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797B1 -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797B1
KR101866797B1 KR1020160172648A KR20160172648A KR101866797B1 KR 101866797 B1 KR101866797 B1 KR 101866797B1 KR 1020160172648 A KR1020160172648 A KR 1020160172648A KR 20160172648 A KR20160172648 A KR 20160172648A KR 101866797 B1 KR101866797 B1 KR 101866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erminal
media
location
management server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구
김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버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버,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버
Priority to KR102016017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시청자들이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던 중에 자신이 마음에 드는 영상을 발견하여 특정의 조작을 입력하면 그에 따라 해당 동영상 클립이 생성되고 그에 대한 촬영지 위치정보를 시청자가 입력해주는 조작을 수행해줌으로써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이 생성되고, 사용자가 이동 중에 촬영지 근방에 접근하게 되면 그 지점에서 촬영하였던 동영상 클립이 사용자의 적극적인 요청 없이도 스마트 단말로 푸시 전송되어 살펴볼 수 있는 환경을 설정해주는 액티브 푸시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들이 이미 인지하고 있는 유명 미디어 콘텐츠들(예: 한류 드라마, 영화, 뮤직비디오)을 활용하여 전국의 각 지역에 대한 홍보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method of providing active push of media-contents based on location markings for filming sites by utilizing Internet-of-Things devic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시청자들이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던 중에 자신이 마음에 드는 영상을 발견하여 특정의 조작을 입력하면 그에 따라 해당 동영상 클립이 생성되고 그에 대한 촬영지 위치정보를 시청자가 입력해주는 조작을 수행해줌으로써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이 생성되고, 사용자가 이동 중에 촬영지 근방에 접근하게 되면 그 지점에서 촬영하였던 동영상 클립이 사용자의 적극적인 요청 없이도 스마트 단말로 푸시 전송되어 살펴볼 수 있는 환경을 설정해주는 액티브 푸시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전국의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자신의 지역에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규모의 문화축제나 머드 축제, 산천어 축제 등을 벌여서 그 지역을 무언가 특색있게 포장하고 관광객들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벌이는 한편, 미디어를 통한 자연스러운 홍보를 유도하기 위해 방송드라마나 영화 제작의 배경 공간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물질적 행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일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을 통해 미디어 콘텐츠가 제작되고 그중 일부가 유명해지더라도 해당 지역의 홍보 효과는 기대에 못미치는 것이 현실이다. 해당 지역에 드라마 세트장을 유지하고 콘텐츠 말미에 장소협찬을 잠시 비춰주는 것만으로는 비용 대비하여 별다른 홍보효과나 관광객 유치효과가 없다는 것이 오랜 기간을 통해 검증되었다. 오히려 드라마 세트장을 유지하거나 세트장 건설 및 철거 비용이 훨씬더 큰 부담으로 남을 뿐이다.
이는 해당 지역에서 미디어의 유명세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홍보를 달성하는 기술적 인프라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사람들에게 이미 인지되어 있는 유명 미디어 콘텐츠(예: 한류 드라마, 영화, 뮤직비디오)를 활용하여 해당 촬영 지역에 대한 홍보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적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시청자들이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던 중에 자신이 마음에 드는 영상을 발견하여 특정의 조작을 입력하면 그에 따라 해당 동영상 클립이 생성되고 그에 대한 촬영지 위치정보를 시청자가 입력해주는 조작을 수행해줌으로써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이 생성되고, 사용자가 이동 중에 촬영지 근방에 접근하게 되면 그 지점에서 촬영하였던 동영상 클립이 사용자의 적극적인 요청 없이도 스마트 단말로 푸시 전송되어 살펴볼 수 있는 환경을 설정해주는 액티브 푸시 제공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은, 미디어 재생장치(300)가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 1 단계;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그 재생중인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콘텐츠 피킹 및 촬영위치 정보 마킹을 수행함으로써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제 2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제공받아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구축하는 제 3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의한 촬영지 접근 이벤트를 검출하는 제 4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조회하여 해당 촬영지 접근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인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고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액티브 푸시 전송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2 단계는,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사용자 조작에 따른 콘텐츠 피킹 이벤트를 식별하여 미디어 재생장치(300)로 제공하는 단계; 미디어 재생장치(300)가 그 재생중인 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 피킹 이벤트가 식별된 재생 지점에 대한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여 제 1 스마트 단말(400)로 제공하는 단계;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촬영지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촬영지 정보 입력을 식별하는 단계;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위 입력된 촬영지 정보에 따른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동영상 클립에 결합시키는 단계;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동영상 클립과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패키징하여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단계는,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다수의 제 1 스마트 단말(400)로부터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업로드 제공받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검색 기준으로 설정하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4 단계의 제 1 실시예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비콘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근방에 배치된 비콘(210)을 식별하는 단계;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비콘의 식별 결과를 미디어 관리서버(100)로 전송하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비콘의 식별 결과로부터 비콘 고유식별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비콘 고유식별정보를 비콘 배치정보에 매칭시킴으로써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특정의 촬영지에 접근하였음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4 단계의 제 2 실시예는, LTE 시스템(200)이 미리 지정된 특정 LTE 기지국에 대해 제 2 스마트 단말(500)과의 LTE 신호 접속을 식별하는 단계; LTE 시스템(200)이 제 2 스마트 단말(500)과 접속한 LTE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을 식별하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LTE 시스템(200)으로부터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이동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이동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특정의 촬영지에 접근하였음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5 단계는,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촬영지 접근 이벤트에서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을 식별하는 제 51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방문 지역을 기준으로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검색하는 제 52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방문 지역에 맞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이하,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이라 함)을 추출하는 제 53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액티브 푸시 전송하는 제 5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53 단계의 제 1 실시예는,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 중에서 방문 지역에 대응하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로부터 사용자 시선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에 대한 카메라 시선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카메라 시선정보와 사용자 시선정보와의 매칭 정합성을 평가하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 중에서 매칭 정합성이 미리 설정된 임계레벨을 만족시키는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추출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에 맞는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53 단계의 제 2 실시예는,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 중에서 현재 방문 지역에 대응하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제 1 동영상 클립을 추출하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의 히스토리를 조회하여 현재 방문 지역과 미디어 콘텐츠의 연관성을 갖는 이전 방문 지역을 추출하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 중에서 이전 방문 지역에 대응하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제 2 동영상 클립을 추출하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1 동영상 클립과 제 2 동영상 클립을 