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269A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269A
KR20160012269A KR1020140093051A KR20140093051A KR20160012269A KR 20160012269 A KR20160012269 A KR 20160012269A KR 1020140093051 A KR1020140093051 A KR 1020140093051A KR 20140093051 A KR20140093051 A KR 20140093051A KR 20160012269 A KR20160012269 A KR 20160012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social network
network ser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3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269A/ko
Priority to US14/806,081 priority patent/US20160029063A1/en
Publication of KR20160012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03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descriptors from content, e.g. when it is not made available by its provider, using content analysis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3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for forcing some client operations, e.g.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랭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서 업로드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더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업로드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서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기 수신된 데이터들의 부가 정보와 비교를 통해 부가 정보의 유사성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유사성을 기반으로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키워드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카운트하여 랭킹 정보를 생성하고, 범용 랭킹과 각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개인적 랭킹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ANKING SERVICE OF MULTIMEDIA IN A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랭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웹(Web)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대중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1인 미디어, 1인 커뮤니티라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이 원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웹 상에 게재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초기에는 주로 친목도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기도 하며,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발전하였다. 예컨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주제에 대하여 텍스트나 문서, 물건의 구매 및 판매에 대한 정보 및 개인 취향이나 특정 사건, 사고 등의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등재된 각종 정보들은 다른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특정한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취향 등을 반영한 형태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다양한 정보의 랭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업로더와 다운로더 상호간 의사소통이 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되어 있는 정보와 매칭을 통해 보다 정확한 랭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들에 의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동영상 서비스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서 업로드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더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업로드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서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기 수신된 데이터들의 부가 정보와 비교를 통해 부가 정보의 유사성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유사성을 기반으로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키워드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카운트하여 랭킹 정보를 생성하고, 범용 랭킹과 각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개인적 랭킹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업로드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더에게 제공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장치로, 업로드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서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기 수신된 데이터들의 부가 정보와 비교를 통해 부가 정보의 유사성을 검출하는 유사성 비교부; 상기 검출된 유사성을 기반으로 키워드를 생성하는 키워드 생성부; 상기 생성된 키워드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카운트하여 랭킹 정보를 생성하고, 범용 랭킹과 각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개인적 랭킹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랭킹 정보 제공부; 업로드 단말 및 다운로드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업로드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의 업로드, 다운로드 동작과 유사성 비교 및 키워드 생성의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업로더들은 자신의 위치에서 발생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범위하고 무작위한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속에서, 사용자(SNS 시청자)가 실시간 화제 및 지역정보에 대한 손쉬운 접근 가능케 한다. 또한 미리 스케줄 되어 있는 이벤트 외에, 키워드 검색이 어려운 실시간 컨텐츠를 위해, 키워드를 추출해서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키워드 추출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생성자와 소비자 사이에 실시간성 극대화하여 컨텐츠 소비의 재미와 신뢰도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생성 시점과 소비 시점 간 시간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업로드 단말에서 데이터를 업로드 할 시의 제어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초기화면의 구성 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데이터의 카테고리 선택 시의 예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제목을 입력하는 경우 표시부에 제목 입력 상태가 활성화된 경우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업로드 단말이 방송 모드 시의 제어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운로더로부터 정보가 수신될 시 업로더 단말에서의 표시 상태를 예시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의 기능적 내부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의 업로드 시 업로드 단말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간 신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서 업로드 및 다운로드 시의 제어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다운로드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접속 시의 제어 흐름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단말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예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 첨부된 본 발명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된 형태 또는 배치 등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과 다수의 업로드(Upload) 단말들 21, …, 2N 및 다수의 다운로드(Download) 단말들 31, 32, 33, …, 3M이 존재한다. 업로드 단말들 21, …, 2N과 다운로드 단말들 31, 32, 33, …, 3M은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예컨대, WiFi 네트워크, 이동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등을 통해 서버 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스케줄 서버 110으로부터 미리 스케줄링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업로드 단말들 21, …, 2N은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에 접속하여 특정한 동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동영상의 위치 정보, 타이틀 정보 등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동영상 서비스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할 것이다 하지만, 동영상 서비스 뿐 아니라 사진 등의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으로 제공하는 경우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업로드 단말들 21, …, 2N은 일반적인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업로드 단말들 21, …, 2N의 블록 구성 및 동작은 후술되는 도면들에서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본 발명에 따라 업로드 단말들 21, …, 2N이 전송한 실시간 동영상 등을 지역별 및 이슈별 등급(grade) 또는 랭킹(ranking)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실시간 동영상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다수의 다운로드 단말들 31, 32, 33, …, 3M에 등록된 위치 정보, 기호(嗜好)나 선호도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다운로드 단말들 31, 32, 33, …, 3M 중 특정한 몇 단말들에게 제공될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의 블록 구성 및 동작 또한 후술되는 도면들에서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운로드 단말들 31, 32, 33, …, 3M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운로드 단말의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 선호도 등에 기반하여 특정한 업로드 단말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동영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 단말의 사용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부터 제공된 실시간 정보에 추가적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자신의 다운로드 단말을 이용하여 현재 촬영되고 있는 동영상 앵글 이동 또는 상황의 설명 요청 등의 요청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을 통해 해당하는 업로드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다운로드 단말들 31, 32, 33, …, 3M은 일반적인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다운로드 단말의 블록 구성 및 보다 상세한 동작의 설명 또한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스케줄 서버 110은 미리 스케줄링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스케줄 서버 110은 각종 언론사의 서버가 될 수도 있고, 특정한 이벤트를 주최하는 이벤트 회사의 서버일 수도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에 별도로 구비된 개인의 캘린더 정보에 저장된 스케줄 데이터가 될 수도 있고, 특정한 기획사의 서버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스케줄 서버 110은 미리 스케줄링된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으로 제공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를 갖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도 1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과 업로드 단말들 21, …, 2N간의 네트워크 구성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과 다운로드 단말들 31, 32, 33, 3M간의 네트워크 구성은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자.
이상에서 설명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업로드 단말과 그 동작이다. 둘째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와 그 동작이다. 셋째는 다운로드 단말과 그 동작이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이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의 블록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만을 갖는 형태로 예시하였음에 유의하자. 따라서 실제 단말들은 도 2에 예시된 구성 외에 보다 많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의 단말 블록 구성도는 업로드 단말과 다운로드 단말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업로드 단말의 동작을 설명 또는 다운로드 단말의 동작 설명에서 필요한 경우 도 2의 구성도를 이용하여 설명할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안테나 ANT_1은 단말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통신 방식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이러한 제1안테나 ANT_1은 하나의 안테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안테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부 201은 제1안테나 ANT_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대역하강 변환하여 데이터 처리부 203으로 제공한다. 또한 무선부 201은 데이터 처리부 203으로부터 수신된 송신할 데이터를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역의 송신 대역으로 대역상승 변환하여 제2안테나 ANT_1로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 203은 무선부 2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고, 신호세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 203은 복조 및 복호된 데이터를 제어부 211로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 211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여 무선부 201로 출력한다.
