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593B1 -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593B1
KR101133593B1 KR1020100005428A KR20100005428A KR101133593B1 KR 101133593 B1 KR101133593 B1 KR 101133593B1 KR 1020100005428 A KR1020100005428 A KR 1020100005428A KR 20100005428 A KR20100005428 A KR 20100005428A KR 101133593 B1 KR101133593 B1 KR 101133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magnet
seat belt
tongue plate
pillar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568A (ko
Inventor
모정윤
박지승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5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5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59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자동차가 주행할때 조수석이나 뒷좌석에 승객이 탑승치 않아 시트벨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시트벨트의 웨빙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러트림 바깥면에 후크형의 웨빙가이드를 돌출되게 설치함으로 인하여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은 것은 물론 이를 생산하기 위한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가게 되고, 외부로 돌출된 후크형의 웨빙가이드는 탑승자에 의해 파손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웨빙(300)의 스타퍼(310)에 의해 텅플레이트(400)의 위치가 고정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에 있어서, 상기 웨빙(300)이 통과되는 필러트림(100)의 안쪽면 또는 바깥쪽면에 텅플레이트(400)의 금속재질로 된 고정구(420)가 부착되는 자석(200)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금속재질로 된 텅플레이트(400)의 고정구(420)를 자석(200)에 부착되게 하면 텅플레이트(400)가 웨빙(300)을 눌러서 웨빙(3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자석(200)을 필러트림(100)안쪽면에 설치하면 자석(200)이 실내로 전혀 돌출되지 않아 외관미가 향상되는 것은 물론 자석(200)을 필러트림(100)바깥쪽면에 설치한다 하더라도 판형상으로 된 자석(200)을 사용하면 돌출되는 부위가 작아 종전보다 외관미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시중에 폭넓게 사용되는 자석(200)을 이용한 것이므로 종전처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비용도 절감되는 것이고, 설치도 간편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Structure of prevent moving seat belt webbing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웨빙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러트림에 자석을 설치하여 웨빙가이드로 사용하므로서 외관미를 향상시키도록 하고, 또한 시중에 널리 사용되는 자석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제작비용 및 설치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차원을 구속하는 장치가 구비되는데 상기의 구속장치는 자동차의 충돌사고시에 승차원을 구속하여 핸들이나 인스트루패널 등에 2차적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승차원이 차량 외부로 튕겨나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승차원 구속장치로는 시트벨트, 에어백 등이 있다.
상기의 시트벨트 종류로는 2점식벨트, 3점식벨트, 다이어고널벨트, 풀허네스식벨트 등이 있으며, 2점식 벨트는 허리좌우에 2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허리벨트(랩벨트)라고 하는데 여기서 랩은 걸터앉은 자세로 허리에서 무릎관절 부분까지를 말하며 어께밸트(숄더벨트)부분이 없기 때문에 충돌시 상체 구속성능은 다소 떨어지지만 승차원의 차외방출효과는 매우 크다.
그리고 3점식벨트는 허리벨트와 어깨벨트가 따로 분리되어 철구조물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 3점식벨트와, 허리벨트와 어깨벨트 두가닥이 연속된 한줄의 웨빙으로 구성되어 텅플레이트가 웨빙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립되는 연속 3점식 벨트가 있는데 착용자의 안전성을 볼때 시트벨트는 3점식 이상이 바람직하다 할수있고, 충돌시의 승차원 보호성능이 뛰어나며 실용성도 높아 가장 표준적인 시트벨트 시스템이라 할수 있다.
또한 다이어고널벨트는 상체만을 구속하는 2점식 벨트로서 어깨벨트라고 하며, 시트벨트의 초기에 유럽에서 사용되었던 형식을 말하는 것으로 하반신의 구속기능이 없기 때문에 미국니아 일본 등 여러나라에서 규격으로 부터 제외되어 왔으나 하반신을 구속하는 니볼스터와 짜맞추어져 오토메틱 벨트로서 다시 쓰이기 시작한다.