그룹화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에 맞는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54 단계는,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을 식별하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대한 디스플레이 특성을 디스커버리하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디스플레이 특성에 따라 트랜스코딩함으로써 제 2 스마트 단말(500)을 위한 적응포맷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적응포맷 동영상 클립을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액티브 푸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이상과 같은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들이 이미 인지하고 있는 유명 미디어 콘텐츠들(예: 한류 드라마, 영화, 뮤직비디오)을 활용하여 전국의 각 지역에 대한 홍보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LTE-eMBMS 모바일 방송 인프라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미디어 콘텐츠 소비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을 IoT 디바이스로 활용하여 자이로 센서가 제공하는 정보를 지리적 정보에 결합함으로써 사용자 시선과 매칭되는 동영상 클립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들이 미디어 콘텐츠 중에서 훌륭한 부분을 선택해주는 과정이 선행됨으로써 사람들에게 푸시 전송되는 동영상 클립의 품질이 어느정도 담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자들이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현재의 방송 포맷이나 미디어 공급 포맷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촬영위치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위치를 연관성에 따라 연결하고 그에 관련된 복수 개의 동영상 클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패턴이나 콘텐츠 선호도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에 적합한 LTE-eMBMS 모바일 방송의 네트워크 인프라의 기본 구성 및 LTE 주파수 할당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LTE-eMBMS 인프라를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시스템을 구축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서비스를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미디어 관리서버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미디어 재생장치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 1 스마트 단말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 2 스마트 단말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미디어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미디어 관리서버의 촬영지 접근 이벤트 검출 과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미디어 관리서버의 촬영지 접근 이벤트 검출 과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에 대한 추출 및 전송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에 대한 추출 과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에 대한 추출 과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에 대한 적응변환 및 전송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에 적합한 LTE-eMBMS 모바일 방송의 네트워크 인프라의 일반적인 구성 및 LTE-eMBMS 모바일 방송을 위한 LTE 주파수 할당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는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 인프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러한 LTE-eMBMS 인프라는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시스템에 양호하게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b)는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LTE 주파수를 시분할 할당함으로써 평소 상태, 특별 이벤트, 심야 시간대 등과 같은 다양한 방송 상황에 대응이 가능해지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지털 방송이 도입됨에 따라 이동방송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이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초기에는 위성 DMB와 지상파 DMB를 통한 이동방송이 제시되었으나 이동통신망이 고속화하고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방안이 주류가 되었다.
이에, 2005년 3GPP Release-6에서 MBMS(Multimedia Broadcast & Multicast Service) 규격이 제시되었고, 2009년 3GPP Release-9 (LTE/SAE)에서 기존의 MBMS를 보완한 eMBMS(Evolved-MBMS) 규격이 제시되었다. 이때 eMBMS 규격은 OFDM 기반의 확장된 대역폭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기술이며, 다이버시티 기술의 하나인 MBSFN(Multicast-Broadcast Single-Frequency Network) 기술을 이용하여 고효율 방송이 가능하다. 또한, LTE-eMBMS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이용하여 eMBMS 방식의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평상시에는 LTE 주파수를 전화나 데이터 통신에 전부 할당하였다가, 특별 이벤트(예: 월드컵, 올림픽)가 열리거나 심야 시간대가 되면 LTE-eMBMS 방송 정책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스트리밍, 브로드캐스트 파일 송수신, 전화 및 일반 데이터 전송에 LTE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할당한다. eMBMS는 TDD/FDD를 지원하며 수요에 따라 유니캐스트 방식과 브로드캐스트 방식을 자유롭게 전환해 LTE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LTE 기지국을 묶어서 MBSFN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구역에 특정의 방송을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이러한 eMBMS의 특성을 활용하면 장소별 방송(예: 특정 경기장 내부에 대한 방송 서비스), 지역별 방송(예: 서울지역에 대한 방송 서비스), 전국 방송(예: 긴급속보, 재난방송), 개인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방송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이처럼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 인프라가 구축됨에 따라 특히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스마트폰을 통하여 방송 서비스를 양방향으로 인터렉티브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LTE-eMBMS의 장점을 활용하여 본 발명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LTE-eMBMS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LTE 단말기에 eMBMS 미들웨어와 API, APP가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고 LTE 망 인프라에도 [도 1]의 (a)와 같은 기술적 구성이 구축되어야 한다.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UE(User equipment), S-GW(Serving Gateway), eNB(evolved NodeB; e-NodeB),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BSF(Bootstrapping Server Function), HSS(Home Subscriber Server)는 일반적인 LTE 망 인프라이고, BM-SC(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 MCE (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 MBMS GW(eMBMS Gateway)는 eMBMS를 위해 LTE 망 인프라에 추가되는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성하는 각종 장비들의 기능과 역할은 LTE-eMBMS 분야에서는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도 2]는 LTE-eMBMS 인프라를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시스템을 구축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미디어 콘텐츠를 촬영한 위치와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 동영상 클립을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로 푸시 제공한다.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시스템은 [도 1]에서 살펴보았던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 인프라를 활용하여 구축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해외 관광객을 타겟으로 하는 모바일 미디어 비지니스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시스템은 미디어 콘텐츠 재생 앱, 미디어 관리서버(100),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미디어 콘텐츠 재생 앱은 스마트 단말장치(예: 스마트폰, 태블릿PC)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LTE-eMBMS를 통해 푸시하는 동영상 클립을 재생하여 표시한다. 사용자의 위치는 LTE 기지국이나 비콘 등을 통하여 미디어 관리서버(100)에게 알려지고, 그에 대응하여 동영상 클립이 푸시 제공된다.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다수의 동영상 클립(예: 30초 분량) 및 각각의 동영상 클립이 실제로 촬영된 지점에 관한 정보인 촬영위치 메타 정보와 연결하여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 이 과정에서 다수의 시청자들이 자신의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촬영위치 정보를 마킹하여 미디어 관리서버(100)로 업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콘텐츠 촬영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발견하면 그 위치에 대응하는 동영상 클립을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추출하여 미디어 콘텐츠 재생 앱으로 푸시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면서 각 지역에서 촬영되었던 동영상 클립을 본인이 요구하지 않더라도 저절로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푸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미디어 관리서버(100),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 LTE 시스템(200), 미디어 재생장치(300), 제 1 스마트 단말(400), 제 2 스마트 단말(500), 비콘(210), LTE 기지국(22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시청자가 미디어 재생장치(300)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예: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현재 방송으로 나오는 장면이 맘에 들고 그 장면의 촬영위치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제 1 스마트 단말(400)을 활용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피킹(picking)하고 촬영위치 정보를 마킹(marking)한다.
