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836B1 - 웨빙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웨빙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836B1
KR101759836B1 KR1020160057418A KR20160057418A KR101759836B1 KR 101759836 B1 KR101759836 B1 KR 101759836B1 KR 1020160057418 A KR1020160057418 A KR 1020160057418A KR 20160057418 A KR20160057418 A KR 20160057418A KR 101759836 B1 KR101759836 B1 KR 101759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otating body
take
gear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380A (ko
Inventor
겐지 후쿠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140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60R22/3413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38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bel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과제) 권취축과 회전체 사이에 탄성 지지 부재를 용이하게 걸친다.
(해결 수단) 웨빙 권취 장치 (10) 에서는, V 기어 (46) 의 걸어맞춤 프레임과 로크 베이스 (26) 의 걸림면 (32)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걸쳐져 있다. 여기에서, 로크 베이스 (26) 의 유지홈 (30) 에 노출부 (34) 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된 압축 코일 스프링 (48) 에 노출부 (34) 측으로부터 걸어맞춤 프레임이 걸어맞춰짐으로써, V 기어 (46) 와 로크 베이스 (26)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걸쳐진다. 이 때문에, V 기어 (46) 와 로크 베이스 (26)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을 용이하게 걸칠 수 있다.

Description

웨빙 권취 장치{WEBBING TAKE-UP DEVICE}
본 발명은,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이 권취축에 권취되는 웨빙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에서는, 벨트 샤프트에 컨트롤 디스크가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어 있으며, 벨트 샤프트와 컨트롤 디스크 사이에 스프링이 걸쳐져 있다.
여기에서, 이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에서는, 벨트 샤프트에 컨트롤 디스크가 조립되기 전에, 컨트롤 디스크에 있어서의 1 쌍의 핀 사이에 스프링이 걸쳐진다. 또한, 벨트 샤프트에 컨트롤 디스크가 조립될 때, 일방의 핀이 벨트 샤프트에 조립됨과 함께 컨트롤 디스크로부터 분리되어, 벨트 샤프트와 컨트롤 디스크 사이에 스프링이 걸쳐진다.
독일 특허출원공개 제102010025234호 명세서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권취축과 회전체 사이에 탄성 지지 부재를 용이하게 걸칠 수 있는 웨빙 권취 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는,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이 권취되고, 상기 웨빙이 인출됨으로써 인출 방향으로 회전되는 권취축과, 상기 권취축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는 회전체와, 상기 권취축과 상기 회전체 사이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권취축에 대해 상기 회전체를 인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권취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게 되고,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권취축이 상기 회전체에 대해 인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권취축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는 탄성 지지 부재와, 상기 권취축 및 상기 회전체의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권취축에 상기 회전체가 조립되기 전에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길이 방향 외측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유지부와, 상기 권취축 및 상기 회전체의 타방에 형성되고,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길이 방향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권취축과 상기 회전체 사이에 상기 탄성 지지 부재가 걸쳐지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길이 방향에 있어서 자연 길이로 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길이 방향에 있어서 압축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 내로 상기 탄성 지지 부재가 삽입됨과 함께, 상기 유지부 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 지지 부재가 길이 방향 외측으로 노출된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길이 방향에 있어서 만곡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에 상기 유지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유지부가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인출 방향측으로 노출시킴과 함께, 상기 회전체에 상기 유지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유지부가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인출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노출시킨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이 권취축에 권취되어 있고, 웨빙이 인출됨으로써 권취축이 인출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권취축에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어 있으며, 권취축과 회전체 사이에 탄성 지지 부재가 걸쳐짐으로써, 탄성 지지 부재가 권취축에 대해 회전체를 인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권취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 탄성 지지 부재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권취축이 회전체에 대해 인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권취축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여기에서, 권취축 및 회전체의 일방에 유지부가 형성됨과 함께, 권취축 및 회전체의 타방에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권취축에 회전체가 조립되기 전에 유지부가 탄성 지지 부재를 길이 방향 외측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유지부에 유지되는 탄성 지지 부재에 길이 방향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짐으로써, 권취축과 회전체 사이에 탄성 지지 부재가 걸쳐진다.
