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511B1 -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511B1
KR101751511B1 KR1020160038004A KR20160038004A KR101751511B1 KR 101751511 B1 KR101751511 B1 KR 101751511B1 KR 1020160038004 A KR1020160038004 A KR 1020160038004A KR 20160038004 A KR20160038004 A KR 20160038004A KR 101751511 B1 KR101751511 B1 KR 101751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tor
carrier
electric vehic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윤석
Original Assignee
홍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윤석 filed Critical 홍윤석
Priority to KR102016003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comprising more than one 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기어부와, 선기어부가 내측에 맞물려 회전되는 캐리어부와, 캐리어부가 내측에 맞물려 회전되는 링기어부와, 링기어부에 맞물려 회전되고 바퀴부와 연결되는 차동기어부와, 캐리어부와 연결되고 캐리어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발진모터부와, 선기어부와 연결되고 선기어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운전모터부를 포함하여, 구동 성능이 개선되면서 소형화 제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DRIV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모터가 적용되어 모터 자체의 크기를 줄이고, 구동 성능이 개선되는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는 배기가스의 배출이 전혀 없는 친환경 차량을 말하며, 주행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와, 인버터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켜 차량의 주행을 도모하는 주행용 모터 등이 필수적으로 탑재되어 있고, 모터의 회전동력이 감속기에 감속된 후 구동축을 통해 휠로 전달되어 전기자동차의 주행이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바퀴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모터가 사용되므로, 모터 자체 크기의 소형화를 구현하기가 어렵고, 주행 시 운전자의 페달 가압에 따른 응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42292호(2015.12.22. 공개, 발명의 명칭 :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2개의 모터를 사용하여 소형 모터 사용이 가능하고, 구동 성능이 개선되는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는: 선기어부; 상기 선기어부가 내측에 맞물려 회전되는 캐리어부; 상기 캐리어부가 내측에 맞물려 회전되는 링기어부; 상기 링기어부에 맞물려 회전되고, 바퀴부와 연결되는 차동기어부; 상기 캐리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발진모터부; 및 상기 선기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선기어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운전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진모터부와 상기 캐리어부는 웜기어 또는 랙앤피니언기어 방식으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모터부는 비엘디씨 모터를 사용하고, 회전자가 상기 선기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모터부는 4상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모터부는 이중 코일형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는: 상기 선기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선기어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는 발진모터부와 운전모터부를 적절하게 구동시켜 자동차에 동력을 제공하므로, 소형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는 발진모터부와 캐리어부가 웜기어 또는 랙앤피니언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므로, 캐리어부의 외측에서 동력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는 운전모터부로 4상 모터가 채택되어, 구동력이 증대되고 고속 회전시 반력의 영향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는 운전모터부로 이중 코일형 모터가 채택되어, 회전력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는 제동부가 발진 초기에 선기어부 자체 회전을 제한하므로, 발진모터부의 구동력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에서 4상 모터인 운전모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에서 이중 코일형 모터인 운전모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제동부가 추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에서 차속에 따른 출력 회전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1)는 선기어부(10)와, 캐리어부(20)와, 링기어부(30)와, 차동기어부(40)와, 발진모터부(50)와, 운전모터부(60)를 포함한다.
선기어부(10)와, 캐리어부(20)와, 링기어부(30)는 하나의 유성기어세트를 이룬다. 선기어부(10)는 캐리어부(20)의 내측에 맞물려 회전되고, 캐리어부(20)는 링기어부(30)의 내측에 맞물려 회전된다. 일 예로, 캐리어부(20)는 캐리어몸체부(21)와, 캐리어기어부(22)와, 캐리어연장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몸체부(21)에는 복수개의 캐리어기어부(2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캐리어기어부(22)는 선기어부(10)와 링기어부(30) 사이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캐리어연장부(23)는 캐리어몸체부(21)의 단부에서 링기어부(3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발진모터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차동기어부(40)는 링기어부(30)에 맞물려 회전되고, 바퀴부(100)와 연결된다. 일 예로, 캐리어부(20)를 감싸는 링기어부(30)는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면 혹은 내면에 차동기어부(40)가 연결될 수 있다. 차동기어부(40)의 양측으로 구동축(41)이 각각 연결되고, 구동축(41)은 바퀴부(1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축(41)은 선기어부(10)를 관통할 수 있다.
