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560B1 -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560B1
KR101734560B1 KR1020110023687A KR20110023687A KR101734560B1 KR 101734560 B1 KR101734560 B1 KR 101734560B1 KR 1020110023687 A KR1020110023687 A KR 1020110023687A KR 20110023687 A KR20110023687 A KR 20110023687A KR 101734560 B1 KR101734560 B1 KR 101734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istance
obstacle
vehicl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5943A (ko
Inventor
이의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56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1Comfort closing, i.e. the locking action for a wing is combined with actuation of other vehicle functions, e.g. locking the doors and closing the windows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크기 및 거리에 따라 도어의 열림 강도를 조절하여, 도어와 장애물 간의 접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주변에 장착시킨 거리센서 및 사이드 미러의 주변에 장착시킨 카메라 영상 수집장치를 통하여 차량 주변 장애물 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크기 및 거리에 따라 도어 열림에 필요한 구동력을 도어 열림량 제어기에서 산출하여, 도어의 열림 강도를 최적의 구동력으로 제어함으로써, 도어와 장애물 간의 접촉 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을 보호하는 동시에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oor opening for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크기 및 거리에 따라 도어의 열림 강도를 조절하여, 도어와 장애물 간의 접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 그리고 뒷좌석의 측부에는 승하차를 위한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어에도 차량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각종 편의장치들이 부가되고 있다.
도어에 부가된 편의장치 중, 도어의 닫힘 동작시 작은 힘으로도 쉽게 도어가 닫혀지도록 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즉,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도어를 열고 내린 다음, 도어를 닫는 동작을 취하게 될 때, 적정 강도 이하로 도어를 닫힘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게 되는 점을 감안하여, 도어를 닫힘 동작시 작은 힘으로도 쉽게 도어가 닫혀지도록 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도어를 열고 내린 다음, 적정 강도 이하로 도어를 닫힘 방향으로 밀어줌에 따라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게 되더라도, 도어의 개폐 구동을 위한 모터 토크 및 구동량을 제어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 편의 장치가 도어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도어를 열림방향으로 동작시킬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인지하지 못한 채, 도어를 순간적으로 힘을 주어 열거나, 또는 아이들이 급한 마음에 도어를 순간적으로 열게 되면, 주변 장애물이 상대 차량인 경우 도어의 끝단부가 상대 차량의 도어를 찍게 되어, 상대 차량의 도어에 흡집이 나거나 찌그러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순간적인 큰 힘으로 도어를 열 때, 주변 장애물이 인도의 턱부분 또는 도로 부설물 인 경우에는 자기 차량의 도어가 오히려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 주변에 장착시킨 거리센서 및 사이드 미러의 주변에 장착시킨 카메라 영상 수집장치를 통하여 차량 주변 장애물 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크기 및 거리에 따라 도어 열림에 필요한 구동력을 도어 열림량 제어기에서 산출하여, 도어의 열림 강도를 최적의 구동력으로 제어함으로써, 도어와 장애물 간의 접촉 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을 보호하는 동시에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어 주변 장애물과의 거리 및 장애물의 크기를 감지하는 거리 및 크기 감지수단과; 사이드 미러에 후방 촬영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와; 거리센서의 감지신호 및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도어 열림 강도 제어 신호를 도어 열림량 제어기에 명령하는 동시에 멀티미디어 유닛에 영상신호 출력 명령을 내리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의 도어 열림 강도 제어 신호 명령에 따라, 도어의 개폐중심축과 연결된 모터에 토크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도어 열림량 제어기와;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유닛;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거리 및 크기 감지수단은: 도어의 상하폭 중앙 위치이면서 도어의 개폐축과 인접 설치되는 제1거리센서와; 도어의 바깥쪽 상단에 설치되는 제2거리센서와; 도어의 바깥쪽 하단에 설치되는 제3거리센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의 열림시 도어와 장애물과의 거리에 따라, 제어유닛의 제어신호를 받아 서로 다른 알람음을 출력하는 