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410B1 -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410B1
KR101725410B1 KR1020150179593A KR20150179593A KR101725410B1 KR 101725410 B1 KR101725410 B1 KR 101725410B1 KR 1020150179593 A KR1020150179593 A KR 1020150179593A KR 20150179593 A KR20150179593 A KR 20150179593A KR 101725410 B1 KR101725410 B1 KR 101725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brake drum
clutch drum
clutch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선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7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7Ratchet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60N2/4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레버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클러치드럼; 클러치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출력축으로 동력을 인출하는 브레이크드럼; 클러치드럼과 브레이크드럼이 조립된 상태로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브레이크드럼의 클러치드럼 반대측 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원형의 플랜지 형상이며 그 둘레가 하우징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접촉 및 슬라이딩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PUMP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쿠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실내 앞쪽과 뒤쪽으로 설치된 운전석, 보조석 그리고 동승석 좌석의자인 시트(Seat)는 탑승객의 편안함을 위해,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편의장치로서, 탑승객의 체형에 따라 앞뒤로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과 더불어 시트의 등받이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등이 구비된다. 이에 더해, 근래에 출시되거나 설정 기준 이상의 차량에 대해서 핸들 레버로부터 입력을 받아 시트쿠션의 높낮이를 조절해 탑승객에게 맞추도록 시트쿠션의 승강 기능을 하는 펌핑디바이스도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펌핑디바이스는 크게 레버부(lever unit), 클러치부(Clutch Unit) 및 브레이크부(Brake Unit)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부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아 상기 클러치부에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부는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력(회전력)을 시트쿠선의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브레이크부는 역 입력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동작 완료된 링크수단을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브레이크부에는 브레이크드럼이 포함되는데, 도 1은 종래의 브레이크드럼(10)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브레이크드럼(10)이 동심방사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돌기(12)와 지지돌기(12)와 지지돌기(12) 사이에 마련되는 걸림턱(13) 및 제1기어치(15)가 형성된 관통홀(14)로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드럼(10)은 후방측에서 결합되는 하우징커버와 직접 접촉하여 회전하게 되나, 지지돌기(12)의 후면이 비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접촉되는 면적이 작아 회전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294382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브레이크드럼과 결합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커버의 접촉면을 증대시켜 브레이크드럼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는 레버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클러치드럼; 클러치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출력축으로 동력을 인출하는 브레이크드럼; 클러치드럼과 브레이크드럼이 조립된 상태로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브레이크드럼의 클러치드럼 반대측 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원형의 플랜지 형상이며 그 둘레가 하우징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접촉 및 슬라이딩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한다.
회전지지부는 원판 형상이며, 브레이크드럼 및 출력축과 동심일 수 있다.
클러치드럼에는 복수의 가압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브레이크드럼에는 가압돌기에 가압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회전지지부는 지지돌기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된 원형일 수 있다.
브레이크드럼의 지지돌기와 회전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되, 지지돌기의 클러치드럼 반대측 단부는 회전지지부의 클러치드럼측 일면에 닿아 연결될 수 있다.
클러치드럼의 가압돌기 단부는 회전지지부의 클러치드럼측 일면에 지지될 수 있다.
클러치드럼의 회전시 클러치드럼의 가압돌기 단부는 회전지지부의 클러치드럼측 일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립될 수 있다.
브레이크드럼의 클러치드럼 반대측 면에 회전지지부가 형성되고, 회전지지부에는 출력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지지부는 판상의 도넛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수용공간에는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를 통해 클러치드럼과 브레이크드럼이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며, 브레이크드럼의 회전지지부는 개구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커버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브레이크드럼의 회전지지부는 수용공간에서 커버 내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의 외경은 하우징 수용공간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에 따르면 브레이크드럼과 하우징커버가 접촉되는 면에 추가로 회전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브레이크드럼의 종래대비 보다 원활하고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부와 브레이크부의 구성을 조합하여 최적의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원가가 절감되며 연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의 브레이크드럼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의 브레이크드럼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클러치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 5는 도 3의 브레이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의 브레이크드럼(1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클러치부(10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3의 브레이크부(20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매뉴얼(Manual) 펌핑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는 레버(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클러치드럼(200); 클러치드럼(2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출력축(600)으로 동력을 인출하는 브레이크드럼(100); 클러치드럼(200)과 브레이크드럼(100)이 조립된 상태로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500); 및 브레이크드럼(100)의 클러치드럼(200) 반대측 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원형의 플랜지 형상이며 그 둘레가 하우징(500)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접촉 및 슬라이딩되는 회전지지부(110);를 포함한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는 크게는 클러치부(1000)와 브레이크부(2000)로 나눌 수 있다. 클러치부(1000)의 전방측에는 레버(미도시)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아 샤프트(미도시)를 통해 클러치부(1000)에 전달하고, 클러치부(1000)는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력을 브레이크부(2000)의 출력축(600)을 통해 시트 내부의 링크수단(미도시)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며, 브레이크부(2000)는 출력축(600)을 통해 역입력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동작이 완료된 링크수단(미도시)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클러치부(1000)는 제2탄성부재(400)에서부터 클러치드럼(200)까지로 구성되고, 브레이크부(2000)는 제1탄성부재(900)에서부터 출력축(600)까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브레이크부(2000)의 브레이크드럼(100)에 관한 것으로서, 브레이크드럼(100)은 클러치드럼(200)과 조립된 상태로 하우징(500)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후 커버(700)와 결합되어 하우징(500)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브레이크드럼(100)의 중심측에는 내주면에는 제1기어치(150)가 형성된 삽입홀(140)이 형성되고, 삽입홀(140)에는 브레이크드럼(100)의 후방측에서 출력축(600)이 관통결합된다. 출력축(600)은 플랜지(630)를 중심으로 전방측에는 제1기어치(150)와 치합되는 제2기어치(610)가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링크수단의 랙 혹은 섹터기어 등과 치합되는 피니언기어(620)가 형성된다. 또한, 최후방측에는 중심측에 관통홀(710)이 형성된 커버(700)가 출력축(600)에 관통결합되어 브레이크드럼(100)을 커버한다.
