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889B1 -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889B1
KR101240889B1 KR1020100131316A KR20100131316A KR101240889B1 KR 101240889 B1 KR101240889 B1 KR 101240889B1 KR 1020100131316 A KR1020100131316 A KR 1020100131316A KR 20100131316 A KR20100131316 A KR 20100131316A KR 101240889 B1 KR101240889 B1 KR 101240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plate
webbing
belt
sea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963A (ko
Inventor
김현웅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88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88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리어시트에 설치되는 벨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벨트의 텅플레이트를 탑승자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없음에 따라 탑승자가 시트에 앉게되면 텅플레이트의 간섭으로 인하여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텅플레이트(200)가 이동되게 설치된 웨빙(100)이 시트백(400) 상면에 설치되는 커버(300)를 통해 출입되는 리어시트의 3점식 시트벨트에 있어서, 커버(300)의 웨빙출입공(310)은 텅플레이트(200)의 손잡이부(210)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여 벨트 미사용시 웨빙(100)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는 텅플레이트(200)의 손잡이부(210)를 웨빙출입공(310)에 끼워 놓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벨트를 사용치 않을 때에는 텅플레이트를 탑승자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시키고 사용할 경우에는 다시 텅플레이트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tongue-plate fixing apparatus of rear 3-point seat bol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시트벨트를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텅플레이트를 탑승자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시켜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차원을 구속하는 장치가 구비되는데 상기의 구속장치는 자동차의 충돌사고시에 승차원을 구속하여 핸들이나 인스트루패널 등에 2차적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승차원이 차량 외부로 튕겨나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승차원 구속장치로는 시트벨트, 에어백 등이 있다.
상기의 시트벨트 종류로는 2점식벨트, 3점식벨트, 다이어고널벨트, 풀허네스식벨트 등이 있으며, 2점식 벨트는 허리좌우에 2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허리벨트(랩벨트)라고 하는데 여기서 랩은 걸터앉은 자세로 허리에서 무릎관절 부분까지를 말하며 어께밸트(숄더벨트)부분이 없기 때문에 충돌시 상체 구속성능은 다소 떨어지지만 승차원의 차외방출 효과는 매우 크다.
그리고 3점식벨트는 허리벨트와 어깨벨트가 따로 분리되어 철구조물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 3점식벨트와, 허리벨트와 어깨벨트 두가닥이 연속된 한줄의 웨빙으로 구성되어 텅플레이트가 웨빙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립되는 연속 3점식 벨트가 있는데 착용자의 안전성을 볼때 시트벨트는 3점식 이상이 바람직하다 할수있고, 충돌시의 승차원 보호성능이 뛰어나며 실용성도 높아 가장 표준적인 시트벨트 시스템이라 할수 있다.
또한 다이어고널벨트는 상체만을 구속하는 2점식 벨트로서 어깨벨트라고 하며, 시트벨트의 초기에 유럽에서 사용되었던 형식을 말하는 것으로 하반신의 구속기능이 없기 때문에 미국니아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규격으로 부터 제외되어 왔으나 하반신을 구속하는 니볼스터와 짜맞추어져 오토메틱 벨트로서 다시 쓰이기 시작한다.
또한 풀허네스식벨트는 구속 성능은 3점식에 대하여 더욱 좋아지지만 장착이 번잡스러우며 차에다 설치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경주용차 등 특수용도에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살펴보면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 합성섬유를 넓이 약 50mm, 두께 약 1.2mm의 띠모양으로 짠 것으로서 숄더 벨트용, 랩 벨트용 등의 용도에 따라서 짜는 법이나 열처리에 따른 강도, 연신도 등의 특성을 설정하여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부분인 웨빙, 벨트길이의 승차원 착좌자세나 체격에 따른 조절이나 사용하지 않을때 벨트의 격납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인 감아들이기 장치(Retractor), 시트벨트를 장착 또는 해제하기 위한 장치인 버클 및 텅플레이트(tongue plate), 예전에는 웨빙의 한끝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철물에 지나지 않았으나 승차원의 체격에 맞추어서 숄더벨트의 위치를 위아래로 조절해서 착용시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앵커 등이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에 있어서 현재 가장많이 사용되고 있는 3점식 시트벨트의 착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3점식 시트벨트의 착용은 감아들 이기 장치 내에 수회로 권회된 시트벨트가 앵커에 걸려진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후 텅플레이트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서 잡아당긴후 허리쪽으로 고정설치된 버클에 텅플레이트의 고정구를 끼우게 되면 이와 동시에 랩벨트는 앵커로 부터 탑승자의 골반을 눌러주게 된다.
