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817B1 - 벨트 텅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벨트 텅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817B1
KR101605817B1 KR1020130117302A KR20130117302A KR101605817B1 KR 101605817 B1 KR101605817 B1 KR 101605817B1 KR 1020130117302 A KR1020130117302 A KR 1020130117302A KR 20130117302 A KR20130117302 A KR 20130117302A KR 101605817 B1 KR101605817 B1 KR 101605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reventing member
noise preventing
belt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8917A (ko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30117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817B1/ko
Publication of KR20150038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61Tongu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차체의 내측 벽부인 트림에 접촉하여 흠집 및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텅이 개시된다. 버클에 결합되는 래치부 및 벨트가 관통되는 슬롯을 갖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텅플레이트, 텅플레이트의 그립부를 커버하는 커버, 커버의 가장 자리에 구비된 소음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커버의 가장 자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소음 방지 부재의 내면에는 결함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벨트 텅 및 그 제조 방법{BELT TONGU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트랙터로부터 시트 벨트를 인출하여 버클에 체결시키는 벨트텅이 차체의 내측 벽부인 트림에 접촉하여 흠집 및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텅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자 등 탑승자의 운행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차량 시트에 시트 벨트를 구비하고 있다. 차량에 설치된 시트 벨트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몸을 구속하여 2차 충돌 방지 및 충격 완화를 꾀하면서 탑승자가 차체 밖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 벨트 장치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어깨 구속용 숄더 벨트와 허리 구속용 랩 벨트가 조합된 3점식 시트 벨트 장치가 있다.
시트 벨트 장치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 합섬 섬유의 띠 모양으로 짜여진 시트 벨트, 시트 벨트를 사용하지 않거나 탑승자의 착좌 자세나 체결에 따라 벨트 길이 조절 시 시트 벨트를 격납하기 위한 리트랙터, 시트 벨트를 장착 또는 해제하기 위한 버클과 텅 플레이트 및, 시트 벨트의 일단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시트 벨트 가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벨트가 설치된 좌석에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아 시트 벨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시트 벨트의 텅 플레이트는 벨트의 중간에 메달린 상태에서 필러 트림과 시트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경우 차량이 도로 상태가 좋지 않은 곳을 주행하거나 급회전하거나, 차량의 창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주행할 경우 텅 플레이트의 그립부가 필러 트림에 부딪힌다. 그 결과, 소음이 발생되어 승차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르게는 시트 벨트 권입시 벨트텅이 트림에 부딪혀 스크래치가 유발하거나 차량 창문을 열고 주행 시 벨트 텅이 트림과 부딪혀 떨림 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공개특허번호:US2007/0050953 (공개일:2007년 3월 8일)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 텅의 그립부가 필라 트림에 부딪힐 경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 텅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트텅의 그립부에 마련된 커버와 커버와 결합되는 소음 방지 부재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벨트텅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을 따르면, 버클에 결합되는 래치부 및 시트 벨트가 관통되는 슬롯을 갖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텅플레이트, 상기 텅플레이트의 상기 그립부를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가장 자리에 구비된 소음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기 커버의 가장 자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결함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벨트텅이 제공된다.
상기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커버의 두께부 및 상기 커버의 전,후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커버의 상부 및 양측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커버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는 일정 곡률을 갖는 라운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및 소음 방지 부재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텅플레이트의 래치부에는 텅플레이트보다 연질의 재질이 더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을 따르면, 버클에 체결되는 래치부 및 시트 벨트가 관통하는 슬롯이 구비된 그립부를 갖는 텅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텅플레이트의 상기 그립부에 열가소성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커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의 가장 자리에 상기 커버보다 연질의 열가소성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소음 방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커버의 가장 자리에는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는 일정 곡률을 갖도록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폴리아미드 66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 방지 부재는 TPU, TPE, TPV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벨트텅에 의하면, 텅플레이트의 그립부에 형성된 커버의 가장자리에 연질의 소음 방지 부재를 추가로 마련하여 벨트텅이 트림에 부딪힐 경우 트림이 손상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벨트텅에 의하면, 벨트텅의 커버 가장 자리에 결함홈을 형성하여 소음 방지 부재를 사출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결합홈에 주입되어 성형되도록 구성하여 커버 및 소음 방지 부재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벨트텅에 의하면 벨트텅의 커버 가장 자리를 라운딩부를 갖도록 구성하여 표면 장력 효과를 극대화시켜 커버의 가장 자리에 이중 사출되는 소음 방지 부재가 균형있게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장치의 벨트텅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벨트 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벨트텅의 일부 구성이 분리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은 도 3의 선 Ⅴ-Ⅴ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선 Ⅵ-Ⅵ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벨트텅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벨트텅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시트 벨트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시트 벨트 장치(1)는 탑승자를 고정시켜 주는 띠 형태의 시트 벨트(3)와 시트 벨트(3)가 감겨 있는 리트랙터(5), 시트 벨트(3)의 인출된 단부에 결합된 벨트텅(100)과 벨트텅(100)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클(9), 및 시트 벨트(3)의 인출입 동작을 가이드 하는 벨트 가이드(11)를 포함한다.
