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345B1 -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345B1
KR101748345B1 KR1020150048598A KR20150048598A KR101748345B1 KR 101748345 B1 KR101748345 B1 KR 101748345B1 KR 1020150048598 A KR1020150048598 A KR 1020150048598A KR 20150048598 A KR20150048598 A KR 20150048598A KR 101748345 B1 KR101748345 B1 KR 101748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ation
cargo
information
characteristic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633A (ko
Inventor
김지홍
Original Assignee
(주)한국화물운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화물운송 filed Critical (주)한국화물운송
Priority to KR1020150048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34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 및 화주 클라이언트, 관리자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에 실행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으로서, 1) 운송사 클라이언트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각 운송사에 관한 운행 변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운송하는 화물에 관한 화물 품목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에 관한 운송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의 회사 규모에 관한 업체 특성 정보 및 해당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의 제약 조건에 관한 제약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2)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운송이 요구되는 화물에 관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는,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물 품목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운송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운송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업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업체 특성 의뢰 정보 및 상기 제약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약 특성 의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의뢰 정보는 화물의 최초 하역지(荷役地) 정보와 최종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및 3)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freight transportation link,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해상운송/연안운송/철도/트럭/항공운송을 포함하는 다양한 화물 운송수단을 연계하여 화물 운송이 이뤄지도록 관리함에 있어서, 각 화물 운송수단의 운행 비용 측면과 사회적 비용 측면의 관점에서 가장 효율적인 화물 연계 운송 경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운송 관리가 이뤄지도록 구성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운송은, 화물 자체의 특성 또는 운송 지역의 운송 환경, 운송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상운송/연안운송/철도/트럭/항공운송을 포함하는 다양한 운송수단 중 어느 하나의 운송수단을 선택하거나, 이들중 2 이상의 운송수단을 조합하여 연계 운송이 이뤄지도록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화물 연계 운송은, 상기 각 운송수단별 화물 운송 비용이나 운송 시간을 결정하는 각종 변수 및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못하고, 개별 운송수단의 단순 연결 수준에서 운송수단 간의 연계가 이뤄지는 것이 현실이었다.
예를 들어, 해상운송/연안운송/철도/트럭/항공운송의 각 운송수단별로, 소요되는 운송 비용, 화물 적재 특성, 화물 보관 특성, 화물 환적 특성, 적정 운송거리/시간, 적합한 기후(계절), 적합한 운송 규모, 운송 보조금, 운송수단별 접근성/적시성, 중량 제한, 양하역 장치/시스템 등의 다양한 특성 요인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특성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못하고, 연계 가능한 운송 스케줄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운송 비용을 결정하는 정도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가 이뤄지고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에 있어서는, 화물 연계 운송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에 각종 비효율 요인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종래의 화물 운송에 있어서 화물 운송의 운행 비용적 측면은 일반적으로 고려되었지만, 환경 오염 또는 지구 온난화, 도로 파손, 교통 혼잡 등의 다양한 사회적 비용 측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화물 연계 운송 관리가 이뤼지고 있지는 못하다는 한계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80810호 (2008년09월05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해상운송/연안운송/철도/트럭/항공운송을 포함하는 다양한 화물 운송수단을 연계하여 화물 운송이 이뤄지도록 관리함에 있어서, 각 화물 운송수단의 운행 비용 측면과 사회적 비용 측면의 관점에서 가장 효율적인 화물 연계 운송 경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운송 관리가 이뤄지도록 구성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 및 화주 클라이언트, 관리자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에 실행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으로서, 1) 운송사 클라이언트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각 운송사에 관한 운행 변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운송하는 화물에 관한 화물 품목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에 관한 운송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의 회사 규모에 관한 업체 특성 정보 및 해당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의 제약 조건에 관한 제약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2)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운송이 요구되는 화물에 관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는,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물 품목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운송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운송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업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업체 특성 의뢰 정보 및 상기 제약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약 특성 의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의뢰 정보는 화물의 최초 하역지(荷役地) 정보와 최종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및 3)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 및 화주 클라이언트, 관리자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으로서, 운송사 클라이언트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각 운송사에 관한 운행 변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변수 정보 입력 모듈-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운송하는 화물에 관한 화물 품목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에 관한 운송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의 회사 규모에 관한 업체 특성 정보 및 해당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의 제약 조건에 관한 제약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운송이 요구되는 화물에 관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입력받는 화물 운송 의뢰 정보 입력 모듈-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는,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물 품목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운송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운송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업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업체 특성 의뢰 정보 및 상기 제약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약 특성 의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의뢰 정보는 화물의 최초 하역지(荷役地) 정보와 최종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및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경로 생성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화물 연계 운송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해상운송/연안운송/철도/트럭/항공운송의 각 운송수단별로 화물 품목 특성, 운송 특성, 운송사 업체 특성 및 운송 서비스 제공 시의 제약 특성 등의 다양한 특성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화물 연계 운송 경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운송 관리가 이뤄지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 운송의 운행 비용적 측면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 또는 지구 온난화, 도로 파손, 교통 혼잡 등의 다양한 사회적 비용 측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화물 연계 운송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화물 하역지(荷役地)간의 단위 구간별로 과다 비용 구간이 발생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하며, 이를 통해 물류비 절감 효과 및 CO2 저감 효과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의 전체 연동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의 기능 모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제안 경로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제안 경로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의 전체 연동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의 기능 모듈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400) 및 화주 클라이언트(300), 관리자 클라이언트(200)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시스템으로서, 해상운송/연안운송/철도/트럭/항공운송을 포함하는 다양한 화물 운송수단을 연계하여 화물 운송이 이뤄지도록 화물 연계 운송 정보를 관리하며, 각 화물 운송수단의 운행 비용 측면과 사회 비용 측면의 관점에서 가장 효율적인 화물 연계 운송 경로를 생성하고 제공한다.
