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451B1 -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451B1
KR101725451B1 KR1020160063965A KR20160063965A KR101725451B1 KR 101725451 B1 KR101725451 B1 KR 101725451B1 KR 1020160063965 A KR1020160063965 A KR 1020160063965A KR 20160063965 A KR20160063965 A KR 20160063965A KR 101725451 B1 KR101725451 B1 KR 101725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ridin
benzyl
bromo
carboxamide
yl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양
임채조
김낙정
이병호
오광석
이정현
우성은
고수익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63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1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유로텐신-Ⅱ 수용체에 대한 길항제로 작용함으로써 울혈성 심부전, 심장 허혈, 심근경색, 심장 비대증, 심장 섬유증, 관상동맥 질환, 동맥경화증, 고혈압, 천식, 신부전, 당뇨병, 혈관염증, 신경퇴행성 질환, 뇌졸중, 통증, 정신병, 암 등과 같은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N-(piperidin-4-yl)-1H-indole-2-carboxamid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Urotensin-Ⅱ receptor activity related diseases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로텐신-Ⅱ는 시스테인 결합된 사이클릭 펩타이드로서, 엔도테린-1보다 10배 이상 강한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강력한 혈관수축제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유로텐신-Ⅱ는 사람에서의 11개의 아미노산으로부터 쥐에서의 14개의 아미노산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망둥이(goby fish)에서 처음 발견되었지만 현재는 모든 척추동물에서 확인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
유로텐신-Ⅱ는 심근세포의 비대 및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심부전 및 동맥 경화증 등 만성 혈관질환에서의 관련성이 있음을 나타낸다(비특허문헌 3). 또한, 유로텐신-Ⅱ는 만성 심부전의 특징인 말초혈관 긴장도(peripheral vascular tone)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4). 신장 기능장애 환자의 혈장에서 유로텐신-Ⅱ가 높게 발현된다(비특허문헌 5). 유로텐신-Ⅱ는 당뇨병과도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6). 유로텐신-Ⅱ는 중추신경계 장애에도 관련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7). 특정 종양 세포주에서 유로텐신-Ⅱ 수용체를 과발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비특허문헌 8).
유로텐신-Ⅱ의 생리학적 활성은 유로텐신-Ⅱ 수용체(UT)의 활성화를 통해 매개된다. 이전에 7개-도메인 막통과 수용체로서 G-단백질-커플링-수용체(GPCR)인 고아(orphan) 수용체 GPR14가 유로텐신-Ⅱ 수용체로 확인되었다(비특허문헌 9). 유로텐신-Ⅱ 수용체는 혈관, 심장, 간, 신장, 근육 및 폐 등 여러 조직에서 발현된다(비특허문헌 10).
유로텐신-Ⅱ 수용체 길항제는 울혈성 심부전, 심장 허혈, 심근경색, 심장 비대증, 심장 섬유증, 관상동맥 질환, 동맥경화증, 고혈압, 천식, 신부전, 당뇨병 및 혈관염증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또한 U- 수용체 길항제는 중추신경계 장애, 예를 들어 신경퇴행성 질환, 뇌졸중, 통증 및 정신병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으며, 특정 암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유로텐신-Ⅱ수용체 길항제 개발 연구는 유란타이드(Urandtide)를 기반으로 한 펩티도미메틱(peptidomimetics) 연구에서 탈피, 다양한 화학적 골격을 가진 저분자 합성 화합물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로텐신-Ⅱ 수용체에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특정 구조의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유도체가 유로텐신-Ⅱ 수용체의 길항제로 작용함으로써, 유로텐신-Ⅱ 수용체 과활성에 의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mes et al., Nature 1999, 401, 282 Onan et al., Trends Endocrinol. Metab. 2004, 15, 175 Zou et al., FEBS Letters 2001, 508, 57 Lim et al., Circulation 2004, 109, 1212 Totsune et al., Lanceet 2001, 358, 810 Totsune et al., Clin. Sci. 2003, 104, 1 Matsumoto et al., Neurosci. Lett., 2004, 358, 99 Takahashi et al., Peptides, 2003, 24, 301 Elshourbagy et al., Br. J. Pharmacol. 2002, 36, 9 Proulx et al., Peptides 2008, 29, 691
본 발명의 목적은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06052016-pat0015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나이트릴,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10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10알콕시이고;
R3는 -H, 비치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10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6- 10아릴 또는 -SO2R6이고, 여기서, 상기 치환된 C1- 10알킬은 할로겐 및 비치환된 C6-8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가 하나 이상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된 C6- 10아릴은 할로겐, 나이트로,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5알킬 및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5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하나 이상 치환될 수 있고, R6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5알킬 또는 비치환된 C6- 8아릴이고;
R4는 할로겐이고;
R5는 -H, 직쇄 또는 측쇄의 C1- 10알킬 또는 t-부틸옥시카보닐(Boc), 카보벤질옥시(Cbz),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아세틸(Ac), 벤조일(Bz), 벤질(Bn), p-메톡시벤질(PMB), 3,4-다이메톡시벤질(DMPM), p-메톡시페닐(PMP), 토실(Ts),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보닐(Troc), 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Teoc) 및 아릴옥시카보닐(Allo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아민보호기이고; 및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축합제 존재하에 축합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7006052016-pat00157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 R4, R5 및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2]
Figure 112017006052016-pat00158
(상기 반응식 2에서,
R1, R2, R3, R4 및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5는 t-부틸옥시카보닐(Boc), 카보벤질옥시(Cbz),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아세틸(Ac), 벤조일(Bz), 벤질(Bn), p-메톡시벤질(PMB), 3,4-다이메톡시벤질(DMPM), p-메톡시페닐(PMP), 토실(Ts),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보닐(Troc), 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Teoc) 및 아릴옥시카보닐(Allo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아민보호기이고;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5가 t-부틸옥시카보닐(Boc), 카보벤질옥시(Cbz),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아세틸(Ac), 벤조일(Bz), 벤질(Bn), p-메톡시벤질(PMB), 3,4-다이메톡시벤질(DMPM), p-메톡시페닐(PMP), 토실(Ts),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보닐(Troc), 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Teoc) 및 아릴옥시카보닐(Allo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아민보호기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도체이고; 및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5가 -H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도체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는 유로텐신-Ⅱ 수용체에 대한 길항제로 작용함으로써 울혈성 심부전, 심장 허혈, 심근경색, 심장 비대증, 심장 섬유증, 관상동맥 질환, 동맥경화증, 고혈압, 천식, 신부전, 당뇨병, 혈관염증, 신경퇴행성 질환, 뇌졸중, 통증, 정신병, 암 등과 같은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06052016-pat00159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나이트릴,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10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10알콕시이고;
R3는 -H, 비치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10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6- 10아릴 또는 -SO2R6이고, 여기서, 상기 치환된 C1- 10알킬은 할로겐 및 비치환된 C6-8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가 하나 이상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된 C6- 10아릴은 할로겐, 나이트로,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5알킬 및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5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하나 이상 치환될 수 있고, R6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5알킬 또는 비치환된 C6- 8아릴이고;
R4는 할로겐이고;
R5는 -H, 직쇄 또는 측쇄의 C1- 10알킬 또는 t-부틸옥시카보닐(Boc), 카보벤질옥시(Cbz),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아세틸(Ac), 벤조일(Bz), 벤질(Bn), p-메톡시벤질(PMB), 3,4-다이메톡시벤질(DMPM), p-메톡시페닐(PMP), 토실(Ts),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보닐(Troc), 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Teoc) 및 아릴옥시카보닐(Allo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아민보호기이고; 및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나이트릴,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5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5알콕시이고; 및
R3는 -H, 비치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5알킬, 비치환 또는 치환된 C6- 8아릴 또는 -SO2R4이고, 여기서, 상기 치환된 C1- 5알킬은 플루오로, 클로로 및 페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가 하나 이상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치환된 C6- 8아릴은 할로겐, 나이트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하나 이상 치환될 수 있고, R4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페닐이고;
R4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이고;
R5는 -H, 직쇄 또는 측쇄의 C1- 5알킬 또는 t-부틸옥시카보닐(Boc), 카보벤질옥시(Cbz),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아세틸(Ac), 벤조일(Bz), 벤질(Bn), p-메톡시벤질(PMB), 3,4-다이메톡시벤질(DMPM), p-메톡시페닐(PMP), 토실(Ts),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보닐(Troc), 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Teoc) 및 아릴옥시카보닐(Allo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아민보호기이고; 및
n은 1 또는 2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나이트릴,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메톡시이고; 및
R3는 -H, 메틸, 에틸, 벤질,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SO2Ph 또는 -SO2Me이고, 상기 치환된 페닐은 나이트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이소프로필, t-부틸, 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하나 이상 치환될 수 있고;
R4는 브로모이고;
R5는 -H 또는 t-부틸옥시카보닐(Boc)이고; 및
n은 1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나이트릴,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메톡시이고;
R3는 -H, 메틸, 에틸, 벤질, 페닐, -SO2Ph, -SO2Me,
Figure 112016050197317-pat00005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06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07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08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09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10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11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12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13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14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15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16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17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18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19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20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21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22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23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24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25
,
Figure 112016050197317-pat00026
또는
Figure 112016050197317-pat00027
이고;
R4는 브로모이고;
R5는 -H 또는 t-부틸옥시카보닐(Boc)이고; 및
n은 1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하기의 화합물들을 들 수 있다:
(1)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5-클로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5-브로모-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5)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4-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6)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6-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7)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4,6-다이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8)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5-플루오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9)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5-다이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0)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5,6-다이플루오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1)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5-시아노-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2)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7-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3)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5-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4)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6-다이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5)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6-플루오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6)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6-(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7)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7-다이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8)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7-플루오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9)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5-(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0)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7-(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1)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에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2)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페닐설포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3)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메틸설포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4)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벤질-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5) N-(1-(3-브로모-4-(피페리딘-4-닐옥시)벤질)피페리딘-4-닐)-1-페닐-1H-인돌-2-카복시아미드;
(26) N-(1-(3-브로모-4-(피페리딘-4-닐옥시)벤질)피페리딘-4-닐)-5-플루오로-1-(페닐설포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7) N-(1-(3-브로모-4-(피페리딘-4-닐옥시)벤질)피페리딘-4-닐)-5-플루오로-1-벤질--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8)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메틸페닐)-1H-인돌-2-카복사마이드;
(29)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0)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메틸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1)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2)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아이소프로필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3)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t-부틸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4)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5)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클로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6)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플루오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7)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8)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9)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4-다이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0)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4-다이클로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1)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4-다이플루오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2)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3)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플루오로-4-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4)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브로모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5)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클로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6)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2-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7)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2-클로로-4-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8)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2,4-다이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9)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2-나이트로-5-브로모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50)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2-나이트로-4-브로모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51) tert-부틸 4-(4-((4-(1H-인돌-2-카복스아미도)피페리딘-1-일)메틸)-2-브로모페녹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의 종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유도체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시켜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셔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용매화물, 광학 이성질체, 수화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축합제 존재하에 축합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7006052016-pat00160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 R4, R5 및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민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축합반응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축합제 존재하에 축합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민 화합물을 축합제 및 염기 존재하에 축합반응시켜 아마이드 본드를 가지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합반응은 통상적인 두가지 방법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다.
제법 1-A
상기 반응식 1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 존재하에 축합제를 사용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합제로는 비스 (2-옥소-3-옥사졸리디닐)포스피닉 클로라이드 (BOP-Cl),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다이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OP), 다이페닐포스포닐아자이드(diphenylphosphonylazide, DPPA) 등의 유기포스포러스계열의 시약, 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DCC), 다이아이소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DIC),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EDC) 등의 카보다이이미드 계열의 시약 또는 N,N-카보닐다이이미다졸(N,N-carbonyldiimidazole), O-벤조트리아졸-N,N,N’,N’-테트라메틸-우로니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TU)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기는 반응을 촉진하고 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며, 사용가능한 염기로는 N,N-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DMAP), 피리딘, 트라이에틸아민,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7-운데센(DBU) 등의 유기염기 또는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무기염기가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당량 또는 과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반응에서 사용 가능한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디클로로메탄, 1,2-다이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아세토나이트릴, 물 등이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0℃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제법 1-B
상기 반응식 1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화합물을 공지의 방법에 의해 아실할라이드, 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활성 에스터(active ester)(예, p-나이트로페닐 에스터,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터, 페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등)로 변환시킨 후,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민 화합물과 염기 존재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염기로는 트라이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과 같은 삼차아민 유기염기와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탄산세슘, 수산화바륨 등과 같은 무기염기가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당량 또는 과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에서 사용 가능한 용매로는 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2-다이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와 1,2-다이클로로메탄, 혹은 1,2-다이클로로에탄 같은 할로겐 포함 용매 그리고 벤젠, 톨루엔 같은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용매등이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용매 없이도 반응시킬 수 있다. 반응 온도는 0℃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2]
Figure 112017006052016-pat00161
상기 반응식 2에서,
R1, R2, R3, R4 및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5는 t-부틸옥시카보닐(Boc), 카보벤질옥시(Cbz),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아세틸(Ac), 벤조일(Bz), 벤질(Bn), p-메톡시벤질(PMB), 3,4-다이메톡시벤질(DMPM), p-메톡시페닐(PMP), 토실(Ts),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보닐(Troc), 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Teoc) 및 아릴옥시카보닐(Allo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아민보호기이고;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5가 t-부틸옥시카보닐(Boc), 카보벤질옥시(Cbz),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아세틸(Ac), 벤조일(Bz), 벤질(Bn), p-메톡시벤질(PMB), 3,4-다이메톡시벤질(DMPM), p-메톡시페닐(PMP), 토실(Ts),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보닐(Troc), 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Teoc) 및 아릴옥시카보닐(Allo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아민보호기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도체이고; 및
상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5가 -H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도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오른쪽 말단에 위치한 피페리딘이 아민 보호기로 보호된 화합물의 아민 보호기를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아민 보호기를 탈보호 반응을 통해 제거하여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민 보호기는 t-부틸옥시카보닐(Boc), 카보벤질옥시(Cbz),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아세틸(Ac), 벤조일(Bz), 벤질(Bn), p-메톡시벤질(PMB), 3,4-다이메톡시벤질(DMPM), p-메톡시페닐(PMP), 토실(Ts),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보닐(Troc), 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Teoc) 및 아릴옥시카보닐(Allo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아민보호기이며, 바람직하게는 t-부틸옥시카보닐(Boc)이다.
