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610B1 -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610B1
KR101081610B1 KR1020090044328A KR20090044328A KR101081610B1 KR 101081610 B1 KR101081610 B1 KR 101081610B1 KR 1020090044328 A KR1020090044328 A KR 1020090044328A KR 20090044328 A KR20090044328 A KR 20090044328A KR 101081610 B1 KR101081610 B1 KR 101081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ush
push policy
loc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561A (ko
Inventor
송성학
박주현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4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61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맞춤콘텐츠를 제공하는 푸쉬정책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조건이 푸쉬정책에 부합되면, 사용자에게 푸쉬정책에 의해 미리 설정된 맞춤콘텐츠를 제공하는 맞춤콘텐츠 제공서버와, 맞춤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된 맞춤콘텐츠를 외부로 표시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위치기반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가 맞춤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 푸쉬 정책을 활용하여 손쉽게 정책의 조정만으로 맞춤콘텐츠를 구성하고 사용자에게 푸쉬할수 있게 함으로써 푸쉬 조건이 바뀌더라도 전체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만들 필요 없이 푸쉬 정책만 바꾸어 맞춤 푸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운영 시 운영비 절감 및 서비스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정책, 계층화, 범용성

Description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및 방법{Realtime pushing system and method of customized contents based on position and push policy}
본 발명은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기반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가 사용자의 선호도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별 맞춤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 푸쉬 정책을 활용하여 손쉽게 정책의 조정만으로 맞춤콘텐츠를 구성하고 사용자에게 푸쉬할수 있게 함으로써 푸쉬 조건이 바뀌더라도 전체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만들 필요 없이 푸쉬 정책만 바꾸어 맞춤 푸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운영 시 운영비 절감 및 서비스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랜이나 이동통신망과 같은 무선망이 발달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PDA 등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무선망에 접속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모바일 환경이 지원됨에 따라, 자신의 위치에 기반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요구가 차츰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한 예로,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특정지역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에게 아이콘 형태의 실행가능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사용자는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정보를 제공받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함으로써, 개발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경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특정 서비스는 구현이 가능하지만, 다른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제작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미 제작되어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도 서비스 내용이 수정되거나 위치기반 관련 내용이 변경되면, 해당 변경에 따라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을 일일이 변경하거나 수정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의 내용이 변경되더라도 기존의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범용성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기반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가 사용자의 선호도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별 맞춤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 푸쉬 정책을 활용하여 손쉽게 정책의 조정만으로 맞춤콘텐츠를 구성하고 사용자에게 푸쉬할수 있게 함으로써 푸쉬 조건이 바뀌더라도 전체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만들 필요 없이 푸쉬 정책만 바꾸어 맞춤 푸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운영 시 운영비 절감 및 서비스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맞춤콘텐츠를 제공하는 푸쉬정책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조건이 상기 푸쉬정책에 부합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푸쉬정책에 의해 미리 설정된 맞춤콘텐츠를 제공하는 맞춤콘텐츠 제공서버; 및, 상기 맞춤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된 맞춤콘텐츠를 외부로 표시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맞춤콘텐츠를 제공하는 푸쉬정책을 생성하고, 상기 푸쉬정책에 매칭되는 맞춤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분석하고, 상기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조건이 상기 푸쉬정책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조건이 상기 푸쉬정책에 부합하면, 상 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상기 푸쉬정책에 매칭된 상기 맞춤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은, 본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은 위치기반 콘텐츠 서비스 사업자가 사용자의 선호도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별 맞춤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 푸쉬 정책을 활용하여 손쉽게 정책의 조정만으로 맞춤콘텐츠를 구성하고 사용자에게 푸쉬할수있게 함으로써 푸쉬 조건이 바뀌더라도 전체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만들 필요 없이 푸쉬 정책만 바꾸어 맞춤 푸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운영 시 운영비 절감 및 서비스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의 구성블럭도이다.