이 때문에, 유지부에 유지되는 탄성 지지 부재에 길이 방향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부를 용이하게 걸어맞출 수 있어, 권취축과 회전체 사이에 탄성 지지 부재를 용이하게 걸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유지부가 탄성 지지 부재를 길이 방향에 있어서 자연 길이로 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유지부에 탄성 지지 부재를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유지부가 탄성 지지 부재를 길이 방향에 있어서 압축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유지부에 의한 탄성 지지 부재의 유지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유지부 내로 탄성 지지 부재가 삽입됨과 함께, 유지부 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탄성 지지 부재가 길이 방향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탄성 지지 부재를 길이 방향 외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유지부가 탄성 지지 부재를 길이 방향에 있어서 만곡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유지부에 탄성 지지 부재를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웨빙 권취 장치에서는, 권취축에 유지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유지부가 탄성 지지 부재를 인출 방향측으로 노출시킴과 함께, 회전체에 유지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유지부가 탄성 지지 부재를 인출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노출시킨다. 이 때문에, 유지부에 유지되는 탄성 지지 부재에 길이 방향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춤부를 용이하게 걸어맞추게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빙 권취 장치를 나타내는 전측, 좌측 또한 상측의 경사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좌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빙 권취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빙 권취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빙 권취 장치 (10) 가 전측, 좌측 또한 상측의 경사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웨빙 권취 장치 (10) 의 전방 (예를 들어, 차량 전방) 을 화살표 FR 로 나타내고, 웨빙 권취 장치 (10) 의 우방 (예를 들어, 차량 우방) 을 화살표 RH 로 나타내고, 상방을 화살표 UP 로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웨빙 권취 장치 (10) 는, 단면이 U 자형 판상인 프레임 (12) 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12) 에는, 상방에 있어서, 배판 (背板) (12A) 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 (12) 이 배판 (12A) 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됨으로써, 웨빙 권취 장치 (10) 가 차체에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12) 에는, 좌방 및 우방에 있어서, 각각 레그판 (12B) 및 레그판 (12C) 이 형성되어 있으며, 레그판 (12B) 과 레그판 (12C) 은, 서로 좌우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레그판 (12B) 및 레그판 (12C) 에는, 각각 대략 원상의 배치공 (14) 및 배치공 (16) 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배치공 (14) 과 배치공 (16) 은, 서로 좌우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또, 배치공 (14) 의 외주 전체에는, 래칫 톱니 (14A) (내부 톱니) 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12) 의 레그판 (12B) 과 레그판 (12C) 사이에는, 대략 원기둥상의 권취축 (18) 이 형성되어 있으며, 권취축 (18) 의 레그판 (12B) 측의 일단은, 레그판 (12B) 의 배치공 (14) 내에 배치됨과 함께, 권취축 (18) 의 레그판 (12C) 측의 타단은, 레그판 (12C) 의 배치공 (16) 내에 배치되어 있다. 권취축 (18) 의 축 방향은, 좌우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권취축 (18) 은,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권취축 (18) 의 일단 이외의 부분에는, 권취 부재로서의 대략 원통상의 스풀 (20) 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풀 (20) 에는, 장척 (長尺) 띠상의 웨빙 (22) (벨트) 이 기단 (基端) 측으로부터 권취되어 있다. 스풀 (20) 이 권취 방향 (둘레 방향 일방이고, 도 1 등의 화살표 A 의 방향) 으로 회전되었을 때에는, 스풀 (20) 에 웨빙 (22) 이 권취된다. 