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827B1 - 통신 시스템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827B1
KR101750827B1 KR1020110018457A KR20110018457A KR101750827B1 KR 101750827 B1 KR101750827 B1 KR 101750827B1 KR 1020110018457 A KR1020110018457 A KR 1020110018457A KR 20110018457 A KR20110018457 A KR 20110018457A KR 101750827 B1 KR101750827 B1 KR 101750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termina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9928A (ko
Inventor
정진국
염선희
박미화
심현식
박수홍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827B1/ko
Priority to JP2013556541A priority patent/JP6066491B2/ja
Priority to AU2012223882A priority patent/AU2012223882B2/en
Priority to EP12752480.9A priority patent/EP2681934B1/en
Priority to PCT/KR2012/001390 priority patent/WO2012118299A2/en
Priority to CN2012800112260A priority patent/CN103404178A/zh
Priority to US13/411,384 priority patent/US9736208B2/en
Publication of KR20120099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04W4/185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by embedding added-value information into content, e.g. geo-tag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송신 단말의 미디어 공유 방법은, 관계를 맺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미디어를 상기 미디어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수신 단말의 미디어 공유 방법은, 관계를 맺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이 등록한 미디어들 중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기존의 웹 사이트 위주의 공유에서 벗어나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가 활동하는 모든 지역에서 생활과 연결되는 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MEDIA BASED ON SOCIAL NETWORK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란 "인터넷에서 개인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자신에게서부터 수평적으로 뻗어나가는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나"를 기준으로 나와 관심을 가지는 사람을 추가하는 네트워크로써 기존 커뮤니티와는 다른 성향을 갖고 있다. 상기 소셜 네트워크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에게 개인의 가치 평가와 인맥이 삶에 매우 큰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으며, 개개인의 인맥 형성을 위한 도구로 매우 유용하기 때문에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 간에 형성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단순히 메시지를 주고 받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어,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 욕구를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를 생성하여, 관계를 맺은 단말들 간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미디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의 위치 정보 및 센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추가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디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를 소정 기준에 따라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분할된 세그먼트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센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추가하여, 상기 메타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디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송신 단말의 미디어 공유 방법은, 관계를 맺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미디어를 상기 미디어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단말의 미디어 공유 방법은, 관계를 맺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이 등록한 미디어들 중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단말 간의 미디어 공유를 위한 미디어 서버의 방법은, 각 단말로부터 관계를 맺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각 단말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과정과, 각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과정과, 특정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단말의 소셜 네트워크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이 등록한 미디어들 중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검색하는 과정과, 검색된 미디어를 상기 특정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위치 정보 및 센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미디어를 생성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디어를 상기 단말과 관계를 맺은 다른 단말들과 공유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다른 사용자의 경험을 담은 미디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선물을 받은 것과 같은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의 웹 사이트 위주의 공유에서 벗어나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가 활동하는 모든 지역에서 생활과 연결되는 미디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미디어를 공유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서버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미디어 공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서버의 미디어 공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파일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도 7에 나타낸 미디어 정보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통신시스템에서 도 7에 나타낸 컨텐츠 정보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통신시스템에서 도 7에 나타낸 컨텐츠 정보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를 생성하여 미디어 서버에 등록한 후, 관계를 맺은 단말들 간에 미디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미디어를 공유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1(100)은 120단계에서 지인들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용자 관계 정보를 SN(Social Network) 기반의 미디어 서버(11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관계 정보는 상기 단말 1(100)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사용자들의 전화번호와 각 사용자들에 대한 관계(예:친구, 가족, 동료, 기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 1(100)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관계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정보만을 포함하는 사용자 관계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1(100)은 가족 및 친구들에 한해서 미디어를 공유하고 싶을 경우, 상기 가족 및 친구들의 전화번호 및 관계 정보만을 상기 미디어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단말 1(100)의 사용자가 단말 2(102)의 사용자와 지인 관계이며, 이에 따라 상기 단말 1(100)이 단말 2(102)의 전화번호 및 관계를 상기 미디어 서버(110)로 전송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후, 상기 단말 1(100)은 122단계에서 다른 단말과 공유하고자 하는 미디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디어를 상기 미디어 서버(11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미디어는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및 텍스트와 같은 다양한 미디어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리치 미디어(Rich Media)일 수 있으며,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및 센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 1(100)은 리치 미디어를 생성하기 위해, HTML5(Hyper Text Markup Language 5)와 같은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혹은 MP4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 1(100)은 상기 HTML5를 이용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와 상기 미디어에 대한 위치 및 센서 정보를 각각 입력받은 후, HTML5를 통해 레이아웃을 생성하여 하나의 리치 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MP4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를 포함하는 MP4 파일을 생성하고, MP4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에 대한 위치 및 센서 정보와 같은 부가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SN 기반의 미디어 서버(110)는 상기 120단계에서 상기 단말 1(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 1(100)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형성된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상기 SN 기반의 미디어 서버(110)는 122단계에서 상기 단말 1(100)로부터 미디어가 수신될 시, 상기 단말 1(100)의 미디어를 등록 및 저장한다.
