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458B1 -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458B1
KR101746458B1 KR1020150185874A KR20150185874A KR101746458B1 KR 101746458 B1 KR101746458 B1 KR 101746458B1 KR 1020150185874 A KR1020150185874 A KR 1020150185874A KR 20150185874 A KR20150185874 A KR 20150185874A KR 101746458 B1 KR101746458 B1 KR 101746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housing
pipe
cushion panel
hou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엄석
이종탁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85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9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with simultaneous height and inclination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ith independent front and/or rear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쿠션패널의 밑면에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한 쌍의 틸트 하우징; 한 쌍의 틸트 하우징에 양단이 끼워진 틸트 파이프; 및 틸트 하우징과 틸트 파이프에 구비되어 쿠션패널의 좌우방향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 {HEIGHT ADJUSTABLE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에 있어서 높이 조절을 위한 구조물 중 쿠션패널과 결합되는 부위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시트의 좌우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되는 시트는 탑승자의 운행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고상황에서는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역할까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원활한 시야확보 및 안정적이고 편안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시트의 위치를 전후 좌우 상하 등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중 시트의 높이 조절을 위해 시트의 쿠션패널 전단부의 하방에 좌우 방향의 파이프를 배치하고 이 파이프에 힘을 가함으로써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조가 있다. 이때 파이프가 완전 고정되지 않고 회전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쿠션패널과 결합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차체의 좌우 폭방향에 대한 구속이 이루어지지 않아 외력이 작용할 결우 좌우 방향으로 시트가 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6-0084646 A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시트에 있어서 차량의 폭방향 외력에도 시트의 밀림현상이 없는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는 쿠션패널의 밑면에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한 쌍의 틸트 하우징; 한 쌍의 틸트 하우징에 양단이 끼워진 틸트 파이프; 및 틸트 하우징과 틸트 파이프에 구비되어 쿠션패널의 좌우방향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기구;를 포함한다.
구속기구는 틸트 파이프와 틸트 하우징이 접촉하는 틸트 하우징의 내주면과 틸트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에 마련되고, 틸트 하우징의 내주면과 틸트 파이프의 외주면 중 어느 일측에 돌출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홈이 형성되어 돌출부와 홈이 결합됨으로써 쿠션패널의 좌우방향의 유동을 구속할 수 있다.
틸트 하우징은 상면에서 내부로 만입되고 만입된 공간에 틸트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우징 바디; 및 전단 또는 후단이 하우징 바디의 전단 또는 후단과 힌지결합하여 하우징 바디의 상면의 만입된 개방부를 개폐하는 하우징 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 및 하우징 커버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체결홀을 관통하여 쿠션패널과 볼팅결합 됨으로써 하우징 바디 및 하우징 커버를 쿠션패널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커버는 클립결합 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의 만입된 부분의 전후 방향 폭은 틸프 파이프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에 따르면, 시트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차량의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에 대한 이동성을 부여하면서도 좌우방향에 대해서는 이동을 구속하여 시트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의 높이조절 전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의 높이조절 후의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의 틸트하우징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의 높이조절 전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의 높이조절 후의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의 틸트 하우징 도면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는 쿠션패널(400)의 밑면에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한 쌍의 틸트 하우징(100); 한 쌍의 틸트 하우징(100)에 양단이 끼워진 틸트 파이프(201); 및 틸트 하우징(100)과 틸트 파이프(201)에 구비되어 쿠션패널(400)의 좌우방향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기구(300);를 포함한다.
차량에 장착되는 시트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시트의 쿠션이나 등받이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그중에서도 시트의 쿠션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시트의 높이 조절이 구현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시트 내부에 마련된 모터가 전후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는 로드를 움직여 동력을 제공한다. 로드의 단부는 L자형 레버의 일단이 연결되고 레버의 절곡된 부분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할 때 L자형 레버의 타단부에서 발생하는 상하방향의 높이 차이에 의하여 쿠션패널(400)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시트의 높이 조절이 구현된다.
이 때 쿠션패널(400)의 밑면에 마련된 틸트 파이프(201)를 이용하여 쿠션패널(400)의 좌측과 우측에 대해 고르게 힘을 전달하게 되는데, 틸트 파이프(201)는 회전운동을 함과 동시에 전후방향의 이동을 함께하므로 쿠션패널(400)과 완전 고정결합을 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틸트 하우징(100)을 이용하여 결합을 시키는데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에 대한 틸트 파이프(201)의 이동은 원하는 범위 내로 구속이 가능하나 좌우방향에 대한 구속이 미흡하여 시트가 좌우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 과정에서 소음도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구속기구(300)를 이용하여 좌우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속기구(300)는 틸트 파이프(201)와 틸트 하우징(100)이 접촉하는 틸트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틸트 파이프(201)의 외주면 사이에 마련되고, 틸트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틸트 파이프(201)의 외주면 중 어느 일측에 돌출부(301)가 마련되고 타측에 홈(303)이 형성되어 돌출부(301)와 홈(303)이 결합됨으로써 쿠션패널(400)의 좌우방향의 유동을 구속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틸트 파이프(201)와 틸트 하우징(100)이 접촉하는 틸트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틸트 파이프(201)의 외주면 사이에 돌출부(301)와 홈(303)을 마련하여 좌우방향의 유동을 구속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파이프(201) 단부의 외주면에 링형상의 돌출부(301)를 마련하고 틸트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슬릿 형태의 홈(303)을 마련하여 돌출부(301)가 홈(303)에 삽입됨으로써 좌우방향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슬릿과 돌출부(301)의 위치는 서로 반대로 배치되어 틸트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의 홈(303)을 만들고 틸트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돌출부(301)를 마련하여 구속시킬 수도 있다.
전후방향으로는 슬릿 형태의 홈(303)을 따라 돌출부(301)가 이동이 가능하므로 여전히 전후방향에 대한 이동 자유도 및 틸트 파이프(201)의 회전에 대한 이동 자유도는 유지하면서 좌우방향에 대한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틸트 하우징(100)은 상면에서 내부로 만입되고 만입된 공간에 틸트 파이프(201)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우징 바디(101); 및 전단 또는 후단이 하우징 바디(101)의 전단 또는 후단과 힌지결합(105)하여 하우징 바디(101)의 상면의 만입된 개방부를 개폐하는 하우징 커버(103);로 구성될 수 있다.
쿠션패널(400)과 틸트 파이프(201) 및 틸트 하우징(100)의 결합에 있어서, 틸트 파이프(201)와 틸트 하우징(100)에 마련된 돌출부(301)와 홈(303)의 형상적 특징으로 인하여 조립과정이 어려워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틸트 하우징(100)을 하우징 바디(101)와 하우징 커버(103)로 구성하고 하우징 커버(103)에 의하여 틸트 하우징(100)의 만입된 부분이 개폐되도록하여 조립의 용이성을 도모하고 있다.
하우징 바디(101) 및 하우징 커버(103)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체결홀을 관통하여 쿠션패널(400)과 볼팅결합 됨으로써 하우징 바디(101) 및 하우징 커버(103)를 쿠션패널(4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 바디(101)와 하우징 커버(103)는 클립결합(107) 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01)에 틸트 파이프(201)를 삽입한 뒤 하우징 커버(103)를 닫고 쿠션패널(400)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결합(107)구조를 이용하여 쿠션패널(400)과 결합하기 전부터 하우징 커버(103)가 틸트 하우징(100)의 만입된 부분에 대한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03)의 폐쇄상태의 유지가 용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쿠션패너과 결합과정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러나, 별도의 클립결합(107)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쿠션패널(400)과 함께 볼팅결합되면서 하우징 커버(103)의 패쇄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틸트 하우징(100)의 생산단가를 낮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하우징 바디(101)의 만입된 부분의 전후 방향 폭은 틸프 파이프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시트에 내장된 모터에 의하여 시트의 상하“‡항의 이동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틸트 파이프(201)의 위치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은 L자형 레버의 회전축과 쿠션패널(400)의 회전축 위치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쿠션패널(400)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틸트 하우징 101 : 하우징 바디
103 : 하우징 커버 105 : 힌지결합
107 : 클립결합 201 : 틸트 파이프
300 : 구속기구 301 : 돌출부
303 : 홈 400 : 쿠션패널

