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102B1 - 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102B1
KR101761102B1 KR1020150015822A KR20150015822A KR101761102B1 KR 101761102 B1 KR101761102 B1 KR 101761102B1 KR 1020150015822 A KR1020150015822 A KR 1020150015822A KR 20150015822 A KR20150015822 A KR 20150015822A KR 101761102 B1 KR101761102 B1 KR 101761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request
se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3115A (ko
Inventor
마사시 하마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Direct printing, e.g. sending document file, using memory stick, printing from a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통신장치는, 제1의 통신방식과 상기 제1의 통신방식보다 통신 속도가 빠르거나 혹은 통신 거리가 긴 제2의 통신방식으로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장치는, 상기 제2의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이미 행해지고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경우에,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요구에 대응한 응답에, 상기 요구에 근거한 상기 제2의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을 위한 제어가 불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키고, 그 응답을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송신한다.

Description

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기 등에 있어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TransferJet(등록상표)등의 근접 무선통신이 이용되어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근접 무선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유저는, 장치끼리를 가까이 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장치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근접 무선통신을 거쳐서 상대장치와 접속해서 고속통신을 실시하기 위해서, 무선LAN(IEEE802.11시리즈)이나 Bluetooth(등록상표)등을 위한 설정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이 있다("Connection Handover1.2" Technical Specification(NFC Forum 2010.7.7발행)). 또한, 통신장치가, 이미 접속중의 통신매체를 사용하고, 다른 장치의 개별 식별자를 기초로 그 통신 매체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지의 판정을 행하고, 통신이 가능할 경우에는, 전송된 설정 정보에 근거하는 설정 변경을 실시하지 않고, 그 기존의 통신 매체를 사용한 통신을 계속하는 방법도 있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131175호).
상술한 기존의 통신 매체를 사용한 통신을 계속하는 방법에서는, 설정 정보가 전송된 통신장치는, 설정의 갱신을 실시하지 않고 기존의 통신 매체의 계속 이용을 행한다. 즉, 이러한 종류의 통신장치는, 전송된 설정 정보에 근거해 설정의 갱신을 하지 않는다고 하는 결과를, 다른 장치에 피드백 하지 않는다. 이렇게, 장치들을 근접시켜서 장치간의 연계 통신 서비스를 시작하는 유스 케이스의 경우, 다른 쪽의 통신장치가 기존의 설정을 계속하는 것인지, 전송된 설정 정보에 근거해 설정을 변경하는 것인지를, 대향장치는 즉시 확인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통신장치는 대향장치와 다른 설정 정보를 채용하고, 통신로의 설정을 행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서비스 개시까지의 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기존의 통신 매체를 사용해서 대향장치와 통신가능할 경우에, 여분의 처리를 방지하고, 서비스 시작까지의 소요시간을 단축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통신장치는,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하고, 제1 통신방식으로 제2 통신방식을 위한 요구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요구에서 지정된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제2 통신부가 접속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 및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요구에 포함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응답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1 판정부가 상기 서비스를 상기 통신장치가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요구를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1 판정부가 상기 서비스를 상기 통신장치가 실행할 수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제2 판정부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통신장치가 통신할 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예시하는 도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1)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프린터(102)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LAN 액세스 포인트(103)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1)의 기능 블록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프린터(102)의 기능 블록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LAN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 블록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1)의 동작 플로우를 설명하는 도다.
도 9a 및 9b는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2)의 동작 플로우를 설명하는 도다.
도 10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파트 1)다.
도 11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파트 2)다.
도 12a∼도 12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 등록 테이블 포맷의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도 13g는 핸드오버 처리용의 메시지 및 정보 레코드 포맷의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및 14b는 제2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2)의 동작 플로우를 설명하는 도다.
도 15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후술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정되는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100)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다.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100)은, 통신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101), 프린터(102) 및 무선LAN 액세스 포인트(103)(이하, 무선LAN AP)로 구성된다. 디지털 카메라(101)와 프린터(102)는, NFC통신로(104), 직접의 무선LAN통신로(105), 또는 무선LAN AP(1O3)를 통한 간접의 무선LAN통신로(105-107)를 사용해서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도 2는, 디지털 카메라(101)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카메라(101)는, 표시부(201), 조작부(202), 기억부(203), 전원부(204), 촬영부(205), 제어부(206), ROM(207), RAM(208), 무선LAN통신부(209) 및 NFC 통신부(210)를 구비한다.
표시부(201)는, 예를 들면 LCD나 LED에 의해 구성되고, 시각으로 인지가능한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User Interface)의 표시를 행한다. 조작부(202)는, 유저가 각종 입력 등을 행하고, 통신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다. 기억부(203)는, 예를 들면, HDD에 의해 구성되어, 무선통신 네트워크 정보, 데이터 송수신정보, 화상 데이터등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고, 관리한다. 전원부(204)는, 예를 들면 배터리이며, 장치 전체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유지하고, 각 하드웨어에 전력을 공급한다. 촬영부(205)는, 촬상소자, 렌즈 등으로 구성되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을 행한다. 제어부(206)는, 예를 들면 CPU이며, 디지털 카메라(101)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ROM(207)은, 제어 명령, 즉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후술하는 각종 동작은, ROM(207)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제어부(206)가 실행하여서 실현된다. RAM(208)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의 워크 메모리와 데이터의 일시 기억보존에 이용된다. 무선LAN통신부(209)는, 무선LAN통신을 행한다. 무선LAN통신부(209)는, IEEE802.11시리즈에 준거한 무선통신을 행한다. 이때,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무선LAN통신부(209)는, IEEE802.11시리즈에 준거한 무선통신을 행하는 것이라고 했지만, Bluetooth(등록상표)등의 다른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무선통신을 행해도 된다.
