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147A - 촬영 위치 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용 ppl 연동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촬영 위치 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용 ppl 연동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147A
KR20170131147A KR1020160067784A KR20160067784A KR20170131147A KR 20170131147 A KR20170131147 A KR 20170131147A KR 1020160067784 A KR1020160067784 A KR 1020160067784A KR 20160067784 A KR20160067784 A KR 20160067784A KR 20170131147 A KR20170131147 A KR 20170131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pl
location
drama
terminal device
geographical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구
김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버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버,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버
Publication of KR2017013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마 콘텐츠를 촬영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드라마 콘텐츠에 간접광고(PPL, Product Placement)를 연동하는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GPS와 비콘을 활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 지점에서 촬영한 드라마 콘텐츠를 스마트 단말장치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함으로써 해당 지역 자체를 드라마 콘텐츠에 대한 간접광고로서 연동시키는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GPS와 비콘을 활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 지점에서 촬영한 드라마 콘텐츠를 스마트 단말장치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함으로써 해당 지역 자체를 드라마 콘텐츠에 대한 간접광고로서 연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촬영 위치 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용 PPL 연동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 {PPL-Interworking Interactive smart platform system for drama contents based on filming location}
본 발명은 드라마 콘텐츠를 촬영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드라마 콘텐츠에 간접광고(PPL, Product Placement)를 연동하는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GPS와 비콘을 활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 지점에서 촬영한 드라마 콘텐츠를 스마트 단말장치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함으로써 해당 지역 자체를 드라마 콘텐츠에 대한 간접광고로서 연동시키는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종영된 KBS의 <태양의 후예> 및 2014년 SBS <별에서 온 그대>의 중국 열풍으로 거세진 중국발 한류 바람은 이제는 공동 제작, 웹드라마 시장 활성화 등으로 확산되어, 한류 3.0 시대에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으며,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최대 화두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고성능의 스마트 멀티미디어 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전문 드라마 제작자들이 아니더라도 웹툰, 웹소설처럼 누구나 아이디어만 있으면 쉽게 웹드라마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었다. 웹드라마는 웹이라는 접근하기 쉬운 사용자 환경으로 인해 빠른 인지도 상승과 해외 파급력이 높으며, 일부 웹드라마는 이미 드라마 한류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처럼 기존의 방송사뿐만 아니라 웹드라마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방송 컨텐츠가 만들어지고 있는데, 이들 방송 컨텐츠의 제작 비용을 보전하는 목적 내지 방송 컨텐츠를 통한 수익창출의 목적을 위해 PPL (Product Placement) 간접광고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주로 국내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PPL을 구성하였으나 향후에는 해외 시청자를 중요하게 고려하여 PPL 간접광고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류콘텐츠가 중국과 동남아, 남미를 비롯하여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데, 이들 인기 한류콘텐츠와 연계된 관광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그에 따라 이들과 연계하여 구성한 PPL 간접광고의 효과도 좋을 것으로 기대한다.
장아름 "eMBMS(LTE Broadcast) 특징 및 추진 동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동향 제27권 23호 통권 614호, 2015.12 김주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광고 컨텐츠에 관한 연구", 한경대학교 대학운 석사학위, 2005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캐릭터 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본 발명의 목적은 드라마 콘텐츠를 촬영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드라마 콘텐츠에 간접광고(PPL)를 연동하는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GPS와 비콘을 활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 지점에서 촬영한 드라마 콘텐츠를 스마트 단말장치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함으로써 해당 지역 자체를 드라마 콘텐츠에 대한 간접광고로서 연동시키는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라마 콘텐츠를 촬영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드라마 콘텐츠에 PPL을 연동하는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드라마 콘텐츠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동영상 클립을 각각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특정의 지리적 위치가 요구 메세지로 들어오면 상기 다수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대비하여 상기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를 갖는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여 응답 메세지로 제공하는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하여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해당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동영상 클립을 단말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PPL 연동 앱; 상기 PPL 연동 앱과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매개하는 서버 장치로서, 상기 PPL 연동 앱으로부터 상기 지리적 위치가 전달되면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지리적 위치를 요구 메세지로서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동영상 클립을 응답 메세지로서 제공받으면 상기 동영상 클립을 상기 PPL 연동 앱으로 스트리밍 제공하는 촬영지 위치기반 영상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PPL 연동 앱은 GPS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식별하고, 미리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세밀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다수의 드라마 콘텐츠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동영상 클립을 각각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는 PPL 콘텐츠 클라우드 서버; 외부로부터 특정의 지리적 위치가 요구 메세지로 들어오면 상기 다수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대비하여 상기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를 갖는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여 응답 메세지로 제공하는 PPL 콘텐츠 위치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PPL 콘텐츠 위치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PPL 콘텐츠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하는 다수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를 외부의 관리자가 수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GPS와 비콘을 활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 지점에서 촬영한 드라마 콘텐츠를 스마트 단말장치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함으로써 해당 지역 자체를 드라마 콘텐츠에 대한 간접광고로서 연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eMBMS의 LTE 주파수 할당방식 분석.