한편, 단말 2(102)는 사용자의 요청 혹은 미디어 공유를 위한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App)의 구동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11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미디어 공유를 요청한다. 즉, 상기 단말 2(102)는 미디어 공유를 위한 앱(App)이 구동되면, 123단계 및 126단계와 같이, 이동(124단계)으로 인해 위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혹은 소정 주기 마다 자신의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1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SN 기반의 미디어 서버(110)는 상기 단말 2(102)의 소셜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단말들이 등록한 미디어들 중에서 상기 단말 2(102)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가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단말 2(102)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가 존재할 시 해당 미디어를 상기 단말 2(102)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2(102)의 소셜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단말은 상기 단말 2(102)와 지인 관계에 있는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단말 1(100)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미디어 서버(110)는 단말 1(100)이 등록한 미디어 중에서 상기 단말 2(102)의 위치에 대응하는 미디어가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미디어가 존재할 시 해당 미디어를 상기 단말 2(102)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서버(110)는 상기 단말 1(100)이 등록한 미디어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 2(102)의 위치 정보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두 위치 정보가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 해당 미디어를 상기 단말 2(102)의 위치에 대응하는 미디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 2(102)가 126단계와 같이 A 지역에서 위치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110)로 전송한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110)는 상기 단말 1(100)이 상기 A 지역에서 등록한 미디어를 검색하여 128단계를 통해 상기 단말 2(102)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제어부(200), 송수신부(210), 입력부(220), 표시부(230), 저장부(240), 위치정보 수집부(250), 센서(260) 및 카메라(2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0)는 SN(Social Network) 관리부(202), 미디어 생성부(204) 및 미디어 공유부(2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라 SN 관리부(202), 미디어 생성부(204) 및 미디어 공유부(206)를 포함함으로써, 관계를 맺은 다른 단말들과 미디어를 공유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상기 SN 관리부(202)를 통해 미디어 공유를 위한 소설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즉, 상기 SN 관리부(202)는 지인들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용자 관계 정보를 수집하여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관계 정보는 상기 단말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사용자들의 전화번호와 각 사용자들에 대한 관계(예: 친구, 가족, 동료, 기타 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N 관리부(202)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관계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정보만을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N 관리부(202)는 가족 및 친구들에 한해서 미디어를 공유하고 싶을 경우, 상기 가족 및 친구들의 전화번호 및 관계 정보만을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N 관리부(202)는 상기 단말의 전화번호부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관계 정보를 재수집하여 미디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N 관리부(202) 새로운 전화번호 등록, 기 등록된 전화번호 삭제 혹은 기 등록된 전화번호 변경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반영한 사용자 관계 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생성부(204)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다른 단말과 공유하고자 하는 미디어를 생성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미디어 생성부(204)는 미디어 생성 시, 사용자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미디어에 추가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즉, 상기 미디어 생성부(204)는 상기 위치 정보 수집부(250)를 제어하여 상기 미디어 생성 시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추가로 상기 센서(260)를 제어하여 각종 센서를 통해 감지 가능한 환경 정보를 수집한 후, 수집된 정보들을 상기 미디어에 추가한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는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및 텍스트 등과 같은 미디어의 집합으로 구성된 리치 미디어(Rich Media)일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생성부(204)는 HTML5(Hyper Text Markup Language 5)와 같은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혹은 MP4 기반의 리치 미디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HTML5 기반의 리치 미디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생성부(204)는 각종 오디오, 비디오 및 텍스트와 같은 미디어와 위치 정보 및 각종 센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후, 상기 HTML5를 통해 레이아웃(layout)을 생성함으로써, 하나의 리치 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P4 기반의 리치 미디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생성부(204)는 상기 각종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MP4 파일을 생성하고, MP4 파일의 메타데이터 컨테이너에 위치 정보와 각종 센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하나의 리치 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P4 기반의 리치 미디어 파일은 도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MP4 파일은 해당 파일을 재생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moov 컨테이너(600), 비디오, 오디오 및 이미지 프레임들과 같은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mdat 컨테이너(610)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meta 컨테이너(6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meta 컨테이너(620)는 하기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생성부(204)는 미디어를 생성하는 중에 위치 및 환경 정보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생성되는 미디어를 소정 기준에 따라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분할된 세그먼트 각각에 대해 위치 정보와 환경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공유부(206)는 관계를 맺은 다른 단말들과 미디어를 공유하기 위해 상기 미디어 생성부(204)에서 생성한 미디어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하며, 사용자로부터 미디어 공유가 요청되거나 미디어 공유 앱(App)이 실행될 시,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제공해줄 것을 상기 미디어 서버에 요청한다. 이때, 상기 미디어 공유부(206)는 사용자로부터 미디어 공유가 요청될 경우에는 해당 시점에만 상기 미디어 서버로 미디어 제공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미디어 공유 앱이 실행될 경우에는 소정 주기마다 혹은 위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미디어 서버로 미디어 제공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미디어 공유부(206)의 미디어 제공 요청 시점은 설계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공유부(206)는 미디어 제공을 위해 현재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예: 전화번호)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공유부(206)는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미디어가 수신될 시, 미디어가 수신됨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수신된 미디어를 재생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상기 송수신부(21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며, 특히 미디어 서버(210)와 미디어 공유를 위한 신호를 송수신처리한다.
