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321B1 -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 - Google Patents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321B1
KR101746321B1 KR1020157023713A KR20157023713A KR101746321B1 KR 101746321 B1 KR101746321 B1 KR 101746321B1 KR 1020157023713 A KR1020157023713 A KR 1020157023713A KR 20157023713 A KR20157023713 A KR 20157023713A KR 101746321 B1 KR101746321 B1 KR 101746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guide groove
electronic device
device unit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163A (ko
Inventor
히로카즈 노모토
노부히로 와타나베
유스케 구로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3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1Side-by-side or stack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6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PLC] for automation 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 H05K7/1474Mounting of modules, e.g. on a base or rail o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안내 홈(31)은 두 개의 돌기(4)를 측면(311)에 가지고, 슬라이더(32)는 두 개의 돌기(4)가 끼워지는 세 개의 오목 홈(5)을 측벽(324)에 가지며, 슬라이더(32)를 락 위치에 배치했을 때에는, 세 개의 오목 홈(5) 중 안내 홈(31)의 일단측의 두 개에, 두 개의 돌기(4)가 끼워져 슬라이더(32)의 이동이 규제되고, 슬라이더(32)를 언락 위치에 배치했을 때에는, 세 개의 오목 홈(5) 중 안내 홈(31)의 타단측의 두 개에, 두 개의 돌기(4)가 끼워져 슬라이더(32)의 이동이 규제된다.

Description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SIDE-COUPLING-TYPE ELECTRONIC APPARATUS UNIT}
본 발명은 횡(橫)연결하면서 시스템을 구축할 때, 전자기기 유닛끼리를 횡방향으로 연결할 때 연결용 훅(coupling hook)으로 락(lock)·언락(unlock)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DIN(Deutsche Industrie Normen) 규격의 레일에 장착하여,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전자기기 유닛으로서, 뚜껑(lid)이 없는 상자 모양의 케이스와, 슬라이더 기구를 가지는 뚜껑 형상의 락·언락 부품으로 구성된 케이싱(casing)을 가지는 것이 있다.
케이스는 연결면의 외측에 L형상의 연결용 훅을 구비하고, 락·언락 부품은 슬라이더 및 맞물림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전자기기 유닛의 케이스의 연결용 훅을 다른 쪽의 전자기기 유닛의 락·언락 부품의 맞물림 구멍에 삽입한 후, 슬라이더를 락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용 훅과 맞물림 구멍의 사이에 배치한 슬라이더를 빗장으로서 기능시킨다. 또, 슬라이더를 언락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용 훅과 맞물림 구멍의 사이부터 슬라이더가 릴리즈(release)되어, 전자기기 유닛끼리는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슬라이더를 락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슬라이더 측에 암을 마련함과 아울러, 케이스측에 단차(段差) 형상을 만들고 있었다. 슬라이더를 락 위치로 슬라이드시킬 때에, 암의 선단(先端)이 케이스측의 단차를 타고 넘어 우묵한 곳으로 떨어짐으로써, 슬라이더가 락 위치에 고정된다.
