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264B1 -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 Google Patents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264B1
KR100883264B1 KR1020070107875A KR20070107875A KR100883264B1 KR 100883264 B1 KR100883264 B1 KR 100883264B1 KR 1020070107875 A KR1020070107875 A KR 1020070107875A KR 20070107875 A KR20070107875 A KR 20070107875A KR 100883264 B1 KR100883264 B1 KR 10088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broadcast
broadcasting
additi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군섭
유재황
임종태
오세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7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방송 컨텐츠, 방송 컨텐츠와 대응하는 방송 편성정보 및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방송센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에서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PTS(Presentation Time Stamp) 정보를 추출하고, PTS 정보 및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시간상으로 동기화하기 위한 CTS(Composition Time Stamp)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동기정보 및 부가정보 제공서버,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토대로 하는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제공영역의 설정을 포함하는 고객 설정정보에 따라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재형성한 후, 서비스 제공영역에 대응하는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송 및 통신이 결합한 서비스를 개인별, 특정 그룹별 및 지역별로 특성화하여 방송 시청자마다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를 방송에 접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방송, 통신, 개인, 그룹, 지역

Description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NG BROADCASTING TARGET-BASED BIFS SERVICE, AND SERVER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망에 기반한 방송 서비스를 통해 방송센터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를 브로드케스팅하고, 통신망을 활용하여 개인별, 특정 그룹별 및 지역별로 특성화하는 것이 가능한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를 방송 컨텐츠와 연동하여 제공하기 위한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 데이터 통신서비스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동 컴퓨팅 서비스 및 위성통신 서비스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서 사업의 다각화, 시장성, 기술의 진보성 등으로 인하여 각광을 받고 있는 분야로서 각종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무선 방송서비스 분야가 손꼽히며, 현재 CP(Contents Provider)와 방송사업자 및 이동통신 사업자를 주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경우, 방송센터와 사용자 간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식은 지상파 DMB, 위상 DMB와 같은 방송망에서의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센터에서 송출하는 방송 컨텐츠와 연동하기 위한 데이터 연결정보를 또 다른 방송채널을 통해 추가적으로 송출한다.
이후로, 시청자의 단말장치가 방송망을 통해 방송 컨텐츠 및 데이터 연결정보를 모두 수신하여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청자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개시 여부를 판별하게 되고, 상기 데이터 연결정보에 포함되는 URL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망 접속을 실행함에 따라 추가적인 정보를 요청하는 방식이 종래의 기술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라 방송망을 통해 데이터 연결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추가적인 방송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청자별로 선호하는 정보가 다르므로 다수의 시청자들이 원하지 않고 요청하지도 않은 정보를 전달하는 비효율적인 면이 있으며, 모든 시청자에게 동일한 정보를 전달하는 등의 서비스 구현상에 제약이 있다.
또한, 통신망을 통하여 방송과 연계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서비스를 구현하는 경우에도, 방송망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정보와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부가적인 정보 간의 시간적인 동기화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었는지 여부가 고려 대상이다.