제2안테나 ANT_2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로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위성신호 수신부 205는 제2안테나 ANT_2를 통해 다수의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대역하강 변환하여 위치 계산부 207로 제공한다. 위치 계산부 207은 다수의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제어부 211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안테나 ANT_2, 위성신호 수신부 205 및 위치 계산부 207은 경우에 따라서는 단말 내에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의 위치 계산은 단말과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간 3각 측량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WiFi 시스템에 등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카메라부 209는 랜즈(미도시),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획득 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 209는 제어부 211의 제어에 의해 특정한 정지영상 즉, 사진을 촬영하거나 동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 211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 211은 단말의 동작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업로드 단말로 동작할 시 촬영된 동영상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제공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211은 본 발명에 따라 다운로드 단말로 동작할 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특정한 요청 정보를 업로드 단말로 제공할 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 211의 전반적인 동작들은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표시부 213은 제어부 211의 제어에 의해 단말의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카메라부 209에서 획득한 정보 예컨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 213은 제어부 211의 제어에 의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 213은 LCD 또는 LED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표시부 213의 형태 또는 소재 등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입력부 215는 키 또는/및 터치 또는/및 호버링 또는/및 음성인식 등이 가능한 형태이다. 이러한 입력부 215가 키를 갖고, 사용자가 특정 키를 누를 시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 211로 제공한다. 또한 입력부 215가 터치 또는 호버링 검출 모듈(미도시)을 갖고, 사용자가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 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대응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 211로 제공한다. 또한 입력부 215가 음성인식을 위한 마이크(미도시)를 갖는 경우 마이크로부터 추출된 음성 정보를 직접 제어부 211로 제공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음성인식을 위한 별도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217은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등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내장 및 외장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217은 제어부 211의 제어 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 및 제어 시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메모리 217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거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주소록, 스케줄 정보, 사진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 업로드 단말에서의 동작
업로드 단말의 사용자인 업로더는 자신이 단말을 이용하여 촬영하기를 원하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단말에 구비된 업로드 앱을 구동할 수 있다. 가령, 업로더가 교통사고 현장의 인근에서 교통사고 상황을 목격하거나 또는 유명 연예인의 게릴라 콘서트 등을 목격하거나 또는 축구 경기장에서 경기 상황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경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업로드 단말에서 데이터를 업로드 할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업로드 단말의 제어부 211은 3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대기상태는 사용자로부터의 특정한 이벤트 가령,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요청 등을 대기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하는 상태일 수 있다. 제어부 211은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302단계로 진행하여 업로드 앱(app.) 구동이 요청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제어부 211은 302단계의 검사결과 업로드 앱 구동이 요청된 경우 306단계로 진행하고, 업로드 앱 구동 요청이 아닌 다른 이벤트가 발생하면, 304단계로 진행하여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업로드 앱이 구동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다른 경우에 대하여는 살피지 않기로 한다. 이처럼 업로드 앱의 구동이 요청된 경우는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업로더가 특정한 사건 또는 이벤트 등 촬영하기를 원하는 정보를 발견한 상태 또는 자신이 직접 자신의 행위 예컨대, 업로더 스스로 연주를 하거나 또는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추는 등의 행위를 하고자 하는 경우일 수 있다.
302단계에서 306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 211은 메모리 217에 저장된 업로드 앱을 읽어와 업로드 앱을 구동하고, 초기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 213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211은 306단계에서 카메로부 209를 제어하여 촬영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촬영 대기상태란, 카메라부 209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부 213에 표시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어부 211은 306단계가 아닌 별도의 단계를 통해 카메라 구동을 설정할 수도 있다. 가령, 제어부 211은 표시부 213에 초기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초기화면은 카테고리, 제목 입력, 카메라 구동 등의 창을 표시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 구동이 요청될 시에 카메라부 209를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초기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부 211은 입력부 215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검사하여 어떠한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초기 화면의 예를 도 4a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초기화면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초기화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 구동 여부에 따라 배경화면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가령, 306단계에서 카메라가 구동된 경우 배경화면으로 현재 카메라부 209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별도로 카메라부 209를 구동시키는 경우 배경화면으로 미리 설정된 특정한 형태 예컨대, 앱에서 제공하는 그림, 색상 등의 형태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a를 참조하면, 다수의 아이콘들 410, 420, 430, 440, 450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아이콘들은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아이콘들을 추가하거나 또는 도 4a에 예시된 아이콘들 중 일부만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a에 예시된 각 아이콘들을 살펴보면, 카테고리 아이콘 410, 제목 입력 아이콘 420, 위치 입력 아이콘 430, 촬영 시작 아이콘 440 및 환경설정 아이콘 450을 예시하였다.
따라서 제어부 211은 도 4a에 예시된 아이콘들 중 특정한 아이콘이 선택되는가를 검사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 211은 308단계에서 카테고리 아이콘 410이 선택되는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211은 312단계에서 제목 입력 아이콘 420이 선택되는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211은 316단계에서 촬영 시작 아이콘 440이 선택되는가를 검사할 수 있다. 그 외에 위치 입력 아이콘 430 또는 환경설정 아이콘 450이 선택될 수도 있다.
제어부 211은 308단계의 검사결과 카테고리 입력이 요청된 경우 도 4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 목록을 표시부 213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데이터의 카테고리 선택 시의 예시도이다.
그러면 도 4b를 참조하면, 제어부 211은 310단계에서 카테고리 선택에 따라 표시부 213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카테고리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 211은 표시부 213에 긴급 아이콘 411, 스포츠 아이콘 412, 연예 아이콘 413, 경제 아이콘 414, 사회 아이콘 415, 생활 아이콘 416 및 기타 아이콘 417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에도 카메라부 209의 구동 시점에 따라 배경화면은 카메라부 209에서 획득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미리 설정된 바탕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211은 입력부 215로부터 상기한 아이콘들 411, 412, 413, 414, 415, 416, 417 중 하나의 아이콘 선택 신호가 입력될 시, 입력된 카테고리를 설정한다. 이후 제어부 211은 표시부 213의 표시 상태를 다시 도 4a의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 211은 312단계의 검사결과 제목 입력이 선택된 경우 314단계로 진행하여 도 4c와 같이 제목 입력을 위해 표시부 213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부 215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제목(title)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목 입력은 사용자가 업로드 직전에 직접 입력하거나, 음성인식 방법으로 인식하도록 하거나, 특정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정보 등을 통하여,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면 촬영 영상의 제목(title)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되게 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제목을 입력하는 경우 표시부에 제목 입력 상태가 활성화된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숫자 또는 문자 또는 각종 기호에 대응하는 키들의 입력을 위한 자판 영역 422와 자판 영역 422의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목 표시 영역 421을 포함할 수 있다. 업로더는 자판 영역 422의 자판을 터치 또는 호버링 등의 입력 방식을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처럼 자판 영역 422의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부 211은 표시부 213을 제어하여 초기 화면을 복귀한다.