본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은, 이동통신망(100), 게이트웨이(200), 무선 단말기(1),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1)로 맞춤콘텐츠를 제공하며, 무선 단말기(1)는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맞춤콘텐츠를 표시한다.
이동통신망(100)은, 기지국(110), 이동교환기(120), 이동통신망 서버(130)로 이루어진다. 기지국(110)은 무선 단말기(1)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무선 단말기(1)로부터의 신호를 무선채널로 수신하여 이동교환기(120)로 전달하고 이동교환기(120)로부터의 신호를 무선채널을 통해 무선 단말기(1)로 제공한다. 이동교환기(120)는 공중전화통신망과 이동통신망(100)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이동통신망 서버(130)는 기지국(110)과 이동교환기(120)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게이트웨이(200)는, 이동통신망(100)과 인터넷망(300)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동통신망 서버(130)와 통신한다.
도 2는 도 1의 맞춤콘텐츠 제공서버의 구성블럭도이다.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는, 푸쉬정책 생성기(510), 푸쉬정책 DB(515),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540), 위치정보 수집기(520), 외부데이터 수집기(530), 맞춤콘텐츠 처리기(550), 맞춤콘텐츠 전달기(560)를 포함한다.
푸쉬정책 생성기(510)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1)로 맞춤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푸쉬정책을 생성하며, 푸쉬정책은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1)로 맞춤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푸쉬정책으로는, 사용자의 현위치, 사용자의 직업이나 업무,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푸쉬 주기, 콘텐츠 푸쉬 일자, 타 업무시스템에서 인출된 사용자의 필요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푸쉬정책이 생성될 수 있다.
푸쉬정책 생성기(5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 자에게 맞춤콘텐츠를 어떠한 조건에서 제공할지를 프로그램 형식으로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의 프로그램 형식은 EBNF(Extended Backus-Naur Form) 표기법을 따르는 문법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법의 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푸쉬정책을 구성하는 EBNF 표기문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Statement::="not”* Expression[[“and”|“or”]“not”* Expression]*
Expression ::= VARIABLE OPERATOR VALUE |"(" Expression ")"
VARIABLE ::= ([a-zA-Z0-9] | '-')+
OPERATOR::="=" | "!="
VALUE ::= "'"[-"'"]*"'"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각 사용자의 현재위치에 따라 맞춤콘텐츠를 제공하므로, 사용자 ID 또는 사용자명,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 IP 어드레스는 푸쉬정책을 생성할 때 필수요소가 된다.
예를 들어, 특정 직업이나 업무를 하는 사용자가 특정 영역에 진입한 경우,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제공한다고 푸쉬정책이 생성되었다면, User ID = 'USER 1' and (Role='ET' and Zone='testGroup.test')라고 푸쉬정책을 EBNF 형태의 논리적인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해당 푸쉬정책은 사용자 ID가 USER 1이고, 역할이 ET인 사용자가 testGroup.test 영역에 진입하면, 미리 등록된 위치기반 콘텐츠를 푸쉬하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를 실제 사용자에게 위치기반 콘텐츠가 제공되는 실례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ID가 'SAM'인 사용자가 직업이 헤어디자이너이고, 임의의 지역내에 진입하였다면, 해당 지역내의 미용실 또는 미용재료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푸쉬할 수 있다.
이렇게 푸쉬정책 생성기(510)에서 각 사용자에 대해 생성된 푸쉬정책은 푸쉬정책 DB(515)에 저장된다.