더 나아가, 기존의 방송망(예컨데, DMB 방송망)이 위성이나 지상파 송신설비를 통해서 전송됨으로 인해서, 넓은 지역에 동일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지역으로 동일한 컨텐츠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개인별, 특정 그룹별 또는 지역별로 차별화되어 서비스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 방송에 대해서도 방송망 구조에서 개인별, 특정 그룹별 또는 지역별로 차별화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 상황을 극복하여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의 데이터 방송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망에 기반한 방송 서비스를 통해 방송센터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를 브로드케스팅하고, 통신망을 활용하여 개인별, 특정 그룹별 및 지역별로 특성화하는 것이 가능한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를 방송 컨텐츠와 연동하여 제공하기 위한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고, 지역 공고 및 사람 찾기 등과 같은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설정으로 개인별, 특정 그룹별 및 지역별로 특성화되는 서비스 제공영역을 형성한 후, 형성한 서비스 제공영역에 위치하여 방 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장치로 해당하는 부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방송 컨텐츠, 상기 방송 컨텐츠와 대응하는 방송 편성정보 및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방송센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PTS(Presentation Time Stamp)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PTS 정보 및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시간상으로 동기화하기 위한 CTS(Composition Time Stamp) 정보를 형성하며, 상기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 및 상기 PTS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동기정보 및 부가정보 제공서버, 방송 서비스에 대한 연동 실행으로 상기 PTS 정보, 상기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 및 상기 방송 편성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관리하고,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토대로 하는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제공영역의 설정을 포함하는 고객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재형성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 템은 상기 고객 설정정보를 네트워크 접속하여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단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객 단말장치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 유선 인터넷 단말장치, 무선 인터넷 단말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은 방송 서비스 및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고객, 소정의 커뮤니티 서비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그룹 및 지리적 범위의 영역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리적 범위의 영역은 통신망 기반의 기지국 단위 또는 셀 단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리적 범위의 영역은 상기 기지국 단위 또는 상기 셀 단위를 토대로 하는 행정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방송망을 통해 브로드케스팅되는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방송 편성정보를 제공받거나, 상기 동기정보 및 부가정보 제공서버를 통해 상기 방송 편성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의 방송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기 설정된 상기 재 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의 방송 서비스 요청에 포함되는 상기 PTS 정보를 통해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부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부가정보 및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 간의 매칭 여부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부가정보를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광고, 지역 공고 및 사람 찾기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메뉴에 대한 고객 설정을 통해 상기 고객 설정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SMS, MMS 및 HTTP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구현되는 상기 고객 설정정보에 대한 시간정보,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편집, 필터링 및 정렬하는 방식을 통해 재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가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서 다른 서비스 제공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다른 서비스 제공영역에 대응하여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가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서 다른 서비스 제공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지속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의 위치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BIFS(Binary Format For Scene) 포맷에 기반하여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서비스 관리서버는, 방송망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편성정보를 수신하여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실행하고,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에서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PTS 정보 및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상기 PTS 정보와 시간상으로 동기화하기 위한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제공받으며,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토대로 하는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제공영역의 설정을 포함하는 고객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재형성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PTS 정보, 상기 CTS 정보를 포 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 및 상기 방송 편성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관리하기 위한 메인 서버,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토대로 형성되는 부가 서비스 메뉴에 대한 고객 설정을 통해 상기 고객 설정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로컬 데이터 방송서버 및 SMS, MMS 및 HTTP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구현되는 상기 고객 설정정보에 대한 시간정보,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재형성하기 위한 로컬 데이터 편집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로컬 데이터 방송서버 및 상기 로컬 데이터 편집서버와 통합 구현되거나, 분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컬 데이터 편집서버는 상기 고객 설정정보에 대한 시간정보,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편집, 필터링 및 정렬하는 방식으로 재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가) 방송망을 통해 방송 컨텐츠, 상기 방송 컨텐츠와 대응하는 방송 편성정보 및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송출하는 단계, (나)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PTS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PTS 정보 및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시간상으로 동기화하기 위한 CTS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다) 상기 PTS 정보, 