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352B1 - 스크린 야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크린 야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352B1
KR101736352B1 KR1020160052379A KR20160052379A KR101736352B1 KR 101736352 B1 KR101736352 B1 KR 101736352B1 KR 1020160052379 A KR1020160052379 A KR 1020160052379A KR 20160052379 A KR20160052379 A KR 20160052379A KR 101736352 B1 KR101736352 B1 KR 101736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all
batter
pitching machine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봉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큐브
함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큐브, 함봉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큐브
Priority to KR1020160052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69/0013Basebal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2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projection of either still pictures or motion pi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스 내의 피칭 머신과 타석의 배치를 대각선으로 배치하여 공이 나오는 거리를 같은 크기의 면적으로 부스를 설치하였을 경우에 비교하여 최대화할 수 있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4개의 측벽을 갖는 사각 부스; 상기 사각 부스 중 상호간 인접한 2개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스크린; 상기 사각 부스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스크린을 마주보도록 형성된 타석; 및, 상기 스크린의 후방인 상기 상호간 인접한 2개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타석으로 볼을 피칭하는 피칭 머신을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스크린 야구 시스템{Screen baseball system}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야구는 스포츠 중의 하나로서, 투수, 타자, 수비수, 심판 등이 모여 경기를 수행한다. 즉, 야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팀별로 9명의 인원과 스트라이크, 볼, 아웃 등을 판정하는 최소한 1명의 심판이 필요하다. 또한, 야구 경기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과 글러브, 배트 등의 야구 용품 등이 필요하다. 또한, 야구는 다른 스포츠와 달리 실외에서 진행되므로 기후도 적당해야 한다. 이렇게 야구는 기후, 인원, 적절한 야구용품 등과 같은 제약 조건으로 인하여, 동호회 수가 축구보다 적은 실정이다.
한편, 부스 내에 피칭 머신(pitching machine)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타격 연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야구 연습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야구 연습 시스템은 부스가 대략 좁고 긴 직사각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타격한 공이 벽에 맞아 굴절되기 쉬우며, 또한 스크린(화면)이 타석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화질과 선명도가 떨어지며, 좁게 배치되어 실감나는 게임 진행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스 내의 피칭 머신과 타석의 배치를 대략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하여 공이 나오는 거리를 같은 크기의 면적으로 부스를 설치하였을 경우에 비교하여 더 증가시킬 수 있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스를 실제 야구장과 같이 다이아몬드 형태의 구조로 배치하여 1루와 3루로의 타격을 굴절없이 볼 수 있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두개의 면에 걸쳐 설치된 곡선의 와이드 스크린으로 실제 타격뿐만 아니라 스크린(화면) 상으로도 실감나는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곡선 형태의 와이드 스크린 뒤(두개의 면이 만나는 코너)에 피칭 머신을 배치하여 별도의 피칭 머신을 위한 공간이 필요치 않은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타석에 들어서지 않는 동반자의 대기 공간을 야구장의 벤치 형태로 구성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실제 야구 경기를 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은 4개의 측벽을 갖는 사각 부스; 상기 사각 부스 중 상호간 인접한 2개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스크린; 상기 사각 부스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스크린을 마주보도록 형성된 타석; 및, 상기 스크린의 후방인 상기 상호간 인접한 2개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타석으로 볼을 릴리즈하는 피칭 머신을 포함하고, 상기 타석의 하부에 타자의 무게를 감지하여 타자의 입장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치된 타자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자 센서부를 통해 타자가 상기 타석에 들어와 있을 경우에만, 상기 피칭 머신이 동작하여 볼을 릴리즈하며, 상기 타석의 천장에 설치되어 타자의 배트 휘두름 상태를 감지하는 배트 센서부와, 상기 타석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피칭 머신으로부터 릴리즈된 볼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릴리즈된 볼의 스트라이크 또는 볼을 감지하는 포수존 센서부와, 타자에 의해 타격된 볼의 궤적을 추적하는 궤적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칭 머신으로부터 볼이 릴리즈된 이후 상기 포수존 센서부를 통해 스트라이크가 아닌 볼로 감지되었으나 상기 궤적 센서부에 의해 볼이 감지되지 않고 상기 배트 센서에 의해 타자가 배트를 휘두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헛스윙 및 스트라이크를 표시한다.