한편, 스풀 (20) 로부터 웨빙 (22) 이 인출되었을 때에는, 스풀 (20) 이 인출 방향 (둘레 방향의 타방이고, 도 1 등의 화살표 B 의 방향) 으로 회전된다. 웨빙 (22) 은, 프레임 (12) 에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웨빙 (22) 은, 차량의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에게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풀 (20) 내에는, 연결 부재로서의 장척의 대략 원기둥상의 토션 샤프트 (24) 가 동축 상에 삽입되어 있으며, 토션 샤프트 (24) 의 레그판 (12B) 측의 일단부는, 스풀 (20) 의 레그판 (12B)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토션 샤프트 (24) 의 레그판 (12C) 측의 타단측 부분은, 스풀 (20) 의 타단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토션 샤프트 (24) 는, 스풀 (20) 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권취축 (18) 의 일단에는, 규제 부재로서의 대략 원판상의 로크 베이스 (26) 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크 베이스 (26) 에는, 토션 샤프트 (24) 의 일단부가 동축 상에 관통되어 있다. 로크 베이스 (26) 는, 토션 샤프트 (24) 에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로크 베이스 (26) 는, 토션 샤프트 (24) 및 스풀 (20) 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로크 베이스 (26) 에는, 수용부로서의 수용공 (28) 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공 (28) 의 로크 베이스 (26) 직경 방향 외측의 부분은, 스풀 (20) 과는 반대측 및 로크 베이스 (26)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로크 베이스 (26) 에는, 유지부로서의 단면이 사각형상인 유지홈 (30) (도 2 참조) 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지홈 (30) 은, 로크 베이스 (26) 의 둘레 방향으로 연신됨과 함께, 스풀 (20) 과는 반대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유지홈 (30) 의 권취 방향측의 면은, 평면상의 걸림면 (32) 으로 되어 있으며, 걸림면 (32) 은, 로크 베이스 (26) 의 둘레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유지홈 (30) 의 인출 방향측의 단부 (端部) 에는, 대략 사다리꼴 기둥상의 노출부 (34) 가 형성되어 있으며, 노출부 (34) 는, 유지홈 (30) 의 스풀 (20) 측, 로크 베이스 (26) 의 직경 방향 양측 및 인출 방향측의 면과 일체로 되어 있다. 노출부 (34) 의 스풀 (20) 과는 반대측의 면은, 평면상의 경사면 (34A) 으로 되어 있으며, 경사면 (34A) 은, 권취 방향을 향함에 따라 스풀 (20) 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노출부 (34) 의 권취 방향측의 면은, 평면상의 단차면 (34B) 으로 되어 있으며, 단차면 (34B) 은, 로크 베이스 (26) 의 둘레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풀 (20) 의 타단에는, 권취 탄성 지지 수단으로서의 탄성 지지 기구 (도시 생략) 가 연결되어 있으며, 탄성 지지 기구는, 프레임 (12) 의 레그판 (12C)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 지지 기구는, 스풀 (20) 을 권취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으며, 이로써, 웨빙 (22) 에 스풀 (20) 에 대한 권취 방향으로의 탄성 지지력이 작용되고 있다.
스풀 (20) 의 로크 베이스 (26) 측에는, 제한 수단으로서의 로크 기구 (36) 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 (36) 에는, 이동 부재로서의 장척 판상의 로크 폴 (38) 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크 폴 (38) 은, 로크 베이스 (26) 의 수용공 (28) 으로 이동할 수 있게 수용되어 있다. 로크 폴 (38) 의 일단에는, 로크 톱니 (38A) 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크 톱니 (38A) 는, 로크 베이스 (26)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로크 폴 (38) 에는, 이동부로서의 원기둥상의 이동축 (38B)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축 (38B) 은, 로크 베이스 (26) 의 스풀 (20) 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로크 기구 (36) 에는, 검출 수단으로서의 센서 기구 (40) 가 형성되어 있으며, 센서 기구 (40) 는, 프레임 (12) 의 레그판 (12B)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센서 기구 (40) 에는, 바닥을 갖는 대략 원통상의 센서 홀더 (42) 가 형성되어 있으며, 센서 홀더 (42) 는, 내부가 레그판 (12B) 측으로 개구됨과 함께 레그판 (12B) 에 고정되어 있다. 센서 홀더 (42) 의 레그판 (12B) 과는 반대측에는, 바닥을 갖는 대략 원통상의 센서 커버 (44) 가 형성되어 있으며, 센서 커버 (44) 는, 내부가 레그판 (12B) 측으로 개구되어 센서 홀더 (42) 를 수용함과 함께 레그판 (12B) 에 고정되어 있다.
