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893B1 - 철도 왜건 및 그 선적 방법 - Google Patents

철도 왜건 및 그 선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893B1
KR101757893B1 KR1020117026416A KR20117026416A KR101757893B1 KR 101757893 B1 KR101757893 B1 KR 101757893B1 KR 1020117026416 A KR1020117026416 A KR 1020117026416A KR 20117026416 A KR20117026416 A KR 20117026416A KR 101757893 B1 KR101757893 B1 KR 10175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gon
main
end portion
semi
mai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035A (ko
Inventor
피터 린드
Original Assignee
헬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0950249A external-priority patent/SE533690C2/sv
Priority claimed from SE0950793A external-priority patent/SE534222C2/sv
Application filed by 헬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헬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07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61D3/182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heavy vehicles, e.g. public work vehicles, trucks, trailers
    • B61D3/184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heavy vehicles, e.g. public work vehicles, trucks, trailers the heavy vehicles being of the trailer or semi-trail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 B61D47/005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road vehicles carrying wagons, e.g. ramps, turntables, lif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Handcart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후방 보기 대차(2)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메인부(3)와, 전방 보기 대차(1)에 연결되는 왜건 엔드부(4)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부와 상기 왜건 엔드부는 서로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보기 대차(1, 2)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운반되는 예를 들어 세미트레일러(5) 수송용 철도 왜건이 제시된다. 상기 빔(10, 15, 18)은 상기 메인부(3)가 상기 왜건 엔드부(4)에서 외측으로 피벗팅할 때 상기 메인부(3)를 수평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왜건 엔드부(4)에 연결될 또는 연결된다. 상기 수단(3A, 22)은 상기 왜건 엔드부(4)에 대해 상기 메인부(3) 또는 상기 메인부(3)의 일부(23)를 수직으로 옮기기 위해 제공된다.

Description

철도 왜건 및 그 선적 방법{A RAILWAY WAGON AND A METHOD OF ITS LOADING}
본 발명은 2개의 보기 대차(bogie)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운반되는 예를 들어 세미트레일러(semi-trailer) 수송용 철도 왜건(railway wagon)에 관한 것으로, 후방 보기 대차에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연결된 메인부(main portion)와 전방 보기 대차에 연결된 왜건 엔드부(wagon end)를 포함하며 이러한 메인부와 왜건 엔드부가 서로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철도 왜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철도 왜건에 세미트레일러나 이와 유사한 것을 선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효율적이고 환경적으로 건강한 수송을 제공하도록, 일반적으로 도로 수송용 세미트레일러를 철도 왜건에 선적하고 이를 철도 열차를 통해 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여러 예들을 통해 종래에 익히 알려진 것이다.
이러한 목적용으로 제작된 철도 왜건에 세미트레일러를 실거나 내리는 것은, 특수 목적의 터미널과 가장 단순한 형태로 크레인 및/또는 중량물 리프트 트럭과 같은 광범위한 장비를 요구한다. 또한, 이러한 선적 및 처리 용도의 터미널과 주변에 투자하는 것은 부담이 된다.
보다 유망한 해결책은 세미트레일러를 선적하기 위한 로딩 부분을 철도 왜건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선회축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선회시키는 것이며, 이를 통해 세미트레일러는 이러한 로딩 부분 상에 굴려서 선적될 수 있으며, 상기 로딩 부분은 철도 수송을 위해 철도 왜건와 정렬되도록 원래 위치로 선회된다.
위의 기술분야에서 정의하는 범위 내에서 이 기술의 전형적인 예는, DE-A-3 234 374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이러한 로딩 부분은 특수한 그라운드 플레이트(ground plate) 상에서 롤(roll)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철도 왜건으로부터 선회축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선회된다.
동일한 유형의 또 다른 예는, EP-A-0 869 981 및 EP-A-1 805 072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왜건는 인프라 요구에 따른 불이익을 안고 있으며, 게다가 무겁고 복잡하고 비싸다.
위의 정의된 범위 내에 있지 않으나, 세미트레일러 또는 컨테이너용 피벗식 플랫폼을 구비한 철도 왜건를 제공하는 비교적 초기 예가 GB-B-901 275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플랫폼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한 선회 움직임은 철도 왜건의 빔(beam)에 의해 가이드되며, 이러한 빔은 철도 왜건로부터 피벗식으로 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지지 레그(leg)에 의해 지지된 이러한 플랫폼은 세미트레일러의 구름을 위해 램프(lamp)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앞서 정의된 종류의 철도 왜건(상술한 단점을 보이지 않는 왜건)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특수 플레이트나 표면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어떠한 특별한 인프라의 제공 없이도 어떠한 장소에서도 세미트레일러를 선적하거나 하역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목적을 채우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왜건이 빔(beam)과 수단(means)의 조합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빔은 상기 메인부(3)가 상기 왜건 엔드부(4)에서 외측으로 피벗팅할 때 상기 메인부(3)를 수평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왜건 엔드부(4)에 연결될 또는 연결되며, 상기 수단은 상기 왜건 엔드부(4)에 대해 상기 메인부(3) 또는 상기 메인부(3)의 일부(23)를 수직으로 옮긴다.