이는 위치 입력 아이콘 430을 터치하는 경우 및 환경 설정 아이콘 450을 입력하는 경우도 유사한 형태로 이해할 수 있어 도 3의 제어 흐름도에서는 생략하였다. 가령 위치 입력 아이콘의 경우 단말 내에 구비된 GPS 수신을 위한 모듈(도 2의 위성신호 수신부 205 및 위치 계산부 207)를 이용할 수도 있고, 무선 모듈(도 2의 무선부 201 및 데이터 처리부 203)을 제어하여 무선통신 시스템에 요청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도 4c의 방식을 통해 직접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환경 설정에서는 위치 입력 방식의 초기 세팅, 바탕화면의 설정 또는 카테고리의 기본 설정, 제목의 기본 설정 등을 미리 세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 211은 316단계의 검사결과 촬영 시작이 요청된 경우 318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부 209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버 100로 송신한다. 이때, 위치 입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획득한 영상 정보의 메타 데이터에 위치 정보를 삽입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 및 제목을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 3에서 카테고리, 제목 등을 입력하는 것은 추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에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와 결합을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업로더는 업로드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한 이슈 정보를 촬영하여 송신할 시 선호도에 따라 매핑할 수 있도록 하는 부가 정보들을 더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는 이처럼 업로드된 정보에 부가된 정보들을 추출하여 이벤트 정보와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결합시킴으로써 개인별 핫 이슈 랭킹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C. Ronaldo 같은 축구 선수를 좋아하고, 이 선호도가 SNS의 사용자 선호도에 기록되어 있을 때, 기존 이벤트 추출 방식에 의하면, 순위가 102위 일 수 있는 이벤트가, 사용자 선호도와 결합되어, 6위로 오를 수 있다. 사용자 선호도는 정의에 따라, 특정 선수의 이름이 아니라, 카테고리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와 같은 카테고리가 선호도가 될 수 있고, 더 상세하게, "해외축구"와 같은 어휘가 될 수도 있다. 사용자 선호도의 추출은 SNS 플랫폼 상에서 특정 사용자의 다양한 행위 중 빈도가 높은 이슈에 대한 소셜 네트워킹(social networking) 행위를 통계화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해외 축구에 관련된 지인들의 포스팅 페이지를 자주 방문하거나, 포스트에 좋다/나쁘다를 표시하거나, 댓글을 다는 등의 소셜 네트워킹(social networking) 행위를 통계화하고, 컨텐츠 별로 유지/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업로드 단말이 방송 모드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업로드 단말의 제어부 211은 500단계에서 카메라부 209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송신하기 위한 형태로 가공하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으로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부 203 및 무선부 201을 제어하여 촬영된 동영상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송신하기 위한 영상의 형태는 스트리밍 형태가 될 수 있다.
업로드 단말의 제어부 211은 최초 영상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설정된 카테고리 정보, 제목,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등을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만일 앞서 설명한 도 3의 흐름도에서 카테고리와 제목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기본 설정 값으로 송신될 수 있다. 가령, 카테고리의 경우 기본 설정은 "긴급" 또는 "기타" 또는 사용자가 미리 디폴트로 설정한 값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제목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지 않은 경우 "제목없음(untitled)" 또는 "개인영상" 또는 사용자가 미리 디폴트로 설정한 값 중 어느 하나의 제목이 될 수 있다. 이때, 제목 정보와 카테고리 정보 등은 촬영 중에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장소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GPS나 그 밖에 LBS(location based service)와 같은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상대적 또는 절대적인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시간 정보라 함은, 현재 영상 스트리밍이 시작된 시점부터 스트리밍이 진행되고 있는 현재의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도 3의 흐름도에서 미리 설정된 이슈 카테고리는 동영상의 제목(title)에 프리픽스(prefix)로 붙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의 핫 이슈 분류를 할 때, 입력값으로 사용가능 하다. 만약 아무 카테고리를 표시하지 않고 바로 업로드 할 경우는, 긴급으로 자동 분류할 수도 있다.
이처럼 카메라부 209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송신하면서 제어부 211은 502단계에서 위치 정보의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를 검사한다. 위치 정보의 송신 시점 도래 여부는 앞서 설명한 도 4의 흐름도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사용자가 환경설정 아이콘을 통해 소정의 시간 단위로 위치 정보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사용자가 열차로 이동하면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또는 자동차로 이동하면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또는 걷거나 뛰면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위치 정보는 계속하여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 211은 502단계에서 위치 정보 송신 시점이 도래하였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502단계의 검사결과 위치 정보 송신 시점이 도래한 경우 제어부 211은 504단계로 진행하여 위성신호 수신부 205 및 위치 계산부 207을 제어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별도의 정보로 또는 카메라부 209로부터 획득한 정보의 메타 데이터로 삽입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 211은 500단계를 계속 수행하게 된다.
한편, 502단계의 검사결과 위치 정보의 송신 시점이 아닌 경우 제어부 211은 506단계로 진행하여 다운로더로부터 특정한 정보가 수신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이처럼 다운로더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예컨대, 문자 정보, 특정한 행위의 요청 정보, 음성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는 업로드 단말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단말인 경우에 가능하며, 만일 단방향 통신만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이러한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제어부 211은 506단계의 검사결과 다운로더 정보가 무선부 201 및 데이터 처리부 203을 통해 수신된 경우 508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다운로더 정보를 표시부 213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이를 첨부된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다운로더로부터 정보가 수신될 시 업로더 단말에서의 표시 상태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업로더 단말은 현재 동영상을 촬영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전송 중에 있으므로, 현재 방송 중(on air)임을 알리는 아이콘 601이 표시된 상태일 수 있다. 이처럼 방송 중인 상태에서 특정 다운로더 단말로부터 특정 오브젝트 611을 선택하고, 선택된 오브젝트 611을 자세히 보고 싶다는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 211은 표시부 213에 해당 오브젝트 611의 확대를 요청하는 아이콘 612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업로더 단말은 현재 동영상을 촬영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전송 중에 있으므로, 현재 방송 중(on air)임을 알리는 아이콘 601이 표시된 상태일 수 있다. 이처럼 방송 중인 상태에서 특정 다운로더 단말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 211은 표시부 213에 해당하는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창을 설정하고, 해당 창에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채팅창과 같은 문자 메시지 표시창의 백그라운드는 투명상태로 처리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한 색상으로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 211은 표시부 213에 문자를 표시할 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색상으로 문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c를 참조하면, 업로더 단말은 현재 동영상을 촬영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전송 중에 있으므로, 현재 방송 중(on air)임을 알리는 아이콘 601이 표시된 상태일 수 있다. 도 6c는 이처럼 방송 중인 상태에서 특정 다운로더 단말로부터 카메라의 앵글 이동 요청이 수신된 경우이다. 특정한 방향으로 앵글 이동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 211은 표시부 213에 상/하/좌/우의 이동 요청을 표시하기 위해 도 6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향 이동 요청 아이콘 631, 좌향 이동 요청 아이콘 632, 하향 이동 요청 아이콘 633 및 우향 이동 요청 아이콘 634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동시에 제어부 211은 이동이 요청된 방향에 대해 특정한 색상 또는 깜빡임 등의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6c에서는 상/하/좌/우의 4가지 경우만을 예시하였으나, 좌상/좌하/우상/우하의 4가지 경우를 더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d를 참조하면, 업로더 단말은 현재 동영상을 촬영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전송 중에 있으므로, 현재 방송 중(on air)임을 알리는 아이콘 601이 표시된 상태일 수 있다. 