상기 스크린은 곡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상호간 인접한 2개의 측벽 사이의 코너쪽으로 오목하게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피칭 머신의 볼 발사구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에는 상기 피칭 머신의 볼 발사 시에 상기 개구를 개방하고, 볼 발사 후에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개구 개폐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호간 인접한 2개의 측벽에 각각 1루와 3루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궤적 센서부는 상기 타석으로부터 상기 1루를 연결하는 1라인과, 상기 타석으로부터 상기 3루를 연결하는 3라인의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궤적 센서부는 상호간 이격되어 적어도 2열 이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스 내의 피칭 머신과 타석의 배치를 대략 대각선으로 배치하여 공이 나오는 거리를 같은 크기의 면적으로 부스를 설치하였을 경우에 비교하여 최대화할 수 있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부스를 실제 야구와 같이 다이아몬드 형태의 구조로 배치하여 1루와 3루로의 타격을 굴절없이 볼 수 있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두개의 면에 걸쳐 설치된 곡선 형태의 와이드 스크린으로 실제 타격뿐만 아니라 게임 스크린(화면) 상으로도 실감나는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곡선의 와이드 스크린 뒤(두개의 면이 만나는 코너)에 피칭 머신을 배치하여 별도의 피칭 머신을 위한 공간이 소모되지 않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타석에 들어서지 않는 동반자의 대기 공간을 야구장의 벤치 형태로 구성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실제 야구 경기를 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 중에서 피칭 머신과 스크린 사이에 설치된 개구 개폐부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하부"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어부(컨트롤러)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는 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또는 고체상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 휘발성 메모리 장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상용 컴퓨터에서 운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은 사각 부스(110), 스크린(120), 프로젝터(130), 타석(140) 및 피칭 머신(150)을 포함한다.
사각 부스(110)는 대략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각 부스(110)는 4개의 측벽, 1개의 천장 및 1개의 바닥을 포함한다. 여기서, 4개의 측벽이 평면도로 보았을 때 사각 형태를 하며, 이는 상호간 인접한 제1,2측벽(111,112)과, 또한 제1,2측벽(111,112)과 마주보며 상호간 인접한 제3,4측벽(113,1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제3측벽(113) 또는 제4측벽(114) 사이의 코너(116)의 근처에 출입문(116)이 설치되고, 또한 제3측벽(113) 또는 제4측벽(114)에 벤치(117)가 설치되어 타자가 아닌 인원이 쉬거나 게임 장면을 관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제3측벽(113) 또는 제4측벽(114)에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을 구동하는 제어부(160)(컴퓨터)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스크린(120)은 4개의 측벽 중, 예를 들면, 상호간 마주보는 제1,2측벽(111,112)에 걸쳐 넓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스크린(120)은, 예를 들면, 제1측벽(111)과 제2측벽(112)에 스크린(120)의 양측 단부가 밀착됨으로써, 대략 대각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스크린(120)은, 예를 들면, 제1,2측벽(111,112) 사이의 코너(115)를 향하여 스크린(120)의 중앙이 근접하는 형태를 한다. 다르게 설명하면, 스크린(120)은 중앙이 제1,2측벽(111,112) 사이의 코너(115)를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간 곡선 형태의 와이드 스크린(120)일 수 있다. 이러한 와이드 스크린(120)의 상,하 폭은 제1,2측벽(111,112)의 상,하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로젝터(130)는, 예를 들면, 사각 부스(110)의 천장에 설치되어 스크린(120)에 영상을 투사한다. 물론, 프로젝터(130)는 4개의 측벽중 어느 하나 또는 심지어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프로젝터(130)는, 예를 들면, 타자가 바라본 야구장의 전체 영상, 공을 던지는 투수의 영상, 및/또는 타자가 친 공의 궤적 등을 스크린(120)에 표시하도록 한다.
