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239Y1 - 자동차의 시트벨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239Y1
KR0134239Y1 KR2019960043487U KR19960043487U KR0134239Y1 KR 0134239 Y1 KR0134239 Y1 KR 0134239Y1 KR 2019960043487 U KR2019960043487 U KR 2019960043487U KR 19960043487 U KR19960043487 U KR 19960043487U KR 0134239 Y1 KR0134239 Y1 KR 0134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eat
belt
webbing
sea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391U (ko
Inventor
유효원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43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239Y1/ko
Publication of KR19980030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2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022/021Means for holding the tongue or buckle in a non-use position, e.g. for easy access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리어시트 중앙에 있는 2점식벨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웨빙이 리어시트에 아무렇게나 풀어져 있게 되므로 리어시트에 앉은 승객에게도 불편함을 줄 뿐아니라 차내의 미관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몸체(410)에는 삽입홈(411)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홈(411) 내부의 상단에는 탄발력을 지닌 걸림편(420)이 설치된 격납구(400)를 리어시트(100) 후방의 셀프트림(500)의 소정부위에 설치한 후, 상기 2점식벨트(3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웨빙(310) 선단에 취부되어 있는 텅 플레이트(320)를 리어시트(100) 후방 셀프트림(500)에 설치한 격납구(400)에 삽입하여 정리정돈을 할 수 있으므로, 2점식벨트(300)의 웨빙(310)이 리어시트(100)에 아무렇게나 놓여져 뒷좌석의 승객에 불편함을 주거나 차내의 미관을 떨어뜨리게 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벨트
일반적으로 시트벨트의 종류에는 2점식벨트, 3점식벨트, 다이어고널벨트, 풀허네스식벨트가 있는데, 상기 2점식벨트는 허리벨트 또는 랩벨트라고 불리우며, 어께벨트부분이 없기 때문에 충돌시의 상체구속성능은 3점식벨트에 비해 떨어지지만 승차원의 차외방출방치효과는 크다. 그리고 3점식벨트는 2점식벨트에 어깨벨트를 추가한 방식으로서 충돌시의 승차원성능이 뛰어나고 또한 실용성도 높아 가장 표준적인 시트벨트시스템이다. 허리벨트와 어깨벨트의 결합을 철물로 하는 형식과 어깨벨트와 허리벨트가 연속된 웨빙으로 되어 텅 플레이트가 웨빙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립할 수 있는 형식의 2 종류가 있으며, 하나의 감아들이기장치로 어깨벨트와 허리벨트를 조정할 수 있고, 수납도 잘 되는 후자가 주류로 되어 있다. 또한 다이어고널벨트는 상체만을 구속하는 2점식벨트로서 어깨벨트라고 하며 시트벨트의 초기에 유럽에서 사용되었던 형식을 말한다. 하반신의 구속기능이 없기 때문에 일본,미국 등 많은 나라에서 규격으로부터 제외되어 왔으나 하반신을 구속하는 니볼스타와 짜맞추어져 오토매틱벨트로서 다시 쓰이기 시작하였다. 또한 풀허네스식벨트는 구속성능은 3점식벨트에 비하여 더욱 좋지만 장착이 번잡스러우며 차에다 설치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경주용차 등 특수용도에 한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류로 구분되는 시트벨트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웨빙, 감아들이기장치, ALR, ELR, 버클 및 텅 플레이트, 엥커레지 등이 있다. 즉, 웨빙은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 합성섬유를 넓이 약 50㎜, 두께 약 1.2㎜의 띠모양으로 짠 것으로서, 어깨벨트용, 허리벨트용, 연속벨트용 등의 용도에 따라서 짜며, 열처리에 따라 강도, 연신도 등 특성이 설정된다. 그리고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부분이며, 그 성능에 대하여 각국의 법규에서 여러 가지 요구가 정해져 있다. 그리고 감아들이기장치는 벨트길이를 승차원 착좌자세나 체격에 따른 조절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 벨트 수납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고, ALR(Automatic Locking Retractor)는 웨빙을 끌어내어서 장착하면 승차원에게 피트하는 길이까지 감아들인 위치에서 락 되어 그 이상 끌어낼 수 없는 장치로서 착용시 몸의 움직임은 제한되는 한편 단단하게 몸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주로 허리벨트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ELR(Emergence Locking Retractor)는 충돌시나 급제동시 락 시키기 위한 충격감지장치이며, 통상은 자유롭게 끌어낼 수 있다. 감지방식은 차체의 감속도를 펜듀럼 등에 의해서 감지하는 타입이 주류인데 웨빙의 급속한 끌어냄을 감지하는 방식도 있으며, 이들의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되어 있는 것도 많다. 충돌시 승차원의 구속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는 몇가지 타입이 있다. 즉, 충돌시에 ELR부에 발생하는 "감아쥠"에 의한 웨빙의 풀어내기량의 증가를 막기 위하여 ELR 출구에서 웨빙을 잡아눌러 락 하는 웨빙클램프나 충돌을 감지해서 웨빙을 화약의 연소압력으로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는 프리텐셔너, 또한 이것을 웨빙클램프와 짜맞춘 것 등이 있다. 또 프리텐셔너의 변형으로서 스프링의 힘으로 버클을 끌어들이는 타입 등이 있다. 