화물 연계 운송 경로는 해상운송/연안운송/철도/트럭/항공운송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상호 연계되어 최초 화물 출발지로부터 최종 목적지로 도달하는 운송 경로를 형성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해상운송은 해외의 특정 항구에서 국내의 특정 항구로 해상을 통해 운송이 이뤄지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연안운송은 국내의 특정 항구에서 또다른 국내의 특정 항구로 해상이나 강, 하천 등을 통해 운송이 이뤄지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으며, 철도는 열차를 통한 운송, 트럭은 예를 들어 컨테이너 트럭을 통한 운송으로 각각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상운송/연안운송/철도/트럭 별로 다음의 표 1과 같은 운송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화주는 운송하고자 하는 화물 특성을 고려하여 해상운송/연안운송/철도/트럭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운송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항공운송의 경우, 일반적으로 운송 비용은 비싸지만 장거리 운송 시에 수송 속도가 빠르며, 환적 속도는 비교적 느리고 환적 인프라가 복잡한 특성을 갖는다.
운송수단 화물 무게/부피 수송 속도 환적 속도 운송 비용 환적 인프라 화물 파손/변질 우려
해상운송 (가장 큼) (가장 느림) (가장 느림) (가장 쌈) (가장 복잡) (가장 많음)
연안운송 (큼) (느림) (느림) (쌈) (복잡) (많음)
철도 (작음) (빠름) (빠름) (비쌈) (간단) (적음)
트럭 (가장 작음) (가장 빠름) (가장 빠름) (가장 비쌈) (가장 간단) (가장 적음)
또한, 본 실시예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운송사 클라이언트(400)와의 연동을 통해 생성된 제안 경로에 대한 실제 운송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화주 클라이언트(300)로부터 최종 선택된 제안 경로에 대하여 전자 운송장을 발행함으로써, 전자 운송장에 근거한 화물 연계 운송이 이뤄지도록 한다. 전자 운송장은 전자 서명을 통한 화물 인수도의 확인 및 운임 결제의 근거가 된다.
본 실시예의 화물 운송수단은,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 특히 연안 선박을 이용한 연안운송, 열차를 이용한 철도운송, 트럭을 이용한 도로운송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화물의 하역지(荷役地)는, 선박 또는 열차, 트럭에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화물운송 거점지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화물 처리 시설과 화물 적재 공간을 구비한 항만, 기차역, 트럭 터미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경로'는, 출발지->환적지(환적지는 1 이상이 포함되거나, 환적지 없이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음)->목적지에 이르는 운송 경로를 의미하며, 일예로, 출발지(예, 부산)->제1 환적지(예, 인천)는 연안 운송 서비스, 제1 환적지(예, 인천)->제2 환적지(예, 서울)는 철도 운송 서비스, 제2 환적지(예, 서울)->목적지(예, 파주)는 트럭 운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체 경로가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운송 서비스는 각각의 운송사에 의해 제공되며, 이를 위해 각 운송사는 해당 운송사가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경로에 관한 정보와, 제공하는 운송 수단에 관한 정보, 운임에 관한 정보, 운송이 가능한 하역지에 관한 정보, 각 하역지별로 양하역 장치 또는 시스템의 구비 또는 사용 가능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본 실시예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에 미리 등록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경로, 또는 경로를 구성하는 부분적인 경로(예, 환적지간을 연결하는 경로)를 구성하는 운송 서비스는 하나의 운송사가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로 이뤄지거나, 복수의 운송사가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복수의 운송사가 각각 하나의 전체 운송 경로, 또는 전제 운송 경로를 구성하는 부분적인 경로(예, 환적지간을 연결하는 경로)를 구성하는 경우, 각각의 운송사 별로 서로 다른 운임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경로'를 구성하는 출발지 또는 환적지, 목적지는 화물의 '하역지'로 이해될 수 있으며, 각각의 양하역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양하역 장치 또는 시스템에 관한 사항은 하역지 자체의 조건으로서 등록될 수도 있으며, 운송 서비스를 이루는 운송사의 특성으로서 등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적지인 '서울'에서 철도 운송으로 도착된 화물을 하차하고 이를 트럭 운송을 위한 상차가 이뤄지기 위한 양하역 관련 사항은 '서울'이라는 환적지의 조건으로 등록될 수도 있으며, 타지로부터 '서울'로 철도 운송을 제공하는 개별 운송사의 특성으로 등록되거나 '서울'로부터 타지로 트럭 운송을 제공하는 또 다른 개별 운송사의 특성으로 등록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양하역 비용도 하역지 자체의 조건으로서 등록될 수도 있으며, 운송 서비스를 이루는 운송사의 특성으로서 등록될 수도 있다.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의 제안 경로 생성을 위한 각종 기본 정보를 입력 및 관리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이며, 운송사 회원등록/관리, 화주 회원등록/관리와 같은 일반적인 시스템 운영자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화주 클라이언트(300)는, 화물 연계 운송이 필요한 화주가 본 실시예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화물 연계 운송 의뢰를 위한 제안 경로 또는 추천 제안 경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화주의 클라이언트이다. 제안 경로나 추천 제안 경로를 제공받는 것과 함께, 제안 경로에 대한 선택과 그에 대한 계약 체결, 운송 프로세스 관리에 관한 구성도 화주 클라이언트(300)와 본 실시예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운송사 클라이언트(400)는, 화주로부터 화물운송을 의뢰받아 차주를 통해 화물운송이 이뤄지도록 하는 운송업체 또는 운송가맹사업자, 주선업체 등(이하, 운송사라고 함)이 본 실시예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운송사 관련 정보를 입력 및 관리하거나, 운송사 관련 기능을 요청 및 확인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이다. 본 실시예의 운송사는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사(또는 선박운항업자), 특히 연안 선박을 이용한 연안운송사, 열차를 이용한 철도운송사, 트럭을 이용한 도로운송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운송사 클라이언트(400)는, 계약 관계에 있는 차주(개별 또는 지입)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동하여 화물의 상차 및 하차 관련 입력 처리가 이뤄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전자 운송장 발행을 위한 운송 서비스 실제 제공 가능 여부의 확인을 할 수 있으며, 전자 운송장에 대한 수하인의 인수 확인 입력(전자서명)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운송장은 본 실시예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에서 생성 및 제공된 제안 경로 중 화주 클라이언트에 의해 최종 선택된 제안 경로를 통한 화물 운송 의뢰가 이뤄진 경우, 해당 화물 운송 의뢰 프로세스를 확인 처리하기 위한 운송장으로서 전자적 형태의 문서로 이뤄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자 운송장은 화물 운송 의뢰 정보 중 최종 의뢰 확정(또는 제안 경로 선택)으로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실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운송사의 지정 및 운송 일자, 확정 비용 등의 내역이 포함되며, 바람직한 일예로 복수의 화물 운송 서비스의 연계 경로 별로 화물 연계 인수도를 위한 인도측/인수측 운송사의 전자 서명 입력이 가능하며, 최종적으로 수하인의 전자 서명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운송장에 대한 인도측/인수측 운송사의 전자 서명 입력, 또는 수하인의 최종 전자 서명 입력에 근거하여 금융사 시스템(예, 은행 시스템)을 통한 화물 운임 결제 처리가 이뤄질 수 있다. 