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919B1 -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919B1
KR101739919B1 KR1020160020870A KR20160020870A KR101739919B1 KR 101739919 B1 KR101739919 B1 KR 101739919B1 KR 1020160020870 A KR1020160020870 A KR 1020160020870A KR 20160020870 A KR20160020870 A KR 20160020870A KR 101739919 B1 KR101739919 B1 KR 101739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okbunja
hfd
metabolic syndrome
cholest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549A (ko
Inventor
이영익
이혜빈
남미경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20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9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지질 대사 관여 유전인자 및 효소의 발현을 억제하고, 체중, 지방 및 당 내성도를 감소시키며, 중성지질(TG) 및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며, 지방간을 억제하며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은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뇌혈환 질환 및 심장마비를 유발할 수 있는 대사증후군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of anti―metabolic syndrome effects containing extract of unripened Rubus coreanus Miquel}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고 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당대사이상 및 혈액응고 이상과 같은 위험인자가 같이 나타나는 증후군을 지칭한다.
이러한 대사증후군(代謝 症候群) 또는 메타볼릭 신드롬(Metabolic Syndrome)은 각종 심혈관 질환과 제 2형 당뇨병의 위험 요인들이 서로 군집을 이루는 현상을 한 가지 질환군으로 개념화시킨 것이다. 인슐린저항성 및 이와 관련된 복잡하고 다양한 여러 대사이상과 임상양상을 모두 포괄하여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개념이다. 대사증후군을 가질 경우 심혈관 질환 혹은 제2형 당뇨병의 발병 위험도가 증가된다.
이 증상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으나 1988년 Reaven은 이러한 증상들이 공통적인 원인이 체내의 인슐린 작용이 잘 되지 않는 인슐린저항성임을 주장하고 엑스(x)증후군 및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이라고 명명했다. 1998년 세계보건기구는 인슐린저항성이 이 증상들의 모든 요소를 다 설명할 수 있다는 확증이 없기에 '인슐린 저항성증후군'이라는 용어를 대신하여 '대사증후군'으로 부르기로 했다.
주요 증상은 혈당 대사이상으로 인한 당뇨병, 지질대사 이상으로 인한 중성지방 증가, 고밀도 콜레스테롤, 나트륨 성분 증가로 인한 고혈압, 요산 증가로 인한 통풍(痛風)등이다.
이러한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으로 미국 국립콜레스테롤 교육프로그램(NCEP)이 제시한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복부비만 : 허리 둘레 남성 102 cm(동양인 90 cm), 여성 88 cm(동양인 80 cm) 이상
중성지방 : 150 mg/dr 이상
고밀도 콜레스테롤 : 남성 40 md/dr , 여성 50 mg/dr
공복 혈당 : 110 mg/dr 이상 또는 당뇨병 치료 중
혈압 : 수축기 13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 85 mmHg 이상
이러한 5가지 지표 가운데 3가지 이상이 기준치를 넘으면 대사증후군으로 본다.
대사증후군의 원인으로는 인슐린 저항성이 가장 먼저 지적되었는데 혈관을 낮추기 위해 과량 분비된 인슐린이 혈관을 조절하지 못하며 오히려 혈관세포 증식을 유도해 혈관 벽을 두껍게 하고, 지방분해를 촉진해 중성지방을 높이며 HDL-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총체적으로 고혈압, 고지혈증 및 복부비만 등 대사증후군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성인병 증가와 더불어 동맥경화 등의 혈관장애 질환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중, 혈전증은 생체내의 심혈관 및 혈관 내에서 혈액의 응고로 형성된 혈전이 혈관계 내를 흐르는 동안 생리적 손상을 받을 경우 혈액 성분의 하나인 혈소판 침착하는 기전으로부터 발생 된다. 생체 내에서 혈액은 응고와 용해작용이 항상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정상적으로 순환되는 동안에는 혈전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여러 가지 병적인 요인으로 인해 균형이 깨지게 되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혈액의 기능적 이상 및 순환 이상 발생은 다양한 혈관계 질환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기능 및 순환 장애가 뇌 및 심장 등에서 나타나는 경우, 생명에 치명적이 되며 및 그 후유증 또한 심각하다. 우리나라의 사망 및 사망원인에 대한 통계 결과를 보면, 암, 뇌혈관질환 및 심장질환 순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07년 통계연보)
대사증후군은 인구의 고령화와 환경변화에 의해 발병률과 유병률이 급증하고 있고, 이에 따른 사망률은 매우 높으며, 합병증 발병률도 매우 높았다고 알려지고 있어, 회복이 되어도 경제적 사회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나타내므로 근본적인 원인 예방 및 치료용 약물 또는 식품 개발이 시급한 설정이다.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의 위험과 당뇨병 발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일단 진단이 되면 이들 질환 발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적극적인 치료에 나서야 한다. 일차적인 치료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1년에 5 - 10%의 체중감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칼로리를 제한하고, 운동량 증가시키며 및 식사내용을 변화시켜야 한다. 생활습관의 개선만으로 충분치 않거나, 심혈관질환의 위험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인슐린 증감제(Sensitizer)을 사용해 약물치료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치료할 수 있는 뚜렷한 방법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으므로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비만이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므로 적절한 체중 유지와 규칙적인 운동으로 예방해야 한다. 또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정신적 육체적 환경을 잘 조절해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는 장미과 루버스(Rubus) 속의 코리아누스(coreanus) 종으로 주로 우리나라 전북 지역(고창, 정읍, 순창, 김제) 해발 50 - 1,10m 지역 산기슭 양지에서 자란다. 복분자는 4월 말이나 5월에 흰 꽃이 피고 검붉은 빛깔로 익는데 익은 것은 새콤달콤하여 맛이 좋다. 복분자는 예로부터 기운을 돋우고 몸을 가볍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특히 신장을 강하게 한다고 민간에 알려져 결막염, 유행성 눈병, 어린이의 야뇨증을 치료하는데 쓰여왔다(안택균, 한국본초도감, 교학사 p.748, 2000).