푸쉬정책 생성기(510)는 푸쉬정책을 생성한 다음, 푸쉬정책의 조건이 성립될 때 사용자에게 푸쉬되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이를 푸쉬정책에 매칭시켜 푸쉬정책 DB(515)에 저장한다. 콘텐츠의 형식은 동영상, 이미지, 문서파일, 실행파일, HTML, 링크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푸쉬정책 DB(515)에는, 푸쉬정책 생성기(510)에서 생성된 푸쉬정책과, 각 푸쉬정책의 조건 만족시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1)로 제공되는 콘텐츠가 상호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한편, 푸쉬정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각 계층에 속하는 푸쉬정책은 각각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가 매칭되어 있고, 상위의 푸쉬정책을 만족해야 상위의 푸쉬정책에 매칭되는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푸쉬될 뿐만 아니라, 하위의 푸쉬정책의 만족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즉, 상위의 푸쉬정책과 하위의 푸쉬정책을 모두 만족하는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푸쉬정책에 매칭되는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의 푸쉬정책이 사용자가 특정 물건에 대한 할인쿠폰을 제공 받는 것이고, 하위의 푸쉬정책이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진입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물건을 판매하는 상점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상점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라고 하자. 그러면,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진입하고, 해당 물건에 대한 상점이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상점에 대한 정보와 함께 할인쿠폰을 제공받게 된다.
이렇게 계층적인 푸쉬정책을 유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각 계층의 푸쉬정책이 다른형태의 콘텐츠 서비스에 푸쉬정책으로서 재활용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의 예에서 상위 푸쉬정책인 할인쿠폰 제공이라는 기능은 예를 들면 하위의 푸쉬정책인 열차출발 시간표 표시등과 결합하여 열차역 접근시 열차시간표 제공이라는 다른형태의 서비스에 재활용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계층화된 푸쉬정책에 따라 각 계층에 매칭되는 유저인터페이스가 표시된 무선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정책이 4단계로 계층화된 경우, 각 계층의 푸쉬정책은 각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그룹, 어플리케이션 콘텍스트로 분류된 콘텐츠와 매칭되어 있다. 따라서, 각 푸쉬정책은 별도의 윈도우로 생성되어 있으며, 각각 푸쉬정책에 포함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그룹, 어플리케이션 콘텍스트의 내용이 변경되고 푸쉬정책의 내용이 변경되더라도, 무선 단말기(1)에 제공되는 화면구성은 변함이 없다.
예를 들어, 서비스1은, 사용자의 구매 선호 품목에 따라, 무선 단말기(1)를 소지한 사용자가 구매 선호도가 있는 매장 앞을 지나갈 때 판매 품목에 대한 할인 쿠폰을 푸쉬하는 서비스라고 하면, 푸쉬정책 생성기(510)를 통해 하기에 예시된 <푸쉬정책1>과 <맞춤콘텐츠1>을 입력한다. 그러면,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540)이 주기적으로 푸쉬정책을 체크할 때, 푸쉬정책1을 만족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면, 해당 사용자에 대해 맞춤콘텐츠1이 제공된다.
<푸쉬정책1>
zone='오리역' and ((prefer='리바이스진' or prefer='나이키신발') and not (prefer='아디다스신발')) and agerange='20' and gender = '남성'
<맞춤콘텐츠1>
쿠폰.html, 쿠폰.jpg
여기서, <푸쉬정책1>은,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1)가 '오리역'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품목은 '리바이스진' 또는 '나이키신발'이고 선호하지 않는 품목은 '아디다스신발'이며, 나이대가 '20대'이고 성별이 '남성'인 사람에게 <맞춤콘텐츠1>인 '쿠폰.html'과 '쿠폰.jpg'를 푸쉬하라는 의미이다.
한편, 서비스2는 기업용 위치기반 푸쉬 서비스이며, 무선 단말기(1)를 소지한 직원이 회의에 참가하면 회의자료를 무선 단말기(1)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하자. 푸쉬정책 생성기(510)를 통해 하기에 예시된 <푸쉬정책2>와 <맞춤콘텐츠2>를 입력한다.
<푸쉬정책2>
zone='회의실A' and timefrom = '2009/02/01/11:50' and timeend ='2009/02/01/12:10' and role='영업직' and team='마케팅'
<맞춤콘텐츠2>
발표자료.ppt
여기서, 푸쉬정책2는 무선 단말기(1)를 소지한 직원이 미팅이 예정되어 있는 시간에 회의실 A에 들어오면, 회의실 A에 들어온 직원이 영업직이고 팀이 마케팅 팀인지 확인하여 맞춤콘텐츠2인 발표자료 파워포인트를 해당 직원의 무선 단말기(1)로 푸쉬한다.