화물 운임은 예를 들어,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금융사 시스템으로 전자 결제 처리된 운임 금액이, 전자 운송장을 통한 수하인의 화물 수취 또는 화물 운송 경로(부분 경로 또는 전체 경로)를 구성하는 운송 서비스 제공사(운송사)의 운송 완료에 대한 확인 처리 후 각 운송사의 계좌로 운임 이체 처리되는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전자 운송장의 구현은 공지의 다양한 전자 문서 생성 기술을 이용하여 이뤄질 수 있으며, 전자 서명 및 전자 결제에 관한 구성도 다양한 공지 기술을 통한 구현이 가능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300) 및 운송사 클라이언트(400)는 본 실시예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에 미리 회원 등록되고, 이메일 또는 메시지 전송을 위한 계정 설정이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스템 접속 시에 통상의 로그인 과정을 통해 각종 요청 및 정보 확인을 할 수 있다. 회원 등록 시에는 기본 인적 사항 정보(예, 명칭, 주소, 연락처, 법인/개인 식별 정보), 금융 관련 정보(예, 계좌 정보) 등이 입력 및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운송사 클라이언트(400)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를 통해, 각 운송사에 관한 운행 변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변수 정보 입력 모듈(104)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운송하는 화물에 관한 화물 품목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에 관한 운송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의 회사 규모에 관한 업체 특성 정보 및 해당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의 제약 조건에 관한 제약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 가능한 화물 운송 서비스 내용에 관한 변수 정보이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는 무게당 또는 부피당 화물 운송 비용, 화물 무게, 화물 부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 운송수단, 화물 운송거리, 화물 입하빈도,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하역지(荷役地) 비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업체 특성 정보는 해당 운송사 직원수, 해당 운송사 가용부지 면적, 해당 운송사 출하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제약 특성 정보는 화물 운송 시간 조건, 화물 운송 비용 조건, 화물 운송 기후 조건, 양하역수단 조건, 화주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변수 정보 입력 모듈(104)은, 운송사 클라이언트(400)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200)를 통해, 각 운송수단 별로 수반되는 사회 요인 변수 정보를 더욱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사회 요인 변수 정보는, 각 운송수단별 운송 시설을 건설, 유지 또는 보수하기 위한 교통시설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처리를 위한 교통사고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통혼잡에 따른 시간가치를 비용 환산한 교통혼잡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처리를 위한 환경오염 처리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별 운송시간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화물의 시간가치를 비용 환산한 운송시간비용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사회 요인 변수 정보의 산출 예는, 공지의 논문, 일예로, "피해함수접근법을 이용한 주요운송수단의 사회적 비용 산정"(한국항만경제학회지 2012 제28권 제4호, 1-37, 소애림, 신승식)을 포함한 다수 논문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화주 클라이언트(300)를 통해, 운송이 요구되는 화물에 관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입력받는 화물 운송 의뢰 정보 입력 모듈(102)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는,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물 품목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운송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운송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업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업체 특성 의뢰 정보 및 상기 제약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약 특성 의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의뢰 정보는 화물의 최초 하역지(荷役地) 정보와 최종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 입력 모듈(102)을 통해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 입력 모듈(102)을 통해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300)로 제공하는 경로 생성 관리 모듈(106)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시스템의 일반 관리 및 운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 모듈(108)을 또한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100)은, 화주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화주 DB(120)와, 운송사 관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운송사 DB(130)와, 상술한 운행 변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운행 변수 정보 DB(140)와,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화물 운송 의뢰 정보 DB(150)와, 사회 요인 변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사회 요인 변수 정보 DB(16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10)'는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통상의 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하여,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는 통상의 서버-클라이언트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는 논리적 개념의 단말을 의미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웹 서비스 또는 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컴퓨팅 수단(예, PC)이나 모바일 컴퓨팅 수단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S1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운송사 클라이언트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각 운송사에 관한 운행 변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운송하는 화물에 관한 화물 품목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에 관한 운송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의 회사 규모에 관한 업체 특성 정보 및 해당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의 제약 조건에 관한 제약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 가능한 화물 운송 서비스 내용에 관한 변수 정보로서,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는 무게당 또는 부피당 화물 운송 비용, 화물 무게, 화물 부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 운송수단, 화물 운송거리, 화물 입하빈도,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하역지(荷役地) 비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업체 특성 정보는 해당 운송사 직원수, 해당 운송사 가용부지 면적, 해당 운송사 출하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약 특성 정보는 화물 운송 시간 조건, 화물 운송 비용 조건, 화물 운송 기후 조건, 양하역수단 조건, 화주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S2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운송이 요구되는 화물에 관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는,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물 품목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운송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운송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업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업체 특성 의뢰 정보 및 상기 제약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약 특성 의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의뢰 정보는 화물의 최초 하역지(荷役地) 정보와 최종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S3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한다. 