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569A - 컨텐츠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하여 동일한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 Google Patents

컨텐츠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하여 동일한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569A
KR20140083569A KR1020120153471A KR20120153471A KR20140083569A KR 20140083569 A KR20140083569 A KR 20140083569A KR 1020120153471 A KR1020120153471 A KR 1020120153471A KR 20120153471 A KR20120153471 A KR 20120153471A KR 20140083569 A KR20140083569 A KR 20140083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data
information
server
selected photo
pic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점
김동훈
백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53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3569A/ko
Publication of KR20140083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서버는 제 1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대표하는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는 검출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사진 중 검출된 위치 데이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선택된 사진의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 때, 선택된 사진은 제 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Description

컨텐츠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하여 동일한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SERVER AND METHOD FOR SELECTING PICTURES HAVING SAME POSITION DATA WITH POSITION DATA OF CONTENTS}
컨텐츠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하여 동일한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연관 정보 제공 서비스는 IPTV에서 현재 시청 중인 컨텐츠 (채널 방송이나 VOD)와 연계된 웹 정보를 검색해 개인용 휴대용 단말 (태블렛 PC나 스마트 폰)로 보여주는 서비스이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2010-0001064에는 컨텐츠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태그를 매칭 및 저장하고, 셋탑박스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색용 태그를 생성하고 검색용 태그와 매칭된 태그를 비교하여 이미지 데이터 관련 컨텐츠를 검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연관 정보 제공 서비스는 포탈이나 동영상 서비스와 같은 특정 사이트에서 검색한 누구나 접근 가능한 웹 정보를 보여주는 것에 그치고, 좀 더 개인화된 정보와 연계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웹으로 검색하기 위해서는 웹 포탈 및 검색을 위한 웹 사이트에서 검색된 정보를 추출하여 전달해 주는 웹 게이트웨이가 필요한데, 이러한 환경에서는 누구나 접근 가능한 일반적인 웹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IPTV 서비스 환경에서 가입자들이 현재 시청하고 있는 컨텐츠 (채널 방송 또는 VOD)와 위치 기반으로 연관된 사진을 검색하여 다양한 단말, 즉 휴대용 단말(태블렛 PC나 스마트 VOD) 또는 개인용 로봇이나 디지털 액자, SoIP 단말에 슬라이드 쇼 형식으로 보여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디바이스의 컨텐츠와 연관된 제 2 디바이스의 사진을 선택하는 서버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대표하는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는 검출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사진 중 상기 검출된 위치 데이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사진의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사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의 컨텐츠와 연관된 제 2 디바이스의 사진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대표하는 제 1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사진의 각각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사진의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사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의 컨텐츠와 연관된 제 2 디바이스의 사진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의 컨텐츠의 위치 데이터에 연관된 제 2 디바이스의 사진을 선택하여 제 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 (예를 들어, IPTV 등)의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본인의 개인적인 사진을 볼 수 있고, 본인이 방문한 장소와 연관 있는 컨텐츠의 시청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가족이나 친구들과 같이 시청할 경우 함께 사진을 감상하고 추억을 공유할 수 있어 컨텐츠 시청의 즐거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진 추천 시스템의 개괄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추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 추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선택부(12)에 의하여 사진이 선택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선택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 선택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진 추천 시스템의 개괄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10), 제 1 디바이스(20), 클라우드 스토리지(30), 메인 디바이스(4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 웹(60) 및 H/E(70, head end)를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사진 추천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진 추천 시스템은 클라우스 스토리지(30), 웹(60) 또는 H/E(7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진 추천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서비스 가입자는 어떠한 디바이스로 서비스를 받을 지에 대해 디바이스 정보를 최초 가입시 등록하여야 한다.
서버(10)는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 때, 컨텐츠는 동영상, 이미지, 음성 및 텍스트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2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수신하여 컨텐츠를대표하는 제 1 위치 데이터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서버(10)는 현재 시청 중인 컨텐츠를 파악하기 위해 제 1 디바이스(20), 예를 들면 IPTV의 H/E(70)로부터 EPG(Electronic Program Guide)와 시청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나 VOD 정보를 추출한다. 서버(10)는 추출된 채널 정보나 VOD에 관한 제 1 위치 데이터를 제 1 디바이스(20)의 H/E(70)로부터 받는다.