그러나 복분자는 지질대사 관여 유전자 감소, 당내성도, 콜레스테롤 개선 및 혈행개선 등 대사증후군 관련 효능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대사증후군 질환을 연구하던 중,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지질 대사 관여 유전인자의 발현 및 효소 활성을 억제하고, 체중, 지방 및 당 내성도를 감소시키며,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지방간을 억제하며, 혈행 개선을 나타냄으로써, 상기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대사증후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유기용매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유기용매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이 지질 대사 관여 유전인자 및 효소의 발현을 억제하고, 체중, 지방 및 당 내성도를 감소시키며, 중성지질(TG) 및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지방간을 억제한다. 또한,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은 혈행순환을 촉진하여, 뇌혈환 질환 및 심장마비를 유발할 수 있는 대사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고도비만 유도동물이용(C57BL/6Nmice), 대사증후군 예방 실험에서 정상식이(ND), 고지방식이(HFD) 및 고지방식이+복분자 미숙과 추출물(HFD+RFex)을 처리했을 때의 체중증가(A)와 지방무게(B)의 비교에 대한 결과에 대한 그림이다.
도 2는 고도비만 유도동물이용(C57BL/6Nmice), 대사증후군 예방 실험에서 정상식이(ND), 고지방식이(HFD) 및 고지방식이+복분자 미숙과 추출물(HFD+RFex) 처리시 간 무게(A)와 간의 ALT, AST 활성(B)변화에 관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고도비만 유도동물이용 대사증후군 치료실험에서 고지방식으로 고도비만이 유도된 C57BL/6Nmice(HFD)에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RFex) 처리시 체중 변화(A) 및 체중증가(B)를 나타낸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고도비만 유도동물이용 대사증후군 치료실험에서 고지방식으로 고도비만이 유도된 C57BL/6Nmice(HFD)에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RFex) 처리시 간의 무게(A) 및 ALT 및 AST 레벨(B)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고콜레스테롤 유도동물이용(C57BL/6Nmice), 항 콜레스테롤 효과 실험에서 정상식이(NC), 고 콜레스테롤 유도(HC) 및 고 콜레스테롤+복분자 미숙과 추출물(HC+RFex) 처리시 간 무게(A) 및 ALT(B)의 변화 및 간조직에 대한 조직학적 분석을 한 결과(C)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고도비만 유도동물이용(C57BL/6Nmice), 대사증후군 예방실험에서 정상식이(ND), 고지방식이(HFD)와 고지방식이+복분자 미숙과 추출물(HFD+RFex) 처리시 간의 중성지방(TG), 총 콜레스테롤(TC)에 대한 비교 도면(A)와, 각각의 간조직에 대한 조직학적인 분석(B)을 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고도비만 유도동물이용(C57BL/6Nmice), 대사증후군 예방실험에서 정상식이(ND), 고지방식이(HFD)와 고지방식이+복분자 미숙과 추출물(HFD+RFex) 처리시 혈장의 렙틴 레벨(leptin level)을 표시한 그림이다.
도 8은 고도비만 유도동물이용(C57BL/6Nmice), 대사증후군 치료실험에서 고지방식으로 고도비만이 유도된 C57BL/6Nmice(HFD)에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HFD+RFex) 처리시 혈장(A) 및 간(B)의 중성 지질과 총콜레스테롤 양의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며, 각각의 간조직에 대한 조직학적 분석을 확인한 결과(C)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9는 고콜레스테롤 유도동물이용(C57BL/6Nmice), 항 콜레스테롤 효과 실험에서 정상식이(NC), 고 콜레스테롤 유도(HC) 및 고콜레스테롤+복분자 미숙과 추출물(HC+RFex) 처리시 혈장에서 총 콜레스테롤(A), LDL-콜레스테롤(B)의 변화에 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0은 고콜레스테롤 유도동물이용(C57BL/6Nmice), 항 콜레스테롤 효과 실험에서 정상식이(NC), 고 콜레스테롤 유도(HC) 및 고콜레스테롤+복분자 미숙과 추출물(HC+RFex) 처리시 간의 총 지질(A), 총 콜레스테롤(B) 및 중성지방(C)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1은 고콜레스테롤 유도동물이용(C57BL/6Nmice), 항 콜레스테롤 효과 실험에서 정상식이(NC), 고 콜레스테롤 유도(HC) 및 고콜레스테롤+복분자 미숙과 추출물(HC+RFex) 처리시 동맥경화지수;AI(A) 및 심혈관위험지수;CRF(B)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2는 고도비만 유도동물이용(C57BL/6Nmice), 대사증후군 예방 실험에서 정상식이(ND), 고지방식이(HFD) 및 고지방식이+복분자 미숙과 추출물(HFD+RFex) 처리시 지방간 형성관여 유전자 발현 측정을 위한 실시간 PCR(real time PCR) 프라이머(primer) 염기 서열(표 2) 및 지방간 형성 관여 유전자의 발현을 나타낸 PCR 결과이며(A), 상기 결과를 정량화(B)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3은 고도비만 유도동물이용(C57BL/6Nmice), 대사증후군 예방 실험에서 정상식이(ND), 고지방식이(HFD) 및 고지방식이+복분자 미숙과 추출물(HFD+RFex) 처리시 지방형성 조절 효소의 활성도를 나타낸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4는 실험동물은 C57BL/6N 마우스에 고지방식을 8주간 투여 후 당뇨를 유발시켜 당뇨 유발된 실험동물을 8시간 공복 상태를 유지한 후에 혈액의 글루코스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5는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RFex)의 혈소판 응집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복분자 미숙과(Rubi Fructus)'는 복분자 꽃이 지면서 맺는 초록색의 열매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4월 내지 9월에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월 내지 8월, 가장 바람직하게는 5월 내지 7월에 수득한다. 상기 '초록색의 열매'라 함은 460 nm - 580 nm파장을 나타내는 색의 열매를 말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90 nm - 570 nm 파장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복분자 미숙과는 복분자 꽃이 지면서 맺는 초록색의 열매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4월 내지 9월에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월 내지 8월, 가장 바람직하게는 5월 내지 7월에 수득한다.