시트 벨트(3)는 차량의 급정차 또는 전복 시 탑승자의 신체가 주행 관성 등으로 인해 전방으로 튕겨져 나가거나 차량 시트(1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버클(9)은 시트 벨트(3)를 인출시킨 벨트텅(100)을 차체에 고정한다.
리트랙터(5)는 시트 벨트(3)를 감는 장치로서, 탑승자가 시트 벨트(3)를 착용할 경우 시트 벨트(3)의 인출을 허용하지만,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해 시트 벨트(3)에 큰 힘이 걸려 급격하게 인출될 때는 시트 벨트(3)의 인출을 억제함으로써, 탑승자가 시트 벨트(3)를 착용한 상태에서 좌석의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시트 벨트 장치(1)의 시트 벨트(3) 장착 시 탑승자가 차량 시트(13)에 착석한 후 벨트텅(100)을 파지하여 시트 벨트(3)를 리트랙터(5)로부터 인출한다. 벨트텅(100)을 버클(9)에 삽입하면 리트랙터(5)를 통해 인출된 시트 벨트(3)가 당겨져 탑승자를 구속한다.
탑승자가 벨트텅(100)을 버클(9)로부터 분리시키면 시트 벨트(3)는 리트랙터(5)에 감겨 들어가고 탑승자의 구속이 해제된다.
탑승자가 시트 벨트(3)를 해제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트랙터(5)에 의해 시트 벨트(3)가 인입되고, 벨트텅(100)의 텅플레이트(110)가 벨트 가이드(11)에 인접된 상태로 메달린다. 이때, 벨트텅(100)의 후면부는 차체의 트림(15)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채 시트 벨트(3)에 메달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 운행시 차량의 흔들림이나 진동에 따라 벨트텅(100)이 차체의 트림(15)에 접촉하여 트림(15)을 손상시키거나 소음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벨트텅(100)의 가장자리에는 소음 방지 부재(200)가 추가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벨트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벨트텅은 금속성 재질 예컨대 스틸로 제작된 텅 틀레이트(110)를 포함한다.
텅플레이트(110)는 래치부(111, latch portion)와 그립부(113, grip portion)를 포함한다. 래치부(111)는 버클(9)과 결합하는 래치홀(111a)이 형성되고, 그립부(113)에는 시트 벨트(3)가 관통하는 슬롯(113a)이 형성된다.
그립부(113)에는 슬롯(113a)을 통과하는 시트 벨트(3)를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130)가 성형된다. 커버(130)는 스틸로 제작된 텅플레이트(110) 보다 연질의 재질로서 텅플레이트(110)의 그립부(113)에 일체로 성형된 합성수지층이 될 수 있다. 커버(130)는 텅플레이트(110)를 인서트 하여 1차 성형된 1차 인서트 사출물이 될 수 있다.
커버(130)는 열가소성 재질, 예컨대, 폴리아미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30)는 폴리아미드 66(PA 66)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30)는 이러한 재질 외에도 TPE(Thermoplastic elastoemrs). TPU(Thermopolstic polyuretha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30)의 가장 자리에는 커버(130)보다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소음 방지 부재(21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소음 방지 부재(210)는 커버(130)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거나,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커버(130)의 상면에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벨트텅의 일부 구성이 분리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선 Ⅴ-Ⅴ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선 Ⅵ-Ⅵ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커버(130)의 가장 자리에는 다수의 결함홈(131)이 형성되고, 커버(130)의 가장 자리에 구비된 소음 방지 부재(210)의 내부에는 결함홈(131)과 대응하는 다수의 결합 돌기(2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커버(130)의 가장 자리에 결합홈(131)을 형성함에 따라 커버(130)의 가장 자리에 소음 방지 부재(210)를 형성하기 위하여 2차 열가소성 재질을 사출할 경우 2차 열가소성 재질이 결함홈(131)을 채우면서 커버(130)의 가장 자리를 따라 사출된다. 그 결과 소음 방지 부재(210)의 내부에 결함홈(131)과 대응하는 결합 돌기(2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 구조에 의해 소음 방지 부재(210)와 커버(130)와의 결합력이 개선된다.
소음 방지 부재(210)는 이와 같이 사출에 의해 커버(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소음 방지 부재(210)는 커버(13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커버(130)의 가장자리에 접착될 수 있다.