또, 특허 문헌 1에는, 락 슬라이더의 클릭 스톱 돌기(click-stop protrusion)와, 전자기기 유닛 본체의 2지점의 클릭 스톱 오목부의 끼워 맞춤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락과 락 해제를 전환하는 측부 연결 방식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용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6-230808호 공보
그렇지만, 슬라이더에 암을 마련하는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선단이 단차를 타고 넘는 정도의 탄성 변형을 수지의 탄성에 의해서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암은 어느 정도의 길이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를 락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큰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케이스측에도 특별한 형상을 만들어 두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슬라이더가 커짐에 따라, 프린트 기판의 부품 실장 스페이스가 좁아져 있었다. 한편, 슬라이더의 고정을 위한 스페이스를 작게 억제하려고 하면, 암의 길이를 확보하지 못하여, 프린트 기판의 부품 실장 스페이스가 좁아지는 것을 막는 목적으로부터도, 내구성(耐久性)이 있는 형상을 만들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추가로, 암에 어느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갖게 함으로써 강도를 확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형상의 자유도가 적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발명은, 락 슬라이더 측에 클릭 스톱 돌기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락 슬라이더가 탄성 변형하도록 하면, 락·언락 부품의 두께를 작게 억제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구성이 높고, 내부의 자유도의 제약이 작은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른 전자기기 유닛과의 연결면에 볼록하게 마련된 연결용 훅과, 다른 전자기기 유닛의 연결용 훅이 삽입되는 맞물림 구멍과, 안내 홈을 가지는 케이싱과, 빗장부를 가지고, 안내 홈에 설치되며, 안내 홈의 일단측에 위치하여, 맞물림 구멍으로의 다른 전자기기 유닛의 연결 훅의 빼고 꽂음(insertion and removal)을 빗장부가 방해하는 락 위치와, 안내 홈의 타단측에 위치하여, 맞물림 구멍으로의 다른 전자기기 유닛의 연결 훅의 빼고 꽂음을 빗장부가 방해하지 않는 언락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한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으로서, 안내 홈은, 두 개의 볼록 형상부를 측면에 가지고, 슬라이더는, 두 개의 볼록 형상부가 끼워지는 세 개의 오목 형상부를 측면에 가지고, 슬라이더를 락 위치에 배치했을 때에는, 세 개의 오목 형상부 중 안내 홈의 일단측의 두 개에, 두 개의 볼록 형상부가 끼워져 슬라이더의 이동이 규제되고, 슬라이더를 언락 위치에 배치했을 때에는, 세 개의 오목 형상부 중 안내 홈의 타단측의 두 개에, 두 개의 볼록 형상부가 끼워져 슬라이더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은, 내부의 자유도의 제약이 작고, 또한 연결 부품의 내구성이 높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의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락·언락 부품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슬라이더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돌출량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여 최대가 된 후에 일정한 비율로 제로까지 감소하는 단면 형상의 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한 락·언락 부품의 변형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한 락·언락 부품의 변형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한 락·언락 부품의 변형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빗장부와 맞물림 구멍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빗장부와 맞물림 구멍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슬라이더를 암으로 락 위치에 고정하는 락·언락 부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슬라이더의 변형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슬라이더의 변형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의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자기기 유닛(1)은 측면이 개방된 상자 모양으로, 다른 전자기기 유닛(1)과의 연결면의 외측에 갈고리 모양의 연결용 훅(21)이 볼록하게 마련된 케이스(2)과, 슬라이더 기구를 가지는 뚜껑 형상의 락·언락 부품(3)으로 구성된 케이싱을 가진다. 연결용 훅(21)은, 다른 전자기기 유닛(1)과의 연결면의 네 모서리의 근방에 네 개 마련되어 있다. 락·언락 부품(3)은 케이스(2)의 개방된 측면을 패쇄함과 아울러, 다른 전자기기 유닛과의 연결 기능을 전자기기 유닛(1)에 부여하는 부품이다. 락·언락 부품(3)은 개략 직사각형 단면의 안내 홈(31)을 구비한 뚜껑 본체(30)를 가지고, 안내 홈(31)에 슬라이더(32)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 홈(31)은 뚜껑 본체(30)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하면의 안내 홈(31)은 도시하지 않음). 슬라이더(32)는 안내 홈(31)과 거의 같은 폭의 개략 막대 모양이며, 안내 홈(31) 중에 배치되는 부분(후술하는 본체부(321))의 단면은, 안내 홈(31)과 거의 같은 폭의 개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 뚜껑 본체(30)에는, 다른 전자기기 유닛(1)의 연결용 훅(21)이 삽입되는 맞물림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구멍(33)은 안내 홈(31)을 따르도록 사이를 두고 두 개가 나란하게 있고, 상하 합하여 4개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락·언락 부품의 부분 확대도로서, 슬라이더(32)를 안내 홈(31)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구조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2에서는, 후술하는 안내 홈(31)의 측면(311)의 한쪽을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슬라이더의 모식도로서, 도 2 중의 화살표 A를 시선(視線) 방향으로 하여 슬라이더(32)의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안내 홈(31)의 측면(311)에는, 볼록 형상부로서의 돌기(4)가 두 개(4c, 4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시를 생략한 쪽의 측면(311)에도 돌기(4)가 두 개(4a, 4b)가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더(32)는 본체부(321), 조작부(322) 및 빗장부(323)를 가진다. 본체부(321)는 슬라이더(32)를 안내 홈(31)에 설치했을 때에 안내 홈(31)의 안으로 들어가는 부분이다. 본체부(321)의 측벽(324)의 한쪽에는, 오목 형상부로서의 오목 홈(5)이 세 개(5a, 5b, 5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3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2, 도 3에서 본체부(321)의 뒤가 되는 쪽의 측벽(324)에도 오목 홈(5)이 세 개(5d, 5e, 5f)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322)는 본체부(321)의 길이 방향 중앙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빗장부(323)는 본체부(321)의 하방으로 두 개가 돌출되어 있다.