알람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도어 열림시, 장애물과의 거리 및 장애물의 크기를 다수개의 거리센서에서 감지하여 제어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도어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도어와 장애물와의 거리 단계별로 알람음이 출력되는 단계와; 사이드 미러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각이 조절된 후, 카메라의 영상 촬영이 개시되는 단계와; 카메라의 영상 신호를 수신한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도어 주변의 모습이 차량내 멀티미디어 유닛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단계와; 거리 단계별 알람음이 일정 단계 이상으로 출력되면, 제어유닛에서 도어 열림량 제어기에 도어 열림 강도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도어 열림 강도 제어 신호를 수신한 도어 열림량 제어기에서 도어 개폐용 모터에 토크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모터의 토크 제어로 인하여 도어의 열림 강도가 무겁게 제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다수개의 거리 센서의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제어유닛에서 장애물의 좌우 사이즈 및 상하 사이즈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결과값에 따라 카메라의 좌우 또는 상하 촬영각도가 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조절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다수개의 거리센서 중, 제1거리센서와 제2거리센서의 센싱 동작이 이루어지거나, 제1거리센서와 제3거리센서의 센싱 동작이 이루어지면, 그 센싱 신호를 제어유닛에서 수신하여 장애물의 좌우 사이즈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면, 상기 다수개의 거리센서 중, 제2거리센서 및 제3거리센서의 센싱 동작이 이루어지면, 그 센싱 신호를 제어유닛에서 수신하여 장애물의 상하 사이즈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의 도어중 2열 후석 도어에 장착된 거리센서의 센싱 동작이 이루어지면, 제어유닛에서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상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유닛에서 도어 열림 이전에 도어 언락신호를 수신하면, 제어유닛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카메라의 영상 촬영이 개시되고, 도어 열림 전에 촬영된 주변 영상이 멀티미디어 유닛의 디스플레이에 미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주변에 거리센서를 장착하고, 사이드 미러의 주변에 카메라 영상 수집장치를 설치하여, 거리센서의 센싱 신호 및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기반으로 주변 장애물 등을 차량내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크기 및 거리에 따라 도어 열림에 필요한 구동력을 산출하여, 도어의 열림 강도를 제어함으로써, 도어와 장애물 간의 접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어 열림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도어의 열림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도어 열림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천천히 이루어지는 것을 유도하여, 차량의 도어와 장애물이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열림 이전에 도어의 언락 신호를 사전 인지하면, 카메라로 촬영된 도어 주변 환경을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 등에게 미리 보여줌으로써, 도어 열림 조작의 주의력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의 거리센서 부착 위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차량에서 하차시, 도어 주변의 장애물(예를 들어, 주차된 차량)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부주의로 인하여 도어를 순간적으로 힘을 주어 열 때, 도어가 주변 장애물과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도어와 주변 장애물 간의 거리 및 주변 장애물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및 크기 감지수단으로서, 도어(10)의 외측에 다수개의 거리센서(12)가 소정의 배열로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개의 거리센서(12)는 장애물의 좌우 사이즈 및 상하 사이즈를 센싱할 수 있도록 총 3개의 거리센서를 사용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수개의 거리센서(12)는, 도어(10)의 상하폭 방향의 중앙 위치이면서 도어(10)의 개폐축과 인접된 도어의 안쪽 위치에 장착되는 제1거리센서(12a)와, 도어(10)의 바깥쪽에서 상단 위치(도어글래스의 아래쪽 위치)에 설치되는 제2거리센서(12b)와, 도어(10)의 바깥쪽에서 하단 위치(제2거리센서와 상하방향으로 일치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제3거리센서(1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어 주변의 장애물 등을 차량내의 멀티미디어 유닛(22)의 디스플레이(24)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수집수단으로서, 차량의 사이드미러(20)에는 카메라(14)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멀티미디어 유닛은 카메라(14)의 촬영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24)를 비롯하여, 오디오, 비디오, 네비게이션 기능 등이 통합된 유닛으로서, 차량내의 센터페시아 패널에 장착된 것이다.