타석(140)은 스크린(120)을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즉, 타석(140)은 제1,2측벽(111,112) 사이의 코너(115)로부터 연장되는 대략 대각선을 따라, 예를 들면, 제3측벽(113) 또는 제4측벽(114)에 최대한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석(140)은 우타석과 좌타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타석(140)의 하부에는 타자를 감지하는 타자 센서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자 센서부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피칭 머신(150)은 스크린(120)의 후방인 상호간 인접한 제1,2측벽(111,112) 상의 코너(115)에 구비되어 타석(140)으로 볼을 릴리즈 또는 피칭한다. 즉, 피칭 머신(150)은 제1,2측벽(111,112) 상의 코너(115)와 스크린(120) 사이의 비어 있는 공간에 구비될 수 있음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피칭 머신(150)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없다. 즉, 종래의 긴 직사각형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에서는 피칭 머신(150)으로 인해 스크린 뒤의 일측 측벽에 인접한 모든 공간이 소모되고, 이에 따라 스크린과 타자 사이의 거리가 그만큼 가까워졌었다.
한편, 피칭 머신(150) 중 공이 발사되는 발사구와 대응되는 스크린(120)에는 개방된 또는 개폐 가능한 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타자에게는 마치 스크린(120)에서 애니메이션되고 있는 투수로부터 공이 던져지는 것처럼 보인다. 여기서, 스크린(120)에 형성된 개구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한편, 부스(110) 중에서 제3,4측벽(113,114)의 코너(115)와 가까운 영역에는 안전 펜스(118)가 설치됨으로써, 후방으로 튄 공이 벤치(117)에까지 가지 않도록 한다. 즉, 부스(110) 중에서 스크린(120)과 대향되는 제1,2측벽(111,112)에 걸쳐 안전 펜스(118)가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안전 펜스(118)에도 출입문(119)이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부스(110) 중에서 제3측벽(113)에 대략 평행하게 1루 라인(101)이 형성되고, 부스(110) 중에서 제4측벽(114)에 대략 평형하게 3루 라인(103)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타석(140)의 반대인 1루 라인(101)의 끝단이 1루가 되고, 타석(140)의 반대인 3루 라인(103)의 끝단이 3루가 된다. 더불어, 스크린(120)의 대략 중앙이 2루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은 타자에 의해 타격된 볼의 궤적을 추적하는 궤적 센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궤적 센서부(170)는 1루 라인(101)(즉, 타석(140)으로부터 1루를 연결하는 1라인)과 3루 라인(103)(즉, 타석(140)으로부터 3루를 연결하는 3라인)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궤적 센서부(170)는 제1,2측벽(111,112) 사이의 코너(115)에서 시작되는 대각선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상호간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특히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궤적 센서부(170)는 제어부(160)가 타자에 의해 타격된 볼이 페어 영역으로 갔는지 아니면 파울 영역으로 갔는지 판단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볼이 페어 영역에 설치된 궤적 센서부(170)를 통과하게 되면 페어로 판단하고, 파울 영역에 설치된 궤적 센서부(170)를 통과하게 되면 파울로 판단한다. 더불어, 이러한 다수의(즉, 상호간 이격된 다수 열의) 궤적 센서부(170)로부터 얻은 볼의 속도 및 방향을 감안하여, 최종적인 볼의 방향, 비행 궤적 및 비행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계산된 볼의 방향, 비행 궤적 및 비행 거리는 프로젝터(130)를 통하여 스크린(120)에 표시된다.