이때, 미디어 재생장치(300)와 제 1 스마트 단말(400)은 동일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상이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다가 이러한 조작을 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디바이스로 구현되고, 셋톱박스로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다가 스마트폰의 전용 앱으로 이러한 조작을 하는 경우에는 상이한 디바이스로 구현된다.
이처럼 시청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피킹하고 촬영위치 정보를 마킹하면 그 촬영위치 정보를 결합한 동영상 클립이 제 1 스마트 단말(400)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미디어 관리서버(100)로 수집된다.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이렇게 수집되는 동영상 클립과 촬영위치 정보의 조합 패키지를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을 소지한 상태로 여러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 2 스마트 단말(500)을 소지한 사용자는 제 1 스마트 단말(400)을 조작한 시청자와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일 수도 있다. 또한, 제 1 스마트 단말(400)과 제 2 스마트 단말(500)은 동일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상이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비콘(210)을 활용하거나 LTE 기지국(220)을 활용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LTE 시스템(200)으로부터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콘(210)은 특정의 데이터 코드를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4.0 규격을 통해 주변으로 근거리 무선 송출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비콘(210)은 바람직하게는 전국의 여러 관광지 내지 드라마 촬영지에 다수 배치되며 각자 자신이 설치된 지점을 표상하는 위치 정보, 예컨대 GPS 데이터나 16비트 고유식별코드를 외부 송출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비콘(21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설치된 에이전트가 해당 정보를 미디어 관리서버(100)로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클립 중에서 해당 촬영위치 정보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지리적 위치와 매칭되는 것을 발견한 경우에는 이들 동영상 클립을 액티브 푸시 방식으로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전송한다. 이때, 액티브 푸시(active push)란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요청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억지로 동영상 클립을 밀어넣는다는 의미이다.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동영상 클립을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서 탐색할 때 그 탐색 범위와 관련하여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사용자가 제 1 스마트 단말(400)을 이용하여 업로드한 동영상 클립에 한정하여 탐색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한 일정 범위에 속하는 시청자가 업로드한 동영상 클립에 한정하여 탐색할 수도 있다. 또한, 그러한 제한 없이 모든 시청자가 업로드한 동영상 클립에 대해 탐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촬영지 위치정보의 마킹 조작에 기초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관리하고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동영상 클립을 액티브 푸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미디어 관리서버(100)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미디어 콘텐츠를 관리하고 액티브 푸시를 제공하기 위하여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 동영상 클립 수신부(115),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20), LTE 기반 진입식별부(125), 비콘기반 진입식별부(130), 동영상 클립 위치조회부(135), 동영상 클립 푸시전송부(140), 동영상 클립 적응변환부(145), 동영상 클립 연계관리부(150), 방문이력 저장관리부(155), 동영상 클립 시선분석부(160), 시선매칭 동영상 제공부(1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기능적인 면에서 컴퓨터 장치나 서버 장치에 "액티브 푸시 서버 에이전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미디어 관리서버(100)의 "액티브 푸시 서버 에이전트"를 구성하는 기능적 구성요소를 자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는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은 동영상 클립에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결합한 데이터 패키지를 의미하는데, 미디어 컨텐츠를 감상하는 다수의 시청자가 제 1 스마트 단말(400)을 조작한 결과에 의해 생성되어 미디어 관리서버(100)로 업로드된다.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는 이처럼 미디어 관리서버(100)로 업로드되는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동영상 클립 수신부(115)는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제 1 스마트 단말(400)과 접속하며 이들로부터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제공받는다. 통상의 인터넷 접속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20)는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대한 구축, 조회,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LTE 기반 진입식별부(125)는 LTE 시스템(200)과 인터페이스하며 LTE 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받는 정보에 의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특정의 촬영지역으로 진입하였음을 식별한다.
비콘기반 진입식별부(130)는 제 2 스마트 단말(500)로부터 비콘신호 식별보고를 제공받으면 그 내부 데이터를 파싱하여 비콘(210)의 비콘 고유식별정보를 식별하고, 비콘 고유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특정의 촬영지역에 진입하였음을 식별한다.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다수의 비콘(210)이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식별한 비콘(210)의 고유식별정보를 알게 되면 해당 고유식별정보를 비콘 배치정보에 매칭시킴으로써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동영상 클립 위치조회부(135)는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조회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위치하는 지점에 대응하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추출한다. 이들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은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점에서 과거에 촬영하였던 미디어 콘텐츠에 해당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이라고 부른다.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은 하나만 추출할 것이 아니라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서 발견되는대로 모두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영상 클립 푸시전송부(140)는 동영상 클립 위치조회부(135)가 추출한 하나이상의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액티브 푸시 방식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사용자는 특정의 지역을 방문하여 이동하던 중에 별다른 요청을 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제 2 스마트 단말(500)을 통해 그 지역에서 촬영된 동영상 클립을 보게 된다.
동영상 클립 적응변환부(145)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디스커버리하고,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디스플레이 특성에 맞게 트랜스코딩한다.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해상도, 화면 사이즈, 운영체제 종류 등에 적합하도록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트랜스코딩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영상 클립 연계관리부(150)는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미디어 콘텐츠의 연관성을 기준으로 서로 연결 관리한다. 현재 방문 위치에서 촬영하였던 동영상 클립 뿐만 아니라 그와 동일한 미디어 콘텐츠에서 노출되었던 다른 지역에서 촬영하였던 동영상 클립까지 사용자에게 푸시될 수 있도록 연계관리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한다.
방문이력 저장관리부(155)는 동영상 클립 연계관리부(150)가 사용자의 방문지역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현실적으로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스마트 단말의 디바이스 식별정보 또는 해당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를 기준으로 방문지역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동영상 클립 시선분석부(160)는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해당 미디어 콘텐츠를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의 시선방향을 식별한다.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에 대해 카메라의 시선방향을 식별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클립의 장면(화면)에서 다리, 건물 등과 같은 주변의 지형지물이 놓여진 형상을 분석하여 소실점을 탐색함으로써 카메라의 시선방향을 간접적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미디어 콘텐츠를 촬영할 당시에 카메라에 부착된 자이로 센서가 해당 정보를 미디어 콘텐츠에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헤더 영역에 삽입해주었고 동영상 클립 시선분석부(160)는 그러한 메타 데이터를 식별해내는 것일 수도 있다.