특히, 상기 사이드미러(20)는 반사각을 상하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전동식 사이드미러로서, 카메라의 상하좌우 촬영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카메라(14)를 사이드미러면 한쪽에 일체로 장착하여, 사이드미러와 카메라(14)가 연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거리센서(12)의 센싱 신호와, 카메라(14)의 영상신호는 제어유닛(18)에 전송되는 바, 이 제어유닛(18)은 거리센서(12)의 센싱 신호와 카메라(14)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도어 열림 강도 제어 신호를 도어 열림량 제어기(16)에 명령하는 동시에 멀티미디어 유닛(22)에 영상신호 출력 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도어 열림량 제어기(16)는 제어유닛(18)의 도어 열림 강도 제어 신호 명령에 따라, 도어(10)의 개폐중심축과 연결된 모터 즉, 도어의 자동 개폐를 위한 모터(미도시됨)에 토크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는 제어유닛의 신호를 받아 울리는 알람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 알람발생수단은 도어(10)의 열림시 도어와 장애물과의 거리에 따라서, 제어유닛(18)의 제어신호를 받아 서로 다른 알람음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중 카메라와 알람발생수단을 통상의 주차도움 기능인 AVM(All Around View monitoring system)에 포함된 것으로 사용한다면, 별도로 카메라 및 알람발생수단을 설치하지 않고도 도어 열림 강도 조절을 위한 로직을 구현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거리센서(12)들과, 카메라(14)와, 제어유닛(18)과, 멀티미디어 유닛(22)과, 도어 열림량 제어기(16) 등은 차량내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 열림시 동작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하차를 위해 도어를 여는 순간, 도어(10)에 장착된 다수개의 거리센서(12)들의 센싱 동작이 이루어지고, 그 센싱 신호는 제어유닛(18)으로 전송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유닛(18)에서 다수개의 거리 센서(12)의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장애물의 좌우 사이즈 및 상하 사이즈를 산출하게 되며, 그 산출된 결과값에 따라 카메라(14)의 좌우 또는 상하 촬영각도가 제어유닛(18)의 제어에 의하여 조절된다.
상기 제어유닛(18)에서 장애물의 상하 및 좌우 사이즈를 산출하는 과정은 다수개의 거리센서(12) 중, 제1거리센서(12a)와 제2거리센서(12b)의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진행되거나, 제1거리센서(12a)와 제3거리센서(12c)의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도어(10)의 상하폭 방향의 중앙 위치이면서 도어(10)의 개폐축과 인접된 도어의 안쪽 위치에 장착되는 제1거리센서(12a)의 센싱 신호와, 도어(10)의 바깥쪽에서 상단 위치(도어글래스의 아래쪽 위치)에 설치되는 제2거리센서(12b)의 센싱 신호를 제어유닛(18)에서 수신하면, 제2거리센서(12b)의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장애물의 높이가 높은 것으로 판정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거리센서(12a,12b)의 거리만큼 장애물의 좌우 사이즈를 판정하게 된다.
이렇게 제어유닛(18)에서 장애물의 높이가 높은 것으로 판정하면,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상향 조절하는 제어를 하여, 카메라의 촬영각이 장애물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상향 조절된다.
반면에, 도어(10)의 상하폭 방향의 중앙 위치이면서 도어(10)의 개폐축과 인접된 도어의 안쪽 위치에 장착되는 제1거리센서(12a)의 센싱 신호와, 도어(10)의 바깥쪽에서 하단 위치에 설치되는 제3거리센서(12c)의 센싱 신호를 제어유닛(18)에서 수신하면, 제3거리센서(12c)의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장애물의 높이가 낮은 것으로 판정하는 동시에 제1 및 제3거리센서(12a,12c)의 거리만큼 장애물의 좌우 사이즈를 판정하게 된다.
이렇게 제어유닛(18)에서 장애물의 높이가 낮은 것으로 판정하면,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하향 조절하는 제어를 하여, 카메라의 촬영각이 장애물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향 조절된다.
또한, 차량의 도어(10)중 2열 후석 도어에 장착된 거리센서(12)의 센싱 동작이 이루어지면, 위와 같은 제어유닛(18)의 제어에 의하여 카메라(14)의 촬영각도가 상향 조절된다.
한편, 도어 열림시 거리센서(12)의 센싱 결과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유닛(18)에서 알람발생수단에 신호를 보내어 도어와 장애물과의 거리 단계별로 알람음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객은 도어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함을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운전자 또는 탑승객은 알람음을 듣는 순간 도어를 순간적으로 힘을 주며 여는 동작을 자제하게 되므로, 도어와 장애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사이드미러(20)에 장착된 카메라(14)의 촬영 각도가 조절된 후, 카메라(14)의 영상 촬영이 개시되고, 촬영된 영상 신호는 제어유닛(18)으로 보내어진다.
