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438B1 - 다 형상 홀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다 형상 홀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438B1
KR101744438B1 KR1020160035656A KR20160035656A KR101744438B1 KR 101744438 B1 KR101744438 B1 KR 101744438B1 KR 1020160035656 A KR1020160035656 A KR 1020160035656A KR 20160035656 A KR20160035656 A KR 20160035656A KR 101744438 B1 KR101744438 B1 KR 10174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ntainer
housing
pins
contac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811A (ko
Inventor
조경애
김인하
Original Assignee
조경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애 filed Critical 조경애
Publication of KR2016011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01Screwdriver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of the tool b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2Screwdrivers operated by rotating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 B25F1/02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with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too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다 형상 홀 드라이버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다 형상 홀 드라이버는 하우징, 스프링 컨테이너, 복수의 탄성부재들 및 복수의 핀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개방된 일측을 가지며, 상기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제1내부공간을 가진다.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는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을 가지며,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채널들을 가진다.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들은 상기 복수의 채널들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핀들은 상기 복수의 채널들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들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을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타면 밖으로 노출되고, 일측을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일면 밖으로 노출된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내부공간은 상기 복수의 핀들의 상기 일측이 대상물의 표면과 밀착될 경우에 상기 복수의 핀들의 상기 타측을 포함하는 상기 부분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는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외면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다.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각각은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일면에서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이동통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통로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져 제1단차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들 각각의 타측은 상기 제1단차에 밀착되거나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핀들 각각은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일면에서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서로 다른 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서로 다른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져 제2단차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들 각각의 일측은 상기 제2단차에 밀착되거나 연결될 수 있어 상기 복수의 핀들 중 적어도 일부-이하 접촉핀이라 함-의 일측과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이 서로 접촉할 경우에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의 형상 및 접촉력에 대응하여 상기 접촉핀에 각각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접촉핀의 상기 일측이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에 밀착된다.

Description

다 형상 홀 드라이버{hole driver for placing and tightening part having various shapes}
본 명세서는 대체로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사못 형상에 관계없이 사용가능 한 다형상 홀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사, 볼트 등은 산업화된 현대사회에서는 없어서는 안 되는 부품이다. 산업현장에서나 가정에서는 어디에서든 이들을 볼 수 있으며, 조립으로 대표되는 현대산업에서 모든 제품에 나사, 볼트 등-이하 체결구라 함-이 사용되고 있다.
체결구를 활용하여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스크류 드라이버, 렌치 등의 체결공구가 요구된다. 작업에 사용되는 체결구는 용도와 사용처에 따라 그 형상, 치수 등이 다양하다. 따라서 체결구를 활용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는 이들 다양한 형상의 체결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체결공구를 미리 준비하여야 한다.
하지만, 작업자가 작업하는 환경은 다양하므로 작업자가 미리 다양한 종류의 체결공구를 준비하더라도 체결구의 형상이 달라 작업을 진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체결공구를 준비하더라도 체결공구의 수량이 늘어나 운반이나 보관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하나의 체결공구로 서로 다른 형상의 체결구에 대한 체결작업을 할 수 있는 체결공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기능 체결공구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 KR 20-2012-0003805 “일자 및 십자 겸용 드라이버”, 한국등록실용 KR 20-0206985 “다양한 탭을 갖는 드라이버” 등이 있다. 종래의 기술은 미리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탭이 내장된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체결구를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 역시 미리 준비된 탭의 형상, 치수 등이 작업에 사용되는 체결구의 형상, 치수 등과 상이할 경우에 체결 작업을 진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는 복수의 채널들을 갖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들 및 복수의 핀들을 활용함으로써 체결구의 형상, 치수 등의 변화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는 복수의 탄성부재들의 탄성력을 통하여 복수의 핀들을 대상물의 표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체결구의 형상, 치수 등의 변화에 관계없이 사용가능 한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다 형상 홀 드라이버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다 형상 홀 드라이버는 하우징, 스프링 컨테이너, 복수의 탄성부재들 및 복수의 핀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개방된 일측을 가지며, 상기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제1내부공간을 가진다.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는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을 가지며,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채널들을 가진다.