센서 홀더 (42) 내에는, 회전체로서의 바닥을 갖는 원통상의 V 기어 (46) 가 형성되어 있으며, V 기어 (46) 안은 센서 홀더 (42) 의 바닥벽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V 기어 (46) 는, 바닥벽 (46A) 에 있어서, 토션 샤프트 (24) 의 일단부에 동축 상에 또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으며, V 기어 (46) 는, 로크 베이스 (26) 의 스풀 (20) 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V 기어 (46) 의 바닥벽 (46A) 에는, 작동부로서의 장척의 작동홈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홈은, 로크 베이스 (26) 측으로 개방되어, 로크 폴 (38) 의 이동축 (38B) 이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있다. V 기어 (46) 의 바닥벽 (46A) 에는, 걸어맞춤부로서의 단면이 U 자형 판상인 걸어맞춤 프레임 (46B) (도 3 참조)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걸어맞춤 프레임 (46B) 은, 로크 베이스 (26) 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내부가 로크 베이스 (26) 측 및 권취 방향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V 기어 (46) 의 걸어맞춤 프레임 (46B) (걸어맞춤 프레임 (46B) 내) 과 로크 베이스 (26) (유지홈 (30)) 의 걸림면 (32) 사이에는, 탄성 지지 부재로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걸쳐져 있으며,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은, 직경 방향으로 구부러져, 길이 방향 (축 방향) 이 로크 베이스 (26) 및 V 기어 (46) 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만곡됨과 함께 유지홈 (30) 에 수용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압축 변형되어, V 기어 (46) 를 로크 베이스 (26) 에 대해 인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으며 (로크 베이스 (26) 를 V 기어 (46) 에 대해 권취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으며),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은, 탄성 지지력에 의해 V 기어 (46) 의 작동홈의 길이 방향 일단에 로크 폴 (38) 의 이동축 (38B) 을 맞닿게 하고 있다. 이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한 V 기어 (46) 의 로크 베이스 (26) 에 대한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걸려 멈춰져 있어, V 기어 (46) 는, 로크 베이스 (26) 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V 기어 (46) 가 토션 샤프트 (24) 의 일단부에 조립되기 (지지되기) 전에는, 로크 베이스 (26) 에 있어서의 유지홈 (30) 의 걸림면 (32) 과 노출부 (34)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만곡됨과 함께 길이 방향 치수를 자연 길이가 된 상태에서 수용됨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의 탄성 지지력 (직경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 에 의해 유지홈 (30) 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노출부 (34) 측 (인출 방향측, 길이 방향 외측) 으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 참조).
V 기어 (46) 의 바닥벽 (46A) 에는, 원기둥상의 요동축 (46C)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요동축 (46C) 은, V 기어 (46) 의 중심 축선에 대해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V 기어 (46) 안으로 V 기어 (46) 의 중심 축선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다. 또, V 기어 (46) 의 외주 전체에는, 래칫 톱니 (46D) (외부 톱니) 가 형성되어 있다.
V 기어 (46) 의 요동축 (46C) 에는, 제 1 작동 부재로서의 W 폴 (50) 이 요동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W 폴 (50) 과 V 기어 (46) 사이에는, 복귀 탄성 지지 수단으로서의 코일상의 리턴 스프링 (52) 이 걸쳐져 있다. 리턴 스프링 (52) 은, W 폴 (50) 을 복귀 방향 (도 1 의 화살표 C 의 방향) 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으며, 리턴 스프링 (52)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한 W 폴 (50) 의 복귀 방향으로의 요동은, V 기어 (46) 에 의해 걸려 멈춰져 있다. V 기어 (46) 가 급격하게 인출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에는, W 폴 (50) 이, V 기어 (46) 에 대한 권취 방향으로의 관성력에 의해, 리턴 스프링 (52)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V 기어 (46) 에 대해 작동 방향 (도 1 의 화살표 D 의 방향) 으로 요동됨으로써, W 폴 (50) 이 센서 홀더 (42) 에 걸어맞춰져, V 기어 (46) 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걸려 멈춰진다.