여기서, 궤적 센서부(170)를 이용하여 볼의 방향, 비행 궤적 및 비행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과, 이를 프로젝터(130)를 이용하여 스크린(120)에 표시하는 방법 등은 당업자들에게 이미 공지된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는 실질적으로 스크린 골프장에서의 골프 공의 방향, 궤적 및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타석(140)의 후방에는 포수존 센서부(18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포수존 센서부(180)는 피칭 머신(150)으로부터 발사된 공을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동시에, 공의 스트라이크 또는 볼을 감지하여,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이러한 포수존 센서부(180)는 탄성이 큰 재료로 형성되어 야구 공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표면에 야구공의 착점을 센싱하는 다수의 센서가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4는 측벽을 따라 형성되어 야구공이 튀지 않도록 한 안전 쿠션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부스(110) 내의 피칭 머신(150)과 타석(140)의 배치를 대략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하여 볼이 나오는 거리를 같은 크기의 면적으로 부스를 설치하였을 경우에 비교하여 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스(110)를 실제 야구장과 같이 대략 다이아몬드 형태로 배치하여 타자가 1루와 3루로의 타격을 굴절없이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측벽(111,112)(두개의 면)에 걸쳐 설치된 곡선 형태의 와이드 스크린(120)으로 실제 타격뿐만 아니라 게임 스크린(120)(화면) 상으로도 실감나는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곡선 형태의 와이드 스크린(120) 뒤(제1,2측벽(111,112)이 만나는 코너(115))에 피칭 머신(150)을 배치하여 별도의 피칭 머신(150)을 위한 공간이 소모되지 않는다. 더불어, 본 발명은 타석(140)에 들어서지 않는 동반자의 대기 공간을 야구장의 벤치(117)로 구성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실제 야구 경기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 중에서 피칭 머신과 스크린 사이에 설치된 개구 개폐부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20)에는 피칭 머신의 발사구(150a)로부터 야구공이 발사, 릴리즈 또는 투척되는 개구(120a)가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개구(120a)가 항상 개방되어 있으면, 그 개방된 부분이 스크린(120)에서 검게 표시되기 때문에 게임을 즐기는 타자 입장에서는 약간의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은 스크린(120)의 개구(120a)를 개폐하는 개구 개폐부(2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개구 개폐부(200)는 피싱 머신(150)의 발사구(150a)와 스크린(120)의 개구(120a) 사이에 설치되며, 이는 실린더(201) 및 플레이트(20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201)는 제어부(160)의 명령에 따라 플레이트(20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플레이트(202)는 실질적으로 스크린(120)의 개구(120a)를 개방하거나 패쇄한다. 플레이트(202)는, 예를 들면, 스크린(120)의 색상과 동일 색상을 가짐으로써, 게임을 하는 타자에게 이질감을 주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160)가 피칭 머신(150)을 제어하여 야구공을 릴리즈하기 전까지 개구 개폐부(200)의 플레이트(202)에 의해 스크린(120)의 개구(120a)가 막혀 있도록 하고, 제어부(160)가 피칭 머신(150)을 제어하여 야구공을 릴리즈하는 경우 개구 개폐부(200)의 플레이트(202)에 의해 스크린(120)의 개구(120a)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야구공이 타자쪽으로 릴리즈되도록 한다. 여기서, 개구 개폐부(200)의 제어는 상술한 제어부(160)에 의해 이루어짐은 당연하다.
따라서, 타자는 스크린을 통하여 야구공이 나오는 개구에 대해 전혀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마치 투수가 실제로 공을 던지는 것처럼 느낄 수 있고, 이에 따라 게임의 몰입도가 더욱 높아진다.
한편, 이러한 개구 개폐부(200)의 구성 및 동작은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러한 구성 및 동작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크린의 자체에 개구를 개폐하는 필름 형태의 개폐부가 형성되거나, 공압이나 유압 실린더 방식이 아닌 기계적 또는 전기적 방식으로 개구 개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는 스크린의 개구가 아닌 피칭 머신의 발사구 자체에 기구적/전기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개구 개폐부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으나, 모두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될 것임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여기서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의 기구적 구성 외에 전기적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설정부(191), 궤적 센서부(170), 포수존 센서부(180), 저장부(192), 프로젝터(130), 피칭 머신(150), 타자 센서부(193), 스피커(194) 및 제어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191)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 환경(예를 들면, 스크린에 표시되는 야구장 풍경, 투수, 야구공의 투구 속도 등)이 설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포수존 센서부(180)는 피칭 머신(150)으로부터 릴리즈된 볼이 포수존의 어느 영역(예를 들면, 스트라이크 존 또는 볼 존)에 도달하였는지 센싱하여 제어부(16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궤적 센서부(170)는 타자가 타격한 공의 방향 및 속도 등을 센싱하여 제어부(16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부(19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이 구동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각종 설정값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92)에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야구장 영상이나 투수 영상(투수 애니메이션 영상)이 저장되어 있다.