오목 홈(5a)과 오목 홈(5b)의 간격, 및 오목 홈(5b)과 오목 홈(5c)의 간격은, 돌기(4a)와 돌기(4b)의 간격과 같게 되어 있다. 오목 홈(5d)과 오목 홈(5e)의 간격, 및 오목 홈(5e)과 오목 홈(5f)의 간격은, 돌기(4c)와 돌기(4d)의 간격과 같게 되어 있다. 조작부(322)는 슬라이더(32)를 안내 홈(31)에 설치했을 때에 안내 홈(31)으로부터 돌출된다. 빗장부(323)끼리의 간격은, 같은 안내 홈(31)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맞물림 구멍(33)의 간격과 같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32)는 중공(中空) 구조로 되어 있고, 본체부(321)의 측벽(324)은 가요성(可撓性)을 가진다. 안내 홈(3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조작부(322)에 안내 홈(3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힘을 가함으로써, 슬라이더(32)는, 본체부(321)가 안내 홈(31) 내에 들어간 채의 상태로 안내 홈(31)을 따라서 이동한다. 슬라이더(32)는 안내 홈(31)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락 위치와 타단측에 위치하는 언락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후술하는 것처럼, 슬라이더(32)가 언락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전자기기 유닛(1)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다른 전자기기 유닛(1)을 연결하거나,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전자기기 유닛(1)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언락 상태)가 된다. 한편, 슬라이더(32)가 락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전자기기 유닛(1)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다른 전자기기 유닛(1)을 연결하거나,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전자기기 유닛(1)을 분리할 수 없는 상태(락 상태)가 된다.
전자기기 유닛(1)은 다른 전자기기 유닛(1)과 조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이며, 하나의 시스템으로 하는 복수의 전자기기 유닛(1)은, 케이싱끼리를 연결하여 다루어진다. 일례를 들면, 전자기기 유닛(1)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및 확장 유닛이다. 락·언락 부품(3)은 전자기기 유닛(1)의 락 상태와 언락 상태를 전환하기 위해서, 슬라이더(32)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전자기기 유닛(1)을 조합한 시스템은, 고장난 전자기기 유닛(1)의 교환이나 시스템의 재구축 등에 따라서, 전자기기 유닛(1)끼리의 분리·연결이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 유닛(1)의 락 상태와 언락 상태를 전환하는 슬라이더(32)에는 내구성이 요구된다. 또, 전자기기 유닛(1)을 소형화함에 있어서는, 락 상태와 언락 상태를 전환하는 슬라이더(32)의 폭을 작게 하여, 락·언락 부품(3)을 박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기 유닛(1)의 슬라이더(32)는, 후단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내구성이 높고, 또한 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돌기(4)의 단면 형상이 반원형인 경우를 예로 하지만, 돌기(4)는 폭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서 돌출량이 제로에서부터 연속적으로 증가하여 최대가 된 후에, 폭방향의 타단을 향해서 돌출량이 연속하여 제로까지 감소하는 형상이면 좋다. 도 4는 돌출량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여 최대가 된 후에 일정한 비율로 제로까지 감소하는 단면 형상의 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돌기(4)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이 되어 있다. 돌출량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여 최대가 된 후에 일정한 비율로 제로까지 감소하는 단면 형상으로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 예로 하는 반원 형상이나 도 4에 도시하는 것 같은 삼각형 형상 외에, 반타원 형상이나 포물선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도 5a~도 5c는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한 락·언락 부품의 변형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슬라이더(32)가 언락 위치에 있는 상태, 도 5b는 슬라이더(32)가 락 위치와 언락 위치의 중간에 있는 상태, 도 5c는 슬라이더(32)가 락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5a~도 5c에서는, 뚜껑 본체(30) 및 슬라이더(32)의 변형의 방법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뚜껑 본체(30) 및 슬라이더(32)의 단면을 나타내어 안내 홈(31)의 측면(311)이나 본체부(321)의 측벽(324)을 가시화하고 있다. 