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467B1 - 정보 처리장치, 기억매체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장치, 기억매체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467B1
KR102281467B1 KR1020170155318A KR20170155318A KR102281467B1 KR 102281467 B1 KR102281467 B1 KR 102281467B1 KR 1020170155318 A KR1020170155318 A KR 1020170155318A KR 20170155318 A KR20170155318 A KR 20170155318A KR 102281467 B1 KR102281467 B1 KR 102281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pecific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8635A (ko
Inventor
다이키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8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71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 H04N1/32776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using an interactive, user-operated device, e.g. a computer terminal, mobile tele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9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adapted or bridged legacy communication protocols, e.g. emulation, protocol exten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06F3/1226Discovery of devices having required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7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2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device, e.g. in a memory or on a display separate from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6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e.g. an inductiv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an address
    • H04N2201/320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an address of an e-mail or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정보 처리장치의 서브넷과 다른 네트워크의 서브셋에 속하는 제1 외부 장치로부터, 제1 통신부를 사용하여 제1 외부 장치를 발견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유저로부터 외부 장치들을 검색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단계와, 지시의 접수와 지시를 접수하기 전의 특정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한 개 또는 복수의 외부 장치를 발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발견된 외부 장치는 제1 외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한 제어방법은, 발견된 외부 장치(들)에 관련된 정보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제2 통신부를 사용하여, 리스트에서 유저가 선택한 선택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장치, 기억매체 및 제어방법{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정보 처리장치, 기억매체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부의 장치와 통신하는 정보 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보 처리장치는,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통신 상대 장치(정보 처리장치가 통신가능한 장치)를 검색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일본국 특개 2012-39416호 공보에는, 멀티캐스트 검색과 유니캐스트 검색에 의해, 정보 처리장치가 통신가능한 장치를 발견하는 정보 처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정보 처리장치는,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에 의해, 정보 처리장치가 속해 있는 서브넷의 외부에 있는 장치를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검색 대상의 (IP 어드레스 등의) 특정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일본국 특개 2012-39416호에 기재된 정보 처리장치는,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에 사용하는 특정 정보(IP 어드레스)를,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에 의해 취득하고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는, 정보 처리장치가 이 정보 처리장치가 속해 있는 서브넷 내부만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일본국 특개 2012-39416호에 기재된 정보 처리장치의 과제는,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사용하더라도, 정보 처리장치가 속해 있는 서브넷의 외부의 장치를 발견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정보 처리장치가 속해 있는 서브넷의 외부의 장치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제어방법은,
제1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실행하고, 제2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실행하며, 정보 처리장치와, 상기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정보 처리장치와 접속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속하는, 소정의 서브넷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넷에 의해 구축되는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의 외부의 장치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1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외부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장치의 검색을 위한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지시가 유저로부터 접수된 경우, 상기 정보 처리장치가 상기 제 2 통신방식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소정의 서브넷에 속하는 상태에서, 상기 지시가 접수되기 전에 상기 제1 통신방식에 의해 수신된 상기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한개 또는 복수의 외부 장치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검색하는 특정 검색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특정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넷 중에서 상기 소정의 서브넷과는 다른 서브넷에 속하는 외부 장치가 상기 특정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되는, 상기 특정 검색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삭제
삭제
상기 특정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된 외부 장치를 포함하는 한개 또는 복수의 외부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상기 제2통신방식에 의해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정보 처리장치와 통신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통신장치가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부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1개의 서브넷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복수의 서브넷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근거리 통신부가 통신장치의 주변에 브로드캐스트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구조의 일례이다.
도 6은 근거리 통신부의 소비 전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근거리 통신부에 의한 애드버타이즈먼트정보의 송신 처리와 수신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정보 처리장치가 속하는 서브넷과 다른 서브넷에 속하는 통신장치를 검색할 때에 다양한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도 9는 정보 처리장치가 애드버타이즈먼트정보를 취득했을 때에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은 정보 처리장치가 정보 처리장치의 통신처에 대응하는 장치를 검색할 때에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1은 통신장치가 애드버타이즈먼트정보를 송신할 때에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2는 정보 처리장치가 애드버타이즈먼트정보를 취득했을 때에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3은 각각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정보의 페이로드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검색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에 대해서는, 그것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에 근거하여,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형태에 대하여 적절히 변경, 개량이 가하여진 것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1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장치 및 통신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 처리장치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폰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단말, 랩탑 퍼스널컴퓨터, 태블릿 단말, 개인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카메라 등 다양한 장치를 정보 처리장치로서 이용가능하다. 통신장치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린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 처리장치와 무선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다른 다양한 장치가 통신장치로서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터, 풀 컬러 레이저 빔 프린터, 모노크롬 프린터 등 다양한 프린터가 통신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프린터 뿐만 아니라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휴대 단말, 스마트폰, 랩탑 PC, 태블릿 단말, PDA, 디지털 카메라, 음악 재생 디바이스, 텔레비젼 등도 통신장치로서 적용가능하다. 그 이외, 복사 기능, FAX 기능, 인쇄 기능 등의 복수의 기능을 갖추는 복합기도 통신장치로서 적용가능하다.
우선,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장치(예를 들어, 휴대 단말)와, 본 실시형태의 통신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부에 대해서 도 1의 블록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예로 기재하지만, 다른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에 관해서 본 실시예는 적용가능한 것이며, 특히 도 1과 같이 기능과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처리장치(101)는,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장치다. 정보 처리장치(101)는, 입력 인터페이스(102), 중앙처리장치(CPU)(103), 판독 전용 메모리(ROM)(104),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5), 외부 기억장치(106), 출력 인터페이스(107), 표시부(108), 통신부(109), 근거리 통신부(110), 촬영 장치(111) 등의 하드웨어 구성부를 가진다.
입력 인터페이스(102)는, 물리 키보드나 버튼, 터치패널 등을 거쳐 유저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이나 동작 지시를 접수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다.
CPU(103)은, 정보 처리장치(101)의 전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제어부이다.
ROM(104)은, CPU(103)이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테이블 및 임베디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하, OS라고 한다) 프로그램 등의 고정 데이터를 격납한다.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ROM(104)에 격납되어 있는 각 제어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ROM(104)에 격납되어 있는 임베디드 OS의 관리 하에서, 스케줄링, 태스크 스위치, 인터럽트 처리 등의 소프트웨어 실행 제어를 행한다.
RAM(105)은,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하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RAM(105)은,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백업용의 1차 전지에 의해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제어변수 등의 중요한 데이터를 이 데이터를 잃지 않고 격납할 수 있다. 정보 처리장치(101)의 설정 정보, 정보 처리장치(101)의 관리 데이터 등을 격납하는 메모리 에어리어도 RAM(105)에 설치된다. 또한, RAM(105)은, CPU(103)의 주메모리와 워크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외부 기억장치(106)는, 인쇄 실행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부 기억장치(106)는, 통신장치(151)가 해석가능한 인쇄 정보를 생성하는 인쇄 정보 생성 프로그램과, 통신부(109)를 거쳐 접속하고 있는 통신장치(151)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정보 송수신 제어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 기억장치(106)는, 이들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각종 정보를 보존하고 있다. 또한, 외부 기억장치(106)는, 통신부(109)를 거쳐 다른 정보 처리장치나 인터넷으로부터 얻은 화상 데이터도 보존하고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07)는, 표시부(108)가 데이터의 표시와 정보 처리장치(101)의 상태의 통지를 행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다.
표시부(108)는, 발광 다이오드(LED, 액정 디스플레이(LCD) 등으로 구성되고, 데이터의 표시와 정보 처리장치(101)의 상태의 통지를 행한다. 이때, 표시부(108)를 터치패널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정보 처리장치(101)는, 수치 입력 키, 모드 설정 키, 결정 키, 취소 키, 전원 키 등의 키를 구비하는 소프트 키보드를 표시부(108)에 표시시킴으로써, 표시부(108)를 거쳐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해도 된다.