제안 경로는 복수로 생성 및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S3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안 경로를 생성하되,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 중 무게당 또는 부피당 화물 운송 비용 정보와, 상기 운송 특성 정보 중 하역지(荷役地) 비용 정보에 근거하여, 최소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 제안 경로를 제1 제안 경로로 더욱 추천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에서는 상술한 운행 변수 정보와 함께 사회 요인 변수 정보를 더욱 고려하여 제안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사회 요인 변수 정보를 더욱 고려하기 위해, 상기 S1 단계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이 운송사 클라이언트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각 운송수단 별로 수반되는 사회 요인 변수 정보를 더욱 입력받아 저장하는 S11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사회 요인 변수 정보는, 각 운송수단별 운송 시설을 건설, 유지 또는 보수하기 위한 교통시설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처리를 위한 교통사고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통혼잡에 따른 시간가치를 비용 환산한 교통혼잡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처리를 위한 환경오염 처리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별 운송시간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화물의 시간가치를 비용 환산한 운송시간비용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S3 단계는,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되,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 중 무게당 또는 부피당 화물 운송 비용 정보와, 상기 운송 특성 정보 중 하역지(荷役地) 비용 정보와, 상기 교통시설 비용 특성 정보와, 상기 교통사고 비용 특성 정보와, 상기 교통혼잡 비용 특성 정보와, 상기 환경오염 처리 비용 특성 정보와, 상기 운송시간비용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최소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 제안 경로를 제1 제안 경로로 더욱 추천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각각의 제안 경로에 2 이상의 서로 다른 운송사가 관련된 경우,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입력된 각각의 제안 경로에 대한 연간 예상 의뢰 화물 운송량까지 고려하여 제1 제안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연간 예상 의뢰 화물 운송량까지 고려하여 제1 제안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 S4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3 단계에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는 2 이상의 제안 경로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각각의 제안 경로에 2 이상의 서로 다른 운송사가 관련된 경우,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상기 각각의 제안 경로에 관련된 운송사 정보를 더욱 제공한다.
S5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각각의 제안 경로에 대한 연간 예상 의뢰 화물 운송량을 입력받아, 각각의 제안 경로에 관련된 운송사 클라이언트로 제공한다.
S6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연간 예상 의뢰 화물 운송량을 제공받은 각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 중 무게당 또는 부피당 화물 운송 비용 정보와, 상기 운송 특성 정보 중 하역지(荷役地) 비용 정보에 대한 수정 제안 입력이 있는 경우, 이에 근거하여 최소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 제안 경로를 수정 제1 제안 경로로 더욱 추천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에서는 상기 S3단계를 다음의 상세 구성을 통해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제안 경로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제안 경로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모식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초 하역지인 출발지(예, 부산, 도 11의 e)에서 최종 하역지인 목적지(예, 파주, 도 11의 p)로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11에 예시된 a, b, f, g, h, i, j, k, l, n, o 등은 화물 운송 경로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하역지(예, 항만 또는 철도역, 트럭 터미널 소재지)를 각각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할 때, 최초 하역지인 출발지(예, 부산, 도 12의 e)에서 최종 하역지인 목적지(예, 파주, 도 12의 p)로 화물 운송이 가능한 제안 경로를 찾는 경우를 예시하면, 운송될 화물의 특성(화물 운송 의뢰 정보 상에서 요구되는 화물 특성, 예, 비용 또는 기간, 화물 부피/무게 관련 특성 등)을 충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안 경로가 생성될 수 있다.
일예로, 최초 하역지인 출발지(예, 부산, 도 12의 e)->제1 환적지(예, 인천, 도 12의 f)를 제1 부분 경로, 제1 환적지(예, 인천, 도 12의 f)->제2 환적지(예, 서울, 도 12의 g)는 제2 부분 경로, 제2 환적지(예, 서울, 도 12의 g)->목적지(예, 파주, 도 12의 p)는 제3 부분 경로를 포함하여 전체 경로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제1 부분 경로는 예를 들어, 연안 운송 서비스, 제2 부분 경로는 철도 운송 서비스, 제3 부분 경로는 트럭 운송 서비스가 각각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운송 서비스는 하나의 운송사에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운송사들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최초 하역지인 출발지(예, 부산, 도 12의 e)->환적지(예, 수원, 도 12의 o)를 제1 부분 경로, 환적지(예, 수원, 도 12의 o)->목적지(예, 파주, 도 12의 p)는 제2 부분 경로를 포함하여 전체 경로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제1 부분 경로는 예를 들어, 철도 운송 서비스, 제2 부분 경로는 트럭 운송 서비스가 각각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최초 하역지인 출발지(예, 부산, 도 12의 e)->목적지(예, 파주, 도 12의 p)는 하나의 경로로써 전체 경로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하나의 경로는 예를 들어, 트럭 운송 서비스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제안 경로의 생성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통해 각각 이뤄질 수 있다.
S31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 도 12의 p)에 대하여,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며 상기 최종 하역지(荷役地)보다 더욱 최초 하역지(荷役地, 도 12의 e)에 근접 위치하는 직전 하역지(荷役地, 예, 도 12의 o 또는 g, e)를 찾는다. 일예로, 상기 '근접 위치'는 지리적 위치 관점에서 판단될 수도 있으며, 운송 시간의 장단 측면에서 판단될 수도 있다.
S32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 예, 도 12의 o 또는 g, e)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 도 12의 e)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31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3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S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 예, 도 12의 e)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 도 12의 e)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는 제안 경로를 생성한다.