NFC 통신부(210)는, NFC통신을 행한다. NFC 통신부(2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 준거한 무선통신을 행한다. 또한, NFC 통신부(210)는, 통신 범위내에 있는 통신가능한 장치를 검출하면, 자동적으로 NFC통신을 확립한다. 또한, NFC통신부(210)는, NFC에 준거한 무선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무선LAN통신부(209)가 사용하는 통신방식보다, 통신 거리가 짧은 다른 통신방식을 사용한 무선통신을 행해도 된다. 또한, NFC통신부(210)는, 무선LAN통신부(209)가 사용하는 통신방식보다, 통신 속도가 느린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3은, 프린터(102)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프린터(102)의 구성에서,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101)의 구성과 비교할 때, 출력 기능을 위한 인쇄 처리부(310)는, 상기 촬영부 대신에 구비된다. 인쇄 처리부(310)는, 기억부(303)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다른 구성 요소는, 디지털 카메라(101)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무선LAN AP(1O3)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LAN AP(1O3)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디지털 카메라(101)와 프린터(102)의 구성과 비교할 때, 통신기능으로서, NFC통신부 대신에 유선LAN통신부(409)를 구비하고, 또한 촬영부 또는 인쇄 처리부를 갖지 않는다. 다른 구성요소는, 프린터(102)와 디지털 카메라(101)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디지털 카메라(101), 프린터(102) 및 무선LAN AP(1O3)의 기능 블록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101), 프린터(102) 및 무선LAN AP(1O3)의 기능 블록은, 각각 ROM 207, ROM 307, ROM 406에 프로그램으로서 기억된다. ROM 207, ROM 307, ROM 406에 기억된 프로그램은, 제어부 206, 제어부 305, 제어부 405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그 기능이 실시된다. 이때, 본 기능 블록들에 포함된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하드웨어로 구현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각 기능 블록에 포함된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디지털 카메라(101)의 기능 블록(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카메라(101)는, 무선LAN통신제어부(510), NFC통신제어부(520) 및 서비스 실행부(530)로 구성된다. 무선LAN통신제어부(510)는, 무선LAN통신부(209)를 거쳐 무선LAN통신을 제어한다. 또한, 무선LAN통신제어부(510)는, 무선LAN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는 AP 기능과, 무선LAN 단말로서 동작하는 스테이션(Station) 기능으로 구성된다. NFC 통신제어부(520)는, NFC통신부(210)를 거쳐 NFC 통신을 제어한다. 서비스 실행부(530)는, 디지털 카메라(101)가 무선LAN 통신제어부(510)를 사용해서 실행가능한 외부기기의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고, 서비스들을 실행한다. 또한, 서비스 실행부(530)는, 서비스의 식별자와, 이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실행 순서와, 서비스의 옵션 정보를, 서비스 정보로서 관리한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1)는, 일례로서, 다이렉트 인쇄 서비스를 실행가능하다. 이 다이렉트 인쇄 서비스에는, 예를 들면 "DLNA Printing", "Pictbridge", "DPOF Printing"등이 포함된다.
도 6은, 프린터(102)의 기능 블록(600)을 도시한 도면이다. 프린터(102)는, 무선LAN통신제어부(610), NFC통신제어부(620), 서비스 제어부(630), 인쇄제어부(640)로 구성된다. 무선LAN통신제어부(610)는, 무선LAN통신부(308)를 거쳐 무선LAN통신을 제어한다. 또한, 무선LAN통신제어부(610)는, 무선LAN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는 AP 기능과, 무선LAN 단말로서 동작하는 스테이션 기능으로 구성된다. NFC 통신제어부(620)는, NFC통신부(309)를 거쳐 NFC통신을 제어한다.
프린터(102)는 무선LAN통신제어부(610)를 거쳐서 외부기기에 제공가능한 서비스의 정보를 관리하고, 서비스 제어부(630)는 그 서비스를 실행한다. 서비스 제어부(630)는, 서비스(통신서비스)의 식별자와 그들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실행 순서, 서비스의 옵션 정보를, 서비스 정보로서 관리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2)는, 일례로서, 다이렉트 인쇄 서비스가 실행가능하다. 이 다이렉트 인쇄 서비스에는, 예를 들면 "DLNA Printing", "Pictbridge", "DPOF Printing"등이 포함된다. 인쇄제어부(640)는, 인쇄 처리부(310)에 의한 인쇄 처리를 제어한다. 서비스 제어부(630)는, 외부기기에 의한 요구에 따라 인쇄제어부(640)를 제어하고, 그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도 7은, 무선LAN AP(1O3)의 기능 블록(7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LAN AP(1O3)는, 무선LAN통신제어부(710), 유선LAN통신제어부(720) 및 논리 어드레스 할당 제어부(730)로 구성된다. 무선LAN통신제어부(710)는, 무선LAN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는 AP 기능을 갖춘다. 유선LAN통신제어부(720)는, 유선LAN을 위한 통신제어를 행한다. 논리 어드레스 할당 제어부(730)는, 통신을 행하는 상대장치에 대하여, 논리 어드레스(IP어드레스 등)의 할당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도 13a∼도 13g는, 핸드오버 처리용의 메시지 및, 그 메시지를 구성하는 정보 레코드 포맷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이 메시지와 정보 레코드 포맷은, NFC Forum "Connection Handover 1.2" Technical Specification에서 규정되어 있다. 핸드오버 리퀘스트 메시지(도 13a)는, 선두 레코드에, 핸드오버 리퀘스트 레코드(도 13c)를 포함한다. 핸드오버 셀렉트 메시지(도 13b)는, 선두 레코드에, 핸드오버 셀렉트 레코드(도 13d)를 포함한다. 선두 레코드의 후속에는, 참조 대상의 레코드인 "ALTERNATIVE_CARRIER_RECORD"(도 13e)에서 지정된 참조처 NDEF레코드의 실체가 매핑되어 있다.