이와 같이, 푸쉬정책1과 푸쉬정책2는 상호 전혀 상이한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푸쉬정책1과 맞춤콘텐츠1을 푸쉬정책2와 맞춤콘텐츠2로 변경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서로 다른 형태의 서비스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즉, 서비스가 바뀌었을 때 시스템의 수정없이 푸쉬정책의 수정만으로 상호 상이한 종류의 서비스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540)은, 주기적으로 푸쉬정책 DB(515)를 체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맞춤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는 푸쉬정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540)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푸쉬정책에 포함되는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540)에 의해 푸쉬정책의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푸쉬정책의 만족시 제공되는 콘텐츠를 푸쉬정책 DB(515)로부터 인출한다. 이때, 푸쉬정책은 다른 조건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540)은, 다른 조건도 만족하는 경우에만 콘텐츠를 인출한다.
위치정보 수집기(520)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1)의 위치를 수집하여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현위치를 판단한다. 위치정보 수집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에서 무선 단말기(1)의 위치를 직접 수집할 수도 있고, 다른 위치파악매체를 이용하여 수집할 수도 있다. 만약, 무선 단말기(1)가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에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면, 위치정보 수집기(520)는 무선 단말기(1)의 IP어드레스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1)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무선 단말기(1)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GPS, WiFi, CDMA 방식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방식을 혼용하여 수집한 다음,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GPS 방식의 경우 GPS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WiFi 방식의 경우 무선AP와의 통신을 통해 위치정보를 생성하며, CDMA 방식의 경우 셀타워와의 통신을 통해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이렇게 무선 단말기(1)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한 다음,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로 제공하는 경우, 위치정보 수집기(520)는 무선 단말기(1)로부터 제공된 위치정보를 분석하여야 한다. 이때, 분석방법은 무선 단말기(1)가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GPS 위성을 이용하는 경우, 위치정보 수집기(520)에서는 삼각측량법과 같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1)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와 같이,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은 종래에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외부데이터 수집기(53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PC, PDA 등의 타 무선 단말기(1)로부터 푸쉬정책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 만약, 외부데이터 수집기(530) 가 사용자의 PC로부터 사용자 업무 및 개인 스케줄을 제공받는다면, 수집된 업무 및 개인 스케줄을 푸쉬정책 생성기(510)로 전달하여, 새로이 푸쉬정책을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외부데이터 수집기(530)는 다른 업무시스템 서버로부터도 푸쉬정책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PC 또는 회의 스케쥴을 관리하는 타 업무 시스템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업무 및 개인 스케줄내에 회의 일정이 포함된 경우, 푸쉬정책 생성기(510)는 회의 시간에 도달하기 일정 시간전에 해당 회의 일정의 장소에 대한 약도, 회의 상대방이나 회사에 대한 정보, 회의자료 등을 제공하도록 푸쉬정책을 생성할 수 있다.
맞춤콘텐츠 처리기(550)는,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540)에서 인출된 콘텐츠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송신가능한 상태로 압축한다.
맞춤콘텐츠 전달기(560)는, 맞춤콘텐츠 처리기(550)에서 압축된 콘텐츠를 해당 푸쉬정책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1)로 전송한다.
도 5는 도 1의 무선 단말기의 구성블럭도이다.
본 무선 단말기(1)는, 푸쉬 콘텐츠 관리부(10), 콘텐츠 저장부(20), 유저인터페이스 생성부(40), 인터넷 통신부(50), 단말기 제어부(30)를 포함한다.
푸쉬 콘텐츠 관리부(10)는,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로부터 맞춤콘텐츠가 제공되면, 해당 콘텐츠를 압축해제한다. 그런 다음, 동일한 콘텐츠가 제공된 적이 있는지 확인하고, 동일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로 부터의 콘텐츠를 삭제하고, 동일한 콘텐츠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압축해제된 콘텐츠를 콘텐츠 저장부(20)에 저장한다.
