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596B1 - 분석 용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분석 용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596B1
KR101750596B1 KR1020140052316A KR20140052316A KR101750596B1 KR 101750596 B1 KR101750596 B1 KR 101750596B1 KR 1020140052316 A KR1020140052316 A KR 1020140052316A KR 20140052316 A KR20140052316 A KR 20140052316A KR 101750596 B1 KR101750596 B1 KR 101750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electrode pair
reagent
substrat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1276A (ko
Inventor
요시하루 사토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31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4Corrective measures, e.g. error detection, compensation for temperature or hematocrit, calib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01Enzyme elec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7Association of two or more measuring systems or cells, each measuring a different parameter, where the measurement results may be either used independently, the systems or cells being physically associated, or combined to produce a value for a further para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G01N27/41Oxygen pumping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involving physiochemical end-point determination, e.g. wave-guides, FETS, gratings
    • G01N33/5438Elec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sugars, e.g. galacto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iabetes (AREA)
  • Ec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유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2의 전극쌍에 대해서도, 시료를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는 분석 용구,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제1의 전극쌍)(11)과,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제2의 전극쌍)(12)을 구비한 분석 용구로서, 유로에 있어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13b)를 형성하고, 또한, 유로에서는, 시료의 유입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13b)와 간극(14)을 설치한다.

Description

분석 용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ANALYTICA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혈액 등의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 용구, 특히 헤마토크리트 보정을 행할 수 있는 분석 용구,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용 측정 장치에서는, 휴대형의 혈당 측정기(BGM:Blood Glucose Monitoring)나 혈당 자기 측정(SMBG:Self Monitoring of Blood Glucose) 미터 등의 혈당치계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환자 스스로가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혈액 등의 시료(검체)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즉, 예를 들면 당뇨병의 치료에서는, 혈당치를 컨트롤함으로써 합병증의 발증이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 때문에, 환자에 의한 혈당치의 자기 측정이나 관리가 불가결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혈당치계에서는, 혈당치를 고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이 요망에 대응하기 위해, 헤마토크리트 보정을 행할 수 있는 분석 용구 및 이를 이용한 혈당치계(측정 장치)가 개발·실용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분석 용구로서의 바이오 센서 스트립에 있어서, 글루코오스를 측정하기 위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과, 헤마토크리트 보정을 행하기 위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을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즉, 이 종래의 분석 용구에서는, 글루코오스 전극에서 검출한 글루코오스의 값(혈당치)에 대하여, 헤마토크리트 전극에서 검출한 헤마토크리트의 값을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해당 글루코오스의 값을 고정밀도로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종래의 분석 용구에서는, 혈액 유로의 상류측(도입 구멍측)으로부터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 및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 상에는, 시약이 설치되어 있고, 시약을 개재시켜서 글루코오스의 값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시약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에 대하여, 적하된 후, 고화됨으로써, 해당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종래의 분석 용구에서는,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에서의 혈액과의 반응과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에서의 혈액과의 반응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분리 요소(separated element)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 종래의 분석 용구에서는, 상기 분리 요소가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이 설치된 영역과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이 설치된 영역이 분리되도록, 혈액의 유로 내에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과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의 사이에서, 쌍방의 전극에 접하지 않는 중간 위치에 설치(formed corresponding to and in the middle of)되어 있다.
또한, 이 종래의 분석 용구에서는, 상기 분리 요소는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절연층(insulation layer)이 해당 스페이서를 사이에 끼워넣도록 설치되고, 혈액이 그 도입 구멍측으로부터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측에 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종래의 분석 용구에서는, 2개의 각 절연층에 있어서, 혈액의 유로를 구성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2개의 개구부의 사이에 분리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혈액이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측에 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1/0139634호 명세서
본원의 개시는, 유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2의 전극쌍에 대해서도, 시료를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는 분석 용구,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의 개시는, 전극쌍에 대하여, 충분한 적하 시약을 적하할 수 있는 분석 용구,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의 개시에 관한 분석 용구는, 기판과, 시료의 유로를 규정하는 규정 요소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로의 상류에 위치하는 제1의 전극쌍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로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2의 전극쌍과,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극쌍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2의 전극쌍의 상류측 단부의 사이에 형성됨과 더불어, 적하 시약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에서는, 상기 시료의 유입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원의 개시에 관한 분석 용구는, 기판과, 시료의 유로를 규정하는 규정 요소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로의 상류에 위치하는 제1의 전극쌍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로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2의 전극쌍과,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극쌍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2의 전극쌍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형성됨과 더불어, 적하 시약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상기 제1의 전극쌍 및 상기 제2의 전극쌍 중 어느 한쪽의 전극쌍 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원의 개시에 관한 분석 용구의 제조 방법은, 기판과, 시료의 유로를 규정하는 규정 요소와, 제1의 전극쌍과, 제2의 전극쌍을 구비한 분석 용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유로의 상류에 상기 제1의 전극쌍을 형성하는 제1의 전극쌍 형성 공정과,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유로의 하류에 상기 제2의 전극쌍를 형성하는 제2의 전극쌍 형성 공정과,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극쌍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2의 전극쌍의 상류측 단부의 사이에, 상기 시료의 유입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서 간극이 생기도록, 적하 시약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형성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본원의 개시에 의하면, 유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2의 전극쌍에 대해서도, 시료를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는 분석 용구,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원의 개시에 의하면, 전극쌍에 대하여, 충분한 적하 시약을 적하할 수 있는 분석 용구,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 및 이를 이용한 혈당치계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분석 용구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분석 용구의 혈액의 도입 구멍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분석 