무선LAN설정의 정보의 실체는, 참조처 NDEF레코드에 기억된다. 예를 들면, "ALTERNATIVE_CARRIER_RECORD"(도 13e)에 포함되는 "CARRIER_DATA_REFERENCE"(도 13f)에는, 참조처 NDEF레코드의 포인터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추가로 필요한 각종 설정 정보에 관해서도, 정보의 실체는, 참조처 NDEF레코드에 기억된다. 예를 들면, "ALTERNATIVE_CARRIER_RECORD"(도 13e)에 포함되는 "AUXILIARY_DATA_REFERENCE"(도 13g)에는, 참조처 NDEF 레코드의 포인터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도 12a∼도 12c는, 실시예에 따른 각 통신장치내에 구현된, 어드레스 등록 테이블의 기억 포맷의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디지털 카메라(101)와 프린터(102)가 동일한 무선LAN AP(1O3)에 접속된 경우에 각 장치의 어드레스 등록 테이블 기억 예다. 도 12b는, 무선LAN 미접속시의 프린터(102)의 어드레스 등록 테이블 기억 예다. 도 12c는, 무선LAN 직접 접속(다이렉트 접속)시의 프린터(102)의 어드레스 등록 테이블 기억 예다.
이상의 시스템 구성에 의거하여, 이하에,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1) 및 프린터(102)사이의 동작 순서에 있어서 도면들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일례로서, 디지털 카메라(101)와 프린터(102) 사이에서, P2P통신로 또는 기존 무선LAN통신로를 통하여 "DLNA Printing"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동작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8b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1)의 동작 플로우를 설명하는 도다. 이때, 제어부(206)는, 확인 처리와 판정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판정부와, 설정 정보에 대한 처리를 행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로서 기능하여도 된다. 도 9a 및 9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2)의 동작 플로우를 설명하는 도다. 이때, 제어부(305)는, 확인 처리와 판정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 판정부와,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부와, 통신용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부로서 기능하여도 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다. 도 10은, 기존의 무선LAN통신로를 이용하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통신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이고, 도 11은, 신규의 무선LAN통신로를 요구하지만 기존의 통신로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실행하는 통신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1)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NFC에 의한 통신 개시시에 이미 무선LAN AP(1O3)와 무선LAN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접속되어 있다(단계S1OOO, 단계S11OO). 또한, 도 10 및 도 11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1)는, 디폴트의 기동 요구 대상의 서비스로서, DLNA Printing 서비스가 설정(단계S1OO1, 단계S11O1)되어 있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또한, 프린터(102)는, 도 10에서, 무선LAN AP(1O3)와 무선LAN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접속되며(단계S1OOO), 도 11에서는 무선LAN AP(1O3)와의 접속이 없는 상태다(단계S11OO).
디지털 카메라(101)의 NFC통신제어부(520)가 프린터(102)의 NFC통신부(309)의 근접을 검지하면, 프린터(102)와의 통신이 NFC에 의해 확립된다(단계S801, 단계S901, 단계S1OO2, 단계S11O2).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1)의 서비스 실행부(530)는, 실행하는 서비스가 결정된 것인가 아닌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S802). 미결정된 경우에는(단계S802의 NO), 디지털 카메라(101)는, 대향장치(프린터(102))에 대한 무선LAN통신로의 설정의 요구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S810).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단계S810의 YES), 디지털 카메라(101)는, 요구에 따른 정보를 "CARRIER_DATA_REFERENCE"에 세트(단계S811)하고,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송신(단계S812)한다. 그 후에, 디지털 카메라(101)는,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린다(단계S813).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단계S810의 NO), 디지털 카메라(101)는,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린다(단계S813).
실행하는 서비스가 결정된 경우에는(단계S802의 YES), 디지털 카메라(101)는, 실행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AUXILIARY_DATA_REFERENCE"에 세트(단계S803)한다. 이 후, 디지털 카메라(101)는,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무선통신로가, 기존의 무선LAN 통신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S804). 즉, 디지털 카메라는 단계S1OOO, 단계S11OO에서 이용중의 무선LAN 통신로를 사용해서 서비스를 실시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기존의 무선LAN 통신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단계S804의 YES), 디지털 카메라(101)는, "CARRIER_DATA_REFERENCE"에, 기존의 무선LAN 통신로를 이용하는 정보를 세트(단계S805)한다. 기존의 무선LAN 통신로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S804의 NO), 디지털 카메라(101)는, "CARRIER_DATA_REFERENCE"에, 신규의 무선LAN통신로 사용을 위한 설정 정보를 세트(단계S806) 한다.
이때, 단계S804에 있어서의 기존의 무선LAN 통신로를 이용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 기준으로서,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01)내에서 실행 예정된 서비스이외의 서비스가 그 통신로를 이용중인지의 판정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도 10은, 디지털 카메라(101)가 다른 서비스를 위한 기존의 무선LAN 통신로를 이용중이 아닌 경우를 나타내고, 도 11은, 디지털 카메라(101)가 다른 서비스를 위한 기존의 무선LAN 통신로를 이용중인 경우를 나타낸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1)는, 무선LAN 통신로에서 이용하는 논리 어드레스(IP어드레스 등)의 지정이 있는 것인가 아닌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S807). 지정이 있는 경우에는(단계S807의 YES), 디지털 카메라(101)는, 논리 어드레스와 식별 정보(UUID, MAC 어드레스 등)를 총괄하여 "AUXILIARY_DATA_REFERENCE"에 세트한다(단계S808).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단계S807의 NO), 디지털 카메라(101)는, 식별 정보(UUID, MAC어드레스 등)만을, "AUXILIARY_DATA_REFERENCE"에 세트한다(단계S809). 이후, 디지털 카메라(101)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송신해(단계S812, 단계S1OO3, 단계S11O3), 대향장치인 프린터(102)로부터의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린다(단계S812).
한편, 프린터(102)는, 디지털 카메라(101)와의 NFC에 의한 통신을 확립한 후(단계S901),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린다(단계S902). 프린터(102)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수신을 검출했을 경우에, 그 메시지에서 지정된 서비스(본 실시예에서는, DLNA Printing)가 실행가능한지의 판정을 실시한다(단계S903). 프린터(102)는, 지정된 서비스를 실행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단계S903의 NO),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내의 상태가 실패로 세트되고, 반송된다(단계S917). 그 후에, 프린터(102)는, 처리 단위를 종료한다.
