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151A -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 및 그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 및 그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151A
KR20170131151A KR1020160075410A KR20160075410A KR20170131151A KR 20170131151 A KR20170131151 A KR 20170131151A KR 1020160075410 A KR1020160075410 A KR 1020160075410A KR 20160075410 A KR20160075410 A KR 20160075410A KR 20170131151 A KR20170131151 A KR 20170131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pl
location
server
character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화섭
김철민
강민구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3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신호와 비콘 신호를 조합 활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그 지점에서 촬영한 드라마 콘텐츠의 동영상 클립을 탐색하여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단말장치의 전용 어플리케이션(PPL 연동 앱)에 제공함으로써 드라마 콘텐츠를 지역별 간접광고로 연동시키는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PPL 연동 앱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이미지를 제공받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PPL용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를 래핑 방식으로 대체한 후 인코딩함으로써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특정의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에게 자신이 연기자로 출연하여 드라마 콘텐츠를 촬영한 듯한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 및 그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Location-based PPL-interworking platform system for LTE-eMBMS, and PPL-interworking service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기술로서 드라마 콘텐츠의 촬영 위치와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합시켜 드라마 콘텐츠를 해당 지역에 대한 간접광고(PPL, Product Placement)로 연동시키는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GPS 신호와 비콘 신호를 조합 활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그 지점에서 촬영한 드라마 콘텐츠의 동영상 클립을 탐색하여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단말장치의 전용 어플리케이션(PPL 연동 앱)에 제공함으로써 드라마 콘텐츠를 지역별 간접광고로 연동시키는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PPL 연동 앱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이미지를 제공받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PPL용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를 래핑(wrapping) 방식으로 대체한 후 인코딩함으로써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특정의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에게 자신이 연기자로 출연하여 드라마 콘텐츠를 촬영한 듯한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종영된 KBS의 <태양의 후예> 및 2014년 SBS <별에서 온 그대>의 중국 열풍으로 거세진 중국발 한류 바람은 이제는 공동 제작, 웹드라마 시장 활성화 등으로 확산되어 한류 3.0 시대에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으며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최대 화두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고성능의 스마트 멀티미디어 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전문 드라마 제작자들이 아니더라도 웹툰, 웹소설처럼 누구나 쉽게 웹드라마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었다. 웹드라마는 웹이라는 접근하기 쉬운 사용자 환경으로 인해 빠른 인지도 상승과 해외 파급력이 높으며 일부 웹드라마는 이미 드라마 한류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처럼 기존의 방송사뿐만 아니라 웹드라마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방송 컨텐츠가 만들어지고 있는데, 이들 방송 컨텐츠의 제작 비용을 보전하는 목적 내지 방송 컨텐츠를 통한 수익창출의 목적을 위해 PPL (Product Placement) 간접광고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주로 국내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PPL을 구성하였으나 향후에는 해외 시청자를 중요하게 고려하여 PPL 간접광고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류콘텐츠가 중국과 동남아, 남미를 비롯하여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데, 이들 인기 한류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그에 따라 이들과 연계하여 구성한 PPL 간접광고의 효과도 좋을 것으로 기대한다.
장아름 "eMBMS(LTE Broadcast) 특징 및 추진 동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동향 제27권 23호 통권 614호, 2015.12 김주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광고 컨텐츠에 관한 연구", 한경대학교 대학운 석사학위, 2005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캐릭터 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본 발명의 목적은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기술로서 드라마 콘텐츠의 촬영 위치와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합시켜 드라마 콘텐츠를 해당 지역에 대한 간접광고로 연동시키는 플랫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GPS 신호와 비콘 신호를 조합 활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그 지점에서 촬영한 드라마 콘텐츠의 동영상 클립을 탐색하여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단말장치의 PPL 연동 앱에 제공함으로써 드라마 콘텐츠를 지역별 간접광고로 연동시키는 플랫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PPL 연동 앱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이미지를 제공받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PPL용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를 래핑 방식으로 대체한 후 인코딩함으로써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플랫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특정의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에게 자신이 연기자로 출연하여 드라마 콘텐츠를 촬영한 듯한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드라마 콘텐츠를 해당 지역에 대한 간접광고(PPL)로 연동시키기 위한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드라마 콘텐츠에 관한 다수의 동영상 클립을 각각의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특정의 지리적 위치가 포함된 요구 메세지가 들어오면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비교하여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가 연결된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여 응답 메세지로 제공하는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 스마트 단말장치에 설치되며,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하여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제공하고,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해당 지리적 위치에 관한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제공받아 단말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PPL 연동 앱(100); PPL 연동 앱과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매개하는 서버 장치로서, PPL 연동 앱으로부터 수신한 지리적 위치를 포함시켜 요구 메세지로서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하고,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여 응답 메세지로서 수신한 동영상 클립을 지리적 위치에 관한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으로서 