서버(10)는 제 1 디바이스(20)의 H/E(70)가 없으면, 추출된 채널 정보나 VOD에 관한 위치 데이터를 웹(60)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제 1 위치 데이터는 예를 들면, 나라 이름과 도시 이름, 또는 유명한 관광지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가 추출된 채널 정보나 VOD에 관한 제 1 위치 데이터를 웹(60)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경우 제 1 위치 데이터의 추출은, 예를 들면 검색 사이트에서 컨텐츠 제목으로 검색하여 위치 키워드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는 컨텐츠의 ID와 추출된 컨텐츠의 제 1 위치 데이터를 서버(10)의 데이터 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한다. 서버(10)는 모든 컨텐츠의 제 1 위치 데이터를 미리 추출할 수도 있고 서비스 사용자가 시청할 때 해당 컨텐츠의 제 1 위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캐싱할 수 있다. 다만, 일부 컨텐츠, 예를 들면 뮤직 쇼 또는 토론 프로그램 등은 위치 정보가 무의미 하기 때문에 제 1 위치 데이터가 없을 수도 있다.
서버(10)는 제 2 디바이스의 복수의 사진 각각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검출한다. 검출된 사진의 제 2 위치 데이터는 예를 들면, 나라 이름, 도시 이름 또는 유명한 관광지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스토리지(30)에 사진이 저장되어 있다. 클라우스 스토리지(30)는 예를 들면, 서버(10)와 함께 관리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상용의 클라우드 스토리지(30)일 수도 있다. 다만, 일반적인 상용의 클라우드 스토리지(30)인 경우에는 서버(10)와 연동되어야 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와도 연동될 수 있도록 별도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연동은, 서버(10)가 클라우드 스토리지(30) 계정을 등록받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서버(10)는 연동된 클라우드 스토리지(30)에 업로드되는 사진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사진이 업로드 될 때마다 추출한다.
이러한 제 2 위치 데이터의 추출은 예를 들면, 제 2 디바이스(또는 사진을 촬영한 기기)에 GPS 수신기가 있는 경우에는 사진이 찍히는 시점의 GPS 좌표로 제 2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또한, 제 2 위치 데이터의 추출은 예를 들면, 제 2 디바이스(또는 사진을 촬영한 기기)에 GPS 수신기가 없는 경우에는 사진의 배경의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제 2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다만, 이러한 사진의 배경의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제 2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제 2 위치 데이터 추출은 동일 날짜에 찍은 사진 중에 제 2 위치 데이터를 확보한 사진이 존재하면 동일한 위치 데이터로 저장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이는,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제 2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으로 모든 사진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동일 날짜에 찍힌 사진들은 동일한 위치나 가까운 위치에서 찍었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사진으로부터 제 2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는 사진이 저장되어 있는 메인 디바이스(40)와 연동되어 있다. 이러한 연동은, 서버(10)가 메인 디바이스(40)의 ID를 등록받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서버(10)는 연동된 메인 디바이스(40)에 업로드되는 사진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사진이 업로드될 때마다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위치 데이터 추출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서버(10)는 제 2 디바이스(40, 50)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사진 중 상기 검출된 제 1 위치 데이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서버(10)는 검출된 제 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검색한 후 제 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사진이 있는 경우, 그 사진의 ID를 선택한다.
서버(10)가 추출한 제 1 위치 데이터와 제 2 위치 데이터는 예를 들면, 첫 번째 정보인 국가 또는/및 두 번째 정보인 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는 제 1 위치 데이터의 첫 번째 정보가 국내인 경우 두 번째 정보인 도시까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진 사진을 선택하고, 제 1 위치 데이터의 첫 번째 정보가 국외인 경우 첫 번째 정보인 나라까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진 사진을 선택한다. 다른 예를 들면, 부산이 배경이 되는 영화 "해운대"를 시청하는 경우, 서버(10)는 제 1 위치 데이터를 "부산"으로 검출하고, 제 1 위치 데이터가 국내이므로 검출된 제 2 위치 데이터 중 도시까지 동일한 "부산"인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진 사진을 선택한다.
