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070B1 - 진동 발전을 행하는 파동 기어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발전을 행하는 파동 기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6070B1 KR101746070B1 KR1020147008518A KR20147008518A KR101746070B1 KR 101746070 B1 KR101746070 B1 KR 101746070B1 KR 1020147008518 A KR1020147008518 A KR 1020147008518A KR 20147008518 A KR20147008518 A KR 20147008518A KR 101746070 B1 KR101746070 B1 KR 1017460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exible
- gear
- ring
- cylindrical portion
- wave gener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9/00—Other gearings
- F16H49/001—Wave gearings, e.g. harmonic drive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파동 기어 장치(1)는, 강성 내치 기어(2)와, 그 내측에 동축상(同軸狀)으로 배치된 반경방향으로 휨 가능한 가요성(可撓性) 외치 기어(3)와, 그 내측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파동 발생기(4)를 가지고 있다. 파동 발생기(4)에 의해, 가요성 외치 기어(3)는 반경방향으로 휘어져서 강성(剛性) 내치 기어(2)에 대해 부분적으로 서로 맞물려 있으며, 파동 발생기(4)의 회전에 수반하여 강성 내치 기어(2)와 가요성 외치 기어(3)의 맞물림 위치가 원주(圓周)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양 기어(2, 3)의 사이에는, 상기 양 기어(2, 3)의 톱니 수(齒數)의 차(差)에 따른 상대 회전이 발생한다. 가요성 외치 기어(3)에는 진동 발전부(5)가 배치되어 있다. 진동 발전부(5)는, 파동 발생기(4)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복적으로 휘어지는 가요성 외치 기어(3)의 원통부(31)의 휨 동작에 의해 변위하여 발전을 행하는 압전 소자(7)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속 동작을 위해 반복적으로 휘어지는 가요성 외치(外齒) 기어의 휨 동작을 이용하여 진동 발전(發電)을 행하는 파동 기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동 기어 장치는, 둥근 고리(圓環) 형상의 강성 내치 기어와, 그 내측에 동축상(同軸狀)으로 배치된 가요성 외치 기어와, 그 내측에 끼워진 파동 발생기를 가지고 있다. 가요성 외치 기어에는, 플랫(flat)형, 컵(cup)형 및 실크 해트(silk hat)형으로 불리는 것이 있다. 플랫형의 가요성 외치 기어는, 가요성의 원통부에 있어서의 원형 외주면에 외치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컵형 및 실크 해트형의 가요성 외치 기어는, 가요성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반(圓盤) 형상의 다이어프램과, 원통부의 전단(前端) 개구측의 외주면 부분에 형성된 외치를 구비하고 있다. 가요성 외치 기어의 원통부의 전단 개구측의 부분은 파동 발생기에 의해 비(非) 원 형상, 일반적으로는 타원 형상으로 휘어지며, 상기 타원 형상 곡선의 장축(長軸)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외치가 강성 내치 기어의 내치(內齒)에 서로 맞물려 있다.
컵 형상의 가요성 외치 기어에서는, 원통부로부터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다이어프램이 연장되어 있으며, 다이어프램의 내주연(內周緣)에 보스(boss)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실크 해트 형상의 가요성 외치 기어에서는, 원통부로부터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다이어프램이 확대되어 있으며, 다이어프램의 외주연(外周緣)에 둥근 고리 형상의 보스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어떤 형상의 가요성 외치 기어에 있어서도, 외치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부가 파동 발생기에 의해 반복적으로 반경방향으로 휘어진다. 또한, 컵 형상 혹은 실크 해트 형상의 가요성 외치 기어에서는, 그 원통부에 있어서의 외치가 형성되어 있는 전단 개구측의 부분이 파동 발생기에 의해 타원 형상으로 휘어진다. 이 때문에, 가요성 외치 기어의 원통부는, 타원 형상으로 휘어진 상태에 있어서 그 타원 형상 곡선의 장축을 포함하는 단면(斷面)으로 절단한 경우에, 외치의 잇줄(齒筋, tooth trace)방향을 따라, 다이어프램의 측의 단부로부터 전단 개구를 향해 휨량이 점차 증가되어 있다. 타원 형상 곡선의 단축(短軸)을 포함하는 단면으로 절단한 경우에는, 반대로, 다이어프램 측의 단부로부터 전단 개구를 향해 휨량이 점차 감소되어 있다. 따라서, 파동 발생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가요성 외치 기어의 각 부분에는, 다이어프램 측의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전단 개구 측이 반복적으로 반경방향의 외측 및 내측으로 휘어지는 코닝(coning)이라 불리는 휨 동작이 발생한다.