이어서, 카메라(14)의 영상 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18)의 제어에 의하여 도어 주변의 모습이 차량내 멀티미디어 유닛(22)의 디스플레이(24)에 출력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객들은 차량 외부를 보지 않고 디스플레이(24)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면서 도어 주변에 장애물이 있음을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알람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알람음은 도어와 장애물 간의 거리에 따라 다른 음으로 표출되는 바, 거리 단계별 알람음이 일정 단계 이상 즉, 도어와 장애물 간의 거리가 가까운 것을 나타내는 단계의 알람음이 발생되면, 제어유닛(18)에서 도어 열림량 제어기(16)에 도어 열림 강도 제어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 열림 강도 제어 신호를 수신한 도어 열림량 제어기(16)에서 도어 개폐용 모터에 토크 제어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모터의 토크 제어로 인하여 도어(10)의 열림 강도가 무겁게 제어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순간적으로 도어를 힘있게 열더라도, 장애물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순간, 모터 토크 제어에 의하여 도어의 열림 방향 움직임이 무겁게 제어되므로, 즉 모터 토크를 낮추어서 도어의 열림강도가 상향 조절된 상태가 되므로, 이를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인지하여 도어를 순간적으로 힘을 주며 여는 동작을 자제하게 되어, 도어가 장애물에 부딪히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어 열림 이전시 동작
차량의 주차 및 정차후,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도어를 열기 전에도 도어 열림 강도를 다음과 같이 조절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유닛(18)에서 도어 열림 이전에 도어 언락신호를 수신하면, 예를 들어 도어의 내부에 내장된 도어 래치 어셈블리로부터 도어 언락신호를 수신하면, 거리센서(12)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제어유닛(18)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카메라(14)의 영상 촬영이 개시된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에서 거리센서의 센싱신호 및 카메라의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도어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면, 도어 열림 전에 촬영된 주변 영상을 멀티미디어 유닛(22)의 디스플레이(24)에 미리 표시하고, 도어 열림량 제어기(16)에 도어 열림 강도 제어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 열림량 제어기(16)에서 도어 개폐용 모터에 토크 제어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모터의 토크 제어로 인하여 도어의 열림전부터 도어(10)의 열림 강도가 상향 제어된 상태(사용자가 도어를 무겁게 느끼게 되는 상태)이므로, 도어를 순간적으로 힘을 주며 열더라도 도어가 장애물에 부딪히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 열림 전에 촬영된 주변 영상이 멀티미디어 유닛(22)의 디스플레이(24)에 미리 표시되어 운전자 및 탑승객이 볼 수 있는 상태이므로,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도어를 순간적으로 힘을 주며 여는 동작을 자제하게 된다.
10 : 도어 12 : 거리센서
12a : 제1거리센서 12b : 제2거리센서
12c : 제3거리센서 14 : 카메라
16 : 도어 열림량 제어기 18 : 제어유닛
20 : 사이드 미러 22 : 멀티미디어 유닛
24 : 디스플레이

Claims (11)

  1. 차량의 도어(10)에 장착되어 주변 장애물과의 거리 및 장애물의 크기를 감지하는 거리 및 크기 감지수단과;
    사이드 미러(20)에 후방 촬영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14)와;
    상기 거리 및 크기 감지수단인 다수개의 거리 센서(12)의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장애물의 좌우 사이즈 및 상하 사이즈를 산출한 후, 산출된 결과값에 따라 카메라(14)의 좌우 또는 상하 촬영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거리 및 크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 및 카메라(14)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도어 열림 강도 제어 신호를 도어 열림량 제어기(16)에 명령하는 동시에 멀티미디어 유닛(22)에 영상신호 출력 명령을 내리는 제어유닛(18)과;
    상기 제어유닛(18)의 도어 열림 강도 제어 신호 명령에 따라, 도어(10)의 개폐중심축과 연결된 모터에 토크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도어 열림량 제어기(16);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 및 크기 감지수단은 거리센서(12)로서,
    도어(10)의 상하폭 중앙 위치이면서 도어(10)의 개폐축과 인접 설치되는 제1거리센서(12a)와;
    도어(10)의 바깥쪽 상단에 설치되는 제2거리센서(12b)와;
    도어(10)의 바깥쪽 하단에 설치되는 제3거리센서(12c);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의 열림시 도어와 장애물과의 거리에 따라, 제어유닛(18)의 제어신호를 받아 서로 다른 알람음을 출력하는 알람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4)의 촬영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24)를 포함하는 차량내 멀티미디어 유닛(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5. 도어 열림시, 장애물과의 거리 및 장애물의 크기를 다수개의 거리센서(12)에서 감지하여 제어유닛(18)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도어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도어와 장애물과의 거리 단계별로 알람음이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다수개의 거리 센서(12)의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제어유닛(18)에서 장애물의 좌우 사이즈 및 상하 사이즈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결과값에 따라 카메라(14)의 좌우 또는 상하 촬영각도가 제어유닛(18)의 제어에 의하여 조절되는 단계를 통하여, 사이드 미러(20)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각이 조절된 후, 카메라(14)의 영상 촬영이 개시되는 단계와;
    카메라(14)의 영상 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18)의 제어에 의하여 도어 주변의 모습이 차량내 멀티미디어 유닛(22)의 디스플레이(24)에 출력되는 단계와;