S332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3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S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 예, 도 12의 o 또는 g)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 도 12의 e)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며 상기 S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 예, 도 12의 o 또는 g)보다 최초 하역지(荷役地, 도 12의 e)에 더욱 근접 위치하는 하역지(荷役地, 예, 도 12의 f 또는 e)를 찾아 새로운 직전 하역지(荷役地)로 정의하고, 상기 새로운 직전 하역지(荷役地)에 대하여 상기 S32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처리하면, 최종적으로, e->f->g->p로 연결되는 하나의 제안 경로와, e->o->p로 연결되는 또 다른 하나의 제안 경로와, e->p로 연결되는 또 다른 하나의 제안 경로가 생성된다.
본 실시예는 최종 하역지를 기준으로 최초 하역지를 향해,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는 제안 경로를 검색해 가는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충족 여부를 각 하역지별 검색 단계에서 매번 확인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에서는 상기 S3단계를 다음의 상세 구성을 통해 처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S31'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에 대하여 상기 최종 하역지(荷役地)보다 더욱 최초 하역지(荷役地)에 근접 위치하는 직전 하역지(荷役地)를 찾는다.
S32'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31'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3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S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는 운송 경로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는지를 더욱 판단하고, 충족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운송 경로를 제안 경로로 생성한다.
S332'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3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S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보다 최초 하역지(荷役地)에 더욱 근접 위치하는 하역지(荷役地)를 찾아 새로운 직전 하역지(荷役地)로 정의하고, 상기 새로운 직전 하역지(荷役地)에 대하여 상기 S32'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처리하면, 최종적으로, e->f->g->p로 연결되는 하나의 제안 경로와, e->o->p로 연결되는 또 다른 하나의 제안 경로와, e->p로 연결되는 또 다른 하나의 제안 경로가 생성된다.
본 실시예는 최종 하역지를 기준으로 최초 하역지를 향해, 제안 경로를 검색해 가는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충족 여부를 각 하역지별 검색 단계에서 매번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 가능한 잠재적 제안 경로를 먼저 생성한 후에 각각의 잠재적 제안 경로가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충족으로 확인된 잠재적 제안 경로를 제안 경로로서 생성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에서는 상기 S3단계를 다음의 상세 구성을 통해 처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S310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 예, 도 12의 e)에 대하여,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며 상기 최초 하역지(荷役地)보다 더욱 최종 하역지(荷役地)에 근접 위치하는 직후 하역지(荷役地, 예, 도 12의 f 또는 o, p)를 찾는다.
S320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 예, 도 12의 f 또는 o, p)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 도 12의 p)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310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3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S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 예, 도 12의 p)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 도 12의 p)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최초 하역지(荷役地, 도 12의 e)와 최종 하역지(荷役地, 도 12의 p)를 연결하는 제안 경로를 생성한다.
S3320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3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S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 예, 도 12의 f 또는 o)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 도 12의 p)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며 상기 S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 예, 도 12의 f 또는 o)보다 최종 하역지(荷役地, 도 12의 p)에 더욱 근접 위치하는 하역지(荷役地, 예, 도 12의 g 또는 p)를 찾아 새로운 직후 하역지(荷役地)로 정의하고, 상기 새로운 직후 하역지(荷役地)에 대하여 상기 S320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처리하면, 최종적으로, e->f->g->p로 연결되는 하나의 제안 경로와, e->o->p로 연결되는 또 다른 하나의 제안 경로와, e->p로 연결되는 또 다른 하나의 제안 경로가 생성된다.
본 실시예는 최초 하역지를 기준으로 최종 하역지를 향해,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는 제안 경로를 검색해 가는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충족 여부를 각 하역지별 검색 단계에서 매번 확인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에서는 상기 S3단계를 다음의 상세 구성을 통해 처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S310'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에 대하여 상기 최초 하역지(荷役地)보다 더욱 최종 하역지(荷役地)에 근접 위치하는 직후 하역지(荷役地)를 찾는다.
S320'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3310'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3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S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는 운송 경로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는지를 더욱 판단하고, 충족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운송 경로를 제안 경로로 생성한다.
S3320'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3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S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보다 최종 하역지(荷役地)에 더욱 근접 위치하는 하역지(荷役地)를 찾아 새로운 직후 하역지(荷役地)로 정의하고, 상기 새로운 직후 하역지(荷役地)에 대하여 상기 S320'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처리하면, 최종적으로, e->f->g->p로 연결되는 하나의 제안 경로와, e->o->p로 연결되는 또 다른 하나의 제안 경로와, e->p로 연결되는 또 다른 하나의 제안 경로가 생성된다.
본 실시예는 최초 하역지를 기준으로 최종 하역지를 향해 제안 경로를 검색해 가는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충족 여부를 각 하역지별 검색 단계에서 매번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 가능한 잠재적 제안 경로를 먼저 생성한 후에 각각의 잠재적 제안 경로가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충족으로 확인된 잠재적 제안 경로를 제안 경로로서 생성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에서는 상기 S3 단계 이후에 다음과 같은 전자 운송장 발행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S3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S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한다.
이렇게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한 이후에, 실제 화물 운송 처리가 실행되도록 전자 운송장이 발행된다.
S101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S3 단계에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에 대하여 화주 클라이언트로부터 제안 경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
S102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선택된 제안 경로의 구성에 관련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사 클라이언트로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전체 경로가 복수의 부분적 경로의 연결로 구성되고, 각 부분적 경로가 서로 다른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라면, 각각의 부분적 경로에 관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각각의 운송사로 제공한다.
S103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제공받은 운송사 클라이언트로부터 운송 서비스 제공 가능 확인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전체 경로가 복수의 부분적 경로의 연결로 구성되고, 각 부분적 경로가 서로 다른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라면, 각각의 부분적 경로에 관한 운송 서비스 제공 가능 확인 정보를 각각의 운송사로부터 입력받는다.
S104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운송 서비스 제공 가능 확인으로 입력된 경우에, S104' 단계에서는 해당 운송사 클라이언트로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에 근거한 전자 운송장을 발행한다. 이때, 전체 경로가 복수의 부분적 경로의 연결로 구성되고, 각 부분적 경로가 서로 다른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라면, 각각의 부분적 경로에 관한 전자 운송장을 각각의 운송사로 발행한다.
