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786B1 - 주머니 빵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주머니 빵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786B1
KR101735786B1 KR1020150001450A KR20150001450A KR101735786B1 KR 101735786 B1 KR101735786 B1 KR 101735786B1 KR 1020150001450 A KR1020150001450 A KR 1020150001450A KR 20150001450 A KR20150001450 A KR 20150001450A KR 101735786 B1 KR101735786 B1 KR 101735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d
weight
parts
glutinous ric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773A (ko
Inventor
양승찬
Original Assignee
일흥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흥산업(주) filed Critical 일흥산업(주)
Priority to KR102015000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7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20Partially or completely coated products
    • A21D13/26Partially or completely coated products the coating forming a barrier against mig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2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or to be filled after baking, e.g. sandwich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21D2/38Seed germs; Germinated cereals; Extrac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주머니 빵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즉 본 발명은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하면서 내용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공간부(20)를 형성하는 주머니 빵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빵(10)의 외부면 또는 공간부(20)를 형성하는 내부면에는 공간부(20)에 채워지는 내용물로부터 발생되는 액상물질이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코팅막(30)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에서 나오는 즙이나 소스 등이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함으로써 안전하게 먹을 수가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주머니 빵 및 그의 제조방법{Pocket br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주머니 빵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 삽입 공간을 갖도록 성형되는 빵으로부터 내용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최소한 표면으로 밀폐용 코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머니 빵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드위치나 버거(burger)는 빵과 빵 사이에 각종 야채와 계란 후라이, 패티(patty) 및 소스 등을 넣어 다양한 맛을 즐기면서 먹도록 하고 있다.
또한, 빵을 일정 깊이로 절개하여 그 사이로 각종 야채나 소세지 등의 내용물이 삽입되도록 한 후 소스를 뿌려 먹는 경우도 있다.
이들 빵들은 빵과 빵 사이에 채워진 내용물들과 함께 소스가 먹는 도중 흘러내리면서 손을 오염시키곤 하므로 통상 이들 빵을 섭취할 때는 냅킨이나 휴지 및 포장지 등으로 감싸서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빵과 빵 사이에 끼워진 내용물들은 섭취 도중 옆으로 튀어나와 특히 소스에 의해 냅킨이나 휴지 뿐만 아니라 손까지 오염시키는 경우가 많고, 내용물 일부가 떨어져 나와 인근을 오염시키기도 하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내용물이나 소스가 최대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빵을 제조하는 주머니 빵이 제안되었다.
특허등록 제0408836호(2003.11.26.명칭:주머니 빵과 그 제조방법)과 특허등록 제0420284호(2004.02.13.명칭:대량생산을 위한 주머니 빵과 그 제조방법)은 주머니 빵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되는 빵에 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주머니 빵은 내용물이나 소스가 삐져 나오는 사례는 방지할 수가 있으나, 안심하고 섭취하는 도중 소스 등이 빵으로 스며들면서 외부로 새는 사례가 발생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옷에 떨어져 곤란을 겪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특허등록 제0408836호(2003.11.26.) 특허등록 제0420284호(2004.02.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빵을 성형하면서 성형틀에 빵 반죽을 도포 시 반죽의 외부 또는 내부 및 내외부에 동시 찹쌀 풀을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막을 입혀 가열 성형되게 함으로써 빵 내부에 삽입되는 소스나 내용물로부터 발생되는 즙이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하는 주머니 빵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팅막을 이루는 찹쌀 풀에 전분을 일정하게 혼합하도록 함으로써 코팅 부위의 유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주머니 빵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하면서 내용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하는 주머니 빵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빵의 외부면 또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부면에는 공간부에 채워지는 내용물로부터 발생되는 액상물질이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코팅막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한 주머니 빵은 일측의 성형틀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기름을 도포하는 단계; 기름이 도포된 면에 일정 두께로 빵 반죽을 도포하는 단계; 도포한 빵 반죽의 표면에는 일정 두께로 코팅막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코팅막의 표면으로 기름을 도포하는 단계; 일측의 성형틀에 대응되는 타측의 성형틀을 결합하는 단계; 성형틀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구워내는 단계; 및 성형틀을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주머니 빵은 공간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도록 하더라도 내용물에서 나오는 즙이나 소스 등의 외부로 새 나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함으로써 안전하게 먹을 수가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머니 빵은 코팅막에 전분을 포함시켜 새로운 빵의 식감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 빵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 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 빵의 제조 과정을 예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 빵의 제조에서 빵 반죽을 성형틀의 외부에 도포되도록 한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 빵의 제조에서 빵 반죽을 성형틀의 내부에 도포되도록 한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머니 빵은 일측으로 내용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종전과 대동소이하다.