도 6a, 도 6b는, 빗장부와 맞물림 구멍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슬라이더(32)가 락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슬라이더(32)가 언락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언락 위치에 있는 슬라이더(32)를 안내 홈(31)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돌기(4a, 4b)가 오목 홈(5a, 5b)을 타고 넘어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맞닿음과 아울러, 돌기(4c, 4d)가 오목 홈(5d, 5e)을 타고 넘어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맞닿고, 뚜껑 본체(30)는 안내 홈(31)이 넓어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슬라이더(32)는 본체부(321)의 폭이 좁아지도록 탄성 변형된다(도 5a→도 5b). 즉, 슬라이더(32)가 락 위치와 언락 위치의 사이에 위치할 때에,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 양쪽의 측벽(324) 및 안내 홈(31)의 양쪽의 측면(311)이 전체적으로 휜다. 슬라이더(32)가 락 위치에 이르면, 돌기(4a, 4b)는 오목 홈(5b, 5c)에 끼워지고, 돌기(4c, 4d)는 오목 홈(5e, 5f)에 끼워짐으로써, 뚜껑 본체(30) 및 슬라이더(32)의 탄성 변형이 해소된다(도 5b→도 5c). 이때, 돌기(4a, 4b)와 오목 홈(5b, 5c)의 맞물림 및 돌기(4c, 4d)와 오목 홈(5e, 5f)의 맞물림에 의해 슬라이더(32)의 이동은 규제되어, 슬라이더(32)는 락 위치에 유지된다. 즉, 슬라이더(32)를 락 위치에 배치했을 때에는, 오목 홈(5a, 5b, 5c) 중 안내 홈(31)의 일단측의 두 개인 오목 홈(5b, 5c)에, 돌기(4a, 4b)가 끼워지고, 오목 홈(5d, 5e, 5f) 중 안내 홈(31)의 일단측의 두 개인 오목 홈(5e, 5f)에, 돌기(4c, 4d)가 끼워져 슬라이더(32)의 이동이 규제된다.
도 6a에 도시되는 것처럼, 슬라이더(32)가 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빗장부(323)는 맞물림 구멍(33)의 정면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맞물림 구멍(33)에 연결용 훅(21)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빗장부(323)는 맞물림 구멍(33)과 연결용 훅(21)의 사이에 들어가, 연결용 훅(21)이 맞물림 구멍(33)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저지한다. 즉, 슬라이더(32)가 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빗장부(323)는 맞물림 구멍(33)으로의 연결용 훅(21)의 빼고 꽂음을 방해한다.
락 위치에 있는 슬라이더(32)를 안내 홈(31)을 따라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돌기(4a, 4b)가 오목 홈(5b, 5c)을 타고 넘어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맞닿음과 아울러, 돌기(4c, 4d)가 오목 홈(5e, 5f)을 타고 넘어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맞닿고, 뚜껑 본체(30)는 안내 홈(31)이 넓어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슬라이더(32)는 본체부(321)의 폭이 좁아지도록 탄성 변형된다(도 5c→도 5b). 즉, 슬라이더(32)가 락 위치와 언락 위치의 사이에 위치할 때에,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 양쪽의 측벽(324) 및 안내 홈(31)의 양쪽의 측면(311)이 전체적으로 휜다. 슬라이더(32)가 언락 위치에 이르면, 돌기(4a, 4b)는 오목 홈(5a, 5b)에 끼워지고, 돌기(4c, 4d)는 오목 홈(5d, 5e)에 끼워짐으로써, 뚜껑 본체(30) 및 슬라이더(32)의 탄성 변형이 해소된다(도 5b→도 5a). 이때, 돌기(4a, 4b)와 오목 홈(5a, 5b)의 맞물림 및 돌기(4c, 4d)와 오목 홈(5d, 5e)의 맞물림에 의해 슬라이더(32)의 이동은 규제되어, 슬라이더(32)는 언락 위치에 유지된다. 즉, 슬라이더(32)를 언락 위치에 배치했을 때에는, 오목 홈(5a, 5b, 5c) 중 안내 홈(31)의 타단측의 두 개인 오목 홈(5a, 5b)에, 돌기(4a, 4b)가 끼워지고, 오목 홈(5d, 5e, 5f) 중 안내 홈(31)의 타단측의 두 개인 오목 홈(5d, 5e)에, 돌기(4c, 4d)가 끼워져 슬라이더(32)의 이동이 규제된다.