콘텐츠 저장부(20)는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저장한다. 따라서, 동일한 푸쉬정책에 의해 동일한 콘텐츠가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로부터 제공되면, 푸쉬 콘텐츠 관리부(10)는 제공된 콘텐츠를 삭제하거나 무시한다.
유저인터페이스 생성부(40)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창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유저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콘테츠가 이미지인 경우, 유저인터페이스 생성부(40)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 형태로 창을 생성하고, 콘텐츠가 문자인 경우, 유저인터페이스 생성부(40)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창을 생성한다.
단말기 제어부(30)는,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로부터 맞춤콘텐츠가 도착하면, 푸쉬 콘텐츠 관리부(10)를 동작시켜 압축을 해제하고, 콘텐츠 저장부(20)에 저장된 콘텐츠와 맞춤콘템츠 제공서버(500)로부터의 콘텐츠를 비교하도록 한다. 그리고 유저인터페이스 생성부(40)를 동작시켜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형태의 창을 형성하여 콘텐츠가 디스플레이창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에서 무선 단말기(1)의 위치에 따라 맞춤콘텐츠를 푸쉬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푸쉬정책 생성기(510)를 이용하여 사용자별로 푸쉬정책을 입력하고, 푸쉬정 책에 매칭되는 맞춤콘텐츠를 저장한다(S600). 그런 다음, 위치정보 수집기(520)에서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1)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S610).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540)은, 위치정보 수집기(520)에서 수집된 무선 단말기(1)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하여, 주기적으로 푸쉬정책의 논리판단을 체크한다(S620). 체크결과, 임의의 푸쉬정책의 조건이 임의의 사용자에 대해 만족하는 경우(S630-Y),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540)은, 해당 푸쉬정책에 매칭된 맞춤콘텐츠를 푸쉬정책 DB(515)로부터 인출한다(S640).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자주 출장과 외근을 다니고 쇼핑을 즐기는 사람인 경우,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는 사용자 A의 생활패턴에 따라 푸쉬정책을 생성하게 된다. 즉, 사용자 A가 기차역에 있을 때, 열차시간표 및 열차예약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1)로 푸쉬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백화점의 옷 매장에 간 경우, 해당 옷 관련 할인 쿠폰을 무선 단말기(1)로 푸쉬하는 푸쉬정책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무선 단말기(1)를 통해 사용자 A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제공받고,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540)은 사용자 A의 위치와 푸쉬정책을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사용자 A가 푸쉬정책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사용자 A가 기차역이나 백화점에 간 경우,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540)은 푸쉬정책 DB(515)로부터 맞춤콘텐츠를 인출한다.
한편, 다른 예로서, 무선 단말기(1)를 자주 이용하는 직원에게 업무 수행시 업무지시 사항, 업무데이터, 어플리케이션을 무선 단말기(1)로 푸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영업사원 B가 자주 영업상 자주 방문하는 회사가 C제품을 만드는 섬유 회사라고 한다면,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는, 영업사원 B가 C제품을 만드는 섬유회사에 있는 경우, 섬유회사 관련 부품에 대한 실시간 영업정보를 영업사원 B의 무선 단말기(1)로 푸쉬하도록 하는 푸쉬정책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영업사원 B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540)에서는 영업사원 B의 위치와 푸쉬정책을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영업사원 B가 푸쉬정책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영업사원 B가 섬유회사에 있는 경우, 섬유회사 관련 부품에 대한 실시간 영업정보를 푸쉬정책 DB(515)로부터 인출한다.
