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536B1 - 관성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 - Google Patents

관성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536B1
KR101709536B1 KR1020140117448A KR20140117448A KR101709536B1 KR 101709536 B1 KR101709536 B1 KR 101709536B1 KR 1020140117448 A KR1020140117448 A KR 1020140117448A KR 20140117448 A KR20140117448 A KR 20140117448A KR 101709536 B1 KR101709536 B1 KR 101709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wer generating
tube
motion
auxiliary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677A (ko
Inventor
강형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17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536B1/ko
Priority to JP2016575661A priority patent/JP6483731B2/ja
Priority to EP15838248.1A priority patent/EP3151372B1/en
Priority to US15/323,296 priority patent/US10305398B2/en
Priority to PCT/KR2015/006848 priority patent/WO2016035989A1/ko
Priority to CN201520632013.0U priority patent/CN205070842U/zh
Priority to CN201510516174.8A priority patent/CN105406763B/zh
Publication of KR20160028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3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tored mechanically, e.g. in fly-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2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multip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3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using impacting bod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 charging set comprising a non-electric prime mover rotating at constant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로서, 차량의 운동에 따른 관성력에 의해 차량 운동방향의 대향 방향으로 운동하는 관성 구체; 상기 운동하는 관성 구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관;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관성 구체의 운동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 시키는 발전 부재; 및 상기 발전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발전 부재로부터 발생한 전기적 에너지를 수용하여 가용 전기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성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 {Auxiliary Generator for Vehicle of Generating Electrical Power through Inertial Force}
본 발명은 관성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는 내연기관의 엔진과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한 모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으로서, 화석 연료의 고갈에 따른 차세대 운송 수단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고속 주행에서 내연기관으로 운행하는 한편 배터리의 전력을 통해 저속 주행에서 모터로 운행 하는 차량이다.
또한, 내연기관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와 전기 모터만으로 운행하는 전기자동차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여 전기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주행하게 되는데,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운전 및 정비가 용이하고, 나아가서,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음으로써 환경보호에 기여하는 점에서 널리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기자동차는 종래의 화석연료를 이용한 차량에 비하여 운행비와 유지비가 적게 드는 점에서 그 이용이 늘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전기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내연 기관 대비 주행거리가 짧은 단점을 가지고 있는 바, 지속적인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시스템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기자동차는 고속 주행 시의여유 구동력 또는 제동에 따른 에너지 회생 시스템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에너지 회생 시스템 만으로는 주행거리를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충전시켜, 이들 차량의 주행거리를 연장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를 통해, 배터리 충전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차량의 주행 거리를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발전기는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로서,
차량의 운동에 따른 관성력에 의해 차량 운동방향의 대향 방향으로 운동하는 관성 구체;
상기 운동하는 관성 구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관;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관성 구체의 운동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 시키는 발전 부재; 및
