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234B1 - 전선이 자동공급되는 납땜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이 자동공급되는 납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234B1
KR101726234B1 KR1020160022497A KR20160022497A KR101726234B1 KR 101726234 B1 KR101726234 B1 KR 101726234B1 KR 1020160022497 A KR1020160022497 A KR 1020160022497A KR 20160022497 A KR20160022497 A KR 20160022497A KR 101726234 B1 KR101726234 B1 KR 10172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nit
electric
electric wire
sold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길
Original Assignee
전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형길 filed Critical 전형길
Priority to KR102016002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6Braz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 H05K13/0465Surface mounting by soldering
    • B23K2201/36
    • B23K2201/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전선을 공급하는 전선공급유닛을 구비한 납땜장치로서, 전선공급유닛; 상기 전선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전선을 운반하는 전선운반유닛; 및 상기 전선운반유닛에 의해 운반된 전선을 납땜하는 전선납땜유닛(300)을 포함하는 납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공급유닛은, 전선저장부; 상기 전선저장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선배출구; 상기 전선배출구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전선이송부; 및 상기 전선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전선이 배치되는 전선배치홈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전선이송부(160)는 실린더(S)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납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이 자동공급되는 납땜장치{A soldering equipment with the cable being automatically fed}
본 발명은 전선이 자동공급되는 납땜장치로서, 전선저장부에 저장된 전선이 탄성부재에 의해 전선저장부로부터 자동 배출되고, 배출된 전선이 실린더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전선이송부에 의해 전선배치대로 이송된 이후, 배치된 전선이 전선운반유닛에 의해 회로기판이 위치된 작업테이블로 자동 운반되어 회로기판 등에 납땜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납땜연기 흡입에 따른 위험성 및 화상의 위험성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납땜 작업 속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전자제품의 내부에 들어가는 여러 회로기판에는 아이씨칩(IC chip)이나 트랜지스터 또는 다이오드 등과 같은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되며, 이러한 전자부품은 납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나아가, 회로기판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전선의 연결도 납땜을 통해 연결된다.
한편, 과학 기술과 산업의 발전에 따라 회로기판에 전선을 접속시키는 납땜방식도 점차 자동화되고 있다. 납땜을 자동화시킨 자동 납땜장치는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주고 생산성을 높여준다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전선을 회로기판에 납땜연결시키는 자동 납땜장치를 개시한 종래기술인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68399호를 살펴본다.
종래기술에서 개시한 발명은 다수의 접점부를 갖는 회로기판의 상부에 그 일부가 걸쳐져 있는 상태의 전선의 일단부를 상기 접점부에 납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의 테이블상에, 상호 직교하는 xyz축 방향으로의 직선운동 및 축회전운동이 가능한 스핀들을 제공하는 로봇과; 상기 스핀들에 장착되며 로봇의 동작에 의해 xyz축 방향 직선운동 및 축회전운동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스핀들의 하강시 하강하여 대기하고 있는 상기 전선을 지지하고 그 상태로 상기 스핀들의 수평방향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접점부측으로 직선 이동하며 전선을 직선으로 펼쳐 전선의 일단부가 상기 접점부에 올려지게 하는 전선포지셔너와; 상기 헤드에 승강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선포지셔너에 의해 전선의 일단부가 올려져 있는 접점부로 하강하여 접점부에 납땜열을 가하는 인두와; 상기 인두와 함께 승강운동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실납을 상기 접점부 상에 공급하여 실납이 인두의 납땜열에 녹아 접점부와 전선을 덮게 하는 실납공급부를 포함하는 납땜장치이다.