또한, 상기 탈보호 반응의 반응조건은 아민 보호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며, 통상적인 탈보호 반응 조건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산 조건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산으로는 염산, 황산, 메탄설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에서 사용 가능한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디클로로메탄, 1,2-다이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계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용매;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나이트릴, 물 등이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반응온도는 0℃에서 용매의 비등점 사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발물질(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법 1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출발 물질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3으로 표시되는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a)); 및
상기 단계 a에서 얻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수분해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112016050197317-pat00030
(상기 반응식 3에서,
R1, R2 및 R3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되, R3이 -H인 경우는 제외하고;
R7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5알킬이고; 및
L1은 할로겐,
Figure 112016050197317-pat00031
또는
Figure 112016050197317-pat00032
이다).
이하,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출발물질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출발물질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치환기 R3의 종류에 따라 제조방법을 달리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다.
제법 1-1
이하, 상기 화학식 2의 R3이 비치환 또는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10알킬;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C6- 10아릴;인 경우에 대한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출발물질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만드는 단계이며, 구체적으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보론산 화합물 또는 할라이드 화합물을 구리금속 및 염기 조건하에 N-아릴화 또는 N-알킬화 반응시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보론산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화합물들을 사용하거나, 대응되는 할라이드 화합물로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할라이드 화합물은 요오드화물 또는 브롬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리금속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구리 아세테이트 시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염기는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7-운데센(DBU)등과 같은 유기염기 또는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수산화바륨 등과 같은 무기염기를 단독 또는 혼합항, 당량 또는 과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반응에서 사용가능한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디클로로메탄, 1,2-디메톡시에탄 등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은 저급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아세토나이트릴, 물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0 ℃ 내지 용매의 비등점 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출발물질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a에서 얻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수분해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며, 구체적으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에스터 화합물을 염기 또는 산 조건하에 가수분해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염기로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탄산세슘, 수산화바륨등과 같은 무기염기가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당량 또는 과량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산으로는 염산, 황산, 메탄설폰산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당량 또는 과량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에서 사용 가능한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디클로로메탄, 1,2-다이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용매,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아세토나이트릴, 물 등이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0℃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제법 1-2
이하, 상기 화학식 2의 R3이 -SO2R4인 경우에 대한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출발물질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만드는 단계이며, 구체적으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친전자체화물과 염기 존재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친전자체화물은 SO2R4 할라이드화물로, 바람직하게는 ClSO2R4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기는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7-운데센(DBU)등과 같은 유기염기 또는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수산화바륨 등과 같은 무기염기를 단독 또는 혼합항, 당량 또는 과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반응에서 사용가능한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디클로로메탄, 1,2-디메톡시에탄 등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과 같은 방향족 하이드로카본용매;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온 내지 용매의 비등점 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출발물질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a에서 얻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가수분해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며, 구체적으로,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에스터 화합물을 염기 또는 산 조건하에 가수분해 반응시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복실산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b의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법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출발물질(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법 2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출발 물질인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4로 표시되는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A);
상기 단계 A에서 얻은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B); 및
상기 단계 B에서 얻은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단계 C);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112016050197317-pat00033
(상기 반응식 4에서,
R4, R5 및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PG1는 t-부틸옥시카보닐(Boc), 카보벤질옥시(Cbz),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아세틸(Ac), 벤조일(Bz), 벤질(Bn), p-메톡시벤질(PMB), 3,4-다이메톡시벤질(DMPM), p-메톡시페닐(PMP), 토실(Ts),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보닐(Troc), 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Teoc) 및 아릴옥시카보닐(Allo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아민보호기이되, R5가 아민보호기일 경우, R5와 PG1는 서로 상이한 조건에서 탈보호화 되는 아민보호기이고;
상기 m은 0 내지 2의 정수이다.
이하,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출발물질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출발물질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며, 구체적으로,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피페리딘올 화합물과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벤즈알데하이드 화합물을 축합제 및 포스핀 존재하에 커플링 반응을 통하여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축합제는 다이알킬 아조 계열의 시약으로, 다이에틸 아조 다이카복실레이트 (DEAD), 다이아이소프로필 아조 다이카르복실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포스핀으로는 트라이페닐포스핀 (PPh3), 트라이메틸포스핀 (PMe3), 트라이에틸포스핀(PEt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서 사용가능한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디틀로로메탄, 1,2-다이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나이트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0℃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출발물질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A에서 얻은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며, 구체적으로, 화학식 9로 표시되는 알데하이드 화합물과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아민보호기로 보호화된 아미노 피페리딘 화합물을 금속 환원제 존재하에 환원성 아민화(reductive amination) 반응시켜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금속 환원제는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NaBH4), 소듐 트라이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NaBH(OAc)3), 소듐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NaBH3C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에서 사용가능한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1,2-다이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반응 온도는 0 ℃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출발물질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단계 B에서 얻은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며, 구체적으로,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탈보호 반응시켜 아민 보호기인 -PG1을 제거하여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민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아민 보호기는(PG1)은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t-부틸옥시카보닐(Boc), 카보벤질옥시(Cbz), 아세틸(Ac), 벤조일(Bz), 벤질(Bn), p-메톡시벤질(PMB), 3,4-다이메톡시벤질(DMPM), p-메톡시페닐(PMP), 토실(Ts),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보닐(Troc), 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Teoc) 및 아릴옥시카보닐(Allo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아민보호기이며, 바람직하게는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이다.
또한, 상기 탈보호 반응의 반응조건은 아민 보호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며, 통상적인 탈보호 반응 조건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염기 조건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염기로는 피페리딘, 피롤리딘, 피리딘, 트라이에틸아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BU 등의 유기염기를 사용하거나, NaOH, Na2CO3, K2CO3, Cs2CO3 등의 무기염기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당량 또는 과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반응에서 사용 가능한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디틀로로메탄, 1,2-다이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나이트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0℃에서 용매의 비등점까지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로텐신-Ⅱ 수용체 과활성에 의한 질환은 울혈성 심부전, 심장 허혈, 심근경색, 심장 비대증, 심장 섬유증, 관상동맥 질환, 동맥경화증, 고혈압, 천식, 신부전, 당뇨병, 혈관염증, 신경퇴행성 질환, 뇌졸중, 통증, 정신병, 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로텐신-Ⅱ 수용체 결합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 화합물이 나노몰 수준의 농도에서 유로텐신-Ⅱ 수용체에 대해 길항작용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2, 6, 8-12, 14, 15, 17, 20-22, 24-31, 35, 36, 39-50 화합물들은 IC50값이 100 nM이하로 낮은 농도에서도 유로텐신-Ⅱ 수용체에 대해 길항작용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8, 9, 11, 20, 22, 24-31, 44-46 화합물들은 50 nM 이하의 매우 낮은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도 유로텐신-Ⅱ 수용체에 대하여 길항작용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및 표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유로텐신-Ⅱ 수용체에 대한 길항제로 작용함으로써, 울혈성 심부전, 심장 허혈, 심근경색, 심장 비대증, 심장 섬유증, 관상동맥 질환, 동맥경화증, 고혈압, 천식, 신부전, 당뇨병, 혈관염증, 신경퇴행성 질환, 뇌졸중, 통증, 정신병, 암 등과 같은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트로키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 등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 등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 mg/kg/일의 양으로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을 1일 수회, 바람직하게는 1일 1회 내지 3회로 분할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적 경로를 통해 투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은 울혈성 심부전, 심장 허혈, 심근경색, 심장 비대증, 심장 섬유증, 관상동맥 질환, 동맥경화증, 고혈압, 천식, 신부전, 당뇨병, 혈관염증, 신경퇴행성 질환, 뇌졸중, 통증, 정신병, 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유로텐신-Ⅱ 수용체에 대한 길항제로 작용함으로써 울혈성 심부전, 심장 허혈, 심근경색, 심장 비대증, 심장 섬유증, 관상동맥 질환, 동맥경화증, 고혈압, 천식, 신부전, 당뇨병, 혈관염증, 신경퇴행성 질환, 뇌졸중, 통증, 정신병, 암 등과 같은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식품, 음료 등의 건강기능보조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g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나아가,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5- 클로로 -1- 메틸 -1H-인돌-2- 카복실산의 제조
단계 1 : 메틸 5- 클로로 -1- 메틸 -1H-인돌-2- 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34
메틸 5-클로로-1H-인돌-2-카복실레이트 89 mg (0.42 mmol)와 탄산칼륨 174 mg (1.26 mmol)을 2 ml DMF에 용해시키고 아이오도메탄 31 ul (0.50 mmol) 가하고 50℃에서 13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종결 후 에틸아세테이트 125 ml로 추출하고 포화 염화나트륨과 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 으로 건조하였다. 감압농축한 여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노말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10:1, v/v)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목적화합물을 81 mg (0.36 mmol) 86% 수율로 얻었다.
Rf = 0.29 (노말 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5:1, v/v);
1H NMR (500 MHz, CDCl3) δ 7.65 (s, 1H), 7.29-7.34 (m, 2H), 7.22 (s, 1H), 4.07 (s, 3H), 3.93 (s, 3H).
단계 2 : 5 - 클로로 -1- 메틸 -1H-인돌-2- 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35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 77 mg (0.34 mmol)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2M 수산화나트륨을 가하고 50℃에서 30분간 교반시켰다. 반응종결 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추출하고 4N 염산과 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감압농축하여 백색고체 목적화합물 67 mg (0.32 mmol) 94% 수율로 얻었다.
1H NMR (300 MHz, MeOD-d4) δ 7.64 (s, 1H), 7.47 (d, J = 8.9 Hz, 1H), 7.28 (d, J = 8.9 Hz, 1H), 7.22 (s, 1H), 4.06 (s, 3H).
< 제조예 2> 1-에틸-1H-인돌-2- 카복실산의 제조
단계 1 : 에틸 1-에틸-1H-인돌-2- 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36
에틸 1H-인돌-2-카복실레이트 200 mg (1.06 mmol)과 탄산칼륨 730 mg (5.29 mmol)을 2 ml DMF에 용해시킨 후 브로모에탄 197 ul (2.64 mmol)을 가하고 50℃에서 19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종결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포화 염화나트륨과 물로 세척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감압농축한 여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노말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10:1, v/v)로 정제하여 무색 액체 목적화합물 130 mg (0.60 mmol)을 56% 수율로 얻었다.
Rf = 0.64 (노말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5:1, v/v);
1H NMR (500 MHz, CDCl3) δ 7.69 (d, J = 7.9 Hz, 1H), 7.30-7.44 (m, 3H), 7.15 (dd, J = 7.5, 7.5 Hz, 1H), 4.64 (q, J = 7.2 Hz, 2H), 4.39 (q, J = 7.2 Hz, 2H), 1.38-1.46 (m, 6H).
단계 2 : 1 -에틸-1H-인돌-2- 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37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 130 mg (0.60mol)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2M 수산화나트륨을 가하고 상온에서 50℃까지 가열하면서 3시간 교반시켰다. 반응종결 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추출하고 4N 염산과 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감압농축하여 무색 고체 목적화합물 106 mg (0.56 mmol) 93% 수율로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7.73 (d, J = 8.2 Hz, 1H), 7.48 (s, 1H), 7.35-7.47 (m, 2H), 7.18 (dd, J = 7.2, 7.2 Hz, 1H), 4.66 (q, J = 7.0 Hz, 2H), 1.44 (t, J = 7.0 Hz, 3H).
< 제조예 3> 1-( 페닐설포닐 )-1H-인돌-2- 카복실산의 제조
단계 1 : 에틸 1-( 페닐설포닐 )-1H-인돌-2- 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38
에틸 1H-인돌-2-카복실레이트 100 mg (0.53 mmol)와 수소화나트륨 32 mg (0.79 mmol)을 2 ml DMF에 용해하고 0℃에서 10분간 교반시킨 후, 밴젠설포닐 클로라이드 136 ul (1.06 mmol)을 가하고 1시간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종결 후 에틸 아세테이트 75 ml로 추출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과 물로 세척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감압농축 한 여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노말 핵산 : 에틸 아세테이트 = 15:1, v/v)로 정제 하여 백색 고체 목적화합물을 148 mg (0.44 mmol) 84% 수율로 얻었다.