센서 홀더 (42) 의 후단부에는, 가속도 센서 (54) 가 형성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 (54) 에는, 단면이 L 자형 판상인 하우징 (56) 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 (56) 에는, 하벽과 측벽 (후벽) 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56) 의 하벽 상면에는, 오목상의 만곡면 (56A) 이 형성되어 있으며, 만곡면 (56A) 상에는, 제 2 작동 부재로서의 구상의 볼 (58) 이 재치 (載置) 되어 있다. 볼 (58) 의 상측에는, 대략 판상의 레버 (60) 가 재치되어 있으며, 레버 (60) 는, 기단에 있어서, 하우징 (56) 의 측벽으로 회동 (回動) 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레버 (60) 의 선단의 상측에는, V 기어 (46) 가 배치되어 있으며, 볼 (58) 이 하우징 (56) 의 만곡면 (56A) 상을 전동 (轉動) 되어 상승 (변위) 될 때에는, 레버 (60) 가, 볼 (58) 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되어, 선단을 V 기어 (46) 의 래칫 톱니 (46D) 에 맞물림으로써, V 기어 (46) 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걸려 멈춰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웨빙 권취 장치 (10) 에서는, 권취축 (18) 의 스풀 (20), 토션 샤프트 (24) 및 로크 베이스 (26) 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됨과 함께, V 기어 (46) 가 로크 베이스 (26) 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웨빙 (22) 이 잡아당겨져, 스풀 (20) 이 탄성 지지 기구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인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웨빙 (22) 이, 스풀 (20) 로부터 인출되어, 탑승자에게 장착된다. 또한, 웨빙 (22) 이 탑승자에게 장착되었을 때에는, 탄성 지지 기구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웨빙 (22) 에 스풀 (20) 로의 권취력이 작용되어, 웨빙 (22) 의 느슨함이 제거된다.
차량의 긴급시 (예를 들어, 급감속시) 에는, 가속도 센서 (54) 에 있어서, 볼 (58) 이 관성력에 의해 하우징 (56) 의 만곡면 (56A) 상을 전동되어 상승됨으로써, 레버 (60) 가, 볼 (58) 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되어, 선단을 V 기어 (46) 의 래칫 톱니 (46D) 에 맞물린다. 이 때문에, V 기어 (46) 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걸려 멈춰진다.
차량의 긴급시 (예를 들어, 급감속시) 에는, 탑승자가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어, 탑승자에 의해 웨빙 (22) 이 스풀 (20) 로부터 급격하게 인출됨으로써, 스풀 (20) 및 V 기어 (46) 가 급격하게 인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문에, W 폴 (50) 이, V 기어 (46) 에 대한 권취 방향으로의 관성력에 의해, 리턴 스프링 (52)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V 기어 (46) 에 대해 작동 방향으로 요동됨으로써, W 폴 (50) 이 센서 홀더 (42) 에 걸어맞춰져, V 기어 (46) 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걸려 멈춰진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V 기어 (46) 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걸려 멈춰졌을 때에는, 스풀 (20) 및 로크 베이스 (26) 가 V 기어 (46) 에 대해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인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로크 폴 (38) 의 이동축 (38B) 이 V 기어 (46) 의 작동홈의 길이 방향 타단측으로 이동되어, 로크 폴 (38) 이 로크 베이스 (26)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로크 폴 (38) 의 로크 톱니 (38A) 가 프레임 (12) (레그판 (12B)) 의 래칫 톱니 (14A) 에 맞물려, 로크 베이스 (26) 및 스풀 (20) 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스풀 (20) 로부터의 웨빙 (22) 의 인출이 제한되어, 웨빙 (22) 에 의해 탑승자가 구속된다.
그런데, V 기어 (46) 가 토션 샤프트 (24) 의 일단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V 기어 (46) 의 바닥벽 (46A) 의 걸어맞춤 프레임 (46B) 과 로크 베이스 (26) 의 유지홈 (30) 의 걸림면 (32)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걸쳐져 있다.
여기에서, V 기어 (46) 가 토션 샤프트 (24) 의 일단부에 조립되기 전에는, 유지홈 (30) 의 걸림면 (32) 과 노출부 (34)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수용됨으로써, 유지홈 (30) 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노출부 (34) 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지홈 (30) 에 노출부 (34) 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된 압축 코일 스프링 (48) 에 노출부 (34) 측으로부터 걸어맞춤 프레임 (46B) 이 걸어맞춰짐으로써, V 기어 (46) (걸어맞춤 프레임 (46B)) 와 로크 베이스 (26) (걸림면 (32))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걸쳐진다 (도 3 참조).
이로써, 유지홈 (30) 에 유지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 (48) 에 노출부 (34) 측으로부터 걸어맞춤 프레임 (46B) 을 용이하게 걸어맞출 수 있어, V 기어 (46) 와 로크 베이스 (26)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을 용이하게 걸칠 수 있다.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V 기어 (46) 를 로크 베이스 (26) 에 대해 인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어, 유지홈 (30) 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유지될 때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인출 방향측 (노출부 (34) 측) 으로 노출된다. 이 때문에, 유지홈 (30) 에 유지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 (48) 에 걸어맞춤 프레임 (46B) 을 인출 방향측으로부터 걸어맞추게 할 수 있고, 압축 코일 스프링 (48) 에 걸어맞춤 프레임 (46B) 을 한층 더 용이하게 걸어맞출 수 있어, V 기어 (46) 와 로크 베이스 (26)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을 한층 더 용이하게 걸칠 수 있다.