이처럼 동영상 클립 시선분석부(160)는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카메라 시선정보를 획득한다. 영상분석을 통해 카메라 시선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상당한 프로세싱 부담을 일으키므로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여유가 있을 때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미리미리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선매칭 동영상 제공부(165)는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카메라 시선정보와 외부 제공되는 사용자 시선정보 간에 얼마나 시선이 맞는지에 따른 매칭 정합성을 평가한다. 즉, 일차적으로 촬영장소를 기준으로 공통점이 있다고 판단된 복수 개의 동영상 클립들 중에서 사용자가 현재 바라보고 있는 상황과 문맥이 어느정도 맞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미디어 재생장치(300)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미디어 재생장치(300)는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여 시청자에게 보여주는 장치로서 디지털 텔레비전, 셋톱박스,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재생장치(300)는 미디어 재생 표시부(310), 피킹 이벤트 수신부(320), 동영상 클립 생성부(330), 동영상 클립 제공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미디어 재생장치(300)는 기능적인 면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미디어 콘텐츠 핸들링 에이전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미디어 재생장치(300)의 "미디어 콘텐츠 핸들링 에이전트"를 구성하는 기능적 구성요소를 자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미디어 재생 표시부(310)는 미디어 콘텐츠를 해당 동영상 코덱 포맷에 따라 재생하여 시청자에게 보여준다.
피킹 이벤트 수신부(320)는 제 1 스마트 단말(400)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시청자가 제 1 스마트 단말(400)에 대해 수행하는 피킹 조작에 대응하여 제 1 스마트 단말(400)로부터 콘텐츠 피킹 이벤트를 수신한다. 콘텐츠 피킹 이벤트가 전달되면 미디어 재생장치(300)는 현재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에서 현재 재생하고 있는 지점에 대해 시청자가 촬영지 위치정보를 마킹하려고 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미디어 재생장치(300)와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단일 디바이스로 구현되면 피킹 이벤트 수신부(320)는 불필요하다.
동영상 클립 생성부(330)는 콘텐츠 피킹 이벤트에 대응하여 현재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에서 현재 재생하고 있는 지점에 대한 동영상 클립(예: 30초)을 생성한다. 미디어 콘텐츠에서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기준은 설계자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동영상 클립 제공부(340)는 피킹 조작에 대응하여 동영상 클립 생성부(330)가 생성한 동영상 클립을 제 1 스마트 단말(400)로 제공한다. 미디어 재생장치(300)와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단일 디바이스로 구현되면 동영상 클립 제공부(340)는 불필요하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시청자가 미디어 재생장치(300)를 통해 보고있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피킹 조작을 입력하는 제 1 스마트 단말(400)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스마트 단말(400)은 피킹 이벤트 식별부(410), 피킹 이벤트 전송부(420), 동영상 클립 수신부(430), 촬영지 위치 입력부(440), 촬영지 위치 마킹부(450), 동영상 클립 업로드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제 1 스마트 단말(400)은 기능적인 면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촬영지 위치 마킹 에이전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스마트 단말(400)의 "촬영지 위치 마킹 에이전트"를 구성하는 기능적 구성요소를 자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피킹 이벤트 식별부(410)는 시청자에 의한 미디어 콘텐츠의 피킹 조작을 식별하여 콘텐츠 피킹 이벤트를 생성한다.
시청자는 미디어 재생장치(300)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장면, 예컨대 춘향전의 광한루 장면, 로마 스페인 광장이 나오는 영화의 한 장면, 다큐멘터리에서 스위스 체르마트 거리를 걸어가는 장면, 공상과학 영화에서 뉴욕 스트리트의 한 장면 등이 마음에 들어 별도로 관리하고자 한다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특정한 피킹 조작(picking operation)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 1 스마트 단말(400)의 화면을 터치한 상태를 3초간 유지하는 것을 미리 정해놓을 수 있다. 피킹 이벤트 식별부(410)는 이와 같은 시청자의 피킹 조작은 식별하며, 그에 대응하여 콘텐츠 피킹 이벤트를 생성한다.
피킹 이벤트 전송부(420)는 미디어 재생장치(30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콘텐츠 피킹 이벤트를 미디어 재생장치(300)로 전송한다. 미디어 콘텐츠의 데이터는 미디어 재생장치(300)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콘텐츠 피킹 이벤트를 미디어 재생장치(300)로 전송하여 동영상 클립이 생성되도록 한다. 미디어 재생장치(300)와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단일 디바이스로 구현되면 피킹 이벤트 전송부(420)는 불필요하다.
동영상 클립 수신부(430)는 미디어 재생장치(30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사용자의 피킹 조작이 이루어진 미디어 콘텐츠의 동영상 클립을 미디어 재생장치(300)로부터 제공받는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피킹 이벤트가 전달되면 미디어 재생장치(300)는 미디어 콘텐츠의 해당 재생 지점에 대응하는 예컨대 30초 분량의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미디어 재생장치(300)가 제공하는 동영상 클립을 제 1 스마트 단말(400)의 동영상 클립 수신부(430)가 수신한다. 미디어 재생장치(300)와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단일 디바이스로 구현되면 동영상 클립 수신부(430)는 불필요하다.
촬영지 위치 입력부(440)는 사용자의 촬영지 위치 설정 입력을 식별하여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시청자는 피킹 조작을 수행한 후에 해당 콘텐츠가 촬영된 지점에 관한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한다. 촬영지 위치 입력부(440)는 시청자가 해당 촬영지 위치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 예컨대 가상키보드, 지도화면, 지역이름 목록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시청자가 설정 입력하는 촬영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촬영지 위치 입력부(440)는 동영상 클립 수신부(430)를 통해 제공받는 동영상 클립에 대해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생성한다.
촬영지 위치 마킹부(450)는 동영상 클립 수신부(430)를 통해 제공받는 동영상 클립에 촬영지 위치 입력부(440)가 생성한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결합하여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생성한다.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은 동영상 클립의 데이터와 해당 동영상 클립의 촬영지 위치정보를 결합한 데이터 패키지로서 동영상 클립에 촬영지 위치 정보를 마킹한 것이다.