메인부를 수평과 수직으로 구동하기 위한 파워가 요구된다. 왜건의 제작을 가능한 단순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파워는 왜건의 외부 파워 공급원으로부터 빔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른 경우로는, 메인부를 구동하기 위한 파워 공급원을 왜건 내에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파워 공급원은 공압, 유압 또는 전기력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외부 파워 공급원의 경우, 빔과 2개의 신장신축 가능한 지지 레그를 포함하는 빔 어셈블리는 필요한 파워를 공급하는 작동 기계 또는 트럭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빔 어셈블리는 메인부가 외측으로 피벗될 수 있기 전에 왜건 엔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파워 공급원의 경우, 빔은 왜건 엔드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작동 기계 또는 트럭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작동 기계 또는 트럭에는 빔을 위해 신장신축 가능한 지지 레그가 제공될 수 있다.
내부 파워 공급원의 경우, 빔은 왜건 엔드부에 피벗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빔의 단부에는 신장신축 가능한 지지 레그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메인부와 왜건 엔드부 사이의 연결장치는 왜건 엔드부에 대해 메인부를 수직으로 옮기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메인부의 각 측단부에 배치되며, 그 결과 개방된 단부를 가진 관통형상의 메인부에 세미트레일러가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연결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왜건 엔드부로부터 연결장치의 잠금을 해체하기 위해 그리고 메인부를 지면에 내리기 위해, 고정된 중립 자세에서 메인부를 약간 들어올리는 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내부 파워 공급원의 경우,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인부에는, 메인부가 왜건 엔드부에서 외측으로 피벗되고 빔으로부터 연결이 해체될 때, 지면에 대해 메인부가 지지되도록 신장신축 가능한 제어 레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레그는, 바람직하게는 메인부의 자유단부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메인부를 지면에 내리기 위해 그리고 세미트레일러의 선적 또는 하역 후 메인부를 다시 들어올리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이러한 제어 레그는 하부 램프를 지면에 내리기 위해 그리고 세미트레일러의 선적 또는 하역 후 하부 램프를 다시 들어올리기 위해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부 램프는 메인부에 피벗식으로 부착된다.
특별한 실시예로서, 왜건 유닛은 공통 제이콥스 보기 대차 상에 2개의 왜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이콥스 보기 대차는 2개의 왜건 각각을 위해 후방 보기 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6축 왜건이 생성된다.
앞서 정의된 것과 같은 철도 왜건에 세미트레일러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선적하는 방법으로서, 빔은 메인부를 수평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적소에서 왜건 엔드부에 배치되거나 왜건 엔드부로부터 외측으로 피벗되며, 메인부는 빔에 가이드되어 왜건 엔드부로부터 외측으로 피벗되며, 메인부는 왜건 엔드부에 대해 메인부 또는 메인부의 일부를 수직으로 옮기는 수단에 의해 내려지며, 빔은 세미트레일러가 길이방향으로 입장 가능하도록 제거되거나 또는 왜건 엔드부에 피벗되는 선적 방법이 제시된다.
메인부에 신장신축 가능한 제어 레그가 제공된다면, 이러한 제어 레그는 왜건 엔드부에 대해 빔을 따라 피벗되기 전에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내려지며, 메인부는 제어 레그에 의해 지면에 내려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미트레일러 왜건과 빔 어셈블리(beam assembly)와 이를 핸들링하기 위한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왜건을 핸들링하기 위한 트럭과 빔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상응하여 왜건을 핸들링하는 과정으로서 그 후속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도 도 1에 상응하여 왜건을 핸들링하는 추가 후속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왜건의 측면도로서 왜건의 일부가 다소 들린(lifted)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상세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왜건의 측면도로서 왜건의 일부가 내려진(lowered)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상세도이며,
도 9는 도 4에 상응하여 왜건을 핸들링하는 추가 후속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상응하여 왜건을 핸들링하는 추가 후속 단계로서 왜건에 세미트레일러가 선적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에 상응하여 왜건에 선적된 세미트레일러와 철도로 수송되도록 준비가 된 왜건의 최종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미트레일러 왜건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트럭에 의해 핸들링되는 도 12에 도시된 왜건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2에 따른 왜건을 핸들링하기 위한 트럭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상응하여 그 후속 핸들링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미트레일러 왜건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에 상응하여 피벗식으로 왜건 엔드부에서 외측으로 선회하는 빔(beam)의 핸들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도 16에 상응하여 빔 상에서 왜건의 메인부가 외측으로 피벗되고 내려지는 후속 핸들링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9는 도 18에 상응하여 빔이 왜건 엔드부에 대해 내측으로 피벗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0은 도 19에 상응하여 세미트레일러가 왜건의 메인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1은 도 16의 왜건을 도시한 것으로서 빔이 외측으로 피벗되고 세미트레일러가 왜건 상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2는 도 16에 도시된 왜건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변형례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세미트레일러 왜건의 사시도이며,