용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A) 및 도 6(B)는, 일련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분석 용구의 혈액 도입 구멍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분석 용구의 주요부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바이오 센서 스트립 등의 분석 용구에서는, 그 제조시에 있어서, 글루코오스 전극에 적하된 (적하) 시약이 헤마토크리트 전극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어떠한 적하 시약 규제 요소가 필요해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분석 용구에서는, 분리 요소(적하 시약 규제 요소)가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제1의 전극쌍)이 설치된 영역과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제2의 전극쌍)이 설치된 영역이 분리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분석 용구에서는, 상기 2개의 각 절연층의 두께나 상술의 각 개구부의 크기 등에 따라서는, 유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에 대하여, 혈액(시료)을 충분히 도달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또한, 분석 용구에 있어서, 분리 요소가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과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 사이의 중간 위치에 설치된 경우,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이 설치된 영역이 좁아지기도 하여, 충분한 (적하) 시약을 적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충분한 시약을 적하하기 위해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과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거나, 유로 전체를 크게 하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이용한 경우에는, 유로의 체적이 증가하게 되어, 환자(사용자)에 악영향을 미치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유로의 체적의 증가에 따라, 환자로부터 검체인 혈액을 대량으로 입수할 필요가 있으므로, 환자에게 고통을 강요해 버린다는 별도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본 실시 형태는, 유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2의 전극쌍에 대해서도, 시료를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는 분석 용구,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전극쌍에 대하여, 충분한 적하 시약을 적하할 수 있는 분석 용구,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는, 기판과, 시료의 유로를 규정하는 규정 요소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로에 위치하는 제1의 전극쌍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로의 상기 제1의 전극쌍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제2의 전극쌍과,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극쌍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2의 전극쌍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형성됨과 더불어, 적하 시약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에서는, 상기 시료의 유입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와,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석 용구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가 상기 유로에 있어서, 제1의 전극쌍의 하류측 단부와 제2의 전극쌍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로에서는, 시료의 유입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적하 시약 규제 요소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종래예와 달리, 유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2의 전극쌍에 대해서도, 시료를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용구에 있어서,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상기 제1의 전극쌍 및 상기 제2의 전극쌍 중 어느 한쪽의 전극쌍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및 제2의 전극쌍의 다른쪽의 전극쌍에 대하여, 충분한 적하 시약을 적하할 수 있다. 또한, 적하 시약 규제 요소에 의해, 적하 시약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용구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전극쌍 위에 상기 적하 시약이 적하되고,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상기 제1의 전극쌍 위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2의 전극쌍에 대하여, 충분한 적하 시약을 적하할 수 있다. 또한, 적하 시약 규제 요소에 의해, 적하 시약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는, 기판과, 시료의 유로를 규정하는 규정 요소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로에 위치하는 제1의 전극쌍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로의 상기 제1의 전극쌍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제2의 전극쌍과,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극쌍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2의 전극쌍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형성됨과 더불어, 적하 시약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상기 제1의 전극쌍 및 상기 제2의 전극쌍 중 어느 한쪽의 전극쌍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분석 용구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가 상기 유로에 있어서, 제1의 전극쌍의 하류측 단부와 제2의 전극쌍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제1의 전극쌍 및 제2의 전극쌍 중 어느 한쪽의 전극쌍 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종래예와 달리, 제1의 전극쌍 및 제2의 전극쌍의 다른쪽의 전극쌍에 대하여, 충분한 적하 시약을 적하할 수 있다. 또한, 적하 시약 규제 요소에 의해, 적하 시약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용구에 있어서,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상기 시료의 유입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적하 시약을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용구에 있어서,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상기 규정 요소의 일부분과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부품 점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한 분석 용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용구에 있어서,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절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조가 간단한 분석 용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용구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과, 상기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규정 요소에는,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된 절연체, 상기 접착층, 및 상기 대향 기판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조가 간단하고, 박형화된 비용이 저렴한 분석 용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용구에 있어서, 상기 대향 기판에는, 상기 유로와 연통하는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로 내에 원활하게 시료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의 제조 방법은, 기판과, 시료의 유로를 규정하는 규정 요소와, 제1의 전극쌍과, 제2의 전극쌍을 구비한 분석 용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유로에 상기 제1의 전극쌍을 형성하는 제1의 전극쌍 형성 공정과,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유로의 상기 제1의 전극쌍보다 하류에 상기 제2의 전극쌍을 형성하는 제2의 전극쌍 형성 공정과,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극쌍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2의 전극쌍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상기 시료의 유입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서 간극이 생기도록, 적하 시약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형성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분석 용구의 제조 방법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에 의해, 상기 유로에 있어서, 제1의 전극쌍의 하류측 단부와 제2의 전극쌍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시료의 유입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서 간극이 생기도록, 적하 시약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2의 전극쌍에 대해서도, 시료를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는 분석 용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용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에서는,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가 상기 제1의 전극쌍 및 상기 제2의 전극쌍 중 어느 한쪽의 전극쌍 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의 전극쌍 및 제2의 전극쌍 중 다른쪽의 전극쌍에 대하여, 충분한 적하 시약을 적하할 수 있는 분석 용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측정 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분석 용구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측정 장치에서는, 유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2의 전극쌍에 대해서도, 시료를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는 분석 용구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해당 시료에 대하여, 고정밀도의 측정을 행할 수 있는 측정 장치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분석 용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혈당치계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의 구성 부재의 치수는, 실제의 구성 부재의 치수 및 각 구성 부재의 치수비율 등을 충실하게 나타낸 것은 아니다.