서버(10)는 선택된 사진의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40, 5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스토리지(30)와 서버(10)가 연동되어 있다. 서버(10)와 연동되어 있는 클라우스 스토리지(30)가 제 2 디바이스(40, 50)와 동기화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버(10)는 제 2 디바이스(40, 50)에 선택된 사진의 ID만을 전송하고, 서버(10)와 연동되어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30)가 제 2 디바이스(40, 50)와 동기화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1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30)로부터 제 2 디바이스(40, 50)로 선택된 사진의 파일을 전송하도록 한다. 이러한 선택된 사진의 정보를 전송한 후, 선택된 사진은 제 2 디바이스(40, 50)의 디스플레이에 슬라이드 쇼 형태로 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추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특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의 구성도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는 검출부(11), 선택부(12) 및 통신부(13)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검출부(11)는 제 1 디바이스의 컨텐츠의 제 1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고, 클라우드 스토리지(30)에 저장되어 있는 메인 디바이스(40)의 사진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검출한다. 제 1 위치 데이터 및 제 2 위치 데이터의 검출 방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다만, 검출부(11)는 예를 들면, IPTV의 실시간 채널로 특정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같은 채널을 시청을 해야 검출을 시작한다. 또한, 검출부(11)는 예를 들면, VOD로 특정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소정의 시간 간격이 지나야 검출을 시작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VOD로 시청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IPTV로 시청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보다 더 짧게 조정할 수 있다. 이는, VOD 시청은 IPTV의 실시간 채널보다 더욱 적극적인 시청 형태이므로 소정의 시간 간격을 더 짧게 조정하여 신속한 서비스의 제공을 도모할 수 있다.
선택부(12)는 제 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서버(10)는 제 1 위치 데이터의 첫 번째 정보가 국내인 경우 두 번째 정보인 도시까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진 사진을 선택하고, 제 1 위치 데이터의 첫 번째 정보가 국외인 경우 첫 번째 정보인 나라까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진 사진을 선택한다.
통신부(13)는 선택된 사진의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클라우드 스토리지(30)가 제 2 디바이스(40, 50)와 동기화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1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30)로부터 제 2 디바이스(40, 50)로 선택된 사진의 파일을 전송하도록 한다. 반면에, 클라우드 스토리지(30)가 제 2 디바이스(40, 50)와 동기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버(10)는 제 2 디바이스(40, 50)에 선택된 사진의 ID만을 전송한다.
통신부(13)가 전송한 선택된 사진의 정보에 의해서 선택된 사진이 제 2 디바이스(40, 50)에 디스플레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디바이스(40, 50)는 복수의 사진이 저장되어 있는 메인 디바이스(40)와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디바이스(40)는 디폴트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되며, 메인 단말(40)로 사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이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개수의 제한이 없으며, 각 제 2 디바이스는 IP망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제 2 디바이스(40, 50)에 본 서비스를 위해 앱이 설치되어야 한다.
제 2 디바이스(40, 50)가 클라우드 스토리지(30)와 동기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선택된 사진의 ID를 수신한 후 또는 제 2 디바이스(40, 50)가 클라우드 스토리지(30)와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선택된 사진의 파일을 수신한 후, 제 2 디바이스(40, 50)는 선택된 사진을 순차적으로 보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 추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특히,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10)의 구성도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는 검출부(11), 선택부(12) 및 통신부(13)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출부(11)는 제 1 디바이스의 컨텐츠의 제 1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고, 메인 디바이스(40)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검출한다. 제 1 위치 데이터 및 제 2 위치 데이터의 검출 방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다만, 검출부(11)는 예를 들면, IPTV의 실시간 채널로 특정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같은 채널을 시청을 해야 검출을 시작한다. 또한, 검출부(11)는 예를 들면, VOD로 특정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경우, 소정의 시간 간격이 지나야 검출을 시작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VOD로 시청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IPTV로 시청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더 짧게 조정할 수 있다. 이는, VOD 시청은 IPTV의 실시간 채널보다 더욱 적극적인 시청 형태이므로 소정의 시간 간격을 더 짧게 조정하여 신속한 서비스의 제공을 도모할 수 있다.