상기 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키와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 혹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230)는 상기 단말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각종 상태 정보, 숫자, 문자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미디어가 수신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미디어 재생 시 발생되는 각종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저장부(240)는 상기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며, 사용자와 관계를 맺은 지인들의 전화번호 및 관계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40)는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미디어를 저장하며,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된 미디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수집부(25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즉, 상기 위치 정보 수집부(250)는 미디어를 생성하는 동안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 수집부(250)는 GPS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는, 위도, 경도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 도시, 국가명 등과 같은 해당 위치의 지역 명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센서(26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감지 가능한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260)는 각종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방향, 가속도, 밝기, 자기장 및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260)는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270)는 영상 촬영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부(27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미디어 생성을 위해 촬영을 수행하여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27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촬영을 위한 줌(Zoom) 단계를 조절하며, 조절된 줌 단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서버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는 제어부(300), 송수신부(310) 및 저장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0)는 SN 형성부(302)와 미디어 공유부(3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하며, 특히 상기 SN 형성부(302)와 미디어 공유부(304)를 포함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한 단말 간의 미디어 공유를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즉, 상기 SN 형성부(302)는 단말로부터 사용자 관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과 관계를 맺은 단말들을 하나의 소셜 네트워크로 형성하고, 형성된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320)에 저장한다.
상기 미디어 공유부(304)는 단말로부터 미디어가 수신될 시, 해당 미디어를 해당 단말에 대한 미디어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공유부(304)는 특정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 제공이 요청될 시, 상기 특정 단말의 소셜 네트워크에 속한 다른 단말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다른 단말들이 등록한 미디어들 중에서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미디어 공유부(304)는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가 존재할 시 해당 미디어를 상기 특정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하고,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을 시, 해당 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공유부(304)는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특정 단말의 소셜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단말이 등록한 미디어의 위치 정보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두 위치 정보가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 해당 미디어를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에 대응하는 미디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31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며, 특히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한 단말들 간의 미디어 공유를 위한 신호를 송수신처리한다.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서버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320)에 포함된 SN 저장부(322)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각 단말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정보, 즉, 각 단말과 관계를 맺은 지인들의 전화번호 및 관계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320)에 포함된 미디어 저장부(324)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각 단말로부터 수신된 미디어를 각 단말의 식별 정보(예: 전화번호)와 매핑하여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미디어 공유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401단계에서 소셜 네트워크 동록 혹은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즉, 상기 단말은 미디어 공유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않은 초기의 경우, 혹은 전화번호부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소셜 네트워크 등록 혹은 갱신이 필요함을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소셜 네트워크 등록 혹은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하기 407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소셜 네트워크 등록 혹은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시 단말은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에 저장된 사용자 관계 정보를 수집하고,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집된 사용자 관계 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관계 정보는 상기 단말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사용자들의 전화번호와 각 사용자들에 대한 관계(예: 친구, 가족, 동료, 기타 등)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사용자 관계 정보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관계에 대응하는 사용자들의 정보만을 포함하거나, 전화번호부의 정보가 변경된 사용자들의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가족 및 친구들에 한해서 미디어를 공유하고 싶을 경우, 상기 가족 및 친구들의 전화번호 및 관계 정보만을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새로운 전화번호 등록, 기 등록된 전화번호 삭제 혹은 기 등록된 전화번호 변경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반영한 사용자 관계 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407단계에서 미디어 생성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생성 이벤트는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의 직접 생성을 통한 미디어 생성 이벤트일 수도 있으며, 단말이 이미 저장된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선택을 통한 미디어 생성 이벤트일 수도 있다. 