도 6b에 도시되는 것처럼, 슬라이더(32)가 언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빗장부(323)는 맞물림 구멍(33)의 정면에 위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연결용 훅(21)을 맞물림 구멍(33)에 빼고 꽂는 것이 가능하다. 즉, 슬라이더(32)가 언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빗장부(323)는 맞물림 구멍(33)으로의 연결용 훅(21)의 빼고 꽂음을 방해하지 않는다.
비교를 위해서 슬라이더를 암으로 락 위치에 고정하는 락·언락 부품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슬라이더를 암으로 락 위치에 고정하는 락·언락 부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락·언락 부품(36)은 뚜껑 본체(37) 및 슬라이더(34)를 가진다. 슬라이더(34)는 뚜껑 본체(37)에 형성된 안내 홈(35) 중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34)에는 암(9)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34)의 이동에 따라서, 암(9)도 이동하지만, 암(9)의 가동 영역(movable range)(38)은 전자 부품 등을 배치할 수 없는 부품 실장 금지 영역으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케이스 내부에 데드 스페이스가 생긴다. 암(9)은 캔틸레버(cantilever) 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암(9)을 휘게 하는 힘에 의해서 생기는 응력(應力)은 근원 부분에서 가장 커진다. 따라서 암(9)에 스프링 성질을 갖게 하면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암(9)은 어느 정도의 길이 및 두께가 필요하다. 암(9)을 길고, 두껍게 함으로써, 암(9)의 가동 영역(38)은 보다 커져, 부품 실장 금지 영역이 넓어져 버린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락·언락 부품은, 락 위치와 언락 위치의 사이에 슬라이더(32)가 위치하는 경우, 슬라이더(32)는 본체부(321)의 측벽(324)이 전체적으로 휜다. 즉,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이 전체적으로 스프링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탄성 변형할 때에 생기는 힘을 분산하여 받을 수 있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와 뚜껑 본체(30)의 쌍방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돌기(4)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안내 홈(31)의 각 측면(311)에는, 돌기(4)가 두 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4)의 한쪽이 마모하더라도, 다른 쪽이 남아있으면, 락 위치나 언락 위치에서의 슬라이더(32)의 고정은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추가로, 돌기(4)가 하나만인 경우와 비교하여 접촉 면적이 큼으로써, 돌기(4)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슬라이더(32)의 양측에서 돌기(4)와 오목 홈(5)이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이들이 한쪽측에만 마련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락 위치나 언락 위치에서 슬라이더(32)를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돌기(4)나 오목 홈(5)을, 안내 홈(31)이나 슬라이더(32)의 한쪽의 측면에만 마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슬라이더(32)에는 암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암의 가동 영역에 부품 실장 금지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케이스(2)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케이스(2)의 연결면 외측에는, 암과 맞물림시키기 위한 단차 형상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간소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돌기가 아니라 오목 홈(5)을 마련하는 쪽이 바람직한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슬라이더의 변형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b는 도 8a에 나타내는 슬라이더와 비교하여 폭의 좁은 슬라이더의 변형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8a, 도 8b에서는, 점선이 슬라이더(32)의 변형 전의 형상을 나타내고, 실선이 슬라이더(32)의 변형 후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전후(前後)의 벽(325)이 길면, 본체부(321)의 전후의 벽(325)도 슬라이더(32)의 탄성 변형에 대한 기여가 커지는데 비해, 전후의 벽(325)이 짧으면, 본체부(321)의 전후의 벽(325)은 슬라이더(32)의 탄성 변형에 대한 기여가 작아져,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을 탄성 변형시키기 어려워진다.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돌기를 마련하는 경우, 슬라이더(32) 전체로서의 폭을,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오목 홈을 마련하는 경우와 같게 하기 위해서는, 돌기의 높이 만큼 전후의 벽(325)을 짧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돌기를 마련하면, 본체부(321)의 측벽(324)의 강성이 높아진다. 이들 이유에 의해,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돌기를 마련하면,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은 탄성 변형시키기 어려워진다.