즉 주머니 빵은 샌드위치나 버거와 같이 빵이 분리되거나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빵의 한 쪽이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과는 달리 오직 일측면만 개방되도록 하면서 내용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 빵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주머니 빵(10)의 일측면으로 일정 크기의 공간부(20)를 형성하면서 빵(10)의 공간부(20)측 내측면과 외측면으로는 기름층(30)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특히 외측면의 기름층(30)으로는 일정 두께로서 코팅막(4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빵(10)의 내측과 외측에 형성되는 기름층(30)은 성형틀에 밀착되는 부분이 들러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이 기름층(30) 또한 빵(10)으로 공간부(20)에 채워지는 내용물들 즉 각종 야채나 패티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즙이나 액체 소스가 빵(10)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일차로 차단시킴으로서 빵(10)을 통해 외부로 새어 나가는 작용을 동시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코팅막(40)은 주 원료가 찹쌀 가루로 이루어지며, 이 찹쌀 가루를 물 100중량부에 대해 10~40중량부를 혼합한 찹쌀혼합물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뿌려주거나 솔질 등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코팅막(40)에는 찹쌀 가루에 고구마 또는 감자 등의 전분 가루를 섞어 빵의 표면이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찹쌀가루 대비 전분 가루는 7~13중량부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중에서도 1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 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평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빵(10)에 형성하게 되는 코팅막(40)이 빵(10)의 공간부(20)를 형성하는 내측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빵(10)을 성형하는 성형 방식에 따라 공간부(20)를 형성하는 과정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코팅막(40)의 형성 부위에도 당연히 차이가 발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름층(30)을 형성하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나 코팅막(40)은 공간부(20)측의 빵(10)과 기름층(30) 사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공간부(20)에 채워지는 내용물로부터 발생되는 즙이나 액상 소스가 애초부터 빵(10)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주머니 빵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 빵의 제조 과정을 예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주머니 빵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빵 반죽을 도포하기 위한 성형틀과 함께 공간부(20)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틀이 준비되어야만 한다.
준비된 한 쌍의 성형틀 중 일측의 성형틀에는 빵 반죽이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도록 하는데 빵 반죽을 도포하기에 앞서 성형틀과 빵 반죽간의 들러붙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름이 도포되도록 한다.
도 4와 도 5는 서로 다른 성형틀(50)을 이용하여 각 일측의 성형틀(50)에 빵 반죽(60)이 도포되도록 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주머니 빵(10)을 제조하는데 적용되는 성형틀(50)은 그 형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내용물 삽입 공간이 비교적 작거나 폭이 좁을 때에는 도 4와 같은 성형틀(50)을 이용하는 것이 좋고, 내용물 삽입 공간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도 5와 같은 성형틀(50)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유익할 수가 있다.
우선 한 쌍의 성형틀(50)을 구비하게 되면 우선 일측의 성형틀(50)에는 기름이 도포되도록 한 후 일정 두께로 빵 반죽(60)을 도포한다.
도포된 빵 반죽(60)의 표면으로 스프레이나 솔질 등에 의하여 코팅층을 일정 두께로 형성하되 코팅층은 주재료가 찹쌀 가루를 물 100중량부에 대해 10~40중량부를 혼합한 찹쌀혼합물을 코팅하게 되며 찹쌀가루가 10중량부 이하가 혼합될 경우 코팅층 두께가 얇아 성형과정에 구멍이 생기거나 주머니 빵에 소스가 새어나올 수가 있으며 40중량부 이상이 혼합될 경우 코팅층이 두꺼워 빵의 부드러운 풍미가 약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주머니 빵의 코팅층에 찹쌀 가루와 함께 고구마나 감자 등의 전분가루를 찹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해 전분 가루는 7~13중량부를 첨가하여 코팅층을 유연을 좋게 하여 식감을 좋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전분가루를 7중량부 이하 첨가될 경우 빵 특히 코팅층의 부드러움을 느낄 수 없으며, 전분가루를 13중량부 이상 첨가 할 경우 코팅층의 질긴 맛으로 빵의 풍미를 약하게 할 수 있다. 주머니 빵의 코팅층에 유연성을 높이면서 빵의 식감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전분가루를 10 중량부의 비중으로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코팅층 형성 시 빵 반죽(60)에의 점착성이 좋도록 너무 묽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코팅층을 일정 두께로 형성한 다음 코팅층의 표면으로는 다시 기름을 도포하고, 타측의 성형틀(50)을 결합시키도록 한다.
성형틀(50)이 결합되면 이 성형틀(50)을 오븐에 옮기거나 성형틀(50) 자체에 내장한 히터를 이용하여 빵(10)이 구워(bake) 성형되게 한다.