또, 유지홈 (30) 이 로크 베이스 (26) 의 둘레 방향으로 연신되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만곡되어 있어, 유지홈 (30) 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길이 방향에서 만곡된 상태에서 수용됨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의 탄성 지지력 (직경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 에 의해 유지홈 (30) 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지홈 (30) 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을 길이 방향에 있어서 만곡시킨 상태로 수용함으로써, 유지홈 (30) 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을 유지시킬 수 있어, 유지홈 (30) 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을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홈 (30) 의 걸림면 (32) 과 노출부 (34)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길이 방향 치수를 자연 길이가 된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지홈 (30) 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을 유지시킬 때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을 길이 방향에 있어서 압축시킬 필요를 없앨 수 있어, 유지홈 (30) 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을 한층 더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유지홈 (30) 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유지될 때에는, 노출부 (34) 의 경사면 (34A) 에 의해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노출부 (34) 측으로 노출된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을 노출부 (34) 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노출부 (34) 가 로크 베이스 (26) 의 유지홈 (30) 형성 부분을 보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로크 베이스 (26) 의 유지홈 (30) 형성 부분의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노출부 (34) 에 단차면 (34B) 이 형성되어, 노출부 (34) 의 로크 베이스 (26) 축 방향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출부 (34) 가 로크 베이스 (26) 의 유지홈 (30) 형성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어, 로크 베이스 (26) 의 유지홈 (30) 형성 부분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출부 (34) 에 단차면 (34B) 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출부 (34) 에 단차면 (34B) 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유지홈 (30) 에 유지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을 노출부 (34) 측으로 한층 더 노출시킬 수 있어, 압축 코일 스프링 (48) 에 노출부 (34) 측으로부터 걸어맞춤 프레임 (46B) 을 한층 더 용이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홈 (30) 에 노출부 (34) 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유지홈 (30) 에 노출부 (34) 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홈 (30) 의 걸림면 (32) 과 노출부 (34)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길이 방향 치수를 자연 길이가 된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유지홈 (30) 의 걸림면 (32) 과 노출부 (34)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압축된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게 되어도 된다. 이로써, 걸림면 (32) 과 노출부 (34) 사이로의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의 유지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걸림면 (32) 과 노출부 (34)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만곡되지 않는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게 되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베이스 (26) 에 유지홈 (30) 을 형성함과 함께, V 기어 (46) 에 걸어맞춤 프레임 (46B) 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V 기어 (46) 에 유지홈 (30) 을 형성함과 함께, 로크 베이스 (26) 에 걸어맞춤 프레임 (46B) 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V 기어 (46) 에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유지되었을 때 압축 코일 스프링 (48) 이 권취 방향측으로 노출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베이스 (26) 에 유지홈 (30) 을 형성하고, 유지홈 (30) 에 걸림면 (32) 과 노출부 (34) 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로크 베이스 (26) 또는 V 기어 (46) 에 걸림면 (32) 과 노출부 (34) 를 돌출시켜 형성해도 된다.
10 : 웨빙 권취 장치
18 : 권취축
22 : 웨빙
30 : 유지홈 (유지부)
34A : 경사면
46 : V 기어 (회전체)
46B : 걸어맞춤 프레임 (걸어맞춤부)
48 : 압축 코일 스프링

Claims (6)

  1.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이 권취되고, 상기 웨빙이 인출됨으로써 인출 방향으로 회전되는 권취축과,
    상기 권취축에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되는 회전체와,
    상기 권취축과 상기 회전체 사이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권취축에 대해 상기 회전체를 인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권취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게 되고,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권취축이 상기 회전체에 대해 인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권취축의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는 탄성 지지 부재와,
    상기 권취축 및 상기 회전체의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권취축에 상기 회전체가 조립되기 전에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길이 방향 외측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유지부와,
    상기 권취축 및 상기 회전체의 타방에 형성되고,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길이 방향 외측으로부터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권취축과 상기 회전체 사이에 상기 탄성 지지 부재가 걸쳐지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권취축 및 회전체의 타방측으로 개방되고, 탄성 지지 부재의 길이 방향이 평면의 벽으로 유지되어 있는 웨빙 권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길이 방향에 있어서 자연 길이로 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웨빙 권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길이 방향에 있어서 압축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웨빙 권취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 내로 상기 탄성 지지 부재가 삽입됨과 함께, 상기 유지부 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 지지 부재가 길이 방향 외측으로 노출되는 웨빙 권취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길이 방향에 있어서 만곡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웨빙 권취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에 상기 유지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유지부가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인출 방향측으로 노출시킴과 함께, 상기 회전체에 상기 유지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유지부가 상기 탄성 지지 부재를 인출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노출시키는 웨빙 권취 장치.