PPL 연동 앱으로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 제공하는 위치기반 PPL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PPL 연동 앱(100)은 사용자의 신체에 관련된 이미지인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위치기반 PPL 서버에 대해 제공하고, 그에 대응하여 위치기반 PPL 서버로부터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활용하여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변형하여 생성한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제공받아 단말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하고, 위치기반 PPL 서버(200)는,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저장하는 원본 PPL 저장부(211)와,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저장하는 사용자 이미지 저장부(213)와,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 이미지를 래핑 방식으로 사용자 객체 이미지로 대체하고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으로 인코딩하는 주문형 PPL 생성부(214)와, 그 인코딩된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PPL 연동 앱으로 제공하는 주문형 PPL 출력부(215)를 구비하는 주문형 PPL 생성 모듈(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위치기반 PPL 서버(200)는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캐릭터 이미지의 화면상 위치 및 크기,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을 포함하는 캐릭터 메타정보를 저장하는 캐릭터 메타정보 저장부(2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문형 PPL 생성부(214)는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 이미지를 캐릭터 메타정보의 위치 및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에서 식별하고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캐릭터 메타정보의 방향 정보에 정합하여 변환 렌더링한 후 래핑 방식으로 캐릭터 이미지를 사용자 객체 이미지로 대체하고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드라마 콘텐츠에 관한 다수의 동영상 클립을 각각의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는 PPL 클라우드 서버(320); 위치기반 PPL 서버로부터 특정의 지리적 위치가 포함된 요구 메세지를 수신하면 PPL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다수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비교하여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를 갖는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여 응답 메세지로서 위치기반 PPL 서버로 제공하는 PPL 영상관리 서버(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라마 콘텐츠의 촬영 위치와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합시켜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드라마 콘텐츠를 해당 지역에 대한 간접광고(PPL)로 연동시키기 위한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가 드라마 콘텐츠에 관한 다수의 동영상 클립을 각각의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장치에 설치된 PPL 연동 앱(100)이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PPL 연동 앱(100)이 지리적 위치를 위치기반 PPL 서버(200)로 제공하는 단계; 위치기반 PPL 서버(200)가 PPL 연동 앱으로부터 수신한 지리적 위치를 포함시켜 생성한 요구 메세지를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가 요구 메세지에 포함된 지리적 위치를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비교하여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가 연결된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는 단계;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가 그 획득한 동영상 클립을 포함시켜 생성한 응답 메세지를 위치기반 PPL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위치기반 PPL 서버(200)가 응답 메세지로서 수신한 동영상 클립을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으로서 PPL 연동 앱으로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 제공하는 단계; PPL 연동 앱(100)이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제공받아 단말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PPL 연동 앱(100)이 사용자의 신체에 관련된 이미지인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위치기반 PPL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위치기반 PPL 서버의 원본 PPL 저장부(211)가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임시로 저장하는 단계; 위치기반 PPL 서버의 사용자 이미지 저장부(213)가 PPL 연동 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임시로 저장하는 단계; 위치기반 PPL 서버의 주문형 PPL 생성부(214)가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 이미지를 래핑 방식으로 사용자 객체 이미지로 대체하고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위치기반 PPL 서버의 주문형 PPL 출력부(215)가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PPL 연동 앱으로 제공하는 단계; PPL 연동 앱(100)이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단말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기반 PPL 서버의 캐릭터 메타정보 저장부(212)가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캐릭터 이미지의 화면상 위치 및 크기,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을 포함하는 캐릭터 메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위치기반 PPL 서버의 주문형 PPL 생성부(214)가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 이미지를 캐릭터 메타정보의 위치 및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에서 식별하고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캐릭터 메타정보의 방향 정보에 정합하여 변환 렌더링한 후 래핑 방식으로 캐릭터 이미지를 사용자 객체 이미지로 대체하고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치한 지점에서 촬영한 드라마 콘텐츠의 동영상 클립을 탐색하여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단말장치의 PPL 연동 앱에 제공함으로써 드라마 콘텐츠를 지역별 간접광고로 연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외국 관광객에게 자신이 현재 눈으로 보고 있는 그 풍경이 배경으로 나오는 드라마 콘텐츠에 관광객 본인이 연기자로 출연하는 동영상 클립을 통해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 해당 지역에 대한 간접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라마 컨텐츠의 제작사들이 PPL 간접광고를 통해 부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LTE-eMBMS의 LTE 주파수 할당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 인프라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주문형 PPL 생성 모듈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세밀하게 계측하기 위해 비콘 디바이스가 설치된 현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PPL 연동 앱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드라마 컨텐츠의 동영상 클립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LTE 주파수를 시분할 할당함으로써 평상시, 특별 이벤트, 심야 시간대 등과 같은 다양한 방송 상황에 대응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 인프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러한 LTE-eMBMS 인프라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에서 양호하게 채택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이 도입됨에 따라 이동방송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이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초기에는 위성 DMB와 지상파 DMB를 통한 이동방송이 제시되었으나 이동통신망이 고속화하고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방안이 주류가 되었다.