상기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 및 상기 방송 편성정보를 상호 매칭되도록 관리하는 단계, (라)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토대로 하는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제공영역의 설정을 포함하는 고객 설정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및 (마) 상기 고객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재형성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 단계는 (라-1)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토대로 하여 광고, 지역 공고 및 사람 찾기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메뉴를 형성하는 단계, (라-2) 상기 부가 서비스 메뉴에 대한 고객 설정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을 특정하는 단계 및 (라-3)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적용되기 위한 시간정보,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여 상기 고객 설정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2) 단계는 방송 서비스 및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고객, 소정의 커뮤니티 서비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그룹 및 지리적 범위의 영영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 단계는 (마-1)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의 방송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을 판별하는 단계, (마-2) 판별 결과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과 매칭하는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마-3)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 단계는 (마-1)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의 방송 서비스 요청에 포함되는 상기 PTS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 (마-2) 상기 PTS 정보를 통해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마-3)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을 판별하는 단계 및 (마-4)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 간 매칭 여부를 판별한 후,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송망에 기반한 방송 서비스를 통해 방송센터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를 브로드케스팅하고, 통신망을 활용하여 개인별, 특정 그룹별 및 지역별로 특성화하는 것이 가능한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를 방송 컨텐츠와 연동하여 제공함으로써, 방송 및 통신이 결합한 서비스를 개인별, 특정 그룹별 및 지역별로 특성화하여 방송 시청자마다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를 방송에 접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뉴스, 드라마 등과 같은 방송 컨텐츠를 방송망을 통해 송출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방송편성 DB 및 데이터방송 스케쥴/소재 DB를 토대로 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컨텐츠와 대응하는 방송 편성정보 및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방송센터(100), 시청자의 단말장치인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에서 수신하는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PTS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PTS 정보 및 방송센터(100)로부터 수신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시간상으로 동기화하기 위한 CTS 정보를 형성하며,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PTS 정보와 함께 송출하기 위한 동기정보 및 부가정보 제공서버(200), 및 방송 편성정보의 수신 등에 의해 개시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실행으로 방송 서비스 및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 간의 연동을 실행하여 수신되는 PTS 정보,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 및 방송 편성정보를 상호 매칭하도록 관리하고,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토대로 하여 구현되는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 한 고객 설정정보(예컨데, 개인별, 특정그룹별, 지역별로 구분되는 서비스 제공영역을 포함)을 고객과의 인터페이싱을 통해 형성하고, 형성한 고객 설정정보를 토대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재형성한 후, 서비스 제공영역에 있는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로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객과의 인터페이싱을 실행하여 상기 고객 설정정보를 형성하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단말장치(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객 단말장치(500)는 상기의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며, 유선 인터넷 단말장치, 무선 인터넷 단말장치, 이동통신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고객 단말장치(500)에 의한 고객의 제어 입력을 통해 설정되는 고객 설정정보 중 서비스 제공영역이라 함은 방송 서비스 및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고객, 소정의 커뮤니티 서비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그룹 및 지리적 범위의 영역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광고, 지역 공고 또는 사람 찾기 등과 같은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의 부가 정보가 제공되기 위한 영역을 일컫는다.
상기 지리적 범위의 영역은 통신망 기반의 기지국 단위 또는 셀 단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객이 설정하는 과정에서는 기지국 단위 또는 셀 단위를 토대로 하는 행정구역을 통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기정보 및 부가정보 제공서버(200)는 PTS 정보 및 CTS 정보를 형성하는 것이며, CTS 정보이라 함은 방송 컨텐츠에 포함되는 PTS 정보를 참고하여 네트워크 및 관련 방송장치들에 의한 방송시간 지연을 고려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 및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 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이를 테면, CTS 정보는
CTS = PTS + delay offset 값 (단, delay offset 값은 + 혹은 - 로 설정됨)
를 통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방송망을 통해 브로드케스팅되는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방송 편성정보를 제공받거나, 동기정보 및 부가정보 제공서버(200)를 통해 방송 편성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방송센터(100)에서 송출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간 연동정보, PTS 정보 및 CTS 정보를 토대로 하여 방송 컨텐츠 및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에 대한 동기를 실행할 뿐만 아니라,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BIFS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방송 및 통신 간의 원활한 연동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PTS 정보,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 및 방송 편성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관리하기 위한 메인 서버(330), 메인 서버(330)로부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와 같은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토대로 부가 서비스 메뉴를 형성하고, 형성한 부가 서비스 메뉴에 대한 고객의 설정에 따라 고객 설정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로컬 데이터 방송서버(320), 및 SMS, MMS 및 HTTP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구현되는 고객 설정정보를 판별하고, 이러한 고객 설정정보에 대한 판별정보(예컨데,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간정보,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재형성하기 위한 로컬 데이터 편집서버(310)를 포함한다.