만일, 상기 미디어 생성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하기 413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미디어 생성 이벤트가 발생될 시, 사익 단말은 409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정보와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치 미디어를 생성하고, 411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리치 미디어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와 센서 정보는 해당 미디어 생성 시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와 각종 환경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위도, 경도, 도시, 국가명, 방향, 가속도, 밝기, 자기장, 줌 단계, 기상 정보 등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리치 미디어는 HTML5(Hyper Text Markup Language 5)와 같은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혹은 MP4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MP4 기반의 리치 미디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각종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MP4 파일을 생성하고, MP4 파일의 메타데이터 컨테이너에 위치 정보와 각종 센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P4 기반의 리치 미디어 파일은 도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413단계로 진행하여 미디어 공유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즉, 상기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미디어 공유가 요청되거나 미디어 공유를 위한 앱(App)이 실행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미디어 공유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4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미디어 공유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단말은 415단계에서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상기 미디어 공유 앱이 실행될 경우, 소정 주기마다 혹은 위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미디어 서버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예: 전화번호)를 함께 전송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17단계에서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리치 미디어를 수신하고, 419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리치 미디어를 재생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물론, 상기 미디어 서버에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리치 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설정에 따라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미디어가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고, 알리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서버의 미디어 공유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미디어 서버는 501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사용자 관계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단말로부터 사용자 관계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미디어 서버는 하기 507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관계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미디어 서버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단말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해당 단말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정보가 존재할 시, 수신된 사용자 관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의 소셜 네트워크를 갱신하고, 상기 해당 단말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수신된 사용자 관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그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상기 미디어 서버는 507단계에서 단말로부터 미디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미디어가 수신되지 않을 시, 하기 511단계로 바로 진행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미디어가 수신될 시, 하기 50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단말의 미디어를 등록 및 저장한다. 이때,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단말의 전화번호에 상기 미디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미디어 서버는 511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5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미디어 서버는 513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소셜 네트워크에 속한 단말들이 등록한 미디어들을 검색하고, 515단계로 진행하여 검색된 미디어들 중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가 존재할 시, 상기 미디어 서버는 5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해당 단말로 전송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미디어 서버는 521단계에서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미디어가 없음을 상기 단말로 알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파일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meta 컨테이너(620)는 스펙 버전(SpecVersion)(700), 미디어 정보(MediaInfo)(710) 및 컨텐츠 정보(ContentsInformation)(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펙 버전(700)은 해당 미디어 파일이 지원하는 MP4 스펙의 버전을 나타내며, 미디어 정보(710)는 미디어 파일의 부가 정보들을 대표하는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컨텐츠 정보(720)는 상기 미디어 파일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에 대한 부가 정보를 나타낸다. 여기서, 실선으로 표시된 정보는 상위 노드에 대하여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정보이며, 점선으로 표시된 정보는 상위 노드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정보를 나타낸다. 즉, 상기 미디어 정보(710)는 상기 미디어 파일을 대표하는 부가 정보를 나타내므로 상기 meta 컨테이너(620)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반면, 상기 컨텐츠 정보(720)는 상기 미디어 파일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므로 상기 meta 컨테이너(620)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상기 미디어 파일을 구성하는 세그먼트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면, 여기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meta 컨테이너(620)에 포함된 미디어 정보(710)와 컨텐츠 정보(72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8은 상기 미디어 정보(710)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디어 정보(710)는 상기 미디어 파일을 생성한 단말에 대한 정보(CreationDevice),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키워드(Keyword),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한 설명(Description), 상기 미디어 파일을 구성하는 언어(Language), 상기 미디어 파일 생성 시의 위치 정보(Location)(810), 상기 미디어 파일 생성 시에 감지된 센서 정보(Sensor)(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미디어 정보(710)에 포함된 위치 정보(810)와 센서 정보(820)는 상기 미디어 파일이 생성된 대표 위치 정보와 생성 시의 대표 환경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에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중에 이동으로 인해 위치 정보가 변경될 수도 있고, 상기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중에 주변 환경 정보가 변경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위치 정보(810)와 센서 정보(820)는 이들을 대표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정보(810)와 센서 정보(820)는 하기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각 세그먼트의 위치 정보와 센서 정보를 대표하는 값이 될 것이다. 물론, 상기 다양한 장소 및 다양한 환경을 대표하는 값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 정보(810)는 위도와 경도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 도시 및 국가명 등과 같은 해당 위치의 지역 명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정보(820)는 방향(Orientation), 가속도(Accelerometer), 밝기(Light), 자기장(MagneticField), 줌 단계(ZoomInfo), 기상(Weather)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상 정보는 온도(Temperature), 습도(Humidity), 날씨(Cond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컨텐츠 정보(710)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컨텐츠 정보(710)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세그먼트에 대한 프로파일(Profile)(722), 위치(Location)(724) 및 센서(Sensor)(726)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파일(722)은 해당 세그먼트에 포함된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위치(724) 및 센서(726) 정보는 각 세그먼트가 생성된 위치 및 환경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9 및 도 10과 같은 구조로 구성된다.