상기 발전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발전 부재로부터 발생한 전기적 에너지를 수용하여 가용 전기로 변환하는 변환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발전기는 차량의 운행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전술한 특별한 구조를 통해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바, 차량의 운행과 동시에 전기적 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그에 따라,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충전할 수 있어, 차량의 주행거리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발전 부재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기 발전 부재는 압전 소자일 수 있다. 압전 소자는 티탄산 지르콘 산납(PZT) 또는 티탄산 바륨을 소결한 압전 세라믹일 수 있으나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압전 소자는 고정관의 내부 전면에 설치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관성 구체가 관성력에 의해 운동하면서 압전 소자에 직접 압력을 가하여 압전 소자가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압전 소자가 변환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관성 구체가 고정관을 따라 운동하면서 압전 소자에 압력을 제공하여 압전소자가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전기적 에너지인 전기는 변환기로 이송되고, 이송된 전기는 변환기에서 가용 가능한 전기로 변환되어, 차량의 전지셀들을 충전하거나 모터에 동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관성 구체가 고정관을 따라 운동하는 것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차량이 운행될 때, 외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 차량의 진동에 대응하여, 관성 구체가 고정관 내부에서 운동하게 되어 관성관 내면에 장착된 압전 소자의 다양한 부분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관성 구체는 고정관 내에서 다양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관의 내경 대비 작은 크기가 바람직하며, 상세하게는 상세하게는 고정관의 내경 대비 50% 내지 80%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전 구체의 크기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압전 소자에 충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없고, 압전 소자와 접촉할 가능성이 감소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관성 구체가 압전 소자와의 마찰로 운동 속도가 저하되며, 그에 따라 압전 소자의 전기적 에너지 발생량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발전 부재의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기 발전 부재는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관성 구체의 운동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발전 구체를 포함하며, 발전 구체가 회전 운동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마찰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 베어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전 베어링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전 구체가 고정부들 사이에 둘 이상이 장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들은 이들 사이에 둘 이상의 회전 축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축들을 중심으로 발전 구체가 회전하도록 발전 구체가 회전 축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발전 구체는, 회전 운동을 위하여 구형의 형태일 수 있으며, 회전 운동 시, 회전 축과 마찰하며 마찰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부도체인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 축 역시, 마찰 전기의 발생이 용이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전 구체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마찰 전기는 회전 축에서 발전 베어링에 포집되고, 포집된 마찰 전기는 발전 베어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환기에 포집되어 전기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발전 베어링은 전기 전도성의 금속 소재일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같은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전 구체의 회전운동은 관성 구체의 운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관성 구체가 고정관의 내부에서 운동할 때, 고정관의 내부에 장착된 발전 베어링의 발전 구체와 접촉하게 되고, 이 때, 발전 구체는 관성 구체의 운동방향에 대해 대향 방향으로 회전력을 얻어 회전하게 된다. 즉, 관성 구체의 운동 속도가 발전 구체의 회전력을 결정한다.
따라서, 관성 구체는 운동 속도가 저하되지 않으면서, 발전 베어링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세하게는 발전 베어링의 내경 대비 50% 내지 80%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전 구체의 크기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발전 베어링을 쉽게 통과하는 반면, 발전 구체와 접촉할 가능성이 감소하므로, 발전 구체의 회전 운동을 유도하기 힘들며,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관성 구체가 발전 베어링을 쉽게 통과하지 못하여, 관성 구체의 운동 속도가 저하되며, 그에 따라 발전 구체의 회전력이 감소할 수 있는 바,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관성 구체는 높은 관성력을 얻기 위해, 밀도가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세하게는 텅스텐 또는 백금일 수 있으나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고정관은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하는 둘 이상의 관들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관은 차량의 폭 방향에 대해 수평인 제 1 관,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인 제 2 관, 및 차량의 높이 방향에 대해 평행인 제 3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관, 제 2 관 및 제 3 관은, 서로 직교를 이루는 형태로 결합된 구조일 수 있고, 이들이 결합된 구조는 차량의 내부 구조에 따라 탄력적으로 구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관, 제 2 관 및 제 3 관은 각각 그것의 내부에 관성 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관, 제 2 관 및 제 3 관은 각각 그것의 내부에 둘 이상의 발전 베어링들이 장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1 관, 제 2 관 및 제 3 관은 각각 그것의 내면 전체에 압전 소자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각각의 제 1 관, 제 2 관 및 제 3 관을 통해 관성 구체들이 다양한 방향에서 관성력을 얻을 수 있는 바, 차량의 다양한 움직임으로 인한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폭 방향에 대해 수평인 제 1 관의 경우, 그것의 관성 구체는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운동할 때, 차량의 운동방향의 대향방향으로 제 1 관의 내부에서 운동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좌우 운동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인 제 2 관의 경우, 그것의 관성 구체는 차량이 제동할 때, 차량의 전방으로 운동하고, 차량이 가속할 때, 차량의 후방으로 운동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직선 