그에 따라, 2005년 3GPP Release-6에서 MBMS (Multimedia Broadcast & Multicast Service) 규격이 제시되었다. MBMS 규격은 WCDMA 기반으로 스트리밍 서비스,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 캐로셀(Carouse1)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기술이다.
또한, 2009년 3GPP Release-9 (LTE/SAE)에서 기존의 MBMS를 보완한 eMBMS (Evolved-MBMS) 규격이 제시되었다. 이때 eMBMS 규격은 OFDM 기반의 확장된 대역폭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기술이며, 다이버시티 기술의 하나인 MBSFN (Multicast-Broadcast Single-Frequency Network) 기술을 이용하여 고효율 방송이 가능하다.
LTE-eMBMS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LTE (Long Term Evolution) 망을 이용하여 eMBMS 방식의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현재 LTE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 전국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LTE 기지국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평상시에는 LTE 주파수를 전화나 데이터 통신에 전부 할당하였다가, 특별 이벤트(예: 월드컵, 올림픽)가 열리거나 심야 시간대가 되면 LTE-eMBMS 방송 정책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스트리밍, 브로드캐스트 파일 송수신, 전화 및 일반 데이터 전송에 선택적으로 시분할 할당한다. eMBMS는 TDD/FDD를 지원하며 수요에 따라 유니캐스트 방식과 브로드캐스트 방식을 자유롭게 전환해 LTE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현재의 LTE-eMBMS 방송 규격에 따르면 LTE 리소스 중 FDD의 경우 최대 60%, TDD의 경우 최대 50%까지 eMBMS 트래픽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LTE 기지국을 묶어서 MBSFN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구역에 특정의 방송을 동일하게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MBSFN 영역은 eMBMS 방송 서비스의 영역을 정의한다.
이와 같은 eMBMS의 특성을 활용하면 장소별 방송(예: 특정 경기장 내부에 대한 방송 서비스), 지역별 방송(예: 서울지역에 대한 방송 서비스), 전국 방송(예: 긴급속보, 재난방송), 개인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방송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그에 따라, LTE-eMBMS에 기초하여 모바일 방송 서비스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제공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처럼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 인프라가 구축됨에 따라 특히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스마트폰을 통하여 방송 서비스를 양방향으로 인터렉티브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도 이와 같은 LTE-eMBMS의 장점을 활용하여 PPL 연동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러한 LTE-eMBMS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LTE 단말기에 eMBMS 미들웨어와 API, APP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고 LTE 망 인프라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가 구축되어야 한다.
[도 2]에서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UE(User equipment), S-GW(Serving Gateway), eNB(evolved NodeB; e-NodeB),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BSF(Bootstrapping Server Function), HSS(Home Subscriber Server)는 일반적인 LTE 망 인프라이다.
한편, [도 2]에서 BM-SC(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 MCE (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 MBMS GW(eMBMS Gateway)는 eMBMS를 구현하기 위해 LTE 망 인프라에 추가로 적용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성하는 각종 장비들의 기능과 역할은 LTE-eMBMS 분야에서는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그 위치가 드라마 콘텐츠를 촬영한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 위치에서 촬영한 드라마 콘텐츠의 동영상 클립(이하,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이라 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은 PPL 연동 앱(100), 위치기반 PPL 서버(200),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은 [도 2]에서 살펴보았던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해외 관광객을 타겟으로 하는 모바일 미디어 비지니스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먼저, PPL 연동 앱(100)은 스마트 단말장치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사용자가 위치한 지점에서 촬영된 드라마 콘텐츠의 동영상 클립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제공한다. 이때, 스마트 단말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이다.