통신부(109)는, 통신장치(151) 등의 장치와 접속하면서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통신부(109)는, 통신장치(151) 내의 액세스 포인트(미도시)에 접속가능하다. 통신부(109)와 통신장치(151) 내의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하면, 정보 처리장치(101)와 통신장치(151)는 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09)는 무선통신으로 통신장치(151)와 직접 통신해도 된다. 이에 덧붙여 또는 이와 달리, 통신부(109)는 정보 처리장치(101)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액세스 포인트(131))를 거쳐 통신장치(151)와 통신해도 된다. 무선통신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Wireless Fidelity(Wi-Fi)(상표등록)를 들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31)로서는, 예를 들면, 무선 LAN 라우터 등의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장치(101)와 통신장치(151)가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로 접속하는 방식을 다이렉트 접속방식이라고 한다. 한편, 정보 처리장치(101)와 통신장치(151)가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접속하는 방식을 인프라스트럭쳐 접속방식이라고 한다. 통신부(109)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하드웨어를 구비해도 되고, 통신부(109)를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해도 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통신부(109)는, 근거리통신(근거리 무선통신)보다 고속으로 장거리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근거리 통신부(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10)는, 통신장치(151) 등의 장치와 무선접속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접속은 접속된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통신부(109)에 의해 사용된 통신방식과 다른 통신방식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해도 된다. 근거리 통신부(110)는, 통신장치(151) 내의 근거리 통신부(157)와 접속가능하다. 이때,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부(110)는, 장치(예를 들어, 통신장치(151))와 무선통신하기 위해 Bluetooth Low Energy(등록상표) 표준을 사용해도 된다. 이하에 있어서 Bluetooth Low Energy를 BLE라고 한다. 그 때문에, 근거리 통신부(110)는, BLE 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Generic Attribute Profile(GATT) 통신에 의해, 다른 근거리 통신부와 통신한다. 이때, 근거리 통신부(110)가 이용하는 통신방식은 BLE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near field communication(NFC)과 Bluetooth Classic(등록상표) 등의 다른 통신방식을 사용해도 된다.
촬영 장치(111)는 촬영 소자에서 촬영한 화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장치다. 디지털 데이터는 한번 RAM(105)에 격납한다. 그후, CPU(154)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가 소정의 화상 포맷으로 변환되고, 화상 데이터로서 외부 기억장치(106)에 보존된다.
통신장치(151)는, 본 실시형태의 통신장치다. 통신장치(151)는, ROM(152), RAM(153), CPU(154), 프린트 엔진(155), 통신부(156), 근거리 통신부(157), 입력 인터페이스(158), 출력 인터페이스(159), 표시부(160) 등을 가진다.
통신부(156)는, 정보 처리장치(101) 등의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갖고 있다. 이때, 이 액세스 포인트는, 정보 처리장치(101)의 통신부(109)에 접속가능하다. 더구나, 통신부(156)는 무선통신으로 정보 처리장치(101)와 다이렉트로 통신해도 된다. 이와 달리, 통신부(156)는 액세스 포인트(131)를 거쳐 정보 처리장치(101)와 다이렉트로 통신해도 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무선 통신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Wi-Fi(상표등록)을 들 수 있다. 통신부(156)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하드웨어를 구비하거나, 통신부(156)를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해도 된다.
RAM(153)은, 백업 전원을 사용하는 DRAM을 포함한다. 이때, RAM(153)은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 백업용의 전원 공급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RAM(153)은 프로그램 제어변수 등의 중요한 데이터를 이 데이터를 잃지 않고 격납할 수 있다. 또한, RAM(153)은, CPU(154)의 주메모리와 워크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RAM(153)은, 정보 처리장치(101) 등으로부터 수신한 인쇄 정보를 일단 보존하기 위한 수신 버퍼와 각종의 정보를 보존한다.
ROM(152)은, CPU(154)이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테이블, OS 프로그램 등의 고정 데이터를 격납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ROM(152)에 격납되어 있는 각 제어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ROM(152)에 격납되어 있는 임베디드 OS의 관리 하에서, 스케줄링, 태스크 스위치, 인터럽트 처리 등의 소프트웨어 실행 제어를 행한다. 또한, ROM(152)은, 통신장치(151)의 설정 정보와, 전원으로부터 전력 공급이 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도 유지할 필요가 있는 통신장치(151)의 관리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 에어리어도 포함한다.
CPU(154)은, 시스템 제어부이며, 통신장치(151)의 전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프린트 엔진(155)(화상 형성부)은, RAM(153)에 보존된 정보나 정보 처리장치(101) 등으로부터 수신한 인쇄 정보에 근거하여, 잉크 등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종이 등의 기록매체 위에 화상을 형성하여, 인쇄 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정보 처리장치(101)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정보는, 통신부(156)(고속 통신부)를 거쳐 수신한다. 통신부(156)는 근거리 통신부(157)보다도 고속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속 통신은, 특히 인쇄장치의 데이터 량이 커서 신속한 인쇄를 위해 고속 통신을 요구할 때, 통신부(156)를 사용하여 인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유리하게 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58)는, 유저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이나 동작 지시를 접수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이다. 입력 인터페이스(158)는, 물리 키보드나 버튼,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후술하는) 출력 인터페이스(159)와 입력 인터페이스(158)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실시형태를 채용하고, 이 동일한 구성을 사용하여 화면의 출력과 유저로부터의 조작의 접수를 행한다. 출력 인터페이스(159)는, 표시부(160)와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데이터의 표시와, 예를 들어, 통신장치(151)의 상태의 통지를 행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표시부(160)는, 발광 다이오드(LED), 액정 디스플레이(LCD) 등으로 구성된다. 표시부(160)는, 데이터의 표시와 통신장치(151)의 상태의 통지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유저가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선택을 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 키보드(즉, 가상 키보드)를 표시함으로써, 표시부(160)를 거쳐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해도 된다. 소프트 키보드는, 표시부(160) 상에 수치 입력 키, 모드 설정 키, 결정 키, 취소 키, 전원 키 등의 키를 구비해도 된다.
근거리 통신부(157)의 상세를 도 2에 나타낸다. 근거리 통신부(157)는, 정보 처리장치(101) 등의 장치와 무선접속하도록 구성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근거리 통신부(157)의 무선통신 방식으로서, BLE가 사용된다. 그 때문에, 통신장치의 근거리 통신부(157)는, BLE 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GATT 통신에 근거하여, 다른 장치(예를 들어, 정보 처리장치(101))의 근거리 통신부와 통신한다. 근거리 통신부(157)와 CPU(154)은, I2C 등의 버스 인터페이스를 거쳐 통신을 행한다. 근거리 통신부(157)는, CPU(201), 기억 영역(202), ROM(203) 및 RAM(204)이 포함한다. 기억 영역(202)은, CPU(154)로부터 액세스를 기록가능한 기억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기억 영역(202)에는, 근거리 통신부(110)를 거쳐 정보 처리장치(101)로부터도 액세스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RAM(204)은,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백업 전원(미도시)을 사용하는 DRAM을 포함한다. 따라서, RAM(204)은, 프로그램 제어변수 등의 중요한 데이터를 이 데이터를 잃지 않고 격납할 수 있다. RAM(204)은, CPU(201)의 주메모리와 워크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ROM(203)은, CPU(201)이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테이블, OS 프로그램 등의 고정 데이터를 격납한다. 이때, 정보 처리장치(101)의 근거리 통신부(110)도, 통신장치(151)의 근거리 통신부(157)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통신장치(151)에는, 외장형 HDD나 SD 카드 등의 메모리가 옵션 기기로서 장착되어도 되고, 통신장치(151)에 보존되는 정보는 해당 메모리에 보존되어도 된다.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장치(151)가 페리페럴 장치로서 동작하고, 정보 처리장치(101)가 센트럴 장치로서 동작한다. 이때, 페리페럴 장치인 통신장치(151)는, 후술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도록 구성된 애드버타이저로서도 동작한다. 또한, 센트럴 장치인 정보 처리장치(101)는, 애드버타이즈먼트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이니시에이터로서도 동작한다.
여기에서는, 예로서 정보 처리장치(101)와 통신장치(151)의 처리 분담(분배)을 상기한 바와 나타내었지만, 구성은 이 분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를 채용해도 된다.
여기에서, BLE 규격에 근거한 애드버타이즈먼트정보의 송신 및 GATT 통신의 개시 요구의 수신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통신장리(151)의 근거리 통신부(157)가 슬레이브 기기로서 동작하여 상기 처리를 행한다.