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들은 상기 복수의 채널들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핀들은 상기 복수의 채널들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들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을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타면 밖으로 노출되고, 일측을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일면 밖으로 노출된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내부공간은 상기 복수의 핀들의 상기 일측이 대상물의 표면과 밀착될 경우에 상기 복수의 핀들의 상기 타측을 포함하는 상기 부분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는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외면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다.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각각은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일면에서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이동통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통로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져 제1단차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들 각각의 타측은 상기 제1단차에 밀착되거나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핀들 각각은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일면에서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서로 다른 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서로 다른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져 제2단차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들 각각의 일측은 상기 제2단차에 밀착되거나 연결될 수 있어 상기 복수의 핀들 중 적어도 일부-이하 접촉핀이라 함-의 일측과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이 서로 접촉할 경우에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의 형상 및 접촉력에 대응하여 상기 접촉핀에 각각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접촉핀의 상기 일측이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에 밀착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는 복수의 탄성부재들의 탄성력을 통하여 복수의 핀들을 대상물의 표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대상물의 형상, 치수 등의 변화에 관계없이 사용가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는 고정부를 통하여 복수의 핀들을 압박할 수 있어 대상물을 드라이버에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대상물을 원하는 위치에 효과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는 광원부를 구비함으로써 대상물을 체결하기 원하는 위치에 광을 제공할 수 있어 어두운 환경에서의 작업 편의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는 뚜껑에 배치되는 자석을 통하여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프링 컨테이너와 복수의 탄성부재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복수의 핀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밀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밀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대상물이라는 용어는 나사, 볼트 등 조임을 통하여 체결용도로 사용되는 체결구를 아우르는 용어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의 개념도이다. 도 1의 (a) 및 (b)는 각각 뚜껑이 체결되기 전과 후의 다 형상 홀 드라이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c)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에 배치되는 제1광원부와 제2광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프링 컨테이너와 복수의 탄성부재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 (b) 및 (c)는 각각 스프링 컨테이너, AA’선에 따른 스프링 컨테이너의 단면도 및 복수의 탄성부재들이 배치된 스프링 컨테이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복수의 핀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는 각각 복수의 채널들에 삽입되는 복수의 핀들 및 복수의 핀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부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각각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에 스프링 컨테이너가 수용되기 전 및 수용된 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복수의 핀들이 대상물과 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 내지 (e)는 고정부를 통하여 대상물을 고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활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 형상 홀 드라이버(100)는 하우징(110), 스프링 컨테이너(120), 복수의 탄성부재들(130) 및 복수의 핀들(140)을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다 형상 홀 드라이버(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 고정부(160), 제1광원부(170), 제2광원부(170a), 복수의 걸림부들(180), 뚜껑(19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개방된 일측(110a)을 가지며, 개방된 일측(110a)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제1내부공간(110b)을 가진다. 하우징(110)의 제1내부공간(110b)은 복수의 핀들(140)의 일측이 대상물(10, 도 5 참조)의 표면과 밀착될 경우에 복수의 핀들(140)의 타측을 포함하는 부분(140a)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하우징(110)의 내면에는 축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지지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대는 하우징(110)과 스프링 컨테이너(120)가 서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타측을 압박하여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외면이 하우징(110)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는 하우징(110)과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가 서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의 타측을 압박하여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의 외면이 하우징(110)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한편, 하우징(110)의 외면에는 제2지지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대는 하우징(110)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통하여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외면 또는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의 외면과 연결되어 스프링 컨테이너(120) 또는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스프링 컨테이너(120)는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을 가지며,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채널들(122)을 가진다. 스프링 컨테이너(120)는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외면이 하우징(110)의 일측(110a)에 인접한 하우징(110)의 내면과 밀착되어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도면에는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를 경유하여 하우징(110)의 상기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스프링 컨테이너(12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스프링 컨테이너(120)는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하우징(110)의 상기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는 생략될 수 있다.