또한, 복분자 미숙과 또는 복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복분자 미숙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2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진탕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를 건조된 복분자 미숙과 분량에 1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3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0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15 내지 30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3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 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대사증후군 질환은 지질대사 이상, 당 내성 유발,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및 혈액 순환 저해에 의해 기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은 지질대사 생성 유전자인 SREBP1c, ACC1, LPL, LXR, CD36, FAS 및 관련 지질대사 생성 유전인자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FAS 및 HMG-CoAR의 효소 발현을 억제시키며, CPT의 효소 발현을 증가시켜 지방간 생성을 억제하고, 체중증가를 억제하며, 당내성도, 중성지질(Triglyceride), 콜레스테롤(Cholesterol) 및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및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은 혈액응고, 혈소판응집 및 지질형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유기용매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기 용매는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메탄 및 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대사증후군의 질환에 대한 예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하는 마우스에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함께 8주간 공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HFD)에 비하여 실험군(HFD+RFex)에서 체중과 체지방무게가 감소되었고(도 1 참조), 간 무게와 간의 효소인 AST, ALT의 수치도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또한, 비만 유도 동물에 의한 대사증후군 치료에 관한 연구하기 위하여, 고지방식이(HFD, 60 Kcal% 지방 함유)를 이용하여 8주간 비만을 유도한 뒤 난괴법에 따라 대조군(HFD, 고지방식이), 실험군(HFD+RFex, 고지방식이+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으로 나누었다. 그런 다음 대조군은 고지방 식이를 5주간 공급하였고, 실험군은 고지방식이 공급과 함께 복분자 추출물을 5주간 경구투여 한 결과, 비만 유도 동물에 의한 대사증후군 치료에 관한 연구에서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의 체중 및 체중증가율이 감소되었으며(도 3 참조) 간 무게와 간의 효소인 AST 및 ALT의 수치도 감소되었다(도 4 참조).
또한, 고콜레스테롤 유도 동물에서의 항 콜레스테롤 효과에 대한 연구를 하기 위하여, 고콜레스테롤식이(HC)와 정상식이(NC)를 사용하여 8주간 공급하였고, 실험군은 고콜레스테롤식이 공급과 함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8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HC)에 비해 실험군(HC+RFex)의 간 무게와 간의 효소인 ALT의 수치도 감소되었으며 간의 조직학적 관찰 결과에서 대조군(HC)에 비해 실험군(HC+RFex)의 조직의 손상이 적어지고 지방구의 크기 및 수가 감소되었다(도 5 참조).
혈장 지질 농도 및 간조직 검사를 하기 위하여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RFex) 투여 기간 종료 후 혈액을 채취하여 혈장 효소(AST, ALT)와 지질 수준(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을 분석하였고 간의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간세포의 변화를 형태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도비만 유도동물에 의한 대사증후군 예방에 관한 연구에서는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의 간지질(TG 및 TC)이 감소하였고 조직학적 관찰 결과에서도 지방구의 크기 및 수가 감소되었으며(도 6 참조), 지방세포의 대사를 조절하는 렙틴(Leptin)도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에서 감소되었고(도 7 참조), 그 외 혈장의 지질(TC, TG 및 LDL-C)수준도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에서 감소되었다(표 1 참조). 고도비만 유도동물에 의한 대사증후군 치료에 관한 연구 결과에서도 혈장과 간조직의 지질(TC 및 TG)수준이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에서 감소되었고 조직학적 관찰 결과에서도 지방구의 크기 및 수가 감소되었다(도 8 참조). 또한 고콜레스테롤 유도 동물에 의한 항콜레스테롤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도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에서 혈장지질(TC 및 LDL-C)과 간지질(전체 지질, TC 및 TG) 수준이 감소되었고(도 9 및 도 10 참조), 동맥경화지수(AI)와 심혈관위험지수(CRF)도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에서 감소되었다(도 11 참조).