도 9는 상기 컨텐츠 정보(710)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724)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며, 도 10은 상기 컨텐츠 정보(710)에 포함되는 센서 정보(726)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 정보(710)에 포함되는 위치(724) 정보는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나의 세그먼트에 대한 위치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미디어 파일을 구성하는 모든 세그먼트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각 세그먼트에 대한 위치 정보는 해당 세그먼트에 대한 대표 프레임(keyFrame), 미디어 위치(MediaPosition), 해당 세그먼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지역 정보(AreaInfo)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역 정보는 위도, 경도, 도시 및 국가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 정보(710)에 포함되는 센서(726) 정보는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한 센서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나의 세그먼트에 대한 센서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미디어 파일을 구성하는 모든 세그먼트 각각에 대한 센서 정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각 세그먼트에 대한 센서 정보는 해당 세그먼트에 대한 대표 프레임, 미디어 위치(MediaPosition), 해당 세그먼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및 센서 정보(SensorInfo)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방향(Orientation), 가속도(Accelerometer), 밝기(Light), 자기장(MagneticField), 줌 단계(ZoomInfo), 기상(Weathe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에서 미디어 파일의 meta 컨테이너(620)를 통해 해당 미디어 파일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및 센서 정보를 나타내고, 이를 이용하여 지인과 미디어를 공유함으로써, 단순한 미디어 공유에서 벗어나 사용자 간의 경험을 공유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여행지에서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고, 이때 위치 정보와 센서를 통해 획득한 환경 정보와 상기 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리치 미디어를 생성한 후, 이를 서버에 등록하면, 상기 사용자 A의 지인이 상기 여행지에 도착했을 때 자동으로 상기 사용자 A가 등록한 리치 미디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A가 촬영한 사진 및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진 및 동영상 촬영 당시의 상황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 A가 특정 장소에서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에 사진 촬영 당시의 날씨, 사진 촬영 조건(예: 줌 정보) 등을 포함시켜 리치 미디어를 생성한 후, 이를 서버에 등록하면, 이후 상기 사용자 A의 지인인 사용자 B가 상기 특정 장소에 도착했을 때 자동으로 상기 사용자 A가 등록한 리치 미디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B는 사용자 A가 촬영한 사진과 상기 사진을 어떤 조건에서 촬영했는지 알 수 있어, 사진 촬영을 위한 참고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제어부 210: 송수신부
220: 입력부 230: 표시부
240: 저장부 250: 위치정보 수집부
260: 센서

Claims (30)

  1.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송신 단말의 미디어 공유 방법에 있어서,
    관계를 맺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복수의 세그먼트로 형성되며, 미디어를 생성할 때의 상기 송신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센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각각에 대하여 부가하여 미디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미디어를 상기 미디어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치 미디어(Rich Medi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및 MP4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MP4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는 MP4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센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해당 미디어가 지원하는 MP4 스펙의 버전, 해당 미디어의 부가 정보들을 대표하는 정보 및 해당 미디어를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에 대한 부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미디어의 부가 정보들을 대표하는 정보는, 상기 미디어를 생성한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미디어에 대한 키워드, 상기 미디어에 대한 설명, 상기 미디어를 구성하는 언어, 상기 미디어 생성 시의 위치 정보, 상기 미디어 생성 시의 환경을 나타내는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미디어를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에 대한 부가 정보는, 각 세그먼트에 대한 프로파일, 각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각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환경을 나타내는 센서 정보, 각 세그먼트에 대한 대표 프레임, 해당 미디어에서 각 세그먼트의 위치 및 각 세그먼트에 대한 설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단말의 미디어 공유 방법에 있어서,
    관계를 맺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이 등록한 미디어들 중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이 등록한 미디어들은 복수의 세그먼트로 형성되고, 상기 등록된 미디어들이 생성될 때의 위치 정보 및 센서 정보가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각각에 대하여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치 미디어(Rich Medi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및 MP4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가 MP4를 이용하여 생성된 경우, 상기 미디어는 MP4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센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단말 간의 미디어 공유를 위한 미디어 서버의 방법에 있어서,
    각 단말로부터 관계를 맺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각 단말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과정과,
    각 단말로부터 복수의 세그먼트로 형성되며 미디어가 생성될 때의 위치 정보및 센서 정보가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각각에 대하여 부가된 미디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과정과,