가요성 외치 기어를 타원 형상으로 휘게 하기 위한 파동 발생기로서는, 일반적으로, 타원 형상의 윤곽을 한 강체(剛體)로 이루어진 캠 판을, 볼 베어링을 통해 가요성 외치 기어의 원통부의 전단 개구 측으로 끼워 넣은 구조의 것이 이용되고 있다. 볼 베어링은, 그 외륜 및 내륜이 반경방향으로 휠 수 있으며, 웨이브 베어링이라 불리고 있다. 타원 형상의 윤곽을 가지는 캠 판을 이용하는 대신에,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가요성 외치 기어를 타원 형상으로 휘게 하도록 구성된 파동 발생기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형식의 파동 발생기를 구비한 파동 기어 장치는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파동 기어 장치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감속 동작을 행하는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도 알려져 있으며,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에 있어서도, 그 가요성 링은 파동 발생기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휘어지며, 파동 발생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가요성 링의 각부(各部)는 반복적으로 반경방향으로 휘어진다.
이와 같이, 파동 기어 장치의 가요성 외치 기어 및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의 가요성 링은, 파동 발생기에 의해 각 부분이 반복적으로 반경방향으로 휘어진다. 본 발명은, 가요성 외치 기어, 가요성 링의 휨 동작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과제는, 가요성 외치 기어, 가요성 링의 휨 동작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할 수 있는 파동 기어 장치 및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를 제안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둥근 고리 형상의 강성 내치 기어와, 상기 강성 내치 기어의 내측에 동축(同軸) 상으로 배치된 반경방향으로 휨 가능한 가요성 외치 기어와,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의 내측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파동 발생기를 가지며, 상기 파동 발생기에 의해,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는 반경방향으로 휘어져서 상기 강성 내치 기어에 대해 부분적으로 서로 맞물려 있어, 상기 파동 발생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강성 내치 기어와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의 맞물림 위치가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러한 양 기어의 사이에는, 상기 양 기어의 톱니 수(齒數)의 차에 따른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파동 기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에는 진동 발전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진동 발전부는, 상기 파동 발생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복적으로 휘어지는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의 휨 동작에 의해 발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진동 발전부로서는, 압전 효과를 이용한 압전 소자, 정전 용량 변화를 이용한 소자, 또는, 전자 유도를 이용한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어느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파동 발생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복적으로 휘어지는 가요성 외치 기어의 휨 동작에 의해, 소자에 휨 변화, 정전 용량 변화 혹은 자력 변화가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발전이 행해진다.
또한, 가요성 외치 기어가 플랫 형상인 경우에는, 예컨대, 그 원통부에 있어서의 외치가 형성된 부분의 일방의 단부 혹은 양단을 축선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연장시킨 부분에 압전 소자 등의 발전용 소자를 부착시켜서, 원통부의 휨 동작에 수반하여 반복적으로 변형(歪, strain) 등이 변동되도록 하면 된다. 컵 형상 및 실크 해트 형상의 가요성 외치 기어의 경우에는, 압전 소자 등의 발전용 소자를, 가요성 외치 기어에 있어서의 원통부 및 다이어프램 중 적어도 일방의 부위에 부착시켜 두면 된다. 압전 소자를 이용할 경우에는, 작업성 등을 고려했을 때, 가요성 외치 기어의 원통부의 외주면에 부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전량을 많게 하기 위해서는, 발전용 소자를, 원통부의 한 군데가 아니라, 상기 원통부의 전체에 부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전용 소자로부터는 배선이 인출(引出)되므로, 발전용 소자를 부착시킨 가요성 외치 기어를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강성 내치 기어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상기 강성 내치 기어로부터 감속 회전 출력을 취출(取出)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파동 기어 장치의 사용 형태로서, 파동 발생기가 일정한 연속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되는 시간이 짧으며, 안정적인 발전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또한, 가요성 외치 기어의 휨 동작에 있어서의 휨 변동의 주파수가 낮으며, 발전용 소자에 의한 발전 효율이 낮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진동 발전부에 의한 발전 전력을 축전(蓄電)하는 축전부를 배치하여, 전력을 축전함으로써, 상기 축전부로부터 안정된 전력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원형 내주면이 마찰 걸림결합면으로 되어 있는 강성 링과, 상기 강성 링의 내측에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원형 외주면이 마찰 걸림결합면으로 되어 있는 가요성 링과, 상기 가요성 링의 내측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파동 발생기를 가지며, 상기 파동 발생기에 의해, 상기 가요성 링은 반경방향으로 휘어져서 상기 강성 링에 부분적으로 마찰 걸림결합되어 있고, 상기 파동 발생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양(兩) 링의 마찰 걸림결합 위치가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면, 양 링의 사이에, 양 링의 상기 마찰 걸림결합면의 둘레 길이의 차(差)에 따른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링에는 진동 발전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진동 발전부는, 상기 파동 발생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복적으로 휘어지는 상기 가요성 링의 휨 동작에 의해 발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진동 발전부로서는, 압전 효과를 이용한 압전 소자, 정전 용량 변화를 이용한 소자, 또는, 전자 유도를 이용한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어느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파동 발생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복적으로 휘어지는 가요성 링의 휨 동작에 의해 소자의 변형, 정전 용량, 자력(磁力)이 반복적으로 변동하여 발전이 행해진다.