Rf = 0.38 (노말 핵산 : 에틸 아세테이트 = 5:1, v/v);
1H NMR (500 MHz, CDCl3) δ 8.12 (d, J = 8.5 Hz, 1H), 8.05 (d, J = 7.6 Hz, 2H), 7.54-7.62 (m, 2H), 7.40-7.53 (m, 3H), 7.30 (d, J = 7.6 Hz, 1H), 7.18 (s, 1H), 4.41 (q, J = 7.2 Hz, 2H), 1.39 (t, J = 7.2 Hz, 3H).
단계 2 : 1 -( 페닐설포닐 )-1H-인돌-2- 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39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 52 mg (0.16mol)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2M 수산화나트륨을 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교반시켰다. 반응종결 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추출하고 4N 염산과 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감압농축하여 백색 고체 목적화합물 43 mg (0.14 mmol) 89% 수율로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8.20 (d, J = 8.3 Hz, 1H), 8.04 (d, J = 7.9 Hz, 2H), 7.56-7.65 (m, 2H), 7.46-7.54 (m, 3H), 7.43 (s, 1H), 7.33 (dd, J = 7.3, 7.3 Hz, 1H).
< 제조예 4> 1-( 메틸설포닐 )-1H-인돌-2- 카복실산의 제조
단계 1 : 에틸 1-( 메닐설포닐 )-1H-인돌-2- 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40
에틸 1H-인돌-2-카복실레이트 100 mg (0.53 mmol)와 수소화나트륨 32 mg (0.79 mmol)을 2 ml DMF에 용해하고 0℃에서 10분간 교반시킨 후, 메틸설포닐 클로라이드 82 ul (1.06 mmol)을 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종결 후 에틸 아세테이트 75 ml로 추출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과 물로 세척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감압농축한 여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노말 핵산 : 에틸 아세테이트 = 15:1, v/v)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목적화합물을 109 mg (0.41 mmol) 77% 수율로 얻었다.
Rf = 0.33 (노말 핵산 : 에틸 아세테이트 = 5:1, v/v);
1H NMR (500 MHz, CDCl3) δ 8.05 (d, J = 8.7 Hz, 1H), 7.65 (d, J = 7.8 Hz, 1H), 7.45 (dd, J = 7.8, 7.4 Hz, 1H), 7.31 (dd, J = 8.7, 7.4 Hz, 1H), 7.30 (s, 1H), 4.42 (q, J = 7.3 Hz, 2H), 3,71 (s, 3H), 1.43 (t, J = 7.3 Hz, 3H).
단계 2 : 1 -( 메틸설포닐 )-1H-인돌-2- 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4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 102 mg (0.38mol)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2M 수산화나트륨을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교반시켰다. 반응종결 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추출하고 4N 염산과 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감압농축하여 백색 고체 목적화합물 67 mg (0.22 mmol) 59% 수율로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8.07 (d, J = 8.7 Hz, 1H), 7.68 (d, J = 7.8 Hz, 1H), 7.46-7.51 (m, 2H), 7.34 (dd, J = 7.8, 7.4 Hz, 1H), 3.72 (s, 3H).
< 제조예 5> 1- 벤질 -1H-인돌-2- 카복실산의 제조
단계 1 : 에틸 1- 벤질 -1H-인돌-2- 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42
에틸 1H-인돌-2-카복실레이트 100 mg (0.53 mmol)와 탄산칼륨 184 mg (1.33 mmol)을 아세토나이트라일 10 ml 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벤질 브로마이드 82 ul (0.66 mmol)을 하고 23시간 동안 환류교반 켰다. 반응종결 후 에틸 아세테이트 75 ml로 추출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과 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감압농축한 여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노말 핵산 : 에틸 아세테이트 = 15:1, v/v)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목적화합물을 119 mg (0.43 mmol) 80% 수율로 얻었다.
Rf = 0.61 (노말 핵산 : 에틸 아세테이트 = 5:1, v/v);
1H NMR (500 MHz, CDCl3) δ 7.72 (d. J = 8.0 Hz, 1H), 7.40 (s, 1H), 7.36 (d, J = 8.2 Hz, 1H), 7.31 (dd, J = 8.2, 7.6 Hz, 1H), 7.25 (d, J = 7.6 Hz, 2H), 7.19-7.23 (m, 1H), 7.17 (dd , J = 8.0, 7.6 Hz, 1H), 7.04-7.08 (m, 2H), 5.86 (s, 2H), 4.34 (q, J = 7.1 Hz, 2H), 1.37 (t, J = 7.1 Hz, 3H).
단계 2 : 1 - 벤질 -1H-인돌-2- 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43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 119 mg (0.43mol)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2M 수산화나트륨을 가하고 상온에서 7시간 교반시켰다. 반응종결 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추출하고 4N 염산과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였다. 감압농축하여 백색 고체 목적화합물 101 mg (0.40 mmol) 93% 수율로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7.74 (d, J = 7.9 Hz, 1H), 7.55 (s, 1H), 7.27-7.41 (m, 3H), 7.14-7.26 (m, 3H), 7.07 (d, J = 7.0 Hz, 2H), 5.86 (s, 2H).
< 제조예 6> 1-페닐-1H-인돌-2- 카복실산의 제조
단계 1 : 에틸 1-페닐-1H-인돌-2- 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44
에틸 1H-인돌-2-카복실레이트 50 mg (0.26 mmol)과 페닐보론산 79 mg (0.65 mmoml)과 쿠퍼 아세테이트 189 mg (1.04 mmol)을 2 ml DMSO에 용해시킨 후 TEA 144 ul (1.04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종결 후, EA로 추출하고 Celite로 여과 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과 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감암농축한 여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노말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1, v/v)로 정제하여, 무색 액체 목적 화합물을 49 mg (0.18 mmol) 71% 수율로 얻었다.
Rf = 0.63 (노말 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5:1, v/v);
1H NMR (500 MHz, CDCl3) δ 7.74 (d, J = 7.9 Hz, 1H), 7.44-7.56 (m, 4H), 7.35 (d, J = 7.0 Hz, 2H), 7.30-7.25 (m, 1H), 7.16-7.23 (m, 1H), 7.11 (d, J = 8.2 Hz, 1H), 4.22 (q, J = 7.2 Hz, 2H), 1.23 (t, J = 7.2 Hz, 3H).
단계 2 : 1 -페닐-1H-인돌-2- 카복실산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45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 49 mg (0.18 mmol)을 4 ml 에탄올에 용해 시킨 후 2N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고 50 ℃에서 3시간 교반시켰다. 반응종결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4N 염산 용액과 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감압농축하여 백색 고체 목적화합물을 41 mg (0.17 mmol) 96% 수율로 얻었다.
1H NMR (500 MHz, CDCl3) δ 7.75 (d, J = 7.9 Hz, 1H), 7.44-7.57 (m, 4H), 7.28-7.38 (m, 3H), 7.21 (dd, J = 7.9, 7.1 Hz, 1H), 7.11 (d, J = 8.7 Hz, 1H).
< 제조예 7> tert -부틸 4-(4-((4- 아미노피페리딘 -1-일) 메틸 )-2- 브로모페녹시 )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단계 1: tert -부틸 4-(2- 브로모 -4- 포밀페녹시 )피페리딘-1-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46
3-브로모-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30 g, 149.2 mmol)를 400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킨 후, 0℃에서 tert-부틸 4-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33 g, 164.2 mmol), 트리페닐포스핀 (51 g, 193.96 mmol)을 첨가하였다. 2.2M 다이에틸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 (88 ml, 193.96 mmol)을 0℃에서 15분에 걸쳐 천천히 가한 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용매를 감압농축한 후, 50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3N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으로 (500 ml)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Na2SO4)로 건조시키고, 감압농축한 후 여액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노말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3 : 1, v/v)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을 34%의 수율로 (19.68 g, 51.21 mmol)을 얻었다.
Rf= 0.37 (노말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3 : 1, v/v);
1H NMR (500 MHz, CDCl3) δ 9.84 (s, 1H), 8.09 (s, 1H), 7.80 (d, J = 8.2 Hz, 1H), 6.99 (d, J = 8.2 Hz, 1H), 4.72-4.76 (m, 1H), 3.56-3.62 (m, 4H), 1.86-1.94 (m, 4H), 1.47 (s, 9H).
단계 2: tert -부틸 4-(4-((4-((((9H- 플루오렌 -9-일) 메톡시 ) 카보닐 )아미노)피페리딘-1-일)메틸)-2-브로모페녹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47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 (12.24 g, 31.85 mmol)를 250 ml의 다이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9H-플루오렌-9-일)메틸 피페리딘-4-일카바메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2.57 g, 35.04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소듐 트리아세톡보로하이드라이드 (8.78 g, 41.41 mmol)을 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300 ml의 물을 천천히 첨가한 후, 포화 소듐 바이카보네이트로 중성화 (pH7)하고 50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Na2SO4)로 건조시키고, 감압농축한 후 여액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3%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 v/v)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을 82%의 수율로 (17.91 g, 25.98 mmol)을 얻었다.
Rf= 0.25 (5%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 v/v);
1H NMR (300 MHz, CDCl3) δ 7.74 (d, J = 7.4 Hz, 2H), 7.56 (d, J = 7.4 Hz, 2H), 7.50 (s, 1H), 7.39 (dd, J = 7.4, 7.0 Hz, 2H), 7.30 (dd, J = 7.4, 7.0 Hz, 2H), 7.17 (d, J = 8.4 Hz, 1H), 6.87 (d, J = 8.4 Hz, 1H), 4.64-4.73 (m, 1H), 4.36-4.44 (m, 2H), 4.17-4.23 (m, 1H), 3.58-4.64 (m, 2H), 3.49-3.54 (m, 2H), 3.43 (s, 2H), 2.78-2.90 (m, 2H), 2.07-2.18 (m, 2H), 1.82-1.90 (m, 6H), 1.47 (s, 9H), 1.41-1.46 (m, 2H).
단계 3: tert -부틸 4-(4-((4- 아미노피페리딘 -1-일) 메틸 )-2- 브로모페녹시 )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48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 (17.91 g, 25.98 mmol)을 250 ml의 메탄올/테트라하이드로퓨란(2/1, v/v)에 용해시킨 후, 2N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38.97 ml, 77.94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200 ml의 물을 가하고 50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Na2SO4)로 건조시키고, 감압농축한 후 여액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5%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 v/v)로 정제하여 목적화합물을 82%의 수율로 (10.35 g, 21.42 mmol)을 얻었다.
Rf= 0.25 (10% 메탄올/다이클로로메탄, v/v);
1H NMR (500 MHz, CDCl3) δ 7.49 (s, 1H), 7.17 (d, J = 8.2 Hz, 1H), 6.84 (d, J = 8.2 Hz, 1H), 4.50-4.55 (m, 1H), 3.60-3.66 (m, 2H), 3.44-3.50 (m, 2H), 3.38 (s, 2H), 2.77-2.82 (m, 2H), 2.61-2.68 (m, 1H), 1.96-2.03 (m, 2H), 1.82-1.91 (m, 4H), 1.75-1.81 (m, 2H), 1.46 (s, 9H), 1.33-1.42 (m, 2H).
< 실시예 1>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단계 1: tert -부틸 4-(4-((4-(1H-인돌-2- 카복스아미도 )피페리딘-1-일) 메틸 )-2-브로모페녹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49
2-인돌카복실산 13 mg (0.08 mmol)과 상기 제조예 7에서 얻은 화합물 40 mg (0.09 mmol)과 비스(2-옥소-3-옥사졸리딘일)포스포릭 클로라이드 (BOP-Cl) 31 mg (0.12 mmol)을 3 ml DMF에 용해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33 ul (0.24 mmol)을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종결 후 75 ml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과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하였다. 감압농축한 여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노말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1:1 -> 메탄올/디클로로메탄 = 5%, v/v)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목적화합물을 40 mg (0.07 mmol) 88% 수율로 얻었다.
Rf =0.38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20 : 1, v/v);
1H NMR (500 MHz, CDCl3) δ 9.63 (s, NH), 7.66 (d, J = 8.0 Hz, 1H), 7.55 (d, J = 1.8 Hz, 1H), 7.45 (d, J = 8.0 Hz, 1H), 7.30 (dd, J = 8.0, 7.6 Hz, 1H), 7.20 (dd, J = 8.3, 1.8 Hz, 1H), 7.16 (dd, J = 8.0, 7.6 Hz, 1H), 6.89 (s, 1H), 6.88 (d, J = 8.3 Hz, 1H), 6.24 (d, J = 8.0 NH), 4.54-4.60 (m, 1H), 4.02-4.12 (m, 1H), 3.63-3.70 (m, 2H), 3.50-3.56 (m, 2H), 3.49 (s, 2H), 2.88-2.95 (m, 2H), 2.18-2.26 (m, 2H), 2.03-2.10 (m, 2H), 1.82-1.94 (m, 4H), 1.61-1.72 (m, 2H), 1.50 (s, 9H).