    특정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단말의 소셜 네트워크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이 등록한 미디어들 중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미디어를 상기 특정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치 미디어(Rich Medi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및 MP4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가 MP4를 이용하여 생성된 경우, 상기 미디어는 MP4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센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송신 단말의 미디어 공유 장치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관계를 맺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고, 복수의 세그먼트로 형성되며 미디어를 생성할 때의 상기 송신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센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각각에 대하여 부가하여 미디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미디어를 상기 미디어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치 미디어(Rich Medi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및 MP4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MP4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는 MP4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센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해당 미디어가 지원하는 MP4 스펙의 버전, 해당 미디어의 부가 정보들을 대표하는 정보 및 해당 미디어를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에 대한 부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미디어의 부가 정보들을 대표하는 정보는, 상기 미디어를 생성한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미디어에 대한 키워드, 상기 미디어에 대한 설명, 상기 미디어를 구성하는 언어, 상기 미디어 생성 시의 위치 정보, 상기 미디어 생성 시의 환경을 나타내는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미디어를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에 대한 부가 정보는, 각 세그먼트에 대한 프로파일, 각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각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환경을 나타내는 센서 정보, 각 세그먼트에 대한 대표 프레임, 해당 미디어에서 각 세그먼트의 위치 및 각 세그먼트에 대한 설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수신 단말의 미디어 공유 장치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관계를 맺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이 등록한 미디어들 중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이 등록한 미디어들은 복수의 세그먼트로 형성되고, 상기 등록된 미디어들이 생성될 때의 위치 정보 및 센서 정보가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각각에 대하여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치 미디어(Rich Medi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및 MP4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가 MP4를 이용하여 생성된 경우, 상기 미디어는 MP4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센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단말 간의 미디어 공유를 위한 미디어 서버의 장치에 있어서,
    각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각 단말로부터 관계를 맺은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각 단말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각 단말로부터 복수의 세그먼트로 형성되며 미디어가 생성될 때의 위치 정보 및 센서 정보가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각각에 대하여 부가된 미디어를 수신하여 등록하며, 특정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특정 단말의 소셜 네트워크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 단말이 등록한 미디어들 중에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미디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미디어를 상기 특정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치 미디어(Rich Medi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및 MP4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가 MP4를 이용하여 생성된 경우, 상기 미디어는 MP4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센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10018457A 2011-03-02 2011-03-02 통신 시스템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750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457A KR101750827B1 (ko) 2011-03-02 2011-03-02 통신 시스템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
JP2013556541A JP6066491B2 (ja) 2011-03-02 2012-02-23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ベースのメディア共有方法及び装置
AU2012223882A AU2012223882B2 (en) 2011-03-02 2012-02-23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media based on social network in communication system
EP12752480.9A EP2681934B1 (en) 2011-03-02 2012-02-23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media based on social network in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2/001390 WO2012118299A2 (en) 2011-03-02 2012-02-23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media based on social network in communication system
CN2012800112260A CN103404178A (zh) 2011-03-02 2012-02-23 在通信系统中基于社交网络共享媒体的方法和设备
US13/411,384 US9736208B2 (en) 2011-03-02 2012-03-02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media based on social network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457A KR101750827B1 (ko) 2011-03-02 2011-03-02 통신 시스템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928A KR20120099928A (ko) 2012-09-12
KR101750827B1 true KR101750827B1 (ko) 2017-06-27

Family

ID=4675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457A KR101750827B1 (ko) 2011-03-02 2011-03-02 통신 시스템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36208B2 (ko)
EP (1) EP2681934B1 (ko)