선택부(12)는 제 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서버(10)는 제 1 위치 데이터의 첫 번째 정보가 국내인 경우 두 번째 정보인 도시까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진 사진을 선택하고, 제 1 위치 데이터의 첫 번째 정보가 국외인 경우 첫 번째 정보인 나라까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진 사진을 선택한다.
통신부(13)는 선택된 사진의 정보를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메인 디바이스(4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와 동기화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10)는 메인 디바이스(4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로 선택된 사진의 파일을 전송하도록 한다. 반면에, 메인 디바이스(4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와 동기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버(10)는 메인 디바이스(40)로 선택된 사진의 ID만을 전송한다.
통신부(13)가 전송한 선택된 사진의 정보에 의해서 선택된 사진이 제 2 디바이스(40, 50)에 디스플레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디바이스(40, 50)는 복수의 사진이 저장되어 있는 메인 디바이스(40)와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디바이스(40)는 디폴트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되며, 메인 단말(40)로 사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이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개수의 제한이 없으며, 각 제 2 디바이스는 IP망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제 2 디바이스(40, 50)에 본 서비스를 위해 앱이 설치되어야 한다.
제 2 디바이스(40, 50)가 메인 디바이스(40)와 동기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선택된 사진의 ID를 수신한 후 또는 제 2 디바이스(40, 50)가 메인 디바이스(40)와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선택된 사진의 파일을 수신한 후, 제 2 디바이스(40, 50)는 선택된 사진을 순차적으로 보이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제 1 디바이스는 TV 디바이스(예를 들어, IPTV 또는 VOD 플레이어 등)이고, 제 2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 개인용 로봇, 디지털 액자 또는 SoIP 단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선택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서비스 가입자가 IPTV 또는 VOD 등을 시청(S100)한 후 소정의 시간 간격이 경과(S200)하면, 서버(10)의 검출부(11)에서는 IPTV 또는 VOD의 컨텐츠를 대표하는 제 1 위치 데이터를 검색한다(S300). 또한, 서버(10)의 검출부(11)에서는 클라우드 스토리지(30)에 저장된 사진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검색 및 추출을 한다. 이 때, 검출부(11)가 검색하여 컨텐츠를 대표하는 제 1 위치 데이터가 존재하면(S400), 선택부(12)는 제 1 위치 데이터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검색하고 선택한다(S500). 제 1 위치 데이터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사진이 존재하면(S600) 제 2 디바이스(40, 50)와 클라우드 스토리지(30)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한다(S700). 제 2 디바이스(40, 50)와 클라우드 스토리지(30)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10)는 클라우드 스토리지(30)로부터 제 2 디바이스(40, 50)로 제 1 위치 데이터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의 파일을 전송하도록 한다(S800). 반면에, 제 2 디바이스(40, 50)와 클라우드 스토리지(30)가 동기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버(10)는 제 2 디바이스(40, 50)에 선택된 사진의 ID만을 전송한다. 선택된 사진의 정보를 수신한 제 2 디바이스(40, 50)의 디스플레이에 선택된 사진이 슬라이드 쇼로 표시되도록 한다(S900).