또한 풀허네스식벨트는 구속 성능은 3점식에 대하여 더욱 좋아지지만 장착이 번잡스러우며 차에다 설치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경주용차 등 특수용도에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살펴보면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 합성섬유를 넓이 약 50mm, 두께 약 1.2mm의 띠모양으로 짠 것으로서 숄더 벨트용, 랩 벨트용 등의 용도에 따라서 짜는 법이나 열처리에 따른 강도, 연신도 등의 특성을 설정하여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부분인 웨빙, 벨트길이의 승차원 착좌자세나 체격에 따른 조절이나 사용하지 않을때 벨트의 격납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인 감아들이기 장치(Retractor), 시트벨트를 장착 또는 해제하기 위한 장치인 버클 및 텅플레이트(tongue plate), 예전에는 웨빙의 한끝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철물에 지나지 않았으나 승차원의 체격에 맞추어서 숄더벨트의 위치를 위아래로 조절해서 착용시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앵커 등이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에 있어서 현재 가장많이 사용되고 있는 3점식 시트벨트의 착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3점식 시트벨트의 착용은 감아들이기장치내에 수회로 권회된 시트벨트가 앵커에 걸려진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후 텅플레이트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서 잡아당긴후 허리쪽으로 고정설치된 버클에 텅플레이트의 고정구를 끼우게 되면 이와동시에 랩벨트는 앵커로 부터 탑승자의 골반을 눌러주게 된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시트벨트가 설치되는 필러트림(10)에는 웨빙가이드(20)를 설치하여 시트벨트를 사용치 않을때 도2에서와 같이 웨빙(30)을 웨빙가이드(20)에 거치하여 주행중에 웨빙(3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뒷좌석에 설치된 시트벨트의 경우에는 차문을 열었을때 웨빙(30)이 실외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웨빙가이드(20)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웨빙가이드(20)는 후크형상으로서 웨빙(30)을 웨빙가이드(20)에 끼울때 웨빙가이드(20)의 위치에 따라 웨빙(30)이 잘 끼워지지 않거나 끼워진 이후에도 주행으로 인한 진동에 의해 쉽게 빠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후크형의 웨빙가이드(20)는 필러트림(10)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웨빙가이드(20)가 차량의 실내로 크기 그대로 돌출되어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은 것은 물론 웨빙가이드(20)를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된 웨빙가이드(20)는 탑승자에 의해 빈번히 파손되는 등의 문제와 설치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웨빙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웨빙가이드를 필러트림에 설치하더라도 외관미가 저하될 우려가 없도록 한 것은 물론 웨빙가이드 제작에 따른 비용절감 및 설치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파손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웨빙의 스타퍼에 의해 텅플레이트의 위치가 고정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에 있어서, 상기 웨빙이 통과되는 필러트림의 안쪽면 또는 바깥쪽면에 상기 텅플레이트의 금속재질로 된 고정구가 부착되는 자석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텅플레이트의 고정구가 금속재질인 것을 감안하여 필러트림에 자석형의 웨빙가이드를 설치한 것으로 이는 외관미를 저하시킬 우려가 없는 것은 물론 시중에 널리 사용되는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종래 훅크형의 웨빙가이드를 제작하던 비용과 설치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필러트림에 후크형 웨빙가이드가 설치된 요부 정면도.
도 2 는 종래 웨빙을 웨빙가이드에 끼웠을 때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필러트림에 자석을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서 텅플레이트의 고정구가 자석에 부착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서 텅플레이트의 손잡이가 자석에 부착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웨빙에 설치된 스타퍼가 자석에 부착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필러트림에 자석을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서 텅플레이트의 고정구가 자석에 부착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웨빙(300)의 스타퍼(310)에 의해 텅플레이트(400)의 위치가 고정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웨빙(300)이 통과되는 필러트림(100)의 안쪽면 또는 바깥쪽면에 금속재질로 된 텅플레이트(400)의 고정구(420)가 부착되는 자석(200)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시 조수석이나 뒷자석에 탑승객이 승차하지 아니하여 시트벨트를 사용치 않았을때 시트벨트의 웨빙(3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웨빙가이드를 설치하여 웨빙(300)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웨빙(3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웨빙가이드가 차량의 실내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돌출되더라도 돌출부위가 작아 외관미가 저하될 우려가 없도록 한 것은 물론 웨빙(300)이 웨빙가이드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웨빙가이드를 제작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설치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텅플레이트(400)의 고정구(420)가 금속재질인 점을 감안하여 필러트림(100)에 자석(200)을 설치하여 자석(200)으로 하여금 웨빙가이드의 역할을 수행토록 하였다.