동영상 클립 업로드부(460)는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미디어 관리서버(100)로 업로드하며,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이러한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로 관리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방문지역에 대응하는 동영상 클립를 푸시 제공받아 표시하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2 스마트 단말(500)은 비콘신호 식별보고부(510), 동영상 클립 푸시수신부(520), 방문지역 콘텐츠 표시부(530), 방문지역 콘텐츠 선택부(540), 자이로 센싱 제공부(550), 사용자 시선정보 제공부(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제 2 스마트 단말(500)은 기능적인 면에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푸시 클라이언트 에이전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푸시 클라이언트 에이전트"를 구성하는 기능적 구성요소를 자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비콘신호 식별보고부(510)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식별하고 이를 미디어 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을 소지한 상태로 일상생활 또는 여행을 위해 이동하다가 비콘(210)의 근방으로 접근하면 비콘신호 식별보고부(510)가 비콘 신호를 식별하게 된다. 비콘 신호는 비콘 신호임을 알리는 식별코드와 비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비콘신호 식별보고부(510)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였다는 비콘수신 이벤트 데이터 및 해당 비콘 고유식별정보를 미디어 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동영상 클립 푸시수신부(520)는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푸시 전송하는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동영상 클립을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추출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액티브 푸시 전송한다. 이러한 동영상 클립을 본 명세서에서는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이라고 부르는데, 동영상 클립 푸시수신부(520)가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의 푸시를 대기하고 있다가 수신한다.
방문지역 콘텐츠 표시부(530)는 동영상 클립 푸시수신부(520)가 수신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적절하게 재생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한다.
방문지역 콘텐츠 선택부(540)는 복수 개의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 중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하나를 선택한다.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추출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의 목록을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표시하고, 이중에서 사용자가 선택 조작한 하나의 동영상 클립을 재생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이로 센싱 제공부(550)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놓여진 방향, 예컨대 수평축의 지향 방향, 수직축의 지향 방향, 고도(높이) 정도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자이로 센싱 제공부(550)는 자이로 센서를 내장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외부의 자이로 센서와 유무선 인터페이스하여 정보를 전달받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시선정보 제공부(560)는 자이로 센싱 제공부(550)가 제공하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현재 어떠한 방향으로 놓여져있는지를 획득하고 이를 사용자의 시선으로 간주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은 시청자들이 미디어 콘텐츠의 촬영지 위치정보를 마킹하여 업로드해주면 이들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로 저장 관리하고 사용자(예: 관광객)가 특정 지역을 진입하였을 때 해당 지역을 촬영지역으로 하는 동영상 클립을 추출하여 액티브 푸시 방식으로 전송해주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체 프로세스의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계 (S110) : 시청자가 미디어 재생장치(300), 예컨대 디지털 텔레비전, 셋톱박스,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활용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한다. 이 과정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일 수도 있고,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것일 수도 있고, 유튜브를 시청하는 것일 수도 있고, 구글 영화를 시청하는 것일 수도 있다.
단계 (S120) : 시청자가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는 중에 제 1 스마트 단말(400)을 활용하여 그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미리 설정한 특정의 사용자 조작(피킹 조작)을 수행한다. 피킹 조작에 대응하여 제 1 스마트 단말(400)은 콘텐츠 피킹 이벤트를 생성하며, 미디어 재생장치(300)와 협조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동영상 클립을 획득한다.
그리고, 제 1 스마트 단말(400)은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촬영지 위치정보를 입력받으며 이로부터 그 동영상 클립에 대해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연결 설정한다. 제 1 스마트 단말(400)은 사용자의 피킹 조작에 대응하여 미디어 콘텐츠의 일부분으로 생성된 동영상 클립에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결합하여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생성한다.
단계 (S130) :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제공받아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구축한다.
전술한 단계 (S120)은 다수의 제 1 스마트 단말(400)에서 각자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에 따라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이러한 다수의 제 1 스마트 단말(400)로부터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제공받는다.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수집하여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구축 및 관리한다.
단계 (S140) :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의한 촬영지 접근 이벤트를 검출한다.
사용자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을 소지한 상태로 일상 생활이나 관광 목적으로 여러 지역을 이동한다.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비콘(210)을 활용하거나 LTE 기지국(220)을 활용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클립 중에서 해당 촬영위치 정보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지리적 위치와 매칭되는 것을 발견하는 것이다.
단계 (S150) :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조회하여 현재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접근하고 있는 촬영지와 대응하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이라고 부르는데,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복수 개의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추출할 수 있다.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그 추출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액티브 푸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예: 관광객)은 여러 지역을 이동하던 중에 별달리 요청하지 않더라도 해당 지역에서 촬영되었던 유명 미디어 콘텐츠의 장면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구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의 과정은 [도 8]의 전체 프로세스에서 단계 (S120)과 단계 (S130)에 해당한다.
단계 (S210) : 먼저,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사용자 조작에 따른 콘텐츠 피킹 이벤트를 식별하여 미디어 재생장치(3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제 1 스마트 단말(4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터치한 상태를 3초간 유지하면 피킹 조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그에 따라 콘텐츠 피킹 이벤트의 발생을 미디어 재생장치(300)로 알린다.
단계 (S220) : 미디어 재생장치(300)는 현재 재생중인 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 피킹 이벤트가 식별된 재생 지점에 대응하도록 일정 구간(예: 30초)를 끊어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며, 그 생성된 동영상 클립을 제 1 스마트 단말(400)로 제공한다. 결과적으로는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콘텐츠 피킹 이벤트를 미디어 재생장치(300)로 알리면 미디어 재생장치(300)는 그에 대응하는 동영상 클립을 제 1 스마트 단말(400)로 제공한다.
단계 (S230, S240) : 제 1 스마트 단말(400)은 시청자가 해당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컨대 가상키보드, 지도화면, 지역이름 목록 등을 제공한다. 시청자는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자신이 방금 조작한 피킹에 의해 생성되는 동영상 클립을 위한 촬영지 정보를 입력한다. 이러한 촬영지 정보로는 예를 들어 로마 스페인 광장, 제주도 섭지코지, 포항 호미곶, 서울 명동 등을 입력할 수도 있고 지도 상에서 특정 지점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 (S250, S260) : 제 1 스마트 단말(400)은 위 입력된 촬영지 정보를 동영상 클립을 위한 메타 정보로서 가공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촬영위치 메타 정보'라고 부른다. 그리고 나서, 제 1 스마트 단말(400)은 동영상 클립에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결합한다.
이들 동영상 클립과 촬영위치 메타 정보는 시청자의 피킹 조작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것이며 서로 연관성을 갖는다. 그에 따라, 제 1 스마트 단말(400)은 이들 동영상 클립과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패키징하여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생성한다.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은 미디어 콘텐츠의 특정 영역 및 그 영역이 촬영된 지리적 위치 정보를 결합시킨 것이다.