이 때, 서비스 가입자가 IPTV 또는 VOD 등을 시청(S100)한 후 소정의 시간 간격이 경과(S200)함에 있어서, VOD로 시청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IPTV로 시청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더 짧게 조정할 수 있다. 이는, VOD 시청은 IPTV의 실시간 채널보다 더욱 적극적인 시청 형태이므로 소정의 시간 간격을 더 짧게 조정하여 신속한 서비스의 제공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위치 데이터의 검색(S300)과 추출은(S400),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H/E(70)로부터 추출된 채널 정보나 VOD에 관한 제 1 위치 데이터를 받거나, 제 1 디바이스(20)의 H/E(70)가 없거나 H/E에 위치 데이터가 없으면, 추출된 채널 정보나 VOD에 관한 위치 데이터를 웹(60) 정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추출된 제 1 위치 데이터는 예를 들면, 나라 이름과 도시 이름, 또는 유명한 관광지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가 추출된 채널 정보나 VOD에 관한 제 1 위치 데이터를 웹(60)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경우 제 1 위치 데이터의 추출은, 예를 들면 검색 사이트에서 컨텐츠 제목으로 검색하여 위치 키워드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위치 데이터의 검색과 추출은(미도시), 예를 들면, 제 2 디바이스(또는 사진을 촬영한 기기)에 GPS 수신기가 있는 경우에는 사진이 찍히는 시점의 GPS 좌표로 제 2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또한, 제 2 위치 데이터의 추출은 예를 들면, 제 2 디바이스(또는 사진을 촬영한 기기)에 GPS 수신기가 없는 경우에는 사진의 배경의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제 2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다만, 이러한 사진의 배경의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제 2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제 2 위치 데이터 추출은 동일 날짜에 찍은 사진 중에 제 2 위치 데이터를 확보한 사진이 존재하면 동일한 위치 데이터로 저장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이는,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제 2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으로 모든 사진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동일 날짜에 찍힌 사진들은 동일한 위치나 가까운 위치에서 찍었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선택부(12)가 제 1 위치 데이터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검색하고(S500) 선택하는(S600) 단계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는 제 1 위치 데이터의 첫 번째 정보가 국내인 경우 두 번째 정보인 도시까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진 사진을 선택하고, 제 1 위치 데이터의 첫 번째 정보가 국외인 경우 첫 번째 정보인 나라까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진 사진을 선택한다.
또한, 전송된 사진의 정보에 의해서 선택된 사진이 제 2 디바이스(40, 50)의 디스플레이에 선택된 사진이 표시되는 단계에 있어서(S900), 보다상세하게는, 메인 디바이스(40)는 디폴트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되며, 메인 단말(40)로 사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이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개수의 제한이 없으며, 각 제 2 디바이스는 IP망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제 2 디바이스(40, 50)에 본 서비스를 위해 앱이 설치되어야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사진 선택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대표하는 제 1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사진의 각각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사진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사진의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사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진 선택 방법의 각 단계는 앞서 도 2 또는 3을 통해 설명된 서버(10)에 의해서 수행된다. 따라서, 사진 선택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해 설명되지 아니한 내용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서버(10)에 대해서 설명된 내용을 준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 선택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서비스 가입자가 IPTV 또는 VOD 등을 시청(S101)한 후 소정의 시간 간격이 경과(S201)하면, 서버(10)의 검출부(11)에서는 IPTV 또는 VOD의 컨텐츠를 대표하는 제 1 위치 데이터를 검색한다(S301). 이 때, 검출부(11)가 검색하여 컨텐츠를 대표하는 제 1 위치 데이터가 존재하면(S401), 선택부(12)는 제 1 위치 데이터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검색하고 선택한다(S501). 제 1 위치 데이터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사진이 존재하면(S601) 메인 디바이스(4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간의 동기화 여부를 판단한다(S701). 메인 디바이스(4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10)는 메인 디바이스(40)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로 제 1 위치 데이터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의 파일을 전송하도록 한다(S801). 반면에, 메인 디바이스(4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동기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버(10)는 선택된 사진의 ID만을 전송한다. 선택된 사진의 정보를 수신한 메인 디바이스(4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의 디스플레이에 선택된 사진이 슬라이드 쇼로 표시되도록 한다(S901).
