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697B1 -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697B1
KR101752697B1 KR1020150054364A KR20150054364A KR101752697B1 KR 101752697 B1 KR101752697 B1 KR 101752697B1 KR 1020150054364 A KR1020150054364 A KR 1020150054364A KR 20150054364 A KR20150054364 A KR 20150054364A KR 101752697 B1 KR101752697 B1 KR 101752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creatitis
compound
naphthoquinone
bet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773A (ko
Inventor
소홍섭
김형진
신애화
Original Assignee
(주)나디안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디안바이오 filed Critical (주)나디안바이오
Priority to KR102015005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697B1/ko
Priority to PCT/KR2016/003998 priority patent/WO2016167622A2/ko
Priority to CN201680022445.7A priority patent/CN107530316B/zh
Priority to JP2018506069A priority patent/JP6511191B2/ja
Priority to EP16780345.1A priority patent/EP3284464A4/en
Priority to US15/567,133 priority patent/US20180098960A1/en
Publication of KR20160123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697B1/ko
Priority to US16/782,842 priority patent/US2020015550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condensed with a carbocyclic ring, e.g. coumaran, bufuralol, befunolol, clobenfurol, amioda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Abstract

본 발명은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프로드럭(prodrug), 용매화물 또는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췌장염(pancreatitis)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인 베타-라파촌(β-lapachone) 및 듀니온(dunnione)은 췌장염에 의해 증가된 췌장 중량/체중 비율을 감소시키고, 증가된 소화 효소(아밀라아제(amylase) 및 리파아제(lapase))의 활성 및 사이토카인(IL-1β(인터루킨(interleukin)-1β) 및 MCP-1)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췌장 조직의 염증, 부종, 세포괴사를 감소 또는 억제하고, 췌장염에 의한 폐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프로드럭, 용매화물 또는 이성질체를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Pancreatitis Comprising Naphthoquinone-based Compounds}
본 발명은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prodrug),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pancreatitis)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췌장은 길쭉하고 편평한 모양을 하는 장기로서 그 길이가 13cm, 중량은 100g 내외이다. 췌장은 배꼽 위쪽의 뱃속 깊이 위치하는데 위장 아래쪽의 후복강 내에 있다. 췌장의 중요한 역할은 두 가지인데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에 필요한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외분비 기능과 당을 조절하는 인슐린과 같이 체내 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 분비의 내분비 기능이다.
췌장염(pancreatitis)은 췌장(pancreas)에 염증이 발생하여 생기는 질병으로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 및 만성 췌장염(chronic pancreatitis)이 있다. 이자액(pancreatic juice)은 아밀라아제(amylase, 탄수화물을 가수분해함), 트립신(trypsin, 단백질 가수분해에 작용), 리파아제(lipase, 지방 가수분해에 작용)와 같은 소화 효소를 포함한다. 췌장염은 과음(alcohol abuse), 담석(gallstones) 등에 의해서 이자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않아 상기 효소들이 췌장의 자가분해를 유발하여 발생한다. 췌장염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간질성 부종(interstitial edema)과 췌장주변의 지방성 괴사(peripancreatic fat necrosis)가 발견되는 경증(mild type)의 췌장염, 췌장주변(peripancreatic) 및 췌장 내부(intrapancreatic)의 광범위한 지방성 괴사, 췌장의 유조직 궤사(pancreatic parenchymal necrosis), 출혈을 동반하는 중증(severe type)의 췌장염이 있다(Bank PA., Am. J. gastroenterol., 89, pp151-152, 1994.; Bradley EL., Arch. Surg., 128, pp586-590, 1993.; 김창덕, 대한소화기학회지, 46, pp321-332, 2005).
췌장염은 알코올 및 담석 생성 등에 기인된 담도 질환뿐만 아니라, 대사 장애, 약물, 복부 손상 등의 다양한 원인 등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췌장염은 췌장선세포의 손상, 광범위한 간질성 부종, 출혈 및 손상 부위로의 호중구성 과립구의 이동을 유발하는 췌장의 염증성 질환이다. 췌장염 환자의 약 20% 정도는 췌장 조직의 괴사 및 손상 등이 다발성 장기부전과 전신적인 합병증을 수반하는 중증의 임상경과를 밟게 되며 이 경우 약 30%의 높은 사망률이 보고되고 있다. 췌장염은 아직 정확한 병태 생리기전이 알려져 있지 않으나 대표적인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은 단백분해효소 전구물이 췌장 내에서 조기 활성화됨으로써 일어나는 자가소화의 과정이다. 즉, 췌장샘 꽈리세포(pancreas acinar cell)내에서 소화효소가 비정상적으로 조기활성화되면, 췌장의 세엽자신을 소화해 버리고 이어서 염증이 발생하여 조직의 탈락, 괴사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췌장 선방세포의 손상 후 췌장 내로 유입되는 활성화된 대식세포가 조직손상에 대한 반응으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인터루킨(interleukin)-1β(IL-1β)를 분비해 염증세포의 순환, 췌장 부종 및 췌장 실질 파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급성 췌장염의 진행은 3단계로, 국소적 염증반응, 일개 혹은 다발성 장기부전을 초래하는 전신적 염증반응, 그리고 최종적으로 장내 세균의 췌장 내로 이동에 의한 감염에 의한 것이다. 췌장염의 초기 병태생리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췌장 선방세포의 손상 후 대식세포가 유입되어 조직 손상에 대한 반응으로 사이토카인(IL-1(interleukin-1), IL-6,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을 분비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들 사이토카인은 염증세포의 순환, 췌장부종 및 췌장실질파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급성 췌장염 환자의 혈청에서 사이토카인의 증가가 보이며, 이러한 증가는 췌장염이 경한 경우보다는 췌장괴사, 전신적 염증반응, 다발성 장기부전 등과 같은 합병증이 동반되는 경우에 현저하게 높다.
현재까지 췌장염의 중증도를 경감시키고 다양한 장기의 합병증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여러 실험적 치료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실험적 치료법을 정작 사람에게 적용할 경우 매우 미약한 효과를 보여 아직까지 췌장염의 예방 및 치료와 관련하여 승인된 약물은 없는 실정이다.
한편,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은 일부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베타-라파촌(β-lapachone)은 남미에서 자생하는 라파초(laphacho) 나무(Tabebuia avellanedae)에서, 듀니온(dunnione)과 알파-듀니온(alpha-dunnione)은 남미에서 자생하는 스트렙토카르푸스 듀니(Streptocarpus dunnii)의 잎에서 얻어진다. 이와 같은 천연의 삼환성(tricyclic) 나프토퀴논(naphthoquinone) 유도체들은 남미 지역에서는 오래전부터 항암제를 비롯하여 남미 지역의 대표적인 풍토병인 샤가스병(Chagas disease)을 치료하기 위한 약으로 널리 사용되었고, 그 효과 또한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들의 항암제로서의 약리 작용이 서방세계에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미국특허 제5,969,16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들 삼환성 나프토퀴논 유도체들은 실제로 다양한 연구 집단에 의해서 각종 항암제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나프토퀴논계 화합물들이 췌장염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췌장염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물질을 찾기 위해 연구한 결과,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인 베타-라파촌(β-lapachone) 및 듀니온(dunnione)은 췌장염에 의해 증가된 췌장 중량/체중 비율을 감소시키고, 증가된 소화 효소(아밀라아제(amylase) 및 리파아제(lapase))의 활성 및 사이토카인(IL-1β(인터루킨(interleukin)-1β) 및 MCP-1)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췌장 조직의 염증, 부종, 세포괴사를 감소 또는 억제하고, 췌장염에 의한 폐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프로드럭, 용매화물 또는 이성질체를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prodrug),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pancreatitis)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prodrug),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pancreatitis)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37589013-pat00001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으로 기인한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으로 기인한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prodrug),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pancreatitis)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인 베타-라파촌(β-lapachone) 및 듀니온(dunnione)은 췌장염에 의해 증가된 췌장 중량/체중 비율을 감소시키고, 증가된 소화 효소(아밀라아제(amylase) 및 리파아제(lapase))의 활성 및 사이토카인(IL-1β(인터루킨(interleukin)-1β) 및 MCP-1)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췌장 조직의 염증, 부종, 세포괴사를 감소 또는 억제하고, 췌장염에 의한 폐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체중에 대한 췌장의 중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p<0.05: 정상군과 세룰레인(caerulein)군을 비교; 및
*p<0.05: 세룰레인군과 베타-라파촌(β-lapachone)군 또는 세룰레인군과 듀니온(dunnione)군을 비교.
도 2는 혈청 내 아밀라아제(amylase) 및 리파아제(lap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p<0.05: 정상군과 세룰레인군을 비교; 및
*p<0.05: 세룰레인군과 베타-라파촌군 또는 세룰레인군과 듀니온군을 비교.
도 3은 혈청 내 IL-1β(인터루킨(interleukin)-1β) 농도 및 췌장 내 IL-1β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p<0.05: 정상군과 세룰레인군을 비교; 및
*p<0.05: 세룰레인군과 베타-라파촌군 또는 세룰레인군과 듀니온군을 비교.
도 4는 췌장 내 MCP-1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p<0.05: 정상군과 세룰레인군을 비교; 및
*p<0.05: 세룰레인군과 베타-라파촌군 또는 세룰레인군과 듀니온군을 비교.
도 5는 C57/BL6 마우스에서 췌장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확인한 사진 및 이를 조직학적 점수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t: 정상군;
CAE: 세룰레인군;
β-Lap: 베타-라파촌만 처리한 군;
CAE+β-Lap 10: 세룰레인과 베타-라파촌 10 ㎎/㎏을 병용처리한 군;
CAE+β-Lap 20: 세룰레인과 베타-라파촌 20 ㎎/㎏을 병용처리한 군;
CAE+β-Lap 40: 세룰레인과 베타-라파촌 40 ㎎/㎏을 병용처리한 군;
Dunnione: 듀니온만 처리한 군;
CAE+Dunnione 10: 세룰레인과 듀니온 10 ㎎/㎏을 병용처리한 군;
CAE+Dunnione 20: 세룰레인과 듀니온 20 ㎎/㎏을 병용처리한 군;
CAE+Dunnione 40: 세룰레인과 듀니온 40 ㎎/㎏을 병용처리한 군;
#p<0.05: 정상군과 세룰레인군을 비교; 및
*p<0.05: 세룰레인군과 베타-라파촌군 또는 세룰레인군과 듀니온군을 비교.
도 6은 NQO1 낙아웃(knock out, KO) 마우스에서 췌장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확인한 사진 및 이를 조직학적 점수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t: 정상군;
CAE: 세룰레인군;
β-Lap 40: 베타-라파촌만 40 ㎎/㎏ 처리한 군;
CAE+β-Lap 40: 세룰레인과 베타-라파촌 40 ㎎/㎏을 병용처리한 군;
#p<0.05: 정상군과 세룰레인군을 비교; 및
NS: Non-significant, 유의성 없음, 세룰레인군과 베타-라파촌군을 비교.
도 7은 NQO1 낙아웃 마우스에서 체중에 대한 췌장의 중량, 혈청 내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 활성 및 혈청 내 IL-1β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p<0.05: 정상군과 세룰레인군을 비교; 및
NS: Non-significant, 유의성 없음, 세룰레인군과 베타-라파촌군을 비교.
도 8은 베타-라파촌의 췌장염 치료 효과를 췌장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확인한 사진 및 이를 조직학적 점수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t: 정상군;
CAE: 세룰레인군;
β-Lap 40: 베타-라파촌만 40 ㎎/㎏ 처리한 군;
CAE+β-Lap 10: 세룰레인과 베타-라파촌 10 ㎎/㎏을 병용처리한 군;
CAE+β-Lap 20: 세룰레인과 베타-라파촌 20 ㎎/㎏을 병용처리한 군;
CAE+β-Lap 40: 세룰레인과 베타-라파촌 40 ㎎/㎏을 병용처리한 군;
#p<0.05: 정상군과 세룰레인군을 비교; 및
*p<0.05: 세룰레인군과 베타-라파촌군을 비교.