간지질 형성 유전인자 조사를 위하여 간조직으로부터 RNA를 추출한 뒤 게놈의 DNA로 역전사 시키기 위하여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 RT)를 수행한 결과 비만 유도 동물에 의한 대사증후군 예방에 관한 연구에서 도면과 같이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에서 지질대사 관여 유전자(SREBP1c, ACC1, LPL, LXR, CD36 및 FAS)의 발현 정도가 감소하였다(도 12 참조).
또한, 간지질 형성 효소 조사를 위하여 Hulcher and Oleson(1973)의 방법을 이용하여 간 효소 활성 측정한 결과,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에서 간 지질대사 관여 효소(FAS, HMG-CoA)의 활성이 감소하고 베타-산화(beta-oxidation) 관여 CPT의 활성이 증가하였다(도 13 참조).
또한, 비만 유도 동물에 대한 당뇨 유도 후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처리하여 구강 혈당 부하 검사를 하여 항당뇨 평가 분석한 결과 FBG와 PBG 두 경우 다 실험군(HFD+RFex)이 대조군(HFD)보다 혈액에 글루코스 레벨 낮았으며 RFex에 의해 글루코스에 의한 내당성이 극복되었다(도 14 참조).
또한,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항응고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에이피티티 타임(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프로트롬빈 타임(Prothrombin time, PT) 및 트롬빈 타임(Thrombin Time, TT)를 측정한 결과,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이 혈액응고를 억제하였다(표 3 참조)
아울러,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억제 저해 활성 측정하기 위하여 항혈소판 억제능 정도를 여러 가지 농도에서 측정한 결과 항혈소판 억제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이 유효성분이 지질 대사 관여 유전인자 및 효소의 발현을 억제하고, 체중, 지방 및 당 내성도를 감소시키며, 중성지질(TG) 및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며, 지방간을 억제하며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은 혈행순환을 촉진하여, 뇌혈환 질환 및 심장마비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대사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분자 미숙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복분자 미숙과는 복분자 꽃이 지면서 맺는 초록색의 열매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4월 내지 9월에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월 내지 8월, 가장 바람직하게는 5월 내지 7월에 수득한다.
복분자 미숙과 또는 복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대사증후군 질환은 지질대사 이상, 당 내성 유발,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 및 혈액 순환 저해에 의해 기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은 지질대사 생성 유전자인 SREBP1c, ACC1, LPL, LXR, CD36, FAS 및 관련 지질대사 생성 유전인자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FAS 및 HMG-CoAR의 효소 발현을 억제시키며, CPT의 효소 발현을 증가시켜 지방간 생성을 억제하고, 체중증가를 억제하며, 당내성도, 중성지질(Triglyceride), 콜레스테롤(Cholesterol) 및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및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은 혈액응고, 혈소판응집 및 지질형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유기용매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유기 용매는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메탄 및 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복분자( Rubus coreanus Miquel ) 미숙과( Rubi Fructus ) 추출물의 제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은 복분자 미숙과를 건조한 후, 분쇄된 분말시료 113 g에 에탄올 1l를 가한 후 초음파추출기(SDN-900H, SD-ULTRASONIC CO., LTD)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30회(40 KHz, 15분 추출-120분 정지) 반복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여과하여 감압 농축한 후,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메탄올 추출물(이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이라 명함) 10.33 g을 수득하였다.
< 실험예 1> 고지방식에 의한 비만 유도 생쥐 모델 제작
<1-1> 비만 유도 동물에 의한 대사증후군 예방에 관한 연구
실험동물은 C57BL/6N 수컷마우스를 중앙실험동물(서울, 대한민국)로부터 제공받았다. 이 동물은 7일 동안 사육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자유롭게 고형사료와 물을 섭취할 수 있게 하였고, 22℃의 온도와 50 ± 10%의 상대습도를 유지시켜주며, 12시간 주기로 밤과 낮이 구분 되도록 하였다. 마우스는 난괴법에 따라 정상군(ND, 정상식이), 대조군(HFD, 고지방식이), 실험군(HFD+RFex, 고지방식이+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으로 총 3그룹으로 나누었다. 식이 공급은 중앙실험동물(서울, 대한민국)에서 구입한 고지방식이(HFD, 60 Kcal% 지방 함유)와 정상식이(ND, 10 Kcal% 지방 함유)를 사용하여 8주간 공급하였다. 또한, 실험군은 고지방식이 공급과 함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8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은 승인된 동물관리제도와 사용위원회에 의해 행해졌으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기관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정상군(ND): 식이(Normal diet, 10% fat)를 8주간 주었다.
대조군(HFD): 식이(High fat diet, 60% fat)를 8주간 주었다.
실험군(HFD+RFex): 식이(High fat diet, 60% fat) 및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8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그 결과, 비만 유도 동물에 의한 대사증후군 예방에 관한 연구 결과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에서 체중 및 체지방무게(Epididymal, Retroperitoneal, Perirenal)가 감소되었다(도 1).
또한, 간 무게와 간의 효소인 AST 및 ALT의 수치도 감소됨을 알 수 있다(도 2).