또한, 가요성 링이 플랫형인 경우에는, 예컨대, 그 원통부에 있어서의 마찰 걸림결합면이 형성된 부분의 일방의 단부 혹은 양단을 축선방향으로 연장시키고, 연장시킨 부분에 압전 소자 등의 발전용 소자를 부착시켜, 원통부의 휨 동작에 수반하여 반복적으로 변형 등이 변동되도록 하면 된다. 컵형 및 실크 해트형의 가요성 링인 경우에는, 압전 소자 등의 발전용 소자를, 가요성 링에 있어서의 원통부 및 다이어프램 중 적어도 일방의 부위에 부착시켜 두면 된다. 압전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작업성 등을 고려할 때, 가요성 링에 있어서의 마찰 걸림결합면 이외의 원통부의 외주면 부분에 붙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전량을 많게 하기 위해서는, 발전용 소자를, 원통부의 한 군데가 아니라, 상기 원통부 전체에 부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전용 소자로부터는 배선이 인출되므로, 발전용 소자를 부착시킨 가요성 링을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강성 링을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상기 강성 링으로부터 감속 회전 출력을 취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동 장치의 사용 방법으로서, 파동 발생기가 일정한 연속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되는 시간이 짧으며, 안정적인 발전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또한, 가요성 링의 휨 동작에 있어서의 휨의 주파수가 낮으며, 발전용 소자에 의한 발전 효율이 낮은 경우가 있다. 진동 발전부에 의한 발전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부를 배치하여, 전력을 축전함으로써, 상기 축전부로부터 안정된 전력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동 기어 장치에서는, 그 가요성 외치 기어의 원통부의 휨 동작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압전 소자 등의 발전용 소자를 구비한 진동 발전부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 발전 기능을 구비한 파동 기어 장치를 저렴한 가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 발전 기능을 구비한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를 저렴한 가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컵 타입의 파동 기어 장치의 구성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동 기어 장치의 가요성 외치 기어의 휨 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로서, (a)는 변형 전의 가요성 외치 기어의 종단면(縱斷面)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타원 형상으로 변형된 가요성 외치 기어의 장축을 포함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종단면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c)는 타원 형상으로 변형된 가요성 외치 기어의 단축을 포함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종단면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d)는 압전 소자의 부착 위치에 있어서의 가요성 외치 기어의 휨 상태를 과장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컵 형상의 가요성 외치 기어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의 부착 위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크 해트형의 파동 기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플랫형의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동 기어 장치의 가요성 외치 기어의 휨 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로서, (a)는 변형 전의 가요성 외치 기어의 종단면(縱斷面)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타원 형상으로 변형된 가요성 외치 기어의 장축을 포함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종단면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c)는 타원 형상으로 변형된 가요성 외치 기어의 단축을 포함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종단면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d)는 압전 소자의 부착 위치에 있어서의 가요성 외치 기어의 휨 상태를 과장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컵 형상의 가요성 외치 기어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의 부착 위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크 해트형의 파동 기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플랫형의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및 정면도이다.
(실시형태 1)
도 1(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컵 타입의 파동 기어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b)는 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동 기어 장치(1)는, 둥근 고리 형상의 강성 내치 기어(2)와, 그 내측에 배치된 가요성 외치 기어(3)와, 그 내측에 끼워져 들어간 타원 형상의 윤곽을 가지는 파동 발생기(4)를 가지고 있다. 강성 내치 기어(2)와 가요성 외치 기어(3)는 모두 모듈 m인 평기어이다. 또한, 양 기어의 톱니 수의 차는 2n(n은 양의 정수), 본 예에서는 2매(n=1)이며, 강성 내치 기어(2) 쪽이 많다. 가요성 외치 기어(3)는 타원 형상의 윤곽을 가지는 파동 발생기(4)에 의해 타원 형상으로 휘어지며, 그 외치(34)가 타원 형상의 장축(L1)방향의 양단 부분에 있어서 강성 내치 기어(2)의 내치(24)에 서로 맞물려 있다.
파동 발생기(4)를 회전시키면, 양 기어(2, 3)의 맞물림 위치가 둘레방향으로 이동하여, 양 기어의 톱니 수의 차에 따른 상대 회전이 양 기어(2, 3) 사이에 발생한다. 본 예에서는, 파동 발생기(4)가 모터(미도시)에 연결고정되고, 가요성 외치 기어(3)가 고정측 부재(미도시)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강성 내치 기어(2)가 부하측 부재(미도시)에 고정되어 있다. 파동 발생기(4)로부터 입력되는 고속 입력 회전이, 강성 내치 기어(2)로부터 감속 회전 출력으로서 취출되어, 부하측 부재(미도시)에 전달된다.
