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653B1 -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 지붕 덮개 - Google Patents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 지붕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653B1
KR101753653B1 KR1020160122156A KR20160122156A KR101753653B1 KR 101753653 B1 KR101753653 B1 KR 101753653B1 KR 1020160122156 A KR1020160122156 A KR 1020160122156A KR 20160122156 A KR20160122156 A KR 20160122156A KR 101753653 B1 KR101753653 B1 KR 10175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velcro
coupled
irise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유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원 filed Critical 유재원
Priority to KR1020160122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653B1/ko
Priority to PCT/KR2017/008144 priority patent/WO20180565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4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at least the roof of the vehicle, e.g. for cover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6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 B60J11/08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for windows or windscree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7UV radiation prot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지붕을 덮는 자동차 지붕 덮개에 있어서, 자동차의 지붕 상면을 덮는 지붕포; 상기 지붕포의 선단에 결합되어 전면 유리창의 상면을 덮고, 양측단에는 암벨크로가 형성된 전창포; 상기 지붕포의 후단에 결합되어 승객룸 후면 유리창의 상면을 덮고, 양측단에는 암벨크로가 형성된 후창포; 상기 지붕포의 좌측단에 결합되어 좌면 유리창을 덮고, 일측단에는 상기 전창포의 암벨크로와 결합되는 수벨크로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단에는 상기 후창포에 형성된 암벨크로와 결합되는 수벨크로가 형성된 좌창포; 상기 지붕포의 우측단에 결합되어 우면 유리창을 덮고, 일단측에는 상기 전창포의 암벨크로와 결합되는 수벨크로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단에는 상기 후창포에 형성된 암벨크로와 결합되는 수벨크로가 형성된 우창포; 상기 좌창포가 결합되는 지점의 지붕포에 상기 좌창포와 이중으로 겹치게 결합되면서, 좌우측의 전창포 측단과 후창포 측단에도 결합되어 자동차도어를 닫을 때, 자동차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맞물려 고정되는 좌창속포; 및 상기 우창포가 결합되는 지점의 지붕포에 상기 우창포와 이중으로 겹치게 결합되면서, 좌우측의 전창포 측단과 후창포 측단에도 결합되어 자동차도어를 닫을 때, 자동차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맞물려 고정되는 우창속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 지붕 덮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 지붕 덮개{ROOF COV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지붕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잡한 고정수단 없이도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과 자동차도어 사이에 간단히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 지붕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지붕 덮개는 자동차의 상면을 덮는 것으로, 보닛, 트렁크, 전면창, 후면창, 좌면창, 우면창을 덮는다.
자동차 지붕 덮개는 여름철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겨울철에는 성에나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겨울철 실외에 자동차를 주차 시키면 비나 눈이 올 때 유리창들이 얼어붙어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되지 않아 운행할 수 없으므로 유리창에 얼어붙은 눈이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당한 시간을 소비해야 한다.
전면 유리창에 얼어붙은 눈이나 성에는 쉽게 제거되지도 않기 때문에 대충 운전자의 정면 부분만 제거하고 운행하기도 하는데, 이렇게 되면 시야가 좁아져 사고의 위험도 높아진다.
또한, 차량의 측면 유리창이나 후면 유리창에도 눈이나 성애가 얼어붙어 있으므로, 자동차 유리창 전체에 얼어붙은 눈이나 성에를 제거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제거하기도 힘들어 대충 제거하고 운행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그만큼 높아지고 운전자를 짜증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 운행이 끝나고 일정시간 동안 운행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차 상면을 덮을 수 있는 자동차 지붕 덮개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덮개는 자동차 상면 전체를 덮는 것도 있고, 승객룸을 둘러싸고 있는 지붕과 유리창 부분만 덮는 것도 있다. 덮개를 덮으면 유리창에 눈이 쌓이거나 눈이나 성애가 얼어붙는 문제는 해결할 수 있지만, 문제는 덮개는 대부분 천과 같은 직조물이나 인조가죽으로 만들고 면적이 넓기 때문에 고정수단이 허술하면 바람이 불때 풍압을 이기지 못하고 벗겨져 날아가 버릴 수도 있다.