[도 2]는 LTE-eMBMS 방송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마 콘텐츠용 PPL 연동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계측하기 위한 비콘의 설치 현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드라마 촬영위치 기반으로 드라마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PPL 연동 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드라마 촬영위치 기반으로 드라마 컨텐츠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LTE-eMBMS 방송에서 LTE 주파수를 시분할 할당하여 다양한 방송 상황에 대응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지털 방송이 도입됨에 따라 이동방송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초기에는 위성 DMB와 지상파 DMB를 통한 이동방송이 제시되었으나, 이동통신망이 고속화하고 스마트폰의 보급이 본격화됨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방안이 주류가 되었다.
그에 따라, 2005년 3GPP Release-6에서 MBMS (Multimedia Broadcast & Multicast Service) 규격이 제시되었다. MBMS 규격은 WCDMA 기반으로 스트리밍 서비스,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 Carouse1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기술이다.
또한, 2009년 3GPP Release-9 (LTE/SAE)에서 기존의 MBMS를 보완한 eMBMS (Evolved-Multimedia Broadcast & Multicast Service) 규격이 제시되었다. 이때 eMBMS 규격은 OFDM 기반의 확장된 대역폭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기술이며, 다이버시티 기술의 하나인 MBSFN (Multicast-Broadcast Single-Frequency Network) 기술을 이용하여 고효율 방송이 가능하다.
LTE-eMBMS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LTE (Long Term Evolution) 망을 이용하여 eMBMS 방식의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현재 LTE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 전국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LTE 기지국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평상시에는 LTE 주파수를 전화나 데이터 통신에 전부 할당하였다가, 특별 이벤트(예: 월트컵, 올림픽)가 열리거나 심야시간대가 되면 LTE-eMBMS 방송 정책에 따라 브로드캐스트 스트리밍, 브로드캐스트 파일 송수신, 전화 및 일반 데이터 전송에 선택적으로 시분할 할당한다. eMBMS는 TDD/FDD를 지원하며, 특정 시간대, 서비스 유형 등 수요에 따라 유니캐스트 방식과 브로드캐스트 방식을 자유롭게 전환해 LTE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현재의 LTE-eMBMS 방송 규격에 따르면 LTE 리소스 중 FDD의 경우 최대 60%, TDD의 경우 최대 50%까지 eMBMS 트래픽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LTE 기지국을 묶어서 MBSFN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구역에 특정의 방송을 동일하게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MBSFN 영역은 eMBMS 방송 서비스의 영역을 정의한다.
이와 같은 eMBMS의 특성을 활용하면 장소별 방송(예: 특정 경기장 내부에 대한 방송 서비스), 지역별 방송(예: 서울지역에 대한 방송 서비스), 전국 방송(예: 긴급속보, 재난방송), 개인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방송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그에 따라, 향후로는 LTE-eMBMS에 기초하여 모바일 방송 서비스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제공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 2]는 LTE-eMBMS 방송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UE(User equipment), S-GW(Serving Gateway), eNB(evolved NodeB; e-NodeB),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BSF(Bootstrapping Server Function), HSS(Home Subscriber Server)는 일반적인 LTE 망 인프라이다.