도 9는 C57/BL6 마우스 및 NQO1 낙아웃 마우스에서 베타-라파촌에 의한 폐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확인한 사진이다:
Cont: 정상군;
CAE: 세룰레인군;
β-Lap: 베타-라파촌만 처리한 군;
CAE+β-Lap 10: 세룰레인과 베타-라파촌 10 ㎎/㎏을 병용처리한 군;
CAE+β-Lap 20: 세룰레인과 베타-라파촌 20 ㎎/㎏을 병용처리한 군; 및
CAE+β-Lap 40: 세룰레인과 베타-라파촌 40 ㎎/㎏을 병용처리한 군.
도 10은 C57/BL6 마우스에서 듀니온에 의한 폐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확인한 사진이다:
Cont: 정상군;
CAE: 세룰레인군;
Dunnione: 듀니온만 처리한 군;
CAE+Dunnione 10: 세룰레인과 듀니온 10 ㎎/㎏을 병용처리한 군;
CAE+Dunnione 20: 세룰레인과 듀니온 20 ㎎/㎏을 병용처리한 군; 및
CAE+Dunnione 40: 세룰레인과 듀니온 40 ㎎/㎏을 병용처리한 군.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prodrug),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pancreatitis)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5037589013-pat00002
상기 식에서,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탄소수 1 ~ 6의 저급알킬이며;
R3, R4, R5, R6, R7 및 R8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탄소수 1 ~ 20의 알킬, 알켄 또는 알콕시,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또는 이들 중 두 개의 치환기가 상호 결합에 의해 환형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여기서 환형 구조는 포화 구조 또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 불포화 구조일 수 있고;
n 은 0 또는 1이고, n 이 0인 경우에 그것의 인접 탄소원자들은 직접결합에 의해 환형 구조를 이룬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들 중 바람직한 예로는 하기 화학식 2와 3의 화합물일 수 있다. 하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및 R8 는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하다.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n이 0이면서 인접 탄소원자들이 직접 결합에 의해 환형 구조(furan 고리)를 형성하는 화합물로서, 이하에서는 때때로 '퓨란 화합물' 또는 'furano-o-naphthoquinone 유도체'로 칭하기도 한다:
Figure 112015037589013-pat00003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은 n이 1인 화합물로서, 이하에서는 때때로 '피란(pyran) 화합물' 또는 'pyrano-o-naphthoquinone'로 칭하기도 한다:
Figure 112015037589013-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 는 각각 수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2의 퓨란 화합물들 중에서 R1, R2 및 R4 가 각각 수소인 하기 화학식 2a의 화합물, 또는 R1, R2 및 R6 가 각각 수소인 하기 화학식 2b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a]
Figure 112015037589013-pat00005
;
[화학식 2b]
Figure 112015037589013-pat00006
.
또한, 상기 화학식 3의 피란 화합물들 중 R1, R2, R5, R6, R7 및 R8 이 각각 수소인 하기 화학식 3a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a]
Figure 112015037589013-pat00007
.
상기 화학식 1은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췌장염은 만성 췌장염 또는 급성 췌장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혈청 내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IL-1β 또는 MCP-1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란 화합물이 투여되는 유기체에 심각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화합물의 제형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고산, 요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로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살리신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카르복실산 염에는,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에 의해 형성된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라이신, 아르지닌, 구아니딘 등의 아미노산 염, 디시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민, 디에탄올아민, 콜린 및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염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그것의 염으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용어 “프로드럭(prodrug)”이란 생체 내에서 모 약제(parent drug)로 변형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프로드럭은 모 약제보다 투여하기 쉽기 때문에 종종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들은 구강 투여에 의해 생 활성을 얻을 수 있음에 반하여, 모 약제는 그렇지 못할 수 있다. 프로드럭은 또한 모 약제보다 제약 조성물에서 향상된 용해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드럭은 수용해도가 이동성에 해가 되지만, 일단 수용해도가 이로운 세포에서는, 물질대사에 의해 활성체인 카르복실산으로 가수분해되는, 세포막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에스테르(“프로드럭”)로서 투여되는 화합물일 것이다. 프로드럭의 또 다른 예는 펩티드가 활성 부위를 드러내도록 물질대사에 의해 변환되는 산기에 결합되어 있는 짧은 펩티드(폴리아미노 산)일 수 있다.
용어 “용매화물(solvate)”이란 비공유적 분자 사이의 힘(non-covalent intermolecular force)에 의해 결합된 화학양론적(stoichiometric) 또는 비화학양론적(non-stoichiometric)인 양의 용매를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의미한다. 그에 관한 바람직한 용매들로는 휘발성, 비독성, 및/또는 인간에게 투여되기에 적합한 용매들이 있으며, 상기 용매가 물인 경우 이는 수화물(hydrate)을 의미한다.
용어 “이성질체(isomer)”란 동일한 화학식 또는 분자식을 가지지만 광학적 또는 입체적으로 다른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용어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화합물 그 자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및 이의 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용어 “알킬(alkyl)”은 지방족 탄화수소 그룹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알킬은 어떠한 알켄이나 알킨 부위를 포함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포화 알킬(saturated alkyl)”과, 적어도 하나의 알켄 또는 알킨 부위를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불포화 알킬(unsaturated alkyl)”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알켄(alkene)” 부위는 적어도 두 개의 탄소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을 의미하며, “알킨(alkyne)”은 부위는 적어도 두 개의 탄소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을 의미한다. 상기 알킬은 분지형, 직쇄형 또는 환형일 수 있으며, 치환 또는 비치환 구조일 수 있다.
용어 “헤테로시클로알킬(heterocycloalky)”은 환 탄소가 산소, 질소, 황 등으로 치환되어 있는 치환체로서, 예를 들어, 퓨란, 티오펜, 피롤, 피롤린, 피롤리딘, 옥사졸, 티아졸, 이미다졸, 이미다졸린, 이미다졸리딘, 피라졸, 피라졸린, 피라졸리딘, 이소티아졸, 트리아졸, 티아디아졸, 피란, 피리딘, 피퍼리딘, 모르포린, 티오모르포린, 피리다진, 피리미딘, 피라진, 피퍼라진, 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아릴(aryl)”은 공유 파이 전자계를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링을 가지고 있고 카르보시클릭 아릴(예를 들어, 페닐)과 헤테로시클릭 아릴기(예를 들어, 피리딘)를 포함하는 방향족치환체를 의미한다. 상기 용어는 모노시클릭 또는 융합 링 폴리시클릭(즉, 탄소원자들의 인접한 쌍들을 나눠 가지는 링들) 그룹들을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아릴(heteroaryl)”은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시클릭 환을 포함하고 있는 방향족 그룹을 의미한다.
상기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페닐, 퓨란, 피란, 피리딜, 피리미딜, 트리아질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 R5, R6, R7 및 R8 은 임의적으로 치환된 구조일 수 있으며, 그러한 치환체들의 예로는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알리시클릭,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메르켑토, 알킬티오, 아릴티오, 시아노, 할로겐, 카르보닐, 티오카르보닐, O-카르바밀, N-카르바밀, O-티오카르바밀, N-티오카르바밀, C-아미도, N-아미도, S-술폰아미도, N-술폰아미도, C-카르복시, O-카르복시, 이소시아네이토, 티오시아네이토, 이소티오시아네이토, 니트로, 시릴, 트리할로메탄술포닐, 모노- 및 디-치환 아미노 그룹들을 포함한 아미노, 및 이들의 보호 유도체들로부터 개별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환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약학적 조성물은 생물체 내로 화합물의 투여를 용이하게 한다. 화합물을 투여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경구, 주사, 에어로졸, 비경구, 및 국소 투여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학적 조성물은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산 화합물들을 반응시켜서 얻어질 수도 있다.
상기 “약리학적 유효량(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은 투여되는 화합물의 양이 치료하는 장애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상을 어느 정도 경감 또는 줄이거나, 예방을 요하는 질병의 임상학적 마커 또는 증상의 개시를 지연시키는데 유효한 활성성분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약리학적 유효량은, (1) 질환의 진행 속도를 역전시키는 효과, (2) 질환의 그 이상의 진행을 어느 정도 금지시키는 효과, 및/또는 (3) 질환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상을 어느 정도 경감(바람직하게는,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는 양을 의미한다. 약리학적 유효량은 치료를 요하는 질병에 대한 공지된 생채 내(in vivo) 및 생체 외(in vitro) 모델 시스템에서 화합물을 실험함으로써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담체(carrier)”는 세포 또는 조직 내부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디메틸 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부로의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상기 “희석제(diluent)”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용액의 염 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여기에 사용된 화합물들은 인간 환자에게 그 자체로서, 또는 결합 요법에서와 같이 다른 활성 성분들과 함께 또는 적당한 담체나 부형제와 함께 혼합된 약제 조성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본 응용에서의 화합물의 제형 및 투여에 관한 기술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8th edition, 199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 투여용 약제 조성물에서 상기 활물질은 높은 결정화도의 결정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낮은 결정화도의 결정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낮은 결정화도의 결정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난용성 문제를 해결하고, 용출률 및 체내 흡수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도”는 결정성 화합물 전체에 대한 결정 부분의 무게 분율로서, 결정화도의 측정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결정 부분과 비결정 부분 각각의 밀도에서 가감한 정도의 설정치를 미리 가정하여 구하는 밀도법 또는 정침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융해열에 의한 측정 방법에 의해 결정화도를 정할 수 있으며, X선 회절상의 강도 분포를 비결정 부분에 의한 회절과 결정 부분에 의한 회절로 분리하여 구하는 X선법, 또는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결정성 띠간 폭의 피크로부터 구하는 적외선법에 의해 결정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 투여용 약학적 조성물에서 활물질의 결정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질 고유의 결정성이 완전히 소실된 상태의 무정형의 결정구조일 수 있다. 상기 무정형의 화합물은 결정성의 화합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고, 용출률 및 체내 흡수율을 유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무정형의 구조는 활물질을 미세입자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미세입자는, 예를 들어, 활물질의 분무건조법, 고분자와 용융물을 형성시키는 용융법, 용매에 녹여 고분자 등과 공침물을 형성시키는 공침법, 포접체 형성법, 용매 휘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무건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기계적 분쇄법에 의한 활물질의 미세입자화는 무정형의 구조가 아니더라도, 즉, 결정성 결정구조나 반결정성 결정구조라 하더라도, 큰 비표면적에 의해 용해도 향상에 기여하여 결과적으로 용출률과 체내 흡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분무건조법은 활물질을 소정의 용매에 용해시킨 후 분무하면서 건조하여 미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분무건조 과정에서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자체의 결정성이 상당량 소실되어 무정형이 되면서 미세분말의 분무건조물이 얻어진다.