그리고 버클 및 텅 플레이트는 시트벨트를 장착 또는 해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앞좌석용의 버클은 한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자립식으로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벨트를 착용할 때의 피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트에 일체화시킨 버클이 많아지고 있다. 그리고 엥커레지는 종래에 웨빙의 한끝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철물에 지나지 않았으나 승차원의 체격에 맞추어서 어깨벨트의 위치를 위아래로 조절해서 착용시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어저스터블의 앵커 구조가 많아지기 시작하며, 수동으로 조절하는 타입 외에 전동식, 시트위치 연동시, 메모리 장착 전동식 등 여러 가지의 것이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에 있어서 리어시트에 설치되는 시트벨트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 우측에 3점식벨트(20)설치되고, 중앙에 앉게 되는 승객을 위한 2점식벨트(30)가 리어시트(10)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리어시트(10)에 좌,우에 설치되어 있는 3점식벨트(20)는 각각 감아들기장치(도면중 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 미사용시에는 웨빙(21)이 감아들이기장치에 의해 감아지면서 정리가 되지만 중앙에 있는 2점식벨트(30)의 경우, 단순히 리어시트(10)에 고정되어 있어, 항상 웨빙(31)이 리어시트(10)에 풀어져 있게 되므로 리어시트(10)에 앉은 승객에게도 불편함을 줄 뿐아니라 차내의 미관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어시트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2점식벨트가 정리정돈 될 수 있도록 리어시트 뒤쪽 셀프트림에 상기 2점식벨트의 텅 플레이트가 고정될 수 있는 격납구를 형성하므로써, 2점식벨트의 웨빙을 보기좋고 깔끔하게 정리정돈시켜 자동차의 실내 미관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홈 내면 상단에는 탄발력을 지닌 걸림편을 설치된 격납구를 리어시트 후방의 셀프트림의 소정부위에 설치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리어시트의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2점식벨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2점식벨트의 웨빙이 리어시트에 아무렇게나 놓여져 뒷좌석의 승객에 불편함을 주거나 차내의 미관을 떨어뜨리게 되는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2점식벨트의 웨빙 선단에 취부되어 있는 텅 플레이트를 리어시트 후방 셀프트림에 설치한 격납구에 삽입하여 상기 2점식벨트의 웨빙을 보다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어시트 300 : 2점식벨트
310 : 웨빙 320 : 텅플레이트
400 : 격납구 410 : 몸체
411 : 삽입홈 420 : 걸림편
430 : 볼트 500 : 셀프트림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체결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로써,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시트(100)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2점식벨트(300)의 웨빙(310) 선단의 텅 플레이트(320)를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몸체(410)에는 삽입홈(411)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홈(411) 내면의 상단에는 탄발력을 가지며 하방으로 돌설된 걸림편(420)을 설치한 격납구(400)를 리어시트(100) 후방의 셀프트림(500)의 상단 소정부위에 볼트(430)로서 고정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0)은 리어시트(100)의 백시트이며, (200)은 3점식벨트이고, (321)은 텅 플레이트(32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시트 좌,우에 설치되어 있는 3점식벨트(200)는 사용하지 않더라도 감아들이기장치(도면중 미도시)에 의해 항상 정돈되어 있는 상태이나 종래 2점식 벨트(30)의 웨빙(31)은 3점식벨트(20)와 같은 감아들이기장치가 없어 사용하고 난 후에는 리어시트(10)에 그대로 아무렇게나 방치되어 있어 뒷좌석의 승객에게 불편함주게되거나 차내의 미관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서, 2점식벨트(300)의 웨빙(310)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텅 플레이트(320)를 리어시트(100)의 후방 셀프트림(500)에 미리 설치해놓은 격납구(400)에 삽입하게 되면 텅 플레이트(320)는 격납구(400)의 삽입공()에 삽입되다가 선단부()가 격납구(400) 삽입공(321) 내면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편(420)에 닿게 되고, 계속 힘을 가해 밀어넣게 되면 상기 걸림편(420)의 탄발력에 의해 텅 플레이트(320)가 삽입홈(411)에 계속 삽입되다가 텅 플레이트(320)의 선단부 삽입공(321)에 상기 걸림편(420)이 걸리게 되면서 텅 플레이트(320)가 격납구(400)에 격납되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텅 플레이트(320)에 연결된 웨빙(310)은 리어시트(100)의 백시트(110)에 가지런히 놓이게 되므로 정리를 깔끔히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2점식벨트(300)를 다시 사용할 때에는 상기 셀프트림(500)의 격납구(400)에 격납된 텅 플레이트(320)를 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텅 플레이트(320)의 삽입공(321)에 걸려있던 걸림편(420)이 탄발되면서 텅 플레이트(320)가 격납구(400)의 삽입홈(411)으로 부터 이탈되게 되므로 2점식벨트(300)를 종전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 리어시트의 승객의 부상을 방지해주기 위하여 설치해놓은 