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990B1 - 차량용 시트벨트 텅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벨트 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990B1
KR101755990B1 KR1020160026824A KR20160026824A KR101755990B1 KR 101755990 B1 KR101755990 B1 KR 101755990B1 KR 1020160026824 A KR1020160026824 A KR 1020160026824A KR 20160026824 A KR20160026824 A KR 20160026824A KR 101755990 B1 KR101755990 B1 KR 101755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tongue
seat belt
stopper
tongu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순
김응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6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38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bel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60R2022/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벨트 착용 시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차량 충돌 시 상해를 개선할 수 있는 구조의 시트벨트 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트벨트 텅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확보하여 사용자의 그립 위치를 상향시킴으로써 시트벨트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웨빙을 탄력적으로 규제하는 연질재질의 스토퍼를 구비하여 차량 충돌 시 웨빙의 당겨짐에 의해 변형되면서 웨빙 하단부에 힘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서브 마린 등을 방지하여 상해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차량용 시트벨트 텅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벨트 텅{Seat belt tongu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벨트 텅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벨트 착용 시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차량 충돌 시 상해를 개선할 수 있는 구조의 시트벨트 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벨트(Seat belt)는 차량의 각 좌석에 설치되어 사고 발생 시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좌석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안전띠를 말한다.
이러한 차량용 시트벨트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진 띠 형태의 웨빙과, 웨빙의 타단이 탄력있게 권입되고 일정 압력 이상에서는 웨빙의 인출을 막는 리트렉터와, 웨빙이 차례대로 관통되는 디링과 트림가이드 및 텅과, 웨빙의 일단에 고정된 앵커와, 텅과 체결되는 버클로 구성된다.
이때 리트렉터와 앵커는 각각 트림을 사이에 두고 차체의 측부 하부에 설치되고, 버클은 차체의 중앙 하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승객은 좌석에 앉은 상태에서 텅을 잡은 상태로 웨빙을 버클 방향으로 잡아당긴 후, 텅을 버클에 체결함으로써 어깨와 허를 감싸는 웨빙을 통해 자신의 상체를 좌석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객은 좌석에 상체가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사고 발생 시 충격으로 인해 좌석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전면 유리창이나 대시보드 등에 부딪히는 2차적인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이러한 차량용 시트벨트에서, 시트벨트 착용을 위해 텅을 버클에 체결하는 경우,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의 길이가 짧을 경우 손목이 과다하게 꺽이거나, 볼스터부분이 팔을 밀어내면서 팔에 압박감을 주는 등 벨트 착용 시 불편한 점이 있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에는 차량 충돌 시 서브마린 현상이 발생하면서 승객 상해치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종래의 차량용 시트벨트에서는 벨트 착용성과 서브마린 방지를 모두 만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등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 10-2011-0007742호 한국 공개특허 10-2001-000483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벨트 텅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확보하여 사용자의 그립 위치를 상향시킴으로써 시트벨트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웨빙을 탄력적으로 규제하는 연질재질의 스토퍼를 구비하여 차량 충돌 시 웨빙의 당겨짐에 의해 변형되면서 웨빙 하단부에 힘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서브 마린 등을 방지하여 상해를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차량용 시트벨트 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차량용 시트벨트 텅은 시트벨트 착용 시 버클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하단의 버클 체결편을 가지는 텅 코어와, 웨빙이 관통되면서 걸려지는 웨빙 홀을 가지면서 버클 체결편을 제외한 코어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텅 몸체와, 상기 텅 몸체측에 지지됨과 더불어 텅 몸체의 전면에 위치되면서 웨빙의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고 차량 충돌 시 웨빙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웨빙이 하단부에 힘을 받도록 해주는 띠 모양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일 예로서 양단의 걸림편을 이용하여 텅 코어의 양편 걸림홈에 걸려진 상태에서 텅 몸체의 사출 성형 시 텅 코어와 함께 인서트 성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한편, 다른 예로서 사각의 틀 형태로 이루어져 텅 몸체의 후면과 양측면을 감싸는 동시에 스토퍼 후면을 감싸면서 텅 몸체에 체결되는 커버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전면에 형성되는 체결핀을 이용하여 텅 몸체의 후면에 있는 체결홀에 체결되는 구조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고무 재질, TPO 연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텅 몸체의 상단에서 웨빙 홀 까지의 거리는 웨빙 홀의 좌우 폭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시트벨트 착용 시 사용자 그립 위치가 상향되어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차량 충돌 시 연질의 스토퍼가 변형되면서 텅 하단부 웨빙 접촉부위가 힘의 작용점이 되도록 함으로써 서브 마린 등을 방지하여 상해를 개선할 수 있고, 특히 차량 충돌 시 힘의 작용점이 흉부를 벗어나게 되므로, 다시 말해 시트벨트가 아래로 내려오면서 시트벨에 의해 흉부에 가해지는 집중하중이 밑으로 벗어나게 되므로, 승객 상해치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텅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텅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시트벨트 착용 시 불편한 점과 차량 충돌 시 서브마린 현상을 보여주는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벨트 텅은 차량 충돌 시의 서브 마린 위험을 초래하는 버클 길이의 증대없이 시트벨트 착용성을 개선할 수 있고, 차량 충돌 시의 상해치를 저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시트벨트 텅은 버클에 체결하기 위한 텅 코어(11)와, 상기 텅 코어(11)를 감싸주는 텅 몸체(13)와, 차량 충돌 시 웨빙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나면서 웨빙의 힘 작용점을 아래로 옮겨주기 위한 스토퍼(14)를 포함한다.