브레이크드럼(100)에는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지지돌기(120)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되, 지지돌기(120)는 삽입홀(140)을 중심으로 동심방사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돌기(120)는 반경방향의 넥부와 원주방향의 헤드부로 구성된다. 지지돌기(120)와 지지돌기(120)의 사이에는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걸림턱(130)이 형성된다. 도 4 내지 5에서 볼 수 있듯이, 브레이크드럼(100)의 지지돌기(120)에는 양측으로 사각기둥 형상의 제1탄성부재(900)가 결합되고, 제1탄성부재(900)의 외측에는 원기둥형상의 브레이크롤러(800)가 각각 결합된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드럼(100)에 형성되는 회전지지부(110)는 브레이크드럼(100)의 클러치드럼(200) 반대측 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원형의 플랜지 형상이며, 그 둘레가 하우징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접촉 및 슬라이딩된다. 회전지지부(110)는 원판 형상이며, 브레이크드럼(100) 및 출력축(600)과 동심을 이룬다. 따라서, 회전지지부(110)의 외경은 하우징 수용공간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하우징(500) 내에서 브레이크드럼(100)의 회전시 종래의 브레이크드럼의 경우에는 지지돌기의 외주면이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촉되므로, 하우징과 접촉돌기가 비연속적으로 접촉되어 불안정하게 지지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브레이크드럼(100)은 회전지지부(110)의 외주면이 하우징(50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브레이크드럼(100)의 회전시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클러치드럼(200)에는 복수의 가압돌기(210)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브레이크드럼(100)에는 가압돌기(210)에 가압되는 복수의 지지돌기(120)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클러치드럼(200)의 가압돌기(210)는 브레이크드럼(100)측으로 절곡형성되고, 클러치드럼(200)이 브레이크드럼(100)의 전방측에서 결합된다. 클러치드럼(200)의 가압돌기(210)와 브레이크드럼(100)의 지지돌기(120)는 교번하도록 클러치드럼(200)과 브레이크드럼(100)이 결합되고, 가압돌기(210)는 걸림턱(130)의 상측에 맞닿도록 결합되어 클러치드럼(200)의 회전시 양측의 브레이크롤러(800)를 가압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때, 브레이크드럼(100)의 회전지지부(110)는 지지돌기(120)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된 원형으로써, 지지돌기(120)와 회전지지부(110)가 일체로 형성되되, 지지돌기(120)의 클러치드럼(200) 반대측 단부는 회전지지부(110)의 클러치드럼(200)측 일면에 닿아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클러치드럼(200)의 가압돌기(210)는 브레이크드럼(100)과 결합시 가압돌기(210)의 단부가 회전지지부(110)의 클러치드럼(200)측 일면에 지지됨으로써, 클러치드럼(200)의 회전시 클러치드럼(200)의 가압돌기(210) 단부는 회전지지부(110)의 클러치드럼(200)측 일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립되게 된다. 그러므로, 클러치드럼(200)이 종래 대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또한, 레버의 조작으로 인한 과도한 힘이 샤프트의 축방향을 통해 전달되더라도 클러치드럼(200)이 브레이크드럼(100)측으로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회전지지부(110)는 브레이크드럼(100)의 클러치드럼(200) 반대측 면에 형성되고, 회전지지부(110)에는 출력축(600)이 삽입되는 삽입홀(140)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지지부(110)는 판상의 도넛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회전지지부(110)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되, 중심측에는 중공이 형성된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브레이크드럼(100)의 회전시 하우징(500)과 접촉되는 면적이 증대되어 종래 대비 보다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500)의 수용공간에는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를 통해 클러치드럼(200)과 브레이크드럼(100)이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며, 브레이크드럼(100)의 회전지지부(110)는 개구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하우징(500)의 개구부에는 커버(700)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브레이크드럼(100)의 회전지지부(110)는 수용공간에서 커버(500) 내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또한, 클러치드럼(200)의 안착면(220)에는 인풋캠(300)이 전방측에서 결합되되, 인풋캠(300)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압턱(330)이 형성되고, 가압턱(330)의 양측면에는 클러치롤러(310)가 마련되어 인풋캠(300)의 회전력이 클러치드럼(200)에 전달되게 된다. 가압턱(330)과 가압턱(330)의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400)가 마련되되 압축된 상태로 조립되어 지속적으로 클러치롤러(310)를 가압턱(330)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인풋캠(200)의 전에는 중심측에 관통홀(520)이 형성되고, 관통홀(520)의 외측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복수의 플랜지(510)가 형성된 하우징(500)이 결합된다. 하우징(500)의 전방측에는 레버부와 결합되는 레버브라켓(530)이 마련된다. 레버브라켓(530)은 레버의 상하조작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고 이를 클러치부(10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클러치부(10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3의 브레이크부(20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3과 도 4는 락킹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펌핑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작동하기 전에는 락킹된 상태로 유지된다. 락킹상태에서 시트쿠션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사용자가 레버를 가압하여 레버에 동작이 입력되면, 락킹이 해제되고, 락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시트쿠션의 높낮이가 조절된 후 레버에 가한 압력이 제거되면 다시 도 3 내지 도 4의 락킹상태가 되어 유지되는 것이다.
