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746B1 - 공갈빵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갈빵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746B1
KR101738746B1 KR1020150033335A KR20150033335A KR101738746B1 KR 101738746 B1 KR101738746 B1 KR 101738746B1 KR 1020150033335 A KR1020150033335 A KR 1020150033335A KR 20150033335 A KR20150033335 A KR 20150033335A KR 101738746 B1 KR101738746 B1 KR 101738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contents
bread
cu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253A (ko
Inventor
김덕구
Original Assignee
김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구 filed Critical 김덕구
Priority to KR102015003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746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6Baking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속이 빈 빵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및 하부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 하부 반죽 위에 내용물을 놓는 단계, 하부 반죽 위로 상부 반죽을 덮는 단계, 반죽 일부를 성형틀을 이용하여 가압하고 절단하는 단계 및 150 내지 300℃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압하고 절단하는 단계는 중앙부가 패이거나 또는 뚫려 있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인접해 있는 절단부를 구비한 성형틀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입자가 큰 고형물을 내용물로 빵 내부 공간에 포함할 수 있는 속이 빈 빵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위한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갈빵의 제조방법{PREPARING METHOD OF LARGE HOLLOW BREAD}
본 발명은 속이 빈 빵의 제조방법, 보다 상세하게는 입자가 큰 고형의 내용물을 빵 내부 공간에 포함할 수 있는 공갈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갈빵은 중국 빵요리의 일종으로, 겉으로 볼 때는 크지만 속은 비어있어 공갈빵으로 불린다. 다른 빵과는 달리 발효과정이 없고 반죽을 얇게 밀어 화덕 등에 구워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갈빵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밀가루, 찹쌀가루 등을 물, 소금 등과 일정 배합비로 혼합하여 빵반죽을 만들고 반죽을 분할하여 액상 또는 고운 분말형태의 내용물을 중앙에 넣어 둥글게 만 다음 밀대 등으로 얇게 펴서 높은 온도에서 단시간 구워낸다. 공갈빵의 바삭한 식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는 반죽이 너무 두꺼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반죽에 내용물을 넣은 후 둥글게 말 때 내용물이 들어간 위치가 좋지 못하면 반죽을 밀대로 펴는 도중에 내용물이 노출되어 빠져나오고 빵이 구워지는 동안 구멍이 뚫려 빵이 잘 부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로 공갈빵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내용물을 넣어 반죽을 동그랗게 말 때와 그를 밀대로 밀 때 제조자가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제조에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내용물을 먼저 넣은 후에 반죽을 밀대로 펴게 되므로 땅콩 등 견과류와 같이 입자가 큰 고형물을 내용물로 넣게 되는 경우에는 밀대로 펴는 도중에 반죽에 약한 부분이 생기거나 구멍이 패여 내용물이 빠져나오고 오븐 또는 화덕에서 구울 때 빵이 잘 부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죽을 너무 두껍게 하여 굽게 되면, 빵의 식감이 떨어지고 빵이 잘 부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69655호 (2012.07.24)
본 발명은 입자가 큰 고형의 내용물을 내부공간에 포함할 수 있는 속이 빈 빵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하게 속이 빈 빵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곡물가루, 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반죽하고 일정 크기로 분할하여 밀대 또는 롤러로 밀어 상부 및 하부 반죽을 준비하는 1단계; 하부 반죽 중앙부에 설탕물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놓는 2단계; 하부 반죽 위로 상부 반죽을 덮는 3단계; 하부 반죽과 상부 반죽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내용물 주위를 빈틈없이 둘러싸는 접착부를 형성하고 접착부 바깥쪽을 절단하는 4단계; 및 150 내지 300℃ 온도에서 가열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속이 빈 빵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중앙부가 패이거나 또는 뚫려 있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인접해 있는 절단부를 구비한 성형틀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접착부는 평면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절단은 절단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이 빈 빵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부 반죽을 덮기 전 하부 반죽 위에 곡물풀, 물 및 계란흰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하부 반죽 위에서 상기 내용물을 둘러싸도록 상기 내용물 바깥쪽에 바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4단계의 가압 및 절단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중앙부가 패이거나 또는 뚫려 있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인접해 있는 절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이 빈 빵의 제조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종래 기술은 내용물이 포함된 반죽을 밀대로 미는 것이기 때문에 미는 도중 내용물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조방법은 얇게 민 반죽 사이에 내용물을 넣은 후 성형틀을 이용하여 한번 눌러주는 간편한 동작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자의 노력을 절감시키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속이 빈 빵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조방법은 밀대로 반죽을 먼저 편 후 빵 내부에 포함될 내용물을 충전하게 되므로 입자가 큰 고형물을 내용물로 포함하여도 