복수의 채널들(122) 각각은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상기 일면에서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상기 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이동통로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이동통로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져 제1단차(124)를 형성한다. 도면에는 상기 복수의 이동통로들의 예로서 두 개의 이동통로들(122a, 122b)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 복수의 이동통로들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복수의 탄성부재들(130)은 복수의 채널들(122)에 배치된다. 복수의 탄성부재들(130) 각각의 타측은 제1단차(124)에 밀착되거나 연결된다. 도면에는 복수의 탄성부재들(130)로서 제1단차(124)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 형상의 탄성체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복수의 탄성부재들(130)로서 판스프링 형상의 탄성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핀들(14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복수의 탄성부재들(130)로서 사용될 수 있는 탄성체에는 그 제한이 없다. 도 2 및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탄성부재들(130)은 복수의 채널들(122)에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핀들(140)이 이동하거나 변형되더라도 복수의 탄성부재들(130)은 서로 간섭하지 아니하거나 복수의 탄성부재들(130) 사이의 간섭을 줄여줄 수 있다.
복수의 핀들(140)은 복수의 채널들(122)에 배치되며, 복수의 탄성부재들(1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일례로, 복수의 핀들(140)은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상기 일면 방향에서 복수의 채널들(122)에 삽입됨으로써 복수의 채널들(122)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핀들(140)의 타측을 포함하는 부분(140a)이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상기 타면 밖으로 노출되고, 일측을 포함하는 부분(140b)이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상기 일면 밖으로 노출된다. 복수의 핀들(140) 각각은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상기 일면에서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상기 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서로 다른 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서로 다른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져 제2단차(146)를 형성한다. 도면에는 상기 서로 다른 영역들의 예로서 두 개의 영역들(142a, 142b)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 서로 다른 영역들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이 경우, 복수의 탄성부재들(130) 각각의 일측은 제2단차(146)에 밀착되거나 연결될 수 있어 복수의 핀들(140) 중 적어도 일부-이하 접촉핀(146, 도 5 참조)이라 함-의 일측과 대상물(10)의 상기 표면이 서로 접촉할 경우에 대상물(10)의 상기 표면의 형상 및 접촉력에 대응하여 접촉핀(146)에 각각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접촉핀(146)의 상기 일측이 대상물(10)의 상기 표면에 밀착된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100)는 복수의 탄성부재들(130)의 탄성력을 통하여 복수의 핀들(140)을 대상물(10)의 표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체결구인 대상물(10)의 형상, 치수 등의 변화에 관계없이 사용가능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100)를 사용하여 대상물(10)을 가구, 벽 등과 같은 목적물에 고정시키려는 사용자는 먼저 복수의 핀들(140)의 일측을 대상물(10)의 표면에 접촉시킨 후 압력을 가한다. 복수의 핀들(140) 중에서 사용자가 압력을 인가함에 따라 대상물(10)의 상기 표면과 접하는 접촉핀(146)은 사용자가 인가하는 압력과 대상물(10)의 상기 표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의 채널들(122)을 통하여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접촉핀(146)의 타측을 포함하는 부분(140a)은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타측 방향으로 노출된 후 하우징(110)의 제1내부공간(100b)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탄성부재들(130) 중에서 접촉핀(146)에 대응되는 탄성부재는 압축되어 접촉핀(146)의 제2단차(144)를 통하여 접촉핀(146)에 탄성력으로서 복원력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접촉핀(146)의 일측은 대상물(10)의 상기 표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접촉핀(146)의 상기 일측은 대상물(10)의 상기 표면이 변화하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하우징(110)을 통하여 스프링 컨테이너(120)에 회전력을 인가하면 대상물(10)은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100)는 체결구인 대상물(10)의 형상, 치수 등의 변화에 관계없이 사용가능이 가능하다.