<1-2> 비만 유도 동물에 의한 대사증후군 치료에 관한 연구
실험동물은 C57BL/6N 수컷마우스를 중앙실험동물(서울, 대한민국)로부터 제공받았다. 상기 동물은 7일 동안 사육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자유롭게 고형사료와 물을 섭취할 수 있게 하였고, 22℃의 온도와 50 ± 10%의 상대습도를 유지시켜주며, 12시간 주기로 밤과 낮이 구분 되도록 하였다. 중앙실험동물(서울, 대한민국)로부터 공급된 고지방식이(HFD, 60 Kcal% 지방 함유)를 이용하여 8주간 비만을 유도한 뒤 난괴법에 따라 대조군(HFD, 고지방식이), 실험군(HFD+RFex, 고지방식이+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으로 나누었다. 그런 다음 대조군은 고지방 식이를 5주간 공급하였고, 실험군은 고지방식이 공급과 함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5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은 승인된 동물관리제도와 사용위원회에 의해 행해졌으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기관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대조군(HFD):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에 식이(High fat diet, 60% fat)를 5주간 주었다.
실험군(HFD+RFex):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에 식이(High fat diet, 60% fat)와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5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그 결과, 비만 유도 동물에 의한 대사증후군 치료에 관한 연구 결과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의 체중 및 체중증가율이 감소되었다(도 3).
또한, 간 무게와 간의 효소인 AST 및 ALT의 수치도 감소되었다(도 4).
<1-3> 고콜레스테롤 유도 동물에서의 항 콜레스테롤 효과에 대한 연구
실험동물은 C57BL/6N 수컷마우스를 중앙실험동물(서울, 대한민국)로부터 제공받았다. 상기 동물은 7일 동안 사육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자유롭게 고형사료와 물을 섭취할 수 있게 하였고, 22℃의 온도와 50 ± 10%의 상대습도를 유지시켜주며, 12시간 주기로 밤과 낮이 구분 되도록 하였다. 마우스는 난괴법에 따라 정상군(NC, 정상식이), 대조군(HC, 고콜레스테롤식이), 실험군(HC+RFex, 고콜레스테롤식이+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으로 총 3그룹으로 나누었다. 식이 공급은 중앙실험동물(서울, 대한민국)에서 구입한 고콜레스테롤식이(HC)와 정상식이(NC)를 사용하여 7주간 공급하였다. 또한, 실험군은 고콜레스테롤식이 공급과 함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7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은 승인된 동물관리제도와 사용위원회에 의해 행해졌으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기관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정상군(NC): 식이(Normal cholesterol)를 7주간 주었다.
대조군(HC): 식이(High cholesterol)를 7주간 주었다.
실험군(HC+RFex): 식이(High cholesterol)와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7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그 결과, 고콜레스테롤 유도 동물에 의한 항콜레스테롤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 대조군(HC)에 비해 실험군(HC+RFex)의 간 무게와 간의 효소인 ALT의 수치도 감소되었다. 또한, 간의 조직학적 관찰 결과에서 대조군(HC)에 비해 실험군(HC+RFex)의 조직의 손상이 적어지고 지방구의 크기 및 수가 감소되었다(도 5).
< 실험예 2> 혈장 지질 농도 및 간조직 검사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투여 기간 종료 후 심장천자법을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하고 혈장 효소(AST, ALT)와 지질 수준(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을 분석하였다. 혈장은 혈액을 원심분리(10,000 xg, 5 min, 4 ℃) 하여 -70℃에 보관하였으며, 혈장의 ALT, AST, TG, TC 및 LDL-C수준은 KIRBB의 동물실험연구실에서 자동생화학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간지질 추출은 Folch의 방법(1957)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냉동된 간조직을 0.9 % NaCl 용액을 이용해 균질화하여 CM 솔루션(chloroform - methanol, 1:2, v/v)을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잘 섞고 원심분리(2000xg, 20분)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여 필터링 하였으며, 분리된 클로로폼 층은 분석에 사용되었다. 간의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효소분석 키트(Asan Pharmaceutical Co. Ltd, Seoul, Kore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세포의 형태학적 분석은 H&E(Hematoxilin & Eosin) 염색법을 이용하였다. 간조직을 희석된 10% 포름알제히드(formaldehyde) 용액에 고정시킨 후 에탄올로 탈수하고 파라핀(paraffin)에 포매하여 절편화한 뒤 헤마톡실린-에오진염색(hematoxylin-eosin, H&E)로 염색하였으며,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비만 유도 동물에 의한 대사증후군 예방에 관한 연구에서 도면과 같이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에서 간지질(TG 및 TC)이 감소하였으며, 조직학적 관찰 결과에서도 지방구의 크기 및 수가 감소되었다(도 6).
그리고 지방세포의 대사를 조절하는 렙틴(Leptin)도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에서 감소되었으며(도 7), 그 외 혈장의 지질(TC, TG 및 LDL-C)수준도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에서 감소되었다(표 1).
또한, 비만 유도 동물에 의한 대사증후군 치료에 관한 연구 결과 혈장과 간조직의 지질(TC 및 TG)수준이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에서 감소되었으며 조직학적 관찰 결과에서도 지방구의 크기 및 수가 감소되었다(도 8).
또한, 고콜레스테롤 유도 동물에 의한 항콜레스테롤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 대조군(HC)에 비해 실험군(HC+RFex)에서 혈장지질(TC 및 LDL-C)과 간지질(전체 지질, TC 및 TG) 수준이 감소되었다(도 9 및 도 10).