[제1의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 및 이를 이용한 혈당치계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는, 측정 장치로서의 휴대형 혈당치계(1)와, 이 혈당치계(1)에 탈착가능하게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분석 용구(2)에는, 환자의 혈액(시료)이 부착(도입)되도록 되어 있고, 분석 용구(2)는, 혈액중의 혈당치(글루코오스치)를 검출하기 위한 (바이오) 센서로서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혈당치계(1)는, 본체(1a)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1a)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상의 분석 용구(2)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a)에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됨과 더불어, 혈당치계(1)의 각 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a)는, 분석 용구(2)에 대하여, 소정의 전압 신호를 공급함과 더불어, 분석 용구(2)로부터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전압 신호를 수취하여 AD 변환하고, 측정값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측정부와, 측정부에서 얻어진 측정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하고 있고(도시하지 않음), 상기 제어부가, 측정부에서 얻어진 측정 데이터를 측정 시간이나 환자 ID 등과 관련지어, 기록부에 기록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1a)에는,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1c)과, 외부 기기와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커넥터(1d)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1d)는, 외부 기기로서의 스마트 폰 등의 휴대 기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과의 사이에서, 측정 데이터, 측정 시간, 환자 ID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즉, 혈당치계(1)에서는, 커넥터(1d)를 개재시켜, 외부 기기에 측정 데이터나 측정 시간을 전송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환자 ID 등을 수신하여 측정 데이터 등과 관련지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 이외에, 예를 들면 상기 측정부를 분석 용구(2)의 단부에 설치하고, 분석 용구(2)측에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혈당치계(1)의 본체(1a)에 있어서, 환자 등의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 터치패널 등의 입력부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해도 된다.
다음에, 도 2∼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분석 용구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분석 용구의 혈액 도입 구멍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에는, 기판(3)과, 레지스트 잉크(9)를 개재시켜 기판(3)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분석 용구(2)에서는, 뒤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도 2의 우측 단부에, 혈액의 도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석 용구(2)에서는, 도 2의 화살표 “I” 방향을 따라, 혈당치계(1)의 삽입구(1b)(도 1)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기판(3)에는, 예를 들면 소수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가 이용되고 있고, 이 기판(3) 상에는, 4개의 신호 배선(5, 6, 7, 및 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 신호 배선(5, 6, 7, 및 8)에는, 예를 들면 카본 잉크가 이용되고 있고,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기판(3)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신호 배선(5, 6, 7, 및 8)은, 각각 직선상으로 설치됨과 더불어, 동일한 폭 치수를 가지는 배선부(5a, 6a, 7a, 및 8a)와, 이들 배선부(5a, 6a, 7a,및 8a)에 대하여, 각각 직각으로 휘어 구부러진 전극부(5b, 6b, 7b, 및 8b)(도 3)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설명 이외에, 예를 들면 금속 박막을 이용하여, 신호 배선(5, 6, 7, 및 8)을 구성해도 된다.
또한, 분석 용구(2)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3)은 좌단부(삽입부)가 대향 기판(4)과 레지스트 잉크(9)로 덮여 있지 않고, 상술의 각 배선부(5a, 6a, 7a, 및 8a)의 좌단부가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분석 용구(2)에서는, 상기 삽입구(1b)에 삽입되었을 때에, 각 배선부(5a, 6a, 7a, 및 8a)의 좌단부가 혈당치계(1)의 본체(1a)(도 1)의 내부에 설치된 접속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고, 분석 용구(2)는, 혈당치계(1)와 전압 신호의 교환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분석 용구(2)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우단부(시료 유입부)에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과,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입 구멍으로부터 도입된 혈액이 후술의 유로를 통하여, 이들 헤마토크리트 전극(11) 및 글루코오스 전극(12)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대향 기판(4)에는, 예를 들면 친수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가 이용되고 있고, 그 좌단(삽입측 단부)(4a)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배선부(5a, 6a, 7a, 및 8a)의 좌단부가 노출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한편, 대향 기판(4)의 우단(시료 유입측 단부)(4b)은, 분석 용구(2)의 우단(즉, 기판(3)의 우단)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대향 기판(4)에서는, 친수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유로 내를 통과하는 혈액이 해당 혈액의 유입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대향 기판(4)에는, 상기 유로에 연통하는 공기 구멍(An)이 형성되어 있고, 해당 유로 내에 원활하게 혈액(시료)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레지스트 잉크(9)에는, 예를 들면 열 경화 잉크 등의 절연체가 이용되고 있고,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기판(3) 상 및 신호 배선(5, 6, 7, 및 8) 상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지스트 잉크(9)의 좌단(9a)은, 대향 기판(4)의 좌단(4a)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레지스트 잉크(9)의 우단(9b)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 기판(4)의 우단(4b)보다도 약간 좌측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레지스트 잉크(9)에는, 절연체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각 신호 배선(5, 6, 7, 및 8), 나아가 측정 정밀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레지스트 잉크(9) 상에는, 직사각형상의 양면 테이프(10a, 10b, 및 10c)가 대향 기판(4)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양면 테이프(10a, 10b, 및 10c)는, 기판(3)과 대향 기판(4)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이며, 기판(3) 상에 형성된 레지스트 잉크(9)를 통하여 기판(3)과 대향 기판(4)을 서로 접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면 테이프(10c)에는, 기판(3), 대향 기판(4), 및 레지스트 잉크(9)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이 이용되고, 또한 양면 테이프(10c)의 한쪽의 단(도 2의 좌단)은, 대향 기판(4)의 좌단(4a) 및 레지스트 잉크(9)의 좌단(9a)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면 테이프(10c)의 다른쪽의 단(도 2의 우단)과 양면 테이프(10a, 10b) 사이에 있어서, 상기 공기 구멍(An)이 대향 기판(4)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설명 이외에,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레지스트 잉크(9)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에서는, 도 3에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단부에 혈액의 도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입 구멍에서는, 그 개구 부분이 기판(3), 대향 기판(4), 레지스트 잉크(9), 및 양면 테이프(10a, 10b)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상기 개구 부분으로부터, 도 3의 상측을 향해서 혈액의 유로(R)가 분석 용구(2) 내에 형성되어 있다(도 4도 참조). 그리고, 이 유로(R)에서는, 혈액은 상기 도입 구멍으로부터 모세관 현상에 의해 도 3 및 도 4에 “Rh”로 표시하는 유입 방향으로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모세관 현상을 용이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대향 기판(4)에는 상기 공기 구멍(An)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에서는, 기판(3), 대향 기판(4), 레지스트 잉크(절연체)(9), 및 양면 테이프(접착층)(10a, 10b, 및 10c)에 의해, 혈액(시료)의 유로(R)를 규정하는 규정 요소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로(R)의 길이는, 예를 들면, 1.1∼10mm, 1.5∼4.5mm, 또는 2∼4mm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유로(R)의 폭은, 예를 들면, 1∼10mm, 2∼3.5mm, 또는 1.5∼2.5mm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유로(R)의 용적은, 예를 들면, 0.1∼10μL, 0.15∼0.5μL, 또는 0.25∼0.35μL로 할 수 있다.