단계 2: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50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합물 40 mg (0.07 mmol)을 염산 포화 메탄올 용액에 용해시킨 후 상온에서 2시간 교반 켰다. 반응종결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2번 세척하고 건조하여 적색 고체 목적화합물을 33 mg (0.06 mmol) 86% 수율로 얻었다.
1H NMR (500 MHz, CD3OD) δ 7.83 (s, 1H), 7.51-7.60 (m, 2H), 7.40 (d, J = 8.3 Hz, 1H), 7.22 (d, J = 8.3 Hz, 1H), 7.17 (dd, J = 8.3, 7.3 Hz, 1H), 7.10 (s, 1H), 7.01 (dd, J = 7.8, 7.3 Hz, 1H), 4.83-4.92 (m, 1H), 4.24 (s, 2H), 4.07-4.17 (m, 1H), 3.46-3.55 (m, 2H), 3.32-3.43 (m, 2H), 3.20-3.30 (m, 2H), 3.05-3.16 (m, 2H), 1.91-2.27 (m, 8H).
< 실시예 2>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 메틸 -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51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메틸 인돌-2-카복실산 14 mg (0.0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63%의 수율로 28 mg (0.0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3OD) δ 7.90 (d, J = 1.7 Hz, 1H), 7.58-7.68 (m, 3H), 7.45 (d, J = 8.3 Hz, 1H), 7.27-7.33 (m, 2H), 7.07-7.13 (m, 1H), 4.93-4.97 (m, 1H), 4.31 (s, 2H), 4.13-4.17 (m, 1H), 4.00 (s, 3H), 3.45-3.59 (m, 2H), 3.40-3.48 (m, 2H), 3.29-3.35 (m, 2H), 3.14-3.23 (m, 2H), 2.00-2.28 (m, 8H).
< 실시예 3>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5- 클로로 -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52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5-클로로-1-메틸-1H-인돌-2-카복실산 26 mg (0.1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52%의 수율로 37 mg (0.062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7.93 (s, 1H), 7.70 (s, 1H), 7.55-7.65 (m, 2H), 7.25-7.33 (m, 2H), 7.13 (s, 1H), 4.82-4.88 (m, 1H), 4.19-4.23 (m, 1H), 3.96 (s, 3H), 3.31-3.37 (m, 2H), 3.08-3.23 (m, 6H), 2.97-3.07 (m, 2H), 1.87-2.17 (m, 8H).
< 실시예 4>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5- 브로모 -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53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5-브로모-1-메틸-1H-인돌-2-카복실산 44 mg (0.17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28%의 수율로 30 mg (0.047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7.91 (s, 1H), 7.85 (s, 1H), 7.61 (d, J = 8.4 Hz, 1H), 7.52 (d, J = 8.9 Hz, 1H), 7.38 (d, J = 8.9 Hz, 1H), 7.31 (d, J = 8.4 Hz, 1H), 7.12 (s, 1H), 4.82-4.88 (m, 1H), 4.19-4.23m, 1H), 3.96 (s, 3H), 3.32-3.36 (m, 2H), 3.08-3.25 (m, 6H), 2.97-3.07 (m, 2H), 1.86-2.16 (m, 8H).
< 실시예 5>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4- 메톡시 -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54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4-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실산 25 mg (0.1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43%의 수율로 30 mg (0.051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7.91 (s, 1H), 7.61 (d, J = 8.4 Hz, 1H), 7.31 (d. J = 8.5 Hz, 1H), 7.28 (s, 1H), 7.19 (dd, J = 8.4, 7.8 Hz, 1H), 7.09 (d, J = 8.5 Hz, 1H), 6.58 (d, J = 7.8 Hz, 1H), 4.82-4.88 (m, 1H), 4.19-4.23 (m, 1H), 3.96 (s, 3H), 3.88 (s, 3H), 3.31-3.38 (m, 2H), 3.08-3.24 (m, 6H), 2.97-3.07 (m, 2H), 1.85-2.16 (m, 8H).
< 실시예 6>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6- 메톡시 -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55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6-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실산 21 mg (0.1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38%의 수율로 22 mg (0.037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7.90 (s, 1H), 7.60 (d, J = 8.5 Hz, 1H), 7.49 (d, J = 8.7 Hz, 1H), 7.31 (d, J = 8.5 Hz, 1H), 7.10 (s, 1H), 7.00 (s, 1H), 6.74 (d, J = 8.7 Hz, 1H), 4.82-4.87 (m, 1H), 4.19-4.24 (m, 1H), 3.97 (s, 3H), 3.82 (s, 3H), 3.38-3.43 (m, 2H), 3.08-3.25 (m, 6H), 2.97-3.07(m, 2H), 1.85-2.15 (m, 8H).
< 실시예 7>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4, 6-다이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56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4,6-다이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실산 34 mg (0.14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60%의 수율로 38 mg (0.061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28 (d, J = 7.3 Hz, 1H), 7.90 (s, 1H), 7.59 (d, J = 7.3 Hz, 1H), 7.31 (d, J = 8.5 Hz, 1H), 7.21 (s, 1H), 6.59 (s, 1H), 6.22 (s, 1H), 4.82-4.88 (m, 1H), 4.19-4.23 (m, 2H), 3.94-3.99 (m, 1H), 3.92 (s, 3H), 3.84 (s, 3H), 3.81 (s, 3H), 3.08-3.24 (m, 6H), 2.97-3.06 (m, 2H), 1.83-2.16 (m, 8H).
< 실시예 8>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5- 플루오로 -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57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5-플루오로-1-메틸-1H-인돌-2-카복실산 21 mg (0.1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30%의 수율로 29 mg (0.0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7.91 (s, 1H), 7.52-7.64 (m, 2H), 7.41 (d, J = 9.2 Hz, 1H), 7.31 (d, J = 7.8 Hz, 1H), 7.09-7.20 (m, 2H), 4.80-4.88 (m, 1H), 4.21 (s, 2H), 3.92-4.04 (m, 4H), 2.97-3.24 (m, 8H), 1.85-2.16 (m, 8H)
< 실시예 9>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5-다이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58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5-다이메틸-1H-인돌-2-카복실산 36 mg (0.19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17%의 수율로 36 mg (0.06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7.91 (s, 1H), 7.60 (d, J = 8.2 Hz, 1H), 7.27-7.44 (m, 2H), 7.31 (d, J = 8.7 Hz, 1H), 7.08-7.13 (m, 1H), 7.06 (s, 1H), 4.82-4.87 (m, 1H), 4.19-4.23 (m, 2H), 3.95-4.02 (m, 1H), 3.94 (s, 3H), 3,18-3.25 (m, 2H), 2.98-3.07 (m, 2H), 2.38 (s, 3H), 1.87-2.16 (m, 8H)
< 실시예 10>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5,6-다이플루오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59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5,6-다이플로로-1-메틸-1H-인돌-2-카복실산 17 mg (0.0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38%의 수율로 26 mg (0.04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7.93 (s, 1H), 7.60-7.72 (m, 3H), 7.31 (d, J = 8.5 Hz, 1H), 7.17 (s, 1H), 4.82-4.88 (m, 1H), 4.19-4.28 (m, 2H), 3.95-4.02 (m, 1H), 3.94 (s, 3H), 3.31-3.38 (m, 2H), 2.98-3.24 (m, 6H), 1.87-2.17 (m, 8H).
< 실시예 11>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5-시아노-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60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5-시아노-1-메틸-1H-인돌-2-카복실산 30 mg (0.15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42%의 수율로 32 mg (0.06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25 (s, 1H), 7.93 (s, 1H), 7.74 (d, J = 8.7 Hz, 1H), 7.59-7.65 (m, 2H), 7.28-7.33 (m, 2H), 4.82-4.88 (m, 1H), 4.19-4.28 (m, 2H), 3.95-4.04 (m, 4H), 3.32-3.38 (m, 2H), 2.98-3.24 (m, 6H), 1.87-2.16 (m, 8H).
< 실시예 12>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7-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61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7-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실산 32 mg (0.1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43%의 수율로 37 mg (0.06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7.92 (s, 1H), 7.62 (d, J = 7.2 Hz, 1H), 7.31 (d, J = 7.8 Hz, 1H), 7.17 (d, J = 7.8 Hz, 1H), 7.03 (s, 1H), 6.97 (dd, J = 7.8, 7.2 Hz, 1H), 6.76 (d, J = 7.8 Hz, 1H), 4.82-4.88 (m 1H), 4.29-4.23 (m, 1H), 4.19 (s, 3H), 3.93-4.00 (m, 1H), 3.89 (s, 3H), 3.31-3.37 (m 2H), 3.08-3.24 (m, 4H), 2.97-3.06 (m, 2H), 1.87-2.16 (m, 8H).
< 실시예 13>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5-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62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5-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실산 23 mg (0.1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49%의 수율로 31 mg (0.0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92 (s, 1H), 7.62 (d, J = 8.5 Hz, 1H), 7.42 (d, J = 9.2 Hz, 1H), 7.31 (d, J = 8.5 Hz, 1H), 7.05-7.10 (m, 2H), 6.92 (d, J = 9.2 Hz, 1H), 4.82-4.88 (m, 1H), 4.19-4.23 (m, 2H), 3.95-4.02 (m, 1H), 3,93 (s, 3H), 3.77 (s, 3H), 3.32-3.38 (m, 2H), 3.08-3.24 (m, 4H), 2.97-3.06 (m, 2H), 1.86-2.16 (m, 8H).
< 실시예 14>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6-다이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63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6-다이메틸-1H-인돌-2-카복실산 20 mg (0.1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48%의 수율로 25 mg (0.04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05 (d, J = 7.3 Hz, 1H), 7.91 (s, 1H), 7.61 (d, J = 8.2 Hz, 1H), 7.49 (d, J = 8.2 Hz, 1H), 7.31 (d, J = 8.0 Hz, 1H), 7.30 (s, 1H), 7.10 (s, 1H), 6.93 (d, J = 8.0 Hz, 1H), 4.82-4.88 (m, 1H), 4.18-4.24 (m, 2H), 3.95-4.02 (m, 1H), 3.93 (s, 3H), 3.08-3.24 (m, 6H), 2.97-3.07 (m, 2H), 2.43 (s, 3H), 1.86-2.16 (m, 8H).
< 실시예 15>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6-플루오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64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6-플루오로-1-메틸-1H-인돌-2-카복실산 21 mg (0.1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51%의 수율로 28 mg (0.0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62 (d, J = 7.3 Hz, 1H), 7.92 (s, 1H), 7.60-7.66 (m, 2H), 7.40 (d, J = 8.5 Hz, 1H), 7.31 (d, J = 8.5 Hz, 1H), 7.18 (s, 1H), 6.93-6.99 (m, 1H), 4.82-4.87 (m, 1H), 4.19-4.23 (m, 2H), 3.95-4.02 (m, 1H), 3.93 (s, 3H), 3.08-3.24 (m, 6H), 2.97-3.06 (m, 2H), 1.87-2.16 (m, 8H)
< 실시예 16>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6-(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65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6-(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인돌-2-카복실산 32 mg (0.13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51%의 수율로 36 mg (0.06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81 (d, J = 7.3 Hz, 1H), 7.97 (s, 1H), 7.92 (s, 1H), 7.85 (d, J = 8.5 Hz, 1H), 7.62 (d, J = 8.5 Hz, 1H), 7.37 (d, J = 8.2 Hz, 1H), 7.32 (d, J = 8.2 Hz, 1H), 7.25 (s, 1H), 4.82-4.88 (m, 1H), 4.19-4.24 (m, 2H), 4.04 (s, 3H), 3.96-4.03 (m, 1H), 3.08-3.26 (m, 6H), 2.98-3.07 (m, 2H), 1.86-2.16 (m, 8H).
< 실시예 17>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7-다이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66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7-다이메틸-1H-인돌-2-카복실산 20 mg (0.1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69%의 수율로 36 mg (0.06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62 (d, J = 7.3 Hz, 1H), 7.91 (s, 1H), 7.61 (d, J = 6.9 Hz, 1H), 7.41 (d, J = 6.4 Hz, 1H), 7.31 (d, J = 8.2 Hz, 1H), 7.00 (s, 1H), 6.91-6.97 (m, 2H), 4.82-4.88 (m, 1H), 4.19-4.23 (m, 2H), 4.18 (s, 3H), 3.92-4.02 (m, 1H), 3.08-3.25 (m, 6H), 2.98-3.07 (m, 2H), 2.75 (s, 3H), 1.86-2.16 (m ,8H).
< 실시예 18>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7-플루오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67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7-플루오로-1-메틸-1H-인돌-2-카복실산 20 mg (0.1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38%의 수율로 12 mg (0.02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CD3OD) δ 7.88 (s, 1H), 7.59 (d, J = 7.3 Hz, 1H), 7.38 (d, J = 7.8 Hz, 1H), 7.28 (d, J = 7.8 Hz, 1H), 7.04 (s, 1H), 6.92-7.02 (m, 2H), 4.92-4.97 (m, 1H), 4.30 (s, 2H), 4.16 (s, 3H), 4.11-4.15 (m, 1H), 3.53-3.59 (m 2H), 3.38-3.46 (m, 2H), 3.26-3.30 (m, 2H), 3.14-3.21 (m, 2H), 2.17-2.27 (m, 4H), 2.08-2.16 (m, 2H), 1.95-2.05 (m, 2H).