맞춤콘텐츠 처리기(550)에서는, 인출된 맞춤콘텐츠를 압축하고, 맞춤콘텐츠 전달기(560)에서는 압축된 맞춤콘텐츠를 해당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1)로 전송한다(S650). 이를 수신한 무선 단말기(1)의 푸쉬 콘텐츠 관리부(10)에서는 압축된 맞춤콘텐츠를 압축 해제하고(S660), 압축해제된 맞춤콘텐츠와, 콘텐츠 저장부(20)에 저장된 콘텐츠를 비교하여 이전에 동일한 콘텐츠가 수신된 적이 있는지 확인한다(S670). 확인결과, 동일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푸쉬 콘텐츠 관리부(10)에서는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로부터 제공된 맞춤콘텐츠를 무시하고, 콘텐츠 저장부(20)로부터 동일한 콘텐츠를 인출한다(S675). 반면, 콘텐츠 저장부(20)에 동일한 콘텐츠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맞춤콘텐츠를 콘텐츠 저장부(20)에 저장한다(S680).
그러면, 유저인터페이스 생성부(40)에서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콘텐츠를 무선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유저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맞춤콘텐츠 제공서버(500)로부터의 맞춤콘텐츠 또는 콘텐츠 저장부(20)로부터 의 콘텐츠를 표시한다(S690).
이와 같이, 본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에서 무선 단말기(1)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맞춤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조건인 푸쉬정책을 생성하고, 푸쉬정책이 만족할 때, 사용자에게 맞춤콘텐츠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위치에 부합되는 맞춤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푸쉬정책을 다단계로 계층화함으로써, 다른 형태의 서비스가 생겼을 경우, 시스템을 새로이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서비스에 포함되는 푸쉬정책과 맞춤콘텐츠를 이전에 제공하던 서비스의 푸쉬정책과 맞춤콘텐츠로 변경하는 과정만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푸쉬서비스 시스템에서처럼 서비스의 변경시마다 시스템을 수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양한 서비스의 확대가 가능하며, 맞춤콘텐츠 제공서버의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의 구성블럭도,
도 2는 도 1의 맞춤콘텐츠 제공서버의 구성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계층화된 푸쉬정책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계층화된 푸쉬정책에 따라 각 계층에 매칭되는 유저인터페이스가 표시된 무선 단말기의 화면,
도 5는 도 1의 무선 단말기의 구성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에서 무선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맞춤콘텐츠를 푸쉬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무선 단말기 10 : 맞춤콘텐츠 관리부
20 : 콘텐츠 저장부 40 : 유저인터페이스 생성부
500 : 맞춤콘텐츠 제공서버 510 : 푸쉬정책 생성기
515 : 푸쉬정책DB 520 : 위치정보 수집기
530 : 외부데이터 수집기 540 :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
550 : 맞춤콘텐츠 처리기 560 : 맞춤콘텐츠 전달기

Claims (13)

  1. 사용자에게 맞춤콘텐츠를 제공하는 조건이 설정된 푸쉬정책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조건이 상기 푸쉬정책과 부합되면, 상기 푸쉬정책에 의해 상기 푸쉬 정책과 부합된 조건을 가진 사용자에게 설정된 맞춤콘텐츠를 제공하는 맞춤콘텐츠 제공서버; 및
    상기 맞춤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된 맞춤콘텐츠를 외부로 표시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조건은,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콘텐츠 제공서버는,
    상위 푸쉬 정책과 상기 상위 정책의 하위에 있는 하위 푸쉬 정책으로 구성되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는 푸쉬 정책을 생성하는 푸쉬정책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콘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푸쉬정책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푸쉬 정책을 저장하는 푸쉬정책 DB;
    상기 사용자가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정보 수집기;
    상기 사용자가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위치에 부합되는 푸쉬정책이 있는지를 체크하고, 부합시에는 상기 푸쉬정책 DB로부터 맞춤콘텐츠를 인출하는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수집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수집된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분석하거나, 상기 맞춤콘텐츠 제공서버에 접속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콘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타 단말기 또는 타 업무 시스템 서버로부터 상기 푸쉬정책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외부데이터 수집기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정책 생성기는 상기 외부데이터 수집기가 수집한 상기 푸쉬정책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여 푸쉬정책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콘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푸쉬정책 논리판단 엔진에 의해 인출된 상기 맞춤콘텐츠를 압축하는 맞춤콘텐츠 처리기와,
    상기 압축된 맞춤콘텐츠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맞춤콘텐츠 전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 콘텐츠 푸쉬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맞춤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맞춤콘텐츠가 제공되면, 상기 맞춤콘텐츠를 압축해제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에 동일한 맞춤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동일한 맞춤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일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맞춤콘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맞춤콘텐츠를 디스플레이창에 표시하는 유저인터페이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9.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맞춤콘텐츠를 제공하는 조건이 설정된 푸쉬정책을 생성하고, 상기 푸쉬정책에 매칭되는 맞춤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푸쉬정책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푸쉬정책에 부합하면,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상기 푸쉬정책에 설정된 맞춤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 상기 맞춤콘텐츠가 제공되면, 상기 무선 단말기에 상기 맞춤콘텐츠와 동일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맞춤콘텐츠를 무시하고, 상기 동일한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정책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위의 푸쉬정책과 하위의 푸쉬정책을 모두 만족해야 매칭된 맞춤콘텐츠가 제공되도록 복수 단계로 계층화된 푸쉬정책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정책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타 단말기로부터 상기 푸쉬정책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푸쉬정책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방법.