가요성 외치 기어(3)는 컵 형상이며, 가요성의 원통부(31)와, 그 후단(31b)에 연속하여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확대되는 원반 형상의 다이어프램(32)과, 다이어프램(32)의 내주연에 연속되어 있는 둥근 고리 형상의 보스(33)와, 원통부(31)의 전단 개구(31a)측의 외주면 부분에 형성된 외치(34)를 구비하고 있다. 타원 형상의 윤곽을 가지는 파동 발생기(4)는, 가요성 외치 기어(3)의 원통부(31)에 있어서의 전단 개구(31a)측의 외치 형성 부분의 내측에 끼워져 들어가 있다. 파동 발생기(4)에 의해 타원 형상으로 휘어져 있는 원통부(31)는, 상기 다이어프램측의 후단(31b)으로부터 전단 개구(31a)를 향해, 반경방향의 외측 혹은 내측으로의 휨량이 점차 증가되어 있다.
가요성 외치 기어(3)에는 진동 발전부(5)가 배치되어 있으며, 진동 발전부(5)에는, 상기 진동 발전부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축전하기 위한 축전부(6)가 접속되어 있다. 축전부(6)로부터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진동 발전부(5)는, 파동 발생기(4)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복적으로 휘어지는 가요성 외치 기어(3)의 휨 동작에 의해 변위하여 발전을 행하는 압전 소자(7)를 구비하고 있다. 압전 소자(7)는, 가요성 외치 기어(3)의 원통부(31)에 있어서의 외치(34)에 대해 다이어프램(32) 측에 인접한 외주면 부분에, 해당 외주면 부분과 일체가 되어 변위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예컨대, 해당 외주면 부분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압전 소자(7)가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파동 기어 장치(1)의 가요성 외치 기어(3)의 휨 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a)는 변형 전의 가요성 외치 기어(3)의 종단면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타원 형상으로 변형된 가요성 외치 기어(3)의 장축을 포함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종단면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c)는 타원 형상으로 변형된 가요성 외치 기어(3)의 단축을 포함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종단면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d)는 압전 소자의 부착 위치에 있어서의 가요성 외치 기어(3)의 휨 상태를 과장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참고로, 도 2(a)∼(c)의 실선(實線)은 컵 형상의 가요성 외치 기어(3)를 나타낸 것이고, 파선(破線)은 후술하는 도 4에 도시된 실크 해트 형상의 가요성 외치 기어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원통부(31)에 있어서의 타원 형상 곡선의 장축(L1)을 포함하는 단면 위치에서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으로의 휨량이 후단(31b)으로부터 전단 개구(31a)까지의 거리에 대략 비례하여 점차 증가되며, 타원 형상 곡선의 단축(L2)을 포함하는 단면 위치에서는,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으로의 휨량이, 후단(31b)으로부터 전단 개구(31a)까지의 거리에 대략 비례하여 점차 증가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부(31)의 전단 개구(31a)측의 외주면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외치(34)도, 그 잇줄방향에 있어서의 각 축직각 단면에 있어서 휨량이 변화되어 있다. 즉, 외치(34)의 잇줄방향에 있어서의 다이어프램측의 후단(34b)으로부터 전단 개구(31a)측의 전단(34a)을 향해, 타원 형상 곡선의 장축(L1)을 포함하는 단면 내에서, 후단(31b)으로부터의 거리에 대략 비례하여 휨량이 점차 증가되어 있다.
여기서, 외치(34)의 잇줄방향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의 축직각 단면에 있어서, 타원 형상으로 휘어지기 전의 상기 외치(34)의 치저(齒底) 림(tooth bottom rim)의 두께방향의 중앙을 지나는 원을 림 중립원(中立圓)이라 부르고, 타원 형상으로 휘어진 후의 치저 림(tooth bottom rim)의 두께방향의 중앙을 지나는 곡선을 타원 형상 림 중립선(中立線)이라 부르기로 하면, 타원 형상 림 중립선의 장축 위치에 있어서의 림 중립원에 대한 장축방향의 휨량은, κ를 휨 계수로 하여, 2κmn이다.