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에는 스프링 컨테이너(120)가 수용될 수 있다.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는 몸체(152) 및 가이드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52)에는 제1관통홀(15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스프링 컨테이너(120)가 수용될 수 있다. 가이드부(154)는 몸체(152)에 배치되며, 가이드부(154)에는 제1관통홀(152a)과 연통되는 제2관통홀(15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의 외면이 하우징(110)의 일측(110a)에 인접한 하우징(110)의 내면에 밀착되고,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외면이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스프링 컨테이너(120)는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핀들(140)의 일측을 포함하는 부분(140b) 중 적어도 일부는 제1관통홀(152a)을 통하여 제2관통홀(154a)로 유입된 후 가이드부(154)의 내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접촉핀(146)의 일측과 대상물(10)의 표면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하우징(110)에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복수의 핀들(140) 각각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접촉핀(146)의 상기 일측이 대상물(10)의 상기 표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부(154)는 도 4의 (a) 및 (b)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상기 일면으로 노출된 복수의 핀들(140)의 일측을 포함하는 부분(140b)의 측면을 가이드 하고, 지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핀들(140)의 일측을 포함하는 부분(140b) 중 적어도 일부는 제1관통홀(152a)을 통하여 제2관통홀(154a)로 유입된 후 가이드부(154)의 내면에 의하여 가이드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대상물(10)을 가구, 벽 등과 같은 목적물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먼저 복수의 핀들(140)의 일측을 대상물(10)의 표면에 접촉시킨 후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상물(10)의 머리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가이드부(154)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하우징(110)을 통하여 스프링 컨테이너(120) 또는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에 회전력을 인가하면 대상물(10)은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목적물의 재질에 따라 사용자가 강한 회전력을 가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는 이러한 상황에서 대상물(10)의 머리부분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지탱해 줄 수 있어 복수의 핀들(140) 즉, 접촉핀(146)이 회전과정에서 대상물(10)의 표면에서 미끌어지거나 튕기는 것을 방지하여 대상물(10)이 안정적으로 목적물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해 줄 수 있다.
한편,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의 내면에는 축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3지지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대는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와 스프링 컨테이너(120)가 서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타측을 압박하여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외면이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한편,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의 외면에는 제4지지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대는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통하여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외면과 연결되어 스프링 컨테이너(12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부(160)는 가이드부(154)와 결합되며, 제2관통홀(154a)과 연통되는 제3관통홀(162a)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5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54)의 외면과 가이드부(154)의 내면을 관통하는 벌어진 틈(gap)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54)와 고정부(160)는 가이드부(154)의 상기 외면과 고정부(160)의 상기 내면 간의 결합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부(154)와 고정부(160)는 가이드부(154)의 상기 외면과 고정부(160)의 상기 내면 간의 결합은 나사 결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나사 결합을 위하여 가이드부(154)의 상기 외면 및 고정부(160)의 상기 내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 및 나사골이 형성되거나, 서로 대응되는 나사골 및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나사 결합의 방향은 대상물(10)을 목적물에 체결하기 요구되는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100)를 사용하여 목적물에 대상물(10)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고정부(16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관통홀(162a)의 단면적은 가이드부(15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가이드부(154)와 고정부(160) 간의 상기 나사 결합 과정에서 가이드부(154)에 가해지는 압박력에 의하여 틈(gap)의 폭이 줄어들 수 있다. 