도 6d는 이처럼 방송 중인 상태에서 특정 다운로더 단말로부터 볼륨 조절에 대한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처럼 볼륨 조절이 요청된 경우 제어부 211은 표시부 213에 볼륨 아이콘 641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업로더가 볼륨 조절 아이콘 641을 선택하면, 현재의 볼륨 값 정보와 다운로더가 요청한 볼륨값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업로더는 볼륨이 표시된 상태에서 현재값을 유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다운로더의 요청을 수락하거나 또는 임의의 값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 211은 업로더가 입력한 정보를 입력부 215로부터 수신하여 업로더가 원하는 볼륨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e를 참조하면, 업로더 단말은 현재 동영상을 촬영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전송 중에 있으므로, 현재 방송 중(on air)임을 알리는 아이콘 601이 표시된 상태일 수 있다. 도 6d는 이처럼 방송 중인 상태에서 특정 다운로더 단말로부터 조명 또는 명암비 또는 화이트 벨런스 등의 조절이 요청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어부 211은 조명 또는 명암비 또는 화이트 벨런스 등의 조절이 요청된 경우 표시부 213에 조명 조절 아이콘 651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업로더가 조명 조절 아이콘 651을 선택하면, 현재의 조명 또는 명암비 또는 화이트 벨런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정보는 현재 설정된 값과 함께 다운로더가 요청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업로더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다운로더의 요청을 수락하거나 또는 임의의 값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 211은 업로더가 입력한 정보를 입력부 215로부터 수신하여 업로더가 원하는 조명 또는 명암비 또는 화이트 벨런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정보들 외에 다운로더는 업로더 단말로 음성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VoIP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업로더에게 전송하여 업로더에게 필요한 정보를 직접 요청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 211은 다운로드 단말로부터 제공된 음성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여 스피커(도 2에 미도시)를 통해 가청음 대역의 신호로 업로더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업로더 단말은 업로더가 특정한 한 명의 다운로더 또는 둘 이상의 다운로더와 대화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은 508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이 될 수 있다. 또한 508단계가 이루어지는 중에도 500단계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508단계에서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카테고리 변경 또는 제목 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수신된 다운로더 정보의 표시 방법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서의 동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업로드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다양한 다운로더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다운로더들의 선호도에 따라 업로드 되는 각 동영상들의 랭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랭킹 정보는 개인의 선호도, 지역 및 시간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업로드 단말로부터 전송된 부가 정보(영상의 제목(title), 지역정보, 시간정보 등)를 사용하여, 특정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다운로더로부터 업로더에게 전송할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업로더에게 전달함으로써 실시간 서비스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의 블록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의 기능적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01은 인터넷 또는 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업로드 단말들 21, …, 2N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며, 다운로드 단말들 31, 32, 33, …, 3M로 각종 데이터들을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01은 각 네트워크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가공 및 수신된 데이터를 서버 내에서 처리하기 위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 703은 서버 제어부 711의 제어에 의해 업로드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서 부가 데이터를 추출한다. 예컨대, 정보 추출부 703은 서버 제어부 711의 제어에 의해 업로드 단말이 동영상 정보와 함께 또는 별도로 전송하는 업로드 단말의 식별자, 위치정보, 시간 정보, 제목 정보, 카테고리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이처럼 정보 추출부 703에서 추출된 정보는 유사성 비교부 705로 입력된다. 유사성 비교부 705는 정보 추출부 703으로부터 제공된 각종 부가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 예컨대, 시공간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성 비교부 705는 각종 부가정보들로부터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업로드 된 서로 다른 각 동영상들의 제목의 유사도 또는/및 지역 또는/및 시간 유사도 등을 검출하고, 검출된 유사도 값을 카운트하여, 특정한 키워드 및 그에 대한 유사도 카운트 값을 생성하고, 이를 키워드 랭킹 생성부 707로 제공할 수 있다.
키워드 랭킹 생성부 707은 서버 제어부 711의 제어에 의해 유사성 비교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범용 랭크(Universal rank)와 개인적 랭크(personal rank)를 생성할 수 있다. 범용 랭크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업로드 되고 있는 동영상의 빈도 정보만을 근거로 랭킹을 생성할 수 있다. 반면에 개인적 랭크는 범용 랭크들 중 각 개인별로 미리 설정된 취향 정보에 부합하는 정보들에 우선순위를 부가하거나 또는 가중치를 두어 개인별 랭크를 적용할 수 있다. 키워드 랭킹 생성부 707에서 생성된 랭킹 정보는 랭킹 정보 제공부 709로 제공된다.
랭킹 정보 제공부 709는 각 사용자별로 같거나 다른 랭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01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일 특정한 사용자가 푸쉬(push) 메시지 형식으로 랭킹 정보의 수신을 요청한 경우 랭킹 정보 제공부 709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또는 특정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범용 랭크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개인적 랭크 정보를 함께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특정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에 접속할 시 범용 랭크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개인적 랭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정된 경우 랭킹 정보 제공부 709는 해당 사용자의 접속 시에만 범용 랭크 정보와 개인적 랭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개인적 랭크 정보에 관련되어 아무런 정보도 저장하지 않은 사용자 예컨대, 최초 접속자 등의 경우 랭킹 정보 제공부 709는 범용 랭크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713은 서버 제어부 711의 제어에 의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01로부터 제공된 동영상 정보와 해당 동영상 정보에 대응한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713은 서버 제어부 711의 제어에 의해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고, 동영상 스트리밍 데이터의 방송이 완료될 시 이를 VoD(Video on Demand) 데이터와 같은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713은 서버 제어부 711의 제어에 의해 실시간 동영상 데이터를 임시 버퍼링 형태로 저장하고, 다운로드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서버 제어부 711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업로드 단말로부터 업로드 되는 동영상 정보와 부가 정보를 수신 및 저장의 제어를 수행하고, 이들의 유사성 비교, 키워드 생성 랭킹 정보 제공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 711은 수신된 동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713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필요시 VoD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 711은 동영상 데이터를 업로드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운로드 단말들로 제공할 시 다운로드 단말로부터 업로드 단말로 전송이 요청된 문자 또는 요청 정보 등을 수신하고, 이를 해당하는 업로드 단말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의 업로드 시 업로드 단말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간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을 설명함에 있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업로드 단말과 각 업로드 단말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운로드 단말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업로드 단말이 서버 100로 송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어떠한 다운로드 단말도 수신하지 않을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운로드 단말들이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업로드 단말은 각 지역별 또는 동일 지역에서도 둘 이상의 업로드 단말이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업로드 단말 21과 하나의 다운로드 단말 31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8을 설명함에 있어, 업로드 단말 21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간의 접속 및 인증을 위한 절차 등은 생략하였으며, 다운로드 단말 31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간의 접속 및 인증을 위한 절차 등 또한 생략하였다.
업로드 단말 21은 800단계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으로 업로드 할 동영상 부가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업로드 할 동영상의 부가 정보는 사용자 식별자(ID), 위치 정보(GPS, 카메라 오리엔테이션 정보), 시간정보, 타이틀 정보, 카테고리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만일 송신하고자 하는 동영상 데이터의 파일 포맷이 불완전한(incomplete) 상태에서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라면 이 메타 데이터에 들어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메타 데이터를 생성시키지 못하는 포맷이라면, 스트리밍 파일이 전송되기 전에 다른 정보들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정보가 올라오는 시점까지 알 수 있다.