종래 기술은 회로기판에 납땜연결되는 전선을 회로기판 접점부에 정확하게 배치시키고자 전선포지셔너를 구비하고 있다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회로기판 접점부에 전선 단부를 정확하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납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성 효율 증대와 더불어 제품의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발명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전선이 수동으로 전선고정부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공급되어 회로기판에 납땜연결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즉, 이미 공급된 전선의 납땜 작업이 끝나면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또 다른 전선을 수동으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작업 시간이 늘어나며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수동으로 전선이 공급되는 경우에 인두에 의한 화상 등 안전사고 위험이 따르게 된다. 즉, 전선을 고정하는 작업테이블의 인근에는 인두가 위치하고 있는 바, 수동으로 전선을 공급하는 도중에 인두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또한, 작업량이 늘어남에 따라 생산비가 비율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작업량이 많아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전선을 공급해야 할 인력이 많아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회로기판 등에 전선을 납땜연결하는 경우, 전선이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는 납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대량으로 전선이 저장된 상태에서 저장된 전선이 자동으로 배출되고 운반될 수 있는 납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선의 배출이 주기적이고 규칙적이어서 배출 체증이 발생되는 않는 전선공급유닛을 갖는 납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는, 전선공급유닛(100); 상기 전선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된 전선을 운반하는 전선운반유닛(200); 및 상기 전선운반유닛(200)에 의해 운반된 전선을 납땜하는 전선납땜유닛(300)을 포함하는 납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공급유닛(100)은, 전선저장부(120); 상기 전선저장부(1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선배출구(140); 상기 전선배출구(14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전선이송부(160); 및 상기 전선이송부(160)에 의해 이송된 전선이 배치되는 전선배치홈(180)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전선이송부(160)는 실린더(S)의 작동에 의해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선이송부(160)의 일측에는 상기 전선배출구(140)에서 배출된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홈(1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삽입홈(162)에 삽입된 상태로 이송된 전선이 상기 전선배치홈(180)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선삽입홈(162)이 상기 전선배치홈(180) 상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전선이송부(160)의 일측이 상기 전선배출구(140) 상에 위치되어 전선의 배출이 차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선삽입홈(162) 및 전선배치홈(180)은 전선의 외경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선저장부(120)는, 하우징(122); 하우징(122) 내측에 위치되어 이동 가능한 전선리프트(124); 및 상기 전선리프트(124)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12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선리프트(124)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 가이드홈(12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126)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122)의 내측 일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126)의 타단이 상기 탄성부재 가이드홈(124a)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22) 내측에는 전선의 외경과 길이에 상응하는 폭과 길이를 갖는 전선가이드부(1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리프트(124)의 일측면에는 돌출부(124b)가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전선가이드부(122a')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돌출부(124b)에 의해 상기 전선가이드부(122a')에 저장된 전선이 상기 전선배출구(140)로 배출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납땜장치에 자동으로 전선이 공급되는 전선공급유닛이 구비되는 바, 작업 시간이 줄어들고 납땜의 정확성이 증가되어 불량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선저장부에 대량으로 저장된 전선이 전선배출구에서 배출됨에 있어서, 전선이송부에 의해 전선 배출이 탄창식 방식으로 규칙적으로 배출되는 바, 전선 배출에 체증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일정량의 전선이 전선저장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전선이 작업테이블에 자동으로 공급되는 바, 수동에 따른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중 전선저장부에서 전선이송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중 전선저장부에서 실린더에 연결된 전송이송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중 전선저장부에서 하우징, 전선리프트 및 탄성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중 전선저장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 중 전선리프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 구성요소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장치는 전선공급유닛(100), 전선운반유닛(200) 및 전선납땜유닛(300)을 포함한다.
전선공급유닛(100)은 전선을 저장한 상태에서 주기적 배출이 될 수 있도록 제어된 상태에서 저장된 전선을 배출한다. 이하 자세히 후술한다.
전선운반유닛(200)은 전선집게부(240) 및 전선집게부(240)가 체결된 가이드레일(220)을 포함한다. 전선집게부(240)는 실린더(S) 작동에 의해 하강한 상태에서 전선공급유닛(100)에서 배출된 전선을 집는다.