도 25는 왜건을 핸들링하는 후속 단계에서 도 24에 도시된 왜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6은 도 25에 상응하여 왜건을 핸들링하는 추가 후속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7은 도 25에 상응하여 왜건을 핸들링하는 추가 후속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8은 도 25에 상응하여 왜건을 핸들링하는 추가 후속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8A는 도 28의 상세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세미트레일러 왜건의 사시도이며,
도 29A는 도 29의 상세도이며,
도 30은 왜건을 핸들링하는 후속 단계에서 도 29에 도시된 왜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세미트레일러 왜건의 사시도이며,
도 32 및 도 33은 도 31에 도시된 왜건의 측면도와 상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며,
도 34 및 도 35는 도 33에 상응하여 왜건의 상이한 동작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6은 도 31의 왜건의 절반보다 약간 큰 부분이 외측으로 피벗된 상태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세미트레일러를 선적하기 위한 철도 왜건이 도 1에 도시된다. 왜건은 2개의 보기 대차(또는 휠 세트), 즉 전방 보기 대차(1)와 후방 보기 대차(2)를 가진다. 보기 대차(1, 2)는 메인부(3)와 왜건 엔드부(4)를 포함하는 섀시(chassis)를 지지한다. 먼저 도 4에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많은 도면에서도 볼 수 있듯이, 메인부(3)와 왜건 엔드부(4)는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동작에서는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독립체(entity) (또는 철로 상에서 달릴 수 있는 왜건)을 형성한다. 메인부(3)는 후방 보기 대차(2)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왜건 엔드부(4)는 전방 보기 대차(1)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메인부(3)는, 도 10, 도 11, 도 24,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트레일러(5)를 수용할 공간을 제공하며, 왜건 엔드부(4)에서 외측으로 피벗될 때 개방된 단부를 통해 관통형상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측벽(sidewall)을 가진다.
왜건 엔드부(4)에 대한 메인부(3)의 상대적 가동성(movability)은, 메인부(3)가 왜건 엔드부(4)에서 외측으로 피벗된 상태에서 메인부(3) 상에 세미트레일러(5)가 굴러서 선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부(3)와 왜건 엔드부(4) 간에 아크 형상의 접촉부에는, 피벗팅(pivoting)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장치(6)와 이동 상태에서 메인부(3)를 왜건 엔드부(4)에 고정시키는 잠금 수단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장치(6)는 왜건 엔드부(4)에 3개의 홈 및 메인부(3)의 각 단부에 3개의 돌출부(6', 도 4)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스트럿(7)은, 메인부(3)와 왜건 엔드부(4)이 서로에 대해 내측으로 피벗된 상태에서 메인부(3)와 왜건 엔드부(4) 간에 연결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왜건의 측면 중 어느 한 쪽에서 메인부(3)와 왜건 엔드부(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세미트레일러가 메인부(3) 상에 롤링될 수 있는 위치로 메인부(3)를 외측으로 피벗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밥캣(Bobcat®)과 같은 작동 기계 또는 트럭(9)에 의해 작동되고 제어되는 빔 어셈블리(beam assembly, 8)가 제공된다.
도 2에 가장 확실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빔 어셈블리(8)는 주로 아크 형상의 빔(10)과 빔(10)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신장신축 가능한 지지 레그(support leg, 11)를 포함한다. 빔(10)의 그림에서 왼쪽의 단부에는 왜건 엔드부(4)의 홈의 상응하는 구멍과 조합될 수 있는 가이드 핀(guide pin, 12)이 제공될 수 있다. 빔(10)의 반대쪽 단부에는 트럭(9)의 유압(hydraulic) 파워 공급원과 빔 어셈블리(8)의 유압 시스템 간에 유압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13)이 제공된다.
지지 레그(11)는 내부의 유압 모터에 의해 개별적으로 원하는 길이만큼 신장신축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지지 레그(11) 중 하나가 유압 모터를 구비하고 기계적 수단에 의해 신장신축 동작이 다른 지지 레그로 동시에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빔(10)은, 빔(8)이 왜건 엔드부(4)의 홈에 정렬되는 위치에서 메인부(3)의 단부를 잡기 위해 그리고 빔(8)을 따라 피벗 동작으로 메인부(3)를 이동시키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며 유압으로 작동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1은 이동 위치의 세미트레일러 왜건과 트럭(9)에 연결된 빔 어셈블리(8)의 시작 위치를 도시한다.
도 3에서, 빔(10)은 왜건 엔드부(4)의 홈에 정렬되어 있으며, 이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지지 레그(11)는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된 상태이다.
도 4에서, 메인부(3)는 (스트럿(7) 중 하나의 연결이 해체된 이후에) 빔(10)을 따라 외측으로 피벗된 상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피벗팅 동작의 말미에는 메인부(3)의 측면부가 왜건 엔드부(4)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남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피벗팅 동작이 완료되기에 앞서, 메인부(3)는 왜건 엔드부(4)와의 연결이 해체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및 다른 특징)에 대한 설명이 도 5 내지 도 8에 제시된다.
왜건 엔드부(4)에 인접하여 메인부(3)의 각 측에는 연결장치(3A)가 제공된다. 연결장치(3A)에 대해 메인부(3)를 들거나 내리기 위해 그리고 그 획득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트럭(9)의 유압으로 구동하는 기계적 수단이 연결장치(3A) 내에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단계의 바로 앞선 단계에서는, 메인부(3)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들린 상태이다.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연결장치(3A)와 왜건 엔드부(4) 간에 기계적 잠금 수단이 해체될 수 있으며, 피벗팅 동작이 가능해진다.