즉, 가요성 외치 기어(3)의 외치(34)의 톱니 수를 ZF, 강성 내치 기어(2)의 내치(24)의 톱니 수를 ZC, 파동 기어 장치(1)의 감속비를 R(=ZF/(ZC-ZF)=ZF/2n)로 하고, 가요성 외치 기어(3)의 피치 원 직경(mZF)을 감속비(R)로 나눈 값(mZF/R=2mn)을 장축방향의 정규의 휨량(wO)으로 한다. 파동 기어 장치(1)는, 일반적으로, 그 가요성 외치 기어(3)의 잇줄방향에 있어서의 파동 발생기(4)의 웨이브 베어링의 볼 중심의 위치에 있어서, 정규의 휨량(=2mn)으로 휘도록 설계된다. 휨 계수(κ)는, 가요성 외치 기어(3)의 잇줄방향의 각 축직각 단면에 있어서의 휨량(w)을 정규의 휨량으로 나눈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외치(34)에 있어서, 정규의 휨량이 얻어지는 위치의 휨 계수는 κ=1이며, 이보다 적은 휨량(w)의 단면 위치의 휨 계수는 κ<1이 되고, 이보다 많은 휨량(w)의 단면 위치의 휨 계수는 κ>1이 된다.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전 소자(7)가 부착되어 있는 가요성 외치 기어(3)의 외주면 부분도, 파동 발생기(4)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경방향으로 반복하여 휘어진다. 따라서, 각 압전 소자(7)도 원통부(31)의 휨 동작에 수반하여 반경방향으로 반복하여 휘어지므로, 그 압전 효과에 의해 발전을 행한다. 예컨대, 1매의 압전 소자(7)에 주목하자면, 가장 만곡량이 많은 7A의 상태로부터 가장 만곡량이 적은 7B의 상태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휘어지며, 이에 수반하여 발전을 행한다. 압전 소자(7)의 발전 전류는 예컨대 인버터(8)를 통해 직류 전류로 변환된 후에 축전부(6)에 공급되며, 여기에 축전된다(도 1 참조).
축전된 전력은, 파동 발생기(4)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의 구동용 전력의 일부로서 이용가능하며, 비상용 전원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혹은, 파동 기어 장치(1)에 각종 센서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센서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파동 발생기를 수동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해 두면, 비상시 등에 있어서의 수동 발전 장치로서 파동 기어 장치(1)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가요성 외치 기어(3)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7)의 부착 위치는 본 예와는 상이한 위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31)로부터 다이어프램(32)에 걸친 외주면 부분(7(1)), 다이어프램(32)의 표면 부분(7(2))에 압전 소자(7)를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원통부(31)의 전단을 외치(34)보다 전방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연장 부분의 원형 외주면 혹은 원형 내주면을 압전 소자(7)의 부착 부분(7(3))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원통부(31)의 원형 내주면, 다이어프램(32)의 내측 표면에 압전 소자(7)를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 2에 따른 실크 해트 타입의 파동 기어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실크 해트 타입의 파동 기어 장치(100)의 기본 구성은 컵 타입의 파동 기어 장치(1)와 동일하며, 강성 내치 기어(102)와, 가요성 외치 기어(103)와, 파동 발생기(104)를 구비하고 있다. 가요성 외치 기어(103)는 실크 해트 형상이며, 가요성의 원통부(131)와, 그 후단(131b)에 연속하여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확대되는 원반 형상의 다이어프램(132)과, 다이어프램(132)의 외주연에 연속되어 있는 둥근 고리 형상의 보스(133)와, 원통부(131)의 전단 개구(131a) 측의 외주면 부분에 형성된 외치(134)를 구비하고 있다. 외치(134)는 강성 내치 기어(102)의 내치(124)로 휘어질 수 있다. 타원 형상의 윤곽을 가지는 파동 발생기(104)는, 가요성 외치 기어(103)의 원통부(131)에 있어서의 전단 개구(131a) 측의 외치 형성 부분의 내측에 끼워져 들어가 있다. 파동 발생기(104)에 의해 타원 형상으로 휘어져 있는 원통부(131)는, 그 다이어프램측의 후단(131b)으로부터 전단 개구(131a)를 향해, 반경방향의 외측 혹은 내측으로의 휨량이 점차 증가되어 있다.
가요성 외치 기어(103)에는 진동 발전부(105)가 배치되어 있으며, 진동 발전부(105)에는, 상기 진동 발전부에서 발생되는 전력을 축전하기 위한 축전부(106)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축전부(106)로부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진동 발전부(105)는, 파동 발생기(104)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복적으로 휘어지는 가요성 외치 기어(103)의 휨 동작에 의해 변위하여 발전을 행하는 압전 소자(107)를 구비하고 있다. 압전 소자(107)는, 가요성 외치 기어(103)의 원통부(131)에 있어서의 외치(134)에 대해 다이어프램(132)측에 인접한 외주면 부분에, 상기 외주면 부분과 일체가 되어 변위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외주면 부분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압전 소자(107)가 부착되어 있다. 압전 소자(107)의 발전 전류는 진동 발전부(105)의 인버터(108)에 있어서 직류 전류로 변환된 후에 축전부(106)로 공급되며, 여기에 축전된다.