즉, PPL 연동 앱(100)은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하여 후술하는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로 제공하고,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로부터 해당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단말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한다.
이때, PPL 연동 앱(100)은 GPS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개략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PPL 연동 앱(100)은 미리 설정된 특정의 지역별로 미리 설치되어 있는 비콘이 송출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상대적으로 세밀하게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사용자(예: 관광객)가 드라마 촬영지에 도착하면 PPL 연동 앱(100)은 GPS 신호와 비콘 신호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를 인지하고,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 장치 등에 LTE망이나 WIFI망에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면서 관광정보와 PPL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PPL 연동 앱(100)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만 구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기능 장치, 예컨대 옥외용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나 오토모빌용 미디어 장치 등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이들 장치에 구현되어 여러 드라마 촬영지에 위치함으로써 LTE-eMBMS 모바일 방송 환경에서 드라마, 영화, 홍보 영상, 광고, PPL 연계 게임, 재난재해 방송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에 대해 살펴본다.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드라마 콘텐츠에 관한 다수의 동영상 클립(예: 30초 분량)을 각각의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한다. 이때, 촬영지점 메타정보는 해당 동영상 클립이 실제로 촬영된 지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예컨대 GPS 값의 형태가 될 수도 있고 비콘 디바이스 식별정보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PPL 연동 앱(100)으로부터 특정의 지리적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요구 메세지(request message)가 들어오면 자신이 관리하는 다수의 동영상 클립과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 해당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를 찾으면, 그 발견한 촬영지점 메타정보가 연결되어 있는 드라마 콘텐츠의 동영상 클립, 즉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포함시켜 응답 메세지(response message)의 형태로 PPL 연동 앱(100)으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드라마 콘텐츠에 관한 다수의 동영상 클립을 각각의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는 PPL 클라우드 서버(320)와, 외부로부터 특정의 지리적 위치가 요구 메세지로 들어오면 다수의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비교하여 그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를 갖는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여 응답 메세지로 제공하는 PPL 영상관리 서버(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동영상 클립을 획득한다'는 것은 동영상 클립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자체, 예컨대 AVI 파일 내지 MPEG 스트림을 획득하는 기술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영상 클립을 활용하기 위한 정보, 예컨대 URL을 획득하는 기술도 포함하는 용어로서 사용되었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 '동영상 클립을 포함시킨다'는 것은 동영상 클립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자체, 예컨대 AVI 파일 내지 MPEG 스트림을 포함시키는 기술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영상 클립을 활용하기 위한 정보, 예컨대 URL을 포함시키는 기술도 포함하는 용어로서 사용되었다.
이때, PPL 영상관리 서버(310)는 PPL 클라우드 서버(320)가 저장하는 다수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를 외부의 관리자가 수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PPL 영상관리 서버(310)는 PPL 클라우드 서버(320)가 저장하는 다수의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드라마 출연자(캐릭터)에 관한 메타정보를 외부의 관리자가 수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캐릭터 메타정보는 캐릭터 이미지의 화면상 위치 및 크기,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 등에 관한 정보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는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데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위치기반 PPL 서버(200)에 대해 살펴본다. 위치기반 PPL 서버(200)는 PPL 연동 앱(100)과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를 매개하는 서버 장치이다. 즉, 위치기반 PPL 서버(200)는 PPL 연동 앱(100)으로부터 지리적 위치 정보가 전달되면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로 전달하여 지리적 위치 정보를 요구 메세지로서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로 전달한다. 또한,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로부터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응답 메세지의 형태로 수신하면 이를 PPL 연동 앱(100)으로 스트리밍 제공한다.
또한, 위치기반 PPL 서버(200)는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주문형 PPL 생성 모듈(210)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PPL 연동 앱(100)을 통해 자신의 신체 이미지(예: 얼굴 사진)(이하, '사용자 객체 이미지'라 함)를 제공하면, 주문형 PPL 생성 모듈(210)은 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PPL용 동영상 클립, 즉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를 래핑(wrapping) 방식으로 사용자 객체 이미지로 대체한 후 인코딩함으로써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생성한다.