그런데 운전석 및 조수석을 제외한 2열 및 3열시트의 뒷좌석에 적용되는 3점식 벨트의 경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 시트벨트를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시트벨트의 웨빙(10)으로 부터 자유롭게 이동되는 텅플레이트(20)를 마땅히 고정시킬 만한 장소가 없어 텅플레이트(20)를 그냥 방치하였다.
따라서 텅플레이트(20)가 도 1에서와 같이 웨빙(10)의 중간위치에 놓여져 있거나 도 2에서와 같이 웨빙(10)의 상측에 위치되는데 이를 무시하고 탑승자가 시트에 앉을 경우에는 즉, 텅플레이트(20)가 웨빙(10)의 중간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등과 접촉되어 불편한 것이고, 텅플레이트(20)가 웨빙(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텅플레이트(20)가 어깨부위에 접촉되면서 이 역시 많은 불편함을 느끼게 되어 승차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어 시트벨트를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텅플레이트를 탑승자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되게 하므로서 탑승자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텅플레이트가 이동되게 설치된 웨빙이 시트백 상면에 설치되는 커버의 웨빙출입공을 통해 출입되는 리어시트의 3점식 시트벨트에 있어서, 커버의 웨빙출입공은 텅플레이트의 손잡이부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여 벨트 미사용시 웨빙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는 텅플레이트의 손잡이부를 웨빙출입공에 끼워 놓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벨트를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텅플레이트를 탑승자와 접촉되지 않는 시트백 상단의 커버에 끼워 보관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가 시트에 앉아 등과 머리를 시트백에 기댔을 경우 텅플레이트의 간섭을 전혀 받지 않음에 따라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시트벨트를 사용치 않을 경우 텅플레이트가 웨빙의 중간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 는 종래 시트벨트를 사용치 않을 경우 텅플레이트가 웨빙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구조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텅플레이트를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서 시트백에 설치된 커버에 텅플레이트를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구조를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텅플레이트를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서 시트백에 설치된 커버에 텅플레이트를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텅플레이트(200)가 이동되게 설치된 웨빙(100)이 시트백(400) 상면에 설치되는 커버(300)의 웨빙출입공(310)을 통해 출입되는 리어시트의 3점식 시트벨트에 있어서, 커버(300)의 웨빙출입공(310)은 텅플레이트(200)의 손잡이부(210)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여 시트벨트 미사용시 웨빙(100)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는 텅플레이트(200)의 손잡이부(210)를 웨빙출입공(310)에 끼워 놓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40)은 스프링과 고정구를 커버에 설치한후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마감커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시트벨트를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텅플레이트(200)를 탑승자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되게 하고, 시트벨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만 텅플레이트(200)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시트백(400)상면에 설치된 커버(300)의 웨빙출입공(310) 크기를 텅플레이트(200)의 손잡이부(210)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므로서 시트벨트를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텅플레이트(200)를 웨빙(100)의 상측으로 끌어 올린후 텅플레이트(200)의 손잡이부(210)를 커버(300)의 웨빙출입공(310)속에 끼워 놓으면 탑승자가 시트에 앉아 머리나 등을 시트백(400)에 기대더라도 텅플레이트(200)가 어깨나 등에 접촉되지 않아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커버(300)의 웨빙출입공(310) 양쪽 내면에는 통공(301)을 형성하고, 양쪽 통공(301)의 내부에는 스프링(320)으로 탄발되는 고정구(330)를 대향으로 출몰되게 설치하며, 텅플레이트(200)의 손잡이부(210) 양 측면에는 탄발형 고정구(330)에 끼워져 걸리는 고정홈(220)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커버(300)에 설치되는 스프링(320)과 고정구(330)는 커버(300)의 외측면에 형성되 구멍(도면중 미설명)을 통해 넣어준후 마감커버(340)를 이용하여 구멍을 막아주므로서 스프링(320)과 고정구(330)가 커버(300)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이처럼 설치된 고정장치는 텅플레이트(200)의 손잡이부(210)를 커버(300)의 웨빙출입공(310)속으로 넣은 상태에서 계속 텅플레이트(200)를 밀어주면 손잡이부(210)가 고정구(330)와 접촉되면서 고정구(330)를 밀어내는 것인데 이때 고정구(330)는 스프링(320)에 의해 탄발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부(210)가 밀고 들어오면 스프링(320)이 수축되면서 고정구(330)는 후진된다.