소음 방지 부재(210)는 커버(130)와 별도로 제작된 후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커버(13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소음 방지 부재(210)는 대략 "⊃"자로 형성되어 커버(130)의 상부(133) 및 커버(130)의 양측부(135)에 결합될 수 있다.
소음 방지 부재(210)는 커버(130)의 가장 자리 두께부 및 커버의 전,후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커버(130)와의 결합력을 좋게할 수 있다.
커버(130)는 소음 방지 부재(210)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하여 커버(130의 가장 자리에 일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라운딩부(R)를 가질 수 있다(도 6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커버(130)의 가장 자리에 2차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된 소음 방지 부재(210)의 표면 장력이 증대되어 커버(130)와 소음 방지 부재(21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소음 방지 부재(210)는 커버(130)의 두께부 및 전,후면을 커버하도록 사출되어 커버(130)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커버(130)는 금속성 재질의 텅플레이트(110)보다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벨트텅(100)이 트림(15)과 부딪힐 때 손상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체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커버(130)는 이와 같이 트림(15)과 부딪힐 때 탄성체 역할을 하여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130)는 어느 정도 강도를 가지므로 트림(15)과 충돌시 소음 발생을 수반한다.
소음 방지 부재(210)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재질은 TPE(Thermoplastic elastoemrs). TPU(Thermopolstic polyurethane), TPV(Thermaoplastic vulcaniz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음 방지 부재(210)는 커버(130)보다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트림(15)과 커버(130)가 부딪힐 때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음 방지 부재(210)는 시인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예컨대 형광 물질을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벨트텅(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래치부(111) 및 그립부(113)를 갖는 금속성 재질의 텅플레이트(110)를 준비한다.
다음 텅플레이트(110)를 소정의 금형에 안착시킨 후 1차 열가소성 재질을 텅플레이트(110)의 그립부(113)에 사출 성형하여 텅플레이트(110)와 일체로 커버(130)를 형성한다.
이때 커버(130)의 가장 자리에는 결함홈(131)이 형성되고, 소정의 곡률을 갖는 라운딩부(R)가 형성된다.
1차 열가소성 재질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텅플레이트(110)보다 연질의 재질로서, TPE(Thermoplastic elastoemrs). TPU(Thermopolstic polyurethan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1차 열가소성 재질은 폴리아미드 A66 (polyamide 66)을 포함할 수 있다.
텅플레이트(110)의 그립부(113)에 일체로 커버(130)가 형성된 텅플레이트(110)를 다시 소정의 금형에 안착시킨 후 2차 열가소성 재질을 사출하여 소음 방지 부재를 형성한다.
소음 방지 부재(210)는 커버(130)의 상부(133) 및 양측부(135)에 형성될 수 있다.
소음 방지 부재(210)가 2차 사출 성형됨에 있어 커버(130)의 가장 자리는 라운딩부(R)가 형성되어 소음 방지 부재(210)용 2차 열가소성 수지는 라운딩부(R) 표면에 코팅되어 응고됨에 있어 표면 장력이 작용하여 커버(130)의 가장 자리에 균일하게 접합된다. 그 결과, 소음 방지 부재(210)와 커버(130)와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한편, 2차 열가소성 수지는 커버(130)의 가장 자리에 형성된 결함홈(131) 내로 주입되어 결합 돌기(211)를 이룸에 따라 소음 방지 부재(210)가 커버(130)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기치 않은 외력을 분산하여 소음 방지 부재(210)가 커버(13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2차 열가소성 수지는 TPE(Thermoplastic elastoemrs). TPU(Thermopolstic polyurethane), TPV(Thermaoplastic vulcaniz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30) 및 소음 방지 부재(210)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하여 적절한 재질 선택 및 각 재질의 용융점 등을 달리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사출 성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커버(130)를 PA66 재질로 사출 성형하고, 커버(130)의 가장 자리에 TPV를 2차 사출 성형하여 커버(130)와 소음 방지 부재(210)와의 결합성을 증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소음 방지 부재(210) 형성을 위한 2차 사출시 온도를 커버(130) 형성을 위한 1차 사출 온도와 비슷하게 예컨대 290℃로 함으로써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소음 방지 부재(210)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예컨대, 형광 물질을 첨가하여 시각적 효과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벨트텅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벨트텅(100A)은 커버(130) 및 소음 방지 부재(210)의 사이에 공간부(S)를 갖도록 구성하여 소음 방지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있다.
이와 같이 커버(130) 및 소음 방지 부재(210)의 사이에 공간부(S)를 둘 경우 소음 방지 부재(210)의 내면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커버(130)의 가장 자리부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방지 부재(210)를 커버(130)와 별도의 부재로 제작한 후 접착제 또는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커버(130)와 결합할 수 있다.