아울러, 동맥경화지수(AI)와 심혈관위험지수(CRF)도 대조군(HC)에 비해 실험군(HC+RFex)에서 감소되었다(도 11).
ND, HFD 및 HFD + RFex 발현된 쥐에서 혈장 지질 농도
그룹 전체 콜레스테롤
(㎎/dl)
트리그리셀라이드
(Triglyceride)
(㎎/dl)
HDL-콜레스테롤
(㎎/dl)
LDL-콜레스테롤
(㎎/dl)
ND 112.4 ± 3.3 69.4 ± 3.4 97.4 ±4.0 78.6 ± 5.8
HFD 128.6 ± 3.2 110.8 ± 19.4 101.0 ± 2.1 96.6 ± 7.1
HFD+RFex 109.5 ± 2.1 82.8 ± 5.6 120.7 ± 3.0 74.3 ± 4.5
컬럼에서 지질 농도의 값은 유의적 차이 +p<0.05, ++p<0.01 및 *<0.05) 각각의 화합물 ND 및 HFD을 나타낸다.
< 실험예 3> 간지질 형성 유전인자 조사를 위한 PCR
간조직으로부터 RNA를 추출한 뒤 게놈의 DNA로 역전사 시키기 위하여 역전사(reverse transcription, RT)를 수행하였다. RNA와 프라이머 혼합물(올리고 dT, DW)를 혼합하여 변성시킨(72℃ 및 5분) 후 하기 [표 2]의 프라이머가 RNA에 결합하도록 4℃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마스터 혼합액을 넣어 42℃에서 1시간 동안 cDNA를 합성하고 72℃에서 10분간 반응시켜 RTase 활성을 제거한 다음 중합 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실시하였다. PCR 혼합물(cDNA, Primer, 2.5mM dNTPs, 10xbuffer, Taq polymerase, DW)를 제작하여 변성(94~95℃, 1분), 어닐링(annealing)(55~58℃, 1분), 일롱게이션(elongation)(72℃, 1분), 과정을 25~35 사이클 반응시킨 후, 72에서 10분 동안 포스트 익스텐션(post extension) 시켰다. 그런 다음 유전자가 발현하는 정도를 시각화하기 위하여 전기영동을 시행하여 화상분석기(image analyzer, Gel doc)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비만 유도 동물에 의한 대사증후군 예방에 관한 연구 결과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에서 지질대사 관여 유전자(SREBP1c, ACC1, LPL, LXR, CD36 및 FAS)의 발현 정도가 감소하였다(도 12).
유전자 설명
(Gene description)
프라이머
(Primers)
서열(Sequences)(5'→3') 어닐링 온도
(Annealing
temperature)
(℃)
PCR
product
(bp)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factor1
(SREBP1c)
F GCCTGCTTGGCTCTTCTCTT(서열번호 1) 55 102
R AGGTCAGCTTGTTTGCGATG(서열번호 2)
ACC1 F TGATGCAGAGGTACC(서열번호 3) 55 100
R CGTAGTGGCCGTCT(서열번호 4)
lipoprotein lipase (LPL) F TGCCGCTGTTTTGTTTTACC(서열번호 5) 55 172
R TCACAGTTTCTGCTCCCAGC(서열번호 6)
liver X receptor (LXR) F ACAGCCAGACGCTACAACCA(서열번호 7) 55 193
R TGGCGATAAGCAAGGCATAC(서열번호 8)
CD36 antigen (CD36) F ATGACGTGGCAAAGAACAGC(서열번호 9) 55 160
R GAAGGCTCAAAGATGGCTCC(서열번호 10)
fatty acid synthase (FAS) F CTGGCATTCGTGATGGAGTC(서열번호 11) 55 101
R TGTTTCCCCTGAGCCATGTA(서열번호 12)
glyceraldehyde-3-
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F GGAGCCAAAAGGGTCATCAT(서열번호 13) 60 321
R GTGATGGCATGGACTGTGGT(서열번호 14)
< 실험예 4> 간지질 형성 효소 조사를 위한 활성 측정
간 효소 분석은 Hulcher and Oleson(1973)의 방법을 수정하여서 사용하였다. 0.1 mol/L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02 mol/L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2 mmol/L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pH 7.0를 이용하여 균질하여 원심분리(600xg, 10 min)를 하여 세포 잔해를 제거하고 상층액을 다시 원심분리(10,000xg, followed by 12,000 xg, 20 min, 4 ℃)한 뒤 제거하여 미토콘드리아를 얻었다. 그 다음 두 번의 초원심분리(100,000xg, 60 min, 4 ℃)를 통해 사이토졸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미토콘드리아와 마이크로좀 펠렛은 800 ㎕의 균질화 용액에 다시 녹여서 브레드포드(Bradford) 방법을 이용하여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을 표준으로 잡고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FAS 활성은 마이크로좀 일부를 측정하였으며, Nepokroeff Lakshmanan의 방법(1975)에 따라 340 nm에서 마로닐(malonyl)-CoA에 의존적인 NADPH의 산화를 모니터링하여 활성을 산화된 NADPH를 nmol/min/mg의 단백질로 표현하였다. CPT 활성은 Markwell의 방법(Markwell et al., 1973)에 따라 미토콘드리아 분획에 의해 산출되었으며, 결과는 nmol/min/mg의 단백질로 표현하였다. 마이크로좀의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methylglutaryl)-코엔자임(coenzyme)(HMG-CoA) 환원효소의 활성은 수정된 Hulcher and Oleson의 방법(1973)을 사용하였으며, CoA-SH nmol/min/mg의 단백질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 비만 유도 동물에 의한 대사증후군 예방에 관한 연구에서 도면과 같이 대조군(HFD)에 비해 실험군(HFD+RFex)에서 간 지질대사 관여 효소(FAS, HMG-CoA)의 활성이 감소하고, 베타-산화(beta-oxidation) 관여 CPT의 활성이 증가하였다(도 13).