또한, 유로(R)에서는, 도 3∼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부(9c)가 레지스트 잉크(9)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로(R)에서는, 그 상류(도입 구멍측)에 위치하도록, 제1의 전극쌍으로서의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이 설치되고, 그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보다 하류에 위치하도록, 제2의 전극쌍으로서의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은, 전극부(5b 및 8b) 중, 절결부(9c) 내에 노출된 각 부분에 의해, 실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에서는, 전극부(5b 및 8b)의 상술의 각 부분에 혈액이 접촉한 상태에서, 신호 배선(5 및 8)에 대하여, 교류 전압(AC) 또는 직류 전압(DC)에 의한 전압 신호가 공급됨으로써, 혈당치계(1)에 있어서, 헤마토크리트의 값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은, 전극부(6b 및 7b) 중, 절결부(9c) 내에 노출된 각 부분에 의해, 실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 상에는, 도 5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화한 적하 시약(1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에서는, 전극부(6b 및 7b)의 상술의 각 부분과 적하 시약(15)에 혈액이 접촉하여 해당 혈액이 적하 시약(15)과 반응한 상태에서, 신호 배선(6 및 7)에 대하여, 교류 전압(AC) 또는 직류 전압(DC)에 의한 전압 신호가 공급됨으로써, 혈당치계(1)에 있어서, 글루코오스의 값(혈당치)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측정 장치(1)에서는, 검출한 헤마토크리트의 값을 이용하여, 검출한 글루코오스의 값을 보정하고, 이 보정후의 글루코오스의 값을 측정 데이터로서 취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적하 시약(15)은, 분석 용구(2)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대향 기판(4)이 기판(3)에 맞붙여지기 전에, 액체의 상태에서, 예를 들면 디스펜서 등의 액체 정량 토출 장치에 의해,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 상에 적하된 후, 건조됨으로써, 해당 글루코오스 전극(12) 상에서 고화한다.
또한, 유로(R)에서는,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액체 상태의 적하 시약(15)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는, 레지스트 잉크(규정 요소)(9)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한쪽의 전극부(5b)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의 일부분은, 전극부(5b)의 일부분 상에 겹치도록 설치되고,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의 나머지 부분은,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로(R)에서는,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혈액의 유입 방향(Rh)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예를 들면, 유입 방향(Rh)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와, 간극(14)이 설치되어 있다. 즉, 유로(R)에서는, 간극(14)이 2개의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6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신호 배선(5, 6, 7, 및 8)을 기판(3) 상에 설치한 후,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와, 간극(14)을 설치하는 공정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6은, 상기 분석 용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A) 및 도 6(B)는, 일련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배선(5, 6, 7, 및 8)이,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기판(3) 상에 동시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기판(3) 상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직선상의 배선부(5a, 6a, 7a, 및 8a)와, 배선부(5a, 6a, 7a, 및 8a)에 각각 직교하도록 설치된 전극부(5b, 6b, 7b, 및 8b)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판(3) 상에서, 유로(R)에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제1의 전극쌍)(11)을 형성하는 제1의 전극쌍 형성 공정과, 기판(3) 상에서, 유로(R)의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제1의 전극쌍)(11)보다 하류에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제2의 전극쌍)(12)을 형성하는 제2의 전극쌍 형성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행해진다.
또한, 이 설명 이외에, 제1의 전극쌍 형성 공정 및 제2의 전극쌍 형성 공정 중 어느 한쪽의 공정을 먼저 행하고, 다른쪽의 공정을 후에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설명 이외에,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이나 CVD법 등의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신호 배선(5, 6, 7, 및 8)을 기판(3) 상에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음에,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지스트 잉크(9)가,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기판(3) 및 신호 배선(5, 6, 7, 및 8) 상에 형성된다. 이 때, 레지스트 잉크(9)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부(5a, 6a, 7a, 및 8a)의 좌단부가 노출하도록, 또한, 절결부(9c)가 형성되도록, 패터닝된다. 또한, 이 레지스트 잉크(9)의 성막에 의해, 유로(R)에 있어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제1의 전극쌍)(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 (제2의 전극쌍)(12)의 상류측 단부의 사이에, 혈액(시료)의 유입 방향(Rh)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서 간극(14)이 생기도록, 적하 시약(15)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를 형성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이 완료된다. 또한, 이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가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1의 전극쌍 형성 공정 및 제2의 전극쌍 형성 공정이,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과 동시에 완료된다. 즉, 절결부(9c)가 형성되도록, 레지스트 잉크(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해당 절결부(9c)에 있어서, 전극부(5b 및 8b)의 각 부분이 노출되어,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을 실질적으로 구성함과 더불어, 전극부(6b 및 7b)의 각 부분이 노출되어,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을 실질적으로 구성한다.