참고로, 가요성 외치 기어(103)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107)의 부착 위치는, 예컨대, 도 4에 있어서 상상선(想像線)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131)로부터 다이어프램(132)에 걸친 외주면 부분(107(1)), 다이어프램(132)의 표면 부분(107(2))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원통부(131)의 전단을 외치(134)보다 전방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연장 부분의 원형 외주면 혹은 원형 내주면을 압전 소자(107)의 부착 부분(107(3))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원통부(131)의 원형 내주면, 다이어프램(132)의 내측 표면에 압전 소자(107)를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3)
도 5(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 3에 따른 플랫 타입의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b)는 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200)는, 둥근 고리 형상의 제 1 및 제 2 강성 링(201, 202)과, 상기 제 1 및 제 2 강성 링(201, 202)의 내측에 동축 상태로 배치된 가요성 링(203)과, 가요성 링(203)의 내측에 끼워진 타원 형상의 윤곽을 가지는 파동 발생기(20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강성 링(201, 202)의 원형 내주면은 각각 제 1 및 제2 마찰 걸림결합면(224, 225)으로 되어 있으며, 가요성 링(203)의 원형 외주면에도 마찰 걸림결합면(234)이 형성되어 있다.
파동 발생기(204)는 가요성 링(203)을 타원 형상으로 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요성 링(203)의 마찰 걸림결합면(234)이 제 1 및 제 2 강성 링(201, 202)의 제 1 및 제 2 마찰 걸림결합면(224, 225)에 대해 원주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마찰 걸림결합되어 있다. 파동 발생기(204)를 회전시키면, 이러한 마찰 걸림결합 위치가 원주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 1 강성 링(201)의 제 1 마찰 걸림결합면(224)의 둘레 길이는 가요성 링(203)의 마찰 걸림결합면(234)의 둘레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파동 발생기(204)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 1 강성 링(201)과 가요성 링(203)의 사이에는 둘레 길이의 차에 따른 상대 회전이 발생한다. 이에 반해, 제 2 강성 링(202)의 제 2 마찰 걸림결합면(225)의 둘레 길이는 가요성 링(203)의 마찰 걸림결합면(234)의 둘레 길이와 동일하므로, 이러한 제 2 강성 링(202)과 가요성 링(203)의 사이에는 상대 회전이 발생하지 않고 항상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본 예에서는, 제 2 강성 링(202)이 고정측 부재(미도시)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고, 제 1 강성 링(201)이 부하측 부재(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파동 발생기(204)가 모터 등에 의해 고속회전하면, 제 1 강성 링(201)측으로부터 감속 회전 출력이 취출되어 부하측 부재로 전달된다.
여기서, 가요성 링(203)에는 진동 발전부(205)가 배치되어 있고, 진동 발전부(205)에는, 상기 진동 발전부(205)에서 발생되는 전력을 축전하기 위한 축전부(206)가 접속되어 있어, 축전부(206)로부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진동 발전부(205)는, 파동 발생기(204)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복적으로 휘어지는 가요성 링(203)의 휨 동작에 의해 변위하여 발전을 행하는 압전 소자(207)와, 여기서 발생된 발전 전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축전부(206)에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208)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가요성 링(203)은, 가요성의 원통부(231)와, 그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마찰 걸림결합면(234)과, 원통부(231)에 있어서의 제 2 강성 링(202) 측의 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돌출)되어 있는 원통 부분(23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 부분(232)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통 부분(232)과 일체가 되어 변위하도록, 복수의 압전 소자(207)가 부착되어 있다. 참고로, 압전 소자(207)를 원통 부분(232)의 내주면에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의 실시형태)
참고로, 상기의 예는, 본 발명을 컵 타입 및 실크 해트 타입의 파동 기어 장치에 적용시킨 예이지만, 본 발명을 플랫 타입의 파동 기어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는 본 발명을 플랫 타입의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에 적용시킨 예이지만, 본 발명을 컵 타입이나, 실크 해트 타입의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Claims (12)
- 둥근 고리 형상의 강성 내치 기어와, 상기 강성 내치 기어의 내측에 동축상(同軸狀)으로 배치된 반경방향으로 휨 가능한 가요성 외치 기어와,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의 내측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파동 발생기를 가지며, 상기 파동 발생기에 의해,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는 반경방향으로 휘어져서 상기 강성 내치 기어에 대해 부분적으로 서로 맞물려 있어, 상기 파동 발생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강성 내치 기어와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의 맞물림 위치가 원주(圓周)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양(兩) 기어의 사이에는, 상기 양 기어의 톱니 수의 차(差)에 따른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파동 기어 장치로서,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에는 진동 발전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진동 발전부는, 상기 파동 발생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복적으로 휘어지는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의 휨 동작에 의해 발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동 기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전부는, 상기 파동 발생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복적으로 휘어지는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의 휨 동작에 의해 변위하여 발전을 행하는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동 기어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는, 가요성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반(圓盤) 형상의 다이어프램과, 상기 원통부의 전단 개구 측의 외주면 부분에 형성된 외치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부의 상기 전단 개구 측의 부분이 상기 파동 발생기에 의해 비(非)원형으로 휘어져 있으며,