상기 텅 코어(11)는 금속재의 판 형태로서, 하단부에는 버클 내에 삽입 체결되는 부분인 버클 체결편(10)이 형성되며, 이때의 버클 체결편(10)에 인접한 코어 판체부분 하단쪽에는 웨빙이 통과하는 슬롯형태의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텅 코어(11)의 윗쪽 양 측단부에는 걸림홈(16)이 각각 형성되며, 이때의 걸림홈(16)에는 스토퍼(14)의 걸림편(15)이 걸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14)와 텅 코어(11)는 전후 방향으로 견고한 결속관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텅 코어(11)는 텅 몸체(13)의 사출 성형 시 인서트되어 함께 사출 성형되어 텅 몸체(13)와 일체형을 이루게 되고, 이렇게 일체형을 이룬 상태에서 텅 코어(11)는 하단의 버클 체결편(10) 부분만 텅 몸체(13)의 하단쪽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텅 몸체(13)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사출 성형되어 시트벨트 텅의 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그 하단부에는 웨빙을 끼워서 걸 수 있도록 가로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슬롯 형태의 웨빙 홀(12)이 형성된다.
특히, 텅 몸체 상단에서 웨빙 홀 까지의 거리가 웨빙 홀의 좌우 폭 길이보다 짧은 일반적인 텅과는 달리, 상기 텅 몸체(13)의 상단에서 웨빙 홀(12) 까지의 거리가 웨빙 홀(12)의 좌우 폭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 그립 위치를 상향 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결국 버클이 아래쪽 깊숙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텅 몸체(13)의 상단 부분을 잡고 손쉽게 텅을 버클에 체결할 수 있게 되는 등 시트벨트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14)는 신축변형이 가능한 띠 모양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예를 들면 고무 재질이나 TPO 연성 재질 등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텅 코어(11)에 걸려짐과 더불어 텅 몸체(13)에 내장되는 부분인 양측단 부분과 텅 몸체(13)의 전면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웨빙의 일부를 감싸주는 전단 부분의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대략 "ㄷ"자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14)는 양단의 걸림편(15)을 이용하여 텅 코어(11)의 양편 걸림홈(16)에 걸려지게 되고, 이렇게 텅 코어(11)측에 걸려진 상태에서 텅 몸체(13)의 사출 성형 시 텅 코어(11)와 함께 인서트 성형되므로서, 텅 코어(11) 및 텅 몸체(13)와 일체식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웨빙은 텅 몸체(13)의 전면에 배치되는 스토퍼(14)의 이면과 텅 몸체 전면 사이를 지난 후에 웨빙 홀(12)을 통과하여 텅 몸체(13)의 후면쪽을 경유하는 형태로 텅 몸체(13)측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 시 시트벨트를 착용하는 경우 텅을 당겨서 버클 체결편(10)을 버클(미도시)에 체결하면 이때의 웨빙(100)은 스토퍼(14)의 이면쪽과 텅 몸체(13)의 웨빙 홀(12)을 자유롭게 유동하게 되므로, 정상적인 시트벨트의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승객은 텅 몸체(13)의 상단쪽을 손으로 잡은 후에 버클측에 체결할 수 있게 때문에 팔 압박감이나 손목 꺽임 등의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텅을 버클에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웨빙의 접촉면적 증가(스토퍼와의 접촉 등)에 따른 일반 착용 조건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웨빙 접촉부위에 단차구조(웨빙의 두께를 일부 얇게 하여 실질적으로 웨빙과 접촉하는 구간을 줄임)을 형성하거나, 또는 텅 몸체 윗쪽과 아래쪽에 롤러(미도시)를 장착한 구조를 적용하여 착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량 충돌 시 앞쪽으로 쏠리는 승객의 상체에 의해 웨빙 또한 앞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때 스토퍼(14)는 웨빙(100)의 당겨짐과 연계하여 텅 전면쪽으로 늘어나게 된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TPO 연성 재질 등의 스토퍼의 경우 웨빙(100)의 당겨짐과 연계하여 파손되면서 텅 몸체측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렇게 스토퍼(14)가 변형 또는 파손됨에 따라 텅 하단부의 웨빙 접촉부위(웨빙 홀에 걸쳐진 부위)가 힘의 작용점이 되고, 즉 실제 힘이 텅 하단부 웨빙 홀 위치에 작용되면서 웨빙이 하단부(웨빙 홀에 걸쳐진 부분)에 힘을 받게 되고, 따라서 서브 마린 등을 방지하여 상해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량 충돌 시 승객의 흉부에 웨빙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압박감)이 집중되는데, 이때 웨빙의 하단부 웨빙 홀 위치에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승객이 받는 집중 하중 위치를 흉부쪽에서 아래쪽으로 내릴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 