그 후, 적하 시약(15)이,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 상에 적하된 후, 레지스트 잉크(9) 상에 설치된 양면 테이프(10a 및 10b)에 의해, 대향 기판(4)이 기판(3) 상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가 완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가 상기 유로(R)에 있어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제1의 전극쌍)(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제2의 전극쌍)(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에서는, 유로(R)에서, 혈액(시료)의 유입 방향(Rh)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와, 간극(14)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에서는, 상기 종래예와 달리, 유로(R)의 하류측에 설치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에 대해서도, 혈액을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가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 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에 대하여, 충분한 적하 시약(15)을 적하할 수 있다. 또한,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에 의해, 적하 시약(15)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즉,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에 의해, 적하 시약(15)의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측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는 레지스트 잉크(규정 요소)(9)의 일부분과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품 점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한 분석 용구(2)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는 절연체이므로, 제조가 간단한 분석 용구(2)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3)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4)과, 기판(3)과 대향 기판(4)을 접착하기 위한 양면 테이프(접착층)(10a, 10b, 및 10c)를 구비하고, 규정 요소에는, 기판(3) 상에 설치된 레지스트 잉크(절연체)(9), 양면 테이프(10a, 10b, 및 10c) 및 대향 기판(4)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조가 간단하고, 박형화된 비용이 저렴한 분석 용구(2)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의 제조 방법은, 기판(3) 상에서, 유로(R)의 상류에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제1의 전극쌍)(11)을 형성하는 제1의 전극쌍 형성 공정과, 기판(3) 상에서, 유로(R)의 하류에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제2의 전극쌍)(12)을 형성하는 제2의 전극쌍 형성 공정과, 유로(R)에 있어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혈액(시료)의 유입 방향(Rh)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서 간극(14)이 발생하도록, 적하 시약(15)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를 형성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의 제조 방법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에 의해, 유로(R)에 있어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와, 간극(14)이 형성된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의 제조 방법에서는, 유로(R)의 하류측에 설치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에 대해서도, 혈액을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는 분석 용구(2)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의 제조 방법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에 있어서, 적하 시약 규제 요소(13a 및 13b)가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 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에 대하여, 충분한 적하 시약(15)을 적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1 및 제2의 전극쌍 형성 공정에 있어서,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기판(3) 상에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 및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이 동시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 및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을 고정밀도로, 또한, 단시간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로(R)의 하류측에 설치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제2의 전극쌍)(12)에 대해서도, 혈액(시료)을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는 분석 용구(2)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해당 혈액에 대해서, 고정밀도의 측정을 행할 수 있는 혈당치계(측정 장치)(1)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2의 실시 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분석 용구의 혈액 도입 구멍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와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의 주요 상이점은, 혈액의 유입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중앙부에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설치함과 더불어, 이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사이에 끼워넣도록 2개의 간극을 설치한 점이다. 또한,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2)에서는, 신호 배선(5, 6, 7, 및 8)이 기판(3)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신호 배선(5, 6, 7, 및 8)은,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직선상의 배선부(5a, 6a, 7a, 및 8a)와, 대응하는 신호 배선(5, 6, 7, 및 8)의 좌단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배선부(5a, 6a, 7a, 및 8a)에 각각 연속적으로 설치된 전극부(5b, 6b, 7b, 및 8b)를 구비하고 있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의 실시 형태와 달리, 배선부(5a, 6a, 7a, 및 8a)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폭치수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부(6b)만은, 배선부(6a)에 대하여, 대략 직선상으로 구성되고, 선단부가 절결부(9c) 내에 노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결부(9c)는, 제1의 실시 형태와 달리, 우단부측이 개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부(9c)에 있어서, 유로(R)의 도입 구멍측이 개구되어 있어, 제1의 실시 형태에 비하여, 혈액을 보다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유로(R)의 상류측에 있어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이, 전극부(5b 및 8b) 중, 절결부(9c) 내에 노출된 각 부분에 의해, 실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로(R)의 하류측에 있어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이, 전극부(6b 및 7b) 중, 절결부(9c) 내에 노출된 각 부분에 의해, 실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 상에는, 도 10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고화한 적하 시약(1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로(R)에서는, 도 10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액체 상태의 적하 시약(15)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적하 시약 규제 요소(16)는, 레지스트 잉크(규정 요소)(9)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한쪽의 전극부(5b)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6)의 일부분은, 전극부(5b)의 일부분 상에 겹치도록 설치되고, 적하 시약 규제 요소(16)의 나머지 부분은,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로(R)에서는, 도 10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혈액의 유입 방향(Rh)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예를 들면, 유입 방향(Rh)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해당 교차 방향의 중앙부에 적하 시약 규제 요소(16)가 설치되고, 이 적하 시약 규제 요소(16)를 사이에 끼워넣도록, 2개의 간극(17a 및 17b)이 설치되어 있다. 즉, 유로(R)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6)가 2개의 간극(17a 및 17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로(R)에 있어서, 적하 시약 규제 요소(16)가 2개의 간극(17a 및 17b)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의 실시 형태에 비하여,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측에 유입되는 혈액의 양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6)가 혈액의 유입 방향(Rh)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적하 시약(15)을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즉, 적하 시약 규제 요소(16)에 의해, 적하 시약(15)의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측으로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3의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와 상기 제2의 실시 형태의 주요 상이점은, 5개의 적하 시약 규제 요소와 6개의 간극을 설치한 점이다. 또한, 상기 제2의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도 1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에서는, 유로(R)에 있어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액체 상태의 적하 시약(15)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8a, 18b, 18c, 18d, 및 18e)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적하 시약 규제 요소(18a, 18b, 18c, 18d, 및 18e)는, 레지스트 잉크(규정 요소)(9)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한쪽의 전극부(5b)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18a, 18b, 18c, 18d, 및 18e)의 일부분은, 전극부(5b)의 일부분 상에 겹치도록 설치되고, 적하 시약 규제 요소(18a, 18b, 18c, 18d, 및 18e)의 나머지 부분은,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 상에 배치된 적하 시약(15)의 도시는 생략한다(후에 게재하는 도 12∼도 16에 있어서도 동일함).