틈(gap)의 폭이 줄어듦으로써 제2관통홀(154a)로 유입된 복수의 핀들(140) 즉, 복수의 핀들(140)의 일측을 포함하는 부분(140b) 중 상기 적어도 일부는 가이드부(154)의 내면에 의하여 압박될 수 있다. 고정부(160)와 가이드부(154)의 틈(gap)을 활용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물(10)을 다 형상 홀 드라이버(100)에 고정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100)는 고정부(160)를 통하여 복수의 핀들(140)을 압박할 수 있어 대상물(10)을 드라이버(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다 형상 홀 드라이버(100)는 대상물(10)을 미리 드라이버(100)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대상물(10)을 목적물의 원하는 위치에 효과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제1광원부(170)는 하우징(110)의 일측(110a) 또는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150)의 몸체(15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광원부(170)는 복수의 핀들(140)의 일측 방향, 즉 대상물(10) 방향으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광원부(170)가 제공하는 상기 광을 통하여 대상물(10)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는 하우징(110)의 일측(110a)에 배치된 제1광원부(17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제2광원부(170a)는 하우징(110)의 제1내부공간(110b)에 배치되며, 복수의 핀들(140)의 타측, 즉 대상물(10) 방향을 향하여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핀들(140) 각각의 내부에는 복수의 핀들(140) 각각의 상기 일측 및 복수의 핀들(140) 각각의 상기 타측을 연결하는 제4관통홀(미도시)을 형성될 수 있다. 제2광원부(170a)가 제공하는 상기 광은 상기 제4관통홀을 경유하여 복수의 핀들(140)의 상기 일측으로 조사됨으로써 사용자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대상물(10)을 확인할 수 있다.
제1광원부(170) 및 제2광원부(170a)로는 LED 광원, 형광등, 백열등 등 다양한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제1광원부(170) 및 제2광원부(170a)의 동작은 하우징(110)에 내장된 제어부(미도시)와 하우징(110)의 외면에 배치된 동작버튼(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되고 작동될 수 있다. 제1광원부(170) 및 제2광원부(170a)에 제공되는 전원은 외부 전원이거나 하우징(110)에 배치된 내부 전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100)는 제1광원부(170), 제2광원부(170a)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함으로써 대상물(10)을 체결하기 원하는 위치에 광을 제공할 수 있어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용자에게 작업편의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들(180)은 복수의 핀들(140)의 상기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들(180) 각각의 단면적은 스프링 컨테이너(120)의 상기 타측 방향으로 노출된 복수의 채널들(122) 각각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걸림부들(180)은 복수의 핀들(140), 즉 접촉핀(146) 중 적어도 일부와 대상물(10)의 상기 표면과의 접촉이 해제될 경우에 복수의 탄성부재들(130)의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접촉핀(146) 중 적어도 일부가 스프링 컨테이너(12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르게는, 복수의 걸림부들(180)은 스프링 컨테이너(120)에 삽입된 복수의 핀들(140)이 스프링 컨테이너(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아울러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는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복수의 핀들(140)의 상기 타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부들(18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걸림부들(180)에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제2광원부(170a)가 제공하는 상기 빛이 상기 제4관통홀을 통하여 대상물(10) 방향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걸림부들(180)은 복수의 핀들(140)의 상기 타측을 두들겨 펴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복수의 핀들(140)이 스프링 컨테이너(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 복수의 걸림부들(180)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다.