상기 기계적 분쇄법은 활물질 입자에 강한 물리력을 가하여 미세입자로 분쇄하는 방법으로서, 제트 밀, 볼 밀, 진동 밀, 햄머 밀 등의 분쇄 공정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공기압을 사용하여 40℃ 이하의 조건에서 분쇄를 수행할 수 있는 제트 밀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결정구조에 관계없이 미세입자 형태의 활물질은 그것의 입경이 감소할수록 비표면적 증가로 인해 용출률, 용해도 등이 증가하지만, 너무 작은 입경은 그러한 크기의 미세입자를 제조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입자간 응집현상(agglomeration or aggregation)으로 인해 오히려 용해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활물질의 입경은 5 nm 내지 500 ㎛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에서 상기 응집현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높은 비표면적에 의해 용출률 및 용해도가 최대화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마우스에 세룰레인(caerulein)(50 ㎍/㎏)을 1시간 간격으로 6회 복강 투여하여 췌장염을 유발하였고, 베타-라파촌(β-lapachone, β-Lap)과 듀니온(Dunnione)을 세룰레인 투여 하루 전 경구투여하였으며, 세룰레인 최종 투여 6시간 후 베타-라파촌을 정맥주사함으로써, 췌장염 동물 모델을 준비하였고, 이를 가지고 체중에 대한 췌장 중량을 측정한 결과, 세룰레인군은 정상군에 비해 췌장 중량/체중 비율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반면, 베타-라파촌군과 듀니온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췌장 중량/체중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췌장 세포에서 합성, 분비되는 소화효소인 아밀라아제(amylase) 및 리파아제(lypase)의 활성을 확인한 결과, 혈청 내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 활성 모두 정상군에 비해 세룰레인군에서 높게 측정된 반면, 베타-라파촌군과 듀니온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도 2 참조), 췌장염과 관련된 사이토카인인 IL-1β 및 MCP-1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정상군에 비하여 세룰레인군에서 혈청 IL-1β 농도, IL-1β 발현량 및 MCP-1 발현량 모두 높게 측정된 반면, 베타-라파촌군과 듀니온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3 내지 도 4 참조), 췌장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 세룰레인군은 췌장 조직의 부종, 염증, 세포괴사 현상이 나타났으나, 베타-라파촌군과 듀니온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이러한 현상을 정상군과 비슷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베타-라파촌의 췌장염에 대한 보호 효과가 NQO1 효소의 경로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NQO1 낙아웃(knock out, KO) 마우스에서 췌장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 체중에 대한 췌장의 중량, 혈청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 활성 및 혈청 IL-1β 농도를 확인한 결과, 세룰레인군과 베타-라파촌군 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고(도 6 내지 도 7 참조), 세룰레인에 의해 유도된 췌장염에 대한 베타-라파촌의 치료 효과를 확인한 결과, 세룰레인군은 췌장 조직의 부종, 염증, 세포괴사 현상이 나타났으나, 베타-라파촌군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인 베타-라파촌과 듀니온의 췌장염에 의한 폐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한 결과, C57/BL6 마우스에서는 베타-라파촌의 병용처리시 농도 의존적으로 세룰레인에 의한 폐손상이 억제된 반면, NQO1 낙아웃 마우스의 경우에는 베타-라파촌을 함께 처리해도 폐손상이 보호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도 9 참조), C57/BL6 마우스에서 듀니온의 병용처리시 세룰레인에 의한 폐손상이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10 참조). 상기 결과들을 토대로 NQO-1을 통해 다양한 염증반응을 조절하여 세룰레인에 의한 췌장염 및 췌장염 연관 폐손상을 보호하는데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인 베타-라파촌 및 듀니온은 췌장염에 의해 증가된 췌장 중량/체중 비율을 감소시키고, 증가된 소화 효소의 활성 및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췌장 조직의 염증, 부종, 세포괴사를 감소 또는 억제하고, 췌장염에 의한 폐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는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동량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을 가열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과량의 유기산을 가하거나 무기산의 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켜서 부가염을 얻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투여시에 다양한 하기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이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이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 6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001 ~ 1,000 ㎎/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01 ~ 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약 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으로 기인한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췌장염으로 기인한 질환은 폐손상, 패혈증, 신부전, 늑막 삼출액, 다발성 장기 부전 및 다발성 장기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인 베타-라파촌 및 듀니온은 췌장염에 의해 증가된 췌장 중량/체중 비율을 감소시키고, 증가된 소화 효소의 활성 및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췌장 조직의 염증, 부종, 세포괴사를 감소 또는 억제하고, 췌장염에 의한 폐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는 췌장염으로 기인한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37589013-pat00008
상기 화학식 1은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췌장염은 만성 췌장염 또는 급성 췌장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인 베타-라파촌 및 듀니온은 췌장염에 의해 증가된 췌장 중량/체중 비율을 감소시키고, 증가된 소화 효소의 활성 및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췌장 조직의 염증, 부종, 세포괴사를 감소 또는 억제하고, 췌장염에 의한 폐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프로드럭, 용매화물 또는 이성질체는 췌장염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가 상기와 같은 췌장염 예방 및 개선을 위해 이용되기 위해서는, 식품학 또는 약학적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경구로 섭취할 수 있는 어떤 식품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환, 과립, 정제 또는 캅셀 형태이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고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음료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등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기능 식품의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는 양은 췌장염 예방 및 개선을 원하는 사람의 연령, 성별, 체중, 상태, 질병의 증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성인기준 1일 0.01 g 내지 10.0 g 정도로 포함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함량을 갖는 건강 기능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췌장염 예방 및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의 함량은 건강기능식품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약 0.01 내지 100 중량%의 농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으로 기인한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췌장염으로 기인한 질환은 폐손상, 패혈증, 신부전, 늑막 삼출액, 다발성 장기 부전 및 다발성 장기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인 베타-라파촌 및 듀니온은 췌장염에 의해 증가된 췌장 중량/체중 비율을 감소시키고, 증가된 소화 효소의 활성 및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췌장 조직의 염증, 부종, 세포괴사를 감소 또는 억제하고, 췌장염에 의한 폐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는 췌장염으로 기인한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라파촐( lapachol) 유도체의 합성 및 산 촉매 고리화 반응
베타-라파촌(β-lapachone)은 라파초(lapacho) 나무에서 비교적 적은 양으로 얻어지는 반면에 베타-라파촌 합성의 원료가 되는 라파촐(lapachol)은 라파초 나무에서 상당히 많은 양으로 얻어지기 때문에 이미 오래전에 라파촐을 사용하여 β-라파촌을 합성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즉, L. F. Fieser는 {J. Am. Chem. Scoc. 49 (1927), 857}에서 고지하는 것처럼, 라파촐과 황산을 함께 혼합하여 상온에서 격렬하게 교반시키면 비교적 좋은 수율로 베타-라파촌이 얻어진다. 이처럼 일반적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삼환식 나프토퀴논(tricyclic naphthoquinone)(pyrano-o-naphthoquinone 과 furano-o-naphthoquinone) 유도체들은 하기의 반응식처럼 황산을 촉매로 사용하는 고리화 반응을 통해서 비교적 좋은 수율로 합성되는데, 이 방법에 기초하여 화학식 1의 다양한 화합물들을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5037589013-pat00009
이 과정을 보다 일반적인 화학 반응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5037589013-pat00010
즉, 2-hydroxy-1,4-naphthoquinone을 염기 존재 하에서 다양한 allylic bromide 또는 그 등가물과 반응시키면 C-alkylation(C-알킬화)과 O-alkylation(O-알킬화) 반응이 일어난 물질이 함께 얻어지는데, 반응 조건에 따라서는 한쪽 유도체만 합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O-알킬화된 유도체는 톨루엔이나 자일렌과 같은 용매를 사용하여 환류시킴으로써 클라이젠 자리옮김(Claisen Rearrangement) 반응을 통해서 또 다른 유형의 C-알킬화된 유도체로 전환되기 때문에 다양한 유형의 3-substituted-2-hydroxy-1,4-naphthoquinone 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다양한 형태의 C-알킬화 유도체들은 황산을 촉매로 사용하여 고리화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들 중 pyrano-o-naphthoquinone 또는 furano-o-naphthoquinone 유도체들을 합성할 수 있다.
< 제조예 2> 3- methylene -1,2,4-[3H] naphthalenetrione 을 사용한 딜스 -알더(Diels-Alder) 반응
V. Nair 등{Tetrahedron Lett. 42 (2001), 4549 ~ 4551}이 고지하고 있듯이, 2-hydroxy-1,4-naphthoquinone을 포름알데히드와 함께 가열할 때 생성되는 3-methylene-1,2,4-[3H]naphthalenetrione을 다양한 올레핀 화합물과의 Diels-Alder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비교적 쉽게 다양한 pyrano-o-naphthoquinone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이 방법은 황산 촉매 조건에서 라파촐 유도체의 고리화 반응을 유도하는 반응에 비해서 비교적 간단하게 다양한 형태의 pyrano-o-naphtho-quinone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112015037589013-pat00011
< 제조예 3> 라디칼 (Radical) 반응에 의한 Haloakylation 및 고리화 반응
크립토탄신온(Cryptotanshinone), 15,16-디히드로탄신온(15,16-Dihydro- tanshinone) 등의 합성에 이용되었던 방법 또한 furano-o-naphthoquinone 유도체를 합성하는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A. C. Baillie 등(J. Chem. Soc. (C) 1968, 48 ~ 52)이 고지하고 있듯이, 3-halopropanoic acid 또는4-halobutanoic acid 유도체로부터 유도한 2-haloethyl 또는 3-haloethyl radical 화학종을 2-hydroxy-1,4-naphthoquinone과 반응시킴으로 3-(2-haloethyl 또는 3-halopropyl)-2-hydroxy-1,4-naphthoquinone을 합성할 수 있는데, 이를 적절한 산성 촉매 조건에서 고리화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다양한 pyrano-o-naphthoquinone 또는 furano-o-naphthoquinone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5037589013-pat00012
< 제조예 4> 4,5- Benzofurandione 딜스 - 알더 반응에 의한 고리화 반응
크립토탄신온(Cryptotanshinone), 15,16-디히드로탄신온(15,16-Dihydro- tanshinone) 등의 합성에 이용되었던 또 다른 방법으로는 J. K. Snyder 등(Tetrahedron Letters 28 (1987), 3427 ~ 3430)이 고지하고 있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4,5-Benzofurandione 유도체와 다양한 디엔(diene) 유도체와의 딜스-알더 반응에 의한 첨가 환화(Cycloaddition)를 유도함으로써 furano-o-naphthoquinone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5037589013-pat00013
또한, 상기 방법들을 기초로 치환체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합성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는 바, 이들의 구체적인 예는 하기 표 1에서와 같다.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제조방법들은 이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다.
1
Figure 112015037589013-pat00014
C15H14O3 242.27 제조예 1
2
Figure 112015037589013-pat00015
C15H14O3 242.27 제조예 1
3
Figure 112015037589013-pat00016
C15H14O3 242.27 제조예 1
4
Figure 112015037589013-pat00017
C14H12O3 228.24 제조예 1
5
Figure 112015037589013-pat00018
C13H10O3 214.22 제조예 1
6
Figure 112015037589013-pat00019
C12H8O3 200.19 제조예 2
7
Figure 112015037589013-pat00020
C19H14O3 290.31 제조예 1
8
Figure 112015037589013-pat00021
C19H14O3 290.31 제조예 1
9
Figure 112015037589013-pat00022
C15H12O3 240.25 제조예 1
10
Figure 112015037589013-pat00023
C16H16O4 272.30 제조예 1
11
Figure 112015037589013-pat00024
C15H12O3 240.25 제조예 1
12
Figure 112015037589013-pat00025
C16H14O3 254.28 제조예 2
13
Figure 112015037589013-pat00026
C18H18O3 282.33 제조예 2
14
Figure 112015037589013-pat00027
C21H22O3 322.40 제조예 2
15
Figure 112015037589013-pat00028
C21H22O3 322.40 제조예 2
16
Figure 112015037589013-pat00029
C14H12O3 228.24 제조예 1
17
Figure 112015037589013-pat00030
C14H12O3 228.24 제조예 1
18
Figure 112015037589013-pat00031
C14H12O3 228.24 제조예 1
19
Figure 112015037589013-pat00032
C14H12O3 228.24 제조예 1
20
Figure 112015037589013-pat00033
C20H22O3 310.39 제조예 1
21
Figure 112015037589013-pat00034
C15H13ClO3 276.71 제조예 1
22
Figure 112015037589013-pat00035
C16H16O3 256.30 제조예 1
23
Figure 112015037589013-pat00036
C17H18O5 302.32 제조예 1
24
Figure 112015037589013-pat00037
C16H16O3 256.30 제조예 1
25
Figure 112015037589013-pat00038
C17H18O3 270.32 제조예 1
26
Figure 112015037589013-pat00039
C20H16O3 304.34 제조예 1
27
Figure 112015037589013-pat00040
C18H18O3 282.33 제조예 1
28
Figure 112015037589013-pat00041
C17H16O3 268.31 제조예 1
29
Figure 112015037589013-pat00042
C13H8O3 212.20 제조예 1
30
Figure 112015037589013-pat00043
C13H8O3 212.20 제조예 4
31
Figure 112015037589013-pat00044
C14H10O3 226.23 제조예 4
32
Figure 112015037589013-pat00045
C14H10O3 226.23 제조예 4
< 실시예 1> 베타-라파촌(β- Lapachone )의 합성(화합물 1)
2-Hydroxy-1,4-naphthoquinone(17.4 g, 0.10M)을 DMSO(120 ㎖)에 녹이고, LiH(0.88 g, 0.11M)을 천천히 가한다. 이때, 수소가 발생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반응용액을 교반하면서 더 이상 수소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상태에서 30 분 더 교반시킨 다음, 프레닐 브롬화물(Prenyl bromide)(1-Bromo-3-methyl-2-butene)(15.9 g, 0.10 M)과 LiI(3.35 g, 0.025 M)을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용액을 45℃까지 가열한 상태에서 12 시간 세차게 교반시켰다. 반응용액을 10℃ 이하로 냉각시킨 상태에서 먼저 얼음(76 g)을 가하고 이어서 물(250 ㎖)을 가한 다음, 진한 염산(25 ㎖)을 천천히 가함으로써 용액을 PH>1의 산성으로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로 EtOAc(200 ㎖)을 가한 상태에서 세차게 교반시키면 EtOAc에 녹지 않는 하얀색 고체가 생성된다. 이들 고체는 여과하여 걸러낸 다음, EtOAc 층을 분리하였다. 물 층은 EtOAc(100 ㎖)을 사용하여 한 번 더 추출하여 앞서 추출한 유기층과 합쳤다. 유기층은 5% NaHCO3(150 ㎖)로 씻은 다음, 유기층을 농축하였다. 농축물을 CH2Cl2(200 ㎖)에 녹이고 2 N NaOH 수용액(70 ㎖)로 세차게 흔들어서 분리하였다. CH2Cl2 층을 2 N NaOH 수용액(70 ㎖ x 2)으로 처리하여 두 번 더 분리하였다. 분리한 수용액을 합친 다음, 진한 염산을 사용하여 PH>2 이상의 산성으로 조정하면 고체가 생성된다. 이를 여과하여 분리함으로써 라파촐(lapachol)을 얻었다. 여기서 얻은 라파촐은 75% EtOH을 사용하여 재결정하였다. 이렇게 얻은 라파촐을 황산(80 ㎖)과 혼합한 상태에서 상온에서 10 분간 세차게 교반한 다음, 얼음(200 g)을 가함으로써 반응을 종결하였다. 반응물로 CH2Cl2(60 ㎖)을 가한 다음 세차게 흔들어준 후에 CH2Cl2 층을 분리하여 5% NaHCO3로 씻어 주었다. 물 층은 CH2Cl2(30 ㎖)를 사용하여 한번 더 추출하여 5% NaHCO3로 씻어 준 다음, 앞서 추출한 유기층과 합쳤다. 유기층을 MgSO4를 사용하여 말린 다음, 농축함으로써 불순한 상태의 베타-라파촌을 얻었다. 이를 다시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재결정함으로써 순수한 상태의 베타-라파촌(8.37 g)을 얻었다.