< 실험예 5> 비만 유도 동물에 대한 당뇨 유도 후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당뇨 평가 분석
실험동물은 C57BL/6N 수컷마우스를 중앙실험동물(서울, 대한민국)로부터 제공받았다. 상기 동물은 7일 동안 사육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자유롭게 고형사료와 물을 섭취할 수 있게 하였고, 22℃의 온도와 50 ± 10%의 상대습도를 유지시켜주며, 12시간 주기로 밤과 낮이 구분 되도록 하였다. 환경 적응 후 마우스는 난괴법에 따라 정상군(ND, 정상식이), 대조군(HFD, 고지방식이)으로 2그룹으로 나누어 식이를 공급하였다. 8주 동안 ND와 HFD를 공급 후 각각의 마우스의 혈액의 글루코스 레벨(glucose level)을 측정하여, HFD처리군의 혈당 상승 여부를 측정 후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처리하여 구강 혈당 부하 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시험을 하였다.
실험은 0주, 1주, 2주, 3주, 4주 실시하였으며 저녁 8시간 동안 굶긴 후, 각각 마우스 혈액의 글루코스 양을 측정하고(FBG; fasting blood glucose), glucose(1.0g/kg)를 경구투여 하여 2시간 뒤 혈액의 글루코스양을 측정하였다(PBG; postprandial blood glucose level). 모든 실험동물은 승인된 동물관리제도와 사용위원회에 의해 행해졌으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기관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정상군(ND): 식이(Normal diet, 10% fat)를 8주+4주 주었다.
*대조군(HFD): 식이(High diet, 60% fat)를 8주+4주 주었다.
실험군(HFD+RFex): 식이(High fat diet, 60% fat)를 8주간 주었고, HFD와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4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그 결과, FBG와 PBG 두 경우 다 실험군(HFD+RFex)이 대조군(HFD)보다 혈액에 글루코스 레벨 낮았으며 RFex에 의해 글루코스에 의한 내당성이 극복되었다(도 14).
< 실험예 6> 복분자 추출분말의 항응고 활성 측정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항응고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에이피티티 타임(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프로트롬빈 타임(Prothrombin time, PT) 및 트롬빈 타임(Thrombin Time, TT)를 측정하였다. 항 응고 활성은 이미 보고된 Amelung coagulometer KC-1A(일본)를 이용하여 혈액 응고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TT, aPTT 및 내인성 혈액 응고 시간 PT 외인성 혈액 응고 시간을 측정하였다.
샘플 Conc.
(mg/ml)
안티 혈전증(anti- thrombosis) 활성
TT PT aPTT
DMSO - 1.0 ±0.0 1.0 ±0.0 1.0 ±0.0
Aspirin 1.5 2.3 ±0.2 1.4 ±0.2 1.1 ±0.0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5.0 >15 >15 >15
4.5 >15 >15 >15
4.0 >15 4.4 ±0.1 >15
3.5 >15 2.0 ±0.1 >15
3.0 1.3 ±0.0 1.5 ±0.0 >15
2.5 1.3 ±0.0 1.5 ±0.2 >15
1.25 1.2 ±0.4 1.1 ±0.3 1.1 ±.0
<6-1> 인간 혈액 채취
상기 항응고 활성과 혈소판응집 억제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혈장은 최근 1개월 동안 약물 투여를 받지 않은 지원자의 전혈로부터 조제하였으며, 채혈 후 즉시 4℃에서 5,000g로 5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냉동한 상태로 보관하였으며(신선동결혈장) 필요시 상온에서 해동하여 사용하였다.
<6-2> 트롬빈 타임( Thrombin time , TT )측정
트롬빈 타임(Thrombin time)은 37℃에서 0.5U 트롬빈(Sigma Co., USA) 50 ㎕를 Amelung coagulometer KC-1A(일본)의 튜브에 혼합하여 2분간 반응시킨 후, 혈장 100 ㎕를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대조로는 아스피린(Sigma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항응고 활성 정도를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여러 가지 농도에서 TT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이 혈액응고를 억제하였다(표 3).
<6-3> 에이피티 타임(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 aPTT ) 측정
에이피티 타임(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은 혈장 100 ㎕와 다양한 농도의 시료 추출액 10 ㎕를 Amelung coagulometer KC-1A(일본)의 튜브에 첨가하여 37℃에 서 3분간 가온한 후, 50 ㎕의 aPTT reagent(Sigma, ALEXINTM )를 첨가하고 다시 37℃에서 3분간 배양하였다. 이후 50 ㎕CaCl2 (35mM)을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이 혈액응고를 억제하였다(표 3).