위치기반 PPL 서버(200)는 이렇게 생성된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PPL 연동 앱(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관광객들은 현재 눈으로 보고있는 풍광을 배경으로 하여 자신이 드라마 콘텐츠에 연기자로 출연한 듯한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때,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 서비스가 유료로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PPL 연동 앱(100)과 위치기반 PPL 서버(200)는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 주문을 위한 결제 모듈을 구현한다. 결제 기술로는 생체인증을 통할 수도 있고 카드결제나 모바일 결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인코딩하는 주문형 PPL 생성 모듈(210)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의 이용 예로는, 사용자가 관광지에 도착하여 그 지점에 관련된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PPL 연동 앱(100)으로 감상한 후에 자신의 얼굴 사진을 찍어서 PPL 연동 앱(100)을 이용하여 위치기반 PPL 서버(200)로 업로드하면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은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를 사용자 객체 이미지로 래핑, 즉 덮어 씌워서 대체한 후 다시 인코딩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객체 이미지(예: 자신의 얼굴 사진)를 사용자 객체 이미지라고 부른다.
[도 4]를 참조하면 주문형 PPL 생성 모듈(210)은 원본 PPL 저장부(211), 캐릭터 메타정보 저장부(212), 사용자 이미지 저장부(213), 주문형 PPL 생성부(214), 주문형 PPL 출력부(215)로 구성된다.
먼저, 원본 PPL 저장부(211)는 사용자가 방금 전에 확인하였던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임시로 저장한다.
캐릭터 메타정보 저장부(212)는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이미지, 즉 캐릭터 이미지에 관한 이미지 처리를 보조하기 위한 속성 정보를 저장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속성 정보를 캐릭터 메타정보라고 부르는데, 캐릭터 메타정보는 캐릭터 이미지의 화면상 위치 및 크기,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을 포함한다.
사용자 이미지 저장부(213)는 주문형 PPL 동영상 서비스를 요청하면서 사용자가 PPL 연동 앱(100)을 통해 업로드 제공하는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임시로 저장한다. 사용자 객체 이미지의 바람직한 예로는 사용자 자신의 얼굴을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들 수 있다.
주문형 PPL 생성부(214)는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 이미지를 사용자 객체 이미지로 적절하게 덮어 씌우는 방식, 즉 래핑 방식으로 대체하고 이를 다시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으로 인코딩한다.
이때, 주문형 PPL 생성부(214)는 캐릭터 메타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 이미지 래핑을 좀더 정교하게 달성하여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주문형 PPL 생성부(214)는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 이미지를 캐릭터 메타정보의 위치 및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의 화면에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캐릭터 메타정보의 방향 정보에 정합하여 변환 렌더링한 후에 캐릭터 이미지를 사용자 객체 이미지로 덮어 씌어 대체한다.
주문형 PPL 출력부(215)는 주문형 PPL 생성부(214)가 인코딩한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PPL 연동 앱(100)으로 제공한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100) :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가 드라마 콘텐츠에 관한 다수의 동영상 클립(예: 30초 분량)을 각각의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한다. 이때, 촬영지점 메타정보는 해당 동영상 클립이 실제로 촬영된 지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S110, S120) : 스마트 단말장치에 설치된 PPL 연동 앱(100)이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한다. PPL 연동 앱(100)이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은 GPS 신호에 기초할 수도 있고 비콘 디바이스 식별정보에 기초할 수도 있는데, 이들을 조합하여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PPL 연동 앱(100)은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위치기반 PPL 서버(200)로 제공한다.
단계 (S130, S140) : 위치기반 PPL 서버(200)는 PPL 연동 앱(100)으로부터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수신하면, 그 지리적 위치를 미리 설정된 특정의 필드에 포함시켜 요구 메세지를 생성하고 이를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로 전달한다.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위치기반 PPL 서버(200)로부터 요구 메세지를 수신하면 이를 파싱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나서,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미리 저장하고 있던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비교하여 당해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가 연결되어 있는 동영상 클립을 획득한다.
단계 (S150) :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그 획득한 동영상 클립을 미리 설정된 특정의 필드에 포함시켜 응답 메세지를 생성하고 이를 위치기반 PPL 서버(200)로 제공한다.
단계 (S160) : 위치기반 PPL 서버(200)는 이렇게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동영상 클립을 앞서 단계 (S120)에서 PPL 연동 앱(100)이 제공한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PPL용 동영상 클립, 즉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으로서 PPL 연동 앱(100)으로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 제공한다.