1H-NMR (CDCl3, δ): 8.05 (1H, dd, J=1, 8Hz), 7.82 (1H, dd, J=1, 8 Hz), 7.64 (1H, dt, J=1, 8 Hz), 7.50 (1H, dt, J=1, 8 Hz), 2.57 (2H, t, J=6.5 Hz), 1.86 (2H, t, J=6.5 Hz) 1.47 (6H, s).
< 실시예 2> 듀니온( Dunnione )의 합성(화합물 2)
상기 <실시예 1>에서 라파촐을 얻는 과정에서 EtOAc에서 녹지 않고 분리된 고체는 C-Alylation 물질인 라파촐과는 달리 O-Akylation 된 2-Prenyloxy-1,4-maphthoquinone이다. 이를 먼저 EtOAc를 사용하여 한번 더 재결정함으로써 깨끗이 정제하였다. 이렇게 정제한 고체(3.65 g, 0.015 M)를 톨루엔에 녹이고 5 시간 동안 톨루엔을 환류시킴으로써 클라이젠 자리옮김(Claisen Rearrangement)을 유도하였다. 톨루엔을 감압 증류함으로써 농축시키고, 이를 더 이상의 정제 과정 없이 황산(15 ㎖)와 혼합한 상태에서 상온에서 10 분간 세차게 교반한 다음, 얼음(100 g)을 가함으로써 반응을 종결하였다. 반응물로 CH2Cl2(50 ㎖)을 가한 다음 세차게 흔들어준 후에 CH2Cl2 층을 분리하여 5% NaHCO3로 씻어 주었다. 물 층은 CH2Cl2(20 ㎖)를 사용하여 한번 더 추출하여 5% NaHCO3로 씻어 준 다음, 앞서 추출한 유기층과 합쳤다. 유기층을 MgSO4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농축한 다음, 이를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순순한 상태의 듀니온(2.32 g)을 얻었다.
1H-NMR (CDCl3, δ): 8.05 (1H, d, J=8Hz), 7.64 (2H, d, J=8Hz), 7.56 (1H, m), 4.67 (1H, q, J=7Hz), 1.47 (3H, d, J=7Hz), 1.45(3H, s) 1.27 (3H, s).
< 실시예 3> 알파 듀니온(α- Dunnione )의 합성(화합물 3)
상기 <실시예 2>에서 정제한 2-Prenyloxy-1,4-maphthoquinone(4.8 g, 0.020 M)을 자일렌(Xylene)에 녹이고 15 시간 동안 자일렌을 환류시킴으로써 상기 <실시예 2> 보다 훨씬 높은 온도 조건과 장시간 반응 조건에서 클라이젠 자리옮김을 유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클라이젠 자리옮김은 물론 두 개의 메틸(Methyl) 기 중에서 하나가 이동한 라파촐 유도체와 함께 고리화 반응까지 진행된 상태의 알파 듀니온(α-Dunnione)이 얻어진다. 자일렌을 감압 증류함으로써 농축한 다음 이를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순순한 상태의 알파 듀니온(1.65 g)을 얻었다.
1H-NMR (CDCl3, δ): 8.06 (1H, d, J=8Hz), 7.64 (2H, m), 7.57 (1H, m), 3.21 (1H, q, J=7Hz), 1.53 (3H, s), 1.51(3H, s) 1.28 (3H, d, J=7Hz).
< 실시예 4> 화합물 4의 합성
2-Hydroxy-1,4-naphthoquinone(17.4 g, 0.10 M)을 DMSO(120 ㎖)에 녹이고, LiH(0.88 g, 0.11 M)을 천천히 가하였다. 이때, 수소가 발생하므로 주의를 요하였다. 반응용액을 교반하면서 더 이상 수소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상태에서 30 분간 더 교반시킨 다음, 메타릴 브로마이드(Methallyl bromide)(1-Bromo-2-methylpropene)(14.8 g, 0.11 M)과 LiI(3.35 g, 0.025 M)을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용액을 45℃까지 가열한 상태에서 12 시간 세차게 교반시켰다. 반응용액을 10℃ 이하로 냉각시킨 상태에서 먼저 얼음(80 g)을 가하고 이어서 물(250 ㎖)을 가한 다음, 진한 염산(25 ㎖)을 천천히 가함으로써 용액을 PH>1의 산성으로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로 CH2Cl2(200 ㎖)을 가하고 세차게 흔들어서 분리하였다. 물 층으로 CH2Cl2(70 ㎖)을 가하여 한 번 더 추출하여 앞서 분리한 유기층과 합쳤다. 이때, TLC에서 두 개의 물질이 새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들은 특별히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다. 유기층을 갑압 증류함으로써 농축한 다음, 이를 다시 자일렌에 녹인 상태에서 8 시간 환류시켰다. 이 과정에서 TLC 상에서의 두 물질은 하나로 합쳐져서 비교적 순수한 라파촐 유도체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라파촐 유도체를 황산(80 ㎖)과 혼합한 상태에서 상온에서 10 분간 세차게 교반한 다음, 얼음(200 g)을 가함으로써 반응을 종결하였다. 반응물로 CH2Cl2(80 ㎖)을 가한 다음 세차게 흔들어준 후에 CH2Cl2 층을 분리하여 5% NaHCO3로 씻어 주었다. 물 층은 CH2Cl2(50 ㎖)를 사용하여 한번 더 추출하여 5% NaHCO3로 씻어 준 다음, 앞서 추출한 유기층과 합쳤다. 유기층을 MgSO4를 사용하여 말린 다음, 농축함으로써 불순한 상태의 라파촌 유도체(화합물 4)를 얻었다. 이를 다시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재결정함으로써 순순한 상태의 화합물 4(12.21 g)를 얻었다.
1H-NMR (CDCl3, δ): 8.08 (1H, d, J=8Hz), 7.64 (2H, m), 7.57 (1H, m), 2.95 (2H, s), 1.61 (6H, s).
< 실시예 5> 화합물 5의 합성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키되 메타릴 브로마이드(Methallyl bromide) 대신에 알릴 브로마이드(Allyl bromide)를 사용하여 화합물 5를 얻었다.
1H-NMR (CDCl3, δ): 8.07 (1H, d, J=7Hz), 7.65 (2H, m), 7.58 (1H, m), 5.27 (1H, m), 3.29 (1H, dd, J=10, 15Hz), 2.75(1H, dd, J=7, 15Hz), 1.59 (3H, d, J=6Hz).
< 실시예 6> 화합물 6의 합성
3-Chloropropionyl chloride(5.08 g, 40 mM)을 에테르(20 ㎖)에 녹이고 -78℃로 냉각시킨 상태에서 반응용액을 세차게 교반하면서 과산화나트륨(Sodium peroxide)(Na2O2)(1.95 g, 25 mM)을 천천히 가한 다음, 30 분간 더 세차게 교반시켰다. 반응용액을 0℃까지 가열한 상태에서 얼음(7 g)을 가하고 10분간 더 교반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한 다음, 0℃의 차가운 물(10 ㎖)로 한 번 더 씻어주고, 다시 0℃의 NaHCO3 수용액으로 씻어 주었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MgSO4로 건조한 후에 0℃ 이하에서 감압 증류함으로써 농축함으로써 3-Chloropropionic peracid를 준비하였다. 2-Hydroxy-1,4-naphthoquinone(1.74 g, 10 mM)을 아세트산 (20 ㎖)에 녹이고, 앞서 준비한 3-Chloropropionic peracid를 상온에서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 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감압 증류함으로써 아세트산을 제거하였다. 이 농축물을 CH2Cl2(20 ㎖)에 녹이고 5% NaHCO3(20 ㎖)로 씻어 주었다. 물 층은 CH2Cl2(20 ㎖)를 사용하여 한번 더 추출하여 앞서 추출한 유기층과 합쳤다. 유기층을 MgSO4를 사용하여 말린 다음, 농축함으로써 2-(2-Chloroethyl)-3-hydroxy-1,4-naphthoquinone과의 혼합물 상태로 화합물 6을 얻었다. 이를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순수한 상태의 라파촌 유도체(화합물 6)(0.172 g)를 얻었다.
1H-NMR (CDCl3, δ): 8.07 (1H, d, J=7.6Hz), 7.56 ~ 7.68 (3H, m), 4.89 (2H, t, J=9.2Hz), 3.17 (2H, t, J=9.2Hz).