피벗팅 동작이 완료되며(도 4), 메인부(3)와 왜건 엔드부(4) 간에 연결 해체를 방지하기 위해 연결된 스트럿(7)이 고정된다.
그런 다음, 메인부(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의 레일에 접촉할 때까지 연결장치(3A)에 대해 하강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어셈블리(8)는 트럭(9)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트랙터 유닛에 의해 후진하는 세미트레일러(5)를 받기 위해 메인부(3)가 개방될 수 있다.
도 10에서, 세미트레일러(5)는 메인부(3) 상에 선적되며, 메인부(3)의 리턴 피벗 동작이 가능하도록 빔 어셈블리(8)는 왜건 엔드부(4)에 대해 적당한 위치로 다시 환원된다. 메인부(3)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위치(수송 자세에서 약 100mm 상의 위치)로 들려지며, 왜건 엔드부(4)에 정렬되게 내측으로 피벗된다. 그런 다음 메인부(3)가 수송 자세로 내려지면, 연결장치(3A)는 왜건 엔드부(4)에 고정되며, 세미트레일러의 킹핀(king pin)은 왜건 엔드부(4)의 적절한 부가장치(14, 도 1)에 고정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트레일러 왜건은 레일 상에서 수송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이러한 세미트레일러의 하역 과정은 대응되나 일반적으로 역순으로 진행된다.
제2 실시예가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빔 어셈블리가 왜건에서 분리되지 않으나, 대신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왜건 엔드부(4)에는 빔(15)이 제공되며, 도 13에 도시된 동작 위치로 빔(15)은 왜건 엔드부(4)에 피벗식으로 선회되며 안착 위치에서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양방향으로 메인부(3)의 피벗팅이 가능하도록 왜건 엔드부(4)의 각 측면부에는 이러한 빔(15)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빔(15)은 전술한 실시예의 빔(10)과 동일한 일반적 디자인을 가진다.
선적과 하역시 왜건의 핸들링을 위해, 예를 들어 밥캣(Bobcat®)과 같은 작동 기계 또는 트럭(9)이 요구된다. 신장신축 가능한 지지 레그(16)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13)에 의해 이러한 트럭(9)에 연결된다. 지지 레그(16)는 트럭의 유압에 의해 구동하도록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15)에 연결된다.
다른 측면에서,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왜건의 디자인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왜건과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특히, 이러한 왜건에도 메인부(3)을 들거나 내리기 위한 연결장치(3A)가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왜건의 기능은 실질적으로 제1 실시예의 왜건과 동일하며, 따라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이러한 기능은 도 12,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다.
제3 실시예가 도 16 내지 도 21에 도시된다. 전술한 실시예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와 가장 유사한 부분을 가진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주요한 차이점은, 왜건을 핸들링하기 위한 파워가 트럭(9)과 같은 외부로부터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이며, 대신에 왜건 엔드부(4)에 위치한 전원 또는 내연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와 같은 내부로부터 제공된다는 것이다. 화물 열차에서 얻을 수 있는 공압(pneumatic pressure)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익히 알려진 것과 같이, 왜건을 핸들링하기 위한 장치는 각각의 장점과 단점과 함께 예를 들어 전기-기계력, 유압 또는 공기력일 수 있다.
도 16은 수송 자세에서 내부 파워 공급원을 구비한 왜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7에서, 빔(18)은 왜건 엔드부(4)에 대해 빔의 안착위치(도 16)에서 외측으로 피벗된 상태이다. 빔의 단부에 잭(jack, 19)은 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구동된 상태이다. 왜건 엔드부(4)로부터 메인부(3)를 잠금해체하기 위해 메인부(3)가 연결장치(3A)에 의해 약간 들린 상태이며, 빔(18)에 스트럿(7)은 왜건 엔드부(4)로부터 연결해체된 상태이다.
도 18에서, 메인부(3)는 빔(18)에서 외측으로 피벗된 상태이며(그 내측 단부는 여전히 왜건 엔드부(4)에 의해 지지된 상태), 메인부(3)는 연결장치(3A)에 의해 지면과 접촉되게 내려진 상태이다.
도 19에서, 잭(19)은 지면으로부터 올려진 상태이며, 빔(18)은 왜건 엔드부(4)에 대해 빔(18)의 안착위치로 선회된 상태이며, 그 결과 메인부(3)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메인부(3)에 접근할 수 있다.
도 20에서, 세미트레일러가 메인부(3) 상에 후진된 상태이며, 빔(18)은 왜건 엔드부(4)로부터 외측으로 다시 피벗된 상태이고, 잭(19)은 지면에 접촉되게 내려진 상태이다.
도 21에서, 메인부(3)는 빔(18) 상에서 피벗하여 안착위치로 돌려진 상태이며, 메인부(3)는 들려진 상태이며, 그 결과 잠금이 작용될 수 있다. 새미트레일러의 킹핀은 왜건 엔드부(4)의 부가장치(14, 도 16)에 고정될 수 있다. 수송하기 전에 마지막 남은 과정은 잭(19)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고 빔(18)을 왜건 엔드부(4)에 대해 수송 자세로 다시 선회시키는 것이다.