따라서 덮개를 자동차에 고정하기 위해서 자동차에 묶어 놓을 수 있는 다양한 끈이 구비되어야 하고, 끈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장착 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진다. 이러한 복잡한 구조로 인해 자동차에 장착하였다가 다시 벗겨낼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구조적 복잡성과 장착하고 벗겨내는 번거로움 때문에 자동차 지붕 덮개의 유용성을 알면서도 덮개를 사용하지 않는 원인중에 하나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자동차 지붕 덮개를 사용하지 않으면 시야를 가리는 얼어붙은 눈이나 성에를 대충 제거하고 운행하므로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6-13778호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89-4731호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99054호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75480호 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5-853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의 전체 구조도 단순화시키고 고정수단도 단순하며 자동차 지붕에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 지붕 덮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지붕을 덮는 자동차 지붕 덮개에 있어서, 자동차의 지붕 상면을 덮는 지붕포; 상기 지붕포의 선단에 결합되어 전면 유리창의 상면을 덮고, 양측단에는 암벨크로가 형성된 전창포; 상기 지붕포의 후단에 결합되어 승객룸 후면 유리창의 상면을 덮고, 양측단에는 암벨크로가 형성된 후창포; 상기 지붕포의 좌측단에 결합되어 좌면 유리창을 덮고, 일측단에는 상기 전창포의 암벨크로와 결합되는 수벨크로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단에는 상기 후창포에 형성된 암벨크로와 결합되는 수벨크로가 형성된 좌창포; 상기 지붕포의 우측단에 결합되어 우면 유리창을 덮고, 일단측에는 상기 전창포의 암벨크로와 결합되는 수벨크로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단에는 상기 후창포에 형성된 암벨크로와 결합되는 수벨크로가 형성된 우창포; 상기 좌창포가 결합되는 지점의 지붕포에 상기 좌창포와 이중으로 겹치게 결합되면서, 좌우측의 전창포 측단과 후창포 측단에도 결합되어 자동차도어를 닫을 때, 자동차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맞물려 고정되는 좌창속포; 및 상기 우창포가 결합되는 지점의 지붕포에 상기 우창포와 이중으로 겹치게 결합되면서, 좌우측의 전창포 측단과 후창포 측단에도 결합되어 자동차도어를 닫을 때, 자동차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맞물려 고정되는 우창속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자동차 지붕 덮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기 전창포의 상면 하부에는 다수의 암벨크로가 형성되고, 상기 지붕포의 후부에는 상기 암벨크로와 대응되는 수개의 수벨크로가 형성되어, 상기 전창포를 들어올려 지붕포에 결합함으로써, 덮개가 설치된 상태에서 앞유리창만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좌창속포는 중간 부분을 절개하여 좌우 두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써, 좌창속포가 자동차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물려서 고정될 때, 간섭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우창속포는 중간 부분을 절개하여 좌우 두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서, 우창속포가 자동차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물려서 고정될 때, 간섭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좌창속포와 우창속포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승객룸을 둘러싸는 지붕과 자동차 유리창을 덮음으로써 덮개의 고유기능인 자외선 차단이나 내부온도 상승 방지 및 눈이 쌓이고 성에가 끼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좌창속포와 우창속포가 있어서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닫힘 압력만으로도 별다른 고정수단 없이 덮개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설치한 덮개를 쉽게 벗겨 낼 수 있다.
또한, 좌창속포와 우창속포에 의하여 자동차에 덮개를 씌우는 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벗기는 시간도 단축되므로 덮개의 사용을 더 많이 유인함으로써 자동차가 운행되지 않을 때 자동차에 덮개를 씌움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저변화 시킬 수 있다.
게다가 덮개를 씌운 상태에서 앞유리창 부분만 열고 운행할 수 있으므로, 덮개가 씌워진 상태에서 잠깐 이동하더라도 반드시 덮개를 벗겨야만 했던 번거로움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량이고 구조가 간단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생산비용도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좌창속포가 유리창에 내려지고 자동차도어는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좌창속포가 유리창에 내려진 상태에서 앞부분 자동차도어는 닫혀 있고 뒷부분의 자동차도어는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좌창속포가 유리창에 내려진 상태에서 앞두분과 뒷부분 자동차도어가 닫혀 있고, 그 위에 좌창포가 내려져서 전창포와 후창포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요부단면도 및 작동상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지붕을 덮는 지붕포(110)가 구비된다. 지붕포(110)는 직조물이나 인조가족 또는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지붕포(110)의 두께는 얇을수록 부피가 적어서 보관하기도 용이하고 재료도 덜 소비되지만, 구조적 인장강도를 유지하고 적절한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두께가 0.1 ~ 3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붕포(110)는 2중이나 3중으로 겹쳐서 형성하기도 하고, 겹친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거나, 내면 전체에 엠보싱과 같은 연속되는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의 효과를 높이고 겨울에 이슬점 이하로 온도가 내려갈 때 덮개로 덮여 있는 자동차 표면에 성에가 끼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지붕포(110)에는 후술하는 전창포, 후창포, 좌창포, 우창포가 일체로 결합되는데, 지붕포와 마찬가지로 직조물이나, 인조가죽,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즉 지붕포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한다.