< 실시예 7> 화합물 7의 합성
2-Hydroxy-1,4-naphthoquinone(17.4 g, 0.10 M)을 DMSO(120 ㎖)에 녹이고, LiH(0.88 g, 0.11 M)을 천천히 가하였다. 이때, 수소가 발생하므로 주의를 요하였다. 반응용액을 교반하면서 더 이상 수소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상태에서 30 분간 더 교반시킨 다음, 신나밀 브로마이드(Cinnamyl bromide)(3-phenylallyl bromide)(19.7 g, 0.10 M)와 LiI(3.35 g, 0.025 M)을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용액을 45℃까지 가열한 상태에서 12 시간 동안 세차게 교반시켰다. 반응용액을 10℃ 이하로 냉각시킨 상태에서 먼저 얼음(80 g)을 가하고 이어서 물(250 ㎖)을 가한 다음, 진한 염산(25 ㎖)을 천천히 가함으로써 용액을 PH>1의 산성으로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200 ㎖)에 녹여서 세차게 흔들어서 분리하였다. 물 층은 폐수처리하고, CH2Cl2 층은 2 N NaOH 수용액(100 ㎖× 2)으로 처리하여 물 층을 두 번 분리하였다. 이때, 2 N Na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남은 CH2Cl2 층은 실시예 8에서 다시 사용하였다. 여기서 분리한 수용액을 합친 다음, 진한 염산을 사용하여 PH>2 이상의 산성으로 조정하면 고체가 생성된다. 이를 여과하여 분리함으로써 라파촐 유도체를 얻었다. 여기서 얻은 라파촐 유도체는 75% EtOH을 사용하여 재결정하였다. 이렇게 얻은 라파촐 유도체를 황산(50 ㎖)과 혼합한 상태에서 상온에서 10 분간 세차게 교반한 다음, 얼음(150 g)을 가함으로써 반응을 종결하였다. 반응물로 CH2Cl2(60 ㎖)을 가한 다음 세차게 흔들어준 후에 CH2Cl2 층을 분리하여 5% NaHCO3로 씻어 주었다. 물 층은 CH2Cl2(30 ㎖)를 사용하여 한번 더 추출하여 5% NaHCO3로 씻어 준 다음, 앞서 추출한 유기층과 합쳤다. 유기층을 농축한 다음, 이를 실리카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순수한 화합물 7(2.31 g)을 얻었다.
1H-NMR (CDCl3, δ): 8.09(1H, dd, J=1.2, 7.6Hz), 7.83 (1H, d, J=7.6Hz), 7.64 (1H, dt, J=1.2, 7.6Hz), 7.52 (1H, dt, J=1.2, 7.6Hz), 7.41 (5H, m), 5.27 (1H, dd, J=2.5, 6.0Hz), 2.77 (1H, m) 2.61 (1H, m), 2.34 (1H, m), 2.08 (1H, m), 0.87 (1H, m).
< 실시예 8> 화합물 8의 합성
상기 <실시예 7>에서 2 N Na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남은 CH2Cl2 층을 감압 증류하여 농축하였다. 이를 자일렌(30 ㎖)에 녹인 다음, 10 시간 동안 환류시킴으로써 클라이젠 자리옮김을 유도하였다. 자일렌을 감압 증류함으로써 농축시키고, 이를 더 이상의 정제 과정 없이 황산(15 ㎖)과 혼합한 상태에서 상온에서 10 분간 세차게 교반한 다음, 얼음(100 g)을 가함으로써 반응을 종결하였다. 반응물로 CH2Cl2(50 ㎖)을 가한 다음 세차게 흔들어준 후에 CH2Cl2 층을 분리하여 5% NaHCO3으로 씻어 주었다. 물 층은 CH2Cl2(20 ㎖)를 사용하여 한번 더 추출하여 5% NaHCO3으로 씻어 준 다음, 앞서 추출한 유기층과 합쳤다. 유기층을 MgSO4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농축한 다음, 이를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순수한 화합물 8(1.26 g)을 얻었다.
1H-NMR (CDCl3, δ): 8.12 (1H, dd, J=0.8, 8.0Hz), 7.74 (1H, dd, J=1.2, 7.6Hz), 7.70 (1H, dt, J=1.2, 7.6Hz), 7.62 (1H, dt, J=1.6, 7.6Hz), 7.27 (3H, m), 7.10 (2H, td, J=1.2, 6.4Hz), 5.38 (1H, qd, J=6.4, 9.2Hz), 4.61 (1H, d, J=9.2Hz), 1.17 (3H, d, J=6.4Hz).
< 실시예 9> 화합물 9의 합성
1,8-Diazabicyclo[5.4.0]undec-7-ene(3.4 g, 22 mM)과 2-Methyl-3-butyn-2-ol(1.26 g, 15 mM)을 아세토니트릴(10 ㎖)에 녹이고 0℃로 냉각시켰다. 반응용액을 교반시키면서 Trifluoroacetic anhydride(3.2 g, 15 mM)을 천천히 가한 다음, 0℃에서 계속해서 교반시켰다. 또 다른 플라스크에 2-Hydroxy-1,4-naphthoquinone(1.74 g, 10 mM)과 Cupric chloride(CuCl2)(135 mg, 1.0 mM)을 아세토니트릴(10 ㎖)에 녹이고 교반시켰다. 앞서 정제한 용액을 이 반응용액으로 천천히 가한 다음, 반응용액을 20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용액을 감압 증류하여 농축한 다음, 이를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순수한 화합물 9(0.22 g)를 얻었다.
1H-NMR (CDCl3, δ): 8.11 (1H, dd, J=1.2, 7.6Hz), 7.73 (1H, dd, J=1.2, 7.6Hz), 7.69 (1H, dt, J=1.2, 7.6Hz), 7.60 (1H, dt, J=1.6, 7.6Hz), 4.95 (1H, d, J=3.2Hz), 4.52 (1H, d, J=3.2Hz), 1.56 (6H, s).
< 실시예 10> 화합물 10의 합성
상기 화합물 9(0.12 g)를 MeOH(5 ㎖)에 녹인 다음, 5% 팔라듐(5% Pd/C)(10㎎)을 넣고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세차게 교반시켰다. 반응용액을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여과함으로써 5% 팔라듐(5% Pd/C)을 제거한 다음, 감압 증류하여 농축함으로써 화합물 10을 얻었다.
1H-NMR (CDCl3, δ): 8.05 (1H, td, J=1.2, 7.6Hz), 7.64 (2H, m), 7.54 (1H, m), 3.48 (3H, s), 1.64 (3H, s), 1.42 (3H, s), 1.29 (3H, s).
< 실시예 11> 화합물 11의 합성
베타-라파촌(화합물 1)(1.21 g, 50 mM)과 DDQ(2,3-Dichloro-5,6-dicyano-1,4-benzoqinone)(1.14 g, 50 mM)을 사염화탄소(50 ㎖)에 녹이고 72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용액을 감압 증류하여 농축한 다음,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순수한 화합물 11(1.18 g)을 얻었다.
1H-NMR (CDCl3, δ): 8.08 (1H, dd, J=1.2, 7.6Hz), 7.85 (1H, dd, J=0.8, 7.6Hz), 7.68 (1H, dt, J=1.2, 7.6Hz), 7.55 (1H, dt, J=1.2, 7.6Hz), 6.63 (1H, d, J=10.0Hz), 5.56 (1H, d, J=10.0Hz), 1.57 (6H, s).
< 실시예 12> 화합물 12의 합성
2-Hydroxy-1,4-naphthoquinone(1.74 g, 10 mM), 2-Methyl-1,3-butadiene(Isoprene)(3.4 g, 50 mM),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3.0 g, 100 mM)를 1,4-dioxane(20 ㎖)을 압력용기에 넣고 100℃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반응용기를 상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압력 용기를 열고 내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증류하여 농축시킨 다음, 이를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베타-라파촌의 2-Vinyl 유도체인 화합물 12(238 ㎎)를 얻었다.
1H-NMR (CDCl3, δ): 8.07 (1H, dd, J=1.2, 7.6Hz), 7.88 (1H, dd, J=0.8, 7.6Hz), 7.66 (1H, dt, J=1.2, 7.6Hz), 7.52 (1H, dt, J=0.8, 7.6Hz), 5.87 (1H, dd, J=10.8, 17.2Hz), 5.18 (1H, d, J=10.8Hz), 5.17 (1H, 17.2Hz), 2.62 (1H, m), 2.38 (1H, m), 2.17 (3H, s), 2.00 (1H, m), 1.84 (1H, m).
< 실시예 13> 화합물 13의 합성
2-Hydroxy-1,4-naphthoquinone(1.74 g, 10 mM), 2,4-Dimethyl-1,3-pentadiene(4.8 g, 50 mM), 파라포름알데하이드(3.0 g, 100 mM)를 1,4-dioxane(20 ㎖)에 녹이고 10 시간 동안 세차게 교반하면서 환류시켰다. 반응용기를 상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내용물을 여과함으로써 고체의 파라포름알데하이드를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증류하여 농축시킨 다음, 이를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베타-라파촌 유도체인 화합물 13(428 ㎎)을 얻었다.
1H-NMR (CDCl3, δ): 8.06 (1H, dd,J=1.2, 7.6Hz), 7.83 (1H, dd, J=0.8, 7.6Hz), 7.65 (1H, dt, J=1.2, 7.6Hz), 7.50 (1H, dt, J=0.8, 7.6Hz), 5.22 (1H, bs), 2.61 (1H, m), 2.48 (1H, m), 2.04 (1H, m), 1.80 (3H, d, J=1.0Hz), 1.75 (1H, m), 1.72 (1H, d, J=1.0Hz), 1.64 (3H, s).
< 실시예 14> 화합물 14의 합성
2-Hydroxy-1,4-naphthoquinone(5.3 g, 30 mM), 2,6-Dimethyl-2,4,6-octatriene(20.4 g, 150 mM), 파라포름알데하이드(9.0 g, 300 mM)를 1,4-dioxane(50 ㎖)에 녹이고 10 시간 동안 세차게 교반하면서 환류시켰다. 반응용기를 상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내용물을 여과함으로써 고체의 파라포름알데하이드를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증류하여 농축시킨 다음, 이를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베타-라파촌 유도체인 화합물 14(1.18 g)를 얻었다.
1H-NMR (CDCl3, δ): 8.07 (1H, dd, J=1.2, 7.6Hz), 7.87 (1H, dd, J=0.8, 7.6Hz), 7.66 (1H, dt, J=1.2, 7.6Hz), 7.51 (1H, dt, J=0.8, 7.6Hz), 6.37 (1H, dd, J=11.2, 15.2Hz), 5.80 (1H, broad d, J=11.2Hz), 5.59 (1H, d, J=15.2Hz), 2.67 (1H, dd, J=4.8, 17.2Hz), 2.10 (1H, dd, J=6.0, 17.2Hz), 1.97 (1H, m), 1.75 (3H, bs), 1.64 (3H, bs), 1.63 (3H, s), 1.08 (3H, d, J=6.8Hz).
< 실시예 15> 화합물 15의 합성
2-Hydroxy-1,4-naphthoquinone(5.3 g, 30 mM), Terpinen(20.4 g, 50 mM), 파라포름알데하이드(9.0 g, 300 mM)를 1,4-dioxane(50 ㎖)에 녹이고 10 시간 동안 세차게 교반하면서 환류시켰다. 반응용기를 상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내용물을 여과함으로써 고체의 파라포름알데하이드를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증류하여 농축시킨 다음, 이를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Tetracyclic o-quinone 유도체인 화합물 15(1.12 g)를 얻었다.
1H-NMR (CDCl3, δ): 8.06 (1H, d, J=7.6Hz), 7.85 (1H, d, J=7.6Hz), 7.65 (1H, t, J=7.6Hz), 7.51 (1H, t, J=7.6Hz), 5.48 (1H, broad s), 4.60 (1H, broad s), 2.45 (1H, d, J=16.8Hz), 2.21 (1H, m), 2.20 (1H, d, J=16.8Hz), 2.09 (1H, m), 1.77 (1H, m), 1.57 (1H, m), 1.07 (3H, s), 1.03 (3H, d, J=0.8Hz), 1.01 (3H, d, J=0.8Hz), 0.96 (1H, m).