JP (1) JP6066491B2 (ko)
KR (1) KR101750827B1 (ko)
CN (1) CN103404178A (ko)
AU (1) AU2012223882B2 (ko)
WO (1) WO20121182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24577D0 (en) * 2006-12-08 2007-01-17 Skype Ltd Communication Systems
RU2605366C2 (ru) * 2012-04-26 2016-12-20 Нек Корпорейшн Система доставки информации, шлюз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авкой и компьютер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сохраняющий программу
US9171015B2 (en) * 2012-09-14 2015-10-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haring asserted media
US9654563B2 (en) 2012-12-14 2017-05-16 Biscotti Inc. Virtual remote functionality
US9300910B2 (en) 2012-12-14 2016-03-29 Biscotti Inc. Video mail captur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US9253520B2 (en) 2012-12-14 2016-02-02 Biscotti Inc. Video capture, processing and distribution system
US9485459B2 (en) 2012-12-14 2016-11-01 Biscotti Inc. Virtual window
CN103905471B (zh) * 2012-12-25 2019-01-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社交网络的信息推送方法、服务器及社交网络
CN104219205B (zh) * 2013-05-31 2019-07-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推送媒体文件的方法、接收媒体文件的方法、装置和系统
CN103347046B (zh) * 2013-06-06 2017-03-0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位置的信息交互方法及服务器
EP3014888A4 (en) * 2013-06-28 2017-02-22 INTEL Corporation Live crowdsourced media streaming
KR102171117B1 (ko) * 2013-08-30 2020-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송수신 방법 및 그에 따른 단말, 그에 따른 시스템
TWI520087B (zh) * 2013-11-15 2016-02-01 Paganini Plus Ltd Feedback based on triggering of hyperlinks
US10074003B2 (en) * 2014-07-11 2018-09-11 Intel Corporation Dynamic control for data capture
US20160050244A1 (en) * 2014-08-15 2016-02-18 Dylan Corlett Systems and Methods for Shared Media Streaming
KR101636945B1 (ko) * 2014-10-20 2016-07-11 남기원 인맥 관계망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469671A (zh) * 2014-10-23 2015-03-25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分享信息的方法及电子设备
WO2016061803A1 (zh) * 2014-10-24 2016-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m2m终端控制方法及相关设备
US20160173622A1 (en) * 2014-12-10 2016-06-16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media content with social connections based on location
US9779309B1 (en) * 2015-07-07 2017-10-03 Ambarella, Inc. Bulk searchable geo-tagging of detected objects in video
JP6106724B2 (ja) * 2015-08-12 2017-04-05 崇博 太田 関連ユーザ情報を用いた情報機器間の連携
US10229324B2 (en) 2015-12-24 2019-03-12 Intel Corporation Video summarization using semantic information
US10554747B2 (en) * 2017-11-30 2020-02-04 Facebook, Inc. Secure file transfer using peer to pee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uthentication through social network connections
US10652323B2 (en) 2017-11-30 2020-05-12 Facebook, Inc. Secure and seamless offline file transfer through peer to peer wireless communication
WO2019164025A1 (ko) *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위치 기반 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08632718B (zh) * 2018-04-11 2021-09-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频共享的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6191A (ja) * 2008-12-05 2010-06-17 Canon Inc 撮像装置、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WO2010147828A1 (en) * 2009-06-16 2010-12-23 Facebook, Inc. Selective content accessibility in a social network
JP2010287059A (ja) * 2009-06-11 2010-12-24 Sony Corp 移動端末、サーバ装置、コミュニティ生成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589B1 (ko) 2003-05-23 2011-10-1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위치 기반 컨텐츠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장치
JP2004350214A (ja) * 2003-05-26 2004-12-09 Hitachi Ltd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及び端末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062952A (ja) * 2003-08-13 2005-03-10 Toshiba Corp 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管理装置
KR100673600B1 (ko) * 2004-07-20 2007-01-24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모블로그 기반의 지역 커뮤니티 시스템에서 스팟 또는 아지트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70214180A1 (en) * 2005-11-14 2007-09-13 Crawford C S L Social network application for processing image or video data from wireless devices of users and methods of operation
US8402094B2 (en) * 2006-08-11 2013-03-19 Facebook, Inc. Providing a newsfeed based on user affinity for entities and monitored actions in a social network environment
JP2007213385A (ja) 2006-02-10 2007-08-2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7949186B2 (en) * 2006-03-15 2011-05-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yramid match kernel and related techniques
JP2010503928A (ja) * 2006-09-12 2010-02-04 ウェイポート,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アクセス・ポイントを介した直接制御なしに、分散環境において位置に基づくサービスを提供すること
US7917154B2 (en) 2006-11-01 2011-03-29 Yahoo! Inc. Determining mobile content for a social network based on location and time