주로 도 16 내지 도 21의 제3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나 원리적으로는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는 변형례가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안정화 스트럿(7)이 메인부(3)와 왜건 엔드부(4) 간에 제공된다. 본 변형례에서는, 안정화 기능이 지지 이음쇠(support yoke, 20)에 의해 제공되며, 지지 이음쇠(20)는 상술한 방식으로 왜건을 핸들링할 때 왜건 엔드부(4) 내의 기구(미도시)에 의해 레일에 대향하여 하측에 적용된다.
세미트레일러를 선적하기 위한 약간 다른 철도 왜건이 도 24에 도시된다. 이 왜건 역시 2개의 보기 대차(또는 휠 세트), 즉 전방 보기 대차(1)와 후방 보기 대차(2)를 가진다. 보기 대차(1, 2)는 메인부(3)와 왜건 엔드부(4)를 포함하는 섀시(chassis)를 지지한다. 먼저 도 25에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도 26 내지 도 30의 다른 많은 도면에서도 볼 수 있듯이, 메인부(3)와 왜건 엔드부(4)는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으나,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동작에서는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독립체(entity) (또는 철로 상에서 달릴 수 있는 왜건)을 형성한다. 메인부(3)는 후방 보기 대차(2)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왜건 엔드부(4)는 전방 보기 대차(1)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메인부(3)는, 세미트레일러(미도시)를 수용할 공간을 제공하며, 왜건 엔드부(4)에서 외측으로 피벗될 때 개방된 단부를 통해 관통형상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측벽(sidewall)을 가진다.
왜건 엔드부(4)에 대한 메인부(3)의 상대적 가동성(movability)은, 메인부(3)가 왜건 엔드부(4)에서 외측으로 피벗된 상태에서 메인부(3) 상에 세미트레일러(5)가 굴러서 선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부(3)와 왜건 엔드부(4) 간에 아크 형상의 접촉부에는, 피벗팅(pivoting)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장치와 이동 상태에서 메인부(3)를 왜건 엔드부(4)에 고정시키는 잠금 수단이 있다. 슬라이드장치는 왜건 엔드부(4)에 홈 및 메인부(3)의 각 단부에 돌출부(6, 구체적으로 도 28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세미트레일러가 메인부(3) 상에 롤링될 수 있는 위치로 메인부(3)를 외측으로 피벗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유압으로 작동되고 제어되는 빔 어셈블리(beam assembly, 8)가 제공된다.
이러한 빔 어셈블리(8)는 주로 아크 형상의 빔(10)과 빔(10)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신장신축 가능한 지지 레그(support leg, 11)를 포함한다. 지지 레그(11)는 내부의 유압 모터에 의해 원하는 길이만큼 신장신축될 수도 있다.
도 28A에 가장 확실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부(3)의 각 측에는 신장신축 가능한 제어 레그(22)가 제공되며, 제어 레그(22)는 바람직하게는 유압에 의해 구동된다.
(비록 수송 자세에서는 빔 어셈블리(8)가 왜건 엔드부(4)에 대해 접힌 상태라 하더라도) 도 24에 도시된 수송 자세와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선적 및 하역 자세 사이에서 왜건 엔드부(4)에 대해 메인부(3)를 피벗팅하기 위한 유압 수단이 제공된다.
왜건 상에 서로 다른 유압 수단을 구동하기 위하여, 왜건에는 온보드(on-board) 유압 파워 공급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4는 빔 어셈블리(8)가 왜건 엔드부(4)에 대해 그 수송 자세로부터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메인부(3)는 여전히 수송 자세에 위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25에서 지지 레그(11)는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내려진 상태이고, 메인부(3)는 왜건 엔드부(4)로부터 외측으로 피벗된 상태이다.
도 26에서 제어 레그(22)는 지면에 접촉되도록 내려진 상태이며 또한 빔(10)과의 맞물림이 약간 이격되도록 메인부(3)를 들어올린 상태이다.
도 27에서 빔 어셈블리(8)는 왜건 엔드부(4)에 대해 접힌 상태이며, 도 28에서 제어 레그(22)는 메인부(3)를 지면으로 하강시킨 상태이며, 결과적으로 세미트레일러(미도시)가 메인부(3) 상에 후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는 기본적으로 역순이며, 결과적으로 왜건은 도 24에 도시된 자세에 도달되게 되는데, 여기서 빔 어셈블리는 왜건 엔드부(4)에 대향하여 접히며, 결과적으로 왜건은 레일을 따라 수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왜건이 도 29, 도 29A 및 도 30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제4 실시예와 많은 유사한 부분들을 가지며, 유사한 구성을 대해 유사한 참조번호가 사용된다.