근거리 통신부(157)는, 2.4GHz의 주파수대를 40채널(0 내지 39ch)로 분할해서 통신을 행한다. 근거리 통신부(157)는, 40채널 중에서 37 내지 39번째의 채널을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 및 GATT 통신의 개시 요구의 수신에 이용한다. BLE 접속이 확인된 후, 근거리 통신부(157)는, 0 내지 36번째의 채널을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GATT 통신)에 이용하고 있다. 도 6에서는, 종축이 근거리 통신부(157)의 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횡축이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1개의 채널을 이용해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할 때의 소비 전력을 각 처리별로 나타내고 있다. Tx(605)은,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송신 처리에 있어서의 총 소비 전력을 나타낸다. Rx(606)은, GATT 통신의 개시 요구를 수신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 처리에 있어서의 총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송신 전력(602)은 송신 처리에서의 순간 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수신 전력(603)은 수신 처리에서의 순간 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 동작 전력(601)은, 마이크로컴퓨터가 근거리 통신부(157)를 동작하고 있는 경우의 순간 소비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Tx(605)의 전, Rx(606)의 후와, Tx(605)와 Rx(606)의 사이에서 마이크로컴퓨터가 동작하고 있는 이유는, 송신 및 수신 처리의 실행과 정지를 위해 사전에 마이크로컴퓨터가 기동하고 있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을 복수 채널을 사용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을 행하는 채널의 수에 따라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슬립 전력(604)은, 마이크로컴퓨터가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고, 근거리 통신부(157)가 전력 절약 상태에 있는 동안에, 근거리 통신부(157)의 순간 소비 전력을 나타낸다. 이때, 슬립 전력(604)은, 후술하는 도 7에 있어서의 전력 절약 시간 동안 근거리 통신부(157)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나타낸다. 근거리 통신부(157)는, 소정의 채널을 사용해서 송신 처리를 행한 후, 이 소정의 채널을 사용해서 일정시간 수신 처리를 행함으로써, 정보 처리장치(101)로부터 GATT 통신의 개시 요구가 송신되는 것을 기다린다.
근거리 통신부(157)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 처리와 수신 처리를 3회 반복한 후,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을 정지시켜 일정시간 동안 전력 절약 상태에 진입한다. 이하, 소정의 채널을 거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 처리와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수신 처리의 조합을 애드버타이즈먼트라고 한다. 동일한 채널(예를 들어, 도 7의 ch37)을 거쳐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연속된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을 애드버타이즈먼트 간격이라고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7은 채널 37을 거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연속된 송신들 사이의 애드버타이즈먼트 간격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근거리 통신부(157)는 애드버타이즈먼트 간격마다 전력 절약 상태로 진입함으로써, 근거리 통신부(157)는 소비 전력을 억제해서 동작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1회째의 애드버타이즈먼트를 행한 후 전력 절약 상태가 확립될 때까지 반복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의 횟수는, 이 반복 횟수가 3회 이하이면 임의로 변경가능하다.
도 5는, 근거리 통신부(157)가 통신장치(151)의 외부로 브로드캐스트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구조의 일례다.
통신장치(151)의 근거리 통신부(157)는, 전원이 온이 되면 초기화처리를 행하고, 애드버타이징 상태에 진입한다. 근거리 통신부(157)가 애드버타이징 상태로 진입하면, 근거리 통신부(157)는 정기적으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브로드캐스트 사이의 기간은 애드버타이즈먼트 간격에 대응한다.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헤더(501)와 페이로드(502)로 구성되는 신호이다. 헤더는, 통신장치(151)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 등의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헤더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정보 처리장치(101)가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할 때, 통신장치(151)의 존재를 인식하는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구나, 정보 처리장치(101)가 통신장치(151)에 GATT 통신의 개시 요구를 송신하면, 정보 처리장치(101)는 통신장치(151)와 BLE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헤더(501)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타입과 페이로드(502)의 크기 등의 다른 정보로 격납한다.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ADV_IND, ADV_DIRECT_IND, ADV_NONCONN_IND, ADV_SCAN_IND, SCAN_REQ 및 SCAN_RSP의 6종류를 포함한다.
ADV_IND의 타입인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불특정 다수의 센트럴 장치에 송신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다. 센트럴 장치(예를 들어, 정보 처리장치(101))는, ADV_IND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Connect Request"(즉 접속 요구)를 보낸다. 페리페럴 장치(예를 들어, 통신장치(151))는, 수신된 Connect Request(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Connect Request를 송신한 센트럴 장치와 BLE 접속을 확인한다. 이때, 센트럴 장치는, 페리페럴 장치로부터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SCAN_REQ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페리페럴 장치에 송신해도 된다. 페리페럴 장치는 센트럴 장치로부터 SCAN_REQ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하면, 페리페럴 장치는 해당 센트럴 장치에 대하여 SCAN_RSP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한다. 유리하게, 페리페럴에 의해 센트럴 장치에 대해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송신되지 않은 흘러넘치는 정보를 SCAN_RSP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로서 페리페럴에 의해 송신한다.
한편, ADV_NONCONN_IND의 타입인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페리페럴 장치로부터 센트럴 장치에 대하여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다. 센트럴 장치는, 페리페럴에 Connect Request 및/또는 SCAN_REQ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ADV_NONCONN_IND의 타입인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대해 응답한다. 그러나, 이 경우, 페리페럴 장치는 Connect Request에 응답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 경우, 페리페럴 장치는, Connect Request를 송신한 센트럴 장치와 새롭게 BLE 접속을 확립하지 않는다. 또한, 페리페럴 장치는, 센트럴 장치로부터 SCAN_REQ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SCAN_RSP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ADV_NONCON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와 마찬가지로, ADV_SCA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페리페럴 장치로부터 센트럴 장치에 대하여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다. 센트럴 장치는, 페리페럴에 Connect Request 및/또는 SCAN_REQ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ADV_NONCONN_IND의 타입인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수신에 대해 응답한다. 그러나, 이 경우, 페리페럴 장치는 센트럴 장치로부터의 Connect Request에 응답하지 않으므로, 센트럴 장치와 새롭게 BLE 접속을 확립하지 않는다. 그러나, 센트럴 장치는, SCAN_RSP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센트럴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SCAN_REQ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수신에 응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SCAN_REQ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대한 응답은, 페리페럴이 ADV_NONCON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DV_DIRECT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페리페럴 장치가 어느 한개의 센트럴 장치와 BLE 접속을 확립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ADV_NONCONN_IND 및 ADV_SCA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가 페리페럴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그러나, 전술한 것과 같이, 이와 같은 접속 상태에서는, 페리페럴 장치가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역으로, 페리페럴 장치가 어느쪽의 센트럴 장치과도 BLE 접속을 확립하고 있지 않으면, 페리페럴 장치는, ADV_IND 타입, ADV_NONCONN_IND 타입 및 ADV_SCAN_IND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페이로드(502)는, 식별 정보로서의 디바이스 명(503), 탑재 프로파일 정보, 통신장치(151)와 BLE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정보(504)와,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 전력(Tx Power)(505) 등의 정보를 격납한다. 이때, 통신장치의 식별 정보(506)를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포함시켜도 된다. 통신장치의 식별 정보(506)로서는, 통신장치의 MAC 어드레스, 통신장치의 서비스 정보, 통신장치 내의 액세스 포인트의 SSID, 패스워드 등이 해당한다. 이때,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는, 상기한 정보 이외의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 페이로드(502)에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에 대응하는 통신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가 포함된다. 이 특정 정보는 후술하는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에서 사용된다. 특정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에 대응하는 통신장치의 IP 어드레스이지만, 구성이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정보이면 어떤 정보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정보는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중에 통신장치를 발견하는데 사용되는 식별 정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은, 각각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대한 페이로드(502)의 내용이다.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해당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는 페리페럴 장치(애드버타이저)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1301)를 포함한다.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데이터(1302)를 페이로드(502)에 포함한다. ADV_NONCON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해당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는 페리페럴 장치(애드버타이저)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1303)를 포함한다. 이것은 데이터(1304)를 페이로드(502)에 더 포함한다. SCAN_REQ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SCAN_REQ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는 센트럴 장치(이니시에이터)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1305)를 포함한다. SCAN_REQ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해당 SCAN_REQ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가 송신되는 목적지 페리페럴 장치(애드버타이저)의 어드레스(1306)를 더 포함한다. SCAN_RSP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해당 SCAN_RSP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는 페리페럴 장치(애드버타이저)의 어드레스(1307)를 포함한다. SCAN_RSP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데이터(1308)를 페이로드(502)에 더 포함한다. ADV_SCA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해당 ADV_SCA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는 페리페럴 장치(애드버타이저)의 어드레스(1309)를 포함한다. ADV_SCA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데이터(1310)를 페이로드(502)에 더 포함한다.