이처럼 800단계에서 전송된 동영상 부가 정보 데이터는 앞서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 내에서 랭킹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랭킹 정보는 범용 랭킹과 개인적 랭킹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804단계에서 업로드 단말 21로 전송을 허락하는 전송 실행(Send to OK)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802단계의 랭킹 생성이 완성되면, 806단계에서 푸쉬 메시지를 통해 또는 접속하고 있는 다운로드 단말들로 랭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전송되는 랭킹 정보는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제공되는 범용 랭킹 정보와 각 사용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개인적 랭킹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업로드 단말 21은 804단계에서 전송 실행 신호를 수신하면, 808단계에서 촬영된 동영상 스트리밍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801단계에서 업로드 단말 21로부터 수신된 스트리밍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713에 버퍼링할 수 있다. 이처럼 버퍼링된 데이터는 향후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VoD 데이터 등의 형식으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810단게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중에 812단계와 같이 특정한 다운로드 단말 31로부터 방송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814단계에서 실시간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이라 함은, 업로드 단말 21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다운로드 단말 31로 그대로 전송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서버 100에서 데이터 매칭 동작에 따른 지연 및 업로드 단말 21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까지의 네트워크에서의 지연시간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에서 다운로드 단말 31까지의 지연시간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814단계의 실시간 방송 서비스 제공은 다운로드 단말 31이 다운로드를 중지하거나 또는 업로드 단말이 업로드를 완료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업로드 단말 21은 만약 위치 정보가 계속 변화하면 816단계와 같이 변화한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상기 영상의 위치 정보를 계속 추적하여 기록하고, 키워드 랭킹 산정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818단계에서 다운로드 단말 31로부터 업로드 단말 21로 전달이 요청된 업로드 영상의 보정 요청 예컨대, 특정한 문자, 특정한 대상의 확대 요청, 볼륨 조절 요청, 앵글의 변화 요청, 밝기 보정 요청 등과 같이 특정한 요청 정보가 수신될 시 820단계에서 이를 해당하는 업로드 단말 21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업로드 단말 21은 820단계에서 업로드 보정 요청 정보가 수신될 시 822단계에서 업로드 보정 요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업로드 보정 요청 정보의 표시 방법은 앞서 설명한 도 6a 내지 도 6e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업로드 단말 21은 동영상 정보의 전송을 완료할 시 830단계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으로 업로드 종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업로드 종료 메시지를 수신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832단계에서 버퍼링 데이터를 VoD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 713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서 업로드 및 다운로드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서버 제어부 711은 9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대기상태란, 특정한 이벤트를 대기하는 상태이며, 특정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업로드 단말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대기상태는 특정한 다운로드 단말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대기상태는 다른 특정한 단말 예컨대, 업로드 단말 또는 다운로드 단말로부터의 새로운 요청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서버 제어부 711은 9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902단계로 진행하여 특정한 업로드 단말로부터 동영상 부가 정보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902단계의 검사결과 특정한 업로드 단말로부터 동영상 부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90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920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902단계에서 90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하자. 서버 제어부 711은 동영상 부가 정보가 수신되면, 904단계에서 해당 단말로 전송 실행 메시지를 생성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01을 통해 해당 업로드 단말로 송신을 허락하는 전송 실행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 711은 904단계에서 부가 정보와 기 수신된 부가 정보들을 이용하여 유사성을 검색하고, 랭킹을 부여할 수 있다.
유사성 검사 및 랭킹 부여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서버 제어부 711은 업로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부가 정보와 다른 업로드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부가 정보들을 이용하여 현재 데이터베이스 713에 저장(버퍼링)되고 있는 다른 정보들과 비교를 통해 보다 상세한 이벤트 이름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업로드 사용자 식별자(user id)가 "121222"를 갖는 업로드 단말로부터 해당 업로드 위치 정보로 (234.12,123.22)의 정보를 가지며, 시간 정보 "2014년 12월 25일 13시 45분"으로 설정한 제목 "걸 그룹 2NE1의 출현", 카테고리 "연예"의 정보를 송신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서버 제어부 711은 이러한 정보를 정보 추출부 703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 711은 유사성 비교부 705를 제어하여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사나 감탄사, 접속사 등의 핵심 단어가 아닌 것들은 빠지게 하는 방법이다. 여기에 지도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좌표가 서울의 강남역 주변의 XX 점포 근처라는 정보를 알게 되면, 서버 제어부 711은 해당 정보를 타이틀에 추가할 수 있다. 즉 "걸 그룹 2NE1 강남역 XX 앞 출현"이 새로운 타이틀이 될 수 있다.
이후 서버 제어부 711은 유사성 비교부 705를 제어하여 이렇게 추출된 이벤트는 다시 현재 업로드 되고 있는 영상들 또는 기 업로드되고 있는 영상들 중, 동일 또는 유사한 좌표의 영상들을 먼저 검색하여 유사성 있는 영상을 찾아낸다. 이 과정에서 GPS의 X, Y 정보의 마진값이 존재하여, 이 값을 기준으로 검색대상 영상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마진을 4라고 한다면, (230.12, 119.22)부터 (238.12,127.22)의 직사각형 내부의 지역에서 올라오는 모든 영상을 먼저 찾는다. 이 마진 값은 서버 운용상의 경험으로 축적된 값일 수 있다. 이 값은 주로 카메라의 인식 가능한 거리에 따른 값을 지도의 좌표(coordinate)에 적용한 값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 711은 유사성 비교부 705를 제어할 시 위치 정보의 마진 값 뿐 아니라 이벤트의 시간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해당 업로드 되고 있는 영상의 촬영 시작 시간을 기준으로 업로드 시작 시간이 특정 마진 값 이내에 존재하는 영상을 검색 대상으로 고려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시작 시간의 임계값을 '1시간' 이라고 한다면, 상기 지역적 경계(boundary) 내에서 업로드 된 영상들 중 2014년 12월 25일 12시 45분부터의 영상을 골라낸다. 이렇게 위치 및 시간의 임계값들로 필터된 영상들을 기준으로 동일한 이벤트를 나타내고 있는지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업로드 되고 있는 영상들은 기본적으로 자신만의 제목(title), 위치/시간 정보로부터 추출된 이벤트 명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업로드 영상에서 "걸 그룹 2NE1 서울 강남역 XX앞 출현"과 같은 이벤트 명을 이미 가지고 있다. 필터된 영상들의 각 타이틀에서 단어 상호간 상관관계 유추를 통해, 동일한 이벤트 명을 찾아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이벤트 명의 필수 요소가 존재하는데, "촬영 대상" 및 "장소"에 해당하는 하나의 통일(unified)된 정보가 있어야 한다. 가령, "무엇을 하다"와 같은 정보는 부가적인 정보이므로, 필수 요소에는 빠진다. 상기 업로드 영상은 "걸 그룹 2NE1 강남역 XX앞 출현"에서 필수 요소를 추출하면 "걸 그룹 2NE1", "강남역, XX앞"이 된다. 이 외에 다른 필터된 영상들은,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타이틀들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자.