제5 실시예에서의 차이점은 주로 메인부(3)가 하부 램프(bottom ramp, 23)와 함께 왜건 엔드부(4)를 마주하는 단부 또는 왜건 엔드부(4)로부터 외측으로 피벗하는 단부에 제공된다는 것이며, 하부 램프(23)는 메인부(3)의 나머지 하부에 대해 피벗식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하부 램프(23)는 제어 레그(22)에 연결되며, 결과적으로 제어 레그(22)가 지면으로 내려질 때 하부 램프(23)도 같이 내려지며, 이를 통해 메인부(3) 상에 세미트레일러를 후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렇지 않으면 하부 램프(23)는 수평 자세를 유지한다.
대안으로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방으로 내려지는 제어 레그(22)가 하부 램프(23)에서 끝나며, 결과적으로 지면으로 내려지는 것은 하부 램프(23)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왜건이 도 31 내지 도 36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왜건의 구동을 위해 왜건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개의 온보드(on-board) 파워 공급원과 유압 수단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도 24 내지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왜건은 혹는 도 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왜건의 작동을 위한 파워는 외부에서 제공된다.
앞서 도시되고 설명된 세미트레일러 왜건들 각각에는 2개의 보기 대차가 제공되며, 각각의 보기 대차는 각 단부를 향해 있다. 그러나, 제이콥스(Jacobs) 보기 대차로 불리는 공통 보기 대차를 통해 2개 (또는 그 이상)의 보기 대차가 왜건 유닛에 같이 결합되는 것도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 31 내지 도 36은 각 단부를 향해 있는 2축 보기 대차를 구비한 6축 왜건과 그 중앙에 위치한 2축 제이콥스 보기 대차(30)를 도시한다. 이러한 왜건은 2개의 "보통" 왜건들이 제이콥스 보기 대차에 의해 연결된 것 외에는 기능적으로 별 차이가 없다.
도 31을 참조하면, 이러한 왜건 각각은 전방 보기 대차(1)와 후방 보기 대차(2)(여기서, 후방 보기 대차(2)는 1개일 수 있으며 제이콥스 보기 대차(30)와 동일할 수 있다)와 메인부(3)와 왜건 엔드부(4)를 가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메인부(3)는 외측으로 피벗될 수 있다. 도 34와 도 35는 2개의 메인부(3)가 동일한 방향으로 피벗되거나 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피벗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36은 그 중앙에서 제이콥스 보기 대차(30)에 의해 지지된 이러한 왜건의 절반 이상을 확대하여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도시된 도면으로부터 메인부(3)를 외측으로 피벗팅하기위한 디자인이 일반적으로 도 24 내지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의 디자인에 상응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청구 범위 내에서 변형들이 가능하다.

Claims (20)

  1. 전방 보기 대차와 후방 보기 대차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보기 대차와 상기 후방 보기 대차는,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메인부와 왜건 엔드부를 구비한 새시를 지지하며,
    상기 메인부는 상기 메인부에 탑재되는 세미트레일러 또는 상기 세미트레일러에 상응하는 형태의 화물을 수용 가능하며,
    상기 왜건 엔드부는 상기 전방 보기 대차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부는 상기 후방 보기 대차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왜건 엔드부에 대한 상기 메인부의 상대적 움직임(movability)은, 상기 메인부가 상기 왜건 엔드부에서 외측으로 피벗된 상태에서 상기 세미트레일러의 롤링 선적 및 롤링 하역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왜건 엔드부에 대하여 접힌 상태의 휴면 포지션과 상기 메인부로부터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의 작업 포지션 사이에서 피벗이 가능하도록, 상기 왜건 엔드부에 연결되는 빔; 및
    상기 메인부가 상기 왜건 엔드부로부터 외측으로 피벗된 위치에서, 상기 롤링 선적 및 롤링 하역이 가능하도록 상기 왜건 엔드부에 대하여 상기 메인부 또는 상기 메인부의 일부를 수직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빔은 상기 메인부가 상기 왜건 엔드부에서 외측으로 피벗되어 상기 작업 포지션으로 이동할 때 상기 메인부를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며,
    상기 빔은 상기 빔의 자유단 부근에 위치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작업 포지션에서 지면에 접촉하여 상기 빔을 지지하는, 철도 왜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를 구동하기 위한 파워는 상기 왜건의 외부 파워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빔을 통해 전달되는 철도 왜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지지부는 지면에 접촉되지 않는 제1 포지션과 지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제2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부의 이동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철도 왜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와 상기 왜건 엔드부 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장치는,
    상기 왜건 엔드부에 대해 상기 메인부를 수직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수단을 포함하는 철도 왜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메인부의 각 측단부에 배치되는 철도 왜건.
  6. 제5항에 있어서,
    각 연결장치는,
    상기 왜건 엔드부로부터 상기 연결장치의 잠금을 해체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메인부를 지면에 내리기 위해, 고정된 중립 자세에서 상기 메인부를 들어올리는 수단을 포함하는 철도 왜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는,
    상기 메인부가 상기 왜건 엔드부로부터 외측으로 피벗되고 상기 빔으로부터 연결이 해체될 때, 지면에 대해 지지될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형의 제어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레그는 상기 메인부의 자유단 부근에 배치되는 철도 왜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레그는,
    상기 메인부를 지면에 내리기 위해 그리고 세미트레일러의 선적 또는 하역 후 상기 메인부를 다시 들어올리기 위해, 또는 상기 메인부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하부 램프를 지면에 내리기 위해 그리고 세미트레일러의 선적 또는 하역 후 상기 하부 램프를 다시 들러올리기 위해 배치되는 철도 왜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 상기 하부 램프 또는 상기 제어 레그를 구동하기 위한 파워는 상기 왜건 내의 파워 공급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철도 왜건.