지붕포(110)의 전단에는 자동차의 앞유리창을 덮을 수 있는 전창포(120)가 형성된다. 전창포(120)는 자동차의 앞유리창을 덮을 수 있도록 일반적인 자동차의 앞유리창의 폭과 너비에 대응되는 크기 보다는 약간의 여유를 갖도록 좀 더 크게 만든다. 전창포(110)의 양측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개의 암벨크로(FV)가 형성된다.
지붕포(110)의 후단에는 자동차의 뒷유리창을 덮을 수 있는 후창포(130)가 형성된다. 후창포(130)는 자동차의 뒷유리창을 덮을 수 있도록 일반적인 자동차의 뒷유리창과 폭과 너비에 대응되는 크기 보다는 약간의 여유를 갖도록 좀 더 크게 만든다. 후창포(130)의 양측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개의 암벨크로(MV)가 형성된다.
지붕포(110)의 좌측단에는 자동차의 좌측면 유리창을 덮을 수 있는 좌창포(140)가 형성된다. 일반적인 세단 자동차는 좌측에 앞뒤로 두개의 유리창이 있으므로 좌측에 있는 두개의 유리창을 다 덮을 수 있도록 자동차의 좌측면 유리창과 폭과 너비에 대응되는 크기 보다는 약간의 여유를 갖도록 좀 더 크게 만든다.
좌창포(140)의 양측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개의 수벨크로(MV)가 형성된다. 여기서 일정 간격은 전창포(120)나 후창포(130)에 형성된 이웃하는 암벨크로(FV) 사이의 간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좌창포(130)의 수벨크로(MV)와 전창포(120)나 후창포(130)의 암벨크로(FV)가 서로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결합시 맞대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붕포(110)의 우측단에는 자동차의 우측면 유리창을 덮을 수 있는 우창포(150)가 형성된다. 일반적인 세단 자동차는 우측에 앞뒤로 두개의 유리창이 있으므로 우측에 있는 두개의 유리창을 다 덮을 수 있도록 자동차의 우측면 유리창 전체와 폭과 너비에 대응되는 크기 보다는 약간의 여유를 갖도록 좀 더 크게 만든다.
우창포(150)의 양측단도 일정 간격으로 수개의 수벨크로(MV)가 형성된다. 여기서 일정 간격은 전창포(120)나 후창포(130)에 형성된 암벨크로(FV) 사이의 간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좌창포(130)의 수벨크로(MV)와 전창포(120)나 후창포(130)의 암벨크로(FV)가 서로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결합시 정확히 맞대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덮개의 전체 구조는 지붕포(110)를 중심으로 앞뒤로는 전창포(120)와 후창포(130)로 형성되고, 좌우로는 좌창포(140)와 우창포(150)가 형성되는데, 전개 시키면 지붕포(110)의 모서리에서 바깥쪽으로 대각으로 절개하여 놓은 상태가 된다. 즉, 전창포(120)의 양단은 좌창포(140)와 우창포(150)의 일측 선단에 각각 밀착된 상태이고, 후창포(130)의 양단은 마찬가지로 좌창포(140)와 우창포(150)의 다른 일측 선단에 각각 밀착된 상태이다.
좌창포(140)와 우창포(150)에 형성되는 수벨크로(MV)는 길이가 5 ~ 20cm 로서, 자동차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서 전창포(120)와 좌창포(140) 사이, 전창포(120)와 우창포(150) 사이, 후창포(130)와 좌창포(140) 사이, 후창포(130)와 우창포(15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더라도 대응되는 암벨크로(FV)까지 닿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좌창포(140)와 우창포(150)의 하부에는 좌창속포(145)와 우창속포(155)가 형성된다. 좌창속포(145)는 지붕포(110)와 좌창포(140)가 결합되는 연결선에 형성된다. 즉, 지붕포(110)와 좌창포(140)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다. 좌창포(140)에 결합되는 끝 부분을 제외하고 좌창포(140) 와는 완전히 분리된 상태이다. 좌창속포(145)와 우창속포(155)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면 자동차 내부(승객룸)에서 외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좌창속포(145)나 우창속포(155)가 운전자가 시야를 가리지 않는다.