장치의 소형화의 관점으로부터는, 슬라이더(32)나 안내 홈(31)의 폭을 작게 하고, 락·언락 부품(3)을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돌기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전후의 벽(325)의 길이를 안내 홈(31)의 폭 보다도 돌기의 높이 만큼 짧게 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전후의 벽(325)을 슬라이더(32)의 탄성 변형에 기여시키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측벽(324) 자체도 강성이 높아져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돌기를 마련하면, 본체부(321)의 측벽(324)의 변형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슬라이더(32)의 폭을 작게 하는 것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도 2 등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오목 홈(5)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전후의 벽(325)을 안내 홈(31)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안내 홈(31)의 폭이 같다면,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돌기를 마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후의 벽(325)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오목 홈(5)을 마련함으로써,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전후의 벽(325)은, 슬라이더(32)의 탄성 변형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환언하면, 본체부(321)의 측벽(324)의 변형량을 같은 양만큼 확보한다면,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오목 홈(5)을 마련함으로써,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돌기를 마련하는 경우보다도 슬라이더(32)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안내 홈(31)의 폭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에 돌기가 아니라 오목 홈(5)을 마련함으로써 락·언락 부품(3)을 박형화하기 쉬워진다.
또한, 안내 홈(31)을, 저면의 중심을 통과하고 측면과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대칭 형상으로 하고, 또한 슬라이더(32)를, 본체부(321)의 중심을 통과하고 측벽(324)과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대칭 형상으로 함으로써, 슬라이더(32)를 안내 홈(31)에 설치할 때에, 슬라이더(32)의 방향을 특정 방향에 맞출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5a의 예에 설명을 보충하면, 안내 홈(31)을, 안내 홈(31)의 저면의 중심(315)을 통과하고 측면(311)과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대칭 형상으로 하고, 슬라이더(32)를, 본체부(321)의 중심(326)을 통과하고 측벽(324)과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대칭 형상으로 함으로써, 돌기(4a, 4b)와 오목 홈(5d, 5e, 5f)이 대향하고, 돌기(4c, 4d)와 오목 홈(5a, 5b, 5c)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더(32)를 안내 홈(31)에 배치했다고 해도, 슬라이더(32)를 락 위치·언락 위치에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슬라이더(32)의 방향을 의식하여 조립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 조립성이 향상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의 측벽(324)을 전체적으로 스프링으로서 기능시키고, 측벽(324)이 탄성 변형할 때에 생기는 힘을 분산하여 받음으로써, 슬라이더(32)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슬라이더(32)의 본체부(321)와 뚜껑 본체(30)의 쌍방을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돌기(4)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을 구축할 때, 전자기기 유닛끼리를 횡방향으로 락·언락하는 기구로 사용하는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슬라이더(32)에는 암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암의 가동 영역에 부품 실장 금지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전자기기 유닛(1) 내부의 자유도의 제약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더(32)측의 오목 홈(5)이 세 개, 안내 홈(31)측의 돌기(4)가 두 개인 경우를 예로 했지만, 오목 홈(5)의 수가 돌기(4)보다도 많다고 하는 수량 관계를 만족하도록, 오목 홈(5)이나 돌기(4)를 추가로 증가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오목 홈(5)의 수를 여섯 개, 돌기(4)의 수를 네 개로 하여, 오목 홈(5)의 수를 돌기(4)의 수보다도 두 개 많게 함으로써, 여섯 개의 오목 홈(5) 중 중앙의 두 개가, 슬라이더(32)가 락 위치에 있는 경우와 언락 위치에 있는 경우 중 어느 경우에도 돌기(4)와 끼워 맞춰지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오목 홈(5) 및 돌기(4)의 각각의 수를 상기의 예의 정수배로 해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세 개의 오목 홈(5) 중 일부(한가운데 하나)에는, 슬라이더(32)가 락 위치 및 언락 위치 중 어디에 있는 경우에도 돌기(4)가 끼워 맞춰지지만, 오목 홈(5)의 수를 돌기(4)의 2배로 하여, 슬라이더(32)가 락 위치에 있는 경우에 돌기(4)와 끼워 맞춰지는 오목 홈(5)과, 언락 위치에 있는 경우에 돌기(4)과 끼워 맞춰지는 오목 홈(5)을 다르게 해도 좋다. 다만, 오목 홈(5)의 수가 돌기(4)의 수보다도 2 이상 많으면, 락 위치와 언락 위치의 중간의 위치에서도 오목 홈(5)과 돌기(4)의 끼워 맞춤에 의해서 슬라이더(32)의 이동이 규제되어 버린다. 오목 홈(5)의 수가 돌기(4)보다도 하나 많다고 하는 수량 관계를 만족하도록 하면, 락 위치와 언락 위치의 중간의 위치에서 슬라이더(32)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은, 내부의 자유도의 제약이 작다는 점에서 유용하고, 특히 다단(多段) 연결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적합하다.
