리되는 경우에, 상기 검출부는, 상기 주목 라인으로서 상기 제2 라인에 대한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수를 검출하도록 상기 기억부에서 상기 제1 수로서 상기 또다른 수를 판독하는, 화상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 의한 기억에서, 상기 제1 라인이 상기 주목 라인으로서 처리되는 경우,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라인 이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수를 취득하고,
    상기 제1 라인이 블랙 라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또다른 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1만큼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취득된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라인이 블랙 라인으로 판정되면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또다른 수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고,
    상기 제1 라인이 블랙 라인이 아니라고 판정된다면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또다른 수로서 0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화상처리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에서, 상기 제2 라인이 상기 주목 라인으로서 처리되는 경우에, 상기 검출부는
    상기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상기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이라면 1만큼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판독된 또다른 수를 증가시키고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증가된 수만큼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기억된 수를 갱신하고,
    상기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이 아니라면 0만큼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기억된 수를 갱신하고,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갱신된 기억된 수가, 상기 검출부가 제3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기 위한 주목 라인으로서 상기 제2 라인 이후의 제3 라인을 처리하는 경우에, 판독되고 사용되는, 화상처리장치.
  16.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화성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목 라인 이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수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주목 라인 및 상기 주목 라인 이후의 연속적인 라인들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기억부로부터, 블랙 라인들의 상기 기억된 수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취득된 라인들로부터, 상기 주목 라인 이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판독된 수 및 상기 검출된 블랙 라인들의 수에 따라, 상기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에 따라, 상기 주목 라인에 대한 상기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상기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주목 라인의 다음 라인을 위하여 1만큼 상기 기억된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기억부에서 상기 기억된 수를 갱신하는, 화상처리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1만큼 상기 기억된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1만큼 상기 판독된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기억부에 상기 기억된 수를 상기 증가된 수로 덮어쓰기함으로써 실행되는, 화상처리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목 라인을 현재의 라인으로부터 다음 라인으로 변경시키는 변경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변경된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도록, 상기 검출부에 의해 갱신된, 상기 기억부에서 상기 기억된 수를 판독하는, 화상처리장치.
  19.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장치의 화상처리방법에 있어서,
    제1 라인 이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카운트된 수를 기억부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으로서 상기 제1 라인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및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전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소정 사이즈의 화상 영역인 제1 화상 영역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부로부터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카운트된 수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단계와,
    1만큼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판독된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으로 판정되면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증가된 수만큼 상기 기억부에서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카운트된 수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이 블랙 라인이 아니라면 클리어함으로써 상기 기억부에서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카운트된 수를 갱신하는 단계와,
    적어도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판독된 기억된 수를 사용하여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라인 이후의 제2 라인을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및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후의 라인들을 포함하고, 소정 사이즈의 화상 영역인 제2 화상 영역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부로부터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상기 갱신된 카운트된 수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 이후의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을 카운트하는 단계, 및
    적어도 연속적인 블랙 라인들의 판독된 갱신된 카운트된 수 및 상기 판정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의 주목 라인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의 화상처리방법.
KR1020130137390A 2012-11-14 2013-11-13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1761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50586 2012-11-14
JP2012250586A JP6049416B2 (ja) 2012-11-14 2012-11-14 画像処理装置と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415A KR20140062415A (ko) 2014-05-23
KR101761744B1 true KR101761744B1 (ko) 2017-07-26

Family

ID=5068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390A KR101761744B1 (ko) 2012-11-14 2013-11-13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132993A1 (ko)
JP (1) JP6049416B2 (ko)
KR (1) KR101761744B1 (ko)
CN (1) CN1038130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3241B2 (ja) * 2014-10-31 2018-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5624A (ja) 2005-04-12 2006-10-2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023283A (ja) * 2007-07-23 2009-02-05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2141415A (ja) * 2010-12-14 2012-07-2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2191461A (ja) * 2011-03-11 2012-10-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4308A (ja) * 2003-04-11 2004-11-11 Canon Inc 画像形成方法
JP3826896B2 (ja) * 2003-04-14 2006-09-27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7697169B2 (en) * 2004-10-29 2010-04-13 Marvell International Technology Ltd. Laser print apparatus with toner explosion compensation
US7397970B2 (en) * 2004-12-07 2008-07-0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utomatic scene correlation and identification
JP5600524B2 (ja) * 2010-08-27 2014-10-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5624A (ja) 2005-04-12 2006-10-2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023283A (ja) * 2007-07-23 2009-02-05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2141415A (ja) * 2010-12-14 2012-07-2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2191461A (ja) * 2011-03-11 2012-10-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99767A (ja) 2014-05-29
CN103813051B (zh) 2017-01-18
US20140132993A1 (en) 2014-05-15
CN103813051A (zh) 2014-05-21
JP6049416B2 (ja) 2016-12-21
KR20140062415A (ko) 201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3740B2 (en) Image-forma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for calibrat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US1051174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576199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9383703B2 (en) Line width correction and tailing suppression
KR101810285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521558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残量推定方法
JP586300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237446B2 (en) Correcting image data by adjusting pixels at a determined distance from an edge
KR101761744B1 (ko)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JP200929061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5276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ならびに画像形成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JP618579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ページの区分方法
JP521876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67524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874343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02036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21785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19121870A (ja) 画像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54973B2 (ja) 画像形成装置
JP5790000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印刷方法
JP6440000B2 (ja) 画像処理装置
JP202302016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と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198009A (ja) 画像処理装置
JP2010034866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131943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