운동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의 높이 방향에 대해 평행인 제 3 관의 경우에는, 그것의 관성 구체는 차량이 진동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운동할 때, 차량의 운동방향의 대향방향으로 제 3 관의 내부에서 운동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진동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관, 제 2 관 및 제 3 관은 각각 그것의 내면 전체에 압전 소자와 발전 베어링이 함께 장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구조는, 차량의 다양한 움직임으로 인한 관성 구체의 운동에너지가 압전 소자에 압력을 인가하고 발전 베어링의 발전 구체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전기적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발전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운행과 동시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관성력으로 고정관 내부의 관성 구체를 운동시키고, 이 관성 구체가 압전 소자 및/또는 발전 베어링에 전기적 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외력을 제공하고, 결과적으로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 할 수 있다. 또한, 고정관을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하여, 차량의 상, 하, 좌, 우 및 직선운동에 따른 다양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고정관은 전기 절연성의 고분자 소재 또는 복합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세하게는 중량이 매우 낮은 복합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소재는 예를 들어, 탄소 섬유 복합소재 또는 유리 섬유 복합소재일 수 있으나, 상기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보조 발전기와, 상기 보조 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전지셀을 둘 이상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셀은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금속층 및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밀봉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일 수 있고, 이러한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둘 이상의 전지셀은 특정 구조로 적층하여, 대용량의 전지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발전기는 차량의 운행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전술한 특별한 구조를 통해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바, 차량의 운행과 동시에 전기적 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그에 따라,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충전할 수 있어, 차량의 주행거리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발전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관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고정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2의 발전 베어링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발전기가 탑재된 차량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발전기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고정관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의 A-A’에 따른 고정관의 수직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2의 발전 베어링을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발전기가 탑재된 차량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를 함께 참조하면, 보조 발전기(10)는 고정관(100), 고정관(100)의 내면에 장착된 압전 소자(210), 고정관(100) 내부에 장착된 발전 베어링(300), 고정관(100) 내부에서 운동하는 관성 구체들(201, 202, 203) 및 압전 소자(210)와 발전 베어링(300)으로부터 마찰 전기를 수용하여 전기로 변환하는 변환기(1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고정관 내부에서 관성 구체들(201, 202, 203)이 운동하면서 압전 소자와 발전 베어링(300)이 발생시킨 전기는 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환기(120)로 이송되고, 변환기(120)는 수용한 전기를 전지셀(20)을 충전할 수 있는 전류로 변환하고, 일정 전압으로 전지셀(20)을 충전한다.
도 2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고정관(100)은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하는 제 1 관(101), 제 2 관(102) 및 제 3 관(103)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관(101)은 차량(400)의 폭 방향에 수평인 X축을 향하는 상태로, 제 2 관(102) 및 제 3 관(103)과 직교를 이루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고, 제 2 관(102)은 차량(400)의 길이 방향에 수평인 Y축을 향하는 상태로 제 1 관(101) 및 제 3 관(103)과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제 3 관(103)은 차량(400)의 높이 방향에 수평인 Z축을 향하는 상태로 제 1 관(101) 및 제 2 관(102)과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 하나의 발전 베어링(300)과 제 2 관을 예를 들어 압전 소자(210)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발전 베어링(300)은 제 1 관(101), 내지 제 3 관(103)에 각각 둘 이상 장착되어 있으며, 제 1 관 내지 제 3 관의 내면 전체에 압전 소자가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 관의 길이 및 소망하는 전기적 에너지량을 고려하여 발전 베어링(300) 및 압전 소자(210)를 탄력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제 1 관(101)의 내부에는 압전 소자(도시하지 않음) 및 발전 베어링(300)이 장착되어 있고, 제 1 관(101)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운동 하도록 관성 구체(201)가 내장되어 있다. 제 2 관(102)의 내부에는 압전 소자(210) 및 발전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고, 제 2 관(102)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운동 하도록 관성 구체(202)가 내장되어 있다. 제 3 관(103)의 내부에는 압전 소자(도시하지 않음) 및 발전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고, 제 3 관(103)을 따라 Z축 방향으로 운동 하도록 관성 구체(203)가 내장되어 있다.