장치(예를 들어, 센트럴 장치)는, 수신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지정된 어드레스 상세내용을 참조함으로써, 그것에 송신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예를 들어, 페리페럴 장치)을 특정하고 송신처를 설정한다. 이때, 본실시형태에서는, 페리페럴 장치로서 동작하는 통신장치(151)는, BLE 기능이 유효화되어 있을 때, ADV_IND 타입, ADV_NONCONN_IND 타입 또는 ADV_SCAN_IND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한다. 이들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1302, 데이터 1304 및 데이터 1310에 특정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나, 구성이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는 특정 정보가 포함되지 않고, 이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 후에 송신되는 SCAN_RSP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특정 정보가 포함되는 형태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ADV_SCA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는 특정 정보가 포함되지 않고, 이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 후에 송신되는 SCAN_RSP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특정 정보가 포함되는 형태를 채용해도 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과제를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1개의 서브넷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처리장치(101)가 통신장치(151)를 검색하는 형태를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장치(151)와 정보 처리장치(101) 모두가 액세스 포인트(302)에 직접 접속하여, 서브넷(301)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서브넷은 네트워크의 단위이다. 본실시형태에서는, 친기(master station)로서 동작하는 1개의 액세스 포인트와, 그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고 있고, 자기(remote station)로서 동작하는 장치들에 의해 1개의 서브넷이 구성된다. 통신장치(151)와 정보 처리장치(101)가 액세스 포인트(302)에 접속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지만, 여기에서는, 통신부 109나 통신부 156을 거쳐, WiFi 규격에 근거하여 이들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접속한다. 액세스 포인트 302는, 도 1에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 131과 유사한 외부 액세스 포인트다.
정보 처리장치(101)는, 일반적으로, 자신과 통신가능한 통신장치를 검색하는 경우,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는, 해당 검색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가 속하는 서브넷 내의 복수의 장치에 문의하는 처리이다. 이 문의는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일어나며, 검색은 정보 처리장치와 통신가능한 통신장치를 검색한다. 바꿔 말하면,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는, 한번에 복수의 장치에 검색용의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다. 정보 처리장치(101)는,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에 의해, 정보 처리장치(101)가 속하는 서브넷에 속하는 장치(정보 처리장치(101)가 속하는 서브넷 내부의 장치)를 검색 가능하다.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는, 예를 들면, Bonjour나 LLMNR 등의 프로토콜에 근거해서 행해진다.
도 3에 나타내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장치(101)는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에 의해, 동일한 서브넷에 속하는 통신장치(151)를 특정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처리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302)를 거쳐, 통신장치(151)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정보 처리장치(101)는, 통신장치(151)에 인쇄를 실행시키기 위한 인쇄 잡 등을 송신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처리장치(101)가 통신장치(151)를 검색하는 형태를 설명한다. 도 4의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서브넷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속한다. 통신장치(151)가 액세스 포인트(402)에 직접 접속하여, 통신 시스템의 서브넷(40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정보 처리장치(101)가 액세스 포인트(412)에 직접 접속하여 서브넷(411)을 형성하고 있다. 액세스 포인트 402와 액세스 포인트 412에 대한 접속 및 통신은, 예를 들면, 인터넷 회선을 거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 402와 액세스 포인트 412는, 예를 들면, LAN 등에 의해 다이렉트로 접속하고 있어도 된다. 그렇지만, 액세스 포인트 402와 액세스 포인트 412가 다이렉트로 접속해도, 어느 한개의 액세스 포인트가 친기로서 기능하고 나머지 액세스 포인트가 자기로서 기능하는 상태는 확립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 3과 같이, 통신장치(151)나 정보 처리장치(101)는, 각각의 통신부 109, 156을 거쳐, 각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접속한다. 무선 접속은 WiFi 규격에 근거하여도 된다. 액세스 포인트 402와 액세스 포인트 412는, 도 1의 액세스 포인트 131과 유사한 외부 액세스 포인트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의 서브넷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도, 서브넷끼리가 통신가능한 구성을 채용하면, 복수의 서브넷 각각에 포함되는 장치끼리가 통신하는 것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정보 처리장치(101)가 통신장치(151)를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한 후, 정보 처리장치(101)는 액세스 포인트 402와 액세스 포인트 412를 거쳐, 통신장치(151)에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장치(101)는, 통신가능한 통신장치(151)를 검색하는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 그렇지만,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복수의 서브넷으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를 거쳐 통신장치(151)를 발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에 의해서는, 검색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가 속하는 서브넷 이외의 서브넷에 속하는 장치기 검색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수의 서브넷으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처리장치(101)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다른 서브넷에 있는 통신장치(151)를 발견할 수 있으면, 다른 서브넷에 배치된 통신장치(151)와 통신한다. 그러나, 전술한 것과 같이,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정보 처리장치(101)와 다른 서브넷에 속하는 통신장치(151)를 발견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본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장치(101)와 다른 서브넷에 속하는 통신장치(151)를 발견하도록 정보 처리장치(101)를 제어하는 형태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장치(101)는,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행하여 통신장치(151)를 발견한다.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는, 통신장치(151)의 근거리 통신부(157)에 의해 송신하고 있는 특정 정보(예를 들어, 식별 정보)를 사용한다.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이 정보 처리장치(101)와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1개 이상의 특정한 장치에게 문의를 행하여, 특정한 장치(즉, 대상 장치)를 검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문의는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일어난다. 바꿔 말하면,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는, 미리 특정된 단일의 장치에 검색용의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다.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에서는, 검색 대상의 장치를 특정하기 위해, 검색 대상의 장치의 IP 어드레스 등의 정보(특정 정보)를 사용한다. 이때, 정보 처리장치(101)는,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에 의해, 정보 처리장치(101)가 속하는 서브넷과 다른 서브넷에 속하는 장치(정보 처리장치(101)가 속하는 서브넷의 외부의 장치)도 검색가능하다.
이에 따라, 정보 처리장치(101)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속하는 서브넷과 다른 서브넷에 속하는 통신장치(151)를 발견할 수 있다. 더구나, 정보 처리장치(101)는 특정 정보를 스캔하여 유니캐스트 검색에 이용한다. 이와 같은 스캔은, 유저가 특정한 대상 장치에 대한 검색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일어난다. 이와 같은 접근방법의 이점은, 유저로부터의 검색 지시가 접수/개시된 후 통신장치(151)가 특정 정보의 송신을 멈춘 경우에도, 정보 처리장치(101)가 통신장치(151)를 유니캐스트 검색에 의해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정보 처리장치(101)는, 검색 지시를 접수한 후의 타이밍에서(즉, 유저가 검색 처리를 개시한 후) 정보 처리장치(101)가 통신장치(151)의 송신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통신장치(151)를 유니캐스트 검색에 의해 발견할 수 있다.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니캐스트 검색에 사용되는 특정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여기에서는 BLE)에 의해 취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처리장치(101)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속하는 서브넷과 다른 서브넷에 속하는 통신장치(151)의 특정 정보를 용이하게(예를 들면,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고)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장치(101)가 속하는 서브넷과 다른 서브넷에 속하는 통신장치(151)를 정보 처리장치(101)가 검색할 때에 각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이때, 이 처리는 각 장치가 실행하며, 각 장치의 CPU가, 각 장치의 ROM 및 RAM 등의 기억 영역에 격납된 각종 프로그램을 각 장치의 RAM에 전개하고, 전개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우선, 통신장치(151)는, 근거리 통신부(157)에 의해,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S801)을 실행한다. 이때, 통신장치(151)가 송신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타입은, ADV_IND, ADV_NONCONN_IND 또는 ADV_SCAN_IND이다. 이때 송신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는, 특정 정보(즉, 통신장치(151)의 IP 어드레스 등의 통신장치(151)의 특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달리, 예를 들면, 이때 송신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타입이 ADV_IND나 ADV_SCAN_IND인 경우에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가 반드시 특정 정보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그 경우, 해당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한 정보 처리장치(101)는, SCAN_REQ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통신장치(151)에 송신한다. 그후, 통신장치(151)는, SCAN_RSP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때 SCAN_RSP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특정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후자의 경우에, 통신장치(151)가 ADV_IND, ADV_NONCONN_IND 또는 ADV_SCAN_IND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한 후, 정보 처리장치(101)가 특정 정보를 통신장치(151)로부터 취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정보 처리장치(101)는, 통신장치(151)로부터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해석하고, 해당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포함되는 특정 정보를 RAM(105) 등의 메모리에 보존한다(S802).