먼저, 도 3을 통해 클러치부(1000)측에서 본 동작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레버가 가압되어 동작이 입력되면, 샤프트의 힌지축(350)을 중심으로 인풋캠(300)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인풋캠(300)의 가압턱(330)이 클러치롤러(310a)를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하여 클러치롤러(310a)는 인풋캠(300)과 클러치드럼(200) 사이에서 끼이게 되어 인풋캠(300)과 클러치드럼(200)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클러치롤러(310a)와 클러치롤러(310b)의 사이에 마련된 제2탄성부재(400)는 클러치롤러(310a)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클러치롤러(310b)를 가압하여 클러치롤러(310b)가 하우징(500)의 플랜지(510)에 걸려서 더 이상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때, 압력이 제거되면, 압축되었던 제2탄성부재(400)가 원상복귀되면서 인풋캠(300)의 가압턱(330)에 의해 이동되었던 클러치롤러(310a)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인풋캠(300) 역시 초기위치로 이동되되며,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서 시트쿠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동작은 반대방향으로도 성립한다.
도 4는 도 3의 클러치부(1000)의 동작에 따라 브레이크부(200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에서 클러치드럼(200)이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므로, 클러치드럼(200)의 가압돌기(210a)도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가압돌기(210a)가 브레이크롤러(800a)와 접촉되어 있다가, 가압돌기(210a)가 브레이크롤러(800a)를 가압함으로써, 브레이크롤러(800a)에 의해 브레이크드럼(100)이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레버로부터 입력된 압력이 클러치부(1000)를 통해 브레이크부(2000)로 전달되어 출력축(600)을 통해 링크수단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화살표 B의 반대방향으로도 성립한다. 그러나, 만약, 링크수단측에서 출력축(600)을 통해 정상적인 동력의 흐름과 반대로 외부의 회전력이 펌핑디바이스의 내부로 입력된다면, 브레이크롤러(800b)가 브레이크드럼(100)의 걸림턱(130)과 가압돌기(210b) 사이에 끼이게되어 브레이크드럼(10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펌핑디바이스의 동작 안정성이 확보되는 강건한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는 브레이크드럼과 하우징커버가 접촉되는 면에 추가로 회전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브레이크드럼의 종래대비 보다 원활하고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부와 브레이크부의 구성을 조합하여 최적의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고, 원가가 절감되며 연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브레이크드럼 110 : 회전지지부
120 : 지지돌기 130 : 걸림턱
140 : 삽입홀 150 : 제1기어치
200 : 클러치드럼 210 : 가압돌기
220 : 안착면 230 : 관통홀
300 : 인풋캠 310 : 클러치롤러
320 : 가이드돌기 330 : 가압턱
340 : 관통홀 350 : 힌지축
400 : 제2탄성부재 500 : 하우징
510 : 플랜지 520 : 관통홀
530 : 레버브라켓 540 : 가이드홀
600 : 출력축 610 : 제2기어치
620 : 피니언기어 630 : 플랜지
700 : 커버 710 : 관통홀
800 : 브레이크롤러 900 : 제1탄성부재
1000 : 클러치부 2000 : 브레이크부

Claims (10)

  1. 레버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클러치드럼;
    클러치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출력축으로 동력을 인출하는 브레이크드럼;
    클러치드럼과 브레이크드럼이 조립된 상태로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브레이크드럼의 클러치드럼 반대측 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원형의 플랜지 형상이며 그 둘레가 하우징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접촉 및 슬라이딩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고;
    클러치드럼에는 복수의 가압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브레이크드럼에는 가압돌기에 가압되는 복수의 지지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회전지지부는 지지돌기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지지부는 원판 형상이며, 브레이크드럼 및 출력축과 동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레이크드럼의 지지돌기와 회전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되, 지지돌기의 클러치드럼 반대측 단부는 회전지지부의 클러치드럼측 일면에 닿아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러치드럼의 가압돌기 단부는 회전지지부의 클러치드럼측 일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러치드럼의 회전시 클러치드럼의 가압돌기 단부는 회전지지부의 클러치드럼측 일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레이크드럼의 클러치드럼 반대측 면에 회전지지부가 형성되고, 회전지지부에는 출력축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지지부는 판상의 도넛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의 수용공간에는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를 통해 클러치드럼과 브레이크드럼이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며, 