아울러, 메인 서버(330)는 방송 편성정보의 수신 등과 같은 서비스 개시신호에 응답하여 방송 서비스에 대한 연동 실행을 하거나, 양방향 데이터 방송 기반의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연동을 실행함에 따라, 동기정보 및 부가정보 제공서버(200)로부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간 연동정보, PTS 정보 및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제공받은 후,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간 연동정보, 상기 PTS 정보 및 상기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에 대한 상호 간 동기를 실행하기 위한 동기화 실행부, 방송망 및 통신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싱부, 로컬 데이터 방송서버(320) 및 로컬 데이터 편집서버(310)를 통해 고객 설정정보 기반으로 재형성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BIFS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기 위한 컨텐츠 관리부, 및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로부터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제공 요청 또는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연결설정을 통해 전달되는 PTS 정보를 이용하여 동기화 실행되어 기 저장중인 정보 중에서 해당하는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싱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메인 서버(330)는 로컬 데이터 편집서버(310)를 통해 형성한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제공받아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한정된 영역으로 설정된 서비스 제공영역에 있는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메인 서버(330), 로컬 데이터 방송서버(320) 및 로컬 데이터 편집서버(310)는 모두 통합하여 구현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인 서버(330)는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로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으로의 구현이 가능하며, 여기서는 대표적인 두가지를 언급하기로 한다.
첫째, 메인 서버(330)는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의 방송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와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영역을 판별하고, 판별한 결과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기 설정된 부가정보, 즉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추출하여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로 전달한다.
둘째, 메인 서버(330)는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의 방송 서비스 요청에 포함되는 PTS 정보를 통해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부가정보를 추출하고, 이후로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와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영역을 판별한 후, 판별한 서비스 제공영역과 상기 추출한 양방향 데이터 부가정보 간의 매칭 여부를 추가적으 로 실행하며, 실행한 결과에 따라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부가정보를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로 전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관리서버(300)에 의해 실행되는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방송센터(10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를 전국 또는 지역단위로 브로드케스팅하여 서비스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단말장치(500)와의 연동을 통해 설정된 고객 설정정보에 포함되는 서비스 제공영역별로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영역별로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은 기지국 단위 또는 셀 단위를 기초로 하여 설정되는 제 1 서비스 제공영역(A), 제 2 서비스 제공영역(B) 및 제 3 서비스 제공영역(C)과 같이 설정하고, 기지국과 같은 지리적인 단위가 아니라 고객과 관련된 커뮤니티를 단위로 하여 제 4 서비스 제공영역(D) 및 제 5 서비스 제공영역(E)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서비스 제공영역에 있는 각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로 대응하는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방송센터(100)가 각 방송채널의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는 방송 편성정보, 각 채널별 방송 컨텐츠 및 상기 방송 컨텐츠와 대응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방송망을 통해 송출한 후, 동기정보 및 부가정보 제공서버(200) 및 서비스 관리서버(300)가 방송망을 통해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 내지 S104).
이후로, 동기정보 및 부가정보 제공서버(200)는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와 관련되는 정보를 토대로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에서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는 PTS 정보를 추출한 후(S106), 상기 PTS 정보 및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시간상으로 상호 동기화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는 CTS 정보를 형성한다(S108).
상기 S108 단계에서 형성한 CTS 정보를 토대로 하여,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추가로 형성한 후(S110), 방송망을 통해 서비스 관리서버(300)로 형성한 정보를 송출한다(S112).
이에,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방송망을 통해 수신한 PTS 정보,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 및 방송 편성정보를 상호 간에 매칭하도록 관리하여 저장하며(S114), 사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단말장치(500)와 연동하여 기 설정한 고객 설정정보를 통해 수신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재형 성하기 위한 과정을 실행한다(S116).
이후로,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의 방송 서비스 요청(또는, 방송 서비스 및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실행을 위한 교환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와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영역을 판별한다(S118 및 S120).