단계 (S270) :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다수의 제 1 스마트 단말(400)로부터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업로드 제공받는다. 단계 (S210) 내지 단계 (S260)은 다수의 제 1 스마트 단말(400)에서 각자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에 따라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이들 다수의 제 1 스마트 단말(400)로부터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제공받는다.
단계 (S280, S290) :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검색 기준으로 설정하고, 다수의 제 1 스마트 단말(400)로부터 업로드되는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구축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의한 특정 촬영지의 접근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을 구현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의 과정은 [도 8]의 전체 프로세스에서 단계 (S140)의 제 1 실시예에 해당한다.
단계 (S411, S412) : 먼저,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주변에서 무선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인식하고, 그에 따라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근방에 배치된 비콘(210)을 식별한다.
사용자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을 소지한 상태로 일상생활 또는 여행을 위해 이곳저곳으로 이동하다가 비콘(210)의 근방으로 접근하면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비콘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비콘 신호는 비콘 신호임을 알리는 식별코드와 비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데, 결과적으로 제 2 스마트 단말(500)는 자신의 근방에 배치된 비콘(210)을 식별한 것이다.
단계 (S413) : 제 2 스마트 단말(500)은 비콘(210)의 식별 결과를 미디어 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즉, 제 2 스마트 단말(500)은 비콘 신호를 무선 수신하였다는 비콘수신 이벤트 데이터 및 해당 비콘 고유식별정보를 미디어 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단계 (S414, S415) :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제공한 비콘 식별 결과로부터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비콘(210)의 고유식별정보를 식별한다.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다수의 비콘(210)이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비콘 배치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식별한 비콘(210)의 고유식별정보를 알게 되면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고유식별정보를 비콘 배치정보에 매칭시킴으로써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어딘가를 이동할 때마다 추적하는 것이 아니고 미리 설정해둔 촬영지역에 접근하였을 때에만 촬영지 접근 이벤트를 발생시키며, 이 경우에만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조회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시스템 자원관리 면에서 효율적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의한 특정 촬영지의 접근 이벤트를 검출하는 과정을 구현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의 과정은 [도 8]의 전체 프로세스에서 단계 (S140)의 제 2 실시예에 해당한다.
단계 (S421) : LTE 시스템(200)이 미리 지정된 특정 LTE 기지국(220)에 대해 제 2 스마트 단말(500)과의 LTE 신호 접속을 식별한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스마트 단말(500)은 각 지역별로 배치되어 있는 LTE 기지국(220)과 신호 접속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LTE 시스템(200)은 LTE 단말장치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을 위해서는 촬영지역에 대응하는 것으로 미리 지정된 특정의 LTE 기지국(220)과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접속하는 것을 특별하게 식별한다.
단계 (S422) : LTE 시스템(200)은 제 2 스마트 단말(500)과 접속한 LTE 기지국(220)의 커버리지 지역을 식별한다. LTE 시스템(200)은 LTE 기지국들이 어디에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다. 그에 따라, LTE 시스템(200)은 LTE 기지국 배치정보를 대비함으로써 제 2 스마트 단말(500)과 접속한 LTE 기지국(220)의 커버리지 지역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423, S424) : 제 2 스마트 단말(500)과 접속한 LTE 기지국(220)의 커버리지 지역에 기초하여 LTE 시스템(200)은 미디어 관리서버(100)로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이동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이렇게 제공되는 이동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특정의 촬영지에 접근하였음을 검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대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선정하고 이를 액티브 푸시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와 같은 [도 12]의 과정은 [도 8]의 전체 프로세스에서 단계 (S150)에 대응한다.
단계 (S510) : 먼저,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촬영지 접근 이벤트에서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을 식별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비콘(210) 기반이거나 혹은 LTE 기지국(220) 기반으로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특정의 촬영지에 접근하였음을 검출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520, S530) :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을 기준으로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검색한다.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는 다수의 제 1 스마트 단말(400)로부터 업로드된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이 저장되어 있다.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에 맞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이 "서울 명동"이라면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대하여 서울 명동에 대응되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다.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이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 검색 결과에 따라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에 맞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하나이상 추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이라고 부른다.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추출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540) :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이와 같이 추출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액티브 푸시 전송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면서 각 지역에서 촬영되었던 동영상 클립을 본인이 요구하지 않더라도 저절로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대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추출하는 과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와 같은 [도 13]의 과정은 [도 12]의 동영상 클립의 추출 및 전송 과정에서 단계 (S530)에 대응한다.
단계 (S5311) : 먼저,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 중에서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에 대응하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획득한다. 이들은 모두 현재 사용자의 방문지역에서 촬영된 미디어 콘텐츠의 동영상 클립에 해당한다.
단계 (S5312) :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제 2 스마트 단말(500)로부터 사용자 시선정보를 제공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스마트 단말(500)은 자이로 센싱 제공부(550)를 구비하고 있어 현재 사용자가 어떠한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증강현실(AR)과 같이 사용자가 제 2 스마드 단말(500)을 자신의 정면으로 똑바로 바라보도록 배치하였다면 사용자의 시선정보가 좀더 정확하게 획득될 것이다. 이에,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제 2 스마트 단말(500)로부터 사용자 시선정보를 제공받는다.
단계 (S5313) :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그 획득된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에 대한 카메라 시선정보를 획득한다.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의 장면(화면)에서 다리, 건물 등과 같은 주변의 지형지물이 놓여진 형상을 분석함으로써 미디어 콘텐츠를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의 시선을 어느정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에 자이로 센서가 부착되어 해당 정보를 미디어 콘텐츠에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헤더 영역에 삽입해주었고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그러한 메타 데이터를 식별해내는 것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촬영하고 있는 카메라 장치의 시선정보(카메라 시선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과정은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여유가 있을 때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미리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5314, S5315) :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앞서 단계 (S5311)에서 획득한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카메라 시선정보와 사용자 시선정보와의 매칭 정합성을 평가한다. 즉, 촬영장소를 기준으로 공통점이 있다고 판단된 복수 개의 동영상 클립들 중에서 사용자가 현재 바라보고 있는 상황과 문맥이 어느정도 맞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매칭 정합성이 미리 설정된 임계레벨을 만족시키는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추출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에 맞는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으로 설정한다. 즉, 사용자가 현재 바라보고 있는 상황(사용자의 눈 앞에 펼쳐지고 있는 모습)과 가장 문맥이 맞아떨어지는 동영상 클립 또는 일정 임계치를 만족시키는 동영상 클립을 선별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대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추출하는 과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와 같은 [도 14]의 과정은 [도 12]의 동영상 클립의 추출 및 전송 과정에서 단계 (S530)에 대응한다.