브레이크드럼의 회전지지부는 개구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커버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브레이크드럼의 회전지지부는 수용공간에서 커버 내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지지부의 외경은 하우징 수용공간의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20150179593A 2015-12-15 2015-12-15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725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593A KR101725410B1 (ko) 2015-12-15 2015-12-15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593A KR101725410B1 (ko) 2015-12-15 2015-12-15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410B1 true KR101725410B1 (ko) 2017-04-12

Family

ID=5858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593A KR101725410B1 (ko) 2015-12-15 2015-12-15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4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535B1 (ko) 2017-12-26 2019-02-13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용 시트 펌핑 장치
KR20220031406A (ko) 2020-09-04 2022-03-1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8426A (ja) * 2003-05-13 2004-12-02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ハイト調整装置
KR20120084593A (ko) * 2011-01-20 2012-07-30 주식회사다스 시트용 펌핑 디바이스의 백 드라이브 방지장치
KR20130024640A (ko) * 2011-08-31 2013-03-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 펌핑디바이스
KR101294382B1 (ko) 2012-06-28 2013-08-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20140069600A (ko) * 2012-11-29 2014-06-10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20150114054A (ko) * 2014-03-31 2015-10-1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8426A (ja) * 2003-05-13 2004-12-02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ハイト調整装置
KR20120084593A (ko) * 2011-01-20 2012-07-30 주식회사다스 시트용 펌핑 디바이스의 백 드라이브 방지장치
KR20130024640A (ko) * 2011-08-31 2013-03-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 펌핑디바이스
KR101294382B1 (ko) 2012-06-28 2013-08-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20140069600A (ko) * 2012-11-29 2014-06-10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20150114054A (ko) * 2014-03-31 2015-10-1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535B1 (ko) 2017-12-26 2019-02-13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용 시트 펌핑 장치
DE102018219687A1 (de) 2017-12-26 2019-06-27 Hyundai Dymos Incorporated Sitzpumpvorrichtung für fahrzeug
US10703229B2 (en) 2017-12-26 2020-07-07 Hyundai Dymos Incorporated Seat pumping device for vehicle
DE102018219687B4 (de) 2017-12-26 2024-04-25 Hyundai Dymos Incorporated Sitzpump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KR20220031406A (ko) 2020-09-04 2022-03-1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849B1 (ko) 감소된 백래쉬를 갖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KR10156962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JP6109613B2 (ja) ブレーキ装置
JP5537661B2 (ja) 車両シート用取付具
JP2000232920A (ja)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機構
KR102126459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GB2441871A (en) Tilt adjustment mechanism, having a locking assembly, for a vehicle seat
KR101184190B1 (ko) 밀림 방지형 리클라이너
KR20150008063A (ko) 신속 조절식 연속 결합 리클라이너
KR960006838A (ko) 개량된 회전식 리클라이너
KR20140058605A (ko) 연속적으로 맞물린 리클라이너의 신속 조정
KR10149188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2150712B1 (ko) 자동차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725410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JP6163074B2 (ja) ブレーキ装置
KR20140016064A (ko) 시트 높이 조절용 펌핑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KR101775371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KR101058472B1 (ko) 차량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0785624B1 (ko) 시트의 사이클로이드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KR101565574B1 (ko) 시트용 높이 조절장치
JP4816474B2 (ja) クラッチ装置
KR101970139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WO2011102048A1 (ja) 車両用駆動装置及びシート
KR101947535B1 (ko) 차량용 시트 펌핑 장치
CN108372813B (zh) 多角度调节的座椅扶手及汽车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