반죽에 구멍이 발생하는 일 없이 속이 빈 빵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속이 빈 빵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속이 빈 빵의 제조를 위한 성형틀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성형틀을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 반죽의 일부를 가압하여 접착시키면서 절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속이 빈 빵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속이 빈 빵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속이 빈 빵의 제조방법은 상부 및 하부 반죽을 준비하는 단계(S1), 하부 반죽 위에 내용물을 놓는 단계(S2), 하부 반죽 위로 상부 반죽을 덮는 단계(S3), 반죽 일부를 가압하고 절단하는 단계(S4) 및 150 내지 300℃에서 가열하는 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속이 빈 빵의 제조 방법은 상부 및 하부 반죽을 준비한다(S1). 상기 반죽은 당업계에서 이용하는 곡물가루, 물 및 소금을 일정 배합비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곡물가루로는 예를 들면 밀가루, 쌀가루, 찹쌀가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합비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빵의 제조시 이용되는 배합비가 선택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반죽은 빵의 맛, 식감, 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빵의 식감과 향을 향상시키고 빵을 구울때 보다 잘 부풀어 오르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반죽은 이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빵의 맛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죽은 설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곡물가루, 물 및 소금을 일정 배합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될 빵의 크기에 맞추어 일정 크기로 분할하고 밀대 또는 롤러 등으로 얇게 밀어 상부 및 하부 반죽을 준비한다. 필요에 따라, 하부 반죽을 플레이트 등 바닥면에 놓을 때 상기 바닥면과 맞닿는 부분에 밀가루를 바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반죽과 바닥면의 접착력을 떨어뜨림으로써, 반죽을 바닥면에서 떼어 이동시킬 때 얇은 반죽의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하부 반죽 위에 내용물을 놓는다(S2). 상기 내용물은 빵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기 위해 빵 내부에 첨가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설탕물, 꿀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빵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 안에 입자가 크고 단단한 고형물인 내용물을 포함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고형물로는 예를 들면 견과류인 땅콩, 아몬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용물은 상기 하부 반죽의 중앙부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반죽 위로 내용물이 전부 덮이도록 상부 반죽을 덮는다(S3).
다음으로, 상기 하부 반죽과 상부 반죽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내용물 주위를 빈틈없이 둘러싸는 접착부를 생성하고 접착부 바깥쪽을 절단한다(S4). 상기 가압 및 절단은 성형틀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성형틀은 중앙부(1)가 패이거나 뚫린 평면부(2) 및 상기 평면부(2)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인접해 있는 절단부(3)를 구비한다. 상기 성형틀의 중앙부(1)가 패인 형태인 경우, 얇은 상부 반죽이 중앙부(1)의 패인 면에 접착되어 발생할 수 있는 반죽의 손상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성형틀의 패인 면이 상부 반죽에 닿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갖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면부(2)는 중앙에 구멍을 갖는 도형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도형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부(1)가 패인 원형인 도넛 형태의 평면부(2)를 구비하는 형태의 성형틀로 설명하며, 이는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한 성형틀을 이용하여 반죽을 가압 및 절단하는 과정은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을 보면, 상기 평면부(2)는 상기 하부 반죽(4) 및 상부 반죽(5)의 바깥쪽을 눌러 기계적인 압력을 가함으로써 접착부(7)를 형성한다. 상기 평면부(2)는 중앙부(1)가 패이거나 뚫려 있는 형태이므로, 상부 반죽(5) 및 하부 반죽(4)을 눌러 접착시킬 때 반죽 안의 내용물(6)이 있는 부분에는 누르는 힘이 가해지지 않아 단단한 고형물로 인한 반죽의 손상을 방지하고 빵이 보다 잘 부풀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상부 반죽(5)이 성형틀의 평면부(2)에 접착되어 발생할 수 있는 반죽의 손상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반죽을 가압 및 절단하기 전 상기 상부 반죽(5)의 평면부(2)가 닿는 부분에 밀가루를 바를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성형틀에서, 상기 절단부(3)는 상기 평면부(2)가 반죽을 누를 때 누르는 힘이 주어지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반죽의 절단이 일어나도록 상기 평면부(2)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상기 평면부(2)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평면부(2)가 반죽의 바깥쪽을 눌러 접착시킬 때 형성되는 접착부(7) 바깥쪽의 가장자리가 절단부(3)에 의해 절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성형틀을 이용함으로써 빵의 제조자가 누르는 힘을 가하는 하나의 동작으로 반죽의 가압 및 절단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보다 간편하고 손쉽게 속이 빈 빵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및 하부 반죽을 150 내지 300℃ 온도에서 가열한다(S5).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온도에서 가열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열은 화덕 또는 오븐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온도범위 내에서 3 내지 10분동안 구워 속이 빈 빵을 제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반죽을 덮기 전 하부 반죽 위에 곡물풀, 물 및 계란흰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하부 반죽 위에서 상기 내용물을 둘러싸도록 상기 내용물 바깥쪽에 바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22). 