이후 전선을 전선집게부(240)에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시 상승하고, 이후 실린더(S) 작동에 의해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작업테이블에 위치한 회로기판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 후, 회로기판 위에서 하강하여 전선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전선이 회로기판의 접점에 닿도록 한다.
전선납땜유닛(300)은 인두(320) 및 실납공급부(340)를 포함한다. 회로기판의 접점에 전선이 배치된 상태에서 실납공급부(340)에서 공급되는 실납과 인두(320)에 의한 납땜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바 설명을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전선납땜유닛(300)도 실린더 작동에 의해 인두가 상하로 이동됨과 동시에 접점에 실납이 공급되어 전선의 납땜연결이 이루어진다.
전선공급유닛(100)은 전선저장부(120), 전선배출구(140), 전선이송부(160) 및 전선배치홈(180)을 포함한다.
전선저장부(120)에서는 전선이 저장된 상태에서 전선배출구(140)로 전선이 배출된다. 전선배출구(140)에서 전선이 배출되는 경우 전선배출구(140) 상에서 전선이송부(160)가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전선의 배출이 제어된다.
전선저장부(120)는 하우징(122), 전선리프트(124) 및 탄성부재(126)를 포함한다.
하우징(122)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리프트(124)의 이동에 의해 하우징(122)의 내측에 저장된 전선이 이동되어 전선배출구(140)로 배출된다.
하우징(122)의 내측에는 전선리프트(124)가 이동될 수 있는 전선리프트(124)의 외형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 전선리프트 가이드부(122a)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하우징(122)의 내측에는 전선의 외경과 길이에 상응하는 폭과 길이를 갖는 전선가이드부(122a')가 전선리프트 가이드홈(122b)에 포함되어 형성되어 있다. 전선리트프 가이드홈(122b)은 전선가이드부(122a')을 포함한다. 전선은 전선가이드부(122a')에 차곡차곡 쌓이면서 저장된다.
전선리프트(124)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126)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 가이드홈(124a)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탄성부재 가이드홈(124a)이 위치될 수 있다.
전선리프트(124)는 탄성부재 가이드홈(124a)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제어홈(124c)을 더 포함한다. 이동제어홈(124c)은 전선리프트(124)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제어홈(124c)의 일측에는 일정 길이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22)의 일측에도 이동제어홈(124c)의 일측에 형성된 홀이 이동하는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는 갖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제어홈(124c)에 형성된 홀과 하우징(122)의 홀을 통하여 하우징(122)의 외부에서 전선리프트(124)의 내측까지 관통된다.
이에 따라, 볼트 등을 이동제어홈(124c)의 홀 및 하우징(122)의 홀에 관통시킨 후, 볼트 등의 회전으로 하우징(122)의 내측에서의 전선리프트(124)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후술할 탄성부재(142a)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전선리프트(124)가 이동되면서 전선배출구(140)로 전선이 배출되지만, 이동제어홈(124c)의 홀 및 하우징(122)의 홀을 관통하는 볼트 등이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122)의 내측면과 전선리프트(124)의 외측면의 접촉에 의해 마찰력 증가되어 전선리프트(124)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전선리프트(124)의 일측면에는 전선가이드부(122a')의 폭과 길이에 상응하는 폭과 길이를 갖는 돌출부(124b)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선리프트(124)가 상하로 이동되는 경우, 돌출부(124b)는 전선리프트(124)의 상부면에서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전선리프트(124)가 이동됨에 따라 돌출부(124b)가 전선가이드부(122a')를 따라 이동되고, 전선가이드부(122a')에 저장된 전선이 돌출부(124a)의 이동에 의해 밀리면서 전선배출구(140)로 배출된다.
탄성부재(126)는 전선리프트(124)의 내측에 형성된 탄성부재 가이드홈(124a)에 삽입된다. 탄성부재(126)의 탄성력에 의해 전선리프트(124)가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22)의 내측의 일측면, 즉 전선리프트 가이드부(122a)의 일측면에 탄성부재(126)의 일단이 접한 상태에서 탄성부재(126)의 타단이 탄성부재 가이드홈(124a)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전선리프트(124)는 전선리프트 가이드부(122a) 내에서 탄성부재(126)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된다.