이때, 통신장치(151) 이외에도, 정보 처리장치(101)의 외부의 장치가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장치(101)는, 해당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포함되는 특정 정보를 메모리에 보존한다.
그후, 정보 처리장치(101)는, 유저가 개시한 검색 지시를 접수하여 대상 장치를 검색한다(S803). 이 지시의 접수에 응답하여, 정보 처리장치는 대상 장치의 검색을 개시한다. 정보 처리장치(101)의 통신처는 대상 장치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정보 처리장치(101)는, 우선, 유저로부터, 인쇄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선택 및, 선택된 화상 데이터의 인쇄를 행하기 위한 아이콘의 누름을 접수한다. 그후, 정보 처리장치(101)는,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인쇄 설정의 입력을 접수하고, 인쇄 잡의 송신처에 대응하는 통신장치의 설정을 접수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108)에 표시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장치(101)는, 해당 화면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프린터를 선택" 버튼의 누름을 접수함으로써, 검색 지시를 접수한다. 이때, 정보 처리장치(101)는, 도 14에 나타내는 화면에 있어서, "프린트" 버튼의 누름을 접수함으로써, "프린터를 선택" 버튼의 누름을 거쳐 선택된 통신장치에 대하여, 인쇄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인쇄 잡을 송신한다.
이어서, 정보 처리장치(101)는,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S804).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장치(101)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직접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412)에 대하여, 멀티캐스트 검색 요구를 송신한다(S805). 멀티캐스트 검색 요구에는, 예를 들면, 정보 처리장치(101)가 찾고 있는 장치의 조건(서비스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정보 처리장치(101)는, 화상 형성 기능(프린터 기능)을 갖고 있는 장치(인쇄를 실행가능한 장치)를 검색 조건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어서, 액세스 포인트 412는, 멀티캐스트 검색 요구를 수신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 412에 접속하고 있는 장치에 대하여 멀티캐스트 검색 요구를 전송하고, 해당 검색 요구에 일치하는지 아닌지의 문의를 행한다(S806). 도 4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412에 접속하고 있는 (정보 처리장치(101) 이외의)장치는 액세스 포인트 402 뿐이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 402에 대하여 문의를 행한다. 그렇지만, 액세스 포인트 402는, 액세스 포인트 402가 속하는 서브넷과 다른 서브넷에 속하는 장치에 의한 멀티캐스트 검색 요구를 접수하지 않기 때문에, 응답을 되돌리지 않는다.
이어서, 정보 처리장치(101)는,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S807). 구체적으로는, 정보 처리장치(101)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직접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412)에 대하여, 유니캐스트 검색 요구를 송신한다(S808). 유니캐스트 검색 요구에는, 예를 들면, 정보 처리장치(101)가 찾고 있는 장치의 조건(서비스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멀티캐스트 검색 요구와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장치(101)는, 화상 형성 기능(프린터 기능)을 갖고 있는 장치를 검색의 조건으로 설정하고 있다. 유니캐스트 검색 요구에는, 검색 대상의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해당 정보로서, S802에서 메모리에 보존한 특정 정보가 사용된다. 이에 따라, 정보 처리장치(101)는, 검색 대상의 장치로서 통신장치(151)를 특정하고,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어서, 액세스 포인트 412는, 유니캐스트 검색 요구를 수신한 경우, 유니캐스트 검색 요구의 목적지(검색 대상의 장치)를 확인하고, 유니캐스트 검색 요구의 경로 선택(라우팅)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검색 대상의 장치인 통신장치(151)는 액세스 포인트 402에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 402에 대하여 유니캐스트 검색 요구를 전송한다(S809).
이어서, 액세스 포인트 402는, 통신장치(151)에 대하여 유니캐스트 검색 요구를 전송하고, 해당 검색 요구에 일치하는지 아닌지의 문의를 행한다(S810). 통신장치(151)는, 유니캐스트 검색 요구를 수신한 경우, 해당 유니캐스트 검색 요구에 일치하는지(정보 처리장치(101)가 찾고 있는 장치의 조건에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811).
여기에서는, 통신장치(151)는, 화상 형성 기능의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고, 또한, 특정 정보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가 통신장치(151)의 IP 어드레스와 일치하기 때문에, 통신장치(151)는 문의에 대하여 응답을 되돌린다(S812).
이 응답은, 액세스 포인트 402 및 412를 거쳐 정보 처리장치(101)에 전송된다(S813, S814). 이때, 응답에는, 예를 들면, 응답의 송신원에 대응하는 장치의 식별 정보(이름, 기종명,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등), 해당 장치가 제공가능한 서비스의 정보, 해당 장치가 이용하는 포트의 번호 등이 포함된다.
이 응답이 수신될 때, 정보 처리장치(101)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속하는 네트워크 상에 있어서 통신장치(151)를 발견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장치(101)는, 유저로부터 접수한 검색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서,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 및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된 장치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실행한다(S815). 이때, 통신장치(151) 만이 발견되기 때문에, 통신장치(151)의 식별 정보(이름, 기종명,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등)가 리스트에 표시된다. 이때,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 및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에 의해 복수의 장치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장치가 리스트에 표시된다.
이때, 정보 처리장치(101)는, 복수의 통신장치로부터 각각의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하고 있었을 경우, 각각의 특정 정보를 메모리에 보존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장치(101)는, 보존한 각각의 특정 정보에 대해 별개의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행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장치(101)가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취득했을 때에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때,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는, 예를 들면, CPU(103)이 ROM(104)이나 외부 기억장치(106) 등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RAM(105)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는, 예를 들면, 정보 처리장치(101)의 BLE 기능이 유효화된 경우에 개시된다.
우선, S901에서는, CPU(103)은, 소정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때, 소정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다. CPU(103)은,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가 소정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예를 들면,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해석하고, 특정 정보가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또한, CPU(103)은, 예를 들면,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페이로드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함으로써 판정을 행해도 된다.
CPU(103)은, 소정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 S902에서, 해당 소정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RAM(105) 등의 메모리에 보존한다. 이때, CPU(103)은,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 전체가 아니고, 특정 정보 만을 보존하면 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CPU(103)은, 소정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재차 S901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소정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기다린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장치(101)가 정보 처리장치(101)(즉, 대상 장치)의 통신처에 대응하는 장치를 검색할 때에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때,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의 처리는, 예를 들면, CPU(103)이 ROM(104)이나 외부 기억장치(106) 등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RAM(105)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는, 예를 들면, 정보 처리장치(101)가, 정보 처리장치(101)(즉, 대상 장치)의 통신처에 대응하는 되는 장치의 검색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한 경우에 개시된다.
우선, S1001에서는, CPU(103)은,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03)은, 정보 처리장치(101)가 직접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412)에 대하여, 멀티캐스트 검색 요구를 송신한다.
이어서, S1002에서는, CPU(103)은, S1001에서 실행한 멀티캐스트 검색 요구에 대한 응답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103)은, S1001에서 실행한 멀티캐스트 검색 요구에 대한 응답이 없었다고 판정한 경우, S1003에서, 멀티캐스트 검색을 실행한 후 소정의 시간 t1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103)은, 소정의 시간 t1이 경과했다고 판정한 경우, S1006으로 진행하고, 소정의 시간 t1이 경과하고 있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CPU(103)은 재차 S1002를 실행하고 응답을 기다린다.