흉부 상해치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시트벨트 텅에 구비되는 스토퍼의 다른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스토퍼 이외에 다른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상기 시트벨트 텅은 텅 코어(11), 텅 몸체(13), 스토퍼(14)를 포함하고, 상기 텅 코어(11)의 경우 버클 체결편(10)과 이 버클 체결편(10)에 인접한 슬롯형태의 홀을 포함하면서 텅 몸체(13)의 사출 성형 시 인서트되어 함께 사출 성형되고, 상기 텅 몸체(13)의 경우에도 슬롯 형태의 웨빙 홀(12)을 포함하면서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사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텅 몸체(13)의 상단에서 웨빙 홀(12) 까지의 거리가 웨빙 홀(12)의 좌우 폭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차량 충돌 시 웨빙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나면서 웨빙의 힘 작용점을 아래로 옮겨주기 위한 스토퍼(14)는 띠편이 사각의 틀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사각틀 형태의 스토퍼(14)의 후면 띠편 부재와 측면 띠편 부재는 텅 몸체(13)의 후면과 양측면을 감싸면서 밀착되고, 이와 동시에 전면의 띠편 부재는 텅 몸체(13)의 전면에 일정 갭을 두고 또는 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띠 모양의 커버(17)가 구비되며, 이때의 커버(17)가 스토퍼 후면과 측면을 감싸는 동시에 커버 전면에 형성되는 체결핀(18)을 이용하여 텅 몸체(13)의 후면에 있는 체결홀(19)에 체결되므로서, 스토퍼(14)는 커버(17)에 의해 텅 몸체(13) 상에 일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텅 몸체(13)의 양측면부에는 홈부(20)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에 스토퍼 측면 띠편 부재와 커버 측면 띠편 부재가 삽입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4)의 경우 고무 재질이나 TPO 연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커버(17)의 경우에는 PE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벨트 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평상 시 시트벨트를 착용하는 경우 텅을 당겨서 버클 체결편(10)을 버클(미도시)에 체결하면 이때의 웨빙(100)은 스토퍼(14)의 이면쪽과 텅 몸체(13)의 웨빙 홀(12)을 자유롭게 유동하게 되므로, 정상적인 시트벨트의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승객은 텅 몸체(13)의 상단쪽을 손으로 잡은 후에 버클측에 체결할 수 있게 때문에 팔 압박감이나 손목 꺽임 등의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텅을 버클에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 차량 충돌 시의 경우에도 앞쪽으로 쏠리는 승객의 상체에 의해 웨빙 또한 앞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때 스토퍼(14)는 웨빙(100)의 당겨짐과 연계하여 텅 전면쪽으로 늘어나게 되며, 결국 이러한 스토퍼(14)의 변형에 의해 텅 하단부의 웨빙 접촉부위가 힘의 작용점이 되므로서, 서브 마린 등을 방지하여 상해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한편, 이와 더불어 차량 충돌 시 승객의 흉부에 웨빙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압박감)이 집중될 때, 웨빙의 하단부 웨빙 홀 위치에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승객이 받는 집중 하중 위치를 흉부쪽에서 아래쪽으로 내릴 수 있어 사용자 흉부 상해치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그립 위치를 충분히 확보하고 변형 가능한 웨빙 규제 수단을 구비하는 등 시트벨트 텅의 형상 및 구조 최적화함으로써, 시트벨트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서브 마린 등을 방지하여 상해를 개선할 수 있다.
10 : 버클 체결편
11 : 텅 코어
12 : 웨빙 홀
13 : 텅 몸체
14 : 스토퍼
15 : 걸림편
16 : 걸림홈
17 : 커버
18 : 체결핀
19 : 체결홀
20 : 홈부

Claims (6)

  1. 삭제
  2. 시트벨트 착용 시 버클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하단의 버클 체결편(10)을 가지는 텅 코어(11);
    웨빙이 관통되면서 걸려지는 웨빙 홀(12)을 가지면서 버클 체결편(10)을 제외한 코어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텅 몸체(13);
    상기 텅 몸체(13)측에 지지됨과 더불어 텅 몸체(13)의 전면에 위치되면서 웨빙의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고 차량 충돌 시 웨빙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웨빙이 하단부에 힘을 받도록 해주는 띠 모양의 스토퍼(14);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14)는 양단의 걸림편(15)을 이용하여 텅 코어(11)의 양편 걸림홈(16)에 걸려진 상태에서 텅 몸체(13)의 사출 성형 시 텅 코어(11)와 함께 인서트 성형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텅.