도 1와 같이, 좌창속포(145)의 좌측에는 전창포(120)가 위치되고, 우측에는 후창포(130)가 위치되는데, 좌창속포(145)는 연장되어 전창포(120)의 측단에도 결합되고, 후창포(130)의 측단에도 결합 된다. 좌창속포(145)는 좌창포(140)의 연결선에만 결합되어도 자동차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물려 고정되지만, 그렇게 되면 전창포(120)와 후창포(130)를 잡아주는 부분이 지붕포(110) 밖에 없으므로, 전창포(120)와 후장포(130)의 양단을 좌창속포(145)가 양측면을 잡아서 도어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물려 있도록 하여 바람이 불어도 펄럭거리지 않고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것이다.
좌창속포(145)는 좌창포(140)와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지만, 좌창포(140) 보다 폭을 더 작게 형성하여도 충분히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좌창포 폭의 2/3 ~ 1/5 정도의 폭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창속포(145)는 중간을 절개시켜 좌우 두개로 분할할 수도 있는데, 이는 자동차의 좌측면에 앞뒤로 두개의 좌측면 도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순차적으로 고정시킬 때 각각 작동되어 간섭없이 물고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우창속포(155)도 좌창속포(145)와 마찬가지로 지붕포(110)와 우창포(150)가 결합되는 연결선에 형성되고, 좌창속포(145)와는 방향만 대향 쪽에 있고, 형태나 기능은 동일하다.
도 1와 같이, 우창속포(155)의 좌우측에는 전창포(120)와 후창포(130)가 위치되는데, 우창속포(155)는 연장되어 전창포(120)의 측단에도 결합되고, 후창포(130)의 측단에도 결합된다. 우창속포(155)는 우창포(150)의 연결선에만 결합되어도 자동차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물려 고정되지만, 그렇게 되면 전창포(120)와 후창포(130)를 잡아주는 부분이 지붕포(110) 밖에 없으므로 전창포(120)와 후장포(130)의 양단을 우창속포(155)가 잡아서 도어프레임과 자동차도어 사이에 물려 있도록 하여 펄럭거리지 않고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창속포(155)도 좌창속포(145)와 마찬가지로 우창포 폭의 2/3 ~ 1/5 정도의 폭을 갖도록 하고, 중간도 절개시켜 좌우 두개로 분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덮개를 펴서 자동차 지붕에 올리고 전후좌우 균형을 맞춘 다음, 먼저 좌창속포(145)나 우창속포(155)를 아래로 내린다.
덮개를 지붕 위에 올리기 전 자동차 도어를 모두 열어 놓을 수도 있고, 덮개를 지붕 위에 올린 다음 자동차 도어를 열 수도 있는데, 좌창속포(145)가 내려진 상태에서 좌측의 도어들을 닫으면 도 3같이, 좌창속포(145)가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물려서 빠지지 않고 고정된다. 이때, 전창포(120)와 후창포(130)는 좌창속포(145)와 우창속포(155)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함께 내려줘서 앞유리창과 뒷유리창도 덮어진다.
좌창속포(145)가 고정되면 반대쪽으로 가서 우창속포(155)를 내리고 도어를 닫으면 우창속포(155)가 자동차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물려서 고정된다. 이때, 좌창속포(145)가 고정되어 있으면 우창속포(155)를 당겨도 한쪽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붕포(110)가 팽팽하게 긴장되면서 고정된다.
좌창속포(145)와 우창속포(155)가 자동차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물려 고정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좌창포(140), 우창포(150)를 내려서 자동차의 측면 유리창을 가린다.
전창포(120)의 양측단에 형성된 암벨크로(FV)에 좌창포(140)와 우창포(150)에 형성된 수벨크로(MV)를 당겨서 붙이면 전창포(120)는 고정되고, 후창포(130)의 양단에 형성된 암벨크로(FV)에 좌창포(140)와 우창포(150)에 형성된 수벨크로(MV)를 당겨서 붙이면 후창포(130)는 고정된다. 전창포(120)와 후창포(130)가 고정되면 이와 연결된 좌창포(140)와 우창포(150)도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함께 고정된다.