상기 압전 소자는,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부 및 상기 다이어프램 중 적어도 일방의 부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동 기어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는,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의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동 기어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외치 기어는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는 고정측 부재이며,
상기 강성 내치 기어는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회전 출력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동 기어 장치.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전부에 의한 발전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동 기어 장치. - 원형 내주면이 마찰 걸림결합면으로 되어 있는 강성 링과, 상기 강성 링의 내측에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원형 외주면이 마찰 걸림결합면으로 되어 있는 가요성 링과, 상기 가요성 링의 내측에 동축상으로 배치된 파동 발생기를 가지며, 상기 파동 발생기에 의해, 상기 가요성 링은 반경방향으로 휘어져서 상기 강성 링에 부분적으로 마찰 걸림결합되어 있고, 상기 파동 발생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양(兩) 링의 마찰 걸림결합 위치가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면, 양 링의 사이에, 양 링의 상기 마찰 걸림결합면의 둘레 길이의 차(差)에 따른 상대 회전이 발생하는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로서,
상기 가요성 링에는 진동 발전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진동 발전부는, 상기 파동 발생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복적으로 휘어지는 상기 가요성 링의 휨 동작에 의해 발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전부는, 상기 파동 발생기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복적으로 휘어지는 상기 가요성 링의 휨 동작에 의해 변위하여 발전을 행하는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링은, 가요성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원반 형상의 다이어프램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부의 전단 개구 측의 외주면 부분에 상기 마찰 걸림결합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부의 상기 전단 개구 측의 부분이 상기 파동 발생기에 의해 비(非)원형으로 휘어져 있으며,
상기 압전 소자는, 상기 가요성 링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부 및 상기 다이어프램 중 적어도 일방의 부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는, 상기 가요성 링의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링은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는 고정측 부재이며,
상기 강성 링은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회전 출력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 -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전부에 의한 발전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걸림결합식 파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1/005259 WO2013038463A1 (ja) | 2011-09-16 | 2011-09-16 | 振動発電を行う波動歯車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2098A KR20140062098A (ko) | 2014-05-22 |
KR101746070B1 true KR101746070B1 (ko) | 2017-06-12 |
Family
ID=4788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08518A KR101746070B1 (ko) | 2011-09-16 | 2011-09-16 | 진동 발전을 행하는 파동 기어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425712B2 (ko) |
JP (1) | JP5840214B2 (ko) |
KR (1) | KR101746070B1 (ko) |
DE (1) | DE112011105628T5 (ko) |
WO (1) | WO201303846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70624B2 (ja) * | 2014-07-23 | 2018-08-08 |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 デュアルタイプの波動歯車装置 |
JP6218691B2 (ja) * | 2014-07-23 | 2017-10-25 |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 デュアルタイプの波動歯車装置 |
JP6218690B2 (ja) * | 2014-07-23 | 2017-10-25 |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 デュアルタイプの波動歯車装置 |
JP6218692B2 (ja) * | 2014-07-23 | 2017-10-25 |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 デュアルタイプの波動歯車装置 |
KR101709536B1 (ko) * | 2014-09-04 | 2017-02-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관성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 |
EP3258590B1 (en) * | 2015-02-13 | 2020-07-29 | Harmonic Drive Systems Inc. | Strain wave gearing and wave generator |
US10634230B2 (en) * | 2015-07-07 | 2020-04-28 | Harmonic Drive Systems Inc. | Strain wave gearing and wave generator |
JP6104474B1 (ja) * | 2015-12-04 | 2017-03-29 |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 2応力分離の波動歯車装置 |
JP6779116B2 (ja) * | 2015-12-08 | 2020-11-04 |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
CN105763099B (zh) * | 2016-04-19 | 2018-02-02 | 上海交通大学 | 一种基于压电原理的连续发电装置 |
JP2018054563A (ja) * | 2016-09-30 | 2018-04-05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力検出装置、駆動ユニットおよびロボット |