단계 (S170) : PPL 연동 앱(100)은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제공받아 단말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한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관광객들은 현재 눈으로 보고있는 풍광을 배경으로 하여 촬영되었던 유명한 드라마 컨텐츠를 관광지 현장에서 풍광을 보면서 감상할 수 있게 되어 그 지역에 대한 관광 만족도가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은 사용자가 관광지에 도착하여 그 지점에 관련된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PPL 연동 앱(100)으로 감상한 후에 자신의 얼굴 사진을 찍어서 PPL 연동 앱(100)을 통해 위치기반 PPL 서버(200)로 업로드하면 위치기반 PPL 서버(200)가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여 PPL 연동 앱(100)으로 제공한다.
위치기반 PPL 서버(200)는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기능적 구성요소인 주문형 PPL 생성 모듈(210)을 구비하는데,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주문형 PPL 생성 모듈(210)은 원본 PPL 저장부(211), 캐릭터 메타정보 저장부(212), 사용자 이미지 저장부(213), 주문형 PPL 생성부(214), 주문형 PPL 출력부(215)로 구성된다.
단계 (S200) : 사용자가 PPL 연동 앱(1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관련된 이미지(예: 얼굴 사진)인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위치기반 PPL 서버(200)로 업로드 제공한다.
단계 (S210) : 주문형 PPL 생성 모듈(210)의 원본 PPL 저장부(211)는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기 위한 원본 동영상에 해당하는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임시 저장한다.
단계 (S220) : 주문형 PPL 생성 모듈(210)의 캐릭터 메타정보 저장부(212)는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이미지, 즉 캐릭터 이미지에 관한 이미지 처리를 보조하기 위한 속성 정보를 저장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속성 정보를 캐릭터 메타정보라고 부르는데, 캐릭터 메타정보는 캐릭터 이미지의 화면상 위치 및 크기,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을 포함한다.
단계 (S230) : 주문형 PPL 생성 모듈(210)의 사용자 이미지 저장부(213)는 주문형 PPL 동영상 서비스를 요청하면서 사용자가 PPL 연동 앱(100)을 통해 업로드 제공하는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임시로 저장한다. 사용자 객체 이미지의 바람직한 예로는 사용자 자신의 얼굴을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들 수 있다.
단계 (S240 ~ S260) : 주문형 PPL 생성 모듈(210)의 주문형 PPL 생성부(214)는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 이미지를 사용자 객체 이미지로 적절하게 덮어 씌우는 방식, 즉 래핑 방식으로 대체하고 이를 다시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으로 인코딩한다.
이때, 주문형 PPL 생성부(214)는 캐릭터 메타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 이미지 래핑을 좀더 정교하게 달성하여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주문형 PPL 생성부(214)는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 이미지를 캐릭터 메타정보의 위치 및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의 화면에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캐릭터 메타정보의 방향 정보에 정합하여 변환 렌더링한 후에 캐릭터 이미지를 사용자 객체 이미지로 덮어 씌어 대체한다.
단계 (S270) : 주문형 PPL 생성 모듈(210)의 주문형 PPL 출력부(215)는 주문형 PPL 생성부(214)가 인코딩한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PPL 연동 앱(100)으로 제공한다.
단계 (S280) : PPL 연동 앱(100)이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제공받아 단말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한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관광객들은 현재 눈으로 보고있는 풍광을 배경으로 하여 자신이 드라마 콘텐츠에 연기자로 출연한 듯한 특별한 경험을 즐길 수 있게 되어 그 지역에 대한 관광 만족도가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상대적으로 세밀하게 계측하기 위하여 비콘 디바이스가 설치된 현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서 GPS 신호와 비콘 신호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위치를 식별한다. 그런데, GPS 신호를 통해 측정한 위치는 수십 미터 정도까지의 오차가 발생할 개연성이 있으므로 좀더 정밀한 위치를 측정하거나 실내에서 좁은 구역을 구별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그에 따라, 이러한 목적으로는 미리 설정된 특정의 지역에 대해 비콘 디바이스를 미리 설치해두고 이들이 송출하는 비콘 신호를 활용한다.
예를 들면, [도 7]에서 스마트 단말장치가 김포공항 근방에 있는지는 GPS 신호로도 충분히 식별할 수 있지만, 김포공항의 내에서 정확히 어느 건물에 있는지, 그 건물에서 몇 층에 위치하는지, 그리고 정확히 어느 구역에 위치하는지는 GPS 신호로는 식별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이처럼 세밀한 위치 식별을 위해서는 비콘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해당 지점마다 비콘이 미리 설치되어 있다.