이 때 상기 하부 반죽 위에서 곡물풀, 물 및 계란흰자를 바르는 부분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성형틀의 평면부(2)에 의해 접착부가 형성되는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물풀, 물 및 계란흰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는 상부 반죽 및 하부 반죽을 보다 강하게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곡물풀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 또는 곡물분을 물과 함께 약한 불에서 끓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곡물로는 예를 들면 찹쌀, 멥쌀, 밀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면, 종래기술에 비해 보다 간편하고 손쉽게 속이 빈 빵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단시간에 많은 빵을 낮은 불량률로 제조할 수 있다. 이는 대량생산에 적용하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제조방법에 의하면, 입자가 큰 고형물을 내용물로 포함할 수 있는 속이 빈 빵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빵은 내용물의 선택범위가 보다 다양해지므로 풍미를 향상시켜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에 맞추기 유리하다. 또한, 건강식품인 견과류를 내용물로 포함할 수 있으므로, 섭취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1 : 중앙부
2 : 평면부
3 : 절단부
4 : 하부 반죽
5 : 상부 반죽
6 : 내용물
7 : 접착부

Claims (4)

  1. 곡물가루, 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반죽하고 일정 크기로 분할하여 밀대 또는 롤러로 밀어 상부 및 하부 반죽을 준비하는 1단계;
    하부 반죽 중앙부에 설탕물 및 견과류를 포함하는 내용물을 놓는 2단계;
    곡물풀, 물 및 계란흰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하부 반죽 위에서 상기 내용물을 둘러싸도록 상기 내용물 바깥쪽에 바르는 3단계;
    하부 반죽 위로 상기 내용물이 전부 덮이도록 상부 반죽을 덮는 4단계;
    하부 반죽과 상부 반죽의 바깥쪽을 가압하여 상기 내용물 주위를 빈틈없이 둘러싸는 접착부를 형성하고 접착부 바깥쪽을 절단하는 5단계; 및
    150 내지 250℃ 온도에서 3 내지 10분동안 가열하는 6단계를 포함하는 속이 빈 빵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5단계는 중앙부가 패이거나 또는 뚫려 있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인접해 있는 절단부를 구비한 성형틀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접착부는 평면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절단은 절단부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5단계에서 형성되는 접착부는 상기 3단계에서 곡물풀, 물 및 계란흰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바르는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상기 5단계는 상기 성형틀을 이용함으로써 누르는 힘을 가하는 하나의 동작으로 반죽의 가압 및 절단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이 빈 빵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33335A 2015-03-10 2015-03-10 공갈빵의 제조방법 KR101738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35A KR101738746B1 (ko) 2015-03-10 2015-03-10 공갈빵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335A KR101738746B1 (ko) 2015-03-10 2015-03-10 공갈빵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53A KR20160109253A (ko) 2016-09-21
KR101738746B1 true KR101738746B1 (ko) 2017-05-22

Family

ID=5707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335A KR101738746B1 (ko) 2015-03-10 2015-03-10 공갈빵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7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655B1 (ko) 2007-11-15 2012-08-06 시키시마세이빵 가부시키가이샤 빵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53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83101A (zh) 蛋糕预拌粉及其制备方法、蛋糕及其制备方法
KR102277052B1 (ko) 단호박빵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단호박빵
KR101338212B1 (ko) 밥을 이용한 와플 및 그 제조방법
US20180000097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shelf-stable filled sponge-type bakery product
KR101523016B1 (ko) 주먹밥 제조방법 및 성형틀
KR101738746B1 (ko) 공갈빵의 제조방법
KR101589894B1 (ko) 치즈 및 고구마 속을 함유한 구운 과자 제조 방법
KR101686708B1 (ko) 스틱 빵 및 그 제조방법
KR100432412B1 (ko) 빵가루의 제조방법
RU2294642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акуски, закуска и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подобный закуске
JP6168560B2 (ja) 煎餅食品,煎餅食品の製造方法及び成形型
KR100793742B1 (ko) 피자 도우용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1515A (ko) 2번 구운 보관용 빵을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 냉동피자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즉석 냉동피자
JP6082975B2 (ja) 自動製パン器
KR102050516B1 (ko) 피자도우용 몰드, 이를 이용한 피자도우 제조방법, 피자도우 및 피자
KR20160034641A (ko) 발효빵의 제조방법
RU2627090C2 (ru) Тесто для пиццы, содержащее осоложенную ячменную муку
JP6082976B2 (ja) 自動製パン器
EP3432722B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ate a tarte crue preformee et stabilisee et produits afferents
KR20200110010A (ko) 페이스트리 식감을 가지는 식빵의 제조방법
KR101799375B1 (ko) 밥, 익힌 죽, 또는 익힌 면을 이용한 와플 및 그 제조방법
JP2016029900A (ja) 容器用ベーカリー食品
TWM638886U (zh) 脆皮鳳梨酥
JPH11196795A (ja) 食材餅及び食材餅の製造方法
JP6014916B2 (ja) 穀物粉含有食品の作製方法およびマイクロ波発熱袋状容器入り穀物粉含有生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