< 실시예 19>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5-(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68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5-(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인돌-2-카복실산 20 mg (0.0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65%의 수율로 32 mg (0.0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87 (d, J = 7.3 Hz, 1H), 8.07 (s, 1H), 7.92 (s, 1H), 7.75 (d, J = 9.2 Hz, 1H), 7.62 (d, J = 8.2 Hz, 1H), 7.44 (d, J = 9.2 Hz, 1H), 7.31 (d, J = 8.2 Hz, 1H), 7.30 (s, 1H), 4.82-3.87 (m, 1H), 4.20-4.23 (m, 2H), 4.02 (s, 3H), 3.96-4.01 (m, 1H), 3.08-3.25 (m, 6H), 2.98-3.07 (m, 2H), 1.86-2.16 (m, 8H).
< 실시예 20>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7-(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69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7-(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인돌-2-카복실산 20 mg (0.0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63%의 수율로 32 mg (0.0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87 (d, J = 7.3 Hz, 1H), 7.99 (d, J = 7.8 Hz, 1H), 7.92 (s, 1H), 7.70 (d, J = 7.8 Hz, 1H), 7.62 (d, J = 7.8 Hz, 1H), 7.31 (d, J = 7.8 Hz, 1H), 7.26 (dd, J = 7.8, 7.8 Hz, 1H), 7.22 (s, 1H), 4.82-4.88 (m, 1H), 4.19-4.24 (m, 2H), 3.96-4.05 (m, 4H), 3.08-3.25 (m, 6H), 2.88-3.07 (m, 2H), 1.87-2.16 (m, 8H).
< 실시예 21>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에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70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은 1-에틸-1H-인돌-2-카복실산 20 mg (0.1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36%의 수율로 22 mg (0.04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62 (d, J = 7.3 Hz, 1H), 7.92 (s, 1H), 7.60-7.64 (m, 2H), 7.54 (d, J = 8.7 Hz, 1H), 7.31 (d, J = 8.7 Hz, 1H), 7.26 (dd, J = 8.2, 7.8 Hz, 1H), 7.15 (s ,1H), 7.08 (dd, J = 8.2, 7.8 Hz, 1H), 4.82-4.88 (m, 1H), 4.55 (q, J = 7.2 Hz, 2H), 4.20-4.24 (m, 2H), 3.95-4.04 (m, 1H), 3.08-3.24 (m, 6H), 2.97-3.07 (m, 2H), 1.86-2.16 (m, 8H), 1.25 (t, J = 7.2 Hz, 3H).
< 실시예 22>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페닐설포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71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1-(페닐설포닐)-1H-인돌-2-카복실산 40 mg (0.13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69%의 수율로 31 mg (0.0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12 (d, J = 7.8 Hz, 2H), 7.96 (d, J = 8.7 Hz, 1H), 7.91 (s, 1H), 7.70 (dd, J = 7.7, 6.9 Hz, 1H), 7.57-7.65 (m, 4H), 7.40 (d, J = 8.2 Hz, 1H), 7.32 (d, J = 8.2 Hz, 1H), 7.28 (dd, J = 8.7, 6.9 Hz, 1H), 6.99 (s, 1H), 4.81-4.88 (m, 1H), 4.21-4.25 (m, 2H), 3.94-4.03 (m, 1H), 3.09-3.24 (m, 6H), 2.99-3,08 (m, 2H), 1.86-2.18 (m, 8H).
< 실시예 23>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메틸설포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72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4에서 얻은 1-(메틸설포닐)-1H-인돌-2-카복실산 30 mg (0.13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76%의 수율로 40 mg (0.06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9.02 (d, J = 7.8 Hz, 1H), 7.89-7.94 (m, 2H), 7.69 (d, J = 7.8 Hz, 1H), 7.59 (d, J = 8.2 Hz, 1H), 7.41 (dd, J = 7.8, 7.8 Hz, 1H), 7.28-7.34 (m, 2H), 7.04 (s, 1H), 4.81-4.88 (m, 1H), 4.19-4.29 (m, 2H), 3.89-3.96 (m, 1H), 3.77 (s, 3H), 3.08-3.24 (m, 6H), 2.97-3.07 (m, 2H), 1.86-2.16 (m, 8H).
< 실시예 24>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벤질-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73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5에서 얻은 1-벤질-1H-인돌-2-카복실산 25 mg (0.1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33%의 수율로 20 mg (0.03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70 (d, J = 7.5 Hz, 1H), 7.91 (s, 1H), 7.57-7.70 (m, 2H), 7.53 (d, J = 8.3 Hz, 1H), 7.14-7.35 (m, 6H), 7.02-7.13 (m, 3H), 5.83 (s, 3H), 4.80-4.90 (m, 1H), 4.16-4.28 (m, 2H), 3.88-4.03 (m, 1H), 3.05-3.25 (m, 6H), 2.91-3.04 (m, 2H), 1.83-2.20 (m, 8H).
< 실시예 25>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닐옥시 ) 벤질 )피페리딘-4-닐)-1-페닐-1H-인돌-2-카복시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74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제조예 6에서 얻은 1-페닐-1H-인돌-2-카복실산 40 mg (0.17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51%의 수율로 44 mg (0.07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67 (d, J = 6.9 Hz, 1H), 7.89 (s, 1H), 7.71 (d, J = 7.8 Hz, 1H), 7.58 (d, J = 8.7 Hz, 1H), 7.48-7.55 (m, 2H), 7.43 (dd, J = 7.8m 6,7 Hz, 1H), 7.28-7.36 (m, 3H), 7.24 (s, 1H), 7.22 (d, J = 8.2 Hz, 1H), 7.16 (dd, J = 8.7, 6.7 Hz, 1H), 7.10 (d, J = 8.2 Hz, 1H), 4.81-4.88 (m, 1H), 4.16-4.24 (m, 2H), 3.76-3.87 (m, 1H), 3.28-3.34 (m, 2H), 3.08-3.23 (m, 4H), 2.89-2.99 (m 2H), 2.07-2.16 (m, 2H), 1.82-1.97 (m, 6H).
< 실시예 26>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닐옥시 ) 벤질 )피페리딘-4-닐)-5-플루오로-1-(페닐설포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75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5-플루오로-1-(페닐설포닐)-1H-인돌-2-카복실산 44 mg (0.14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29%의 수율로 25 mg (0.03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9.07 (d, J = 7.3 Hz, 1H), 8.11 (d, J = 8.3 Hz, 2H), 7.98 (dd, J = 9.2, 4.1 Hz, 1H), 7.91 (s, 1H), 7.69-7.74 (m, 1H), 7.58-7.65 (m, 3H), 7.45 (d, J = 8.7 Hz, 1H), 7.31 (d, J = 8.7 Hz, 1H), 7.22-7.29 (m, 1H), 6.97 (s, 1H), 4.81-4.88 (m, 1H), 4.23 (s, 2H), 3.93-4.03 (m, 1H), 3.09-3.23 (m, 6H), 3.00-3.08 (m, 2H), 2.04-2.17 (m, 4H), 1.86-1.99 (m, 4H).
< 실시예 27>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닐옥시 ) 벤질 )피페리딘-4-닐)-5-플루오로-1-벤질-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76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5-플루오로-1-벤질-1-1H-인돌-2-카복실산 26 mg (0.1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42%의 수율로 21 mg (0.032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8.74 (d, J = 7.2 Hz, 1H), 7.90 (s, 1H), 7.52-7.64 (m, 2H), 7.44 (d, J = 8.7 Hz, 1H), 7.15-7.36 (m, 5H), 7.01-7.13 (m, 3H), 5.82 (s, 2H), 4.80-4.90 (m, 1H), 4.21 (s, 2H), 3.89-4.04 (m, 1H), 3.06-3.25 (m, 6H), 2.88-3.05 (m, 2H), 1.82-2.21 (m, 8H).
< 실시예 28>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4-메틸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77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4-메틸페닐)-1H-인돌-2-카복실산 47 mg (0.19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58%의 수율로 32 mg (0.0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70 (brs, 1H), 9.05 (brs, 1H), 8.96 (brs, 1H), 8.17 (d, J = 7.1 Hz, 1H), 7.91(s, 1H), 7.70 (d, J = 7.9 Hz, 1H), 7.60 (d, J = 8.4 Hz, 1H) 7.29-7.36 (m, 3H), 7.13-7.26 (m, 5H), 7.10 (d, J = 8.2 Hz, 1H), 4.83-4.91 (m, 1H), 4.18-4.27 (m, 2H), 3.77-3.87 (m, 1H), 3.28-3.33 (m, 2H), 3.08-3.26 (m, 4H), 2.86-3.02 (m, 2H), 2.40 (s, 3H), 2.08-2.19 (m, 2H), 1.84-1.98 (m, 6H).
< 실시예 29>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4-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78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4-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실산 49 mg (0.1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51%의 수율로 30 mg (0.0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70 (brs, 1H), 9.05 (brs, 1H), 8.96 (brs, 1H), 8.61 (d, J = 7.1 Hz, 1H), 7.91(s, 1H), 7.70 (d, J = 7.8 Hz, 1H), 7.60 (d, J = 8.6 Hz, 1H) 7.19-7.29 (m, 4H), 7.12-7.19 (m, 1H), 7.02-7.12 (m, 3H), 4.83-4.89 (m, 1H), 4.14-4.26 (m, 2H), 3.84 (s, 3H), 3.78-3.83 (m, 1H), 3.08-3.25 (m, 4H), 2.86-3.02 (m, 2H), 2.07-2.19 (m, 2H), 1.83-1.99 (m, 6H).
< 실시예 30>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3-메틸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79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3-메틸페닐)-1H-인돌-2-카복실산 49 mg (0.2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52%의 수율로 34 mg (0.0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70 (brs, 1H), 9.05 (brs, 1H), 8.96 (brs, 1H), 8.68 (d, J = 7.4 Hz, 1H), 7.91 (s, 1H), 7.71 (d, J = 7.7 Hz, 1H), 7.60 (d, J = 8.5 Hz, 1H), 7.30 (dd, J = 7.7 Hz, 7.7 Hz, 1H), 7.30-7.36 (m, 1H), 7.20-7.29 (m, 3H), 7.20-7.07 (m, 4H), 4.82-4.90 (m, 1H), 4.16-4.25 (m, 2H), 3.75-3.88 (m, 1H), 3.28-3.36 (m, 2H), 3.07-3.25 (m, 6H), 2.88-3.02 (m, 2H), 2.38 (s, 3H), 2.07-2.18 (m, 2H), 1.87-1.98 (m, 4H).
< 실시예 31>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3-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80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3-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실산 50 mg (0.19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57%의 수율로 35 mg (0.0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64 (brs, 1H), 9.00 (brs, 1H), 8.92 (brs, 1H), 8.68 (d, J = 7.4 Hz, 1H), 7.90 (s, 1H), 7.71 (d, J = 8.2 Hz, 1H), 7.59 (d, J = 8.2 Hz, 1H), 7.42 (dd, J = 7.6 Hz, 7.6 Hz, 1H), 7.31 (d, J = 8.5 Hz, 1H), 7.21-7.28 (m, 3H), 7.14-7.20 (m, 2H), 7.02 (d, J = 8.9 Hz, 1H), 6.89-6.90 (m, 2H), 4.82-4.90 (m, 1H), 4.14-4.26 (m, 2H), 3.81-3.89 (m, 1H), 4.79 (s, 3H), 3.30-3.34 (m, 2H), 3.09-3.25 (m, 6H) 2.90-3.02 (m, 2H), 2.07-2.18 (m, 2H), 1.82-1.98 (m, 4H).
< 실시예 32>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4-아이소프로필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81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4-아이소프로필페닐)-1H-인돌-2-카복실산 30 mg (0.1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53%의 수율로 28 mg (0.04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70 (brs, 1H), 9.03 (brs, 1H), 8.93 (brs, 1H), 8.66 (d, J = 7.6 Hz, 1H), 7.90 (s, 1H), 7.71 (d, J = 8.1 Hz, 1H), 7.60 (d, J = 7.6 Hz, 1H), 7.36-7.42 (m, 2H), 7.31 (d, J = 8.1 Hz, 1H), 7.19-7.26 (m, 4H), 7.14-7.18 (m, 1H), 7.10 (d, J = 8.1 Hz, 1H), 4.81-4.90 (m, 1H) 4.19 (s, 2H), 3.78-3.87 (m, 1H), 3.28-3.36 (m, 2H), 3.09-3.24 (m, 4H), 2.92-3.04 (m, 3H), 2.08-2.18 (m, 2H), 1.84-1.97 (m, 4H), 1.29 (d, J = 7.0 Hz, 6H).