S104 단계에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제안 경로의 구성에 관련된 운송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운송 서비스 제공 불가능으로 확인 입력된 경우에, S105 단계에서는 화주 클라이언트로 운송 서비스 제공 불가능으로 확인 입력된 운송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운송 서비스가 포함되지 아니한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한다.
이후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은 상기 S101 단계 내지 S104 단계를 더욱 실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S3 단계에서 생성 제공한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에 대해서 운송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각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를 통해 확인하고, 운송사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 가능으로 확인된 운송 서비스로 구성되는 제안 경로에 대하여 전체 경로 또는 전체 경로를 구성하는 각 부분 경로별 전자 운송장을 발행하여 실제 화물 운송이 이뤄지도록 한다.
한편,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선택된 제안 경로의 구성에 2 이상의 운송 서비스가 연계되어 관련되는 경우, 상기 전자 운송장은 제안 경로의 구성에 관련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각 연계 운송 서비스 단위로 발행한다.
이때, 상기 전자 운송장에는, 각 연계 운송 서비스 단위로 화물 운송 시간 정보, 양하역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USB 드라이브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100: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
200: 관리자 클라이언트
300: 화주 클라이언트
400: 운송사 클라이언트

Claims (19)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 및 화주 클라이언트, 관리자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에 실행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으로서,
    1) 운송사 클라이언트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각 운송사에 관한 운행 변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운송하는 화물에 관한 화물 품목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에 관한 운송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의 회사 규모에 관한 업체 특성 정보 및 해당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의 제약 조건에 관한 제약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2)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운송이 요구되는 화물에 관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는,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물 품목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운송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운송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업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업체 특성 의뢰 정보 및 상기 제약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약 특성 의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의뢰 정보는 화물의 최초 하역지(荷役地) 정보와 최종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3)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 가능한 화물 운송 서비스 내용에 관한 변수 정보로서,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는 무게당 또는 부피당 화물 운송 비용, 화물 무게, 화물 부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 운송수단, 화물 운송거리, 화물 입하빈도,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하역지(荷役地) 비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업체 특성 정보는 해당 운송사 직원수, 해당 운송사 가용부지 면적, 해당 운송사 출하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약 특성 정보는 화물 운송 시간 조건, 화물 운송 비용 조건, 화물 운송 기후 조건, 양하역수단 조건, 화주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2. 삭제
  3.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 및 화주 클라이언트, 관리자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에 실행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으로서,
    1) 운송사 클라이언트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각 운송사에 관한 운행 변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운송하는 화물에 관한 화물 품목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에 관한 운송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의 회사 규모에 관한 업체 특성 정보 및 해당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의 제약 조건에 관한 제약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2)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운송이 요구되는 화물에 관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는,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물 품목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운송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운송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업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업체 특성 의뢰 정보 및 상기 제약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약 특성 의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의뢰 정보는 화물의 최초 하역지(荷役地) 정보와 최종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3)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31)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에 대하여,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며 상기 최종 하역지(荷役地)보다 더욱 최초 하역지(荷役地)에 근접 위치하는 직전 하역지(荷役地)를 찾는 단계;
    32) 상기 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331) 상기 3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는 제안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332) 상기 3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며 상기 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보다 최초 하역지(荷役地)에 더욱 근접 위치하는 하역지(荷役地)를 찾아 새로운 직전 하역지(荷役地)로 정의하고, 상기 새로운 직전 하역지(荷役地)에 대하여 상기 32)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4.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 및 화주 클라이언트, 관리자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에 실행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으로서,
    1) 운송사 클라이언트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각 운송사에 관한 운행 변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운송하는 화물에 관한 화물 품목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에 관한 운송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의 회사 규모에 관한 업체 특성 정보 및 해당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의 제약 조건에 관한 제약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2)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운송이 요구되는 화물에 관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는,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물 품목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운송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운송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업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업체 특성 의뢰 정보 및 상기 제약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약 특성 의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의뢰 정보는 화물의 최초 하역지(荷役地) 정보와 최종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3)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31')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에 대하여 상기 최종 하역지(荷役地)보다 더욱 최초 하역지(荷役地)에 근접 위치하는 직전 하역지(荷役地)를 찾는 단계;
    32') 상기 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331') 상기 3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는 운송 경로가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는지를 더욱 판단하고, 충족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운송 경로를 제안 경로로 생성하는 단계; 및
    332') 상기 3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31') 단계에서 찾은 직전 하역지(荷役地)보다 최초 하역지(荷役地)에 더욱 근접 위치하는 하역지(荷役地)를 찾아 새로운 직전 하역지(荷役地)로 정의하고, 상기 새로운 직전 하역지(荷役地)에 대하여 상기 32')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 및 화주 클라이언트, 관리자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에 실행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으로서,
    1) 운송사 클라이언트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각 운송사에 관한 운행 변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운송하는 화물에 관한 화물 품목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에 관한 운송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의 회사 규모에 관한 업체 특성 정보 및 해당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의 제약 조건에 관한 제약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2)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운송이 요구되는 화물에 관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는,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물 품목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운송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운송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업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업체 특성 의뢰 정보 및 상기 제약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약 특성 의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의뢰 정보는 화물의 최초 하역지(荷役地) 정보와 최종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3)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310)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에 대하여,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며 상기 최초 하역지(荷役地)보다 더욱 최종 하역지(荷役地)에 근접 위치하는 직후 하역지(荷役地)를 찾는 단계;
    320) 상기 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3310) 상기 3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는 제안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3320) 상기 3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며 상기 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보다 최종 하역지(荷役地)에 더욱 근접 위치하는 하역지(荷役地)를 찾아 새로운 직후 하역지(荷役地)로 정의하고, 상기 새로운 직후 하역지(荷役地)에 대하여 상기 320)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 및 화주 클라이언트, 관리자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에 실행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으로서,