도 7에서 나머지 구성은 위에서 언급된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명기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벨트텅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벨트텅(110B)은 텅플레이트(110)의 래치부(111)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114)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114)은 텅플레이트(110)보다 연질의 재질로서 어느 정도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벨트텅(100B)을 버클(9, 도 2 참조)로부터 해제되어 트림(15)에 부딪힐 경우 금속 재질로 제작된 텅플레이트(110)의 래치부(111)가 트림(15)에 부딪혀 트림(15)을 손상시키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코팅층(114)은 텅플레이트(110)의 그립부(113)에 커버(130)를 일체로 사출 형성하는 단계에서 텅플레이트(110)의 래치부(111)에 일정 두께로 코팅할 수 있다.
도 8에서 코팅층(114)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에 관하여 설명된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명기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 시트 벨트 장치 3: 시트 벨트
5: 리트랙터 9: 버클
15: 트림 100,100A,100B: 벨트텅
110: 텅플레이트 111: 래치부
113: 그립부 114: 코팅층
131: 결함홈 210: 소음 방지 부재
211: 결함돌기 R: 라운딩부

Claims (11)

  1. 버클에 결합되는 래치부 및 벨트가 관통되는 슬롯을 갖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텅플레이트;
    상기 텅플레이트의 상기 그립부를 커버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가장 자리에 구비된 소음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가장 자리에는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커버의 두께부 및 상기 커버의 전,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커버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사출 성형에 의해 수지가 상기 결합홈 내에 채워져 응고된 복수의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전,후면과 상기 전,후면 사이의 상기 커버의 두께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는 라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및 상기 소음 방지 부재가 접착된 경계면 상에는 상기 소음 방지 부재가 차체에 부딪힐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벨트텅.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커버의 상부 및 양측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벨트텅.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플레이트의 상기 래치부에는 상기 텅플레이트보다 연질의 재질이 코팅된 벨트텅.
  8. 버클에 체결되는 래치부 및 시트 벨트가 관통하는 슬롯이 구비된 그립부를 갖는 텅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텅플레이트의 상기 그립부에 열가소성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커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의 가장 자리에 상기 커버보다 연질의 열가소성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소음 방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커버의 가장 자리에는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전, 후면 및 상기 전,후면 사이의 상기 커버의 두께면이 만나는 모서리부가 라운딩 처리되고,
    상기 소음 방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열가소성 재질이 상기 커버의 결합홈에 채워진 후 응고되어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및 상기 소음 방지 부재가 접촉하는 경계면 상에 상기 소음 방지 부재가 차체에 부딪힐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벨트텅 제조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폴리아미드 66로 형성되는 벨트텅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방지 부재는 TPU, TPE, 또는 TPV로 형성되는 벨트텅 제조 방법.















KR1020130117302A 2013-10-01 2013-10-01 벨트 텅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5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302A KR101605817B1 (ko) 2013-10-01 2013-10-01 벨트 텅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302A KR101605817B1 (ko) 2013-10-01 2013-10-01 벨트 텅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917A KR20150038917A (ko) 2015-04-09
KR101605817B1 true KR101605817B1 (ko) 2016-03-24

Family

ID=5302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302A KR101605817B1 (ko) 2013-10-01 2013-10-01 벨트 텅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4545B2 (en) * 2017-03-27 2020-01-07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ski-Seisakusho Tongue for seatbel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9350A (ja) 2006-03-03 2007-09-13 Takata Corp タン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9350A (ja) 2006-03-03 2007-09-13 Takata Corp タン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917A (ko)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4741B2 (en) Side shield structure for vehicle seat
US7837264B2 (en) Children's safety seat with guide and tension device
EP3156288B1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US20120246894A1 (en) Slidable seatbelt buckle with integral ribbed cover
KR101398172B1 (ko) 차량용 안전벨트
JP2008056229A (ja) シートベルトショルダアンカ
JP5754991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US7648171B2 (en) Seat belt buckle system and scabbard
KR101605817B1 (ko) 벨트 텅 및 그 제조 방법
JP4807878B2 (ja) タン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20150165943A1 (en) Door trim armrest substrate structure
US20080265645A1 (en) Headrest
JP2014218157A (ja) シートベルト用のベゼル
KR101133593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
KR20150038918A (ko) 벨트 텅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8538A (ko) 벨트텅 및 이를 구비한 시트벨트
KR101304650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JP2009161088A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シールド
JP2012228910A (ja) ドアトリム
JP6041435B2 (ja) タン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1001861A (ja) シートベルト用スルーアンカー
GB2590478A (en) Vehicle bench seat cushion
KR101755990B1 (ko) 차량용 시트벨트 텅
JP4565957B2 (ja) ウエビング挿通部材
KR100380938B1 (ko) 리어 시트의 중앙석 시트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