< 실시예 33>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4-t-부틸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82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4-t-부틸페닐)-1H-인돌-2-카복실릭산 30 mg (0.1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19%의 수율로 13 mg (0.02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70 (brs, 1H), 9.03 (brs, 1H), 8.93 (brs, 1H), 8.66 (d, J = 7.6 Hz, 1H), 7.90 (s, 1H), 7.71 (d, J = 7.3 Hz, 1H), 7.59 (d, J = 8.5 Hz, 1H), 7.53 (d, J = 8.1 Hz, 2H), 7.31 (d, J = 8.5 Hz, 1H), 7.19-7.29 (m, 4H), 7.16 (dd, J = 7.3, 6.9 Hz, 1H), 7.11 (d, J = 8.5 Hz, 1H), 4.79-4.89 (m, 1H) 4.20 (s, 2H), 3.77-3.89 (m, 1H), 3.27-3.33 (m, 2H), 3.09-3.23 (m, 4H), 2.86-3.01 (m, 2H), 2.06-2.19 (m, 2H), 1.82-1.97 (m, 6H), 1.36 (s, 9H).
< 실시예 34>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4-트리플루오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83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인돌-2-카복실릭산 25 mg (0.0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22%의 수율로 13 mg (0.02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62 (brs, 1H), 8.94 (brs, 1H), 8.86 (brs, 1H), 8.77-8.82 (m, 1H), 7.86-7.93 (m, 1H), 7.76(d, J = 7.7 Hz, 1H), 7.66-7.74 (m, 1H), 7.52-7.62 (m, 3H), 7.37 (s, 1H), 7.31 (d, J = 8.6 Hz, 1H), 7.25-7.29 (m, 1H), 7.22 (d, J = 7.7 Hz, 1H), 7.19 (d, J = 8.0 Hz, 1H), 4.82-4.90 (m, 1H) 4.20 (s, 2H), 3.30-3.33 (m, 2H), 3.17-3.24 (m, 2H), 3.08-3.17 (m, 2H), 2.89-3.02 (m, 2H), 2.07-2.17 (m, 2H), 1.85-2.06 (m, 6H).
< 실시예 35>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4-클로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84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4-클로로페닐)-1H-인돌-2-카복실산 30 mg (0.1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62%의 수율로 34 mg (0.0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78 (brs, 1H), 9.05 (brs, 1H), 8.95 (brs, 1H), 8.71-8.77 (m, 1H), 7.92 (s, 1H), 7.73 (d, J = 7.6 Hz, 1H), 7.61 (d, J = 7.6 Hz, 1H), 7.57 (d, J = 8.1 Hz, 2H), 7.34 (d, J = 8.1 Hz, 2H), 7.29-7.33 (m, 2H), 7.25 (dd, J = 7.6, 7.1 Hz, 1H), 7.18 (dd, J = 7.6, 7.6 Hz, 1H), 7.12 (d, J = 8.1 Hz, 1H), 4.80-4.90 (m, 1H) 4.20 (s, 2H), 3.77-3.88 (m, 1H), 3.30-3.33 (m, 2H), 3.17-3.24 (m, 2H), 3.08-3.16 (m, 2H), 2.89-3.02 (m, 2H), 2.07-2.20 (m, 2H), 1.85-2.00 (m, 6H).
< 실시예 36>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4-플루오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85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4-플루오로페닐)-1H-인돌-2-카복실산 30 mg (0.1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69%의 수율로 20 mg (0.03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88 (brs, 1H), 8.94 (brs, 1H), 9.01 (brs, 1H), 8.67-8.73 (m, 1H), 7.92 (s, 1H), 7.72 (d, J = 7.6 Hz, 1H), 7.62 (d, J = 8.5 Hz, 1H), 7.33-7.42 (m, 4H), 7.31 (d, J = 7.1 Hz, 2H), 7.24 (d, J = 8.0 Hz, 1H), 7.17 (dd, J = 7.6, 7.1 Hz, 1H), 7.07 (d, J = 8.0 Hz, 1H), 4.83-4.89 (m, 1H) 4.19 (s, 2H), 3.79-3.89 (m, 1H), 3.28-3.35 (m, 2H), 3.16-3.23 (m, 2H), 3.07-3.16 (m, 2H), 2.89-3.01 (m, 2H), 2.08-2.18 (m, 2H), 1.87-2.00 (m, 6H).
< 실시예 37>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86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실산 28 mg (0.09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80%의 수율로 15 mg (0.02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76 (brs, 1H), 9.04 (brs, 1H), 8.94 (brs, 1H), 8.72-8.77 (m, 1H), 7.91 (s, 1H), 7.74 (d, J = 8.0 Hz, 1H), 7.61 (d, J = 8.5 Hz, 1H), 7.51 (d, J = 9.1 Hz, 2H), 7.45 (d, J = 9.1 Hz, 2H), 7.35 (s, 1H), 7.31 (d, J = 8.5 Hz, 1H), 7.26 (dd, J = 8.0, 7.0 Hz, 1H), 7.19 (dd, J = 7.5, 7.5 Hz, 1H), 7.12 (d, J = 8.0 Hz, 1H), 4.82-4.90 (m, 1H) 4.20 (s, 2H), 3.79-3.89 (m, 1H), 3.28-3.35 (m, 2H), 3.17-3.24 (m, 2H), 3.08-3.16 (m, 2H), 2.90-3.01 (m, 2H), 2.08-2.17 (m, 2H), 1.86-1.99 (m, 6H).
< 실시예 38>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4-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87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4-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실산 17 mg (0.0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57%의 수율로 14 mg (0.02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76 (brs, 1H), 9.00 (brs, 1H), 8.92 (brs, 1H), 8.82-8.87 (m, 1H), 8.37 (d, J = 8.0 Hz, 2H), 7.91 (s, 1H), 7.77 (d, J = 7.6 Hz, 1H), 7.57-7.66 (m, 3H), 7.41 (s, 1H), 7.30 (dd, J = 7.6, 6.3 Hz, 2H), 7.21-7.28 (m, 2H), 4.80-4.89 (m, 1H) 4.20 (s, 2H), 3.79-3.89 (m, 1H), 3.30-3.33 (m, 2H), 3.17-3.24 (m, 2H), 3.09-3.17 (m, 2H), 2.90-3.02 (m, 2H), 2.07-2.17 (m, 2H), 1.87-2.05 (m, 6H).
< 실시예 39>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3,4-다이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88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3,4-다이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실산 30 mg (0.1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68%의 수율로 14 mg (0.02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71 (brs, 1H), 9.04 (brs, 1H), 8.94 (brs, 1H), 8.57-8.64 (m, 1H), 7.91 (s, 1H), 7.69 (d, J = 7.8 Hz, 1H), 7.60 (d, J = 8.3 Hz, 1H), 7.31 (d, J = 8.6 Hz, 2H), 7.20-7.25 (m, 1H), 7.20 (s, 1H), 7.12-7.17 (m, 2H), 7.05 (d, J = 8.5 Hz, 1H), 6.89 (s, 1H), 6.83 (d, J = 8.5 Hz, 1H), 4.81-4.88 (m, 1H), 4.19 (s, 2H), 3.79-3.88 (m, 4H), 3.74 (s, 3H), 3.28-3.32 (m, 2H), 3.10-3.23 (m, 4H), 2.90-3.00 (m, 2H), 2.08-2.17 (m, 2H), 1.83-1.97 (m, 6H).
< 실시예 40>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3,4-다이클로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89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3,4-다이클로로페닐)-1H-인돌-2-카복실릭산 17 mg (0.0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58%의 수율로 7 mg (0.01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67 (brs, 1H), 8.96 (brs, 1H), 8.88 (brs, 1H), 8.72-8.78 (m, 1H), 7.91 (s, 1H), 7.77 (d, J = 8.7 Hz, 1H), 7.74 (d, J = 7.4 Hz, 1H), 7.67 (s, 1H), 7.61 (d, J = 8.7 Hz, 1H), 7.38 (s, 1H), 7.35 (d, J = 8.3 Hz, 1H), 7.31 (d, J = 8.7 Hz, 1H), 7.28 (dd, J = 7.8, 7.4 Hz, 1H), 7.20 (dd, J = 7.4, 7.4 Hz, 1H), 7.15 (d, J = 8.3 Hz, 1H), 4.81-4.88 (m, 1H), 4.20 (s, 2H), 3.79-3.88 (m, 1H), 3.31-3.33 (m, 2H), 3.17-3.24 (m, 2H), 3.09-3.16 (m, 2H), 2.89-3.01 (m, 2H), 2.07-2.16 (m, 2H), 1.84-1.98 (m, 6H).
< 실시예 41>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3,4-다이플루오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3,4-다이플루오로페닐)-1H-인돌-2-카복실산 20 mg (0.07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69%의 수율로 14 mg (0.02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68 (brs, 1H), 8.97 (brs, 1H), 8.89 (brs, 1H), 8.66-8.74 (m, 1H), 7.91 (s, 1H), 7.73 (d, J = 7.9 Hz, 1H), 7.51-7.64 (m, 4H), 7.36 (s, 1H), 7.31 (d, J = 8.7 Hz, 2H), 7.26 (dd, J = 7.9, 7.1 Hz, 1H), 7.15-7.23 (m, 2H), 7.13 (d, J = 8.7 Hz, 1H), 4.81-4.90 (m, 1H), 4.20 (s, 2H), 3.79-3.89 (m, 1H), 3.28-3.32 (m, 2H), 3.17-3.24 (m, 2H), 3.09-3.16 (m, 2H), 2.89-3.01 (m, 2H), 2.08-2.16 (m, 2H), 1.84-1.98 (m, 6H).
< 실시예 42>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91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H-인돌-2-카복실산 35 mg (0.1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69%의 수율로 43 mg (0.06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82 (brs, 1H), 9.04 (brs, 1H), 8.95 (brs, 1H), 8.68-8.75 (m, 1H), 7.91 (s, 1H), 7.73 (d, J = 7.9 Hz, 1H), 7.57-7.67 (m, 2H), 7.54 (d, J = 9.0 Hz, 1H) 7.37 (s, 1H), 7.35-7.27 (m, 2H), 7.25 (d, J = 7.7 Hz, 1H), 7.18 (dd, J = 7.7, 6.6 Hz, 1H), 7.10 (d, J = 7.9 Hz, 1H), 4.78-4.89 (m, 1H), 4.19 (s, 2H), 3.77-3.88 (m, 1H), 3.27-3.37 (m, 2H), 3.07-3.23 (m, 4H), 2.89-3.01 (m, 2H), 2.05-2.21 (m, 2H), 1.81-2.03 (m, 6H).
< 실시예 43>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3-플루오로-4-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92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3-플루오로-4-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실산 40 mg (0.14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83%의 수율로 52 mg (0.07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88 (brs, 1H), 9.12 (brs, 1H), 9.02 (brs, 1H), 8.62-8.70 (m, 1H), 7.92 (s, 1H), 7.70 (d, J = 7.7 Hz, 1H), 7.62 (d, J = 7.7 Hz, 1H), 7.25-7.38 (m, 3H), 7.17-7.25 (m, 2H), 7.12-7.16 (m, 1H), 7.03-7.12 (m, 2H), 4.80-4.89 (m, 1H), 4.19 (s, 2H), 3.92 (s, 3H), 3.77-3.85 (m, 1H), 3.26-3.36 (m, 2H), 3.04-3.21 (m, 4H), 2.85-3.02 (m, 2H), 2.06-2.20 (m, 2H), 1.79-2.03 (m, 6H).
< 실시예 44>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3-브로모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93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3-브로모페닐)-1H-인돌-2-카복실산 20 mg (0.06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57%의 수율로 14 mg (0.02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74 (brs, 1H), 9.04 (brs, 1H), 8.95 (brs, 1H), 8.71-8.77 (m, 1H), 7.91 (s, 1H), 7.73 (d, J = 8.0 Hz, 1H), 7.66 (d, J = 7.5 Hz, 1H), 7.60 (d, J = 8.4 Hz, 1H) 7.53 (s, 1H), 7.49 (dd, J = 8.4, 7.5 Hz, 1H), 7.36 (d, J = 8.9 Hz, 1H), 7.33 (s, 1H), 7.31 (d, J = 8.9 Hz, 1H), 7.27 (dd, J = 7.5, 6.6 Hz, 1H), 7.19 (dd, J = 7.0, 6.6 Hz, 1H), 7.12 (d, J = 8.4 Hz, 1H), 4.81-4.89 (m, 1H), 4.20 (s, 2H), 3.29-3.34 (m, 2H), 3.17-3.24 (m, 2H), 3.08-3.16 (m, 2H), 2.90-3.02 (m, 2H), 2.08-2.17 (m, 2H), 1.86-2.00 (m, 6H).
< 실시예 45>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3-클로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94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3-클로로페닐)-1H-인돌-2-카복실산 30 mg (0.1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70%의 수율로 28 mg (0.04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72 (brs, 1H), 9.04 (brs, 1H), 8.93 (brs, 1H), 8.70-8.76 (m, 1H), 7.91 (s, 1H), 7.73 (d, J = 7.5 Hz, 1H), 7.60 (d, J = 8.4 Hz, 1H), 7.50-7.57 (m, 2H), 7.41 (s, 1H), 7.29-7.35 (m, 2H), 7.26 (dd, J = 8.0, 7.1 Hz, 1H), 7.19 (dd, J = 7.1, 7.1 Hz, 1H), 7.13 (d, J = 8.4 Hz, 1H), 4.82-4.89 (m, 1H), 4.20 (s, 2H), 3.80-3.88 (m, 1H), 3.31-3.35 (m, 2H), 3.16-3.24 (m, 4H), 3.08-3.16 (m, 2H), 2.90-3.01 (m, 2H), 2.08-2.17 (m, 2H), 1.88-2.00 (m, 6H).