발전 베어링(300)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부(302, 304)들 사이에 다수의 발전 구체(308)가 회전 축(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링 형상의 발전 베어링(300)은 관성 구체(201)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310)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310) 내부로 발전 구체(308)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관성 구체(201)가 발전 베어링(300)의 개구(310)를 통과 할 때, 돌출된 발전 구체(308)가 관성 구체(201)와 접촉하고, 관성 구체(201)의 운동 방향의 대향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얻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발전 구체(308)가 회전 하면서, 회전 축과 마찰 전기를 발생시킨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차량(400)은 보조 발전기(10)를 차량 내부에 포함하고 있으며, 차량(400)의 폭 방향인 X축 방향(좌측 또는 우측)으로 운동하는 경우, 제 1 관(101)에 내장된 관성 구체(201)는 차량(400)의 운동 방향의 대향 방향으로 관성력을 얻게 되어 제 1 관(101) 내에서 운동하게 된다. 이 때, 관성 구체(201)가 운동하면서, 압전 소자를 진행 방향을 따라 압박하게 되고, 압전 소자는 순간적으로 압력이 변화 함에 따라 전기를 생산한다. 또한 관성 구체는 발전 베어링(300)의 발전 구체(308)를 회전 시키고, 발전 구체(308)의 회전운동이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된다.
또한, 차량(400)의 길이 방향인 Y축 방향으로 가속 또는 감속 운동하는 경우, 제 2 관(102)에 내장된 관성 구체는 차량(400)이 가속 또는 감속함에 따라, 가속 또는 감속 방향의 대향 방향으로 관성력을 얻어 운동하게 되며, 이 때, 관성 구체(202)가 운동하면서, 압전 소자를 진행 방향을 따라 압박하게 되고, 압전 소자는 순간적으로 압력이 변화 함에 따라 전기를 생산한다.
또한, 관성 구체(202)는 발전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의 발전 구체(도시하지 않음)를 회전 시키고, 발전 구체(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운동이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된다.
마찬가지로, 차량(400)의 높이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차량(400)이 상향 운동하는 경우, 제 3 관(103)에 내장된 관성 구체(203)는 하향으로 관성력을 얻어 운동하게 되고, Z축 방향으로 차량(400)이 하향 운동하는 경우, 관성 구체(203)는 상향으로 관성력을 얻어 운동하게 되어 관성 구체가 압전 소자 및 발전 베어링에 압력 및 회전력을 제공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동시에, 차량(400)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운동하는 경우에, 제 1 관(101) 및 제 2 관(202)의 관성 구체들(201, 202)은 제 1 관(101) 및 제 2 관(202)의 내부에서 차량(400)의 운동방향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요동 치며 압전 소자(210)에 압력을 인가하고, 그에 따라 압전 소자(210)가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발전기는, 차량의 운행에 따른 운동 에너지로 고정관 내부의 관성 구체를 운동하게 하고, 이 관성 구체의 운동으로 압전 소자 및 발전 베어링을 통해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 시키므로, 차량의 운행과 동시에 전기적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발전 장치는 전기를 이용하는 차량의 운행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2)

  1.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로서,
    차량의 운동에 따른 관성력에 의해 차량 운동방향의 대향 방향으로 운동하는 관성 구체;
    상기 운동하는 관성 구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관;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관성 구체의 운동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 시키는 발전 부재; 및
    상기 발전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발전 부재로부터 발생한 전기적 에너지를 수용하여 가용 전기로 변환하는 변환기;
    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 부재는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관성 구체의 운동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발전 구체를 포함하며, 발전 구체가 회전 운동하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마찰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베어링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전 구체가 고정부들 사이에 둘 이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들은 이들 사이에 둘 이상의 회전 축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축들을 중심으로 발전 구체가 회전하도록 발전 구체가 회전 축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구체는 고정관의 내부에서 운동할 때, 고정관의 내부에 장착된 베어링의 발전 구체와 접촉하게 되고, 이 때, 발전 구체는 관성 구체의 운동방향에 대해 대향 방향으로 회전력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은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하는 둘 이상의 관들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은 차량의 폭 방향에 대해 수평인 제 1 관,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인 제 2 관, 및 차량의 높이 방향에 대해 평행인 제 3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 제 2 관 및 제 3 관은 