KR1020090044328A 2009-05-21 2009-05-21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및 방법 KR101081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328A KR101081610B1 (ko) 2009-05-21 2009-05-21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328A KR101081610B1 (ko) 2009-05-21 2009-05-21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561A KR20100125561A (ko) 2010-12-01
KR101081610B1 true KR101081610B1 (ko) 2011-11-09

Family

ID=4350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328A KR101081610B1 (ko) 2009-05-21 2009-05-21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225B1 (ko) 2015-07-20 2017-08-10 아이데카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동선 정보를 이용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827B1 (ko) 2011-03-02 201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미디어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120105606A (ko) * 2011-03-11 2012-09-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검색 포트폴리오와 현실공간 위치에 기반한 서비스/재화 모니터링 및 푸쉬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US9305107B2 (en) * 2011-12-08 2016-04-05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tching place page data for subsequent display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KR101461590B1 (ko) * 2012-08-06 2014-11-20 장영진 위치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US10050912B2 (en) 2014-10-27 2018-08-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ubscription-based media push service
KR20210155505A (ko) * 2020-06-16 2021-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927018A (zh) * 2021-03-04 2021-06-08 携程旅游网络技术(上海)有限公司 基于智能穿戴设备的线下服务信息推送方法、系统和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225B1 (ko) 2015-07-20 2017-08-10 아이데카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동선 정보를 이용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561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610B1 (ko) 푸쉬 정책을 활용한 위치기반 실시간 맞춤콘텐츠 푸쉬시스템 및 방법
US9933265B2 (en) Way finder using proximity events
US10586251B2 (en) Consumer interaction using proximity events
US9811846B2 (en) Mobile payment and queuing using proximity events
RU246841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амятью, связанной с виджетами
Chianese et al. A smart system to manage the context evolution in the cultural heritage domain
US200902984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dvertisements and determining constraints for presenting the advertisements 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20130210480A1 (en) State detection
US2002019885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dvertisement rates
WO2012092667A1 (en) Interactive information, wayfinding and message target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01006425A (zh) 数据访问架构
JP5410632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無線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WO2006007623A1 (en) Location dependent content provision
CN103329152A (zh) 与社交媒体应用程序相关联的经定制呈现的合成
JP2005148289A (ja) 広告配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979483B2 (en) Applications on top of a web site
US2016029269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veloping and utilizing user pattern profiles
KR100342958B1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생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CN114329727A (zh) 基于bim建模的建设监管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ng et al.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real estate agency-based on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US96327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ent rules for a website
WO2017050261A1 (zh) 一种云计算方法、云服务器及终端
US8175990B1 (en) Situational decision engine and method for contextual user experience
KR100743606B1 (ko) 피투피를 이용한 개인홈페이지 광고방법 및 시스템
KR101870950B1 (ko)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실시간 키워드 기반 광고 및 정보 표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