비콘 디바이스는 자신의 고유 식별정보를 비콘 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하므로 스마트 단말장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그 비콘 신호를 파싱한 후에 비콘 디바이스 식별정보를 비콘 설치정보에 조회함으로써 자신의 지리적 위치를 매우 세밀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한 후에는 그 지점에서 촬영한 드라마 콘텐츠의 동영상 클립, 즉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PPL 연동 앱(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관광객은 그 지점에서 촬영하였던 한류 드라마의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해 좋은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드라마 촬영위치 기반으로 드라마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제공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인 PPL 연동 앱(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장치에 설치된 PPL 연동 앱(100)의 화면에는 지도(예: 구글 지도와 연동)가 표시되는데, 그 지도 상에는 드라마 촬영 지점이 특별한 표시로 마킹된다.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장치를 소지한 상태로 해당 드라마 촬영 지점을 방문하게 되면 PPL 연동 앱(100)이 GPS 신호 및 비콘 신호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위치기반 PPL 서버(200)와 연동하여 해당 위치에서 촬영한 드라마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해준다.
[도 9]은 본 발명에서 드라마 촬영위치 기반으로 드라마 컨텐츠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장치를 소지한 상태로 강릉 선교장과 평창 컨벤션 센터를 방문하였을 때 PPL 연동 앱(100)에 표시된 드라마 컨텐츠가 (a)와 (b)에 도시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Claims (8)

  1. 드라마 콘텐츠의 촬영 위치와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합시켜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드라마 콘텐츠를 해당 지역에 대한 간접광고(PPL)로 연동시키기 위한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드라마 콘텐츠에 관한 다수의 동영상 클립을 각각의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특정의 지리적 위치가 포함된 요구 메세지가 들어오면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가 연결된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여 응답 메세지로 제공하는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
    스마트 단말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하여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해당 지리적 위치에 관한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제공받아 단말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PPL 연동 앱(100);
    상기 PPL 연동 앱과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매개하는 서버 장치로서, 상기 PPL 연동 앱으로부터 수신한 지리적 위치를 포함시켜 요구 메세지로서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여 응답 메세지로서 수신한 상기 동영상 클립을 상기 지리적 위치에 관한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으로서 상기 PPL 연동 앱으로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 제공하는 위치기반 PPL 서버(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PL 연동 앱(100)은 사용자의 신체에 관련된 이미지인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에 대해 제공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활용하여 상기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변형하여 생성한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제공받아 단말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하고,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200)는, 상기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저장하는 원본 PPL 저장부(211)와, 상기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저장하는 사용자 이미지 저장부(213)와, 상기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 이미지를 래핑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객체 이미지로 대체하고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으로 인코딩하는 주문형 PPL 생성부(214)와, 상기 인코딩된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상기 PPL 연동 앱으로 제공하는 주문형 PPL 출력부(215)를 구비하는 주문형 PPL 생성 모듈(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200)는 상기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캐릭터 이미지의 화면상 위치 및 크기,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을 포함하는 캐릭터 메타정보를 저장하는 캐릭터 메타정보 저장부(21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문형 PPL 생성부(214)는 상기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 이미지를 상기 캐릭터 메타정보의 위치 및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에서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상기 캐릭터 메타정보의 방향 정보에 정합하여 변환 렌더링한 후 래핑 방식으로 상기 캐릭터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객체 이미지로 대체하고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으로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는,
    드라마 콘텐츠에 관한 다수의 동영상 클립을 각각의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는 PPL 클라우드 서버(320);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로부터 특정의 지리적 위치가 포함된 요구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PPL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다수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를 갖는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여 응답 메세지로서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로 제공하는 PPL 영상관리 서버(3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
  5. 드라마 콘텐츠의 촬영 위치와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실시간으로 정합시켜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드라마 콘텐츠를 해당 지역에 대한 간접광고(PPL)로 연동시키기 위한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가 드라마 콘텐츠에 관한 다수의 동영상 클립을 각각의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
    스마트 단말장치에 설치된 PPL 연동 앱(100)이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하는 제 2 단계;