탄성부재(126)는 탄성력을 갖는 어떠한 재질이라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전선배출구(140)는 전선저장부(120) 일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22)의 외측에 위치하면서 하우징(122)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선가이드부(122a')과 관통된다. 따라서, 전선가이드부(122a')를 통해 이동되는 전선이 배출된다.
전선리프트(124)가 상하로 이동되는 경우, 전선배출구(140)는 하우징(122)의 외측 상부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선이송부(160)는 전선배출구(140) 상에서 실린더(S)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전선배출구(140)가 하우징(122) 상부면에 위치하는 경우, 하우징(122)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전선이송부(160)의 하부면은 평평하지만 일측에는 전선삽입홈(162)이 위치된다. 전선배출구(140) 상에 전선이송부(160)의 평평한 부분이 접할 때에는 전선배출구(140)를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전선이 배출되지 않는다. 즉, 탄성부재(126)의 탄성력에 의해 전선리프트(124)의 이동되어 전선이 전선배출구(140)로 이동된다하더라도 전선배출구(140) 상에 전선이송부(160)의 평평한 부분이 접하고 있어 전선이 배출되지 않는다.
전선배출구(140) 상에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홈(162)이 위치되는 경우에, 전선은 배출되어 전선삽입홈(162)에 삽입된다. 이때, 배출된 하나의 전선만이 전선삽입홈(16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홈(162)의 깊이는 전선의 외경에 상응한다. 이에 따라, 2개 또는 3개의 전선이 한꺼번에 전선삽입홈(162)에 삽입됨에 따라 전선 이송에 체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차단할 수 있다.
일단 전선삽입홈(162)이 전선배출구(140) 상에 위치한 경우, 전선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된 전선이 전선삽입홈(162)에 삽입되며, 이후 실린더(S) 작동에 의해 전선이송부(160)가 이동되면서 전선이송부(160)의 평평한 부분이 전선배출구(140) 상에 위치되어 전선 배출이 차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하나의 전선만 전선이송부(160)에 의해 이송된다.
하우징(122)의 외측에 위치되거나 또는 하우징(122)에 연결된 상태에서 위치되는 전선배치홈(180)은 전선배출구(140)에 근접한 거리에 위치된다. 전선삽입홈(162)에 전선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선이송부(160)가 이동되어 전선삽입홈(162)이 전선배치홈(180) 상에 위치된다. 전선삽입홈(162)에 삽입된 전선이 전선배치홈(180)에 이송된다. 즉, 전선삽입홈(162)의 하단면이 전선배치홈(180)의 상단면 상에 위치되어 전선이 전선배치홈(180)으로 이송된다. 전선배치홈(180)의 상단면과 전선배출구(140)는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선배치홈(180)에 배치된 전선은 하강된 전선집게부(240)에 의해 고정되고, 이후 전선운반유닛(200)을 거쳐 작업테이블(400) 상의 회로기판 상의 접점지점에 배치되고, 전선납땜유닛(300)에 의해 회로기판에 납땜연결된다.
실린더(S)는 공기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압 실린더일 수 있다.
2. 작동설명
하우징(122) 내측의 전선가이드부(122a')에 차곡차곡 쌓인 전선이 탄성부재(126)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전선리프트(124)의 이동에 의해 전선배출구(140)로 배출된다.
배출된 전선은 전선이송부(160)의 전선삽입홈(162)에 삽입되고, 이후 실린더(S) 작동에 의해 전선이송부(160)가 전선배치홈(180)으로 이동된다. 전선삽입홈(162)이 전선배치홈(180) 상에 위치되어 전선이 전선배치홈(180)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전선배출구(140)는 전선이송부(160)의 평평한 일측에 차단되어 또 다른 전선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전선배치홈(180)에 전선을 이송한 전선이송부(160)가 다시 실린더(S) 작동에 의해 이동되어 전선삽입홈(162)이 전선배출구(140) 상에 위치된다. 이후 또 다른 전선이 전선삽입홈(162)에 삽입된다.