US11198181B2 (en) | 2017-03-10 | 2021-12-14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Methods for fabricating strain wave gear flexsplines using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
CN106884966B (zh) * | 2017-03-20 | 2023-09-05 | 兰州交通大学 | 一种腹板式圆柱齿轮传动压电减振传动装置及减振控制方法 |
JP7103614B2 (ja) * | 2018-03-29 | 2022-07-20 | 日本電産シンポ株式会社 | 波動歯車装置 |
CN108386514B (zh) * | 2018-05-04 | 2023-06-13 | 顺德职业技术学院 | 振动双波式谐波传动机构 |
CN108397536B (zh) * | 2018-05-04 | 2023-07-25 | 顺德职业技术学院 | 新型波发生器的谐波传动机构 |
US11859705B2 (en) * | 2019-02-28 | 2024-01-02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Rounded strain wave gear flexspline utilizing bulk metallic glass-based materia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
DE102019112146B3 (de) * | 2019-05-09 | 2020-09-10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Vorrichtung zum Messen eines Drehmoments und Spannungswellengetriebe mit dieser Vorrichtung |
DE102022128419B4 (de) | 2022-10-27 | 2024-05-08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Wellgetriebe für einen Roboter sowie Roboter mit einem Wellgetrieb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29543A (en) | 1999-02-01 | 2000-02-29 | Harmonic Drive Technologies | Piezo-electric drive arrangement for a harmonic drive transmission |
JP2007071242A (ja) | 2005-09-05 | 2007-03-22 | Harmonic Drive Syst Ind Co Ltd | 波動歯車装置および摩擦係合式波動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86882A (en) * | 1952-01-28 | 1954-08-17 | George E Mallinckrodt | Rotation stressed piezoelectric apparatus |
JPS5998151U (ja) * | 1982-12-23 | 1984-07-03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動力伝達装置 |
JPS6323570A (ja) * | 1986-07-15 | 1988-01-30 | Hitachi Ltd | 回転アクチユエ−タ |
JPH07110140B2 (ja) * | 1987-01-23 | 1995-11-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圧電素子モータ |
JPH0241692U (ko) * | 1988-09-14 | 1990-03-22 | ||
JPH02129436A (ja) * | 1988-11-08 | 1990-05-17 | Sumitomo Heavy Ind Ltd | アクチュエータ |
JP2714429B2 (ja) * | 1989-03-31 | 1998-02-16 |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 波動歯車装置 |
US6655035B2 (en) * | 2000-10-20 | 2003-12-02 | Continuum Photonics, Inc. | Piezoelectric generator |
JP2003164169A (ja) * | 2001-11-20 | 2003-06-06 | Michio Tsujiura | ベルト圧電発電機 |
JP2006083905A (ja) * | 2004-09-15 | 2006-03-30 | Kyushu Institute Of Technology | 波動歯車装置 |
WO2011105642A1 (ko) * | 2010-02-25 | 2011-09-01 | (주)사람과 환경 | 압전 바이몰프를 이용한 압전 발전기용 유니트 |
-
2011
- 2011-09-16 JP JP2013533352A patent/JP5840214B2/ja active Active
- 2011-09-16 KR KR1020147008518A patent/KR10174607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9-16 US US14/343,339 patent/US9425712B2/en active Active
- 2011-09-16 DE DE112011105628.1T patent/DE112011105628T5/de active Pending
- 2011-09-16 WO PCT/JP2011/005259 patent/WO201303846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29543A (en) | 1999-02-01 | 2000-02-29 | Harmonic Drive Technologies | Piezo-electric drive arrangement for a harmonic drive transmission |
JP2007071242A (ja) | 2005-09-05 | 2007-03-22 | Harmonic Drive Syst Ind Co Ltd | 波動歯車装置および摩擦係合式波動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13038463A1 (ja) | 2015-03-23 |
KR20140062098A (ko) | 2014-05-22 |
DE112011105628T5 (de) | 2014-08-28 |
US9425712B2 (en) | 2016-08-23 |
WO2013038463A1 (ja) | 2013-03-21 |
US20140217855A1 (en) | 2014-08-07 |
JP5840214B2 (ja) | 2016-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6070B1 (ko) | 진동 발전을 행하는 파동 기어 장치 | |
JP5936195B2 (ja) | 波動歯車装置および可撓性外歯歯車 | |
US8757029B2 (en) | Strain wave gearing and robotic arm | |
JP4948479B2 (ja) | 複合型波動歯車減速機 | |
WO2015001974A1 (ja) | 波動歯車装置 | |
KR101703498B1 (ko) | 파동 기어식 직동 기구 | |
WO2015004693A1 (ja) | 波動発生器および波動歯車装置 | |
KR101423218B1 (ko) | 파동 기어 장치 및 가요성 내치 기어 | |
KR101100825B1 (ko) | 이단 플라스틱 하모닉 감속기 | |
JP2011163521A (ja) | 回転駆動装置 | |
JPWO2012104927A1 (ja) | 3次元接触のインボリュート正偏位歯形を有する波動歯車装置 | |
JP2019100460A (ja) | 遊星歯車減速機構 | |
JP2007205397A (ja) | 波動歯車装置及び伝達比可変装置 | |
US9212724B2 (en) | Meshed gear for vehicle | |
JP2013099191A (ja) | 電気機械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ー、モーター、ロボット、ロボットハンド。 | |
KR101834815B1 (ko) | 듀얼타입의 파동기어장치 | |
JP2013170611A (ja) | 波動歯車装置 | |
TWI608185B (zh) | 雙模式諧波齒輪裝置 | |
JP2006349091A (ja) | 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装置、伝達比可変装置、及び車両用操舵装置 | |
US9644728B2 (en) | Strain wave device | |
KR20190104566A (ko) | 파동기어장치 | |
JP2010223277A (ja) |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 |
JP4676251B2 (ja) | 磁気カップリング装置 | |
JP5699276B2 (ja) | 電動工具 | |
KR102579863B1 (ko) | 혼합 변형 파동 기어 시스템 및 이의 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