각각 그것의 내부에 관성 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의 관성 구체는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운동할 때, 차량의 운동방향의 대향방향으로 제 1 관의 내부에서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의 관성 구체는 차량이 제동할 때, 차량의 전방으로 운동하고, 차량이 가속할 때, 차량의 후방으로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관의 관성 구체는 차량이 진동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운동할 때, 차량의 운동방향의 대향방향으로 제 3 관의 내부에서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 제 2 관 및 제 3 관은 각각 그것의 내부에 둘 이상의 발전 베어링들 및/또는 압전 소자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구체는 그것의 직경이 고정관의 내경 대비 50% 내지 80%의 크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은 전기 절연성의 고분자 소재 또는 복합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소재는 탄소 섬유 복합소재 또는 유리 섬유 복합소재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구체는 텅스텐 또는 백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19. 제 1 항에 따른 보조 발전기, 및 상기 보조 발전기로부터 생산된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전지셀을 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1.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로서,
    차량의 운동에 따른 관성력에 의해 차량 운동방향의 대향 방향으로 운동하는 관성 구체;
    상기 운동하는 관성 구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관;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관성 구체의 운동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 시키는 발전 부재; 및
    상기 발전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발전 부재로부터 발생한 전기적 에너지를 수용하여 가용 전기로 변환하는 변환기;
    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 부재는 압전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는 고정관의 내부 전면에 설치되어있고, 상기 관성 구체가 관성력에 의해 운동하면서 압전 소자에 직접 압력을 가하여 압전 소자가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발전기.
KR1020140117448A 2014-09-04 2014-09-04 관성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 KR101709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448A KR101709536B1 (ko) 2014-09-04 2014-09-04 관성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
JP2016575661A JP6483731B2 (ja) 2014-09-04 2015-07-03 慣性力を用いて電力を生産する車両用補助発電機
EP15838248.1A EP3151372B1 (en) 2014-09-04 2015-07-03 Vehicle auxiliary generator for generating power through inertial force
US15/323,296 US10305398B2 (en) 2014-09-04 2015-07-03 Auxiliary generator for vehicle that generates electric power using inertial force
PCT/KR2015/006848 WO2016035989A1 (ko) 2014-09-04 2015-07-03 관성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
CN201520632013.0U CN205070842U (zh) 2014-09-04 2015-08-20 车辆用辅助发电机和包括该车辆用辅助发电机的车辆
CN201510516174.8A CN105406763B (zh) 2014-09-04 2015-08-20 车辆用辅助发电机和包括该车辆用辅助发电机的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448A KR101709536B1 (ko) 2014-09-04 2014-09-04 관성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677A KR20160028677A (ko) 2016-03-14
KR101709536B1 true KR101709536B1 (ko) 2017-02-23

Family

ID=5539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448A KR101709536B1 (ko) 2014-09-04 2014-09-04 관성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05398B2 (ko)
EP (1) EP3151372B1 (ko)
JP (1) JP6483731B2 (ko)
KR (1) KR101709536B1 (ko)
CN (2) CN205070842U (ko)
WO (1) WO2016035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536B1 (ko) * 2014-09-04 2017-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관성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
CN112583297B (zh) * 2020-11-25 2022-03-08 江苏科技大学 一种基于纤维滑动的摩擦纳米发电机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7429A (ja) * 2002-12-04 2004-07-02 Tokai Rika Co Ltd 発電装置及びタイヤ内圧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5104971A (zh) 1985-06-22 1987-02-18 孙寅贵 车辆颠簸高效发电驱动系统
US5801475A (en) * 1993-09-30 1998-09-01 Mitsuteru Kimura Piezo-electricity generation device
KR950017769U (ko) * 1993-12-23 1995-07-22 차량의 가, 감속시 관성물체를 이용한 전기발생장치
JP2001320887A (ja) * 2000-05-08 2001-11-16 Mg:Kk 揺動発電装置