a) "걸 그룹, 2NE1 이쁘다"
b) "걸 그룹, 2NE1 맴버 씨엘 엔젤리너스에서 발견"
c) "걸 그룹, 2NE1 직접촬영"
d) "화요일 2NE1 발견"
e) "ABC마트 신발 탐험"
그러면 서버 제어부 711은 유사성 비교부 705를 제어할 시 자연어 처리, 지역 정보의 순화(refinement)를 거친 각 타이틀 명은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a') "걸 그룹, 2NE1 강남역 XX앞"
b') "걸 그룹, 2NE1 맴버 씨엘 강남역 엔젤리너스 앞 발견"
c') "걸 그룹, 2NE1 강남역 XX앞 직접촬영"
d') "걸 그룹, 2NE1 강남역 XX앞 발견"
e') "신발 강남역 ABC마트"
여기서 [누가(무엇이)], [어디서]에 해당되는 정보를 추출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a) [걸 그룹, 2NE1], [강남역 XX앞]
b) [걸 그룹, 2NE1 맴버 씨엘], [강남역 엔젤리너스 앞]
c)[걸 그룹, 2NE1], [강남역 XX앞]
d) [걸 그룹, 2NE1, ][강남역 XX앞]
e) [신발], [강남역 ABC마트]
이러한 정보들을 근거로 [대상]과 [어디서]에 해당하는 정보들은 예컨대, 투표(voting)를 통해서 추가적으로 구분(refine)될 수 있다. 서버는 데이터 마이닝 또는 기존 검색어 기반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각 필수 항목에 대한 계층적(hierarchy)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만약 투표(voting) 시 충돌(conflict)이 발생할 경우 더 높은 수준의 단어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예에서, [대상]은 [2NE1] b)[씨엘] c)[2NE1] d)[2NE1] e)[신발] 이므로, 단어의 관계를 보면, 2NE1은 씨엘을 포함하고 있지만, 신발과는 연관관계가 없다. 따라서, a,b,c,d의 경우는 동일한 [대상]=[2NE1]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e의 경우는 [대상]=[신발]이므로, 동일 이벤트가 아니며, 동일 이벤트 대상에서 제외 된다.
나머지 [어디서] 역시 마찬가지 방법으로, a)[강남역 뱅뱅앞], b)[강남역 엔젤리너스 앞], c)[강남역 XX앞], d)[강남역 XX앞], e)[강남역 ABC마트] a, b, c, d, e의 상위 개념인 [강남역]으로 축약된다.
결국, 두 가지 필수 요소를 모두 만족하는 영상은 a, b, c, d의 경우이며, 이벤트 명은 "2NE1 강남역"으로 추출된다.
상기 위치 정보의 추출 과정은, 지도상의 지명이 아니라, 직접 GPS의 정합(coordinate)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계층적(hierarchy) 구조가 아닌, 상기 지도상의 지역 임계값 영역을 기준으로 해당 경계(boundary)를 하나의 가상 위치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예에서 (234.12,123.22)를 기준으로 마진이 4였으므로, (230.12, 119.22)부터 (238.12,127.22)는 동일 지역으로 본다. 이 경우는, [대상] 이 동일하면, 동일한 이벤트로 본다.
상기 과정은 결정을 위한 한 방법으로 위치정보를 근거로 한 계층에서 무조건적으로 상위 개념을 찾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보다 많은 정보를 갖는 다수결로 선택하거나 가중치(weight)에 기반한 선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절대 다수가 "2NE1"이 아닌 "씨엘"을 언급했다면, 결정된 이벤트 명의 필수 요소 [대상]은 "씨엘"이 된다. 또는 2NE1과 씨엘에 다른 가중치(weight)를 줘서 선택하게 할 수 도 있다. 또한 얼마나 지역 정보나 시간정보와 유사성이 강한가에 따라서, 이와 같은 타이틀의 재구성의 높은 확률 값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작업 중에, 단말의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으로 인해, 단말 자체의 오리엔테이션 정보가 업로딩 시에 전달 될 수도 있다. 만일 이러한 정보가 서버에 전달된다면, 서버는 이미 업로딩 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의 영상들의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 찍는 단말의 오리엔테이션 정보를 활용하여, 이 업로드 단말에서 촬영하고 있는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확인된 피사체의 위치가 동일하면, 상기 타이틀의 재구성에 좀 더 신뢰도를 가질 수 있다.
서버 제어부 711은 키워드 랭킹 생성부 707에서 이렇게 추출된 이벤트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업로드되고 있는 동일 이벤트의 개수를 계측(counting)하여 랭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예에서 [2NE1], [강남역]의 이벤트를 촬영하고 있는 영상의 계측 값은 902단계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 + 기 업로드 되고 있는 4개(a, b, c, d)의 영상이 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정보들 중 대부분은 미리 스케줄 된 이벤트에 근거한 영상들이 될 수 있다. 스케줄 된 이벤트의 경우, 예컨대, 각종 언론 및 이벤트 공고의 주체, 특정 개인의 캘린더와 관련한 서버에서 미리 스케줄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거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도 1에서 설명한 스케줄 서버 110으로부터 제공된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 제어부 711은 스케줄된 영상인지 여부를 스케줄 서버 110으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보다 명확히 설정할 수 있다.
가령, 스케줄 서버 110으로부터 미리 획득한 정보와 업로드 단말로부터 수신된 특정 영상 정보를 서버의 시간 및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성을 판단하고, 해당 영상이 스케줄된 이벤트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스케줄 서버 110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특정한 영상이 수신될 스케줄 서버 110에 해당 영상의 시간 및 위치 정보를 근거로하여 미리 정의된 언론, 이벤트 스케줄 및 개인 스케줄 서버에 쿼리를 보내서 그 시/공간 근방에서 발생하기로 되어 있는 이벤트 정보를 서버로 가져와 매칭할 수도 있다.
스케줄 서버 110으로부터 가져오는 정보는 특정 지역/시간에 발생하기로 한 이벤트 명, 참여자, 이벤트의 간략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의 서버 제어부 711은 스케줄된 지역/시간 정보와 업로드 단말로부터 수신된 부가 정보에 포함된 지역/시간 정보가 특정 임계값 내에 있다면, 이벤트 유사성을 업로드 단말의 영상이 스케줄 된 이벤트로 인지하고, 그에 따른 이벤트로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키워드 랭킹 생성부 707은 동일한 이벤트에 대하여 다수의 업로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범용 랭킹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개인적인 랭킹은 범용 랭킹에 개인의 취향 등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적용하거나 특정한 카테고리만을 추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키워드 랭킹 생성부 707은 단순히 업로드 단말의 수 뿐 아니라 다운로드 수에 대하여도 카운팅을 통해 랭킹을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업로드 단말의 수와 다운로드 단말의 수에 대한 가중치는 서로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보 추출부 703, 유사성 비교부 705 및 키워드 랭킹 생성부 707에서 특정한 이벤트에 대한 랭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 711은 전송 실행 메시지를 송신한 이후 해당 업로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 데이터는 906단계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버퍼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버퍼링되는 정보는 실시간으로 다른 다운로드 단말들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 711은 908단계에서 해당하는 업로드 단말로부터 동영상 종료 메시지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908단계의 검사결과 해당 동영상의 업로드가 종료되는 경우 서버 제어부 711은 910단계에서 버퍼링된 데이터를 VoD 데이터로 변환한 후 데이터베이스 713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대기상태에서 920단계로 진행하면, 서버 제어부 711은 특정한 방송 파일 예컨대, 업로드 단말이 현재 업로드를 수행하고 있는 동영상 파일에 대한 수신이 요구되는지를 검사한다. 920단계의 검사결과 해당 동영상 파일에 대한 수신이 요구되는 경우 서버 제어부 711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01 및 데이터베이스 713을 제어하여 버퍼링되고 있는 방송 파일을 수신을 요청한 단말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한편, 920단계의 검사결과 업로드 단말이 현재 업로드를 수행하고 있는 동영상 파일에 대한 수신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서버 제어부 711은 930단계에서 특정한 다운로드 단말로부터 동영상 보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930단계의 검사결과 특정한 다운로드 단말로부터 보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서버 제어부 711은 932단계에서 동영상 보정 요청 메시지 해당하는 업로드 단말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업로드 단말과 다운로드 단말간 실시간 통신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3. 다운로드 단말에서의 동작
다운로드 단말은 기본적으로 시청자 단말이 될 수 있다. 즉, 다운로드 단말의 사용자는 업로드 단말이 실시간으로 업로드하는 특정한 동영상 데이터들을 취사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또는 관심이 있는 동영상 정보를 판단하고, 해당 동영상을 수신하여 시청하게 된다. 이처럼 다운로드 단말이 업로드되고 있는 특정한 동영상 데이터들 중 취사선택의 문제가 중요한 이슈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 데이터들을 취사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다운로드 단말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접속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0을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의 단말 블록 구성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단말 블록 구성도는 도 2의 구성이 아닌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TV 등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0의 제어 흐름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면 족하다.