< 실시예 16> 화합물 16과 화합물 17의 합성
2-Hydroxy-1,4-naphthoquinone(17.4 g, 0.10 M)을 DMSO(120 ㎖)에 녹이고, LiH(0.88 g, 0.11 M)을 천천히 가하였다. 이때, 수소가 발생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반응용액을 교반하면서 더 이상 수소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상태에서 30분간 더 교반시킨 다음, 크로틸 브로마이드(Crotyl bromide)(16.3 g, 0.12 M)와 LiI(3.35 g, 0.025 M)을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용액을 45℃까지 가열한 상태에서 12 시간 세차게 교반시켰다. 반응용액을 10℃ 이하로 냉각시킨 상태에서 먼저 얼음(80 g)을 가하고 이어서 물(250 ㎖)을 가한 다음, 진한 염산(25 ㎖)을 천천히 가함으로써 용액을 PH>1의 산성으로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200 ㎖)에 녹여서 세차게 흔들어서 분리하였다. 물 층은 폐수처리하고, CH2Cl2 층은 2 N NaOH 수용액(100 ㎖× 2)으로 처리하여 물 층을 두 번 분리하였다. 이때, 2 N Na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남은 CH2Cl2 층은 하기 <실시예 17>에서 사용하였다. 여기서 분리한 수용액을 합친 다음, 진한 염산을 사용하여 PH>2 이상의 산성으로 조정하면 고체가 생성된다. 이를 여과하여 분리함으로써 라파촐 유도체를 얻었다. 여기서 얻은 라파촐 유도체는 75% EtOH을 사용하여 재결정하였다. 이렇게 얻은 라파촐 유도체를 황산(50 ㎖)과 혼합한 상태에서 상온에서 10 분간 세차게 교반한 다음, 얼음(150 g)을 가함으로써 반응을 종결하였다. 반응물로 CH2Cl2(60 ㎖)을 가한 다음 세차게 흔들어준 후에 CH2Cl2 층을 분리하여 5% NaHCO3로 씻어 주었다. 물 층은 CH2Cl2(30 ㎖)를 사용하여 한번 더 추출하여 5% NaHCO3로 씻어 준 다음, 앞서 추출한 유기층과 합쳤다. 유기층을 농축한 다음, 이를 실리카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순수한 화합물 16(1.78 g)과 화합물 17(0.43 g)을 얻었다.
화합물 16의 1H-NMR (CDCl3, δ): δ8.07 (1H, dd, J=0.8, 6.8Hz), 7.64 (2H, broad d, J=3.6Hz), 7.57 (1H, m), 5.17 (1H, qd, J=6.0, 8.8Hz), 3.53 (1H, qd, J=6.8, 8.8Hz), 1.54 (3H, d, 6.8Hz), 1.23 (3H, d, 6.8Hz).
화합물 17의 1H-NMR (CDCl3, δ): δ8.06 (1H, d, J=0.8, 7.2Hz), 7.65 (2H, broad d, J=3.6Hz), 7.57 (1H, m), 4.71 (1H, quintet, J=6.4Hz), 3.16 (1H, quintet, J=6.4Hz), 1.54 (3H, d, 6.4Hz), 1.38 (3H, d, 6.4Hz).
< 실시예 17> 화합물 18과 화합물 19의 합성
상기 <실시예 16>에서 2 N Na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남은 CH2Cl2 층을 감압 증류하여 농축하였다. 이를 자일렌(30 ㎖)에 녹인 다음, 10 시간 동안 환류시킴으로써 클라이젠 자리옮김을 유도하였다. 자일렌을 감압 증류함으로써 농축시키고, 이를 더 이상의 정제 과정 없이 황산(15 ㎖)과 혼합한 상태에서 상온에서 10 분간 세차게 교반한 다음, 얼음(100 g)을 가함으로써 반응을 종결하였다. 반응물로 CH2Cl2(50 ㎖)을 가한 다음 세차게 흔들어준 후에 CH2Cl2 층을 분리하여 5% NaHCO3로 씻어 주었다. 물 층은 CH2Cl2(20 ㎖)를 사용하여 한번 더 추출하여 5% NaHCO3로 씻어 준 다음, 앞서 추출한 유기층과 합쳤다. 유기층을 MgSO4를 사용하여 건조하여 농축한 다음, 이를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순수한 화합물 18(0.62 g)과 화합물 19(0.43 g)를 얻었다.
화합물 18의 1H-NMR (CDCl3, δ): 8.06 (1H, dd, J=0.8, 7.2Hz), 7.81 (1H, dd, J=0.8, 7.6Hz), 7.65 (1H, dt, J=0.8, 7.6Hz), 7.51 (1H, dt, J=0.8, 7.2Hz), 4.40 (1H, m), 2.71 (1H, m), 2.46 (1H, m), 2.11 (1H, m), 1.71 (1H, m), 1.54 (3H, d, 6.4Hz), 1.52 (1H, m).
화합물 19의 1H-NMR (CDCl3, δ): 8.08 (1H, d, J=0.8, 7.2Hz), 7.66 (2H, broad d, J=4.0Hz), 7.58 (1H, m), 5.08 (1H, m), 3.23 (1H, dd, J=9.6, 15.2Hz), 2.80 (1H, dd, J=7.2, 15.2Hz), 1.92 (1H, m), 1.82 (1H, m), 1.09 (3H, t, 7.6Hz).
< 실시예 18> 화합물 20의 합성
2-Hydroxy-1,4-naphthoquinone(17.4 g, 0.10 M)을 DMSO(120 ㎖)에 녹이고, LiH(0.88 g, 0.11 M)을 천천히 가하였다. 이때, 수소가 발생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반응용액을 교반하면서 더 이상 수소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상태에서 30분간 더 교반시킨 다음, 게라닐 브로마이드(Geranyl bromide)(21.8 g, 0.10 M)와 LiI(3.35 g, 0.025 M)을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용액을 45℃까지 가열한 상태에서 12 시간 세차게 교반시켰다. 반응용액을 10℃ 이하로 냉각시킨 상태에서 먼저 얼음(80 g)을 가하고 이어서 물(250 ㎖)을 가한 다음, 진한 염산(25 ㎖)을 천천히 가함으로써 용액을 PH>1의 산성으로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200 ㎖)에 녹여서 세차게 흔들어서 분리하였다. 물 층은 폐수처리하고, CH2Cl2 층은 2 N NaOH 수용액(100 ㎖× 2)으로 처리하여 물 층을 두 번 분리하였다. 여기서 분리한 수용액을 합친 다음, 진한 염산을 사용하여 PH>2 이상의 산성으로 조정하면 고체가 생성된다. 이를 여과하여 분리함으로써 2-Geranyl-3-hydroxy-1,4-naphthoquinone을 얻었다. 이를 더 이상 정제 과정 없이 황산(50 ㎖)과 혼합한 상태에서 상온에서 10 분간 세차게 교반한 다음, 얼음(150 g)을 가함으로써 반응을 종결하였다. 반응물로 CH2Cl2(60 ㎖)을 가한 다음 세차게 흔들어준 후에 CH2Cl2 층을 분리하여 5% NaHCO3로 씻어 주었다. 물 층은 CH2Cl2(30 ㎖)를 사용하여 한번 더 추출하여 5% NaHCO3로 씻어 준 다음, 앞서 추출한 유기층과 합쳤다. 유기층을 농축한 다음, 이를 실리카겔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함으로써 순수한 화합물 20(3.62 g)을 얻었다.
1H-NMR (CDCl3, δ): 8.05 (1H, d, J=7.6Hz), 7.77 (1H, d, J=7.6Hz), 7.63 (1H, t, J=7.6Hz), 7.49 (1H, t, J=7.6Hz), 2.71 (1H, dd, J=6.0, 17.2Hz), 2.19 (1H, dd, J=12.8, 17.2Hz), 2.13 (1H, m), 1.73 (2H, m), 1.63 (1H, dd, J=6.0, 12.8Hz), 1.59 (1H, m), 1.57 (1H, m), 1.52 (1H, m), 1.33 (3H, s), 1.04 (3H, s), 0.93 (3H, s).
< 실시예 19> 화합물 21의 합성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Hydroxy-1,4-naphthoquinone 대신 6-Chloro-2-hydroxy-1,4-naphthoquinone을 사용하여 화합물 21을 얻었다.
1H-NMR (CDCl3, δ): 8.02 (1H, d, J=8Hz), 7.77 (1H, d, J=2Hz), 7.50 (1H, dd, J=2, 8Hz), 2.60 (2H, t, J=7Hz), 1.87(2H, t, J=7Hz) 1.53 (6H, s).
< 실시예 20> 화합물 22의 합성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Hydroxy-1,4-naphthoquinone 대신 2-Hydroxy-6-methyl-1,4-naphthoquinone을 사용하여 화합물 22를 얻었다.
1H-NMR (CDCl3, δ): 7.98 (1H, d, J=8Hz), 7.61 (1H, d, J=2Hz), 7.31 (1H, dd, J=2, 8Hz), 2.58 (2H, t, J=7Hz), 1.84(2H, t, J=7Hz) 1.48 (6H, s).
< 실시예 21> 화합물 23의 합성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2-Hydroxy-1,4-naphthoquinone 대신 6,7-Dimethoxy-2-hydroxy-1,4-naphthoquinone을 사용하여 화합물 23을 얻었다.
1H-NMR (CDCl3, δ): 7.56 (1H, s), 7.25 (1H, s), 3.98 (6H, s), 2.53 (2H, t, J=7Hz), 1.83(2H, t, J=7Hz) 1.48 (6H, s).
< 실시예 22> 화합물 24의 합성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1-Bromo-3-methyl-2-butene 대신 1-Bromo-3-methyl-2-pentene을 사용하여 화합물 24를 얻었다.
1H-NMR (CDCl3, δ): 7.30~8.15 (4H, m), 2.55 (2H, t, J=7Hz), 1.83(2H, t, J=7Hz), 1.80(2H, q, 7Hz) 1.40 (3H, s), 1.03(3H, t, J=7Hz).
< 실시예 23> 화합물 25의 합성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1-Bromo-3-methyl-2-butene 대신 1-Bromo-3-ethyl-2-pentene을 사용하여 화합물 25를 얻었다.
1H-NMR (CDCl3, δ): 7.30~8.15 (4H, m), 2.53 (2H, t, J=7Hz), 1.83(2H, t, J=7Hz), 1.80(4H, q, 7Hz) 0.97(6H, t, J=7Hz).
< 실시예 24> 화합물 26의 합성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1-Bromo-3-methyl-2-butene 대신 1-Bromo-3-phenyl-2-butene을 사용하여 화합물 26을 얻었다.
1H-NMR (CDCl3, δ): 7.15~8.15 (9H, m), 1.90~2.75 (4H, m), 1.77 (3H, s).
< 실시예 25> 화합물 27의 합성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1-Bromo-3-methyl-2-butene 대신 2-Bromo-ethylidenecyclohexane을 사용하여 화합물 27을 얻었다.
1H-NMR (CDCl3, δ): 7.30~8.25 (4H, m), 2.59 (2H, t, J=7Hz), 1.35~2.15 (12H, m).
< 실시예 26> 화합물 28의 합성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키되 1-Bromo-3-methyl-2-butene 대신에 2-Bromo-ethylidenecyclopentane을 사용하여 화합물 28을 얻었다.
1H-NMR (CDCl3, δ): 7.28~8.20 (4H, m), 2.59 (2H, t, J=7Hz), 1.40~2.20 (10H, m).
< 실시예 27> 화합물 29의 합성
상기 <실시예 5>에서 합성한 화합물 5(8.58 g, 20 mM)를 사염화탄소(1000 ㎖)에 녹이고 2,3-Dichloro-5,6-dicyano-1,4-benzoqinone(11.4 g, 50 mM)을 놓고 96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용액을 감압 증류하여 농축한 다음, 붉은 색의 고체를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재결정하여 순수한 화합물 29(7.18 g)를 얻었다.
1H-NMR (CDCl3, δ): 8.05 (1H, dd, J=1.2, 7.6Hz), 7.66 (1H, dd, J=1.2, 7.6Hz), 7.62 (1H, dt, J=1.2, 7.6Hz), 7.42 (1H, dt, J=1.2, 7.6Hz), 6.45 (1H, q, J=1.2Hz), 2.43 (3H, d, J=1.2Hz).
< 실시예 28> 화합물 30의 합성
{J. Org. Chem., 55 (1990) 4995~5008}에서 제시하고 있는 합성방법에 준하여 p-Benzoquinone과 1-(N-morpholine)propene을 사용하여 4,5-Dihydro-3-methylbenzo[1,2-b]furan-4,5-dione {Benzofuran-4,5-dione}을 합성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Benzofuran-4,5-dione(1.5 g, 9.3 mM)과 1-Acetoxy-1,3-butadiene(3.15 g, 28.2 mM)을 벤젠(200 ㎖)에 녹이고 12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용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감압 증류함으로써 농축시켰다. 이를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순수한 화합물 30(1.13 g)을 얻었다.