프린터(102)는, 지정된 서비스가 실행 가능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단계S903의 YES),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에 대향장치(디지털 카메라(101))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단계S904).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에 디지털 카메라(101)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단계S904의 YES), 프린터(102)는, 자체내의 어드레스 등록 테이블(도 12a∼도 12c)의 기억 내용을 참조하고, 그 식별 정보가 이미 등록되었는지의 판정을 행한다(단계S905).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은, 디지털 카메라(101)와 프린터(102)가 무선LAN AP(1O3)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11은, 디지털 카메라(101)가 무선LAN AP(1O3)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10의 경우에는, 프린터(102)의 어드레스 등록 테이블에는, 도 12a와 같이, 무선LAN AP(1O3)에, 디지털 카메라(101)와 프린터(102)가 접속된 것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의 경우에는, 프린터(102)의 어드레스 등록 테이블에는, 도 12b와 같이, 무선LAN AP(1O3)에, 디지털 카메라(101)가 접속하지 않고 있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단계S905의 판정에 있어서, 도 10의 경우에, 프린터(102)는, 대향장치(디지털 카메라(101))가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한다고 인식한다. 이 경우, 프린터(102)는,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의 "AUXILIARY_DATA_REFERENCE"에, 현재의 자기 장치의 논리 어드레스(IP어드레스 등)를 송신원 기기의 어드레스에 설정(단계S906)한다. 또한, 프린터(102)는, "AUXILIARY_DATA_REFERENCE"에, 기존의 접속처를 이용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설정(단계S907)한다. 그 후에, 프린터(102)는,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성공 상태를 부가한 메시지)를 반송(단계S916, 단계S1OO4)한다.
단계S905의 판정에 있어서, 도 11의 경우에, 프린터(102)는, 대향장치(디지털 카메라(101))가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인식한다. 이 경우, 프린터(102)는,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단계S1OO3)내 파라미터내의 "CARRIER_DATA_REFERENCE"을 참조하고, 설정 정보의 지정이 있는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을 행한다(단계S908). 프린터(102)는, 설정 정보의 지정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단계S908의 YES), 상기 지정된 설정 정보에 근거하는 설정 변경이 가능한가 아닌가의 판정을 행하기 위해 진행한다(단계S909). 설정 변경이 가능한가 아닌가의 구체적인 조건의 예로서는, 무선LAN의 접속 모드(애드혹(ad hoc) 모드, 다이렉트 모드 등)의 서포트의 유무의 조건이나, 이미 무선LAN통신로를 이용중인 자기 장치내의 다른 서비스가 있는가의 조건이 있다. 그러나, 핸드오버처의 무선 통신매체에 기인하는 상술한 조건이외의 조건들을 판단 기준으로서 사용하여도 된다.
단계S909의 결과, 프린터(102)가 상기 지정된 설정 정보에 근거하는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S909의 YES), 그 지정된 접속처를 이용하기 위한 파라미터 설정을 실시한다(단계S910). 프린터(102)는, 디지털 카메라(101)로부터의 설정정보의 지정이 없었을 경우(단계S908의 NO)나 설정 변경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S909의 NO), 프린터(102)는, 프린터(102)가 보유하는 설정가능한 접속 파라미터의 설정을 실시한다(단계S911). 설정가능한 접속 파라미터로서, 예를 들면 이미 자기 장치내의 다른 서비스가 무선LAN통신로를 이용중인 경우에는, 이용중의 통신로의 설정과 동일한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다음에, 프린터(102)는, 디지털 카메라(101)와의 접속 토폴로지가, P2P접속인지의 판정을 실시한다(단계S912). P2P 접속일 경우에는(단계S912의 YES), 프린터(102)는, 디지털 카메라(101)의 논리 어드레스가 미정인지가 아닌가의 판정을 행한다(단계S913). 디지털 카메라(101)의 논리 어드레스가 미정인 경우에는(단계S913의 YES), 프린터(102)는, 양쪽 장치의 논리 어드레스를 각각 생성하여, "AUXILIARY_DATA_REFERENCE"에 설정한다(단계S914). 디지털 카메라(101)의 논리 어드레스가 미정이 아닌 경우에는(단계S913의 NO), 프린터(102)는, 자신의 논리 어드레스를 디지털 카메라(101)의 논리 어드레스 체계에 의거하여 생성하여, 그것을 "AUXILIARY_DATA_REFERENCE"에 설정한다(단계S915).