1: 전자기기 유닛, 2: 케이스,
3, 36: 락·언락 부품, 4, 4a, 4b, 4c, 4d: 돌기,
5, 5a, 5b, 5c, 5d, 5e, 5f: 오목 홈, 9: 암,
21: 연결용 훅, 30, 37: 뚜껑 본체,
31, 35: 안내 홈, 32, 34: 슬라이더,
33: 맞물림 구멍, 38: 가동 영역,
311: 측면, 315: 안내 홈의 저면의 중심,
321: 본체부, 322: 조작부,
323: 빗장부, 324: 측벽,
325: 전후의 벽, 326: 본체부의 중심.

Claims (5)

  1. 다른 전자기기 유닛과의 연결면에 볼록하게 마련된 연결용 훅과, 상기 다른 전자기기 유닛의 연결용 훅이 삽입되는 맞물림 구멍과, 안내 홈을 가지는 케이싱(casing)과,
    빗장부를 가지고, 상기 안내 홈에 설치되며, 상기 안내 홈의 일단측에 위치하여, 상기 맞물림 구멍으로의 상기 다른 전자기기 유닛의 연결용 훅의 빼고 꽂음을 상기 빗장부가 방해하는 락 위치와, 상기 안내 홈의 타단측에 위치하여, 상기 맞물림 구멍으로의 상기 다른 전자기기 유닛의 연결용 훅의 빼고 꽂음을 상기 빗장부가 방해하지 않는 언락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한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으로서,
    상기 안내 홈은 두 개의 볼록 형상부를 측면에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두 개의 볼록 형상부가 끼워지는 세 개의 오목 형상부를 측면에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락 위치에 배치했을 때에는, 상기 세 개의 오목 형상부 중 상기 안내 홈의 일단측의 두 개에, 상기 두 개의 볼록 형상부가 끼워져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이 규제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언락 위치에 배치했을 때에는, 상기 세 개의 오목 형상부 중 상기 안내 홈의 타단측의 두 개에, 상기 두 개의 볼록 형상부가 끼워져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이 규제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락 위치와 상기 언락 위치의 사이에 위치할 때에, 상기 슬라이더의 폭이 좁아지도록 탄성 변형 및 상기 안내 홈의 폭이 넓어지도록 탄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볼록 형상부가, 상기 안내 홈의 양쪽의 측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세 개의 오목 형상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양쪽의 측면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록 형상부는, 폭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서 돌출량이 제로에서부터 연속적으로 증가하여 최대가 된 후에, 폭방향의 타단을 향해서 돌출량이 연속하여 제로까지 감소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개방면을 가지는 상자 모양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방면을 덮는 뚜껑 형상의 락·언락 부품을 가지고,
    상기 락·언락 부품은, 상기 맞물림 구멍 및 상기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연결용 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
KR1020157023713A 2013-03-07 2013-03-07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 KR101746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6306 WO2014136238A1 (ja) 2013-03-07 2013-03-07 側部連結方式の電子機器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163A KR20150113163A (ko) 2015-10-07
KR101746321B1 true KR101746321B1 (ko) 2017-06-12

Family

ID=5149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713A KR101746321B1 (ko) 2013-03-07 2013-03-07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08321B2 (ko)
JP (1) JP5832696B2 (ko)
KR (1) KR101746321B1 (ko)
CN (1) CN105027693B (ko)
DE (1) DE112013006704B4 (ko)
WO (1) WO2014136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139B1 (ko) * 2015-09-30 2018-07-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스토퍼 장치 및 유닛
WO2018208943A1 (en) * 2017-05-09 2018-11-15 Cubic Corporation Environmentally sealed swiping spring pin connector
CN207783354U (zh) * 2018-01-16 2018-08-28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可编程控制器的扩充模块
JP7322512B2 (ja) * 2019-05-28 2023-08-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のスライドカバー構造及び電子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211B2 (ja) * 1992-03-05 2000-04-24 凸版印刷株式会社 抽選券
JP2003125052A (ja) 2001-10-15 2003-04-25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スライド機構
JP2003298251A (ja) 2002-03-29 2003-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積層形ユニットの筐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8143U (ko) * 1981-06-11 1982-12-16