프로젝터(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영상 신호를 받아서 이를 스크린(120)에 비추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프로젝터(130)는 제어부(160)로부터 야구장 영상이나 투수의 투구 폼 뿐만 아니라 타자에 의해 타격된 볼의 궤적을 합성하여 스크린(120)에 비추는 역할을 한다.
피칭 머신(150)은 타자가 타석(140)에 들어서면 볼을 소정 속도로 릴리즈 또는 피칭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피칭 머신(150)에 의해 릴리즈된 볼과, 스크린(120)에 비춰지는 투수의 투구 폼 또는 릴리즈 동작이 동기화되도록 제어한다.
타자 센서부(193)는 타석(140)(예를 들면, 좌타석 또는 우타석)에 타자가 서있는지 아닌지를 감지하여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타자 센서부(193)는, 예를 들면, 타자가 타석(140)에 들어서면 턴온되고, 타석(140)으로부터 벗어나면 턴오프되는 스위치이거나 또는 타자의 무게를 직접 감지하는 로드셀일 수 있으나,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60)는 타자가 타석(140)에 들어선 경우에만 피칭 머신(150)을 통하여 볼을 릴리즈하도록 한다. 물론, 이때 프로젝터(130)를 통하여 스크린(120)에 투수의 투구 동작이 표시됨은 당연하다.
스피커(194)는 야구장 내에서 들리는 각종 사운드를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스피커(194)는, 예를 들면, 심판의 사운드, 다양한 응원 소리, 휘슬이나 각종 안내음, 음악 등을 출력함으로써, 타자에게 실제 야구장에서 야구를 하는 듯한 느낌을 주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프로젝터(130)가 타자에게 보이는 정보(투수, 1루수, 2루수, 3루수, 내야, 외야 등의 영상)를 스크린(120)을 통해 볼 수 있도록 영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타자 센서부(193)를 통해 타자가 타석(140)에 들어와 섰을 경우, 피칭 머신(150)을 제어하여 야구공이 타자쪽 즉, 포수존 센서부(180)로 릴리즈되도록 한다. 이때, 피칭 머신(150)의 야구 볼 릴리즈와 스크린(120)을 통해 비춰지는 투수의 릴리즈 타이밍이 상호간 일치하도록 동기화시킨다.
더불어, 제어부(160)는 타자가 볼을 타격하였을 경우 궤적 센서부(170)로부터 얻은 정보(공의 방향 및 속도)를 이용하여 야구공의 나머지 궤적 및 비행 거리를 연산하고, 이를 영상에 합성하여 스크린(120)에 비춰준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궤적 연산부와 영상 합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궤적 연산부와 영상 합성부는 통상의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제어부(160)는 타자에 의해 타격된 공에 의해 파울 영역에 대응하는 궤적 센서부(170)에서 공이 감지되면, 이를 파울로 처리하여 스크린(120)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타자에 의해 타격된 공에 의해 페어 영역에 대응하는 궤적 센서부(170)에서 공이 감지되면, 이를 페어로 처리하여 스크린(120)에 표시하는 동시에, 공의 속도 및 방향을 이용하여 나머지 궤적 및 비행 거리를 연산하고, 그 궤적의 결과에 따라 1루타, 2루타, 3루타, 홈런 또는 수비수에 의한 아웃을 스크린(120)에 표시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피칭 머신(150)으로부터 공이 릴리즈된 이후 일정 시간 이내(예를 들면, 1초)에 포수존 센서부(180) 및 궤적 센서부(170)로부터 동시에 볼이 감지되지 않으면, 타자가 볼을 타격하였으나 볼이 타석(140)의 뒤로 넘어간 파울로 처리하여 스크린(120)에 표시하도록 한다.