또한, 접속 토폴로지가 P2P접속이 아닐 경우에는(단계S912의 NO), 프린터(102)는, "AUXILIARY_DATA_REFERENCE"의 갱신을 실시하지 않는다. 이 후, 프린터(102)는,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내에 성공 상태와, 갱신된 파라미터("CARRIER_DATA_REFERENCE", "AUXILIARY_DATA_REFERENCE")를 세트하고, 반송한다(단계S916, 단계S1OO4, 단계S11O4). 이 후, 프린터(102)는 처리 단위를 종료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1)는, 프린터(102)로부터의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에 있고, 이 메시지를 수신할 때(단계S1OO4, 단계S11O4), 접속처 파라미터 정보 "CARRIER_DATA_REFERENCE"의 내용을 확인한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1)는, 사용중인 기존의 무선LAN 통신로 이외의 정보(새로운 접속처 정보)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S814). 새로운 접속처 정보가 세트되어 있을 경우(단계S814의 YES), 디지털 카메라(101)는, 무선LAN의 설정 정보를 그 새로운 접속처로 갱신하고 접속(단계S815)을 행한다(단계S11O5, 단계S11O7). 새로운 접속처 정보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814의 NO), 기존의 접속을 유지한다(단계S1OO5).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1)는, 수신한 메시지내에 "AUXILIARY_DATA_REFERENCE"을 참조하고, 이용하는 논리 어드레스(IP어드레스 등)의 정보의 유무의 확인(단계S816)을 행한다. 논리 어드레스의 정보가 있을 경우에는(단계S816의 YES), 디지털 카메라(101)는, 그 논리 어드레스의 설정을 실시한다(단계S817). 논리 어드레스의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단계S816의 NO), 디지털 카메라(101)는, 무선LAN환경에서 이용 가능한 논리 어드레스의 입수 처리(AutoIP, DHCP 등)를 실행해(단계S818), 1처리 단위를 종료한다. 디지털 카메라(101)는, 논리 어드레스의 설정 완료 후, DLNA Printing서비스를 실행한다(단계S1OO7∼단계S1OO9, 단계S11O8∼단계S111O).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1)로부터 프린터(102)에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송신할 때, 1개의 무선LAN통신로의 설정 정보 항목만이 포함되어 있지만, 복수의 설정 정보 항목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프린터(102)측에 무선LAN 통신로의 설정 정보가 확정되기를 원하는 경우에, 디지털 카메라(101)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에, 설정 정보를 포함시키지 않고(NULL 정보를 설정해도 좋다) 송신해도 된다. 이것들의 경우에, 실제의 접속에 이용하는 무선LAN통신로의 설정 정보는, 프린터(102)로부터 디지털 카메라(101)에 반송하는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를 사용해서 통지되어(단계S1OO4, 단계S11O4), 장치간에 공유한다. 따라서, 무선LAN통신로와 논리 어드레스의 설정을 총괄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터(102)가 송신용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에 이미 이용중의 무선통신 설정의 계속 이용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부가한다. 이 때문에, 핸드오버처에서의 기존의 통신로의 상기 계속 이용정보를 공유하는 것에 의해, 여분의 무선통신 파라미터 설정 및 논리 어드레싱을 방지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새로운 접속처리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근접한 장치와 서비스의 시작전에 실행될 우려가 있는, 불필요한 무선 파라미터 설정에 기인하는 서비스 시작까지의 소요시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1)와 프린터(102) 사이의 동작 순서를, 도면들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일례로서, 디지털 카메라(101)와 프린터(102) 사이에서, 기존 무선LAN통신로, 또는 P2P통신로를 통하여 "DLNA Printing"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동작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1)의 동작 플로우를 설명하는 도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02)의 동작 플로우를 설명하는 도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퀀스를 설명하는 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1)는,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NFC에 의한 통신 개시시에 이미 무선LAN AP(1O3)와 무선LAN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접속되어 있다(단계S1500). 또한, 도 15는, 디지털 카메라(101)는, 디폴트의 기동 요구 대상의 서비스로서, DLNA를 사용한 Printing서비스가 설정(단계S1501)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프린터(102)도, 무선LAN AP(1O3)와 무선LAN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접속되어 있다(단계S1500).
디지털 카메라(101)의 NFC통신제어부(520)가 프린터(102)의 NFC통신부(309)의 근접을 검지하면, 프린터(102)와의 통신은 NFC에 의해 확립된다(단계S801, 단계S1401, 단계S1502).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1)의 서비스 실행부(530)는, 실행하는 서비스가 결정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S802). 미결정의 경우에는(단계S802의 NO), 디지털 카메라(101)는, 대향장치(프린터(102))에 대한 무선LAN통신로의 설정의 요구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에 관한 판정을 행한다(단계S810).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단계S810의 YES), 디지털 카메라(101)는, 요구에 따른 정보를 "CARRIER_DATA_REFERENCE"에 세트(단계S811)하고,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송신(단계S812)한다. 그 후에, 디지털 카메라(101)는,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린다(단계S813).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단계S810의 NO), 디지털 카메라(101)는,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린다(단계S813).
실행하는 서비스가 결정된 경우에는(단계S802의 YES), 디지털 카메라(101)는, 실행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AUXILIARY_DATA_REFERENCE"에 세트(단계S803)한다. 이후, 디지털 카메라(101)는,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무선통신로가, 기존의 무선LAN 통신로인가 아닌가의 판정(단계S804)을 실시한다. 즉, 디지털 카메라는, 단계S1500에서 이용중의 무선LAN 통신로를 사용해서 서비스를 실시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을 행한다. 기존의 무선LAN 통신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단계S804의 YES), 디지털 카메라(101)는, "CARRIER_DATA_REFERENCE"에, 기존의 무선LAN 통신로를 이용하는 정보를 세트(단계S805)한다. 기존의 무선LAN 통신로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S804의 NO), 디지털 카메라(101)는, "CARRIER_DATA_REFERENCE"에, 신규의 무선LAN통신로용의 설정 정보를 세트(단계S806) 한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1)는, 무선LAN통신로에서 이용하는 논리 어드레스(IP어드레스 등)의 지정이 있는 것인가 아닌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S807). 지정이 있는 경우에는(단계S807의 YES), 디지털 카메라(101)는, 논리 어드레스와 식별 정보(UUID, MAC 어드레스 등)를 총괄하여 "AUXILIARY_DATA_REFERENCE"에 세트한다(단계S808).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단계S807의 NO), 디지털 카메라(101)는, 식별 정보(UUID, MAC어드레스 등)만을, "AUXILIARY_DATA_REFERENCE"에 세트한다(단계S809). 이후, 디지털 카메라(101)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송신해(단계S812, 단계S1503), 대향장치인 프린터(102)로부터의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린다(단계S812).
한편, 프린터(102)는, 디지털 카메라(101)와 NFC에 의한 통신 확립 후(단계S1401),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린다(단계S1402). 프린터(102)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수신을 검출한 경우에, 그 메시지에서 지정된 서비스(본 실시예에서는 DLNA Printing)가 실행가능한지의 판정을 실시한다(단계S1403). 프린터(102)는, 지정된 서비스를 실행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단계S1403의 NO),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내의 상태는, 실패로 세트되어, 반송된다(단계S1418). 그 후에, 프린터(102)는, 처리 단위를 종료한다.