뚜껑(190)은 하우징(110)의 일측(110a) 및 하우징(110)의 타측과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뚜껑(190)은 복수의 핀들(140)의 일측을 포함하는 부분(140b)을 감쌀 수 있는 제2내부공간(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뚜껑(190)의 상기 제2내부공간은 뚜껑(190)의 일측(190a)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며, 뚜껑(190)의 타측(190b)에는 함몰부(192)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190)의 함몰부(192)에 인접한 부분에는 자석(미도시)이 배치되어 대상물(10)을 상기 자석의 자기력에 의하여 뚜껑(190)의 함몰부(192)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함몰부(192)에 배치되거나, 함몰부(192)와 접하는 상기 제2내부공간의 내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100)는 뚜껑(190)에 배치되는 자석을 통하여 대상물(10)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작업의 편의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 : 대상물
100 : 다 형상 홀 드라이버
110 : 하우징
110a : 개방된 일측
110b : 제1내부공간
120 : 스프링 컨테이너
122 : 복수의 채널들
122a, 122b : 서로 다른 복수의 이동통로들
124 : 제1단차
130 : 복수의 탄성부재들
140 : 복수의 핀들
140a : 타측을 포함하는 부분
140b : 일측을 포함하는 부분
142a, 142b : 서로 다른 영역들
144 : 제2단차
146 : 접촉핀
150 :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
152 : 몸체
152a : 제1관통홀
154 : 가이드부
154a : 제2관통홀
160 : 고정부
162a : 제3관통홀
170 : 제1광원부
170a : 제2광원부
180 : 복수의 걸림부들
190 : 뚜껑
190a : 뚜껑의 일측
190b : 뚜껑의 타측
192 : 함몰부

Claims (7)

  1. 개방된 일측을 가지며, 상기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제1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을 가지며,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채널들을 가지는 스프링 컨테이너;
    상기 복수의 채널들에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들;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들에 의하여 지지되며, 타측을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타면 밖으로 노출되고, 일측을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일면 밖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내부공간은 상기 복수의 핀들의 상기 일측이 대상물의 표면과 밀착될 경우에 상기 복수의 핀들의 상기 타측을 포함하는 상기 부분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는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외면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각각은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일면에서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이동통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통로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져 제1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들 각각의 타측은 상기 제1단차에 밀착되거나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핀들 각각은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일면에서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타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서로 다른 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서로 다른 영역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져 제2단차를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들 각각의 일측은 상기 제2단차에 밀착되거나 연결될 수 있어 상기 복수의 핀들 중 적어도 일부-이하 접촉핀이라 함-의 일측과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이 서로 접촉할 경우에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들 중 상기 접촉핀에 대응되는 탄성부재가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의 형상 및 접촉력에 대응하여 상기 접촉핀에 각각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접촉핀의 상기 일측은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에 밀착되며,
    상기 접촉핀의 상기 일측이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대상물은 회전하되,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들은 상기 복수의 채널들에 배치되므로 상기 대상물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상기 회전력이 인가되더라도 서로 간섭하지 아니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가 수용되는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는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가 내부에 수용되며, 제1관통홀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배치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의 외면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외면이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핀들의 상기 일측을 포함하는 상기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2관통홀로 유입된 후 상기 가이드부의 내면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접촉핀의 상기 일측과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인가되는 상기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핀들 각각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핀의 상기 일측이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관통홀과 연통되는 제3관통홀을 가지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과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내면을 관통하는 벌어진 틈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외면과 상기 고정부의 내면 간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되,
    상기 제3관통홀의 단면적은 상기 가이드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형상을 가져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고정부 간의 상기 나사 결합 과정에서 상기 틈의 폭이 줄어듦으로써 상기 제2관통홀로 유입된 상기 복수의 핀들이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내면에 의하여 압박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 또는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 지지부의 상기 몸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핀들의 상기 일측 방향으로 광을 제공하는 제1광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광원부가 제공하는 상기 광을 통하여 상기 대상물을 확인할 수 있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핀들의 상기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부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걸림부들 각각의 단면적은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의 상기 타면 방향으로 노출된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각각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걸림부들은 상기 접촉핀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대상물의 상기 표면과의 접촉이 해제될 경우에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접촉핀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프링 컨테이너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측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과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핀들의 상기 일측을 포함하는 상기 부분을 감쌀 수 있는 제2내부공간을 가지는 뚜껑을 더 포함하되,
    상기 뚜껑의 상기 제2내부공간은 상기 뚜껑의 일측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뚜껑의 타측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상기 함몰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자석이 배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자석의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뚜껑의 상기 함몰부에 보관할 수 있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핀들의 상기 타측을 향하여 광을 제공하는 제2광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핀들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핀들 각각의 상기 일측 및 상기 복수의 핀들 각각의 상기 타측을 연결하는 제4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광원부가 제공하는 상기 광은 상기 제4관통홀을 경유하여 상기 복수의 핀들의 상기 일측으로 조사됨으로써 상기 대상물을 확인할 수 있는 다 형상 홀 드라이버.