  10. 제1항에 따른 2대의 철도 왜건을 포함하며,
    상기 2대의 왜건은 공통의 제이콥스(Jacobs) 보기 대차 상에 배열되며,
    상기 제이콥스 보기 대차는 상기 2대의 왜건 각각을 위해 상기 후방 보기 대차를 포함하는 왜건 유닛.
  11. 제1항에 따른 철도 왜건에 세미트레일러 또는 상기 세미트레일러에 상응하는 형태의 화물을 선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메인부를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빔을 상기 왜건 엔드부로부터 외측으로 피벗시키는 단계;
    상기 빔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기 메인부를 상기 왜건 엔드부로부터 외측으로 피벗시키는 단계;
    상기 메인부가 롤링 선적 및 하역 포지션에 위치되도록, 상기 왜건 엔드부에 대하여 상기 메인부 또는 상기 메인부의 일부를 수직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부의 위치를 낮추는 단계; 및
    세미트레일러가 상기 메인부의 길이방향으로 입장 가능하도록, 상기 빔을 상기 왜건 엔드부를 향해 피벗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적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17026416A 2009-04-16 2010-04-14 철도 왜건 및 그 선적 방법 KR101757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950249A SE533690C2 (sv) 2009-04-16 2009-04-16 Järnvägsvagn och sätt för dess lastning
SE0950249-3 2009-04-16
SE0950793-0 2009-10-26
SE0950793A SE534222C2 (sv) 2009-10-26 2009-10-26 Järnvägsvagn och sätt för dess lastning
PCT/SE2010/050403 WO2010120236A1 (en) 2009-04-16 2010-04-14 A railway wagon and a method of its loa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035A KR20120007035A (ko) 2012-01-19
KR101757893B1 true KR101757893B1 (ko) 2017-07-14

Family

ID=4298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416A KR101757893B1 (ko) 2009-04-16 2010-04-14 철도 왜건 및 그 선적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67902B2 (ko)
EP (1) EP2419312B1 (ko)
KR (1) KR101757893B1 (ko)
CN (1) CN102395501B (ko)
AU (1) AU2010237099B2 (ko)
BR (1) BRPI1006577B1 (ko)
RU (1) RU2500560C2 (ko)
WO (1) WO2010120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87087B8 (en) 2011-02-09 2016-06-22 Kockums Engineering AB An arrangement for height compensation of a railway wagon
SE536023C2 (sv) 2011-05-12 2013-04-02 Technology Ab K Arrangemang för höjdkompensering av en järnvägsvagn
SE536004C2 (sv) * 2011-06-21 2013-03-26 Flexiwaggon Ab Stödanordning för i sidled förskjutbar lastbärare hos en järnvägsvagn
FR2985239B1 (fr) * 2011-12-30 2015-07-31 Eltrova Wagon de transport de vehicules, notamment pour un systeme de transport rail/route
CN203545194U (zh) * 2012-11-16 2014-04-16 海运快速有限责任公司 用于运输公路挂车的轨道车辆
US9676399B1 (en) * 2013-09-03 2017-06-13 James Frederick Simko Swivel deck system for flatcar loading and unloading
RU2597440C2 (ru) * 2014-12-24 2016-09-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ивоваренной, безалкогольной и винодельчес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напиток
CN104527689B (zh) * 2015-01-05 2017-08-01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装载装置及具有其的驮背运输车
CN104527668B (zh) * 2015-01-05 2017-11-14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驮背运输车
DE202016008720U1 (de) 2015-03-11 2019-03-18 Franz Blum Hebbare Tragvorrichtung
KR101675582B1 (ko) 2015-03-12 2016-11-14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
CN104859671B (zh) * 2015-06-12 2017-12-19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驮背运输车
KR102003704B1 (ko) * 2015-10-08 2019-07-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특정 방향에서 진공을 인가하여 전극 슬러리를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
CN105480236B (zh) * 2015-12-17 2017-10-03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一种运输卡车的铁路货车及卡车装卸方法
DE102017003307A1 (de) 2017-04-05 2018-10-11 Hartmut Jörck Eisenbahntransportsystem für den kombinierten Verkehr
EP3395639B1 (en) 2017-04-25 2021-01-27 Helrom Limited King pin console arrangement
PL237854B1 (pl) * 2018-03-15 2021-06-14 Inst Pojazdow Szynowych Tabor Wagon, zwłaszcza do transportu kombinowanego kolejowego- -drogowego
CN108944969B (zh) * 2018-06-22 2019-07-23 中车石家庄车辆有限公司 铁路站台车辆及铁路列车
RU2700100C1 (ru) * 2018-07-13 2019-09-12 Андрей Валентинович Жакалов Контрейлерный вагон
FR3084319B1 (fr) * 2018-07-30 2020-07-24 Lohr Ind Systeme de liaison pour wagon de transport combine rail/route
EP3870492B8 (en) 2018-10-24 2022-06-22 Helrom GmbH Railway wagon for transportation of semitrailers and the like
RU2698530C1 (ru) 2018-12-26 2019-08-28 Андрей Валентинович Жакалов Контрейлерный вагон
US20220234629A1 (en) * 2019-05-29 2022-07-28 Flexiwaggon Ab A laterally displaceable railway wagon
EP4371841A1 (en) 2022-11-15 2024-05-22 Helrom GmbH Railway wagon with improved launch beam positioning
EP4371842A1 (en) 2022-11-15 2024-05-22 Helrom GmbH Railway wagon with improved launch beam mount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1918A (en) 1968-01-12 1971-06-01 Fruehauf Corp Railcar-unloading system
US20080271634A1 (en) * 2004-09-17 2008-11-06 Je Utveckling O Förvaltning Ab Railway Wag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09818A (de) * 1923-11-15 1925-04-16 Ewak A G Einrichtung zum Massen-Ein- und Ausladen von Stückgütern bei überdachten Bahnwagen.