또한, 유로(R)에서는, 도 1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혈액의 유입 방향(Rh)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예를 들면, 유입 방향(Rh)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적하 시약 규제 요소(18a, 18b, 18c, 18d, 및 18e)와, 6개의 간극(19a, 19b, 19c, 19d, 19e, 및 19f)이 설치되어 있다. 즉, 유로(R)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적하 시약 규제 요소(18a, 18b, 18c, 18d, 및 18e)의 각 사이와, 적하 시약 규제 요소(18a 및 18e)와 레지스트 잉크(9)의 각 사이에, 대응하는 간극(19a, 19b, 19c, 19d, 19e, 및 19f)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2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의 적하 시약 규제 요소(18a, 18b, 18c, 18d, 및 18e)와, 6개의 간극(19a, 19b, 19c, 19d, 19e, 및 19f)이 직선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적하 시약(15)의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측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면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측에 유입되는 혈액의 양을 늘릴 수 있다.
[제4의 실시 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와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의 주요 상이점은, 3개의 적하 시약 규제 요소와 2개의 간극을 설치한 점이다. 또한,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도 1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에서는, 유로(R)에 있어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액체 상태의 적하 시약(15)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0a, 20b, 및 20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적하 시약 규제 요소(20a, 20b, 및 20c)는, 레지스트 잉크(규정 요소)(9)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며, 또한, 적하 시약 규제 요소(20a 및 20c)는, 레지스트 잉크(9)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적하 시약 규제 요소(20b)는, 혈액의 유입 방향(Rh)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적하 시약 규제 요소(20a, 20b, 및 20c)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한쪽의 전극부(5b)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0a, 20b, 및 20c)의 일부분은, 전극부(5b)의 일부분 상에 겹치도록 설치되고, 적하 시약 규제 요소(20a, 20b, 및 20c)의 나머지 부분은,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로(R)에서는, 도 1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혈액의 유입 방향(Rh)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예를 들면, 유입 방향(Rh)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적하 시약 규제 요소(20a, 20b, 및 20c)와, 간극(21a 및 21b)이 설치되어 있다. 즉, 유로(R)에서는, 간극(21a)이 2개의 적하 시약 규제 요소(20a 및 20b)의 사이에 형성되고, 간극(21b)이 2개의 적하 시약 규제 요소(20b 및 20c)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극(21a)이 2개의 적하 시약 규제 요소(20a 및 20b)의 사이에 형성되고, 간극(21b)이 2개의 적하 시약 규제 요소(20b 및 20c)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측에 혈액을 유입시키면서, 제1의 실시 형태에 비하여, 적하 시약(15)의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측으로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0b)가 혈액의 유입 방향(Rh)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적하 시약(15)을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5의 실시 형태]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와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의 주요 상이점은, 간극을 설치하지 않고,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형성한 점이다. 또한,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도 1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에서는, 유로(R)에 있어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의 사이에, 액체 상태의 적하 시약(15)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적하 시약 규제 요소(22)는, 레지스트 잉크(규정 요소)(9)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한쪽의 전극부(5b)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2)의 일부분은, 전극부(5b)의 일부분 상에 겹치도록 설치되고, 적하 시약 규제 요소(22)의 나머지 부분은,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2)는, 절결부(9c)를 분단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단, 적하 시약 규제 요소(22)는, 다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레지스트 잉크(9)와 동일한 두께 치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로(R)에서는, 대향 기판(4)과 양면 테이프(10a 및 10b)로 둘러싸인 공간에 의해,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측으로의 혈액의 유입을 막힘없이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2)에 의해, 적하 시약(15)의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측으로의 이동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다.
[제6의 실시 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와 상기 제2의 실시 형태의 주요 상이점은, 헤마토크리트 전극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설치한 점이다. 또한, 상기 제2의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도 1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에서는, 유로(R)에 있어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액체 상태의 적하 시약(15)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적하 시약 규제 요소(23)는, 레지스트 잉크(규정 요소)(9)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며,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한쪽의 전극부(5b)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한쪽의 전극부(7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3)는, 다른 실시 형태와 달리, 전극부(5b)의 일부분 상에 겹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로(R)에서는, 도 1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혈액의 유입 방향(Rh)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예를 들면, 유입 방향(Rh)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해당 교차 방향의 중앙부에 적하 시약 규제 요소(23)가 설치되고, 이 적하 시약 규제 요소(23)를 사이에 끼워넣도록, 2개의 간극(24a 및 24b)이 설치되어 있다. 즉, 유로(R)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3)가 2개의 간극(24a 및 24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2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로(R)에 있어서, 2개의 간극(24a 및 24b)이 적하 시약 규제 요소(23)를 사이에 끼워넣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의 실시 형태에 비하여,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측에 유입되는 혈액의 양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3)가 혈액의 유입 방향(Rh)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적하 시약(15)을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즉, 적하 시약 규제 요소(23)에 의해, 적하 시약(15)의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측으로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7의 실시 형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와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의 주요 상이점은, 혈액의 유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설치한 점이다. 또한,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도 1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에서는, 유로(R)에 있어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액체 상태의 적하 시약(15)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5a 및 25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적하 시약 규제 요소(25a 및 25b)는, 레지스트 잉크(규정 요소)(9)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한쪽의 전극부(5b)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5a 및 25b)의 일부분은, 전극부(5b)의 일부분 상에 겹치도록 설치되고, 적하 시약 규제 요소(25a 및 25b)의 나머지 부분은,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적하 시약 규제 요소(25a 및 25b)에서는, 그 선단부가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측으로 돌출하도록, 적하 시약 규제 요소(25a 및 25b)는, 혈액의 유입 방향(Rh)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로(R)에서는, 도 1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혈액의 유입 방향(Rh)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예를 들면, 유입 방향(Rh)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적하 시약 규제 요소(25a 및 25b)와, 간극(26)이 설치되어 있다. 즉, 유로(R)에서는, 간극(26)이 2개의 적하 시약 규제 요소(25a 및 25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5a 및 25b)는 혈액의 유입 방향(Rh)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 상에 적하 시약(15)을 용이하게 적하할 수 있다.