한편, 전선배출홈(180)에 배치된 전선은 하강되는 전선집게부(240)에 의해 고정되고, 이후 전선집게부(240)는 실린더(S) 작동에 의해 상승하여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이동되고, 작업테이블(400) 상의 회로기판의 접점에 전선이 닿을 수 있도록 다시 하강한다. 이때, 전선의 납땜이 완료될 때까지 전선집게부(240)는 전선을 고정시킨다.
이후, 실린더(S) 작동에 의해 인두(320)와 실납공급부(340)의 실납 공급으로 납땜이 이루어진다. 납땜이 완료된 이후 전선집게부(240)는 전선 고정을 해제하고 다시 상승 및 이동하여 전선배출홈(180)에 배치된 전선을 집어 고정시킨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선공급유닛
120: 전선저장부
122: 하우징
122a: 전선리프트 가이드부
122a': 전선가이드부
124: 전선리프트
124a: 탄성부재 가이드홈
124b: 돌출부
124c: 이동제어홈
126: 탄성부재
140: 전선배출구
160: 전선이송부
162: 전선삽입홈
180: 전선배치홈
200: 전선운반유닛
220: 가이드레일
240: 전선집게부
300: 전선납땜유닛
320: 인두
340: 실납공급부
400: 작업테이블
S: 실린더

Claims (7)

  1. 전선공급유닛(100); 상기 전선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된 전선을 운반하는 전선운반유닛(200); 및 상기 전선운반유닛(200)에 의해 운반된 전선을 납땜하는 전선납땜유닛(300)을 포함하는 납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공급유닛(100)은,
    전선저장부(120);
    상기 전선저장부(1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선배출구(140);
    상기 전선배출구(14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전선이송부(160); 및
    상기 전선이송부(160)에 의해 이송된 전선이 배치되는 전선배치홈(180)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이송부(160)는 실린더(S)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전선이송부(160)의 일측에는 상기 전선배출구(140)에서 배출된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홈(16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전선삽입홈(162)에 삽입된 상태로 이송된 전선이 상기 전선배치홈(180)에 배치되는 납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삽입홈(162)이 상기 전선배치홈(180) 상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전선이송부(160)의 일측이 상기 전선배출구(140) 상에 위치되어 전선의 배출이 차단되는 납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삽입홈(162) 및 전선배치홈(180)은 전선의 외경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는 납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저장부(120)는,
    하우징(122);
    하우징(122) 내측에 위치되어 이동 가능한 전선리프트(124); 및
    상기 전선리프트(124)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126)를 포함하는 납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리프트(124)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 가이드홈(12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126)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122)의 내측 일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126)의 타단이 상기 탄성부재 가이드홈(124a)에 삽입되는 납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2) 내측에는 전선의 외경과 길이에 상응하는 폭과 길이를 갖는 전선가이드부(1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리프트(124)의 일측면에는 돌출부(124b)가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전선가이드부(122a')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돌출부(124b)에 의해 상기 전선가이드부(122a')에 저장된 전선이 상기 전선배출구(140)로 배출되는 납땜장치.