이 때, 서비스 가입자가 IPTV 또는 VOD 등을 시청(S101)한 후 소정의 시간 간격이 경과(S201)함에 있어서, VOD로 시청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IPTV로 시청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더 짧게 조정할 수 있다. 이는, VOD 시청은 IPTV의 실시간 채널보다 더욱 적극적인 시청 형태이므로 소정의 시간 간격을 더 짧게 조정하여 신속한 서비스의 제공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위치 데이터의 검색(S301)과 추출은(S401),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H/E(70)로부터 추출된 채널 정보나 VOD에 관한 제 1 위치 데이터를 받거나, 제 1 디바이스(20)의 H/E(70)가 없거나 H/E에 위치 메타데이터가 없으면, 추출된 채널 정보나 VOD에 관한 위치 데이터를 웹(60) 정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추출된 제 1 위치 데이터는 예를 들면, 나라 이름과 도시 이름, 또는 유명한 관광지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가 추출된 채널 정보나 VOD에 관한 제 1 위치 데이터를 웹(60)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경우 제 1 위치 데이터의 추출은, 예를 들면 검색 사이트에서 컨텐츠 제목으로 검색하여 위치 키워드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위치 데이터의 검색과 추출은(미도시), 예를 들면, 제 2 디바이스(또는 사진을 촬영한 기기)에 GPS 수신기가 있는 경우에는 사진이 찍히는 시점의 GPS 좌표로 제 2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또한, 제 2 위치 데이터의 추출은 예를 들면, 제 2 디바이스(또는 사진을 촬영한 기기)에 GPS 수신기가 없는 경우에는 사진의 배경의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제 2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다만, 이러한 사진의 배경의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제 2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제 2 위치 데이터 추출은 동일 날짜에 찍은 사진 중에 제 2 위치 데이터를 확보한 사진이 존재하면 동일한 위치 데이터로 저장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이는,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제 2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으로 모든 사진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동일 날짜에 찍힌 사진들은 동일한 위치나 가까운 위치에서 찍었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선택부(12)가 제 1 위치 데이터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검색하고(S501) 선택하는(S601) 단계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는 제 1 위치 데이터의 첫 번째 정보가 국내인 경우 두 번째 정보인 도시까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진 사진을 선택하고, 제 1 위치 데이터의 첫 번째 정보가 국외인 경우 첫 번째 정보인 나라까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진 사진을 선택한다.
또한, 전송된 사진의 정보에 의해서 선택된 사진이 제 2 디바이스(40, 50)의 디스플레이에 선택된 사진이 표시되는 단계에 있어서(S901),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디바이스(40)는 디폴트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가 되며, 메인 단말(40)로 사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이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는 개수의 제한이 없으며, 각 제 2 디바이스는 IP망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제 2 디바이스(40, 50)에 본 서비스를 위해 앱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IPTV 서비스를 보다 풍부하고 고급화할 수 있는 사진 디스플레이 서비스를 제공하여 IPTV 컨텐츠 구매를 촉진할 수 있고 IPTV 서비스를 차별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찍은 사진을 공유함으로써, 가족간의 유대감을 강화시키고 본인의 추억을 회상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익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이나 유아들에게도 자연스럽게 디지털 기기를 통한 사진들을 공유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치매예방이나 교육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5 또는 6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사진 선택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엑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서버
11: 검출부
12: 선택부
13: 통신부
20: 제 1 디바이스
30: 클라우드 스토리지
40: 메인 디바이스(제 2 디바이스)
5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Claims (16)

  1. 제 1 디바이스의 컨텐츠와 연관된 제 2 디바이스의 사진을 선택하는 서버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대표하는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는 검출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사진 중 상기 검출된 위치 데이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사진의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사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인,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컨텐츠를 대표하는 제 1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사진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진 각각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사진 중 상기 제 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제 2 위치 데이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것인,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TV 디바이스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인 것인,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진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것인,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가 동기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사진의 정보는 사진의 ID이고,
    상기 서버와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선택된 사진의 정보는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사진 파일을 전송하라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인,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복수 개인 것인,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사진이 저장되어 있는 메인 디바이스와 별도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기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사진의 정보는 사진의 ID인 것인, 서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사진이 저장되어 있는 메인 디바이스와 별도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선택된 사진의 정보는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상기 선택된 사진 파일을 전송하라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인, 서버.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데이터의 검출은 상기 컨텐츠인 VOD 또는 실시간 컨텐츠 시청 후 소정의 시간 간격이 경과한 후 시작되는 것인, 서버.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데이터는 웹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되는 것인, 서버.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 데이터는 GPS 좌표, 상기 복수의 사진의 배경 이미지의 분석 또는 유사한 시간대에 촬영된 사진 중 이미 위치 데이터를 확보한 사진을 통하여 검출되는 것인, 서버.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모든 컨텐츠의 제 1 위치 데이터를 미리 추출하거나 각각의 컨텐츠마다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캐싱하는 것인, 서버.