한편, CPU(103)은, S1001에서 실행한 멀티캐스트 검색 요구에 대한 응답이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 S1004에서, 수신한 응답의 송신원에 대응하는 장치의 정보를 RAM(105) 등의 메모리에 보존한다. 이때, 응답에는, 예를 들면, 응답의 송신원에 대응하는 장치의 식별 정보(이름, 기종명,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등), 해당 장치가 제공가능한 서비스의 정보, 해당 장치가 이용하는 포트의 번호 등이 포함된다. 그 때문에, CPU(103)은, 이들 정보를 RAM(105) 등의 메모리에 보존한다.
다음에, S1004에서, CPU(103)은, 멀티캐스트 검색을 실행한 후 소정의 시간 t2가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때, t1과 t2는 같은 시간이라도 서로 달라도 된다. CPU(103)은, 소정의 시간 t2가 경과했다고 판정한 경우, S1006으로 진행하고, 소정의 시간 t2가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CPU(103)은, 재차 S1002를 실행하고 응답을 기다린다.
S1006에서는, CPU(103)은,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03)은, 정보 처리장치(101)가 직접 접속하고 있는 액세스 포인트(412)에 대하여, 유니캐스트 검색 요구를 송신한다. 이때, CPU(103)은,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에 의해 취득한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 CPU(103)은, 특정 정보를 복수 취득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복수의 특정 정보 중에서 어느 한개를 사용해서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에 의해 어느쪽의 특정 정보도 취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S1006 내지 S1010의 처리를 생략하고,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어서, S1007에서는, CPU(103)은, S1006에서 실행한 유니캐스트 검색 요구에 대한 응답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103)은, S1006에서 실행한 유니캐스트 검색 요구에 대한 응답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S1008에서, 유니캐스트 검색을 실행한 후 소정의 시간 t3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103)은, 소정의 시간 t3이 경과했다고 판정한 경우, S1011로 진행하고, 소정의 시간 t3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CPU(103)은 재차 S1007을 실행하고 응답을 기다린다.
한편, CPU(103)은, S1006에서 실행한 유니캐스트 검색 요구에 대한 응답이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 S1009에서, 수신한 응답의 송신원에 대응하는 장치의 정보를 RAM(105) 등의 메모리에 보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응답에는, 예를 들면, 응답의 송신원에 대응하는 장치의 식별 정보(이름, 기종명,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등), 해당 장치가 제공가능한 서비스의 정보, 해당 장치가 이용하는 포트의 번호 등이 포함된다. 그 때문에, CPU(103)은, 이들 정보를 RAM(105) 등의 메모리에 보존한다.
다음에, S1010에서, CPU(103)은, 이미 취득된 특정 정보 중, 유니캐스트 검색에 아직 사용하지 않고 있는 특정 정보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103)은, 유니캐스트 검색에 사용하지 않고 있는 특정 정보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S1006으로 진행하여, 사용하지 않고 있는 특정 정보 중 어느 한개를 사용해서 유니캐스트 검색을 실행한다. 한편, CPU(103)은, 모든 특정 정보가 유니캐스트 검색에 사용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S1011로 진행한다.
S1011에서는, CPU(103)은,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 및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의 검색 결과를 표시부(108)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03)은, S1004 및 S1009에서 보존한 정보를 참조하여,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 및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된 장치에 관한 정보의 리스트를 표시부(108)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03)은,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 및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된 장치의 식별 정보(이름, 기종명,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등)를 리스트로 표시한다. 이때,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 및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된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장치를 발견할 수 없었던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108)에 표시한다.
이때, 정보 처리장치(101)는, 표시부(108)에 검색 결과를 표시한 후에,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고, 검색 결과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 중 한개를 유저에게 선택하게 요구한다(선택 접수 단계). 그리고, 선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를, 인쇄 잡의 송신처에 대응하는 통신장치로서 특정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장치(101)는, 유저로부터 인쇄 잡 송신 지시를 접수한 경우에, 미리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작성된 인쇄 잡을, 이 인쇄 잡의 송신처에 대응하는 통신장치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원하는 통신장치에게, 인쇄를 실행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채용함으로써, 정보 처리장치(101)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속하는 서브넷과 다른 서브넷에 속하는 장치를 발견하고, 발견한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성에서는,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와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을 종료한 후에, 표시부(108)에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 형태에 구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첫번째의 통신장치가 발견된 단계에서, 표시부(108)에, 발견된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해도 된다. 그리고, 정보 처리장치(101)는, 그후 새롭게 통신장치를 발견할 때마다, 발견한 통신장치를 검색 결과의 리스트에 추가해서 그 리스트를 표시해도 된다.
상기에서는, 검색 지시의 접수(S803) 후에 정보 처리장치(101)가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한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정보 처리장치(101)는, 검색 지시의 접수의 후에도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스캔을 실행한다. 즉, 정보 처리장치(101)가 검색 지시의 접수 후에도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이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포함되는 특정 정보를 적절히 RAM(105) 등의 메모리에 보존하고, 유니캐스트 검색을 실행하는 타이밍에서 적절히 그것을 사용한다.
또한, 정보 처리장치(101)는, 표시부(108)에 검색 결과를 표시한(S814) 후에도,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스캔을 실행해도 된다. 그 경우, 정보 처리장치(101)가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하고,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포함되는 특정 정보를 RAM(105) 등의 메모리에 보존할 때마다, 그 특정 정보를 사용한 유니캐스트 검색을 실행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장치(101)는, 새롭게 통신장치를 발견할 때마다, 발견한 통신장치를 검색 결과의 리스트에 추가해서 리스트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유저로부터 검색 지시를 접수하기 전부터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스캔을 실행하는 형태로 하고 있지만, 이 형태에 구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저로부터 검색 지시를 접수한 경우에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스캔을 실행하는 형태로 채용해도 된다. 그 경우, 도 9의 흐름도는, 유저로부터 검색 지시를 접수한 경우에 개시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하고 있지만,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 대신에 브로드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또한,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장치(101)가, 유저로부터 검색 지시를 접수한 경우,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와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 양쪽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정보 처리장치(101)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속하는 서브넷에 속하는 통신장치와, 정보 처리장치(101)기 하지 않은 서브넷에 속하는 통신장치의 양쪽을 발견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는, 정보 처리장치(101)는, 정보 처리장치(101)기 속하는 서브넷에 속하는 통신장치와 통신한다. 예를 들면,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에 의해 통신장치를 발견할 수 있는 경우에는,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와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의 양쪽을 실행하는 형태에서는,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와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의 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에서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이미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특정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유니캐스트 검색을 실행하는 형태로 채용했지만, 이 형태에 구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미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이 멀티캐스트 검색에 의해 발견된 경우에는, 해당 송신원을 검색하기 위한 유니캐스트 검색을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 해당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이 멀티캐스트 검색에 의해 발견되었는지 아닌지의 판정은, 해당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포함되는 어드레스의 정보와, 멀티캐스트 검색에 대한 응답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장치(101)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이 속해 있는 서브넷과, 정보 처리장치(101)가 속해 있는 서브넷의 비교를 행해도 된다. 그리고, 정보 처리장치(101)는, 이들 서브셋이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관한 정보를 보존하지 않아도 된다. 즉, 정보 처리장치(101)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이 속해 있는 서브넷과, 정보 처리장치(101)가 속해 있는 서브넷이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포함되는 특정 정보를 사용한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 이 형태에서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는, 해당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이 속하는 서브넷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정보 처리장치(101)는, 정보 처리장치(101)의 전원이 오프된 타이밍에서, 특정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특정 정보를 삭제하는 타이밍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행할 때마다,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에 사용한 검색 정보를 삭제하는 형태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 등에, 특정 정보를 삭제해도 된다.
제2실시형태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장치(151)는, 정보 처리장치(101)와 BLE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통신장치(151)가 BLE 접속을 확립해서 정보 처리장치(101)와 GATT 통신을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통신장치(151)가 애드버타이저 모드/상태에 있어서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통신장치(151)는, BLE 접속을 확립하고 있을 때에는,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감안하여, 본실시형태에서는, BLE 접속을 확립하고 있는 경우와 BLE 접속을 확립하지 않는 경우에, 송신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타입을 변경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본실시형태에서는, 제1실시형태와 유사한 통신 시스템이 사용되고, 제1실시형태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장치(151)가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할 때에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때, 도 10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예를 들면, CPU(154)이 ROM(152) 등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RAM(153)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흐름도는, 예를 들면, 통신장치(151)의 BLE 기능이 유효화된 경우에 개시된다.