이후 손잡이부(210)에 형성된 고정홈(220)이 고정구(330)와 일직선상 위치에 도달하면 수축되었던 스프링(320)이 탄발되면서 고정구(330)를 밀어냄에 따라 고정구(330)가 고정홈(220)속으로 들어가므로서 텅플레이트(200)는 손잡이부(210)가 커버(300)의 웨빙출입공(310)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시트벨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부(210)가 커버(300)의 웨빙출입공(310)에 삽입되어 고정된 텅플레이트(200)를 당기면 이역시 고정구(330)가 후진되면서 손잡이부(210)의 고정홈(220)에서 이탈됨에 따라 텅플레이트(200)를 웨빙(100)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드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구(330)는 선단을 둥글게 만곡된 형태로 형성하고, 손잡이부(210) 양쪽면의 고정홈(220)은 고정구(330)와 대응되는 만곡형의 홈으로 형성하므로서 텅플레이트(200)의 손잡이부(210) 탈착이 더욱더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100 : 웨빙 200 : 텅플레이트
210 : 손잡이부 220 : 고정홈
300 : 커버 301 : 통공
310 : 웨빙출입공 320 : 스프링
330 : 고정구 340 : 마감커버
400 : 시트백

Claims (3)

  1. 삭제
  2. 텅플레이트(200)가 이동되게 설치된 웨빙(100)이 시트백(400) 상면에 설치되는 커버(300)를 통해 출입되되,
    커버(300)의 웨빙출입공(310)은 텅플레이트(200)의 손잡이부(210)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여
    벨트 미사용시 웨빙(100)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는 텅플레이트(200)의 손잡이부(210)를 웨빙출입공(310)에 고정되는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커버(300)의 웨빙출입공(310) 양쪽 내면에는 통공(301)을 형성하고, 양쪽 통공(301)의 내부에는 스프링(320)으로 탄발되는 고정구(330)를 대향으로 출몰되게 설치하며,
    텅플레이트(200)의 손잡이부(210) 양 측면에는 탄발형 고정구(330)에 끼워져 걸리는 고정홈(220)을 형성하여
    손잡이부(210)의 끼워진 상태가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고정구(330)는 선단을 둥글게 만곡된 형태로 형성하고,
    손잡이부(210) 양쪽면의 고정홈(220)은 고정구(330)와 대응되는 만곡형의 홈으로 형성하여 텅플레이트(200)의 손잡이부(210) 탈착이 용이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KR1020100131316A 2010-12-21 2010-12-21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KR101240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316A KR101240889B1 (ko) 2010-12-21 2010-12-21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316A KR101240889B1 (ko) 2010-12-21 2010-12-21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963A KR20120069963A (ko) 2012-06-29
KR101240889B1 true KR101240889B1 (ko) 2013-03-07

Family

ID=4668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316A KR101240889B1 (ko) 2010-12-21 2010-12-21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8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391U (ko) * 1996-11-29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의 시트벨트
KR20050036560A (ko) * 2003-10-16 2005-04-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벨트용 텅플레이트
JP2010052680A (ja) * 2008-08-29 2010-03-11 Tokai Rika Co Ltd シートベル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391U (ko) * 1996-11-29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의 시트벨트
KR20050036560A (ko) * 2003-10-16 2005-04-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벨트용 텅플레이트
JP2010052680A (ja) * 2008-08-29 2010-03-11 Tokai Rika Co Ltd 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963A (ko)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0308B2 (en) Buckle-tongue arrangement for four point seat belt system
US8517424B2 (en) Comfortable seat belt extender that is easy to install and use
WO2005092677A1 (en) Shoulder pad for vehicle seat belt
KR20110085568A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
EP1690754B1 (en) Vehicle seat belt attachment
KR101240889B1 (ko)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KR101438201B1 (ko) 시트 일체형 안전벨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체결방법
US20060017275A1 (en) Cross-car adjustable strap buckle
GB2414442A (en) Three point seat belt with additional fixed two point belt
CN111284443B (zh) 车辆座椅安全带组件
CN210653006U (zh) 一种三点式汽车安全带
KR101304650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KR101574442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WO2023084615A1 (ja) チャイルドシート
GB2414443A (en) Three point seat belt and additional two point seat belt arrangement
KR20110085580A (ko) 승합 또는 suv 자동차의 2열시트중 센터시트의 시트벨트 버클 고정구조
US10336293B2 (en) Motor vehicle comprising improved deflection member of a safety belt device and method
KR101230173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KR100429021B1 (ko)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KR200485361Y1 (ko) 착용이 편이하고 미관이 향상된 차량용 시트벨트
KR101271855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JP2023038734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0134239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JPS6015717Y2 (ja) シ−トベルト装置
KR101315596B1 (ko) 자동차 리어 센터시트의 3점식 시트벨트 텅플레이트 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