프린터(102)는 지정된 서비스를 실행 가능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단계S1403의 YES),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에 대향장치(디지털 카메라(101))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S1404).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에 디지털 카메라(101)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단계S1404의 YES), 프린터(102)는, 자기 장치내의 어드레스 등록 테이블(도 12a∼도 12c)의 기억 내용을 참조하고, 그 식별 정보가 이미 등록되었는지의 판정을 행한다(단계S1405).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5는, 디지털 카메라(101)와 프린터(102)는 무선LAN AP(1O3)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프린터(102)의 어드레스 등록 테이블에는, 도 12a와 같이, 무선LAN AP(1O3)에, 디지털 카메라(101)와 프린터(102)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단계S1405의 판정에 있어서, 도 15의 경우에, 프린터(102)는, 대향장치(디지털 카메라(101))가 동일 네트워크에 존재한다고 인식한다.
그리고, 프린터(102)는, 대향장치(디지털 카메라(101))측으로부터, "기존 접속처의 계속 이용"의 요구가 있는지의 판정을 실시한다(단계S1406). "기존 접속처의 계속 이용"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단계S1406의 YES), 프린터(102)는,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의 "AUXILIARY_DATA_REFERENCE"에 현재의 자기 장치의 논리 어드레스(IP어드레스 등)를 송신원 기기의 어드레스에 설정(단계S1407)함과 아울러, 기존 접속처의 이용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도 설정한다(단계S1408). 그 후에, 프린터(102)는,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성공 상태를 부가한 메시지)를 반송한다(단계S1417).
도 15의 경우는, "기존 접속처의 계속 이용"의 요구가 없는 경우다. 이 경우에, 프린터(102)는,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단계S1503)내의 파라미터내의 "CARRIER_DATA_REFERENCE"를 참조하고, 설정 정보의 지정이 있는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을 행한다(단계S1409). 프린터(102)는, 디지털 카메라(101)로부터 설정 정보의 지정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단계S1409의 YES), 지정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 변경이 가능한가 아닌가의 판정을 행한다(단계S1410). 설정 변경의 가부 판정의 조건의 예로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무선LAN의 접속 모드(애드혹 모드, 다이렉트 모드 등)의 서포트의 유무등이 있다.
단계S1409의 결과, 프린터(102)는, 상기 지정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단계S1410의 YES), 지정된 접속처를 이용하는 파라미터의 설정을 실시한다(단계S1411). 프린터(102)는, 디지털 카메라(101)로부터의 설정 정보의 지정이 없는 경우(단계S1409의 NO) 또는, 설정 변경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했을 경우(단계S1410의 NO), 프린터(102)가 보유하는 설정가능한 접속 파라미터의 설정을 실시한다(단계S1412). 설정가능한 접속 파라미터로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이미 자기 장치내의 다른 서비스가 무선LAN통신로를 이용중인 경우에는, 이용중의 통신로의 설정과 동일한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다음에, 프린터(102)는, 디지털 카메라(101)와의 접속 토폴로지가, P2P접속인지의 판정을 실시한다(단계S1413). P2P접속일 경우에는(단계S1413의 YES), 디지털 카메라(101)측의 논리 어드레스(IP어드레스 등)가 미정인가의 판정을 행한다(단계S1414). 디지털 카메라(101)의 논리 어드레스가 미정일 경우에는(단계S1414의 YES), 프린터(102)는, 양쪽 장치의 논리 어드레스를 각각 생성하고, "AUXILIARY_DATA_REFERENCE"에 설정한다(단계S1415). 디지털 카메라(101)의 논리 어드레스가 미정이 아닌 경우에는(단계S1414의 NO), 프린터(102)는, 자신의 논리 어드레스를 디지털 카메라(101)의 논리 어드레스 체계에 의거하여 생성하고, "AUXILIARY_DATA_REFERENCE"에 설정한다(단계S1416).
또한, P2P접속이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단계S1413의 NO), 프린터(102)는, "AUXILIARY_DATA_REFERENCE"의 갱신을 실시하지 않는다. 이후에, 프린터(102)는,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내에 성공의 상태와, 갱신한 파라미터("CARRIER_DATA_REFERENCE", "AUXILIARY_DATA_REFERENCE")를 세트하고, 반송한다(단계S1417, 단계S1504). 이후, 프린터(102)는 처리 단위를 종료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1)는, 프린터(102)로부터의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며, 이 메시지를 수신할 때(단계S1504), 접속처 파라미터 정보 "CARRIER_DATA_REFERENCE"의 내용을 확인한다. 디지털 카메라(101)는, 기존의 무선LAN 통신로를 이용하는 것 이외의 정보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확인을 행한다(단계S814).
도 15의 경우에, "기존 접속처의 계속 이용"의 요구가 없는 경우이며, "CARRIER_DATA_REFERENCE"에 기존의 무선LAN 통신로 이용이외의 정보가 세트되어 있다. 디지털 카메라(101)는, 통지된 접속처에, 무선LAN의 설정 정보를 갱신(단계S1505, 단계S1507)하고, 접속을 행한다(단계S815).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1)는, 수신한 메시지내에 "AUXILIARY_DATA_REFERENCE"을 참조하고, 이용하는 논리 어드레스(IP어드레스 등)의 정보의 유무의 확인(단계S816)을 행한다. 논리 어드레스의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단계S816의 YES), 디지털 카메라(101)는, 그 논리 어드레스의 설정을 실시한다(단계S817). 논리 어드레스의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단계S816의 NO), 디지털 카메라(101)는, 무선LAN환경에서 이용 가능한 논리 어드레스의 입수 처리(AutoIP, DHCP등)를 실행해(단계S818), 1처리 단위를 종료한다. 디지털 카메라(101)는, 논리 어드레스의 설정 완료 후, DLNA Printing서비스를 실행한다(단계S1508∼단계S1510).