덮개가 설치된 상태에서 덮개에 풍압이 작용하면 덮개 전체가 들썩이거나 벗겨질 수도 있지만, 이때 좌창속포(145)와 우창속포(155)가 자동차도어와 도어프레임에 단단히 물려있어 설치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덮개를 벗길 때에는 전창포(120), 후창포(130), 좌창포(140), 우창포(150)를 서로 결합하는 암벨크로(FV)와 수벨크로(MV)를 떼어서 분리한 후 자동차도어를 열면 자동차도어와 도어프레임에 물려 있던 좌창속포(145)와 우창속포(155)의 고정이 해제되고, 이때 덮개 전체를 잡아당겨 벗겨내면 된다. 벗겨낸 덮개는 접어서 보관할 수도 있고, 둘둘 말더라도 서로 얽히지 않으므로 둘둘 말아서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전창포(120), 후창포(130), 좌창포(140), 우창포(150)에 형성되는 암벨크로나 수벨크로 대신에 빨판을 형성시킬 수 도 있다.
전창포(120)의 양측단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개의 빨판을 형성하고, 후창포(130)의 양측단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개의 빨판을 형성하며, 좌창포(140)의 양측단 저면에도 수개의 빨판(210)을 형성하고, 우창포(150)의 양측단 저면에도 수개의 빨판을 형성한다. 좌창속포(145)와 우창속포(155)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전술한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덮개를 자동차 지붕에 올리고 균형을 맞춘다. 덮개에서 좌창속포(145)나 우창속포(155)를 내린 다음 일측 자동차 도어를 열고 닫아 좌창속포(145)를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물려서 고정하고 다른 일측 자동차 도어를 열고 닫아 우창속포(155)를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물려서 고정한다.
좌창속포(145)와 우창속포(155)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창포(120), 후창포(130), 좌창포(140), 우창포(150)를 내리고 빨판을 눌러서 공기를 빼내면 부압에 의해 각각의 유리창 표면에 고정된다. 덮개가 설치된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시간이 가면서 느슨해져 빨판이 떨어질 수도 있지만, 좌창속포(145)와 우창속포(155)가 자동차도어와 도어프레임에 물려 있으므로 벗겨지지 않고 설치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전창포(120), 후창포(130), 좌창포(140), 우창포(150)의 끝 부분에 밴드 형태의 가느다랗고 얇은 영구자석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전창포(120), 후창포(130), 좌창포(140), 우창포(150)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하여 해당하는 유리창 아래의 차체까지 일부 겹치도록 함으로써 영구자석이 자성체인 차체에 달라붙도록 한다. 영구자석이 차체에 달라붙으면 전창포(120), 후창포(130), 좌창포(140), 우창포(150)가 자력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창포(120)의 상면에 암벨크로(FV)가 형성되고, 지붕의 상면 후면에 수벨크로(MV)를 형성할 수 있다. 나머지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 전창포(120)를 걷어 올려, 그 뒤에 있는 지붕포(110)에 겹치면, 전창포(120)의 상면에 형성된 암벨크로(FV)가 지붕포(110)의 후면에 형성된 수벨크로(MV)에 결합되면서 고정된다. 즉 앞유리창을 가리고 있는 전창포(120)를 들어올려 지붕포(110)에 고정시킴으로써 덮개를 벗겨내지 않고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는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자동차에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 주차 위치를 변경시키는 등 약간의 이동시 덮개를 벗겨내지 않고도 운행할 수 있다. 운행을 끝낸 후에는 전창포(120)를 내려서 앞유리창을 다시 가리면 된다.