1H-NMR (CDCl3, δ): 8.05 (1H, dd, J=1.2, 7.6Hz), 7.68 (1H, dd, J=1.2, 7.6Hz), 7.64 (1H, td, J=1.2, 7.6Hz), 7.43 (1H, td, J=1.2, 7.6Hz), 7.26 (1H, q, J=1.2Hz), 2.28 (3H, d, J=1.2Hz).
< 실시예 29> 화합물 31과 화합물 32의 합성
상기 <실시예 28>의 4,5-Dihydro-3-methylbenzo[1,2-b]furan-4,5-dione {Benzofuran-4,5-dione}(1.5 g, 9.3 mM)과 2-Methyl-1,3-butadiene(45 g, 0.6 M)을 벤젠(200 ㎖)에 녹이고 5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용액을 냉각시킨 다음 감압 증류함으로써 철저하게 농축시켰다. 이를 다시 사염화탄소(150 ㎖)에 녹이고, 2,3-Dichloro-5,6-dicyano-1,4-benzoqinone(2.3 g, 10 mM)을 추가한 후에 15 시간 더 환류시켰다. 반응 용액을 냉각시킨 상태에서 감압 증류하여 농축시켰다. 이를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순수한 화합물 31(0.13 g)과 화합물 32(0.11 g)를 얻었다.
화합물 31의 1H-NMR (CDCl3, δ): 7.86 (1H, s), 7.57 (1H, d, J=8.1Hz), 7.42 (1H, d, J=8.1Hz), 7.21 (1H, q, J=1.2Hz), 2.40 (3H, s), 2.28 (1H, d, J=1.2Hz).
화합물 32의 1H-NMR (CDCl3, δ): δ7.96 (1H, d, J=8.0Hz), 7.48 (1H, s), 7.23 (2H, m), 2.46 (3H, s), 2.28 (1H, d, J=1.2Hz).
< 실험예 1> 췌장염 동물 모델의 준비
본 발명에서는 체중 22±2 g 내외의 C57BL/6 쥐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모든 생쥐들은 항온(22~26℃), 항습(55~60%)이 되는 무균 동물실에서 사육하였으며, 일반 고형사료(샘타코㈜, 한국)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 동안 적응시킨 후 실험하였다. 모든 실험은 원광대학교 임상시험 관리위원회의 실험실 동물 관리 및 윤리 규정에 따라 임상시험 관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였다. 동물 실험을 위한 췌장염 유발 방법 중에서 최근 세룰레인(caerulein) 유도 췌장염 모델은 재현성이 뛰어나고 경제적인 이유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실험동물 모델로 그동안 많은 연구에 의하여 발생기전에 관하여 비교적 잘 연구된 동물 모델이다.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동물은 약 16시간 전부터 사료 공급을 중단한 다음 세룰레인(50 ㎍/㎏)을 1시간 간격으로 6회 복강 투여하여 췌장염을 유발하였다. 또한, 세룰레인을 처리하기 하루 전에 베타-라파촌(β-lapachone, β-Lap)과 듀니온(Dunnione)을 경구투여하여 세룰레인에 의해 유도되는 췌장염에 대한 베타-라파촌과 듀니온의 예방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세룰레인(50 ㎍/㎏)을 1시간 간격으로 6회 복강 투여하여 췌장염을 유발한 후 세룰레인 최종 투여 6시간 뒤에 베타-라파촌을 정맥주사하여 세룰레인에 의해 유도되는 췌장염에 대한 베타-라파촌의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베타- 라파촌 및 듀니온의 췌장 중량 감소 효과 확인
췌장염 발생시 부종으로 인해 췌장의 무게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실험이 끝난 모든 동물 모델을 채혈한 후, 체중에 대한 췌장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동물 모델을 베타-라파촌 및 듀니온을 농도별로(0, 10, 20, 40 ㎎/㎏) 처리한 후, 세룰레인(50 ㎍/㎏)을 투여하여 췌장염을 유발한 후, 채혈을 한 다음 췌장을 절취하여 Grady의 방법에 의해 췌장 중량(wet pancreas weight)/체중(wet body weight) 계산식을 통하여 체중에 대한 췌장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룰레인을 처리한 군은 정상군에 비해 현저하게 췌장 중량/체중 비율이 증가하는 반면,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을 같이 처리한 군에서는 처리한 베타-라파촌 및 듀니온의 농도 의존적으로 췌장 중량/체중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 실험예 3> 베타- 라파촌 및 듀니온의 혈청 소화효소 활성 억제 효과 확인
췌장은 인체에서 그 어느 장기보다 왕성하게 단백질을 합성하는 장기로, 하루에 약 6-20 gm의 소화 단백을 합성하여 분비한다. 이들 소화 효소는 강력한 단백 분해능을 갖고있기 때문에 췌장샘 꽈리세포에서는 여러 가지 안전장치를 통해 췌장의 자가소화를 방지하고 있다. 췌장염은 이렇게 불활성 전구체로 정상적으로 췌장세포에서 합성, 분비되는 소화효소가 췌장 안에서 조기 활성화되어 췌장의 자가 소화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기에 혈청 아밀라아제(amylase) 및 리파아제(lipase)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동물 모델을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 및 세룰레인을 투여한 후, 혈청을 얻어 아밀라아제 활성 분석 키트(DAMY-100; BioAssay Systems, 미국)와 리파아제 활성 분석 키트(DLPS-100; BioAssay Systems, 미국)를 사용하여 595 nm와 41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혈청 내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의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밀라아제의 활성은 정상군(1168±215.0 U/L)에 비하여 세룰레인군(1700±106.4 U/L)에서 현저히 높게 측정되었고, 리파아제의 활성도 정상군에 비하여 세룰레인군에서 약 30%정도 높게 측정된 반면,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을 같이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의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 실험예 4> 베타- 라파촌 듀니온의 염증 매개 물질 발현 억제 효과 확인
<4-1> 베타- 라파촌 듀니온의 IL-1β 발현 억제 효과 확인
췌장염의 발생이 췌장샘 꽈리세포 내에서 소화효소의 자가 활성화에 따른 췌장세포의 손상으로 유발되지만 여러 가지 면역세포 등이 활성화되어 염증 반응을 야기함으로써 췌장의 손상을 확대시키며 이들 면역세포로부터 생산되는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s)들을 포함하는 체액성 인자 등이 전신적인 다장기 손상의 유발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췌장염에서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면역세포의 활성화에는 대표적으로 TNF-α, 인터루킨(interleukin)-1β(IL-1β), 인터루킨-6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췌장염에서 혈청 IL-1β, TNF-α의 농도가 증가되어 있으며, 췌장염의 중증도와 비례관계가 있음이 보고되어있고, 인터루킨 1 유전자 결손 마우스를 이용한 실험과 인터루킨 1 수용체 길항제 처치시 췌장염의 발생이 억제됨이 보고되어있어, IL-1β가 췌장염을 일으키는 주요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이에, IL-1β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동물 모델을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 및 세룰레인을 투여한 후, 혈청을 얻어 마우스 IL-1β ELISA 키트(BD, 미국)를 사용하여 혈청 중의 IL-1β 농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마우스 IL-1β의 특정 항체(specific antibody)가 코팅된 96 웰(well) 소판에 비세척액 또는 희석한 혈청을 넣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세척하였다. 이후 biotin conjugate를 넣고 다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세척시킨 후 streptavidin-HRP working 용액을 넣고 반응시켰다. 이후 다시 세척한 후 stabilized chromogen을 넣고 반응시킨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췌장 조직에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CR)으로 췌장 내 IL-1β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Total RNA를 추출하기 위해 각각의 췌장 조직 20 mg에 TRIzol(Invitrogen, 미국) 1 mL을 첨가하고 얼음 위에서 5분을 방치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클로로포름(chloroform) 200 μL을 첨가하여 14,0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취하여 새로운 튜브에 옮기고 같은 양의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첨가한 후 14,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RNA를 분리하였다. 99% 에탄올(ethanol)로 2,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세척한 후 1회 더 세척하고 공기 중에서 건조시킨 후 디에틸피로카르본산(diethylpyrocarbonate, DEPC) 물에 녹였다. Nanodrop 2000(Thermo, USA)을 이용하여 RNA를 정량하였고, 전체 RNA 2 μg을 DEPC와 함께 70 ℃에서 5분 동안 가열 시킨 후 올리고(dT)를 포함한 Reverse Transcription Premix(Invitrogen, 미국)에 넣고 최종 부피가 20 μL가 되도록 하였다. 42℃에서 55분, 70 ℃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에 사용하였다. 얻어진 cDNA로부터 IL-1β, GAPDH를 증폭시키기 위해 DEPC water로 5배 희석시킨 cDNA 2 μL를 프라이머 0.5 μL, DEPC water 7 μL, SYBR green Master Mix(Invitrogen Life Technology, USA) 10 μL와 함께 StepOne Plus Real-Time PCR system(Applied Biosystems, USA)을 이용하여 PCR을 실시하였다. 반응 조건은 50℃ 2분, 95℃ 10분에서 반응 후 95℃ 10초와 60℃ 1분을 40회 반복하여 증폭시켰다. 증폭하고자 하는 유전자들의 프라이머 염기서열은 하기 표 2와 같다.
유전자 프라이머 이름 염기 서열 방향 서열번호
IL-1β IL-1b_F TCT TTG AAG TTG ACG GAC CC 정방향 서열번호: 1
IL-1b_R TGA GTG ATA CTG CCT GCC TG 역방향 서열번호: 2
GAPDH GAPDH_F TCC CAC TCT TCC ACC TTC GA 정방향 서열번호: 3
GAPDH_R AGT TGG GAT AGG GCC TCT CTT G 역방향 서열번호: 4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군에 비하여 세룰레인군에서 현저하게 높은 혈청 IL-1β의 양이 측정된 반면,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을 같이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혈청 IL-1β의 양이 확연하게 감소하였고, IL-1β의 발현 또한 정상군에 비하여 세룰레인군에서 현저하게 높게 확인된 반면,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을 같이 처리한 군에서는 췌장 내 IL-1β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4-2> 베타- 라파촌 및 듀니온의 MCP -1 발현 억제 효과 확인
염증세포의 침윤에는 우선 염증세포의 활성화와 염증세포의 혈관으로부터 조직 안으로의 이동과 같은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며, 케모카인(chemokine)은 화학운동성(chemokinesis)와 주화성(chemotaxis)의 작용을 나타내어 염증세포가 조직 부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토카인의 일종으로 특히 췌장염에서 MCP-1이 췌장염의 발생 및 췌장염의 합병증인 폐손상의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에 MCP-1의 발현양상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동물 모델을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 및 세룰레인을 투여한 후, 각각의 췌장 조직에서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RT-PCR을 수행하여 MCP-1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증폭하고자 하는 유전자들의 프라이머 염기서열은 하기 표 3과 같다.
유전자 프라이머 이름 염기 서열 방향 서열번호
MCP-1 MCP-1_F GGT CCC TGT CAT GCT TCT GG 정방향 서열번호: 5
MCP-1_R CCT TCT TGG GGT CAG CAC AG 역방향 서열번호: 6
GAPDH GAPDH_F TCC CAC TCT TCC ACC TTC GA 정방향 서열번호: 3
GAPDH_R AGT TGG GAT AGG GCC TCT CTT G 역방향 서열번호: 4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군에 비하여 세룰레인군에서 현저하게 높은 MCP-1의 발현이 확인된 반면,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을 같이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췌장 내 MCP-1의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4).