또한,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01)로부터 프린터(102)에 송신하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송신할 때, 1개의 무선LAN통신로의 설정 정보 항목만을 포함하고 있지만, 복수의 설정 정보 항목도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프린터(102)측에 무선LAN통신로의 설정 정보가 확정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카메라(101)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에, 무선LAN 통신로의 설정 정보를 포함시키지 않고(NULL정보를 설정해도 좋다) 송신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실제로 접속에 이용하는 무선LAN통신로의 설정 정보는, 프린터(102)로부터 디지털 카메라(101)에 반송하는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단계S1504)를 사용해서 통지되어, 장치간에 공유하므로, 무선LAN통신로와 논리 어드레스의 설정을 총괄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는 기존의 통신로를 이용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을,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측(프린터(102)측)만의 판단에 근거하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송신측(디지털 카메라(101))의 요구를 부가해서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핸드오버처에서 실시하는 서비스를 확인하는 장치측(본 실시예에서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장치측)의 요구에 따라 접속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타의 실시예)
또한, 전술한 제1 내지 제2실시예에서는, NFC의 터치를 계기로서 사용하여 무선LAN통신로를 설정하고, 동일 통신로를 거쳐서 기기 연계 서비스를 실시할 때, 새로운 무선LAN접속 설정을 실시하지 않고, 기존의 무선LAN통신로(NFC의 터치전에 이용중이었던 무선LAN AP를 거친 통신로)를 이용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은, 복수의 무선통신 매체를 동시에 기기간에 서포트하는 경우에, 단일의 무선통신 매체를 이용해서 서비스의 기동과 다른 무선매체용의 접속 설정을 동시에 실시하는 유스 케이스들에 널리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이것은, Bluetooth를 사용해서 무선LAN의 접속 설정 정보의 통지와, 서비스의 기동 지시를 행하는 유스 케이스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제1 내지 제2실시예에 따른 NFC의 통신 모드는, 디지털 카메라(101)와 프린터(102)가 P2P통신 모드에서 동작했을 경우의 쌍방향 통신로를 사용하여,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단계S1OO3, 단계S11O3, 단계S1503)와 핸드오버 시작 요구 메시지(단계S1OO2, 단계S11O2, 단계S1502)의 송수신에 의해 상태들과 각종 설정 정보의 공유를 실시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한쪽이 리드/라이트 모드에서 동작하고, 다른 쪽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에서 동작하는, NFC의 통신 모드에 대해서는 정보 공유도 가능하고, 기기간의 공유 메모리 액세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시작 요구 메시지와 상기 서비스 시작 응답 메시지를 구성하는 정보 레코드(도 13a∼도 13g)를 판독/기록하는 방법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24)

  1. 통신장치로서,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하고, 제1 통신방식으로 제2 통신방식을 위한 요구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요구에서 지정된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제2 통신부가 접속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 및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요구에 포함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응답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1 판정부가 상기 서비스를 상기 통신장치가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요구를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송신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1 판정부가 상기 서비스를 상기 통신장치가 실행할 수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제2 판정부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통신장치가 통신할 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송신하는, 통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부에 의해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생성부는, 상기 응답에, 상기 요구에 근거한 상기 제2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을 위한 제어가 불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키는, 통신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부에 의해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생성부는, 상기 응답에, 이미 확립되어 있었던 상기 제2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로를 포함시키는, 통신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부에 의해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생성부는, 상기 응답에, 이미 행해지고 있었던 상기 제2 통신방식에 있어서의 접속처를 포함시키는, 통신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부에 의해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할 수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생성부는, 상기 응답에, 상기 요구에 근거한 상기 제2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을 위한 정보를 포함시키는, 통신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부에 의해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할 수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요구에 포함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2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을 위한 설정을 행하는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통신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에 상기 다른 통신장치가 지정하는 설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설정을 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설정부는 상기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설정을 행하는, 통신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에 상기 다른 통신장치가 지정하는 설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한 설정을 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설정부는 상기 통신장치에 보유되어 있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설정을 행하는, 통신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에 상기 다른 통신장치가 지정하는 설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설정부는 상기 통신장치에 보유되어 있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설정을 행하는, 통신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에 의한 상기 설정의 완료 후이고, 상기 다른 통신장치와의 접속 토폴로지가 P2P접속일 경우, 상기 생성부는, 상기 응답에 적어도 상기 통신장치의 어드레스를 포함시키는, 통신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있어서의 논리 어드레스가 미정일 경우, 상기 생성부는, 상기 응답에, 상기 통신장치의 논리 어드레스와 상기 다른 통신장치의 논리 어드레스를 포함시키는, 통신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있어서의 논리 어드레스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생성부는, 상기 응답에,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있어서의 논리 어드레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통신장치의 논리 어드레스를 포함시키는, 통신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정부는,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다른 통신장치가 접속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고 판정하는, 통신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의 방식인, 통신장치.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방식이 IEEE802.11시리즈에 준거한 통신방식인, 통신장치.
  16.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하고, 제1 통신방식으로 제2 통신방식을 위한 요구를 수신하고,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요구에서 지정된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방식에 의한 상기 통신에 의해 수신된 상기 요구에 포함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요구에 대응하는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서비스를 실행할 수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요구를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상기 제1 통신방식으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고,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제2 통신방식으로 접속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상기 제1 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17. 컴퓨터에, 청구항 16의 각각의 단계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18. 컴퓨터를 청구항 1에 따른 통신장치로서 기능시키는, 기억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1 판정부가 상기 서비스를 상기 통신장치가 실행할 수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제2 판정부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통신장치가 통신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다른 통신장치와 새로운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송신하는, 통신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가, 상기 다른 통신장치가 접속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다른 통신장치가 상기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통신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판정부는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제2 통신부와 접속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다른 통신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통신장치.