다운로드 단말의 제어부 211은 10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대기상태란, 사용자로부터의 특정한 이벤트 예컨대,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요청을 대기하거나 또는 소정의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가 수신을 대기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처럼 대기상태를 유지하다가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 211은 1002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부 215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접속이 요청되었는가를 검사한다.
1002단계의 검사결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에 접속이 요청된 경우 제어부 211은 10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1004단계로 진행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00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 211은 무선부 201 및 데이터 처리부 203을 제어하여 소정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에 접속한다. 소정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 절차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에 접속하는 절차 등은 널리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거나 또는 향후 개발될 무선 통신 접속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어부 211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에 접속할 시 위성 신호 수신부 205 및 위치 계산부 207에서 계산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 211은 1006단계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에 접속한 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부터 초기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표시부 213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 213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예를 들면, 다운로드 단말의 위치 정보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으로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다운로드 단말의 위치에 근거하여 초기 화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단말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예시도들이다.
먼저 도 11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부 213은 지도 영역 1100과 텍스트 영역 111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지도 영역은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일정한 범위 예컨대, 사용자가 대한민국의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서울의 지도가 될 수 있고, 사용자가 대한민국의 부산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부산의 지도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11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지도 영역 1100에는 사용자의 위치 1130과 표시된 지도에서 동영상이 업로드 되고 있는 지역들 1101, 1102, 1103, …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지도 영역 110에 업로드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으로 표시된 곳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업로드 단말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문자 표시 영역 1110은 핫 이슈(hot issue)를 표시하는 영역 1112와 위치(hot place)를 표시하는 영역 1114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문자 표시 영역 11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로그인(log-in)에 의해 범용 랭크 정보 및 개인적 랭크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도 11a에서 사용자가 참조부호 1120과 같이 특정한 이슈를 선택하는 경우 도 11b와 같이 선택된 형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b는 도 11a에서 핫 이슈 항목들 중 "1.국대 축구"가 선택되어 표시가 변경된 상태를 예시한 형태이다. 이처럼 특정한 이슈가 선택되면, 참조부호 1112a와 같이 색상의 변경 또는 글자가 입체적으로 표시되도록 또는 둘 모두를 이용하여 해당 이슈가 선택됨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이슈에 대응하여 지도 영역 1100에서도 해당하는 이슈의 동영상 업로드가 진행되고 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만일 해당하는 영상의 업로드 상태가 지도 영역 1100에 이미 표시된 상태라면, 제어부 211은 지도 영역 1100에서 해당 동영상이 업로드 되고 있는 위치에 대하여 확대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 213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1b에서는 참조부호 1122에서 사용자가 지도 영역 1100에서 특정한 위치의 확대를 요청하는 줌 인(zoom in) 동작 또는 특정한 위치의 축소를 요청하는 줌 아웃(zoom out) 동작을 예시하고 있다. 이처럼 지도 위치 1100에서 줌 인/아웃 동작은 지도 영역 1100의 확대 또는 축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 11c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11c는 지도 영역 1100이 확대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1c에 예시한 바와 같이 특정한 지역으로 확대가 이루어지면, 해당하는 위치에서 업로드 되고 있는 동영상 또는 업로더들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표시 영역 1100에 표시된 업로드 위치들 중 하나인 참조부호 1102에 대하여 확대가 이루어져, 서로 구분할 수 있는 다수의 업로더들 1102a, 1102b, 1102c, … 등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에도 각 업로더들은 하나 이상의 업로더가 될 수 있다. 만일 동일한 지역에 대하여 둘 이상의 업로더가 존재하는 경우 지도 영역에서 해당 업로더를 선택하면, 지도 영역 1110 상에 말풍선 형태 또는 부가적인 표시 방법을 통해 각 업로더들의 제목, 위치 정보 및 그 밖의 추가 정보들이 보다 세부적으로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에서 살핀 바와 같이 특정한 위치가 서울 또는 부산 등과 같이 대도시 전체의 지도가 표시되는 경우 각 위치에서 제공되는 업로드 단말들 또는 업로드 영상이 송신되고 있는 위치의 정보는 "점"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지도 영역 1100에서 특정한 위치가 점차로 확대됨에 따라 "점"으로 표시되던 업로더 또는 업로드 되는 위치는 "아이콘" -> "썸네일" -> "작은 동영상"의 순으로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어부 211은 지도 확대 요청 시 확대가 요청된 지역 및 확대 배율에 대한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제공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지도 표시 영역 1100을 갱신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 211은 1006단계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에 접속하여 초기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고, 다운로드 된 데이터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추가적인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 211은 입력부 215를 통해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고, 로그인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로그인이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에 로그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따라서 로그인 동작이 요청될 시 제어부 211은 무선부 201 및 데이터 처리부 203을 제어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 로그인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로그인 데이터는 사용자의 식별자(ID)와 비밀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 211은 1010단계에서 무선부 201 및 데이터 처리부 203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인증 정보 및 해당 사용자에 따라 설정된 범용 랭크 정보 및 개인적 랭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 211은 표시부 213에 텍스트 영역 1110을 범용 랭크 정보와 개인적 랭크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도 11d에는 로그인 동작 이후에 범용 랭크 정보와 개인적 랭크 정보가 갱신된 형태를 예로써 도시하였다.