더욱이, 제어부(160)는 피칭 머신(150)을 제어하여 공이 스트라이크 영역이나 볼 영역으로 가도록 제어하나, 실질적으로 포수존 센서부(180)를 통해 공의 정확한 착점을 센싱하여 스트라이크나 볼임을 스크린(120)을 통해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타석(140)의 천장에도 타자의 배트 휘두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배트 센서(미도시됨)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어부(160)가 이를 통해 타자의 헛스윙에 따른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피칭 머신(150)으로부터 볼이 릴리즈된 이후, 포수존 센서부(180)를 통해 볼로 확인되었으나, 궤적 센서부(170)에 의해 볼이 감지되지 않고, 또한 타석(140) 위의 천장에 의해 설치된 배트 센서에 의해 타자가 배트를 휘두른 것으로 감지되면, 스크린(120)에 헛스윙 및/또는 스트라이크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여기서, 제어의 주체는 제어부(160)일 수 있다.
먼저, 제어부(160)는 타자 센서부(193)를 이용하여 타자가 타석(140)에 올라왔는지 감지한다.(S1)
제어부(160)는 타자가 타석(140)에 올라 온 것으로 감지되면 다음 동작(S2)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60)는 피칭 머신(150)을 동작시켜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볼을 포수존 센서부(180)를 향하여 릴리즈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프로젝터(130) 및 스크린(120)을 통해 표시되는 투수의 투구 동작이 피칭 머신(150)과 동기화되도록 제어한다. 즉, 피칭 머신(150)을 통한 볼의 릴리즈 타이밍과 스크린(120)을 통해 비춰지는 투수의 릴리즈 타이밍이 일치하도록 동기화한다.
계속해서, 제어부(160)는 궤적 센서부(170)를 통하여 볼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S3) 제어부(160)는 궤적 센서부(170)를 통해 볼이 감지되면 단계 S4를 수행하고, 궤적 센서부(170)를 통하여 볼이 감지되지 않았으면 단계 S5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160)는 궤적 센서부(170)를 통해 볼이 감지되면, 볼의 센싱 영역(즉, 페어 영역 또는 파울 영역)을 판단하여 볼의 페어 및 파울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이어서 볼이 페어 영역을 통과하였다면 그때의 볼의 속도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1루타, 2루타, 3루타, 홈런 또는 수비수에 의한 아웃 여부를 프로젝터(130) 및 스크린(120)을 통하여 표시한다. 물론, 볼이 파울 영역으로 들어갔을 경우에도 프로젝터(130) 및 스크린(120)을 통하여 파울을 표시한다.(S4)
또한, 제어부(160)는 궤적 센서부(170)를 통해 볼이 감지되지 않았으면, 볼이 포수존 센서부(180)를 통해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S5) 제어부(160)는 볼이 포수존 센서부(180)를 통해 감지되면 단계(S6)를 수행하고, 볼이 포수존 센서부(180)를 통해 감지되지 않으면 단계(S7)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160)는 볼이 포수존 센서부(180)를 통해 감지되면, 볼의 스트라이크 또는 볼을 프로젝터(130) 및 스크린(120)을 통해 표시한다.(S6) 또한, 제어부(160)는 볼이 포수존 센서부(180)를 통해 감지되지 않으면, 타자에 의해 볼이 배트에 맞았지만 후방으로 튄 것으로 판단하여 후방 파울을 프로젝터(130) 및 스크린(120)을 통해 표시한다.(S7)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볼의 스트라이크 또는 볼의 여부, 또는 타자에 의해 볼이 타격된 경우, 1루타, 2루타, 3루타, 홈런, 파울 및/또는 수비수에 의한 아웃 여부를 스크린(120)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타자가 실제 야구장에서 주인공이 되어 야구를 하는 듯한 느낌을 주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스크린 야구 시스템
110; 사각 부스 111; 제1측벽
112; 제2측벽 113; 제3측벽
114; 제4측벽 115; 코너
116; 출입문 117; 벤치
118; 안전 펜스 119; 출입문
101; 1루 라인 103; 3루 라인
120; 스크린 130; 프로젝터
140; 타석 150; 피칭 머신
160; 제어부(컴퓨터) 170; 궤적 센서부
180; 포수존 센서부 191; 설정부
192; 저장부 193; 타자 센서부
194; 스피커

Claims (7)

  1. 4개의 측벽을 갖는 사각 부스;
    상기 사각 부스 중 상호간 인접한 2개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스크린;
    상기 사각 부스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상기 스크린을 마주보도록 형성된 타석; 및,
    상기 스크린의 후방인 상기 상호간 인접한 2개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타석으로 볼을 릴리즈하는 피칭 머신을 포함하고,
    상기 타석의 하부에 타자의 무게를 감지하여 타자의 입장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치된 타자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자 센서부를 통해 타자가 상기 타석에 들어와 있을 경우에만, 상기 피칭 머신이 동작하여 볼을 릴리즈하며,