발진모터부(50)는 캐리어부(20)와 맞물리고, 캐리어부(20)에 동력을 제공한다. 운전모터부(60)는 선기어부(10)와 연결되고, 선기어부(10)에 동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1)는 발진모터부(50)와 운전모터부(60)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되어 링기어부(30)에 동력이 전달된 후, 차동기어부(40)를 통해 바퀴부(100)가 구동될 수 있다.
발진모터부(50)와 캐리어부(20)는 웜기어 또는 랙앤피니언기어 방식으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일 예로, 캐리어몸체부(21)는 링기어부(30)의 내측에 배치되고, 캐리어몸체부(21)에서 연장되는 캐리어연장부(23)는 링기어부(3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발진모터부(50)는 유성기어세트의 외측에서 캐리어연장부(23)와 연결되되, 웜기어 또는 랙앤피니언기어 방식으로 맞물려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운전모터부(60)는 권선이 감기어 자장을 이루는 고정자(61)와, 영구자석을 주위의 자장에 노출하여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자(62)를 포함하고, 회전자(62)가 선기어부(10)에 연결되어 선기어부(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자(62)는 선기어부(10)의 외측면에 장착되거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캐리어부(20)의 내부에 선기어부(10)가 연결되고, 캐리어부(20)의 외부에 링기어부(30)가 연결될 때, 선기어부(10)는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운전모터부(60)와 연결되고, 링기어부(30)는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면이 차동기어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운전모터부(60)는 비엘디씨 모터(Brushless Direct Cuttent Motor)를 사용하고, 회전자(62)가 선기어부(10)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비엘디씨 모터는 장수명과 저소음의 AC모터와, 소형이며 고출력인 DC모터의 장점을 결합하여 만든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에서 4상 모터인 운전모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운전모터부(60)는 4상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4상 모터는 기존 좌우 2극을 3극으로 분할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권선 입력 선로가 기존 3선에서 4선으로 변경됨에 따라 전선의 굵기를 가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간을 4등분하여 모터를 설계하므로, 동력의 단절이 적고, 구동력의 증대가 가능하며, 인접한 동일 위상끼리의 거리차가 멀어져 고속 회전시 반력의 영향이 적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에서 이중 코일형 모터인 운전모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운전모터부(60)는 이중 코일형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영구자석의 내측과 외측에 코일을 부설하여, 회전자(62)의 내외측에 고정자(61)의 자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자(62)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고정자(61)의 전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자(62)는 회전력이 증대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 제동부가 추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1)는 제동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동부(70)는 선기어부(10)와 연결되어 선기어부(10)에 제동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제동부(70)가 선기어부(10)의 회전을 제한한 상태에서 발진모터부(50)가 구동되면, 선기어부(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캐리어부(20)만 회전되면서 링기어부(30) 및 차동기어부(40)에 순차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선기어부(10)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발진모터부(50)의 구동력 손실이 최소화되어 자동차의 발진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에서 차속에 따른 출력 회전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발진 초기에는 구동 토오크가 큰 발진모터부(50)가 구동을 주도적으로 담당하고, 운전모터부(60)는 보조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적정 속도에 도달하면, 운전모터부(60)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 자동차가 발진을 하고자 하는 경우, 제동부(70)가 선기어부(10)와 연결되어 선기어부(10)에 제동력을 제공하고, 발진모터부(50)가 구동된다. 발진모터부(50)가 구동되면 선기어부(10)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캐리어부(20)를 통해 동력이 링기어부(30)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제동부(70)는 발진시 발진모터부(50)의 동력 손실이 최소화된다.
링기어부(30)가 회전되면, 링기어부(30)의 내측에 맞물린 차동기어부(40)가 회전되고, 차동기어부(40)가 회전되면 구동축(41)이 바퀴부(100)에 동력을 전달하여 자동차가 주행을 시작한다.