  13. 제 1 디바이스의 컨텐츠와 연관된 제 2 디바이스의 사진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대표하는 제 1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사진의 각각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사진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사진의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사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진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상기 컨텐츠와 연관된 사진을 선택하는 서버와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가 동기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사진의 정보는 상기 선택된 사진의 ID이고,
    상기 서버와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선택된 사진의 정보는 상기 선택된 사진 파일을 전송하는 제 1 디바이스의 컨텐츠와 연관된 제 2 디바이스의 사진을 선택하라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의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사진이 저장되어 있는 메인 디바이스와 별도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기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사진의 정보는 상기 선택된 사진의 ID이고,
    상기 메인 디바이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동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선택된 사진의 정보는 상기 메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상기 선택된 사진 파일을 전송하라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위치 데이터의 정보가 국내인 경우에는 도시까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진 사진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위치 데이터의 정보가 국외인 경우에는 국가까지 일치하는 제 2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사진을 선택하는 것인, 방법.
KR1020120153471A 2012-12-26 2012-12-26 컨텐츠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하여 동일한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KR20140083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71A KR20140083569A (ko) 2012-12-26 2012-12-26 컨텐츠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하여 동일한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71A KR20140083569A (ko) 2012-12-26 2012-12-26 컨텐츠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하여 동일한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569A true KR20140083569A (ko) 2014-07-04

Family

ID=5173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471A KR20140083569A (ko) 2012-12-26 2012-12-26 컨텐츠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하여 동일한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35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295A1 (ko) * 2019-02-20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115597B2 (en) 2019-02-20 2021-09-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first and second AI agents interworking with a specific application on the mobile terminal to return search resul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295A1 (ko) * 2019-02-20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115597B2 (en) 2019-02-20 2021-09-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first and second AI agents interworking with a specific application on the mobile terminal to return search resul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157B1 (ko) 근접 탐지를 기반으로 미디어를 보강하는 방법,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
KR10175082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2077237B1 (ko) 영상 재생 장치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에 관련된 연관 정보를 휴대용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60227285A1 (en) Browsing videos by searching multiple user comments and overlaying those into the content
US20150043890A1 (en) Mobile media, devices, and signaling
JP2008176811A (ja) 情報配信装置
US201600353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ipping video segments
US913756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ccess to content during a presentation of a media content instance
US20140130102A1 (en) Detail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1384668B1 (ko) 하이브리드앱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실시간 라이브방송을 제공하는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US9619123B1 (en) Acquiring and sharing content extracted from media content
JP5449113B2 (ja) 番組推薦装置
JP2008210331A (ja) 広告配信システム、端末装置、広告配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5018421A (ja) 端末装置、投稿情報送信方法、投稿情報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投稿情報共有システム
KR20140083569A (ko) 컨텐츠의 위치 데이터를 기초하여 동일한 위치 데이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KR20160012269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517102A (zh) 数据传输系统和电子装置
JP201316477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通信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05618B1 (ko) 컨텐트에 대한 코멘트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101461590B1 (ko) 위치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JP724629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866797B1 (ko)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KR100671147B1 (ko) 명장면 체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64613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00073830A (ko) 전자지도를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위치정보 태깅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