여기서 자석(200)은 도 3 에서와 같이 필러트림(100)에 안쪽면에 설치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석(200)을 필러트림(100)의 바깥쪽면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자석(200)을 필러트림(100)의 안쪽면에 설치하면 자석(200)이 차량의 실내 외부로 전혀 돌출되지 않아 외관미가 향상되는 것이고, 자석(200)을 필러트림(100)의 바깥쪽면에 설치한다 하더라도 자석(200)을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면 돌출되는 부위가 작아 종전처럼 외관미가 크게 저하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자석(200)을 필러트림(100)의 바깥쪽면에 설치할 경우 자석(200)이 필러트림(100)의 표면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자석(200)크기와 두께에 맞게 필러트림(100)에는 부착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석(200)은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자석(200)은 다양한 종류와 용도로 시중에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시트벨트를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도4에서와 같이 텅플레이트(400)의 고정구(420)를 자석(200)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의 필러트림(100)에 접면시키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고정구(420)는 자석(200)에 달라붙게 되는 것이고, 고정구(420)가 자석(200)에 달라붙으면 텅플레이트(400)에 끼워진 웨빙(300)을 자동으로 눌러주게 되는 것이므로 웨빙(300)은 유동됨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승객이 탑승하여 시트벨트를 착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텅플레이트(400)의 손잡이(410)를 잡고 하향으로 내리기만 하면 텅플레이트(400)의 고정구(420)는 자연스럽에 필러트림(100)에서 떨어지면서 웨빙(300)이 당겨져 고정구(420)를 시트에 설치된 버클(도면중 미도시)에 끼워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서 도5에서와 같이 텅플레이트(400)의 손잡이(410) 안쪽면에 필러트림(100)에 설치된 자석(200)과 서로 부착되는 금속재질이나 자석 재질로된 부착구(411)를 설치하여 텅플레이트(400)의 고정구(420)를 자석(200)에 부착하지 않고, 부착구(411)를 자석(20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텅플레이트(400)가 웨빙(300)의 일정한 위치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웨빙(300)에 설치된 스타퍼(310)를 이용하여 즉, 스타퍼(310)를 자석(200)에 부착될 수 있는 금속재질이나 자석으로 형성하여 웨빙(300)의 유동을 방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웨빙(300)에 설치된 스타퍼(310)를 필러트림(100)에 설치된 자석(200)에 부착시키면 텅플레이트(400)로 웨빙(300)을 눌러주지 않더라도 웨빙(300)이 고정되면서 유동이 방지된다.
100 : 필러트림 200 : 자석
300 : 웨빙 310 : 스타퍼
400 : 텅플레이트 410 : 손잡이
411 : 부착구 420 : 고정구

Claims (3)

  1. 웨빙(300)의 스타퍼(310)에 의해 텅플레이트(400)의 위치가 고정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웨빙(300)이 통과되는 필러트림(100)의 안쪽면 또는 바깥쪽면에 금속재지로 된 텅플레이트(400)의 고정구(420)가 부착되는 자석(200)을 설치하며,
    텅플레이트(400)의 손잡이(410) 안쪽면에 필러트림(100)에 설치된 자석(200)과 서로 부착되는 금속재질이나 자석 재질로된 부착구(411)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100005428A 2010-01-21 2010-01-21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 KR101133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428A KR101133593B1 (ko) 2010-01-21 2010-01-21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428A KR101133593B1 (ko) 2010-01-21 2010-01-21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568A KR20110085568A (ko) 2011-07-27
KR101133593B1 true KR101133593B1 (ko) 2012-04-09

Family

ID=4492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428A KR101133593B1 (ko) 2010-01-21 2010-01-21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5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2486B2 (en) 2017-11-17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i-rattle seatbelt assembly
KR20200023098A (ko) * 2018-08-24 2020-03-0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시트벨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6995B (zh) * 2018-07-12 2019-04-21 王亮雄 織帶高度調整裝置
US20200079316A1 (en) * 2018-09-11 2020-03-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afety restraint system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103U (ko) * 1996-10-18 1998-07-15 박병재 차량용 운전석 시트 벨트의 압박감 저감장치
KR19990041310A (ko) * 1997-11-21 1999-06-15 양재신 소음 방지형 자석판이 부착된 자동차의 시트 벨트 웨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103U (ko) * 1996-10-18 1998-07-15 박병재 차량용 운전석 시트 벨트의 압박감 저감장치
KR19990041310A (ko) * 1997-11-21 1999-06-15 양재신 소음 방지형 자석판이 부착된 자동차의 시트 벨트 웨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2486B2 (en) 2017-11-17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i-rattle seatbelt assembly
KR20200023098A (ko) * 2018-08-24 2020-03-0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시트벨트
KR102096936B1 (ko) 2018-08-24 2020-05-2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시트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568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5167B2 (en) Seat belt shoulder anchor
US7390022B2 (en) Integrated seat belt shoulder anchor
US9963098B2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KR101133593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
US8474873B2 (en) Seat belt system in motor vehicles
JP2010105544A (ja) 乗員拘束装置
US9033369B2 (en) Holding covers for seat belt attachment
KR101282527B1 (ko) 자동차용 3점식 시트벨트 웨빙의 끼임 방지구조
GB2414442A (en) Three point seat belt with additional fixed two point belt
KR101304650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JP5495691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CN108349458B (zh) 包括至少一个改进的安全带预紧器的车辆
KR0134236Y1 (ko)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 하우징 설치구조
KR20200023098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JP5510284B2 (ja)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構造
JP2019014459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691604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10336293B2 (en) Motor vehicle comprising improved deflection member of a safety belt device and method
KR101271855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KR20150034869A (ko) 리어시트의 안전벨트
KR0134239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JPH074994Y2 (ja) オートマチックベルトの肩アンカブラケット
KR100279570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웨빙 가이드
KR101230173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KR101240889B1 (ko)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