< 실시예 46>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2-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95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2-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실산 35 mg (0.12 mmol)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27%의 수율로 13 mg (0.02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67 (brs, 1H), 8.99 (brs, 1H), 8.90 (brs, 1H), 8.70-8.75 (m, 1H), 8.19 (d, J = 8.2 Hz, 1H), 7.87-7.94 (m, 2H), 7.72-7.80 (m, 2H), 7.63 (d, J = 8.2 Hz, 1H), 7.59 (d, J = 8.0 Hz, 1H), 7.47 (s, 1H), 7.31 (d, J = 8.0 Hz, 1H), 7.26 (dd, J = 8.0, 7.3 Hz, 1H), 7.20 (dd, J = 7.5, 7.3 Hz, 1H), 6.96 (d, J = 7.4 Hz, 1H), 4.80-4.89 (m, 1H), 4.18 (s, 2H), 3.75-3.81 (m, 1H), 3.28-3.31 (m, 2H), 3.17-3.23 (m, 2H), 3.09-3.16 (m, 2H), 2.86-3.00 (m, 2H), 2.08-2.16 (m, 2H), 1.84-1.96 (m, 6H).
< 실시예 47>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2-클로로-4-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96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2-클로로-4-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실산 35 mg (0.11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73%의 수율로 52 mg (0.07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79 (brs, 1H), 8.99 (brs, 1H), 8.90 (brs, 1H), 8.79-8.85 (m, 1H), 8.52 (s, 1H), 8.35 (d, J = 8.8 Hz, 1H), 7.91 (s, 1H), 7.81 (d, J = 8.8 Hz, 1H), 7.78 (d, J = 7.4 Hz, 1H), 7.60 (d, J = 8.8 Hz, 1H), 7.55 (s, 1H), 7.26-7.34 (m, 2H), 7.23 (dd, J = 7.4, 7.4 Hz, 1H), 6.95 (d, J = 8.8 Hz, 1H), 4.81-4.88 (m, 1H), 4.19 (s, 2H), 3.77-3.85 (m, 1H), 3.27-3.33 (m, 2H), 3.16-3.23 (m, 2H), 3.09-3.16 (m, 2H), 2.88-3.98 (m, 2H), 2.08-2.16 (m, 2H), 1.86-2.02 (m, 6H).
< 실시예 48>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2,4-다이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97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3,4-다이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실산 31 mg (0.09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43%의 수율로 23 mg (0.03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86 (brs, 1H), 9.04 (brs, 1H), 8.94 (brs, 1H), 8.91 (s, 1H), 8.85-8.89 (m, 1H), 8.69 (d, J = 8.5 Hz, 1H), 8.00 (d, J = 8.5 Hz, 1H), 7.91 (s, 1H), 7.80 (d, J = 7.3 Hz, 1H), 7.57-7.62 (m, 2H), 7.29-7.36 (m, 2H), 7.25 (dd, J = 7.5, 6.8 Hz, 1H), 7.11 (d, J = 8.5 Hz, 1H), 4.81-4.88 (m, 1H), 4.18 (s, 2H), 3.74-3.79 (m, 1H), 3.25-3.31 (m, 2H), 3.16-3.23 (m, 2H), 3.07-3.16 (m, 2H), 2.86-2.99 (m, 2H), 2.07-2.18 (m, 2H), 1.87-2.01 (m, 6H).
< 실시예 49>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2-나이트로-5-브로모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98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2-나이트로-5-브로모페닐)-1H-인돌-2-카복실산 35 mg (0.1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69%의 수율로 39 mg (0.0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74 (brs, 1H), 8.99 (brs, 1H), 8.90 (brs, 1H), 8.72-8.80 (m, 1H), 8.15 (d, J = 9.2 Hz, 1H), 7.96-8.01 (m, 2H), 7.90 (s, 1H), 7.76 (d, J = 8.0 Hz, 1H), 7.60 (d, J = 8.4Hz, 1H), 7.52 (s, 1H), 7.27-7.33 (m, 2H), 7.22 (dd, J = 7.6, 7.4 Hz, 1H), 7.03 (d, J = 8.4 Hz, 1H), 4.82-4.88 (m, 1H), 4.19 (s, 2H), 3.74-3.80 (m, 1H), 3.27-3.36 (m, 2H), 3.16-3.24 (m, 2H), 3.07-3.16 (m, 2H), 2.86-3.00 (m, 2H), 2.06-2.17 (m, 2H), 1.86-2.01 (m, 6H).
< 실시예 50> N-(1-(3- 브로모 -4-(피페리딘-4- 일옥시 ) 벤질 )피페리딘-4일)-1-(2-나이트로-4-브로모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099
2-인돌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대신에, 1-(2-나이트로-4-브로모페닐)-1H-인돌-2-카복실산 35 mg (0.10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목적화합물을 두 단계 통합 57%의 수율로 39 mg (0.05 mmol)을 얻었다.
1H NMR (500 MHz, DMSO-d 6 ) δ 10.64 (brs, 1H), 8.94 (brs, 1H), 8.86 (brs, 1H), 8.78-8.73 (m, 1H), 8.40 (s, 1H), 8.10 (d, J = 8.4 Hz, 1H), 7.90 (s, 1H), 7.76 (d, J = 7.9 Hz, 1H), 7.61 (d, J = 8.4 Hz, 1H), 7.59 (d, J = 8.4 Hz, 1H), 7.49 (s, 1H), 7.25-7.33 (m, 2H), 7.22 (dd, J = 7.5, 7.0 Hz, 1H), 7.03 (d, J = 8.4 Hz, 1H), 4.82-4.88 (m, 1H), 4.19 (s, 2H), 3.73-3.79 (m, 1H), 3.28-3.34 (m, 2H), 3.16-3.24 (m, 2H), 3.09-3.16 (m, 2H), 2.87-2.98 (m, 2H), 2.08-2.16 (m, 2H), 1.85-2.01 (m, 6H).
< 실시예 51> tert -부틸 4-(4-((4-(1H-인돌-2- 카복스아미도 )피페리딘-1-일) 메틸 )-2-브로모페녹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의 제조
Figure 112016050197317-pat00100
2-인돌카복실산 13 mg (0.08 mmol)과 상기 제조예 7에서 얻은 화합물 40 mg (0.09 mmol)과 비스(2-옥소-3-옥사졸리딘일)포스포릭 클로라이드 (BOP-Cl) 31 mg (0.12 mmol)을 3 ml DMF에 용해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33 ul (0.24 mmol)을 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종결 후 75 ml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과 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하였다. 감압농축한 여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노말 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 1:1 -> 메탄올/디클로로메탄 = 5%, v/v)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목적화합물을 40 mg (0.07 mmol) 88% 수율로 얻었다.
Rf =0.38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20 : 1, v/v);
1H NMR (500 MHz, CDCl3) δ 9.63 (s, NH), 7.66 (d, J = 8.0 Hz, 1H), 7.55 (d, J = 1.8 Hz, 1H), 7.45 (d, J = 8.0 Hz, 1H), 7.30 (dd, J = 8.0, 7.6 Hz, 1H), 7.20 (dd, J = 8.3, 1.8 Hz, 1H), 7.16 (dd, J = 8.0, 7.6 Hz, 1H), 6.89 (s, 1H), 6.88 (d, J = 8.3 Hz, 1H), 6.24 (d, J = 8.0 NH), 4.54-4.60 (m, 1H), 4.02-4.12 (m, 1H), 3.63-3.70 (m, 2H), 3.50-3.56 (m, 2H), 3.49 (s, 2H), 2.88-2.95 (m, 2H), 2.18-2.26 (m, 2H), 2.03-2.10 (m, 2H), 1.82-1.94 (m, 4H), 1.61-1.72 (m, 2H), 1.50 (s, 9H).
하기 표 1에 실시예 1 내지 51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화학구조식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조식 실시예 구조식
1
Figure 112016050197317-pat00101
2
Figure 112016050197317-pat00102
3
Figure 112016050197317-pat00103
4
Figure 112016050197317-pat00104
5
Figure 112016050197317-pat00105
6
Figure 112016050197317-pat00106
7
Figure 112016050197317-pat00107
8
Figure 112016050197317-pat00108
9
Figure 112016050197317-pat00109
10
Figure 112016050197317-pat00110
11
Figure 112016050197317-pat00111
12
Figure 112016050197317-pat00112
13
Figure 112016050197317-pat00113
14
Figure 112016050197317-pat00114
15
Figure 112016050197317-pat00115
16
Figure 112016050197317-pat00116
17
Figure 112016050197317-pat00117
18
Figure 112016050197317-pat00118
19
Figure 112016050197317-pat00119
20
Figure 112016050197317-pat00120
21
Figure 112016050197317-pat00121
22
Figure 112016050197317-pat00122
23
Figure 112016050197317-pat00123
24
Figure 112016050197317-pat00124
25
Figure 112016050197317-pat00125
26
Figure 112016050197317-pat00126
27
Figure 112016050197317-pat00127
28
Figure 112016050197317-pat00128
29
Figure 112016050197317-pat00129
30
Figure 112016050197317-pat00130
31
Figure 112016050197317-pat00131
32
Figure 112016050197317-pat00132
33
Figure 112016050197317-pat00133
34
Figure 112016050197317-pat00134
35
Figure 112016050197317-pat00135
36
Figure 112016050197317-pat00136
37
Figure 112016050197317-pat00137
38
Figure 112016050197317-pat00138
39
Figure 112016050197317-pat00139
40
Figure 112016050197317-pat00140
41
Figure 112016050197317-pat00141
42
Figure 112016050197317-pat00142
43
Figure 112016050197317-pat00143
44
Figure 112016050197317-pat00144
45
Figure 112016050197317-pat00145
46
Figure 112016050197317-pat00146
47
Figure 112016050197317-pat00147
48
Figure 112016050197317-pat00148
49
Figure 112016050197317-pat00149
50
Figure 112016050197317-pat00150
51
Figure 112016050197317-pat00151
- -
< 실험예 1> N-(피페리딘-4-일)-1H-인돌-2- 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의 유로텐신 -Ⅱ 수용체 결합 억제활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의 유로텐신-Ⅱ 수용체에 대한 결합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동여과법 기반 시차성형광분석법 (Filtration-based Time-resolved fluorescence assay)으로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완충용액은 세척용액 (25 mM HEPES pH 7.4, 5 mM MgCl2, 1 mM CaCl2)과 실험용액(세척용액에 BSA 0.5%가 되도록 첨가)의 두 종류를 준비하고, 1 uM 유로피움으로 표지된 유로텐신 농축호르몬(Europium-labeled Urotensin-Ⅱ, Eu-UⅡ), PerkinElmer, Turku, Finland) 및 1 mM 유로텐신 농축호르몬(유로텐신-Ⅱ, #070-47, Sigma-Aldrich, St.Louis, MO, USA)을 4℃에서 준비하였다. 1 uM의 Eu-UⅡ과 1 mM 유로텐신-Ⅱ를 각각 8 nM(최종 반응농도: 2 nM)과 4 μM(최종 반응농도: 1 μM)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모든 희석과 준비과정에서 사용되는 완충용액은 실험용액이며, 세척용액은 마지막에 플레이트를 씻어 줄 때만 사용하였다. 결합시험법을 위한 유로텐신-Ⅱ 수용체 세포막 준비는 100 cm2 flask에서 대량 배양된 유로텐신-Ⅱ 수용체가 과발현된 HEK293UT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세포가 90% 이상 자라면 배지를 제거하고 PBS buffer로 2회 세척한 후에 2 ml의 1 mM EDTA-PBS buffer를 첨가하여 37℃, 5분 동안 반응시켜 세포를 수확하였다. 수확된 세포는 PBS buffer로 다시 2회 세척한 후에 0.5% Protease Inhibitor cocktail이 첨가된 lysis buffer (10 mM Tris pH 7.4, 5 mM Na-EDTA)에 현탁 시킨 후 초음파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세포파편은 300g에서 5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제거하였고, 상층액은 47000g에서 20분 동안 초원심 분리하여 세포막 분획이 포함된 침전물을 얻었다. 세포막 분획 침전물을 storage buffer (50 mM Tris-HCl pH 7.4, 0.5 mM EDTA, 5 mM MgCl2, 10% sucrose)에 용해시킨 후, Bradford 방법에 의해 농도를 측정하였다.