<6-4> 프로트롬빈 타임( prothrombin time , PT ) 측정
프로트롬빈 타임을 표준 혈장(MD pacific Co.,china)으로 70 ㎕와 다양한 농도의 시료액 10 ㎕를 Amelung coagulometer KC-1A(일본)의 튜브에 첨가하여 37℃에서 3분간 가온 후, 130 ㎕의 PT reagent를 첨가하고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었다. 대조로는 아스피린(Sigma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항응고 활성 정도를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여러 가지 농도에서 PT를 측정해본 결과,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이 항응고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3).
< 실험예 7> 복분자 추출분말의 혈소판 응집 억제 저해 활성 측정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Platelet aggregation inhibition activity): 건강한 인간의 전혈로부터 3.2% sodium citrate 용액과 1:9 ml 비율로 혼합 한 후,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시료와 혼합한다. 카트리지(콜라겐-에피네프린)에 혈액과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혼합 검체를 주입하고, PFA-100 (Platelet adhesion & aggregation test)을 사용하여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및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정도를 여러 가지 농도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혈소판 응집 억제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5).
하기에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제조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5> 과립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 제조예 2> 건강식품의 제조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 제조예 3> 식품의 제조
<3-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3-2>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3-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3-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 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3-6> 츄잉껌의 제조
껌베이스 20%
설탕 76.36-76.76%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0.24-0.64%
후르츠향 1%
물 2%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3-7> 캔디의 제조
설탕 50-60%
물엿 39.26-49.66%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0.24-0.64%
오렌지향 0.1%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캔디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4> 음료의 제조
<4-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4-2>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4-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Composition of anti-metabolic syndrome effects containing extract of unripened Rubus coreanus Miquel <130> 12P-09-13 <150> KR 10-2012-0097162 <151> 2012-09-03 <160> 14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REBP1c forward primer <400> 1 gcctgcttgg ctcttctctt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REBP1c reverse primer <400> 2 aggtcagctt gtttgcgatg 20 <210> 3 <211> 1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C1 forward primer <400> 3 tgatgcagag gtacc 15 <210> 4 <211> 1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C1 reverse primer <400> 4 cgtagtggcc gtct 14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poprotein lipase forward primer <400> 5 tgccgctgtt ttgttttacc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poprotein lipase reverse primer <400> 6 tcacagtttc tgctcccagc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ver X receptor forward primer <400> 7 acagccagac gctacaacca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ver X receptor reverse primer <400> 8 tggcgataag caaggcatac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36 antigen forward primer <400> 9 atgacgtggc aaagaacagc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36 antigen reverse primer <400> 10 gaaggctcaa agatggctcc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tty acid synthase forward primer <400> 11 ctggcattcg tgatggagtc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tty acid synthase reverse primer <400> 12 tgtttcccct gagccatgta 20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forward primer <400> 13 ggagccaaaa gggtcatcat 20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reverse primer <400> 14 gtgatggcat ggactgtggt 20

Claims (10)

  1.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 미숙과(Rubi Fruc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은 물,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거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조직에서 지질대사 생성 유전자인 SREBP1c(스테롤 조절성 요소 결합 단백질 1c; Sterol-regulatory element-binding factor 1c), ACC1(acetyl CoA carboxylase 1), LPL(Lipoprotein lipase), LXR(Liver X receptor), CD36(C luster of D ifferentiation 36) 및, FAS(지방산 합성 효소; fatty acid synthase)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FAS 및 HMG-CoA(hydroxymethylglutaryl Coenzyme A)의 효소 발현을 억제시키며, CPT(Carnitine acyl transferase)의 효소 발현을 증가시켜 지방간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개선용 건강식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건강식품.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20870A 2016-02-22 2016-02-22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39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870A KR101739919B1 (ko) 2016-02-22 2016-02-22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870A KR101739919B1 (ko) 2016-02-22 2016-02-22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566A Division KR20140031080A (ko) 2012-09-03 2013-01-25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198A Division KR20170059433A (ko) 2017-05-19 2017-05-19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549A KR20160025549A (ko) 2016-03-08
KR101739919B1 true KR101739919B1 (ko) 2017-05-25

Family

ID=5553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870A KR101739919B1 (ko) 2016-02-22 2016-02-22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919B1 (k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Vol.98, pp.727-735 (2007)*
European Journal of Phrarmacology, Vol.650, pp.465-471 (2011)
Kor. J. Pharmacogn., Vol.27, No.4, pp.366-370 (199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549A (ko)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856B1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64507A (ko)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조절용, 혈당조절용,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80223B1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379657B1 (ko)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51011B1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9919B1 (ko)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06177A (ko) 천연혼합물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제조방법
KR101767604B1 (ko) 개산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135037A (ko) 골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26595A (ko) 율무, 표고버섯, 탱자 및 옥수수수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비만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002493A (ko)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KR20170059433A (ko)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23022363A (ja) 細胞保護用剤
KR101344564B1 (ko) 마라소스의 주성분인 고추 및 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1080A (ko)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63439B1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42054B1 (ko) 구운감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혈당 강하용 조성물
KR20150091770A (ko)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12180340A (ja) 脳機能低下抑制剤
KR101290264B1 (ko) 당뇨병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KR101576269B1 (ko)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4003352A1 (ko)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KR101904087B1 (ko) 염증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한 수수 발효물
KR20240058030A (ko) 결명 새싹 및 메밀 새싹을 포함하는 지방 축적 억제용 조성물
JP2016108242A (ja) 血中パラメータ改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