    거리 단계별 알람음이 일정 단계 이상으로 출력되면, 제어유닛(18)에서 도어 열림량 제어기(16)에 도어 열림 강도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도어 열림 강도 제어 신호를 수신한 도어 열림량 제어기(16)에서 도어 개폐용 모터에 토크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모터의 토크 제어로 인하여 도어(10)의 열림 강도가 상향 제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거리센서(12) 중, 제1거리센서(12a)와 제2거리센서(12b)의 센싱 동작이 이루어지거나, 제1거리센서(12a)와 제3거리센서(12c)의 센싱 동작이 이루어지면, 그 센싱 신호를 제어유닛(18)에서 수신하여 장애물의 좌우 사이즈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거리센서 중, 제2거리센서(12b) 및 제3거리센서(12c)의 센싱 동작이 이루어지면, 그 센싱 신호를 제어유닛(18)에서 수신하여 장애물의 상하 사이즈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10)중 2열 후석 도어에 장착된 거리센서(12)의 센싱 동작이 이루어지면, 제어유닛(18)의 제어에 의하여 카메라(14)의 촬영각도가 상향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 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거리센서의 센싱 신호 및 카메라의 영상 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에서 도어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면,
    도어 열림량 제어기(16)에 도어 열림 강도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도어 열림량 제어기(16)에서 도어 개폐용 모터에 토크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모터의 토크 제어로 인하여 도어(10)의 열림 강도가 무겁게 제어되는 단계,
    가 도어 열림전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 방법.
KR1020110023687A 2011-03-17 2011-03-17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 KR101734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687A KR101734560B1 (ko) 2011-03-17 2011-03-17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687A KR101734560B1 (ko) 2011-03-17 2011-03-17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943A KR20120105943A (ko) 2012-09-26
KR101734560B1 true KR101734560B1 (ko) 2017-05-11

Family

ID=4711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687A KR101734560B1 (ko) 2011-03-17 2011-03-17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9216A (zh) * 2015-08-17 2015-11-18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汽车开门防撞系统
US10829978B2 (en) * 2015-12-01 2020-11-10 Faraday & Future In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vehicle door
KR102267260B1 (ko) * 2015-12-17 2021-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11549B1 (ko) * 2015-12-30 2017-03-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주정차시의 측후방 위험감지를 통한 오토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41574B1 (ko) * 2016-04-01 2019-11-06 주식회사 디젠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US10407946B2 (en) * 2017-07-13 2019-09-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door locking systems and control logic for passenger door assemblies
KR102430170B1 (ko) * 2017-12-02 2022-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8489666B (zh) * 2018-03-01 2024-05-17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模拟冷柜门体平衡角度和开门力值的测量装置
US11623611B2 (en) * 2019-08-29 2023-04-11 Motional Ad Llc Methods for passenger authentication and door operation for autonomous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943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560B1 (ko) 차량용 도어 열림 강도 조절장치 및 방법
CN105216727B (zh) 一种车辆距离探测主动安全系统和控制方法
CN108025766B (zh) 用于通过移动终端交互控制机动车辆的自动停放的方法
EP3053809B1 (en) Parking assistance system
US10131277B2 (en) Surroundings monitoring apparatus
CN107972661B (zh) 驻车辅助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301136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door clearance zone projection
KR101482171B1 (ko) 어라운드뷰 정차모드 제어방법
CN110371140B (zh) 一种基于全景环视图像处理的车门开启预警系统及方法
JP5949660B2 (ja) ドライバ確認装置
CN107839594B (zh) 用于车辆的障碍检测装置和方法
KR101960915B1 (ko) 차량 도어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4590962B2 (ja) 車両用周辺監視装置
KR20160051321A (ko) 차량의 능동 사이드 뷰 시스템
KR20170070457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89350A (ko) 자동차용 충돌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1038499A (zh) 可根据驾驶员状态自主控制车辆的盲区监测系统及方法
CN115257540A (zh) 一种障碍物提示方法、系统、车辆及存储介质
KR101278064B1 (ko) 차량의 주차 보조 영상 제공 방법 및 그의 제공 시스템
KR20170070459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663290B1 (ko) 영상과 거리 보정을 통한 주차 보조 시스템
KR20170069645A (ko)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1681577B1 (ko) 차량의 경보 장치
JP4900146B2 (ja) 障害物検知装置
KR102430170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