일정 시간 동안의 베이크 공정을 통해 빵 반죽(60)이 구워지면 한 쌍의 성형틀(50)을 분리하여 성형틀(50)로부터 빵(10)이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머니 빵(10)을 제조하게 되면 코팅막(40)에 의해 공간부(20)로 다양한 내용물들이 충전되더라고 이 내용물들로부터 발생되는 액상의 즙이나 액상 소스의 빵(10) 내부로의 흡수가 방지되도록 하거나 적어도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코팅막(40)을 성형 시 찹살 가루로만 사용하게 되면 베이크에 의해 빵(10)의 표면이 딱딱해질 수가 있으나, 찹살 가루에 전분을 혼합하게 되면 베이크에 의해서도 식감을 한층 부드럽게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주머니 빵(10)의 형상은 성형틀(50)의 형상에 의해서 다양하게 형성할 수가 있고, 공간부(20)의 사이즈 또한 다양하게 형성하면서 공간부(20)에 충진되는 내용물의 양와 재료 및 소스를 보다 다양화할 수가 있으므로 한층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10 : 주머니 빵 20 : 공간부
30 : 기름층 40 : 코팅막
50 : 성형틀 60 : 빵 반죽

Claims (7)

  1.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하면서 내용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하는 주머니 빵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빵의 외부면 또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부면에는 공간부에 채워지는 내용물로부터 발생되는 액상물질이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물과, 물 100중량부에 대해 찹쌀가루 10~40중량부와, 찹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해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가루 7~13중량부를 혼합한 찹쌀혼합물을 코팅막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주머니 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한 쌍의 성형틀 중 일측의 성형틀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기름을 도포하는 단계;
    기름이 도포된 면에 일정 두께로 빵 반죽을 도포하는 단계;
    도포한 빵 반죽의 표면에 물과, 물 100중량부에 대해 찹쌀가루 10~40중량부와, 상기 찹쌀가루 100중량부에 대해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가루 7~13중량부를 혼합한 찹쌀혼합물을 일정한 두께로 코팅시키는 코팅막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코팅막의 표면으로 기름을 도포하는 단계;
    일측의 성형틀에 대응되는 타측의 성형틀을 결합하는 단계;
    성형틀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구워내는 단계; 및
    한 쌍의 성형틀을 분리시켜 빵을 탈형하는 단계;
    로서 이루어지는 주머니 빵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50001450A 2015-01-06 2015-01-06 주머니 빵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35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450A KR101735786B1 (ko) 2015-01-06 2015-01-06 주머니 빵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450A KR101735786B1 (ko) 2015-01-06 2015-01-06 주머니 빵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773A KR20160084773A (ko) 2016-07-14
KR101735786B1 true KR101735786B1 (ko) 2017-05-16

Family

ID=5649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450A KR101735786B1 (ko) 2015-01-06 2015-01-06 주머니 빵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7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460A (ja) * 2005-12-30 2007-07-19 I-Mei Foods Co Ltd 可食性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284B1 (ko) 2001-04-04 2004-03-02 유석원 대량생산을 위한 주머니 빵과 그 제조방법
KR100408836B1 (ko) 2001-01-12 2003-12-06 유석원 주머니 빵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460A (ja) * 2005-12-30 2007-07-19 I-Mei Foods Co Ltd 可食性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773A (ko)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524B1 (ko) 원뿔형식품및이의제조방법
KR101392641B1 (ko) 소보로 바게트 버거 빵 및 그 제조방법
KR101735786B1 (ko) 주머니 빵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80064118A1 (en) Filled food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food product
US20140342051A1 (en) Filled flatbread food product and methods of preparation
CN104738124A (zh) 一种果酱夹心饼干及其加工方法
KR101434621B1 (ko) 비스킷 샌드 웨하스 제조 방법
KR20150002820U (ko) 형틀 구이 과자
KR101477987B1 (ko) 호떡 및 호떡의 제조방법
KR100448752B1 (ko) 돈까스의 제조법 및 돈까스
CN104222214A (zh) 一种用于灌入馅料的饼胚生产方法以及饼胚的应用
PL1658773T3 (pl) Ukształtowane i nadziewane przekąski z upieczonego miękiszu ciasta
JP2015231340A (ja) 揚げプリンおよび揚げプリンの製造方法
US9750270B2 (en)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ough-based food products with a non-soluble granulated salt substitute
KR102050516B1 (ko) 피자도우용 몰드, 이를 이용한 피자도우 제조방법, 피자도우 및 피자
PT1295528E (pt) Bolacha recheada e correspondente procedimento de produção
CN207136085U (zh) 一种蛋黄酥
TWM290666U (en) Ma-gi cake structure
KR20110059320A (ko) 샌드위치를 함유한 어묵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692673A (zh) 一种糕点及其加工工艺
JP2020124166A (ja) パ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4008116A (ja) 内部充填物入り焼成食品の製造方法
KR20210012691A (ko) 필링 수납이 용이한 빵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필링 수납이 용이한 빵
JP2011167109A (ja) 冷凍食品及びその製法
CN114698667A (zh) 一种酥油烙饼及其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