자동차가 설계된 속도에 도달하면, 제동부(70)의 제동이 해제되면서 발진모터부(50)의 구동이 중지되며, 운전모터부(60)의 구동만으로 자동차의 주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1)는 발진모터부(50)와 운전모터부(60)를 적절하게 구동시켜 자동차에 동력을 제공하므로, 소형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1)는 발진모터부(50)와 캐리어부(20)가 웜기어 또는 랙앤피니언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므로, 캐리어부(20)의 외측에서 동력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1)는 운전모터부(60)로 4상 모터가 채택되어, 구동력이 증대되고 고속 회전시 반력의 영향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1)는 운전모터부(60)로 이중 코일형 모터가 채택되어, 회전력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1)는 제동부(70)가 발진 초기에 선기어부(10) 자체 회전을 제한하므로, 발진모터부(50)의 구동력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선기어부 20 : 캐리어부
21 : 캐리어몸체부 22 : 캐리어기어부
23 : 캐리어연장부 30 : 링기어부
40 : 차동기어부 41 : 구동축
50 : 발진모터부 60 : 운전모터부
70 : 제동부

Claims (6)

  1. 선기어부;
    상기 선기어부가 내측에 맞물려 회전되는 캐리어부;
    상기 캐리어부가 내측에 맞물려 회전되는 링기어부;
    상기 링기어부에 맞물려 회전되고, 바퀴부와 연결되는 차동기어부;
    상기 캐리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캐리어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발진모터부; 및
    상기 선기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선기어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운전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모터부와 상기 캐리어부는 웜기어 또는 랙앤피니언기어 방식으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터부는 비엘디씨 모터를 사용하고, 회전자가 상기 선기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터부는 4상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터부는 이중 코일형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기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선기어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KR1020160038004A 2016-03-29 2016-03-29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KR101751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04A KR101751511B1 (ko) 2016-03-29 2016-03-29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04A KR101751511B1 (ko) 2016-03-29 2016-03-29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511B1 true KR101751511B1 (ko) 2017-06-27

Family

ID=5951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004A KR101751511B1 (ko) 2016-03-29 2016-03-29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982A (ko) * 2019-11-01 2021-05-1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회생제동 액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772B1 (ko) 1998-09-08 2002-02-28 오천도 2개의추진모우터를이용하는전기자동차용무단자동변속장치
JP2010023809A (ja) 2008-07-24 2010-02-04 Denso Corp 車両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
JP2015516547A (ja) 2012-03-12 2015-06-11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トルク伝達装置用の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772B1 (ko) 1998-09-08 2002-02-28 오천도 2개의추진모우터를이용하는전기자동차용무단자동변속장치
JP2010023809A (ja) 2008-07-24 2010-02-04 Denso Corp 車両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
JP2015516547A (ja) 2012-03-12 2015-06-11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トルク伝達装置用の操作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982A (ko) * 2019-11-01 2021-05-1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회생제동 액슬
KR102373497B1 (ko) * 2019-11-01 2022-03-1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회생제동 액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0653B1 (en) Rotational power converter for hybrid electric vehicle
JP4818368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10519886A (ja) 入れ子状可変界磁発電電動機械
EP1717086B2 (en) Driveline motor with planetary gear system
JP5630500B2 (ja) 走行用モータの制御装置
US20170057373A1 (en) Electric machine for hybrid powertrain with dual voltage power system
JP2013121836A (ja) 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の動力構造
JP6738894B2 (ja) マルチローター永久磁石同期モーター
CN206237248U (zh) 一种永磁同步式电动车轮毂
JP2011205831A (ja) 車両の制御装置
JPWO2010058478A1 (ja) ブリーザ装置および駆動装置
KR101751511B1 (ko)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JP2011050206A (ja) 電動駆動装置
JP4329511B2 (ja) 同期モ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ユニット
US10843576B2 (en) Electric vehicle
KR101632177B1 (ko) 자동차의 구동 장치
KR101736412B1 (ko)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US20160126789A1 (en) Permanent magnet motor
JP201803814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091968B1 (ko) 동기 모터 회전자와 유도 모터 회전자를 단일 고정자 코어에 삽입한 이중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운송수단의 구동 시스템
JP2017085791A (ja) 駆動装置
JP2019149905A (ja) 車両用駆動装置
WO2014016728A4 (en) Induction motor-permanent magnet generator tandem configuration starter-generator for hybrid vehicles
JP4110278B2 (ja) 車両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8032044A (ja) 駆動装置および電動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