    상기 PPL 연동 앱(100)이 상기 지리적 위치를 위치기반 PPL 서버(200)로 제공하는 제 3 단계;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200)가 상기 PPL 연동 앱으로부터 수신한 지리적 위치를 포함시켜 생성한 요구 메세지를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하는 제 4 단계;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가 상기 요구 메세지에 포함된 지리적 위치를 상기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가 연결된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는 제 5 단계;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가 상기 획득한 동영상 클립을 포함시켜 생성한 응답 메세지를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로 제공하는 제 6 단계;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200)가 상기 응답 메세지로서 수신한 상기 동영상 클립을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으로서 상기 PPL 연동 앱으로 LTE-eMBMS 모바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 제공하는 제 7 단계;
    상기 PPL 연동 앱(100)이 상기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제공받아 단말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PPL 연동 앱(100)이 사용자의 신체에 관련된 이미지인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로 제공하는 제 A 단계;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의 원본 PPL 저장부(211)가 상기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을 임시로 저장하는 제 B 단계;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의 사용자 이미지 저장부(213)가 상기 PPL 연동 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상기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임시로 저장하는 제 C 단계;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의 주문형 PPL 생성부(214)가 상기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 이미지를 래핑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객체 이미지로 대체하고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으로 인코딩하는 제 D 단계;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의 주문형 PPL 출력부(215)가 상기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상기 PPL 연동 앱으로 제공하는 제 E 단계;
    상기 PPL 연동 앱(100)이 상기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을 단말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제 F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D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의 캐릭터 메타정보 저장부(212)가 상기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대하여 캐릭터 이미지의 화면상 위치 및 크기,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을 포함하는 캐릭터 메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D 단계에서 상기 위치기반 PPL 서버의 주문형 PPL 생성부(214)는 상기 위치기반 PPL 동영상 클립에 원래 포함되어 있는 등장 인물의 캐릭터 이미지를 상기 캐릭터 메타정보의 위치 및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에서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객체 이미지를 상기 캐릭터 메타정보의 방향 정보에 정합하여 변환 렌더링한 후 래핑 방식으로 상기 캐릭터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객체 이미지로 대체하고 주문형 PPL 동영상 클립으로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8. 컴퓨터에 청구항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075410A 2016-05-19 2016-06-17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 및 그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1311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718 2016-05-19
KR20160061718 2016-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151A true KR20170131151A (ko) 2017-11-29

Family

ID=6081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410A KR20170131151A (ko) 2016-05-19 2016-06-17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 및 그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11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343B1 (ko) * 2021-09-23 2022-09-01 여태환 통신 시스템에서 오리지널 ppl 상품의 유일무이성을 증명하면서 다수의 ppl 상품들의 정보를 재생 중인 미디어와 동기화하여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343B1 (ko) * 2021-09-23 2022-09-01 여태환 통신 시스템에서 오리지널 ppl 상품의 유일무이성을 증명하면서 다수의 ppl 상품들의 정보를 재생 중인 미디어와 동기화하여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048461A1 (ko) * 2021-09-23 2023-03-30 여태환 통신 시스템에서 오리지널 ppl 상품의 유일무이성을 증명하면서 다수의 ppl 상품들의 정보를 재생 중인 미디어와 동기화하여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83848B (zh) 用于多设备呈现的定制视频流式传输
US10951953B2 (en) Sharing mobile subscriber content in a publically viewable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CN106303603B (zh) 一种基于地图服务实现附近主播搜索的系统及方法
EP3501014A1 (en) Secondary content insertion in 360-degree video
CN112237005A (zh) 用于全向视频的视点元数据
US10341733B2 (en) Companion device
JP2019532560A (ja) コンテンツフィンガープリンティングのためのフィンガープリントレイアウト
KR101384668B1 (ko) 하이브리드앱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실시간 라이브방송을 제공하는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US107353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tent to communication devices
KR20130039521A (ko) 멀티 앵글 영상을 복수의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94266B1 (ko)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5992062A (zh) 一种媒体节目分享的方法及装置
KR101843815B1 (ko) 비디오 클립간 중간영상 ppl 편집 플랫폼 제공 방법
CN115769560A (zh) 用于使用5g边缘应用服务器来直播流式传输用户生成内容的方法
US20130091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broadcast content and metadata for augmented broadcasting,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augmenting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of receiving augmented broadcast content
KR101666246B1 (ko) 메타데이터 우선제공 증강방송 장치 및 방법
KR20170131151A (ko)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 및 그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66797B1 (ko)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KR20180109199A (ko) 통신망을 이용한 방송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91812B1 (ko) 위치 정보에 기반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CN105282623B (zh) 一种加强多媒体服务中数据传输的方法
KR20170131147A (ko) 촬영 위치 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용 ppl 연동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
Mir et al. The zewall project: Real-time delivering of events via portable devices
KR101761907B1 (ko) 특이점에 의한 래핑 기반의 ppl 대체 서비스 방법
KR101274820B1 (ko) 위치정보 및 사물정보 연동형 방송 서비스 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