서비스 제공영역의 판별 결과에 따라, 해당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추출하여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400)로 전달한다(S122).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망에 기반한 방송 서비스를 통해 방송센터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를 브로드케스팅하고, 통신망을 활용하여 개인별, 특정 그룹별 및 지역별로 특성화하는 것이 가능한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를 방송 컨텐츠와 연동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관리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의 구조도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송센터 200 : 동기정보 및 부가정보 제공서버
300 : 서비스 관리서버 310 : 로컬 데이터 편집서버
320 : 로컬 데이터 방송서버 330 : 메인 서버
400 :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 500 : 고객 단말장치

Claims (24)

  1. 방송 컨텐츠, 상기 방송 컨텐츠와 대응하는 방송 편성정보 및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방송센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PTS(Presentation Time Stamp)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PTS 정보 및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시간상으로 동기화하기 위한 CTS(Composition Time Stamp) 정보를 형성하며, 상기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 및 상기 PTS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동기정보 및 부가정보 제공서버; 및
    방송 서비스에 대한 연동 실행으로 상기 PTS 정보, 상기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 및 상기 방송 편성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관리하고,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토대로 하는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제공영역의 설정을 포함하는 고객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재형성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고객 설정정보를 네트워크 접속하여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단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장치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 유선 인터넷 단말장치, 무선 인터넷 단말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은
    방송 서비스 및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고객, 소정의 커뮤니티 서비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그룹 및 지리적 범위의 영역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범위의 영역은
    통신망 기반의 기지국 단위 또는 셀 단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범위의 영역은
    상기 기지국 단위 또는 상기 셀 단위를 토대로 하는 행정구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방송망을 통해 브로드케스팅되는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방송 편성정보를 제공받거나, 상기 동기정보 및 부가정보 제공서버를 통해 상기 방송 편성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의 방송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기 설정된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의 방송 서비스 요청에 포함되는 상기 PTS 정보를 통해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부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부가정보 및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영 역 간의 매칭 여부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부가정보를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광고, 지역 공고 및 사람 찾기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메뉴에 대한 고객 설정을 통해 상기 고객 설정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SMS, MMS 및 HTTP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구현되는 상기 고객 설정정보에 대한 시간정보,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편집, 필터링 및 정렬하는 방식을 통해 재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가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서 다른 서비스 제공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다른 서비스 제공영역에 대응하여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가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서 다른 서비스 제공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지속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의 위치 이동에 상관없이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BIFS(Binary Format For Scene) 포맷에 기반하여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방송망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편성정보를 수신하고,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에서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PTS 정보 및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상기 PTS 정보와 시간상으로 동기화하기 위한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상기 방송망을 통해 제공받는 방송망 수신모듈 및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토대로 하는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제공영역의 설정을 포함하는 고객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재형성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전달하는 서비스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서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관리모듈은
    상기 PTS 정보, 상기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 및 상기 방송 편성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관리하기 위한 메인 서버;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토대로 형성되는 부가 서비스 메뉴에 대한 고객 설정을 통해 상기 고객 설정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로컬 데이터 방송서버; 및
    SMS, MMS 및 HTTP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구현되는 상기 고객 설정정보에 대한 시간정보,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재형성하기 위한 로컬 데이터 편집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서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로컬 데이터 방송서버 및 상기 로컬 데이터 편집서버와 통합 구현되거나, 분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서버.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데이터 편집서버는
    상기 고객 설정정보에 대한 시간정보,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편집, 필터링 및 정렬하는 방식으로 재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서버.