한편, [도 2]에서 BM-SC(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er), MCE (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 MBMS GW(eMBMS Gateway)는 eMBMS를 구현하기 위해 LTE 망 인프라에 추가로 적용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2]는 LTE-eMBMS에 관련된 공지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마 콘텐츠용 PPL 연동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장치가 존재하는 지리적 위치를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해당 지리적 위치가 드라마 콘텐츠를 촬영한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그 위치에서 촬영한 동영상 클립을 제공하여 PPL 효과를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은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장치에 설치된 PPL 연동 앱, 촬영지 위치기반 영상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다수의 드라마 콘텐츠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동영상 클립을 각각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특정의 지리적 위치가 요구(request) 메세지로 들어오면 다수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대비하여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를 갖는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여 응답(response) 메세지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다수의 드라마 콘텐츠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동영상 클립을 각각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는 PPL 콘텐츠 클라우드 서버; 외부로부터 특정의 지리적 위치가 요구 메세지로 들어오면 다수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대비하여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를 갖는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여 응답 메세지로 제공하는 PPL 콘텐츠 위치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PPL 콘텐츠 위치정보 관리서버는 PPL 콘텐츠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하는 다수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를 외부의 관리자가 수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 PPL 콘텐츠 클라우드 서버는 'LTE 방송용 PPL 클라우드 플랫폼'에 대응하고, PPL 콘텐츠 위치정보 관리서버는 '위치기반 PPL 콘텐츠 영상 플랫폼'에 대응한다.
PPL 연동 앱은 스마트 단말장치에 설치되어 드라마 촬영위치 기반으로 드라마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제공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다. 구체적으로는, PPL 연동 앱은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하여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제공하고,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해당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동영상 클립을 단말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한다.
이때, PPL 연동 앱은 GPS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식별하고, 미리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세밀하게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에서 PPL 연동 앱은 'Location 기반 촬영지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응한다. 캠핑자동차나 평창 올림픽 셔틀버스, KTX가 드라마 촬영한 관광지에 도착하면 GPS 신호와 비콘을 통해 지리적 위치를 인지하면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 장치 등에 LTE망이나 WIFI망에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면서 관광정보와 PPL 정보를 제공한다.
촬영지 위치기반 영상 스트리밍 서버는 PPL 연동 앱과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매개하는 서버 장치이다. 즉, 촬영지 위치기반 영상 스트리밍 서버는 PPL 연동 앱으로부터 지리적 위치가 전달되면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하여 지리적 위치를 요구 메세지로서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하고,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동영상 클립을 응답 메세지로서 제공받으면 동영상 클립을 PPL 연동 앱으로 스트리밍 제공한다.
[도 3]에서 촬영지 위치기반 영상 스트리밍 서버는 'Location 기반 촬영지 영상 스트리밍 PPL 플랫폼'에 대응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PPL 플랫폼은 옥외용 디지털 사이니지 플랫폼과 오토모빌용 미디어 플랫폼 등으로 변형가능하며, 클라우드 환경에서 드라마, 영화, 홍보영상의 비디오 및 오디오, 인터넷, 광고, PPL 연계 게임, 재난재해 방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계측하기 위한 비콘의 설치 현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망 위치 정보인 기지국 GPS 신호와 비콘(beacin)에 기반하여 드라마 촬영지 영상과 간접광고(PPL, product placement) 스트리밍 서비스를 연계하는 기술이다.
즉,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서 GPS 신호와 비콘 신호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위치를 식별하는데, GPS 신호를 통해 측정한 위치는 수십 미터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개연성이 있으므로 좀더 정밀한 위치를 측정하거나 실내에서 좁은 구역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비콘 신호를 활용한다.
에를 들면, [도 5]에서 스마트 단말장치가 김포공항 근방에 있는지는 GPS 신호로도 충분히 식별할 수 있지만, 김포공항의 내에서 정확히 어느 건물에 있는지, 그 건물에서 몇 층에 위치하는지, 그리고 정확히 어느 구역에 위치하는지는 GPS 신호로는 식별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이처럼 세밀한 위치 식별을 위해서는 비콘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해당 지점마다 비콘이 미리 설치되어 있다.
이처럼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식별한 후에는 그 지점에서 촬영한 드라마 콘텐츠를 스마트 단말장치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표시해준다. 그렇게 함으로써 관광객은 그 지점에서 촬영하였던 한류 드라마의 콘텐츠를 자동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해 큰 만족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드라마 촬영에 사용되었던 해당 지역 자체를 드라마 콘텐츠에 대한 간접광고로서 연동시키는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 기술이다. 특히, 한류 드라마와 연계시키는 것이 효과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드라마 촬영위치 기반으로 드라마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제공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인 'PPL 연동 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장치에 설치된 PPL 연동 앱의 화면에는 지도(예: 구글 지도와 연동)가 표시되는데, 그 지도 상에는 드라마 촬영지점이 특별한 표시로 마킹된다.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장치를 소지한 상태로 해당 드라마 촬영지점을 방문하게 되면 PPL 연동 앱이 GPS 신호 및 비콘 신호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원격지의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위치에서 촬영한 드라마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해준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드라마 촬영위치 기반으로 드라마 컨텐츠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장치를 소지한 상태로 강릉 선교장과 평창 컨벤션 센터를 방문하였을 때 PPL 연동 앱에 표시된 드라마 컨텐츠가 (a)와 (b)에 도시되었다.