    상기 타석의 천장에 설치되어 타자의 배트 휘두름 상태를 감지하는 배트 센서부와, 상기 타석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피칭 머신으로부터 릴리즈된 볼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릴리즈된 볼의 스트라이크 또는 볼을 감지하는 포수존 센서부와, 타자에 의해 타격된 볼의 궤적을 추적하는 궤적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칭 머신으로부터 볼이 릴리즈된 이후 상기 포수존 센서부를 통해 스트라이크가 아닌 볼로 감지되었으나 상기 궤적 센서부에 의해 볼이 감지되지 않고 상기 배트 센서에 의해 타자가 배트를 휘두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헛스윙 및 스트라이크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곡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상호간 인접한 2개의 측벽 사이의 코너쪽으로 오목하게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피칭 머신의 볼 발사구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에는 상기 피칭 머신의 볼 발사 시에 상기 개구를 개방하고, 볼 발사 후에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개구 개폐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간 인접한 2개의 측벽에 각각 1루와 3루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 센서부는
    상기 타석으로부터 상기 1루를 연결하는 1라인과, 상기 타석으로부터 상기 3루를 연결하는 3라인의 사이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 센서부는 상호간 이격되어 적어도 2열 이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1020160052379A 2016-04-28 2016-04-28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101736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379A KR101736352B1 (ko) 2016-04-28 2016-04-28 스크린 야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379A KR101736352B1 (ko) 2016-04-28 2016-04-28 스크린 야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352B1 true KR101736352B1 (ko) 2017-05-16

Family

ID=5903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379A KR101736352B1 (ko) 2016-04-28 2016-04-28 스크린 야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037A (ko) 2017-10-25 2019-05-07 우현권 스크린 야구장용 프레임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511B1 (ko) 2014-03-20 2015-09-01 조찬길 초고속 카메라와 적외선센서바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511B1 (ko) 2014-03-20 2015-09-01 조찬길 초고속 카메라와 적외선센서바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스트라이크존, 인터넷 블로그 : http://brandigm.blog.me/220638400362 (2016.2.25. 공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037A (ko) 2017-10-25 2019-05-07 우현권 스크린 야구장용 프레임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147B1 (ko) 가상 현실 스크린 야구 시스템
US6702292B2 (en) Game ball system incorporating means for position sensing
JP5334185B2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タ及びそれに備えられるセンシング装置
TW201039895A (en) Game program, game device, and game control method
JP5266513B2 (ja) ゴルフシミュレータ、ゴルフ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65631A (ko) 실내 야구게임장치
KR101790747B1 (ko) 스크린 배드민턴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JP2002052246A (ja) ゲーム機
KR20140100685A (ko) 공수 게임이 가능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097662A (ja) サッカーシミュレーションゲーム装置および方法
KR101736352B1 (ko) 스크린 야구 시스템
WO2005120659A1 (ja) ゲーム装置
WO2007091416A1 (ja) 不正行為防止機能付きゲーム装置、ゲーム中の不正行為防止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266512B2 (ja) ゴルフシミュレータ、ゴルフ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15816A1 (en) Slow-pitch softball strike-indicating mat
JP2010233834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方法
JP2001321554A (ja) 遊戯台装置
JP2005349049A5 (ko)
JP2001187269A (ja) 飛射体の到達位置に応じて表示を変えるアミューズメント装置
US20070200298A1 (en) Electronic Ball Game
KR100883260B1 (ko) 퍼팅 게임기
JP2003205172A (ja) ビデオゲーム装置
KR101896652B1 (ko) 피칭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JP5217206B2 (ja) ゲーム装置
JP3181031U (ja) ゴルフシミュレ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