110 : 지붕포 120 : 전창포
130 : 후창포 140 : 좌창포
145 : 좌창속포 150 : 우창포
155 : 우창속포
MV : 수벨크로 FV : 암벨크로

Claims (5)

  1. 자동차의 지붕을 덮는 자동차 지붕 덮개에 있어서,
    자동차의 지붕 상면을 덮는 지붕포(110);
    상기 지붕포의 선단에 결합되어 전면 유리창을 덮고, 양측단에는 암벨크로가 형성된 전창포(120);
    상기 지붕포의 후단에 결합되어 승객룸 후면 유리창을 덮고, 양측단에는 암벨크로가 형성된 후창포(130);
    상기 지붕포의 좌측단에 결합되어 좌면 유리창을 덮고, 일측단에는 상기 전창포의 암벨크로와 결합되는 수벨크로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단에는 상기 후창포에 형성된 암벨크로와 결합되는 수벨크로가 형성된 좌창포(140);
    상기 지붕포의 우측단에 결합되어 우면 유리창을 덮고, 일단측에는 상기 전창포의 암벨크로와 결합되는 수벨크로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단에는 상기 후창포에 형성된 암벨크로와 결합되는 수벨크로가 형성된 우창포(150);
    상기 좌창포가 결합되는 연결선의 지붕포에 상기 좌창포와 이중으로 겹치게 결합되면서 연장되어, 좌우측의 전창포 측단과 후창포 측단에도 결합되어 자동차 도어를 닫을 때, 자동차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맞물려 고정되며, 중간 부분을 절개하여 좌우 두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써, 자동차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물려서 고정될 때, 간섭이 감소되도록 하는 투명한 재질의 좌창속포(145); 및
    상기 우창포가 결합되는 연결선의 지붕포에 상기 우창포와 이중으로 겹치게 결합되면서 연장되어, 좌우측의 전창포 측단과 후창포 측단에도 결합되어 자동차 도어를 닫을 때, 자동차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맞물려 고정되며, 중간 부분을 절개하여 좌우 두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서, 자동차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물려서 고정될 때, 간섭이 감소되도록 하는 투명한 재질의 우창속포(1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 지붕 덮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22156A 2016-09-23 2016-09-23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 지붕 덮개 KR101753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156A KR101753653B1 (ko) 2016-09-23 2016-09-23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 지붕 덮개
PCT/KR2017/008144 WO2018056565A1 (ko) 2016-09-23 2017-07-28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 지붕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156A KR101753653B1 (ko) 2016-09-23 2016-09-23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 지붕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653B1 true KR101753653B1 (ko) 2017-07-04

Family

ID=5935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156A KR101753653B1 (ko) 2016-09-23 2016-09-23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 지붕 덮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3653B1 (ko)
WO (1) WO201805656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199B2 (ja) * 1994-12-16 2000-1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圧縮符号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1924U (ko) * 1987-12-26 1989-07-10
JPH05262141A (ja) * 1992-03-17 1993-10-12 Hitoshi Ikeda 自動車用カバー
KR960004472U (ko) * 1994-07-27 1996-02-14 남형구 자동차용 다목적 차광덮개
KR200310851Y1 (ko) * 2002-12-31 2003-04-26 유방훈 자동차 윈도우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199B2 (ja) * 1994-12-16 2000-1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圧縮符号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565A1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4246A (en) Protective covering means for automobile roof and windows
US5292167A (en) Cover for windshields
US4828315A (en) Sectionalized pickup truck canopy top assembly
JPH03506011A (ja) 日除けを有する透明な車両屋根
MX2013006827A (es) Visera para ventana lateral, un método de instalación y un vehículo de motor que tiene una visera para ventana lateral.
CN206242890U (zh) 天窗组件
CA2709796A1 (en) Reversible sunshade
ITBO20100147A1 (it) Veicolo provvisto di un tettuccio smontabile
JP2018016084A (ja) 車両用ルーフパネル及び車両のルーフ構造
KR101753653B1 (ko) 탈착이 용이한 자동차 지붕 덮개
KR101262648B1 (ko) 탄성 롤블라인드와 차양각도 조절암이 결합된 모터작동식 차창외부 덮개장치
FR2502230A1 (fr) Dispositif de montage de vitres,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JP2013199197A (ja) 窓ガラスカバー
KR20090083049A (ko) 차량용 보호덮개
JP2004203071A (ja) リアウインドウガラス用雨垂れチャンネル
KR20190006743A (ko) 차량용 차양장치
US20180141413A1 (en) Vehicle exterior windshield visor accessory
KR200299054Y1 (ko) 여행용 자동차 덮개
KR200225467Y1 (ko) 도난방지가 되는 자동차용 성에방지판
JPH09175185A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JPH0546494Y2 (ko)
CN110182030B (zh) 一种用于防冰雪雨晒的多功能汽车遮盖罩
JP2000118245A (ja) 自動車用ウインドガラスカバー
KR200432099Y1 (ko) 커버가 내장된 차량용 범퍼
JPH062808Y2 (ja) 車室内カーテン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