KR1020160035656A 2015-03-27 2016-03-25 다 형상 홀 드라이버 KR101744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515 2015-03-27
KR20150043515 2015-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811A KR20160115811A (ko) 2016-10-06
KR101744438B1 true KR101744438B1 (ko) 2017-06-08

Family

ID=5700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656A KR101744438B1 (ko) 2015-03-27 2016-03-25 다 형상 홀 드라이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4438B1 (ko)
WO (1) WO20161595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312A (ko) * 2020-02-17 2021-08-25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능 나사 드라이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4345A (zh) * 2016-05-04 2017-11-1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螺丝刀
KR102193116B1 (ko) * 2019-08-02 2020-12-18 조경애 드라이버
KR102559673B1 (ko) * 2021-05-25 2023-07-27 한국기계연구원 유니버셜 그리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402A (ja) * 2007-07-13 2009-01-29 Toyota Motor Corp 締め付け工具
JP2009269135A (ja) * 2008-05-08 2009-11-19 Manabu Akazawa 万能ドライバー
US20100192732A1 (en) * 2009-01-30 2010-08-05 David Charles Campbell Multiple Pin Retention For Universal Socke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5277A (ja) * 2000-02-16 2001-08-21 Funai Electric Co Ltd プラス・マイナス一体型ドライバー
US8037789B2 (en) * 2009-05-21 2011-10-18 Jonathan Paul Tanger Wall anchor installation device
KR20130017469A (ko) * 2011-08-10 2013-02-20 김재환 +-겸용 일체형 드라이버
KR20140074109A (ko) * 2012-12-07 2014-06-17 홍태호 드라이버
KR101445676B1 (ko) * 2014-05-15 2014-10-01 임병찬 맞춤 일체형 드라이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402A (ja) * 2007-07-13 2009-01-29 Toyota Motor Corp 締め付け工具
JP2009269135A (ja) * 2008-05-08 2009-11-19 Manabu Akazawa 万能ドライバー
US20100192732A1 (en) * 2009-01-30 2010-08-05 David Charles Campbell Multiple Pin Retention For Universal Sock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312A (ko) * 2020-02-17 2021-08-25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능 나사 드라이버
KR102324936B1 (ko) * 2020-02-17 2021-11-10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만능 나사 드라이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9573A1 (ko) 2016-10-06
KR20160115811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438B1 (ko) 다 형상 홀 드라이버
US20120301244A1 (en) Floating fastener
US20100101380A1 (en) Versatile Tool
HK1075863A1 (en) Clamping apparatus
US11597043B2 (en) Bolt tensioning assembly and method for tensioning of a bolt
US9486898B2 (en) Sliding head locking pin clamp
JP2016061365A (ja) フレーム連結具
US20140070476A1 (en) Locking mechanism
JP2009063070A (ja) 分割ナット
US9511481B2 (en) Pin clamp having integrated check valve
JP5534639B2 (ja) デスク
US11447080B2 (en) Wire harness retainer assembly and methods for use
US20140271033A1 (en) Bolt With Integrated Gasket
JP2013221603A (ja) シール部材組付具及びシール部材の組付方法
JP3124728U (ja) 加工装置の挟持ヘッド
JP2007224973A (ja) ネジ
TWI707749B (zh) 安裝套件
US20210048054A1 (en) Fastener structur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3239224U (ja) レンチ頭部の蓋閉構造
JP2018034262A (ja) ボルト保持治具
KR20210025306A (ko) 드라이버
US8893593B2 (en) Tool for deforming threads at a particular location on a fastener
JP2023106796A (ja) ワンタッチ式ファスナー
WO2004085862A1 (ja) 長手方向締結具、長手方向締結組立体およびその締結方法
JP2010196732A (ja) 管接続部用の弛緩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