< 실험예 5> 베타- 라파촌 듀니온의 췌장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 확인
췌장염에서는 췌장 조직의 염증, 부종, 세포괴사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에 이러한 췌장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동물 모델을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 및 세룰레인을 투여한 후, 췌장 조직을 분리하여, 10% 포르말린(formalin)에 넣어 24시간 동안 4℃에서 고정하고, 1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EDTA, pH 7.4) 용액을 이용하여 탈회하고 수세 및 탈수 등의 과정을 거친 다음 파라핀에 포매하여 5 um 두께로 절단하였다. 절단한 조직은 헤마톡실린(hematoxylin)-에오신(eosin) 염색을 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군의 췌장샘 꽈리세포들은 촘촘한 구조로 배열되어 있는 반면, 세룰레인군의 췌장샘 꽈리세포들은 부종으로 인하여 세포가 커지고 세포 간격이 확장되어 있으며, 염증세포의 침윤과 세포괴사 현상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의 처리에 의해 세룰레인군의 현상들은 정상군과 비슷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이를 그래프로 도식화한 결과,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의 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룰레인에 의한 췌장 조직의 부종, 염증, 세포괴사 현상이 모두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 실험예 6> NQO1 낙아웃 (knock out, KO) 마우스에서 베타- 라파촌에 의한 췌장 보호 효과 경로 확인
<6-1> NQO1 낙아웃 마우스에서 췌장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 확인
베타-라파촌은 NQO-1(NAD(P)H:quinone oxidoreductase-1)의 보조기질(co-substrate)로 알려져 있기에 베타-라파촌의 췌장염 보호 효과가 NQO1 효소의 활성 경로를 경유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NQO1 낙아웃 마우스에서 췌장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NQO1 낙아웃 마우스를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 및 세룰레인을 투여한 후,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룰레인에 의한 췌장샘 꽈리세포들의 부종, 염증세포의 침윤 및 세포괴사 현상은 C57/BL6 마우스와 유사한 증가를 보였지만, 베타-라파촌을 함께 처리한 군에서는 C57/BL6 마우스와는 다르게 췌장 조직의 부종, 염증, 세포괴사 현상의 감소를 확인할 수 없었다(도 6).
<6-2> NQO1 낙아웃 마우스에서 췌장염에 대한 보호 효과 경로 확인
베타-라파촌의 췌장염 보호 효과가 NQO1 효소의 활성 경로를 경유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NQO1 낙아웃 마우스에서 체중에 대한 췌장의 중량, 혈청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 활성 및 혈청 IL-1β 농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NQO1 낙아웃 마우스를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라파촌 또는 듀니온, 및 세룰레인을 투여한 후, 체중에 대한 췌장의 중량은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췌장 중량/체중 계산식을 통해 측정하였고, 혈청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 활성은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혈청 IL-1β 농도는 상기 실험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NQO1 낙아웃 마우스에서는 췌장 중량/체중 비율 및 혈청 내 아밀라아제와 리파아제의 활성이 세룰레인군과 베타-라파촌 병용군 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혈청 내 IL-1β 농도도 두 그룹간의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 실험예 7> 베타- 라파촌의 췌장염 치료 효과 확인
세룰레인에 의해 유도된 췌장염에 대한 베타-라파촌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동물 모델에 세룰레인(50 ㎍/㎏)을 1시간 간격으로 6회 복강 투여하여 췌장염을 유발한 후 세룰레인 최종 투여 6시간 뒤에 베타-라파촌을 정맥주사하고, 췌장을 절취하여 췌장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룰레인군의 췌장샘 꽈리세포들은 부종으로 인하여 세포가 커지고 세포 간격이 확장되어 있으며, 염증세포의 침윤과 세포괴사 현상이 관찰된 반면, 베타-라파촌의 처리에 의해 이러한 현상들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그래프로 도식화한 결과, 세룰레인에 의해 증가한 췌장 조직의 부종, 염증, 세포괴사 현상이 베타-라파촌의 처리에 의해 모두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
< 실험예 8> 췌장염에 의한 폐손상 보호 효과 확인
<8-1> 베타- 라파촌의 폐손상 보호 효과 확인
췌장염은 다양한 장기에 합병증(특히, 폐부전)을 유발하며 이 경우 약 20%의 사망률을 보이는 위중한 질환이다. 이에, 췌장염에 의한 폐손상이 베타-라파촌에 의해 보호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동물 모델인 C57/BL6 마우스와 NQO1 낙아웃 마우스를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라파촌 및 세룰레인을 투여한 후,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C57/BL6 마우스에서는 베타-라파촌의 병용처리시 농도 의존적으로 세룰레인에 의한 폐손상이 억제된 반면, NQO1 낙아웃 마우스의 경우에는 베타-라파촌을 함께 처리해도 폐손상이 보호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9).
<8-2> 듀니온의 폐손상 보호 효과 확인
췌장염에 의한 폐손상이 듀니온에 의해 보호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동물 모델인 C57/BL6 마우스를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듀니온 및 세룰레인을 투여한 후,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C57/BL6 마우스에서 듀니온의 병용처리시 세룰레인에 의한 폐손상이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10).
상기 결과들을 토대로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인 베타-라파촌과 듀니온은 NQO-1을 통해 다양한 염증반응을 조절하여 세룰레인에 의한 췌장염 및 췌장염 연관 폐손상을 보호하는데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110> Industry acedemic cooperation foundation Wonkwang university <120>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Pancreatitis Comprising Naphthoquinone-based Compounds <130> 2014P-12-014 <160> 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b_F <400> 1 tctttgaagt tgacggacc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b_R <400> 2 tgagtgatac tgcctgcctg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_F <400> 3 tcccactctt ccaccttcga 20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_R <400> 4 agttgggata gggcctctct tg 22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CP-1_F <400> 5 ggtccctgtc atgcttctgg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CP-1_R <400> 6 ccttcttggg gtcagcacag 20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pancreatitis)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17861915-pat00063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며;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이며; n은 0 또는 1이고, n이 0인 경우에 그것의 인접 탄소원자들은 직접결합에 의해 환형 구조를 이룬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며; n=0일 경우, R3는 수소, R4, R5 및 R6는 메틸이며; n=1일 경우, R3 및 R4는 메틸, R5, R6, R7 및 R8은 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 또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췌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112017017861915-pat00064

    [화학식 5]
    Figure 112017017861915-pat00065
    .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췌장염은 만성 췌장염 또는 급성 췌장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청 내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L-1β 또는 MCP-1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으로 기인한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췌장염으로 기인한 질환은 폐손상, 패혈증, 신부전, 늑막 삼출액, 다발성 장기 부전 및 다발성 장기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췌장염으로 기인한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17861915-pat00066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며;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이며; n은 0 또는 1이고, n이 0인 경우에 그것의 인접 탄소원자들은 직접결합에 의해 환형 구조를 이룬다.
  10. 삭제
  1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7017861915-pat00067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며;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이며; n은 0 또는 1이고, n이 0인 경우에 그것의 인접 탄소원자들은 직접결합에 의해 환형 구조를 이룬다.
  1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염으로 기인한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상기 췌장염으로 기인한 질환은 폐손상, 패혈증, 신부전, 늑막 삼출액, 다발성 장기 부전 및 다발성 장기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췌장염으로 기인한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7017861915-pat00068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며; R3, R4,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이며; n은 0 또는 1이고, n이 0인 경우에 그것의 인접 탄소원자들은 직접결합에 의해 환형 구조를 이룬다.
KR1020150054364A 2015-04-17 2015-04-17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52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64A KR101752697B1 (ko) 2015-04-17 2015-04-17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CT/KR2016/003998 WO2016167622A2 (ko) 2015-04-17 2016-04-18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201680022445.7A CN107530316B (zh) 2015-04-17 2016-04-18 用于预防和治疗胰腺炎、含基于萘醌的化合物作为有效成分的组合物
JP2018506069A JP6511191B2 (ja) 2015-04-17 2016-04-18 ナフトキノン系化合物を含む、膵炎を治療又は予防する組成物
EP16780345.1A EP3284464A4 (en) 2015-04-17 2016-04-18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ancreatitis containing naphthoquinone-based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US15/567,133 US20180098960A1 (en) 2015-04-17 2016-04-18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ancreatitis containing naphthoquinone-based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US16/782,842 US20200155500A1 (en) 2015-04-17 2020-02-05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ancreatitis containing naphthoquinone-based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364A KR101752697B1 (ko) 2015-04-17 2015-04-17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773A KR20160123773A (ko) 2016-10-26
KR101752697B1 true KR101752697B1 (ko) 2017-07-03

Family

ID=5712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364A KR101752697B1 (ko) 2015-04-17 2015-04-17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80098960A1 (ko)
EP (1) EP3284464A4 (ko)
JP (1) JP6511191B2 (ko)
KR (1) KR101752697B1 (ko)
CN (1) CN107530316B (ko)
WO (1) WO201616762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192A1 (ko) * 2018-01-18 2019-07-25 (주)나디안바이오 듀니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393676B1 (ko) * 2020-10-08 2022-05-04 주식회사 큐롬바이오사이언스 베타-라파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담즙 정체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6172994B (zh) * 2023-04-28 2023-07-04 四川大学华西医院 蒽醌衍生物在制备抗胰腺炎药物中的用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2354A1 (en) * 2004-02-23 2005-09-09 Arqule, Inc. Beta-lapachone and s-phase drug combinations for cancer treatment
US20060019907A1 (en) 2004-07-12 2006-01-26 Research Development Foundation Guggulsterone: an inhibitor of nuclear factor - kappaB and IkappaBalpha kinase activation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2689A (ja) * 1997-08-11 2001-08-28 カイロン コーポレイション T細胞を遺伝子改変するための方法
US20050192360A1 (en) * 1999-04-14 2005-09-01 Li Chiang J. Method of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JP2007523193A (ja) * 2004-02-20 2007-08-16 アークル・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膵癌の治療のためのβ−ラパコンの使用
US20050187288A1 (en) * 2004-02-20 2005-08-25 Chiang Li Beta-lapachone and methods of treating cancer
US20050192247A1 (en) * 2004-02-23 2005-09-01 Li Chiang J. Method of treating cancers
JP4881556B2 (ja) * 2004-12-27 2012-02-22 Jfe継手株式会社 差込み式管継手
JP4875298B2 (ja) * 2004-12-28 2012-02-15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トリプシン阻害剤
KR20090071829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머젠스 신장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제 조성물
WO2011035018A2 (en) * 2009-09-18 2011-03-24 Fate Therapeutics, Inc. Suicide ready cel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2354A1 (en) * 2004-02-23 2005-09-09 Arqule, Inc. Beta-lapachone and s-phase drug combinations for cancer treatment
US20060019907A1 (en) 2004-07-12 2006-01-26 Research Development Foundation Guggulsterone: an inhibitor of nuclear factor - kappaB and IkappaBalpha kinase activation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11191B2 (ja) 2019-05-15
KR20160123773A (ko) 2016-10-26
WO2016167622A3 (ko) 2016-12-08
US20200155500A1 (en) 2020-05-21
CN107530316A (zh) 2018-01-02
US20180098960A1 (en) 2018-04-12
WO2016167622A2 (ko) 2016-10-20
EP3284464A2 (en) 2018-02-21
CN107530316B (zh) 2020-08-25
JP2018516275A (ja) 2018-06-21
EP3284464A4 (en)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6141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seases involving obesity, diabetes, metabolic syndrome,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mitochondria dysfunction diseases
KR20080047957A (ko) 고혈압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제 조성물
MX2007010327A (es) Inhibidores de lipoxigenasa novedosos.
KR20080096419A (ko) 신규한 페난스렌퀴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대사증후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 조성물
KR101752697B1 (ko)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0918625B2 (en) Use of sesquiterpene derivative
KR20070026901A (ko) 오보바톨 또는 오보바탈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1395342B1 (ko) 뽕나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5916A (ko) Hesperet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신경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80130268A (ko) 괭생이모자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신경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US11219656B2 (en) Method of using composition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one diseases
CN111491645B (zh) 包含鹿角卷柏提取物、其分馏物的用于预防或治疗代谢综合症的组合物
KR102085592B1 (ko) 살비아놀릭산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030419A1 (ko) 애기땅빈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4133A (ko)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 또는 분말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10272124B2 (en) Use of helminthostachys, ugonins or flavone-based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metabolic diseases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6571B1 (ko)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200105198A (ko) 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04016A (ko) 한속단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1075818A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남극 지의류 움빌리카리아 안타티카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JPH0717856A (ja) アルドースリダクターゼ阻害剤
KR102414532B1 (ko) 이소리퀴리티제닌 유도체를 포함하는 갈색 지방 유도화 분화 조성물
KR20120047503A (ko) 세포사멸 유도 활성을 갖는 칼콘 유도체
EP3341366B1 (en) Tocotrienol derivatives,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in 5-lipoxygenase related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