KR1020150015822A 2014-02-06 2015-02-02 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1761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21704A JP6360316B2 (ja) 2014-02-06 2014-02-06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4-021704 2014-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115A KR20150093115A (ko) 2015-08-17
KR101761102B1 true KR101761102B1 (ko) 2017-08-04

Family

ID=5246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822A KR101761102B1 (ko) 2014-02-06 2015-02-02 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491791B2 (ko)
EP (2) EP3413673B1 (ko)
JP (1) JP6360316B2 (ko)
KR (1) KR101761102B1 (ko)
CN (2) CN104836599B (ko)
BR (1) BR102015002720A2 (ko)
RU (1) RU2615328C2 (ko)
SG (1) SG10201500478W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9157B2 (ja) * 2013-03-27 2017-08-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プログラム
JP6381330B2 (ja) * 2014-07-23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897566B2 (ja) * 2015-11-19 2021-06-30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装置及び方法
JP6610206B2 (ja) * 2015-11-27 2019-1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069840B (zh) * 2016-02-10 2022-05-27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蓄电装置及其控制方法、充电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无线连接设定系统
CN107360614B (zh) * 2017-07-05 2019-12-10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与图像形成装置进行网络连接的方法及图像形成装置
JP7027769B2 (ja) 2017-09-29 2022-03-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A3088873A1 (en) 2018-01-05 2019-07-11 Yeti Coolers, Llc Backpack
CN109885266A (zh) * 2019-01-18 2019-06-14 联想图像(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打印机网络连接的方法、装置、系统及移动终端
JP7441051B2 (ja) 2020-01-16 2024-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2383A (zh) 2012-03-05 2013-09-18 佳能株式会社 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6538A (ja) * 2003-05-09 2004-11-25 Ricoh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及び赤外線通信装置
JP4895346B2 (ja) 2004-11-19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システム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JP5121212B2 (ja) 2006-11-17 201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当該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088946A (ja) * 2007-09-28 2009-04-23 Nec Electronics Corp 携帯情報通信端末
JP4891268B2 (ja) 2008-01-15 2012-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5188257B2 (ja) * 2008-04-30 201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350004B2 (ja) 2009-02-19 201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41496B2 (ja) * 2009-04-03 2012-05-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10158212A1 (en) * 2009-12-28 2011-06-30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JP2011199373A (ja) * 2010-03-17 2011-10-06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半導体装置
US8224246B2 (en) * 2010-05-10 2012-07-17 Nokia Corporation Device to device connection setup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
US20120100803A1 (en) * 2010-10-20 2012-04-26 Nokia Corporation Delayed and conditional transport switch
US8792429B2 (en) * 2010-12-14 2014-07-29 Microsoft Corporation Direct connection with side channel control
JP5597624B2 (ja) * 2010-12-29 2014-10-01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短距離通信を介したネットワーク設定
JP5143253B2 (ja) * 2011-04-27 2013-02-13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2244287A (ja) 2011-05-17 2012-12-10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60424B1 (ko) * 2011-05-20 2017-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3126152A (ja) * 2011-12-15 2013-06-24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情報処理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端末装置制御方法
JP2013187644A (ja) * 2012-03-06 2013-09-19 Canon Inc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253589B2 (en) * 2012-03-12 2016-02-02 Blackberry Limi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hotspot registr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MX342725B (es) * 2012-03-16 2016-10-11 Sony Corp Dispositivo de comunicación, método de comunicación, programa, y sistema de comunicación.
JP5966527B2 (ja) * 2012-03-30 2016-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5962146B2 (ja) 2012-03-30 2016-08-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019675B2 (ja) * 2012-03-30 2016-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装置
JP5945934B2 (ja) * 2012-05-09 2016-07-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6004752B2 (ja) 2012-06-04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831918B2 (en) * 2012-06-08 2017-11-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cure wireless peer-peer connection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
JP6019881B2 (ja) 2012-07-25 2016-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携帯端末
JP5974779B2 (ja) * 2012-09-27 2016-08-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8792936B2 (en) * 2012-10-01 2014-07-29 Xerox Corporation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ing close proximity protocol
JP5945961B2 (ja) 2012-12-26 2016-07-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EP2816825B1 (en) * 2013-02-13 2019-04-24 Nxp B.V. NFC-enabled Mobile Device, NFC reader and NFC system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Proximity Services
JP5838987B2 (ja) * 2013-03-28 2016-0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335466B2 (ja) 2013-10-04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50100A (ko) * 2013-10-31 2015-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상형성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WO2015068988A1 (ko) * 2013-11-06 2015-05-14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429661B1 (ko) * 2014-03-06 2022-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색자 디바이스 및 광고자 디바이스간의 서비스 세션을 성립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2383A (zh) 2012-03-05 2013-09-18 佳能株式会社 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90081A (zh) 2019-06-14
CN104836599A (zh) 2015-08-12
RU2015103919A (ru) 2016-08-27
CN104836599B (zh) 2018-11-27
KR20150093115A (ko) 2015-08-17
EP2906012B1 (en) 2018-08-08
US9491791B2 (en) 2016-11-08
EP2906012A1 (en) 2015-08-12
US9974104B2 (en) 2018-05-15
JP2015149625A (ja) 2015-08-20
EP3413673B1 (en) 2020-07-15
JP6360316B2 (ja) 2018-07-18
SG10201500478WA (en) 2015-09-29
BR102015002720A2 (pt) 2018-02-14
US20150223281A1 (en) 2015-08-06
EP3413673A1 (en) 2018-12-12
CN109890081B (zh) 2022-08-02
RU2615328C2 (ru) 2017-04-04
US20170006655A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102B1 (ko) 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US1026452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7277869B (zh) 信息处理装置以及控制方法
EP3047676B1 (en) Handover of a connection between two communication devices from nfc communication mode to wlan communication mode involving service discovery
KR101702293B1 (ko)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EP2688359B1 (en) A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CN106325782B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281467B1 (ko) 정보 처리장치, 기억매체 및 제어방법
WO2016009762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JP6544928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62191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306866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4006327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6207315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24049810A (ja) 端末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方法
JP2015095828A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