  3. 시트벨트 착용 시 버클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하단의 버클 체결편(10)을 가지는 텅 코어(11);
    웨빙이 관통되면서 걸려지는 웨빙 홀(12)을 가지면서 버클 체결편(10)을 제외한 코어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텅 몸체(13);
    상기 텅 몸체(13)측에 지지됨과 더불어 텅 몸체(13)의 전면에 위치되면서 웨빙의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고 차량 충돌 시 웨빙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웨빙이 하단부에 힘을 받도록 해주는 띠 모양의 스토퍼(14);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14)는 사각의 틀 형태로 이루어져 텅 몸체(13)의 후면과 양측면을 감싸는 동시에 스토퍼 후면을 감싸면서 텅 몸체(13)에 체결되는 커버(17)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텅.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17)는 전면에 형성되는 체결핀(18)을 이용하여 텅 몸체(13)의 후면에 있는 체결홀(19)에 체결되는 구조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텅.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텅 몸체(13)의 상단에서 웨빙 홀(12) 까지의 거리는 웨빙 홀(12)의 좌우 폭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텅.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4)는 고무 재질 또는 TPO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텅.
KR1020160026824A 2016-03-07 2016-03-07 차량용 시트벨트 텅 KR101755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824A KR101755990B1 (ko) 2016-03-07 2016-03-07 차량용 시트벨트 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824A KR101755990B1 (ko) 2016-03-07 2016-03-07 차량용 시트벨트 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990B1 true KR101755990B1 (ko) 2017-07-07

Family

ID=5935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824A KR101755990B1 (ko) 2016-03-07 2016-03-07 차량용 시트벨트 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9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189B1 (ko) 2008-05-26 2009-07-24 최흥용 자동차용 안전벨트 스토퍼
US8312604B2 (en) * 2008-08-13 2012-11-20 Takata AG Lock deflection device
US8661625B2 (en) 2011-03-28 2014-03-04 Ford Global Technologies Slidable seatbelt buckle with integral ribbed cover
US8944468B2 (en) * 2009-11-27 2015-02-03 Graham Edward Cox Seat belts
CN104442682A (zh) 2014-11-03 2015-03-25 宁波市镇海西门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带扣的止带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189B1 (ko) 2008-05-26 2009-07-24 최흥용 자동차용 안전벨트 스토퍼
US8312604B2 (en) * 2008-08-13 2012-11-20 Takata AG Lock deflection device
US8944468B2 (en) * 2009-11-27 2015-02-03 Graham Edward Cox Seat belts
US8661625B2 (en) 2011-03-28 2014-03-04 Ford Global Technologies Slidable seatbelt buckle with integral ribbed cover
CN104442682A (zh) 2014-11-03 2015-03-25 宁波市镇海西门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带扣的止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7249B2 (ja) ロッキングタング
US8408656B2 (en) Harness cover for a child restraint system
US5350196A (en) Retraction locking device for restraining belt
US20080265653A1 (en) Shoulder Pad for Vehicle Seat
EP1338485A2 (en) Shoulder pad for vehicle seat belt
US2871927A (en) Rubber safety belt for automobiles
US20150239426A1 (en) Safety belt retention device
KR101755990B1 (ko) 차량용 시트벨트 텅
EP1690754B1 (en) Vehicle seat belt attachment
KR20110085568A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
KR101282527B1 (ko) 자동차용 3점식 시트벨트 웨빙의 끼임 방지구조
GB2395465A (en) Three point seat belt with additional diagonal belt
US10919418B2 (en) Car seat with belt guide
KR101605817B1 (ko) 벨트 텅 및 그 제조 방법
KR100448405B1 (ko) 차량의 후석 시트벨트
KR0148668B1 (ko) 자동차 시트트랙의 로드 리미터
CN211567885U (zh) 一种用于防止安全带勒脖的儿童带
CN113795409B (zh) 用于载具乘员约束系统的扣紧锁定舌片
KR0138513Y1 (ko) 자동차용 벨트 보호구
WO2013031474A1 (ja) シートベルトタング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CN106314355A (zh) 一种易逃生汽车安全带
KR200293772Y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KR200443392Y1 (ko) 도어 트림 일체형 시트벨트 가이드 구조
KR0120815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0113360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슴압박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