KR1020160057418A 2015-05-29 2016-05-11 웨빙 권취 장치 KR101759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10123A JP6306537B2 (ja) 2015-05-29 2015-05-29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JP-P-2015-110123 2015-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380A KR20160140380A (ko) 2016-12-07
KR101759836B1 true KR101759836B1 (ko) 2017-07-19

Family

ID=5608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418A KR101759836B1 (ko) 2015-05-29 2016-05-11 웨빙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05423B2 (ko)
EP (1) EP3098119B1 (ko)
JP (1) JP6306537B2 (ko)
KR (1) KR101759836B1 (ko)
CN (1) CN1061841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9102B2 (ja) * 2015-04-28 2019-07-03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6566725B2 (ja) * 2015-05-28 2019-08-28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6419766B2 (ja) * 2016-12-20 2018-11-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5069A (en) * 1973-03-16 1977-12-27 Sigmatex, A.G. Emergency locking retractor
KR100580920B1 (ko) * 1999-02-16 2006-05-16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웨빙 권취장치
KR100878105B1 (ko) 2007-05-18 2009-01-14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
JP2012101757A (ja) 2010-11-12 2012-05-31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9300B2 (ja) * 1999-04-16 2005-10-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727515B2 (ja) * 2000-07-12 2005-12-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166095B2 (ja) * 2003-01-31 2008-10-15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ー
JP4166096B2 (ja) * 2003-01-31 2008-10-15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ー
KR100835936B1 (ko) * 2007-05-16 2008-06-09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JP5797381B2 (ja) * 2010-05-27 2015-10-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529076B2 (ja) * 2010-06-16 2014-06-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DE102010025234B4 (de) 2010-06-26 2015-08-13 Autoliv Development Ab Selbstsperrender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in die Wellenstirn integrierter G-Wert-Feder
CN102689619A (zh) * 2012-06-18 2012-09-26 黄绍勇 三点预紧汽车安全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5069A (en) * 1973-03-16 1977-12-27 Sigmatex, A.G. Emergency locking retractor
KR100580920B1 (ko) * 1999-02-16 2006-05-16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웨빙 권취장치
KR100878105B1 (ko) 2007-05-18 2009-01-14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
JP2012101757A (ja) 2010-11-12 2012-05-31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8119A2 (en) 2016-11-30
EP3098119B1 (en) 2018-04-18
CN106184110A (zh) 2016-12-07
KR20160140380A (ko) 2016-12-07
US10005423B2 (en) 2018-06-26
EP3098119A3 (en) 2016-12-14
JP6306537B2 (ja) 2018-04-04
US20160347274A1 (en) 2016-12-01
JP2016222109A (ja) 2016-12-28
CN106184110B (zh)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1035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1759836B1 (ko) 웨빙 권취 장치
US8157067B2 (en) Dynamic displacement anchorage energy management device
KR101552582B1 (ko) 웨빙 권취 장치
JP6228556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4698273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EP1902911A1 (en) Webbing retractor device
US9694784B2 (en) Webbing take-up device
CN114340960B (zh) 带电动的锁止装置的安全带卷收器
JP2011131875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CN111283729B (zh) 解刹车装置及其适用的机器手臂
US20190210556A1 (en) Belt retractor
JP5911773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819331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5452862A (en) Silent seat belt comfort retractor
JP5749966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220161755A1 (en) Webbing take-up device
US9283930B2 (en) Webbing take-up device
WO2018142873A1 (ja) 回動部材支持構造
JP2009292227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449100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8176855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WO2016194414A1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015140079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