우선, S1101에서, CPU(154)은,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을 개시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통신장치(151)는,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가능하다. 또한, 통신장치(151)는, ADV_NONCONN_IND 타입 및 ADV_SCAN_IND 타입 중에서 한 개 또는 전체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가능하다. 이때, CPU(154)은, 통신장치(151)가 아직 다른 장치와 BLE 접속을 확립하고 있지 않기 때문,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을 개시한다. 이때, 본실시형태에서는, 송신이 개시되는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는, 특정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에, S1102에서, CPU(154)은, Connect Request(접속 요구)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154)은, Connect Request를 수신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재차 S1102의 처리를 행하여, Connect Request를 수신할 때까지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을 계속한다. 한편, CPU(154)은, Connect Request를 수신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S1103으로 진행하여, 수신한 Connect Request를 송신한 장치와 통신장치(151) 사이에서 BLE 접속을 확립한다. CPU(154)은, 통신장치(151)가 BLE 접속을 확립하기 때문에,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을 정지한다.
S1104에서는, CPU(154)은, ADV_NONCON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을 개시한다. 바꿔 말하면, CPU(154)은, 통신장치(151)가 BLE 접속을 확립한 경우에는,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ADV_NONCON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고 있는 상태로 그것의 상태를 전환한다.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때 송신되고 있는 ADV_NONCON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는 특정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CPU(154)은, 통신장치(151)가 BLE 접속을 확립하고 있어도, ADV_NONCON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 때문에, S1104의 처리에 의해, 통신장치(151)는, 통신장치(151)가 BLE 접속을 확립한 경우에도, 특정 정보를 통신장치(151)의 외부의 장치(정보 처리장치(101) 등)에 송신할 수 있다. 그 결과, 통신장치(151)가 BLE 접속을 확립한 경우에도, 통신장치(151)의 외부의 장치가 유니캐스트 검색에 의해 통신장치(151)를 발견할 수 있다.
그후, S1105에서는, CPU(154)은, 통신장치(151)에 의한 BLE 접속이 절단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154)은, 통신장치(151)에 의한 BLE 접속이 절단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재차 S1105의 처리를 행하여, BLE 접속이 절단될 때까지, CPU(154)은 ADV_NONCON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을 계속한다. 한편, CPU(154)은, 통신장치(151)에 의한 BLE 접속이 절단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S1101로 다시 진행한다.
S1101에서는, CPU(154)은, ADV_NONCON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고 있는 상태로 그것의 상태를 전환한다. 그 결과, CPU(154)은, 다른 장치와의 BLE 접속을 다시 실행가능한 상태에 진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장치(151)는, 다른 장치와의 BLE 접속을 확립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ADV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통신장치(151)는, 다른 장치와의 BLE 접속을 확립하고, 다른 장치와의 GATT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장치(151)는, 다른 장치와의 BLE 접속을 확립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ADV_NONCON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통신장치(151)는, 다른 장치와의 BLE 접속을 확립한 후에도, 특정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때, 정보 처리장치(101)의 처리는 제1실시형태와 유사하다. 통신장치(151)가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정보 처리장치(101)는, 수신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가 ADV_IND의 타입인지 ADV_NONCONN_IND의 타입인지에 무관하게, 특정 정보를 취득하여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통신장치(151)는 다른 장치와의 BLE 접속을 확립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ADV_NONCON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하지만, 이 형태에 구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신장치(151)는, 다른 장치와의 BLE 접속을 확립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ADV_SCA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통신장치(151)는, 다른 장치와의 BLE 접속을 확립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ADV_SCAN_IND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정보 처리장치(101)로부터 SCAN_REQ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SCAN_RSP의 타입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제3실시형태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동일한 송신원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포함되는 특정 정보를 순차 갱신해서 관리함으로써, 보존할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본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와 유사한 통신 시스템이 사용되고,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장치(101)가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취득했을 때에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때, 도 12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예를 들면, CPU(103)이 ROM(104)이나 외부 기억장치(106) 등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RAM(105)에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흐름도는, 예를 들면, 정보 처리장치(101)의 BLE 기능이 유효화된 경우에 개시된다.
우선, S1201에서는, CPU(103)은, 소정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때, 소정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다. CPU(103)은,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가 소정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예를 들면,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해석하여, 특정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또한, CPU(103)는, 예를 들면,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페이로드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함으로써, 판정을 행해도 된다.
CPU(103)은, 소정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재차 S1201의 처리를 행하고, 소정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기다린다.
한편, CPU(103)은, 소정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하였다고 판정한 경우, S1202에서,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이 이미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었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과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때, CPU(103)가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 자체를 보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과, 이미 보존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을 비교하면 된다. 또한, CPU(103)은, 각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어드레스의 정보(어드레스 1301, 1303, 1307 등)를 참조함으로써 각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을 특정할 수 있다. CPU(103)은,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이, 이미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었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S1203으로 진행한다. CPU(103)은, S1203에서는,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RAM(105) 등의 메모리에 새롭게 보존한다. 이때, CPU(103)은, 이때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 전체가 아니고,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 중 적어도 특정 정보 및 어드레스의 정보를 보존하면 된다.
한편, CPU(103)은,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이 이미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었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과 동일하다고 판정한 경우, S1204로 진행한다. CPU(103)은, S1204에서는,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RAM(105) 등의 메모리에 보존하는 동시에, 해당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와 동일한 송신원으로 판정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RAM(105) 등의 메모리로부터 삭제한다. 즉, CPU(103)은, 이미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송신원이 동일한 새로운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관한 정보로 갱신한다. 이때, CPU(103)은, 전술한 것과 같이, 이때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 대신에,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 중 적어도 특정 정보 및 어드레스의 정보를 보존 또는 갱신하면 된다. 이러한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메모리에 보존하는 데이터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통신장치로부터 타입이 다른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에도, 타입마다 별개로 특정 정보를 보존하지 않고, 송신원마다 총괄하여 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통신장치의 IP 어드레스가 변경되었기 때문에, 통신장치가 송신하는 특정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 정보 처리장치(101)가 관리하고 있는 특정 정보도 갱신할 수 있다. 즉, 갱신후의 특정 정보를 사용해서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CPU(103)은, 이미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특정 정보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특정 정보의 송신원 중 어느 한 개가 소정의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의 송신원과 동일한지를 판정한다. 그후, CPU(103)은, 이미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복수의 특정 정보 중, 송신원이 동일하다고 판정된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에 포함되어 있었던 특정 정보를 갱신한다.