단계 (S5321) : 먼저,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 중에서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현재 방문 지역에 대응하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하나이상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추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계 (S5321)에서 추출된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편이상 제 1 동영상 클립이라고 부른다.
방문 지역에 대응하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선별해내는 과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리적 명칭(예: 경복궁, 광한루, 남이섬 등)을 기준으로 촬영지의 대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GPS 정보를 기반으로 물리적 거리가 일정 임계치(예: 1 KM)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촬영지의 대응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지역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일정 그룹의 비콘(210) 또는 일정 그룹의 LTE 기지국(220)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촬영지의 대응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단계 (S5322) : 다음으로,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의 히스토리를 조회하여 현재 방문 지역과 미디어 콘텐츠의 연관성을 갖는 이전 방문 지역을 추출한다.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 예컨대 영화 한편은 여러 지역에서 촬영이 이루어진다. 이에,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과거에 방문하였던 지역들 중에서 현재 방문 지역과 동일한 미디어 콘텐츠에서 노출된 연관성을 갖는 이전 방문 지역들을 추출한다.
이때, 현재 방문 지역과 이전 방문 지역은 지리적으로 근접한 곳일 수도 있지만 상당히 먼 거리에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마 스페인 광장과 트레비 분수와 같이 지리적으로 근접한 지점이 동일한 미디어 콘텐츠인 '로마의 휴일'에서 노출된 연관성으로 인해 단계 (S5322)에서 추출될 수 있다. 반면, 남이섬과 거제 외도는 지리적으로 굉장히 멀리 떨어져있는 지점이지만 동일한 미디어 콘텐츠인 '겨울 연가'에 노출된 연관성으로 인해 단계 (S5322)에서 추출될 수 있다.
단계 (S5323) :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 중에서 단계 (S5322)에서 추출된 이전 방문 지역에 대응하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갖는 하나이상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추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계 (S5323)에서 추출된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편이상 제 2 동영상 클립이라고 부른다.
단계 (S5324) :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1 동영상 클립과 제 2 동영상 클립을 그룹화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에 맞는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으로 설정한다.
즉, 사용자의 현재 방문 지점에서 촬영되었던 동영상 클립들(즉, 제 1 동영상 클립)을 사용자의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푸시시킬 뿐만 아니라, 해당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 사용자가 과거에 방문하였던 지점에서 촬영되었던 동영상 클립들(즉, 제 2 동영상 클립)까지 사용자에게 푸시하는 것이다. 이때, 제 1 동영상 클립은 메인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제 2 동영상 클립을 잠깐씩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미디어 콘텐츠를 상호 연계하에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리적 위치에 기반한 액티브한 동영상 클립 푸시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구현에 따라서는 제 1 동영상 클립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 때에는 직관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상과 같이 제 2 동영상 클립까지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미디어 콘텐츠와 방문 지역(관광지)에 대한 사용자의 연상 작용을 유발함으로써 더 놓은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적응적으로 재설정하여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전송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러한 [도 15]의 과정은 [도 12]의 동영상 클립의 추출 및 전송 과정에서 단계 (S540)에 대응한다.
단계 (S541) : 먼저,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을 식별한다.
단계 (S542) :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대한 디스플레이 특성을 디스커버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디바이스별 특성을 반영하여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최적으로 변환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세상에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장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디바이스별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일률적으로 제공하면 사용자(관광객)는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동영상 클립을 감상할 때 동영상 품질이 형편없다고 느끼거나 혹은 아예 동영상 재생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대한 디스플레이 특성(해상도, 화면사이즈, OS 종류)을 디스커버리한다.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설치된 앱(APP)에서 해당 정보를 미디어 관리서버(100)로 전달할 수도 있고 외부 서버(예: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 스마트 단말의 제조 또는 판매업체)로부터 해당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해상도와 화면사이즈, 특히 물리적인 인치 값 뿐만 아니라 종횡비(aspect ratio) 값은 동영상 재생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이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디스플레이 해상도와 화면사이즈에 맞지 않게 생성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동영상 클립을 감상할 때 그 만족도가 상당히 떨어진다.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동영상 재생 소프트웨어가 그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겠지만 한계가 있다. 또한, 화면사이즈에 따라서, 예컨대 4인치 디스플레이와 10인치 디스플레이에 따라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의 화면 구성을 달리할 수도 있다.
운영체제(OS)별로 최적으로 지원하는 동영상 코덱이 상이하기 때문에 OS 종류에 맞게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OS를 기준으로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에서의 동영상 재생 품질이 현격하게 저하되거나 혹은 아예 기술적으로 재생이 불가능하다는 에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사용자(관광객)이 현재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디스플레이 특성(해상도, 화면사이즈, OS 종류)을 디스커버리한다.
단계 (S543) :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디스플레이 특성에 따라 트랜스코딩함으로써 제 2 스마트 단말(500)을 위한 적응포맷 동영상 클립을 생성한다.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해상도나 화면 사이즈(종횡비, 화면 구성), OS별 동영상 코덱과 맞도록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트랜스코딩함으로써 제 2 스마트 단말(500)을 위한 적응포맷 동영상 클립을 재구성한다.