GB901275A (en) * 1959-12-09 1962-07-18 Newton Chambers & Co Improvements relating to railway trucks to facilitate loading
GB1053973A (ko) * 1962-09-28
US3548756A (en) 1968-01-12 1970-12-22 Fruehauf Corp Railcar unloading system
DE3234374C2 (de) 1982-09-16 1985-04-25 Waggonfabrik Talbot, 5100 Aachen Eisenbahn-Güterwagen zum Transport von Straßenfahrzeugen
FI82650C (fi) * 1989-06-21 1991-04-10 Rautaruukki Oy Stoedbom i ett transportmedel.
AU670756B2 (en) * 1991-08-21 1996-08-01 Lohr Industrie Separable rail transport unit for carrying a load, particularly a road unit
FR2724899B1 (fr) * 1994-09-23 1996-12-27 Lohr Ind Procede d'engagement-degagement d'une structure ferroviaire par rapport a un convoi a partir de la charge qu'elle porte
FR2724886B1 (fr) * 1994-09-23 1996-12-27 Lohr Ind Semi-remorque notamment porte-vehicules et son procede de chargement et de dechargement en vehicules
SE503925C2 (sv) 1995-05-26 1996-09-30 Jan Eriksson Järnvägsvagn
FR2810612B1 (fr) * 2000-06-23 2002-10-04 Lohr Ind Systeme de transport et de chargement/dechargement des wagons en oblique dans une gare ferroviaire de transport combine rail/route et son procede de mise en oeuv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1918A (en) 1968-01-12 1971-06-01 Fruehauf Corp Railcar-unloading system
US20080271634A1 (en) * 2004-09-17 2008-11-06 Je Utveckling O Förvaltning Ab Railway Wag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95501A (zh) 2012-03-28
EP2419312A1 (en) 2012-02-22
BRPI1006577B1 (pt) 2020-04-07
BRPI1006577A2 (pt) 2016-02-10
EP2419312B1 (en) 2016-05-25
CN102395501B (zh) 2014-09-24
WO2010120236A1 (en) 2010-10-21
US8667902B2 (en) 2014-03-11
AU2010237099A1 (en) 2011-12-01
AU2010237099B2 (en) 2014-12-18
US20120017799A1 (en) 2012-01-26
KR20120007035A (ko) 2012-01-19
EP2419312A4 (en) 2014-08-06
RU2500560C2 (ru) 2013-12-10
RU2011144648A (ru)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893B1 (ko) 철도 왜건 및 그 선적 방법
US96373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modal container handling
EP3674166A1 (en) Intermodal pocket wagon
EP3548356B1 (en)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loading a semi-trailer onto a railway wagon
GB2410221A (en) Trailers for carrying containerised loads
US4111450A (en) Multiple hook-up, movable axle trailer with removable track extensions, slidable kingpin, and pivotal axle assemblies
CN211592556U (zh) 驮背运输车
US968283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modal container handling
JP3995700B2 (ja) コンテナ積載用セミトレーラ
KR100993281B1 (ko) 콘테이너 수평이송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US6263801B1 (en) Multi-mode trailer suspension system for use with rail bogies
CN112793608A (zh) 运输车
EP0720941B1 (en) Rail transportable ramps for circus loading standard high semi-trailers on special unit trains
JP2588455Y2 (ja) 車両運搬用トレーラ
US3718221A (en) Load transfer mechanism
EP2489547B1 (en) Kit for connecting a semi-trailer, corresponding road tractor and semi-trailer and method for delivering goods
JPS64242B2 (ko)
CN110606098B (zh) 一种基于快捷稳固装车的一体化铁路驮背运输车
CN110884513B (zh) 驮背运输车
EP2100790A1 (en) System for railway transportation of semi-trailers, a railway freight wagon for such a syste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railway freight wagon
CN114801955B (zh) 一种货车车厢以及货车
CN114228760B (zh) 铁路驮背运输车以及公铁联运运输方法
AU2009203202A1 (en) A vehicle having a ramp arrangement
EP1409290A1 (en) Trailers for carrying containerised loads
CN110884513A (zh) 驮背运输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