[제8의 실시 형태]
도 16은, 본 발명의 제8의 실시 형태에 관한 분석 용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와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의 주요 상이점은, 혈액의 유입 방향으로 경사진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설치한 점이다. 또한,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도 16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분석 용구에서는, 유로(R)에 있어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액체 상태의 적하 시약(15)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7a 및 27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적하 시약 규제 요소(27a 및 27b)는, 레지스트 잉크(규정 요소)(9)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한쪽의 전극부(7b)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7a 및 27b)의 일부분은, 전극부(7b)의 일부분 상에 겹치도록 설치되고, 적하 시약 규제 요소(27a 및 27b)의 나머지 부분은,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11)의 하류측 단부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적하 시약 규제 요소(27a 및 27b)에서는, 그 선단부가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측으로 돌출하도록, 적하 시약 규제 요소(27a 및 27b)는, 혈액의 유입 방향(Rh)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로(R)에서는, 도 16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혈액의 유입 방향(Rh)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예를 들면, 유입 방향(Rh)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 있어서, 적하 시약 규제 요소(27a 및 27b)와, 간극(28)이 설치되어 있다. 즉, 유로(R)에서는, 간극(28)이 2개의 적하 시약 규제 요소(27a 및 27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27a 및 27b)는 혈액의 유입 방향(Rh)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의 실시 형태에 비하여,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12)측에 유입되는 혈액의 양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는 모두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규정되고, 여기에 기재된 구성과 균등한 범위 내의 모든 변경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의 설명에서는, 측정 장치로서 혈당치계를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시료(검체)로부터 유산 등의 값을 측정하는 유산치계 등의 다른 측정 장치여도 된다.
또한, 상기의 제1∼제5, 제7, 및 제8의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제1의 전극쌍)의 한쪽의 전극부 상에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설치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의 전극쌍의 모든 전극부(즉, 한쪽 및 다른쪽의 전극부) 상에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제1∼제5, 제7, 및 제8의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제1의 전극쌍) 위에 설치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의 전극쌍과 제2의 전극쌍 사이의 중간 위치와는 상이한, 제1의 전극쌍 및 제2의 전극쌍 중 어느 한쪽의 전극쌍측으로 벗어나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제1∼제5, 제7, 및 제8의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전극쌍 및 제2의 전극쌍 중 어느 한쪽의 전극쌍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이에 따라, 제1의 전극쌍 및 제2의 전극쌍 중 다른쪽의 전극쌍에 대하여, 충분한 적하 시약을 적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 이외에, 제1의 전극쌍 및 제2의 전극쌍의 쌍방의 전극쌍 위에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형성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제1의 전극쌍 및 제2의 전극쌍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쌍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유로의 상류측의 제1의 전극쌍으로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을 이용하여, 유로의 하류측의 제2의 전극쌍으로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을 이용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의 전극쌍으로서,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을 이용하고, 제2의 전극쌍로서,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 위에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 위에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제1의 전극쌍 형성 공정과, 제2의 전극쌍 형성 공정과,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이 동시에 완료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분석 용구의 제조 방법은 제1의 전극쌍 형성 공정과, 제2의 전극쌍 형성 공정과,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을 가지는 것이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레지스트 잉크(규정 요소)의 상기 절결부 내부에서의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의 전극쌍을 형성한 후,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을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적하 시약을 제2의 전극쌍에 적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적하 시약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및 제2의 전극쌍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쌍에 적하 시약을 적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서로 다른 2종류의 적하 시약을 각각 제1 및 제2의 전극쌍에 적하하거나, 동일한 적하 시약을 제1 및 제2의 전극쌍의 양쪽에 적하하거나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유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2의 전극쌍에 대해서도, 시료를 충분히 도달시킬 수 있는 분석 용구,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에 대하여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쌍에 대하여, 충분한 적하 시약을 적하할 수 있는 분석 용구,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에 대하여 유용하다.
1 : 혈당치계(측정 장치) 2 : 분석 용구
3 : 기판 4 : 대향 기판(규정 요소)
9 : 레지스트 잉크(규정 요소, 절연체)
10a, 10b, 10c : 양면 테이프(규정 요소, 접착층)
11 : 한쌍의 헤마토크리트 전극(제1의 전극쌍)
12 : 한쌍의 글루코오스 전극(제2의 전극쌍)
13a, 13b, 16, 18a, 18b, 18c, 18d, 18e, 20a, 20b, 20c, 22, 23, 25a, 25b, 27a, 27b : 적하 시약 규제 요소
14, 17a, 17b, 19a, 19b, 19c, 19d, 19e, 19f, 21a, 2lb, 24a, 24b, 26, 28 : 간극
15 : 적하 시약
R : 유로 An : 공기 구멍

Claims (13)

  1. 기판과,
    시료의 유로를 규정하는 규정 요소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로에 위치하는 제1의 전극쌍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로의 상기 제1의 전극쌍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제2의 전극쌍과,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극쌍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2의 전극쌍의 상류측 단부의 사이에 형성됨과 더불어, 적하 시약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에서는, 상기 시료의 유입 방향과 상기 기판의 수직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사이에 끼도록 2개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상기 시료의 유입 방향과 상기 기판의 수직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분석 용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상기 제1의 전극쌍 및 상기 제2의 전극쌍 중 어느 한쪽의 전극쌍 위에 형성되어 있는, 분석 용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전극쌍 위에 상기 적하 시약이 적하되고,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상기 제1의 전극쌍 위에 형성되어 있는, 분석 용구.
  4. 기판과,
    시료의 유로를 규정하는 규정 요소와,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로에 위치하는 제1의 전극쌍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유로의 상기 제1의 전극쌍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제2의 전극쌍과,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극쌍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2의 전극쌍의 상류측 단부의 사이에 형성됨과 더불어, 적하 시약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상기 제1의 전극쌍 및 상기 제2의 전극쌍 중 어느 한쪽의 전극쌍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사이에 끼도록 2개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상기 시료의 유입 방향과 상기 기판의 수직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분석 용구.
  5. 삭제
  6.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상기 규정 요소의 일부분과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분석 용구.
  7.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절연체인, 분석 용구.