한편, 동영상 클립을 트랜스코딩하는 기술(알고리즘) 그 자체는 본 발명의 관심 대상이 아니고 기존에 제시되어 있는 트랜스코딩 기술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관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단계 (S544) :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적응포맷 동영상 클립을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액티브 푸시 전송한다. 제 2 스마트 단말(500)을 통해 적응포맷 동영상 클립을 감상할 수 있는 환경으로 억지로 만든다는 의미이며, 메세지 형식(예: MMS, 카카오톡)을 통할 수도 있고 그 외의 다른 기술(예: 구글플러스, 구글클라우드, 페이스북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든 종류의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 미디어 관리서버
110 : 미디어 데이터베이스
115 : 동영상 클립 수신부
120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25 : LTE 기반 진입식별부
130 : 비콘기반 진입식별부
135 : 동영상 클립 위치조회부
140 : 동영상 클립 푸시전송부
145 : 동영상 클립 적응변환부
150 : 동영상 클립 연계관리부
155 : 방문이력 저장관리부
160 : 동영상 클립 시선분석부
165 : 시선매칭 동영상 제공부
200 : LTE 시스템
210 : 비콘
220 : LTE 기지국
300 : 미디어 재생장치
310 : 미디어 재생 표시부
320 : 피킹 이벤트 수신부
330 : 동영상 클립 생성부
340 : 동영상 클립 제공부
400 : 제 1 스마트 단말
410 : 피킹 이벤트 식별부
420 : 피킹 이벤트 전송부
430 : 동영상 클립 수신부
440 : 촬영지 위치 입력부
450 : 촬영지 위치 마킹부
460 : 동영상 클립 업로드부
500 : 제 2 스마트 단말
510 : 비콘신호 식별보고부
520 : 동영상 클립 푸시수신부
530 : 방문지역 콘텐츠 표시부
540 : 방문지역 콘텐츠 선택부
550 : 자이로 센싱 제공부
560 : 사용자 시선정보 제공부

Claims (10)

  1. 미디어 재생장치(300)가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제 1 단계;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상기 재생중인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콘텐츠 피킹 및 촬영위치 정보 마킹을 수행함으로써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제 2 단계;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제공받아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구축하는 제 3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의한 촬영지 접근 이벤트를 검출하는 제 4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조회하여 해당 촬영지 접근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인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고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상기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액티브 푸시 전송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사용자 조작에 따른 콘텐츠 피킹 이벤트를 식별하여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300)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재생장치(300)가 상기 재생중인 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피킹 이벤트가 식별된 재생 지점에 대한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스마트 단말(400)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촬영지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촬영지 정보 입력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상기 입력된 촬영지 정보에 따른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상기 동영상 클립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스마트 단말(400)이 상기 동영상 클립과 상기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패키징하여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다수의 제 1 스마트 단말(400)로부터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업로드 제공받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상기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검색 기준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다수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으로부터 상기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LTE 시스템(200)이 미리 지정된 특정 LTE 기지국에 대해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과의 LTE 신호 접속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LTE 시스템(200)이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과 접속한 상기 LTE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LTE 시스템(200)으로부터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이동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이동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특정의 촬영지에 접근하였음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촬영지 접근 이벤트에서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을 식별하는 제 51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상기 방문 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를 검색하는 제 52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방문 지역에 맞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이하,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이라 함)을 추출하는 제 53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상기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액티브 푸시 전송하는 제 54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53 단계는,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 중에서 상기 방문 지역에 대응하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로부터 사용자 시선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에 대한 카메라 시선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카메라 시선정보와 상기 사용자 시선정보와의 매칭 정합성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 중에서 상기 매칭 정합성이 미리 설정된 임계레벨을 만족시키는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을 추출하여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상기 방문 지역에 맞는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53 단계는,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 중에서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현재 방문 지역에 대응하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제 1 동영상 클립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방문 지역의 히스토리를 조회하여 현재 방문 지역과 미디어 콘텐츠의 연관성을 갖는 이전 방문 지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위치마킹 동영상 클립 중에서 상기 이전 방문 지역에 대응하는 촬영위치 메타 정보를 갖는 제 2 동영상 클립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제 1 동영상 클립과 상기 제 2 동영상 클립을 그룹화하여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의 상기 방문 지역에 맞는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54 단계는,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에 대한 디스플레이 특성을 디스커버리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방문지역 동영상 클립을 상기 디스플레이 특성에 따라 트랜스코딩함으로써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을 위한 적응포맷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적응포맷 동영상 클립을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로 액티브 푸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비콘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상기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근방에 배치된 비콘(210)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상기 비콘의 식별 결과를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비콘의 식별 결과로부터 비콘 고유식별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관리서버(100)가 상기 비콘 고유식별정보를 비콘 배치정보에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스마트 단말(500)이 특정의 촬영지에 접근하였음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9. 삭제
  10. 컴퓨터에 청구항 1, 3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1020160172648A 2016-12-16 2016-12-16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KR101866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648A KR101866797B1 (ko) 2016-12-16 2016-12-16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648A KR101866797B1 (ko) 2016-12-16 2016-12-16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797B1 true KR101866797B1 (ko) 2018-06-12

Family

ID=6262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648A KR101866797B1 (ko) 2016-12-16 2016-12-16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5151A (zh) * 2020-01-20 2020-06-02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智能终端、拍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634A (ko) * 2011-10-06 2013-04-16 백유경 사용자에게 여행 장소와 연관된 대중 문화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18305B1 (ko) * 2014-01-07 2015-05-0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정보 연동 영상콘텐츠 제작방법 및 위치정보 연동 영상콘텐츠 활용방법
KR20160074736A (ko) * 2014-12-17 2016-06-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3차원 장애물 안내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위 정보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634A (ko) * 2011-10-06 2013-04-16 백유경 사용자에게 여행 장소와 연관된 대중 문화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18305B1 (ko) * 2014-01-07 2015-05-0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정보 연동 영상콘텐츠 제작방법 및 위치정보 연동 영상콘텐츠 활용방법
KR20160074736A (ko) * 2014-12-17 2016-06-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3차원 장애물 안내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위 정보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5151A (zh) * 2020-01-20 2020-06-02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智能终端、拍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225151B (zh) * 2020-01-20 2024-04-30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智能终端、拍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9201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playlist based on user location
AU20132030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ing data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US20180124446A1 (en) Video Broadcasting Through Selected Video Hosts
US9538238B2 (en) Collective broadcasting based on geo-localized video streaming
US200402036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service delivery to mobile devices
US201403176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elevision programs
US20090111434A1 (en) Mobile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KR101384668B1 (ko) 하이브리드앱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실시간 라이브방송을 제공하는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549535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489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KR20140118605A (ko) 증강 객체를 전송하는 서버 및 방법
JP2009038481A (ja) データ送信装置、受信装置、データ送受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2174865A1 (zh) 实现移动增强现实业务的系统及方法、终端及服务器
WO2013029388A1 (zh) 访问增强现实用户上下文的方法
CN105898424A (zh) 视频推荐方法、系统以及服务器
CN104426957A (zh) 配置参数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CN104301746A (zh) 视频文件处理、服务器及客户端
KR101843815B1 (ko) 비디오 클립간 중간영상 ppl 편집 플랫폼 제공 방법
KR101866797B1 (ko)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JP201919793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30014185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8085981B2 (en) Object perception method and a related perceiving device
KR20170131151A (ko)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 및 그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12704B1 (ko) Ppl-db 기반의 키오스크 사이니지용 인터렉션 플랫폼 제공 방법
KR20160124365A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카메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 표출 시스템과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