도 11d를 참조하면, 지도 영역 1100은 도 11a 및 도 11b와 동일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 1130이 지도 영역 1100에 표시되고, 각 지역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있는 지역에 대하여 지도 영역 1100에 각각 표시되고 있다. 여기서 문자 표시 영역 1100은 범용 랭크 1112와 개인적 랭크 1114로 구성되며, 이전의 정보와 상이한 개인 랭크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어부 211은 입력부 215를 통해 다운로드 단말의 사용자가 특정한 방송의 시청을 요청하는가를 검사할 수 있다. 만일 특정한 방송의 시청이 요구되는 경우 다운로드 단말의 제어부 211은 1014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방송의 시청 모드로 진행한다. 이때, 시청모드에서는 앞서 업로드 단말의 동작 설명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의 동작 설명에서와 같이 다운로드 단말의 사용자가 업로드 단말에게 영상 조정 요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조정 요청 정보는 실시간 문자 서비스 또는 채팅 서비스 등과 유사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방송 시청 모드에서 다운로드 단말은 다운로더의 제어에 근거하여 업로더의 영상을 보면서 영상의 타이틀과 영상의 내용이 잘 맞을 경우, 또는 취향에 부합하는 경우 업로드되고 있는 영상의 평가를 할 수 있다. 이 평가는 "좋아요" 처럼 1비트 정보로 구성하여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고, 다중 비트 정보로 구성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이때 송신되는 데이터는 영상 조정 요청 정보와 달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로만 전송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00은 이를 토대로 랭킹을 변경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1, 2N : 업로드 단말 31, 32, 33, 3M : 다운로드 단말
100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110 : 스케줄 서버 201 : 무선부
203 : 데이터 처리부 205 : 위성 신호 수신부
207 : 위치 계산부 209 : 카메라부
211 : 제어부 213 : 표시부
215 : 입력부 217 : 메모리
701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03 : 정보 추출부
705 : 유사성 비교부 707 : 키워드 랭킹 생성부
709 : 랭킹 정보 제공부 711 : 서버 제어부
713 : 데이터베이스

Claims (28)

  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서 업로드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더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업로드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서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기 수신된 데이터들의 부가 정보와 비교를 통해 부가 정보의 유사성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유사성을 기반으로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키워드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카운트하여 랭킹 정보를 생성하고, 범용 랭킹과 각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개인적 랭킹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적어도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제목, 상기 업로드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성 검출은,
    기 업로드 된 부가 정보들 중 상기 업로드 단말의 위치 정보의 오차범위 내에 있는 제목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제목들 중 대상 정보가 일치하거나 또는 연관성을 갖는 정보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업로드 시작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목 추출 시 상기 업로드 시작 시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기 업로드 된 부가 정보들을 대상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다운로드 단말로부터 상기 업로드 되는 데이터들 중 특정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수신이 요구될 시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소정의 다운로드 단말로부터 상기 업로드 단말로 보정 요청 정보 수신 시 상기 수신된 보정 요청 정보를 해당하는 업로드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랭킹과 상기 개인적 랭킹 정보는 특정 단말의 접속이 요청될 시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랭킹과 상기 개인적 랭킹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특정 이벤트가 존재할 시 각 단말들로 푸쉬 메시지로 전송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데이터의 수신이 종료될 시 해당 데이터가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 VoD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10. 업로드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더에게 제공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업로드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서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기 수신된 데이터들의 부가 정보와 비교를 통해 부가 정보의 유사성을 검출하는 유사성 비교부;
    상기 검출된 유사성을 기반으로 키워드를 생성하는 키워드 생성부;
    상기 생성된 키워드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카운트하여 랭킹 정보를 생성하고, 범용 랭킹과 각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개인적 랭킹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랭킹 정보 제공부;
    업로드 단말 및 다운로드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업로드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의 업로드, 다운로드 동작과 유사성 비교 및 키워드 생성의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적어도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제목, 상기 업로드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성 검출부는,
    기 업로드 된 부가 정보들 중 상기 업로드 단말의 위치 정보의 오차범위 내에 있는 제목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목들 중 대상 정보가 일치하거나 또는 연관성을 갖는 제목들을 추출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업로드 시작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사성 검출부는,
    상기 제목의 추출 시 상기 업로드 시작 시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에 기 업로드 된 부가 정보들을 대상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소정의 다운로드 단말로부터 상기 업로드 되는 데이터들 중 특정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수신이 요구될 시 업로드되고 있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소정의 다운로드 단말로부터 상기 업로드 단말로 보정 요청 정보 수신 시 상기 수신된 보정 요청 정보를 해당하는 업로드 단말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범용 랭킹과 상기 개인적 랭킹 정보는 특정 단말의 접속이 요청될 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범용 랭킹과 상기 개인적 랭킹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특정 이벤트가 존재할 시 각 단말들로 푸쉬 메시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업로드 데이터의 수신이 종료될 시 해당 데이터가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 VoD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장치.
  19. 단말 장치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 데이터 업로드 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업로드가 요청될 시 카메라를 구동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촬영하여 업로드 할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데이터의 업로드 시작이 요청될 시 상기 컨텐츠의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동영상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의 부가 정보를 함께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업로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카테고리,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업로드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 상기 컨텐츠의 촬영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업로드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부터 업로드 보정 요청 정보 수신 시 수신된 보정 요청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업로드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요청 정보는,
    촬영되는 대상의 확대 요청 정보, 특정한 문자 정보, 앵글의 이동 요청 정보, 볼륨 조절 요청 정보, 밝기 조절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업로드 방법.
  24.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 데이터 업로드 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디지털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생성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 업로드가 요청될 시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촬영하여 업로드 할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된 디지털 데이터의 업로드 시작이 요청될 시 상기 컨텐츠의 부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의 부가 정보를 함께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한 단말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카테고리,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한 단말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 상기 컨텐츠의 촬영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한 단말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로부터 업로드 보정 요청 정보 수신 시 수신된 보정 요청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한 단말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요청 정보는,
    촬영되는 대상의 확대 요청 정보, 특정한 문자 정보, 앵글의 이동 요청 정보, 볼륨 조절 요청 정보, 밝기 조절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한 단말 장치.

KR1020140093051A 2014-07-23 2014-07-2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012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051A KR20160012269A (ko) 2014-07-23 2014-07-2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4/806,081 US20160029063A1 (en) 2014-07-23 2015-07-2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of rankings of multimedia in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051A KR20160012269A (ko) 2014-07-23 2014-07-2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269A true KR20160012269A (ko) 2016-02-03

Family

ID=5516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051A KR20160012269A (ko) 2014-07-23 2014-07-2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029063A1 (ko)
KR (1) KR201600122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6027A (zh) * 2018-07-02 2019-01-0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借款合约处理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943A (ko) * 2016-11-07 201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CN106886608A (zh) * 2017-03-28 2017-06-23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资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416817B2 (en) * 2017-06-02 2022-08-16 Apple Inc. Event extraction systems and methods
US11385851B2 (en) * 2019-03-08 2022-07-12 Lg Electronics Inc. Robo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2074A1 (en) * 2009-03-23 2010-09-23 Tandberg Television Inc. Video sharing communities in a cable system
US9183287B2 (en) * 2010-01-29 2015-11-10 E-Therapeutics Plc Social media analysis system
US9177346B2 (en) * 2010-07-01 2015-11-03 Facebook, Inc. Facilitating interaction among users of a social network
US9374429B2 (en) * 2012-12-18 2016-06-21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event information using icons
US9165069B2 (en) * 2013-03-04 2015-10-20 Facebook, Inc. Ranking videos for a user
US20150149539A1 (en) * 2013-11-22 2015-05-28 Adobe Systems Incorporated Trending Data Demographic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6027A (zh) * 2018-07-02 2019-01-0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借款合约处理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29063A1 (en)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1085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aggregating and presenting multiple videos of an event
US10405020B2 (en) Sharing television and video programming through social networking
US10623783B2 (en) Targeted content during media downtimes
US8849821B2 (en) Scalable visual search system simplifying access to network and device functionality
US2019022049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720640B2 (en) Searching social media content
KR20160012269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랭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020106B (zh) 一种推荐方法、推荐装置和用于推荐的装置
KR101334127B1 (ko)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한 동영상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3316204A1 (en) Targeted content during media downtimes
WO2019082606A1 (ja) コンテンツ管理機器、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20150064613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2105236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