유로텐신-Ⅱ 수용체 (30 mg/ml) 50 ul를 5 ml 실험용액에 희석하여 균질화 시킨 후, 여과지가 부착된 미소판 (Multiwell 96 well filter plates PN5020, Pall Co. Ann Arbor MI, USA)에 8채널 파이펫 (multi 8-channel, Eppendorf, Hamburg, Germany)을 이용하여 각 웰당 50 ml씩 유로텐신-Ⅱ 수용체를 분주하였다. 이때, 비특이적결합(non specific binding) 대조군으로는 Eu-UⅡ 25 ml 및 유로텐신-Ⅱ 25 ml를 분주하였으며, 전체결합 (total binding) 대조군으로는 10% DMSO 실험용액 25 ml 및 Eu-MCH 25 ml를 사용하였다. 실험 군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 25 ml 및 Eu-UⅡ 25 ml를 사용하였다. 각 시험 화합물, Eu-UⅡ 및 유로텐신-Ⅱ은 반응 시 전체부피의 25%씩을 차지하게 되므로 첨가 직전에는 4배의 농도로 준비하였다. 이후, 15초간 약하게 흔들어 주고 상온에서 9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자체 제작한 자동여과세척기(microplate filtration washer, EMBLA, Molecular Devices)에 압력을 걸어 플레이트를 여과 세척하였다. 세척 용액으로 웰당 300 ml씩 3회 여과시켜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Eu-UⅡ을 제거하였다. 바닥의 물기를 닦아내고 웰당 150 ml가 되게 해리용액(DELFIA Enhancement solution, PerkinElmer, Turku, Finland)을 첨가하여 주었다. 상온에서 15분 동안 약하게 흔들어 준 후 시차성 형광(Time-resolved fluorescence, TRF) 값을 다기능 형광측정기(multilabel counter, Victor2, PerkinElmer, Turku, Fin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방출파장:615 ㎚, 여기파장:340 ㎚),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시차성 형광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16050197317-pat00152
시차성 형광 억제율을 측정한 후, 50% 이상 억제된 시험물질에 한하여 IC50 값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IC50 (nM) 실시예 IC50 (nM)
1 59 2 57
3 130 4 180
5 310 6 82
7 140 8 44
9 20 10 72
11 39 12 82
13 240 14 84
15 77 16 170
17 84 18 110
19 520 20 30
21 89 22 36
23 170 24 44
25 20 26 41
27 41 28 34
29 37 30 31
31 45 32 120
33 380 34 330
35 89 36 55
37 180 38 220
39 73 40 95
41 70 42 62
43 94 44 30
45 33 46 37
47 60 48 86
49 60 50 10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 화합물이 나노몰 수준의 농도에서 유로텐신-Ⅱ 수용체에 대해 길항작용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0 가운데 실시예 1, 2, 6, 8-12, 14, 15, 17, 20-22, 24-31, 35, 36, 39-50 화합물들은 IC50값이 100 nM이하로 낮은 농도에서도 유로텐신-Ⅱ 수용체에 대해 길항작용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8, 9, 11, 20, 22, 24-31, 44-46 화합물들은 50 nM 이하의 매우 낮은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도 유로텐신-Ⅱ 수용체에 대하여 길항작용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유로텐신-Ⅱ 수용체에 대한 길항제로 작용함으로써 울혈성 심부전, 심장 허혈, 심근경색, 심장 비대증 및 섬유증, 관상동맥 질환, 동맥경화증, 고혈압, 천식, 신부전, 당뇨병, 혈관염증, 신경퇴행성 질환, 뇌졸중, 통증, 정신병, 암 등과 같은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0 ㎎
만니톨 180 ㎎
Na2HPO4ㆍ2H2O 26 ㎎
증류수 2974 ㎎
통상적인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제시된 함량으로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건강식품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500n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mg
비타민 E 1.0mg
비타민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mg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mg
니코틴산아미드 1.7mg
엽산 50mg
판토텐산 칼슘 0.5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슘 55mg
구연산칼륨 90mg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음료의 제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500ng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g
매실농축액 2g
타우린 1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ml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17006052016-pat0016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나이트릴,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5알킬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5알콕시이고;
    R3는 -H, 비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5알킬, 벤질,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SO2R6이고, 상기 치환된 페닐은 할로겐, 나이트로,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5알킬 및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5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하나 이상 치환될 수 있고, R6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5알킬 또는 비치환된 페닐이고;
    R4는 할로겐이고;
    R5는 -H, 직쇄 또는 측쇄의 C1-5알킬 또는 t-부틸옥시카보닐(Boc)이고; 및
    n은 1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 나이트릴, 비치환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3알킬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3알콕시이고;
    R3는 -H, 비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3알킬, 벤질,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SO2R6이고, 상기 치환된 페닐은 할로겐, 나이트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하나 이상 치환될 수 있고, R6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비치환된 페닐이고;
    R4는 클로로 또는 브로모이고;
    R5는 -H, 직쇄 또는 측쇄의 C1-3알킬 또는 t-부틸옥시카보닐(Boc)이고; 및
    n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나이트릴,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메톡시이고;
    R3는 -H, 메틸, 에틸, 벤질,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SO2Ph 또는 -SO2Me이고, 상기 치환된 페닐은 나이트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이소프로필, t-부틸, 메톡시,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하나 이상 치환될 수 있고;
    R4는 브로모이고;
    R5는 -H 또는 t-부틸옥시카보닐(Boc)이고; 및
    n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5-클로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5-브로모-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5)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4-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6)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6-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7)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4,6-다이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8)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5-플루오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9)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5-다이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0)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5,6-다이플루오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1)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5-시아노-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2)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7-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3)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5-메톡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4)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6-다이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5)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6-플루오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6)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6-(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7)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7-다이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8)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7-플루오로-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19)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5-(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0)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7-(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1)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에틸-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2)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페닐설포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3)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메틸설포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4)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벤질-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5) N-(1-(3-브로모-4-(피페리딘-4-닐옥시)벤질)피페리딘-4-닐)-1-페닐-1H-인돌-2-카복시아미드;
    (26) N-(1-(3-브로모-4-(피페리딘-4-닐옥시)벤질)피페리딘-4-닐)-5-플루오로-1-(페닐설포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7) N-(1-(3-브로모-4-(피페리딘-4-닐옥시)벤질)피페리딘-4-닐)-5-플루오로-1-벤질--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28)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메틸페닐)-1H-인돌-2-카복사마이드;
    (29)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0)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메틸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1)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2)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아이소프로필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3)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t-부틸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4)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5)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클로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6)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플루오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7)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8)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4-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39)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4-다이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0)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4-다이클로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1)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4-다이플루오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2)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클로로-4-플루오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3)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플루오로-4-메톡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4)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브로모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5)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3-클로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6)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2-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7)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2-클로로-4-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8)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2,4-다이나이트로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49)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2-나이트로-5-브로모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50) N-(1-(3-브로모-4-(피페리딘-4-일옥시)벤질)피페리딘-4-일)-1-(2-나이트로-4-브로모페닐)-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및
    (51) tert-부틸 4-(4-((4-(1H-인돌-2-카복스아미도)피페리딘-1-일)메틸)-2-브로모페녹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5.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비스 (2-옥소-3-옥사졸리디닐)포스피닉 클로라이드 (BOP-Cl),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다이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OP), 및 다이페닐포스포닐아자이드(diphenylphosphonylazide, DPP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유기포스포러스계 시약; 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DCC), 다이아이소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DIC) 및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EDC)로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카보다이이미드계 시약; N,N-카보닐다이이미다졸(N,N-carbonyldiimidazole); 및 O-벤조트리아졸-N,N,N',N'-테트라메틸-우로니늄-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TU)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축합제 존재하에 축합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17006052016-pat00163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R3, R4, R5 및 n은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6.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2]
    Figure 112017006052016-pat00164

    (상기 반응식 2에서,
    R1, R2, R3, R4 및 n은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5는 t-부틸옥시카보닐(Boc)이고;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5가 t-부틸옥시카보닐(Boc)인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도체이고; 및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5가 -H인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도체이다).
  7.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성 심부전, 심장 허혈, 심근경색, 심장 비대증, 심장 섬유증, 관상동맥 질환, 동맥경화증, 고혈압, 천식, 신부전, 당뇨병, 혈관염증, 신경퇴행성 질환, 뇌졸중, 통증, 정신병 및 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성 심부전, 심장 허혈, 심근경색, 심장 비대증, 심장 섬유증, 관상동맥 질환, 동맥경화증, 고혈압, 천식, 신부전, 당뇨병, 혈관염증, 신경퇴행성 질환, 뇌졸중, 통증, 정신병 및 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삭제
KR1020160063965A 2016-05-25 2016-05-25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25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965A KR101725451B1 (ko) 2016-05-25 2016-05-25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965A KR101725451B1 (ko) 2016-05-25 2016-05-25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451B1 true KR101725451B1 (ko) 2017-04-13

Family

ID=5857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965A KR101725451B1 (ko) 2016-05-25 2016-05-25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4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868A (ko) * 2018-11-13 2020-05-22 한국화학연구원 4-옥소-4h-크로멘-2-카복시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55867A (ko) * 2018-11-13 2020-05-22 한국화학연구원 쿠마린-3-카복시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7248A (ko) * 2001-11-22 2010-03-10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인자 xa 억제제로서의 인돌-2-카복스아미드
JP2012107001A (ja) * 2010-10-22 2012-06-07 Shionogi & Co Ltd インドールアミド化合物を含有する医薬
WO2012125662A1 (en) * 2011-03-17 2012-09-20 Merck Sharp & Dohme Corp. Indole derivatives useful as ccr2 antagonists
WO2015070091A1 (en) * 2013-11-07 2015-05-14 The University Of Kansas Biphenylamide derivative hsp90 inhibit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7248A (ko) * 2001-11-22 2010-03-10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인자 xa 억제제로서의 인돌-2-카복스아미드
JP2012107001A (ja) * 2010-10-22 2012-06-07 Shionogi & Co Ltd インドールアミド化合物を含有する医薬
WO2012125662A1 (en) * 2011-03-17 2012-09-20 Merck Sharp & Dohme Corp. Indole derivatives useful as ccr2 antagonists
WO2015070091A1 (en) * 2013-11-07 2015-05-14 The University Of Kansas Biphenylamide derivative hsp90 inhibitors

Non-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mes et al., Nature 1999, 401, 282
Elshourbagy et al., Br. J. Pharmacol. 2002, 36, 9
Lim et al., Circulation 2004, 109, 1212
Matsumoto et al., Neurosci. Lett., 2004, 358, 99
Onan et al., Trends Endocrinol. Metab. 2004, 15, 175
Proulx et al., Peptides 2008, 29, 691
Takahashi et al., Peptides, 2003, 24, 301
Totsune et al., Clin. Sci. 2003, 104, 1
Totsune et al., Lanceet 2001, 358, 810
Zou et al., FEBS Letters 2001, 508, 57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868A (ko) * 2018-11-13 2020-05-22 한국화학연구원 4-옥소-4h-크로멘-2-카복시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55867A (ko) * 2018-11-13 2020-05-22 한국화학연구원 쿠마린-3-카복시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66428B1 (ko) 2018-11-13 2020-10-16 한국화학연구원 4-옥소-4h-크로멘-2-카복시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74395B1 (ko) 2018-11-13 2020-11-05 한국화학연구원 쿠마린-3-카복시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9036B2 (ja) アリールアルキルアミン化合物及びその製法
JP2018118979A (ja) セリンプロテアーゼ阻害剤としての多置換芳香族化合物
JP4973191B2 (ja) 含窒素複素環化合物およびその医薬用途
HU229551B1 (hu) Mikroszóma triglicerid transzfer protein (MTP) és/vagy apolipoprotein B(APO B) kiválasztás inhibitorokként alkalmazható triamiddal helyettesített indol-, benzofurán- és benzotiofén-származékok
NO332370B1 (no) Heterocykliske aromatiske forbindelser, farmasoytisk preparat inneholdende slike samt anvendelse av slike for fremstilling av farmasoytisk preparat forbehandling av sykdom
WO2004031118A1 (ja) Lpa受容体拮抗剤
TW200815365A (en) Heterocyclic aspartyl protease inhibitors
JPWO2004096806A1 (ja) 縮合イミダゾール誘導体
TW200806610A (en)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orders and microbial diseases
KR20040044856A (ko) 인돌 유도체 화합물
CA2917965C (fr) Nouveaux derives d&#39;indole et de pyrrol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JP2011511018A (ja) Par1阻害剤としてのsf5誘導体、その製造、及び薬剤としての使用
EA016370B1 (ru) Пиразолиновые соединения в качестве антагонистов минералокортикоидных рецепторов
AU2008320718B2 (en) Indol-2-one derivatives disubstituted in the 3-position, preparation thereof and therapeutic use thereof
KR101571522B1 (ko) N-(피페리딘-4-일)벤조[b]싸이오펜카복시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H0826037B2 (ja) 生理活性物質k−252の誘導体
EA019454B1 (ru) Замещенные пиразолы, композиции их содержащие,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KR101725451B1 (ko) N-(피페리딘-4-일)-1h-인돌-2-카복스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R2927625A1 (fr) Nouveaux derives de 3-aminoalkyl-1,3-dihydro-2h-indol-2-one,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JPS5824581A (ja) 2―オキソピリド―3―イル又はピペリジン―3―イルインドールの新誘導体及びそれらの塩、これらの製造法並びにそれらを含有する薬剤組成物
KR102174395B1 (ko) 쿠마린-3-카복시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02074743A1 (fr) Compose alicyclique a substitution aryle et composition medicale contenant ce compose
KR101597205B1 (ko) 벤조옥사졸론 또는 벤조싸이아졸론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로텐신-ⅱ 수용체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WO2020071550A1 (ja) Cdk8阻害剤およびその用途
RU2542980C2 (ru) Замещенные производные 3-бензофуранил-индол-2-он-3-ацетамидопиперазинов, их получение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терап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