US20080168175A1 (en) * 2007-01-04 2008-07-10 Truong Tran Method and system for local search and social networking with content validation
JP2008171068A (ja) * 2007-01-09 2008-07-24 Kddi Corp 接近情報通知システム
US8229458B2 (en) * 2007-04-08 2012-07-24 Enhanced Geographic Llc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the name of a location visited by a user of a wireless device
AU2008255067A1 (en) * 2007-05-15 2008-11-27 Social Project,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social-networking online community
JP5186557B2 (ja) * 2007-05-24 2013-04-17 フェイスブック,インク. ユーザプロフィールに関連付けられた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プライバシー設定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90100134A1 (en) * 2007-10-12 2009-04-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Sharing of Multimedia Cont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010601B2 (en) * 2007-12-21 2011-08-30 Waldeck Technology, Llc Contiguous location-based user networks
WO2009096015A1 (ja) * 2008-01-31 2009-08-06 Fujitsu Limited 公開情報送信方法、公開情報送信システム、中央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882201B2 (en) * 2008-03-31 2011-02-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Location based content aggreg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CN101552800A (zh) 2008-04-01 2009-10-07 华为技术有限公司 提供媒体内容的方法、装置和系统
JP5317541B2 (ja) * 2008-06-11 2013-10-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配信サーバ、移動通信端末、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US9246708B2 (en) 2008-08-06 2016-01-26 Bindu Rama Rao Social networking website system with automatic registr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20100131385A1 (en) * 2008-11-25 2010-05-27 Opanga Network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on of digital media content utilizing viral marketing over social networks
KR101081610B1 (ko) 2009-05-21 2011-11-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및 방법
US8380786B2 (en) * 2009-09-22 2013-02-19 Thwapr, Inc. Subscribing to mobile media sharing
US9119027B2 (en) * 2009-10-06 2015-08-25 Facebook, Inc. Sharing of location-based content item in social networking service
US9122701B2 (en) * 2010-05-13 2015-09-0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content listings according to points of interes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6191A (ja) * 2008-12-05 2010-06-17 Canon Inc 撮像装置、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2010287059A (ja) * 2009-06-11 2010-12-24 Sony Corp 移動端末、サーバ装置、コミュニティ生成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0147828A1 (en) * 2009-06-16 2010-12-23 Facebook, Inc. Selective content accessibility in a social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928A (ko) 2012-09-12
EP2681934B1 (en) 2021-06-30
WO2012118299A2 (en) 2012-09-07
JP2014508359A (ja) 2014-04-03
AU2012223882A1 (en) 2013-08-15
US20120226752A1 (en) 2012-09-06
EP2681934A4 (en) 2014-07-30
US9736208B2 (en) 2017-08-15
JP6066491B2 (ja) 2017-01-25
EP2681934A2 (en) 2014-01-08
AU2012223882B2 (en) 2016-10-20
CN103404178A (zh) 2013-11-20
WO2012118299A3 (en)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82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
CN103797493B (zh) 用于自动共享图片的智能相机
US7474959B2 (en)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using image, location data, and annotations
JP5068379B2 (ja) 近接検出に基づいてメディアを拡張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JP2008058917A (ja) 画像付き地図情報表示システム
CN107404598A (zh) 摄影装置、信息取得系统、程序及记录介质
KR101558640B1 (ko)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공될 서비스를 리졸빙하는 시스템, 단말기 디바이스 및 서비스 리졸빙 서버
JP2008283344A (ja) オンライン情報提供方法
KR101693738B1 (ko) 모바일 sns를 이용한 위치기반의 민원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3077110A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JP2011039647A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461590B1 (ko) 위치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JP2008282127A (ja) オンライン情報提供方法
JP2014106695A (ja) 情報処理装置
US8085981B2 (en) Object perception method and a related perceiving device
JP2010140182A (ja) 見学情報蓄積システム
JP2015099581A (ja) 複数のカメラとサーバとを含む情報提示システム
KR20140083569A (ko) 컨텐츠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하여 동일한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WO2012134027A1 (ko)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트랙 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트랙 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2228366B1 (ko) 여행 정보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5346257B2 (ja) 撮像装置
JP202406724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GB2598913A (en) Augmented reality messaging
KR102200246B1 (ko) 콘텐츠 검색 방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050108464A (ko) 촬영 장소의 지명을 표시하는 카메라가 장착된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