KR1020160022497A 2016-02-25 2016-02-25 전선이 자동공급되는 납땜장치 KR10172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497A KR101726234B1 (ko) 2016-02-25 2016-02-25 전선이 자동공급되는 납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497A KR101726234B1 (ko) 2016-02-25 2016-02-25 전선이 자동공급되는 납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234B1 true KR101726234B1 (ko) 2017-04-12

Family

ID=5858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497A KR101726234B1 (ko) 2016-02-25 2016-02-25 전선이 자동공급되는 납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2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6636A (zh) * 2019-04-29 2019-07-19 丽水二三网络有限公司 一种集成电路板电子元件自动焊接设备
KR102062464B1 (ko) 2018-09-14 2020-01-03 이노훈 연결단자가 결합되는 전선과 pcb기판 납땜 장치
CN112475511A (zh) * 2020-11-12 2021-03-12 朱言文 一种微电子线路板加工用激光焊锡装置
KR102249634B1 (ko) * 2020-12-08 2021-05-10 김도원 땜납의 토출과 전선의 제공이 조절 가능한 납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7450A (ja) * 2000-08-09 2002-02-22 Ueda Japan Radio Co Ltd はんだ付け装置
KR100626108B1 (ko) * 2005-07-20 2006-09-2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하이드로 포밍 장치
KR101307268B1 (ko) * 2011-07-11 2013-09-11 주식회사 엠플러스 볼트 체결부재 공급용 피더
KR101412607B1 (ko) * 2009-08-28 2014-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초고압 개폐기용 폭압식 조작장치 및 이를 갖는 초고압 개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7450A (ja) * 2000-08-09 2002-02-22 Ueda Japan Radio Co Ltd はんだ付け装置
KR100626108B1 (ko) * 2005-07-20 2006-09-2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하이드로 포밍 장치
KR101412607B1 (ko) * 2009-08-28 2014-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초고압 개폐기용 폭압식 조작장치 및 이를 갖는 초고압 개폐기
KR101307268B1 (ko) * 2011-07-11 2013-09-11 주식회사 엠플러스 볼트 체결부재 공급용 피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464B1 (ko) 2018-09-14 2020-01-03 이노훈 연결단자가 결합되는 전선과 pcb기판 납땜 장치
CN110026636A (zh) * 2019-04-29 2019-07-19 丽水二三网络有限公司 一种集成电路板电子元件自动焊接设备
CN112475511A (zh) * 2020-11-12 2021-03-12 朱言文 一种微电子线路板加工用激光焊锡装置
KR102249634B1 (ko) * 2020-12-08 2021-05-10 김도원 땜납의 토출과 전선의 제공이 조절 가능한 납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234B1 (ko) 전선이 자동공급되는 납땜장치
US3960309A (en) Fine wire twisted pair routing and connecting system
CN103747665B (zh) 多工位插装生产线和鼠标pcb板自动生产线
US10362719B2 (en) Component mounting machine
CN108188530B (zh) 一种dc电源线焊接机
WO2015182347A1 (ja) 部品装着装置
WO2010106721A1 (ja) 半田ボール搭載装置及び半田ボール搭載方法並びに金属ボール搭載装置
CN110548949A (zh) 焊线装置及电路板焊线机
US10856461B2 (en) Work system
CN116723928A (zh) 线束装置
KR20000055452A (ko) 표면실장기용 그립퍼
JP4748112B2 (ja) 電気部品のリード部寸法調整方法、圧着端子組付け方法および端子圧着方法、並びに電気部品のリード部寸法調整装置および端子圧着設備
KR20140111908A (ko)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CN106044118A (zh) 一种工件有序转移系统及方法
US9591794B2 (en) Feeder system and material guiding carrier thereof
CN208580770U (zh) 一种焊线装置
KR101641549B1 (ko) 인쇄회로기판 조립라인용 냉각장치
CN210208966U (zh) 一种自动焊线机
CN205057240U (zh) 一种上锡机线缆输送机构
KR100867591B1 (ko) 와이어링 생산장치의 방수 씰 공급장치
KR20190035063A (ko) 터미널 실장기용 릴 자동교체 공급장치 및 이용한 릴 자동교체 공급방법
CN111952814A (zh) 一种hdmi线连接端子的焊锡方法
JP2001076835A (ja) 圧接コネクタ用端子実装機
CN217308171U (zh) 皮线灯封装设备
JP5613035B2 (ja) 電線搬送装置及び電線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