시트벨트중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2점식벨트를 사용 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웨빙의 텅 플레이트를 리어시트 후방 셀프트림에 설치해놓은 격납구에 삽입하여 고정시켜 웨빙이 리어시트의 백시트에 가지런하게 놓이게 하므로서, 상기 웨빙이 뒷좌석에 아무렇게 놓여져 뒷좌석의 승객에게 불편함을 주거나, 차내의 미관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승객을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리어시트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2점식벨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2점식벨트의 웨빙이 리어시트에 아무렇게나 놓여져 차내의 미관을 떨어뜨리거나 뒷좌석 승객에게 불편함을 주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셀프트림에 격납구를 형성한 후, 이에 2점식벨트의 텅 플레이트를 격납시켜 놓으므로써, 2점식벨트의 정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고 외관상으로도 보기 좋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리어시트(100)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2점식벨트(300)의 웨빙(310) 선단 텅 플레이트(320)를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몸체(410)에는 삽입홈(411)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홈(411) 내면의 상단에는 탄발력을 가지며 하방으로 돌설된 걸림편(420)을 설치한 격납구(400)를 리어시트(100) 후방의 셀프트림(500)의 상단 소정부위에 볼트(430)로서 고정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벨트.
KR2019960043487U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시트벨트 KR0134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487U KR0134239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시트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487U KR0134239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시트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391U KR19980030391U (ko) 1998-08-17
KR0134239Y1 true KR0134239Y1 (ko) 1999-10-01

Family

ID=1947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487U KR0134239Y1 (ko) 1996-11-29 1996-11-29 자동차의 시트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2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889B1 (ko) * 2010-12-21 2013-03-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3점식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391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8860B1 (en) Restraint and protection seat for infant
US7635167B2 (en) Seat belt shoulder anchor
US3856351A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belt system with comfort clip
US5138749A (en) Tongue assembly
US6729693B2 (en) Seat belt apparatus
US6334628B1 (en) Ceiling retractable three point seat belt system
US3929351A (en) Comfort clip for a shoulder belt of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belt system
US4702491A (en) Quick disconnect three point safety restraint system
US5752719A (en) Arrangement for the temporary fixing of an object on a vehicle seat
US3866975A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belt system with comfort clip assembly
KR0134239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101133593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유동 방지구조
KR100305928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위치 조정장치 및 방법
KR0134236Y1 (ko)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 하우징 설치구조
US3371942A (en) Combination seat belt and upper torso restraint
KR100328775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텅
KR100285806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 가이드
KR20110085580A (ko) 승합 또는 suv 자동차의 2열시트중 센터시트의 시트벨트 버클 고정구조
JPH057886Y2 (ko)
KR2001434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100429021B1 (ko)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KR100371708B1 (ko) 3점식 시트벨트의 텅 고정장치
KR0120815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0134450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200151611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