    1) 운송사 클라이언트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각 운송사에 관한 운행 변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운송하는 화물에 관한 화물 품목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에 관한 운송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의 회사 규모에 관한 업체 특성 정보 및 해당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의 제약 조건에 관한 제약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2)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운송이 요구되는 화물에 관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는,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물 품목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운송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운송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업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업체 특성 의뢰 정보 및 상기 제약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약 특성 의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의뢰 정보는 화물의 최초 하역지(荷役地) 정보와 최종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3)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310')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에 대하여 상기 최초 하역지(荷役地)보다 더욱 최종 하역지(荷役地)에 근접 위치하는 직후 하역지(荷役地)를 찾는 단계;
    320') 상기 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3310') 상기 3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는 운송 경로가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충족하는지를 더욱 판단하고, 충족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운송 경로를 제안 경로로 생성하는 단계; 및
    3320') 상기 320')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가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종 하역지(荷役地)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310') 단계에서 찾은 직후 하역지(荷役地)보다 최종 하역지(荷役地)에 더욱 근접 위치하는 하역지(荷役地)를 찾아 새로운 직후 하역지(荷役地)로 정의하고, 상기 새로운 직후 하역지(荷役地)에 대하여 상기 320')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안 경로를 생성하되,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 중 무게당 또는 부피당 화물 운송 비용 정보와, 상기 운송 특성 정보 중 하역지(荷役地) 비용 정보에 근거하여, 최소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 제안 경로를 제1 제안 경로로 더욱 추천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11) 운송사 클라이언트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각 운송수단 별로 수반되는 사회 요인 변수 정보를 더욱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회 요인 변수 정보는, 각 운송수단별 운송 시설을 건설, 유지 또는 보수하기 위한 교통시설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처리를 위한 교통사고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통혼잡에 따른 시간가치를 비용 환산한 교통혼잡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처리를 위한 환경오염 처리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별 운송시간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화물의 시간가치를 비용 환산한 운송시간비용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2) 단계에서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되,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 중 무게당 또는 부피당 화물 운송 비용 정보와, 상기 운송 특성 정보 중 하역지(荷役地) 비용 정보와, 상기 교통시설 비용 특성 정보와, 상기 교통사고 비용 특성 정보와, 상기 교통혼잡 비용 특성 정보와, 상기 환경오염 처리 비용 특성 정보와, 상기 운송시간비용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최소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 제안 경로를 제2 제안 경로로 더욱 추천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4) 상기 3) 단계에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는 2 이상의 제안 경로가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각각의 제안 경로에 2 이상의 서로 다른 운송사가 관련된 경우,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상기 각각의 제안 경로에 관련된 운송사 정보를 더욱 제공하는 단계;
    5)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각각의 제안 경로에 대한 연간 예상 의뢰 화물 운송량을 입력받아, 각각의 제안 경로에 관련된 운송사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및
    6) 상기 연간 예상 의뢰 화물 운송량을 제공받은 각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 중 무게당 또는 부피당 화물 운송 비용 정보와, 상기 운송 특성 정보 중 하역지(荷役地) 비용 정보에 대한 수정 제안 입력이 있는 경우, 이에 근거하여 최소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 제안 경로를 수정 제1 제안 경로로 더욱 추천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 이후에,
    101) 화주 클라이언트로부터 제안 경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102) 상기 선택된 제안 경로의 구성에 관련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사 클라이언트로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103)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제공받은 운송사 클라이언트로부터 운송 서비스 제공 가능 확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104) 운송 서비스 제공 가능 확인으로 입력된 경우에 해당 운송사 클라이언트로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에 근거한 전자 운송장을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105) 제안 경로의 구성에 관련된 운송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운송 서비스 제공 불가능으로 확인 입력된 경우에, 화주 클라이언트로 운송 서비스 제공 불가능으로 확인 입력된 운송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운송 서비스가 포함되지 아니한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이후 상기 101) 단계 내지 104) 단계를 더욱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안 경로의 구성에 2 이상의 운송 서비스가 연계되어 관련되는 경우,
    상기 전자 운송장은 제안 경로의 구성에 관련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각 연계 운송 서비스 단위로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운송장에는,
    각 연계 운송 서비스 단위로 화물 운송 시간 정보, 양하역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15.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제3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1항, 제3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의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7. 삭제
  18.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 및 화주 클라이언트, 관리자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으로서,
    운송사 클라이언트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각 운송사에 관한 운행 변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변수 정보 입력 모듈-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운송하는 화물에 관한 화물 품목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에 관한 운송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의 회사 규모에 관한 업체 특성 정보 및 해당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의 제약 조건에 관한 제약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운송이 요구되는 화물에 관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입력받는 화물 운송 의뢰 정보 입력 모듈-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는,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물 품목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운송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운송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업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업체 특성 의뢰 정보 및 상기 제약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약 특성 의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의뢰 정보는 화물의 최초 하역지(荷役地) 정보와 최종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및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경로 생성 관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 가능한 화물 운송 서비스 내용에 관한 변수 정보로서,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는 무게당 또는 부피당 화물 운송 비용, 화물 무게, 화물 부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 운송수단, 화물 운송거리, 화물 입하빈도,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하역지(荷役地) 비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업체 특성 정보는 해당 운송사 직원수, 해당 운송사 가용부지 면적, 해당 운송사 출하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약 특성 정보는 화물 운송 시간 조건, 화물 운송 비용 조건, 화물 운송 기후 조건, 양하역수단 조건, 화주 조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
  19.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사 클라이언트 및 화주 클라이언트, 관리자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 연동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으로서,
    운송사 클라이언트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각 운송사에 관한 운행 변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변수 정보 입력 모듈- 상기 운행 변수 정보는, 해당 운송사에서 운송하는 화물에 관한 화물 품목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에서 제공하는 운송 서비스에 관한 운송 특성 정보, 해당 운송사의 회사 규모에 관한 업체 특성 정보 및 해당 운송사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의 제약 조건에 관한 제약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정보는 화물의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화주 클라이언트를 통해, 운송이 요구되는 화물에 관한 화물 운송 의뢰 정보를 입력받는 화물 운송 의뢰 정보 입력 모듈-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는, 상기 화물 품목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화물 품목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운송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운송 특성 의뢰 정보, 상기 업체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업체 특성 의뢰 정보 및 상기 제약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약 특성 의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 특성 의뢰 정보는 화물의 최초 하역지(荷役地) 정보와 최종 하역지(荷役地)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및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최초 하역지(荷役地)와 최종 하역지(荷役地)를 연결하며 상기 화물 운송 의뢰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화물 운송 의뢰 정보의 조건을 충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안 경로를 생성하여 상기 화주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경로 생성 관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변수 정보 입력 모듈은,
    운송사 클라이언트 또는 관리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각 운송수단 별로 수반되는 사회 요인 변수 정보- 상기 사회 요인 변수 정보는, 각 운송수단별 운송 시설을 건설, 유지 또는 보수하기 위한 교통시설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처리를 위한 교통사고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통혼잡에 따른 시간가치를 비용 환산한 교통혼잡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처리를 위한 환경오염 처리 비용 특성 정보, 각 운송수단별 운송시간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화물의 시간가치를 비용 환산한 운송시간비용 특성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를 더욱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연계 운송 관리 시스템.