(기타 실시형태)
상기 구성에서는, 정보 처리장치(101)가 BLE 규격에 근거하여 애드버타이즈먼트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형태를 채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장치(101)는, 이미 통신장치(151)와 BLE 접속을 확립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GATT 통신에 의해 특정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또한, BLE 규격에 규격이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통신 규격에 근거하여 특정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각 처리는, 정보 처리장치(101)에 미리 탑재되어 있는 OS(운영체계)에 의해 실현되거나, 정보 처리장치(101)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나 각종 기억매체를 거쳐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CPU나 MPU 등)가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하는 처리라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프로그램은, 1개의 컴퓨터에서 실행시켜도, 복수의 컴퓨터를 연동시켜서 실행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한 처리의 모두를 소프트웨어에서 실현할 필요는 없고,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ASIC 등의 하드웨어로 실현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1개의 CPU에서 모든 처리를 행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CPU가 적절히 연계를 하면서 처리를 행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처리 중, 일부의 처리를 1개의 CPU가 실행하고, 그 밖의 처리를 복수의 CPU가 연계하면서 처리를 행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처리 중, 일부의 처리를 1개의 CPU가 실행하고, 그 밖의 처리를, 해당 1개의 CPU 이외의 CPU가 처리를 행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7)

  1. 제1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실행하고, 제2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실행하며, 정보 처리장치와, 상기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정보 처리장치와 접속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속하는, 소정의 서브넷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넷에 의해 구축되는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의 외부의 장치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외부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장치의 검색을 위한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지시가 유저로부터 접수된 경우, 상기 정보 처리장치가 상기 제 2 통신방식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소정의 서브넷에 속하는 상태에서, 상기 지시가 접수되기 전에 상기 제1 통신방식에 의해 수신된 상기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한개 또는 복수의 외부 장치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검색하는 특정 검색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특정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넷 중에서 상기 소정의 서브넷과는 다른 서브넷에 속하는 외부 장치가 상기 특정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되는, 상기 특정 검색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된 외부 장치를 포함하는 한개 또는 복수의 외부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상기 제2 통신방식에 의해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2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서브넷과 동일한 서브넷에 속하는 한 개 또는 복수의 외부 장치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검색하는 소정의 검색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에는, 상기 특정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된 외부 장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소정의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된 외부 장치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특정 정보가 수신된 후, 상기 지시가 접수된 경우, 복수의 특정 정보 각각을 사용하여, 상기 특정 검색 처리가 복수회 실행되는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특정 정보를 메모리에 보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검색 처리가 실행되는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특정 정보의 송신원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가, 상기 메모리에 이미 보존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정보의 송신원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가 동일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이미 보존되어 있는 상기 특정 정보를, 수신된 상기 특정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가 접수되기 전에 수신된 상기 특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검색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 제어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검색 처리가 실행된 후, 상기 특정 검색 처리가 실행되고,
    상기 지시가 접수되기 전에 수신된 상기 특정 정보의 송신원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가 상기 소정의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된 경우, 상기 소정의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된 외부 장치에 의해 송신된 상기 특정 정보를 사용하는 상기 특정 검색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 제어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검색 처리는, 인쇄를 실행가능한 장치를 검색하는 처리인 제어방법.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검색 처리는, 인쇄를 실행가능한 장치를 검색하는 처리인 제어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에, 이 외부 장치에게 인쇄를 실행시키기 위한 인쇄 잡을 상기 제2통신방식에 의해 송신하는 제어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방식은, Bluetooth Low Energy(등록상표)인 제어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방식은, Wi-Fi(상표등록)인 제어방법.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검색 처리는, 멀티캐스트 검색 처리 또는 브로드캐스트 검색 처리인 제어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검색 처리는, 유니캐스트 검색 처리인 제어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특정 정보의 송신원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의 IP 어드레스인 제어방법.
  16. 제1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실행하고, 제2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실행하며, 정보 처리장치와, 상기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정보 처리장치와 접속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속하는, 소정의 서브넷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넷에 의해 구축되는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정보 처리장치로서,
    상기 제1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정보 처리장치의 외부의 장치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와,
    상기 외부 장치의 검색을 위한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도록 구성된 접수부와,
    상기 지시가 유저로부터 접수된 경우, 상기 정보 처리장치가 상기 제 2 통신방식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소정의 서브넷에 속하는 상태에서, 상기 지시가 접수되기 전에 상기 제1 통신방식에 의해 수신된 상기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한개 또는 복수의 외부 장치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검색하는 특정 검색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검색부로서, 상기 특정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넷 중에서 상기 소정의 서브넷과는 다른 서브넷에 속하는 외부 장치가 상기 특정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되는, 상기 검색부와,
    상기 특정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된 외부 장치를 포함하는 한개 또는 복수의 외부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와,
    상기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상기 제2통신방식에 의해 실행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장치.
  17. 제1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실행하고, 제2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실행하며, 정보 처리장치와, 상기 제2 통신방식으로 상기 정보 처리장치와 접속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속하는, 소정의 서브넷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넷에 의해 구축되는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정보 처리장치의 컴퓨터에,
    상기 정보 처리장치의 외부의 장치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1통신방식에 의해 상기 외부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장치의 검색을 위한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지시가 유저로부터 접수된 경우, 상기 정보 처리장치가 상기 제 2 통신방식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소정의 서브넷에 속하는 상태에서, 상기 지시가 접수되기 전에 상기 제1 통신방식에 의해 수신된 상기 특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2 통신방식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한개 또는 복수의 외부 장치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검색하는 특정 검색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특정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넷 중에서 상기 소정의 서브넷과는 다른 서브넷에 속하는 외부 장치가 상기 특정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되는, 상기 특정 검색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검색 처리에 의해 발견된 외부 장치를 포함하는 한개 또는 복수의 외부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상기 제2통신방식에 의해 실행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70155318A 2016-11-24 2017-11-21 정보 처리장치, 기억매체 및 제어방법 KR102281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8397 2016-11-24
JP2016228397A JP6873660B2 (ja) 2016-11-24 2016-11-24 情報処理装置、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635A KR20180058635A (ko) 2018-06-01
KR102281467B1 true KR102281467B1 (ko) 2021-07-26

Family

ID=60484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318A KR102281467B1 (ko) 2016-11-24 2017-11-21 정보 처리장치, 기억매체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440222B2 (ko)
EP (1) EP3328034B1 (ko)
JP (1) JP6873660B2 (ko)
KR (1) KR102281467B1 (ko)
CN (1) CN1081081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9520B2 (ja) * 2018-07-31 2022-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98138B2 (ja) * 2018-11-27 2023-06-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JP2020145557A (ja) * 2019-03-05 2020-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20204840A (ja) * 2019-06-14 2020-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50390A1 (en) * 2021-08-12 2023-02-16 Dish Network L.L.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video sig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9264A1 (en) * 2009-10-22 2011-04-28 Xerox Corporation Network device discovery
US20120164947A1 (en) * 2002-02-25 2012-06-28 David Kammer Bypassing bluetooth discovery for devices in a special list
US20150264514A1 (en) * 2014-03-17 2015-09-17 Emily H. Qi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witching between lower energy and higher energ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0481B2 (en) * 2008-03-24 2012-05-0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iscovering services provided in a wireless network
KR101500333B1 (ko) * 2008-09-08 201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 장치 탐색 방법 및 장치
JP5300562B2 (ja) * 2009-03-31 2013-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39416A (ja) 2010-08-06 2012-02-2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情報処理装置、同装置による検索方法及び検索プログラム
US20120287460A1 (en) 2011-05-09 2012-11-15 Mcmillin Lyle Bruce Methods and systems of mobile discovery and printing configuration
US9319828B2 (en) 2013-06-24 2016-04-19 Csr Technology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devices
WO2015092484A1 (en) 2013-12-17 2015-06-2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use of services available via wireless connection
JP2016012910A (ja) 2014-06-06 2016-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30116B2 (en) 2014-10-23 2017-11-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device discovery
JP6740618B2 (ja) * 2015-02-25 2020-08-19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
US9949063B2 (en) * 2015-06-01 2018-04-17 Apple Inc. Bluetooth low energy triggering NAN for further discovery and conn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4947A1 (en) * 2002-02-25 2012-06-28 David Kammer Bypassing bluetooth discovery for devices in a special list
US20110099264A1 (en) * 2009-10-22 2011-04-28 Xerox Corporation Network device discovery
US20150264514A1 (en) * 2014-03-17 2015-09-17 Emily H. Qi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witching between lower energy and higher energ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8034A1 (en) 2018-05-30
CN108108134A (zh) 2018-06-01
JP2018085657A (ja) 2018-05-31
US10440222B2 (en) 2019-10-08
US10848640B2 (en) 2020-11-24
CN108108134B (zh) 2021-07-09
US20200014819A1 (en) 2020-01-09
US20180146113A1 (en) 2018-05-24
JP6873660B2 (ja) 2021-05-19
KR20180058635A (ko) 2018-06-01
EP3328034B1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467B1 (ko) 정보 처리장치, 기억매체 및 제어방법
CN107277869B (zh) 信息处理装置以及控制方法
KR102130070B1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의 제어방법
JP6776055B2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3247168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program
US2019023925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0784855B (zh) 通信装置和控制方法
KR102617025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제어 방법
US11386464B2 (en) Control method
EP41611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19193143A (ja) 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507333B2 (en)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428408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7135722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17135599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17135770A (zh) 通信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2023173888A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8118879A (zh) 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18118880A (zh) 控制方法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