  8.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과, 상기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규정 요소에는, 상기 기판 위에 설치된 절연체, 상기 접착층, 및 상기 대향 기판이 포함되어 있는, 분석 용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대향 기판에는, 상기 유로와 연통하는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분석 용구.
  10.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극쌍 상에는, 상기 적하 시약이 적하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적하 시약과는 다른 적하 시약이 적하되는, 분석 용구.
  11. 기판과, 시료의 유로를 규정하는 규정 요소와, 제1의 전극쌍과, 제2의 전극쌍을 구비한 분석 용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유로에 상기 제1의 전극쌍을 형성하는 제1의 전극쌍 형성 공정과,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유로의 상기 제1의 전극쌍보다 하류에 상기 제2의 전극쌍을 형성하는 제2의 전극쌍 형성 공정과,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극쌍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제2의 전극쌍의 상류측 단부의 사이에, 적하 시약을 규제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형성하는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시료의 유입 방향과 상기 기판의 수직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서,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를 사이에 끼도록 2개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는, 상기 시료의 유입 방향과 상기 기판의 수직 방향에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분석 용구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 형성 공정에서는, 상기 적하 시약 규제 요소가 상기 제1의 전극쌍 및 상기 제2의 전극쌍 중 어느 한쪽의 전극쌍 위에 형성되는, 분석 용구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석 용구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
KR1020140052316A 2013-05-02 2014-04-30 분석 용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 KR101750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97066 2013-05-02
JP2013097066 2013-05-02
JP2014086657A JP5813171B2 (ja) 2013-05-02 2014-04-18 分析用具、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測定装置
JPJP-P-2014-086657 2014-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276A KR20140131276A (ko) 2014-11-12
KR101750596B1 true KR101750596B1 (ko) 2017-06-23

Family

ID=5067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316A KR101750596B1 (ko) 2013-05-02 2014-04-30 분석 용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35579B2 (ko)
EP (1) EP2799854B1 (ko)
JP (1) JP5813171B2 (ko)
KR (1) KR101750596B1 (ko)
CN (1) CN104132990B (ko)
TW (1) TWI5428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3242B2 (en) * 2015-08-07 2017-11-21 Apex Biotechnology Corp. Sensor strip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system thereof
WO2018097214A1 (ja) * 2016-11-25 2018-05-31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生体試料の成分を測定する方法
CN108680622A (zh) * 2018-05-23 2018-10-19 北京乐普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电化学生物传感器中红细胞压积测量和校正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5414A1 (en) 2003-10-31 2005-05-19 Lifescan Scotland Limited Electrochemical test strip for reducing the effect of direct interference current
US20110139634A1 (en) * 2009-12-14 2011-06-16 Taidoc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alyte concentration with interferant correction
US20120193228A1 (en) 2011-01-31 2012-08-02 Hmd Biomedical Inc. Test strip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04452D0 (en) * 1993-03-04 1993-04-21 Bunce Roger A Analytical devices
JP2004020465A (ja) * 2002-06-19 2004-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イオセンサ
CN100442047C (zh) * 2002-12-02 2008-12-10 爱科来株式会社 分析用具
JP3910148B2 (ja) * 2003-03-14 2007-04-25 アークレイ株式会社 排気口付き分析用具
EP1635170B1 (en) * 2003-06-19 2012-09-26 ARKRAY, Inc. Analysis implement with opening in insulation film
KR20070022195A (ko) 2003-10-31 2007-02-26 라이프스캔 스코트랜드 리미티드 직접적인 간섭 전류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기화학테스트 스트립
US8608920B2 (en) * 2009-12-14 2013-12-17 Taidoc Technology Corporation Electrochemical biosensor strip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corresponding biosensing device by said strip
US9903830B2 (en) * 2011-12-29 2018-02-27 Lifescan Scotland Limited Accurate analyte measurements for electrochemical test strip based on sense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containing the analyte
TWI493186B (zh) * 2013-02-08 2015-07-21 Hmd Biomedical Inc 檢測試片、檢測裝置及檢測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5414A1 (en) 2003-10-31 2005-05-19 Lifescan Scotland Limited Electrochemical test strip for reducing the effect of direct interference current
US20110139634A1 (en) * 2009-12-14 2011-06-16 Taidoc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alyte concentration with interferant correction
US20120193228A1 (en) 2011-01-31 2012-08-02 Hmd Biomedical Inc. Test str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9854A1 (en) 2014-11-05
EP2799854B1 (en) 2022-09-21
TWI542872B (zh) 2016-07-21
CN104132990A (zh) 2014-11-05
JP2014232101A (ja) 2014-12-11
KR20140131276A (ko) 2014-11-12
US20140326601A1 (en) 2014-11-06
CN104132990B (zh) 2018-06-01
JP5813171B2 (ja) 2015-11-17
US9835579B2 (en) 2017-12-05
TW201514487A (zh)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8389B2 (en) In vitro analyte sensor, and methods
JP6158133B2 (ja)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KR101750596B1 (ko) 분석 용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장치
US201501406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mbling a microfluidic sensor
CN105008921A (zh) 用于具有导电迹线的基板的电连接器
JP2015114153A (ja) 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US9128039B2 (en) Biosensor test strip
US9470648B2 (en) Electrode strip and sensor strip and system thereof
KR20120133029A (ko) 바이오센서
JP6404681B2 (ja)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US20150107994A1 (en) Biosensor
JP4893921B2 (ja) バイオセンサー
JP2016224075A (ja)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TW201403063A (zh) 具有被擋止連結處分開的毛細吸附樣本接收室之分析測試條
JP5818275B2 (ja) バイオセンサ
EP4332560A1 (en) Measurement device
US10442122B2 (en) Bio-sensor circuit
US20160084793A1 (en) Electrode reaction area testing method of biosensor test strip
CN104458864A (zh) 生物传感检测条及采用该生物传感检测条的生物传感检测装置
JP2020180792A (ja) 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