KR1020150048598A 2015-04-06 2015-04-06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101748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598A KR101748345B1 (ko) 2015-04-06 2015-04-06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598A KR101748345B1 (ko) 2015-04-06 2015-04-06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633A KR20160119633A (ko) 2016-10-14
KR101748345B1 true KR101748345B1 (ko) 2017-07-17

Family

ID=5715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598A KR101748345B1 (ko) 2015-04-06 2015-04-06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722B1 (ko) 2021-07-07 2022-08-24 주식회사 카짱 항공 화물 배송을 위한 스마트 화물 차량 배차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20129513A (ko) 2021-03-09 2022-09-23 주식회사 카짱 항공화물 원스톱 출고시스템을 연계한 화물운송 플랫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2987B (zh) * 2018-02-06 2023-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运输方案的方法、训练快速装载模型的方法及设备
CN109903208A (zh) * 2019-02-14 2019-06-18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子计算技术研究所 一种铁路货物运输安全管理方法、客户端
KR102471984B1 (ko) * 2020-06-18 2022-11-29 코코넛사일로(주) 하역장 상태에 기초하여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183954B (zh) * 2020-09-10 2024-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获取货物的装载方案的方法和装置
CN113743987A (zh) * 2021-08-25 2021-12-03 东南大学 基于空铁联程的客运方式班次及票价制定方法
KR102565211B1 (ko) * 2022-12-12 2023-08-10 강우영 인공지능 모델 기반 고정화물 일자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927A (ja) 2000-07-10 2002-01-23 Komatsu Ltd 輸送システム及び輸送方法
JP2009223552A (ja) 2008-03-14 2009-10-01 Osaka Prefecture Univ 貨物物流費用最適化方法
JP2013136421A (ja) 2011-12-27 2013-07-11 Jfe Steel Corp 輸送計画作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輸送計画作成用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0810A (ko) 2007-03-02 2008-09-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927A (ja) 2000-07-10 2002-01-23 Komatsu Ltd 輸送システム及び輸送方法
JP2009223552A (ja) 2008-03-14 2009-10-01 Osaka Prefecture Univ 貨物物流費用最適化方法
JP2013136421A (ja) 2011-12-27 2013-07-11 Jfe Steel Corp 輸送計画作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輸送計画作成用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9513A (ko) 2021-03-09 2022-09-23 주식회사 카짱 항공화물 원스톱 출고시스템을 연계한 화물운송 플랫폼
KR20220138443A (ko) 2021-03-09 2022-10-13 주식회사 카짱 비대면 항공화물 원스톱 출고시스템을 연계한 화물운송 플랫폼
KR102435722B1 (ko) 2021-07-07 2022-08-24 주식회사 카짱 항공 화물 배송을 위한 스마트 화물 차량 배차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633A (ko)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345B1 (ko) 화물 연계 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JP6803879B2 (ja) 運送システムのための分散型台帳技術
US20180232693A1 (en) Autonomous services selection system and distributed transportation database(s)
US20090037095A1 (en) Transmodal and logistics system and method
JP2009521023A (ja) 物理対象の輸送方法、輸送システム、及び輸送手段
US20050091100A1 (en) Transport logistics systems and methods
JP2010511922A (ja) 対象物を輸送する方法、輸送システム、及び輸送手段
US201902515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freight transportation
CN101923666A (zh) 物流公司、货主、承运商三方共同协作的运输管理方法
CN107392377A (zh) 平行物流信息系统
CN104240052A (zh) 返空车配货交易服务方法及软件系统
CN105205637A (zh) 一种物流管理系统及管理方法
Sarder Logistics transportation systems
US20220227500A1 (en) Managed connecting service for mass transit baggage
Mohajeri et al. Closed‐Loop Supply Chain Models with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Impact
US20190180235A1 (en) Transportation systems and methods
Kirschstein et al. Eco‐labeling of freight transport services: Design, evaluation, and research directions
CN114254972A (zh) 一种基于铁路的大宗物资多式联运服务平台
Langer et al. Smart Freight: Application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to Freight System Efficiency
Ducarme et al. Sustainable solutions for ‘last mile’deliveries in the parcel industry: A qualitative analysis using insights from third-party logistics service providers and public mobility experts
KR102592557B1 (ko) 실시간 화물추적 api 연동 기반의 화물이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0660212B (zh) 车船联网平台会员车辆管理方法及系统
CN111079970A (zh) 一种物流供应链管理方法
Pekin et al. A GIS-based analysis of the potential for freight villages in Turkey
Bakhtyar et al. Analysis of information synergy between e-Waybill solutions and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