US6870306B2 (en) * 2000-08-11 2005-03-22 Ecchandes Inc. Overlapping type piezoelectric stator, overlapping type piezoelectric actuator and applications thereof
JP2003061368A (ja) * 2001-08-17 2003-02-28 Nec Tokin Ceramics Corp 圧電発電ユニット
JP2003209980A (ja) * 2001-11-12 2003-07-25 Jigyo Sozo Kenkyusho:Kk 振動型発電装置
WO2007121382A2 (en) * 2006-04-14 2007-10-25 Ciiis, Llc Power generator having a plurality of arranged power generator units
US7777396B2 (en) * 2006-06-06 2010-08-17 Omnitek Partners Llc Impact powered devices
JP5133106B2 (ja) * 2008-03-26 2013-01-30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発電装置及び発光ブイ
KR100982212B1 (ko) * 2008-06-24 2010-09-14 (주)맥신 자동차 발전장치
JP2010035368A (ja) * 2008-07-30 2010-02-12 Ricoh Co Ltd 圧電発電装置
JP2010196669A (ja) * 2009-02-27 2010-09-09 Yuho:Kk 風力発電装置
JP2011069402A (ja) 2009-09-24 2011-04-07 Ntn Corp 発電機能付き軸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軸受装置
JP2011093505A (ja) * 2009-10-27 2011-05-12 Jiro Sugimura 搭載型振動発電システム
GB2484324A (en) * 2010-10-07 2012-04-11 Adnan Mansoor Power generating apparatus for a vessel, eg a ship or boat
WO2013028092A1 (ru) * 2011-08-24 2013-02-28 Dostiiari Nasir Nadir Ogly Пьез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источник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WO2013038463A1 (ja) 2011-09-16 2013-03-21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振動発電を行う波動歯車装置
CN104321552A (zh) * 2012-04-24 2015-01-28 Skf公司 轴承嵌入式发电结构
GB201207987D0 (en) * 2012-05-04 2012-06-20 Imp Innovations Ltd Power generation device
KR101709536B1 (ko) 2014-09-04 2017-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관성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7429A (ja) * 2002-12-04 2004-07-02 Tokai Rika Co Ltd 発電装置及びタイヤ内圧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51372A4 (en) 2017-08-23
US20170170750A1 (en) 2017-06-15
CN205070842U (zh) 2016-03-02
CN105406763B (zh) 2018-10-12
KR20160028677A (ko) 2016-03-14
EP3151372A1 (en) 2017-04-05
JP2017532929A (ja) 2017-11-02
EP3151372B1 (en) 2021-03-03
WO2016035989A1 (ko) 2016-03-10
US10305398B2 (en) 2019-05-28
CN105406763A (zh) 2016-03-16
JP6483731B2 (ja)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 et al. Si@ void@ C nanofibers fabricated using a self-powered electrospinning system for lithium-ion batteries
Wang et al. Self-powered wind sensor system for detecting wind speed and direction based on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CN105114503A (zh) 一种汽车馈能式减震器
US9385636B2 (en) Transport vehicle, charging system and electricity-generating tire
KR101709536B1 (ko) 관성력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차량용 보조 발전기
JP2019021384A (ja) 電池
US202000706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electric energy from air flow in a moving system
KR101819131B1 (ko) 자연력을 이용한 융합형 발전기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
CN113162460A (zh) 一种静电式旋转、直线往复运动耦合能量收集器
US20080296987A1 (en) Repulsive force conversion drive
US9537368B2 (en) Magnetic power generator for hybrid vehicle and/or electric power plant
CN102233823A (zh) 一种电力和弹力复合动力装置
JP2010212093A (ja) 双極型電池
Shao et al. Electrical storage
San et al. Buoy-inspired hybridized energy harvester with freestanding dielectric oscillator towards sustainable blue energy harvesting
KR101163537B1 (ko) 전기자동차의 연료전지 이원화 시스템
JP2020053400A (ja) 蓄電デバイスの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077691A (zh) 一种行走装置
CN116599377A (zh) 一种旋转式直流摩擦纳米发电机
CN202063026U (zh) 一种电力和弹力复合动力装置
KR102383661B1 (ko) 자동차 바퀴 타이어를 이용하는 발전시스템
CN213472859U (zh) 一种充电装置
Wang et 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a hope to collect blue energy
CN220242673U (zh) 基于MXene聚合物的电子皮肤
Tyagi et al. Implementation of Battery and Ultra capacitors Based storage for Electric Vehicl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