  20. (가) 방송망을 통해 방송 컨텐츠, 상기 방송 컨텐츠와 대응하는 방송 편성정보 및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송출하는 단계;
    (나)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PTS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PTS 정보 및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시간상으로 동기화하기 위한 CTS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다) 상기 PTS 정보, 상기 CTS 정보를 포함하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 및 상기 방송 편성정보를 상호 매칭되도록 관리하는 단계;
    (라)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토대로 하는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제공영역의 설정을 포함하는 고객 설정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및
    (마) 상기 고객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재형성한 후,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라) 단계는
    (라-1) 상기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토대로 하여 광고, 지역 공고 및 사람 찾기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메뉴를 형성하는 단계;
    (라-2) 상기 부가 서비스 메뉴에 대한 고객 설정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을 특정하는 단계; 및
    (라-3)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에 적용되기 위한 시간정보,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여 상기 고객 설정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라-2) 단계는
    방송 서비스 및 부가정보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고객, 소정의 커뮤니티 서비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그룹 및 지리적 범위의 영영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는
    (마-1)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의 방송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을 판별하는 단계;
    (마-2) 판별 결과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과 매칭하는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마-3)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마) 단계는
    (마-1)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의 방송 서비스 요청에 포함되는 상기 PTS 정보를 판별하는 단계;
    (마-2) 상기 PTS 정보를 통해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마-3)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와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영역을 판별하는 단계; 및
    (마-4)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영 역 간 매칭 여부를 판별한 후,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재형성한 양방향 데이터 방송 부가정보를 상기 방송통신 융합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0107875A 2007-10-25 2007-10-25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KR10088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875A KR100883264B1 (ko) 2007-10-25 2007-10-25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875A KR100883264B1 (ko) 2007-10-25 2007-10-25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264B1 true KR100883264B1 (ko) 2009-02-10

Family

ID=4068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875A KR100883264B1 (ko) 2007-10-25 2007-10-25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2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607B1 (ko) 2009-06-19 2011-06-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동형 데이터 방송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62455B1 (ko) * 2014-02-24 2015-10-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 호출신호결합서버, 방송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부가정보표시 지원방법 및 부가정보 표시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423A (ko) * 2000-02-12 2001-09-01 안명수 광고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광고시스템
KR20060110976A (ko) * 2005-04-21 2006-10-26 주식회사 드리머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시청자 기반의 양방향 광고 시스템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423A (ko) * 2000-02-12 2001-09-01 안명수 광고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광고시스템
KR20060110976A (ko) * 2005-04-21 2006-10-26 주식회사 드리머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시청자 기반의 양방향 광고 시스템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607B1 (ko) 2009-06-19 2011-06-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동형 데이터 방송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62455B1 (ko) * 2014-02-24 2015-10-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디지털방송신호에 대한 부가정보 제공 시스템, 호출신호결합서버, 방송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부가정보표시 지원방법 및 부가정보 표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7741B2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information service related to broadcast content
JP5213710B2 (ja) 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通知メッセージ送受信装置及び方法とそのシステム
KR100819259B1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159423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ordinated cross media services to users
US20070011699A1 (en) Providing identification of broadcast transmission pieces
US20070240188A1 (en) Datacasting
US20060126597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in internet protocol base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EP22258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binding notification types to applications for a notification framework
CN104025616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程序,应用信息表供给设备及应用信息表供给方法
US20170105055A1 (en)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companion device interoperating with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070055991A1 (en) Electronic program guide apparatus and method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20140016695A (ko)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3005260A (ja) 送出装置、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送出方法、受信方法及びこれらのプログラム
CN101356815B (zh) 在播送节目之间进行单独更换的装置和方法
KR100883264B1 (ko) 방송 대상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US20080059999A1 (en) Multi-function display controller
JP3262539B2 (ja) データ放送方式及び同方式に適用されるデータ受信装置
US20130091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broadcast content and metadata for augmented broadcasting,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augmenting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of receiving augmented broadcast content
CN101247540A (zh) 交互信道业务与广播信道业务结合的方法及装置
KR100691788B1 (ko) 개인 컨텐츠 방송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과 그를이용한 방송 수신기
KR20070121385A (ko) 디지털방송의 tv 및 라디오 채널과 연동한 양방향통방융합 서비스 방법 및 부가 비즈니스 모델
KR100828297B1 (ko) 화면인식을 이용한 방송 컨텐츠와 통신 컨텐츠간 동기화시스템 및 그 방법
JPWO2003010962A1 (ja) 番組関連情報取得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060564B1 (ko) 양방향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시청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4908B1 (ko) 통신망 기반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