Claims (4)

  1. 드라마 콘텐츠를 촬영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드라마 콘텐츠에 PPL을 연동하는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드라마 콘텐츠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동영상 클립을 각각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특정의 지리적 위치가 요구 메세지로 들어오면 상기 다수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대비하여 상기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를 갖는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여 응답 메세지로 제공하는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식별하여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해당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동영상 클립을 단말장치 화면에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PPL 연동 앱;
    상기 PPL 연동 앱과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매개하는 서버 장치로서, 상기 PPL 연동 앱으로부터 상기 지리적 위치가 전달되면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지리적 위치를 요구 메세지로서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동영상 클립을 응답 메세지로서 제공받으면 상기 동영상 클립을 상기 PPL 연동 앱으로 스트리밍 제공하는 촬영지 위치기반 영상 스트리밍 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촬영 위치 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용 PPL 연동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PL 연동 앱은 GPS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식별하고, 미리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장치의 위치를 세밀하게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용 PPL 연동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PPL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다수의 드라마 콘텐츠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동영상 클립을 각각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는 PPL 콘텐츠 클라우드 서버;
    외부로부터 특정의 지리적 위치가 요구 메세지로 들어오면 상기 다수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와 대비하여 상기 지리적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지점 메타정보를 갖는 동영상 클립을 획득하여 응답 메세지로 제공하는 PPL 콘텐츠 위치정보 관리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촬영 위치 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용 PPL 연동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PPL 콘텐츠 위치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PPL 콘텐츠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하는 다수의 동영상 클립에 대한 촬영지점 메타정보를 외부의 관리자가 수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용 PPL 연동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
KR1020160067784A 2016-05-19 2016-05-31 촬영 위치 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용 ppl 연동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 KR201701311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1720 2016-05-19
KR1020160061720 2016-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147A true KR20170131147A (ko) 2017-11-29

Family

ID=6081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784A KR20170131147A (ko) 2016-05-19 2016-05-31 촬영 위치 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용 ppl 연동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11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2050B (zh) 用于实现与广域网共信道的即插即用式场所播送的方法和装置
CA3016063C (en) Companion device and primary device
Mi et al. Demonstrating immersive media delivery on 5G broadcast and multicast testing networks
JP2009507445A (ja) 適合されたロケーションベース放送
WO2013127305A1 (zh) 基于无线局域网络的信息推送方法、装置及系统
US9392327B2 (en) Broadcast/digital network switchover system and method
JP2019532560A (ja) コンテンツフィンガープリンティングのためのフィンガープリントレイアウト
KR102454569B1 (ko) 공중파 무선 방송 신호 메타데이터
CN105376701A (zh) 一种多屏互动方法及系统
CN104429149A (zh) eMBMS控制面同步
KR20170029281A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Boni et al.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technology overview and service aspects
CN104780395A (zh) 一种广播电视节目的移动互联网共享收看方法
CN103701813B (zh) 一种结合单向广播与双向网络实现数据发布与交互的方法
JP2013074630A (ja) マルチメディア放送のアクセス機器およびその方法
KR20170131147A (ko) 촬영 위치 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용 ppl 연동 인터렉티브 스마트 플랫폼 시스템
KR20170131151A (ko) 위치기반의 LTE-eMBMS용 PPL 연동 플랫폼 시스템 및 그 PPL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66797B1 (ko)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촬영지 위치정보 마킹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의 액티브 푸시 제공 방법
CN106576192B (zh) 用于分发内容的装置、方法、系统以及计算机可读介质
KR100883264B1 (ko)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US10165312B2 (en) Over-the-air television gap filler using television-white-space channels via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N105282623B (zh) 一种加强多媒体服务中数据传输的方法
JP7343106B1 (ja) 配信システムおよび配信方法
KR101761907B1 (ko) 특이점에 의한 래핑 기반의 ppl 대체 서비스 방법
CN105979301B (zh) 一种基于eMBMS组播网络的区域化节目点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