Claims (6)

  1. 쿠션패널의 밑면에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한 쌍의 틸트 하우징;
    한 쌍의 틸트 하우징에 양단이 끼워진 틸트 파이프; 및
    틸트 하우징과 틸트 파이프에 구비되어 쿠션패널의 좌우방향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기구;를 포함하며,
    구속기구는 틸트 파이프와 틸트 하우징이 접촉하는 틸트 하우징의 내주면과 틸트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에 마련되고,
    틸트 하우징의 내주면과 틸트 파이프의 외주면 중 어느 일측에 돌출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홈이 형성되어 돌출부와 홈이 결합됨으로써 쿠션패널의 좌우방향의 유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틸트 하우징은 상면에서 내부로 만입되고 만입된 공간에 틸트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우징 바디; 및
    전단 또는 후단이 하우징 바디의 전단 또는 후단과 힌지결합하여 하우징 바디의 상면의 만입된 개방부를 개폐하는 하우징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하우징 바디 및 하우징 커버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체결홀을 관통하여 쿠션패널과 볼팅결합 됨으로써 하우징 바디 및 하우징 커버를 쿠션패널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커버는 클립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
  6. 청구항 3에 있어서,
    하우징 바디의 만입된 부분의 전후 방향 폭은 틸프 파이프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
KR1020150185874A 2015-12-24 2015-12-24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 KR101746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874A KR101746458B1 (ko) 2015-12-24 2015-12-24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874A KR101746458B1 (ko) 2015-12-24 2015-12-24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458B1 true KR101746458B1 (ko) 2017-06-13

Family

ID=5921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874A KR101746458B1 (ko) 2015-12-24 2015-12-24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45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5232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車体取付構造
US9694716B2 (en) Vehicle seat
US20160250953A1 (en) Power headrest apparatus
US9022328B2 (en) Center armrest supporting structure
US10112506B2 (en) Vehicle seat
EP3444143A1 (en)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JP6040817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593846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1746458B1 (ko) 차량용 높이조절 시트
KR101608069B1 (ko)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KR101593848B1 (ko) 헤드레스트 장치
JP6074506B2 (ja) 乗り物用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526979B1 (ko) 차량용 시트의 쉴드커버
JP2017071338A (ja) 車両用ドアトリム構造
KR101640689B1 (ko)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KR102242419B1 (ko) 차량용 시트 조절장치
KR101426899B1 (ko) 특히 자동차의 내부 피팅 영역에서의 조정 메커니즘
KR101593847B1 (ko) 헤드레스트 장치
JP2015003573A (ja) 乗物用シート
KR101593811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1584868B1 (ko) 차량의 리어시트
JP2015227127A (ja) 電動格納ユニットのギヤ構造
KR101621208B1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US20180236912A1 (en) Seat assembly with integrated head restraint motor
KR102123892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