US5194693A (en) * 1991-10-21 1993-03-16 Pitney Bowes Inc. Machien module connecting mechanism
US5913926A (en) * 1992-08-20 1999-06-22 Farrington Investments Ltd. Expandable modular data storage system having parity storage capability
JPH06230808A (ja) * 1993-02-03 1994-08-19 Omron Corp 側部連結方式の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用ユニット
US5841639A (en) * 1995-10-26 1998-11-24 The Whitaker Corporation Expansion module for a communcations network
US5701232A (en) * 1996-08-29 1997-12-23 Apple Computer, Inc. Sliding protection door for covering one or both of a pair of mutually exclusive electrical connectors
US5864467A (en) * 1997-02-12 1999-01-26 Paradyne Corporation Cascadable modem apparatus
JPH11168284A (ja) * 1997-09-30 1999-06-22 Idec Izumi Corp 電子機器の筐体連結機構
JP3820813B2 (ja) * 1999-08-23 2006-09-13 オムロン株式会社 連結構造
JP2003329016A (ja) 2002-05-13 2003-11-19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連結機構
US6926375B2 (en) * 2002-05-24 2005-08-09 Toshiba Transport Engineering Inc. Unit connecting mechanism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070140234A1 (en) * 2005-12-15 2007-06-21 Shih-Ming Hwang Signal transmission housing assembly
TWI299974B (en) * 2006-03-01 2008-08-11 Asustek Comp Inc Electronic device with a sliding element
TW200847891A (en) 2007-05-25 2008-12-01 Mitac Technology Corp Movable engaging door structure
CN101677039A (zh) * 2008-09-19 2010-03-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开关装置
US8514577B2 (en) * 2011-02-15 2013-08-20 Vivotek Inc. Video server set
TWI502311B (zh) * 2012-01-06 2015-10-01 Wistron Corp 可攜式電子裝置之擴充裝置
JP6112066B2 (ja) * 2014-05-27 2017-04-12 横河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式電子機器連結用収納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211B2 (ja) * 1992-03-05 2000-04-24 凸版印刷株式会社 抽選券
JP2003125052A (ja) 2001-10-15 2003-04-25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スライド機構
JP2003298251A (ja) 2002-03-29 2003-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積層形ユニットの筐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163A (ko) 2015-10-07
CN105027693A (zh) 2015-11-04
JP5832696B2 (ja) 2015-12-16
WO2014136238A1 (ja) 2014-09-12
DE112013006704B4 (de) 2019-02-07
DE112013006704T5 (de) 2015-12-03
US20160029505A1 (en) 2016-01-28
CN105027693B (zh) 2016-10-26
US9408321B2 (en) 2016-08-02
JPWO2014136238A1 (ja)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321B1 (ko) 측부 연결 방식의 전자기기 유닛
TWI595707B (zh) 連接器
US7878357B2 (en) Case
JP2008192422A (ja) 電気コネクタ
US9831647B2 (en) Receiving section and electrical junction box with same
WO2013073228A1 (ja) コネクタ
CN111386634A (zh) 可锁定和解锁的插接连接器
JP6377467B2 (ja) 電気コネクタ
JP4420014B2 (ja) 自動車搭載用の電気接続箱
US10333287B2 (en) Clearance filling structure of accommodation box,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US20150108287A1 (en) Wire holder mount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KR101899841B1 (ko) 커넥터 조립체
JP5482220B2 (ja) 電気接続箱における嵌合部材のロック構造
JP4034801B2 (ja) 電気コネクタ
US20200212629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456720B2 (ja) ロック機構付き蓋
JP6084107B2 (ja) コネクタ
JP2013045608A (ja) コネクタ取付構造
JP2799446B2 (ja) コネクタ
US9471100B2 (en) Electronic device
EP3037304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vehicle
JP4220937B2 (ja) コネクタ
JP5607687B2 (ja) コネクタ固定構造、およびコネクタ固定方法
JP2004152621A (ja) コネクタ
JP2017079859A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