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910B1 -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 Google Patents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910B1
KR101724910B1 KR1020150135234A KR20150135234A KR101724910B1 KR 101724910 B1 KR101724910 B1 KR 101724910B1 KR 1020150135234 A KR1020150135234 A KR 1020150135234A KR 20150135234 A KR20150135234 A KR 20150135234A KR 101724910 B1 KR101724910 B1 KR 101724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urrent collector
current
current collect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275A (ko
Inventor
고행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5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910B1/ko
Priority to US15/201,169 priority patent/US10122032B2/en
Priority to JP2016134463A priority patent/JP6833367B2/ja
Priority to EP16180130.3A priority patent/EP3147986B1/en
Priority to CN201610575857.5A priority patent/CN106558710B/zh
Publication of KR2017003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25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during start-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starting of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01M8/0256Vias, i.e. connectors passing through the separato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52Storage of heat in the fuel cell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53Means for solving freezing probl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68Heating of fuel cells during the start-up of the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8Means for compression of the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9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comprising two or more groupings of fuel cells, e.g. modular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의 영하 시동 및 저온 운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택의 엔드 플레이트 인근에 배치된 셀들을 수동적으로 승온시키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으로, 온도 변화에 따라 구조적으로 민감하게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박판형 집전판을 갖는 다층 구조의 집전체를 구성하여 영하 시동시 발생하는 엔드 셀 빙결에 대응가능한 급속 해빙 및 히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연료전지 스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Fuel cell stack having multi-layer type current collector plate}
본 발명은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차량의 영하 시동 및 저온 운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택의 엔드 플레이트 인근에 배치된 셀들을 수동적으로 승온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스택은 전기 발생을 위한 복수 개의 단위 셀과 적층된 단위 셀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단위 셀들을 고정되게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 및 엔드 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단위 셀들이 발생한 전기를 모아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집전판(current collector plate)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도 6에는 연료전지 스택의 운전시 셀의 온도 프로파일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보이듯, 스택의 중앙에 배치된 셀은 온도가 가장 높고 스택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엔드 플레이트에 근접한 셀들(이하, '엔드 셀'과 혼용함)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 스택 운전시 각 셀들의 발열 반응에 의해 온도가 일정 수준으로 상승하나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엔드 플레이트는 외기(혹은 대기)의 영향으로 스택 중앙부보다 열손실이 커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지고, 생성수 잔존 및 이로 인한 엔드 셀 전압의 저하가 일어난다.
이때 엔드 셀의 온도가 스택의 운전 온도보다 낮아지는 경우, 셀의 플러딩(flooding), 활성에너지 저하 등의 원인으로 셀 전압 강하가 일어난다. 이는 스택의 성능 저하로 이어지며, 장기 지속시 전극 손상에 의한 셀 열화가 발생되어 스택의 수명 단축으로 이어진다.
연료전지 차량의 경우 특정 셀의 전압강하가 클 때 일반적으로 셧 다운(Shut down) 로직을 적용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운전시 갑작스러운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특히, 겨울철과 같이 생성수가 얼 수 있는 영하의 시동 조건이나 저온 동작 조건에서 엔드 셀의 온도를 스택 내의 전체 셀과 동등하게 하여, 균일한 셀 온도 분포 확보를 통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엔드 플레이트와 엔드 셀 사이 구간의 온도를 상승시켜 엔드 플레이트 주변에 셀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종래 기술들이 제시된바 있다.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제10-1219342호에는 스택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순화시키는 구조를 엔드 플레이트에 형성함으로써 스택의 끝단 측에 배치된 셀의 온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 미국등록특허 8,535,842에는 스택의 냉시동시 해빙을 위한 히팅 수단으로 터미널 플레이트 내의 격실에서 수소/공기 혼합기를 연소시켜 가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10-1219342의 경우 저온의 영하 시동 시에 셀 승온을 위해 냉각수 순환을 하지 않게 되면 실질적인 엔드 셀의 히팅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고, 미국등록특허 8,535,842의 경우 냉시동시 엔드 셀의 빙결 해소를 위해 터미널 플레이트 내 격실에서 수소를 연소시키므로 수소 이용율 및 차량 연비에 불리하고 고전위가 형성되는 터미널 플레이트 내 격실의 잔류 수소 제거 등의 안전 관리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온도 변화에 따라 구조적으로 민감하게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박판형 집전판을 갖는 다층 구조의 집전체를 이용하여, 영하 시동시 발생하는 엔드 셀(스택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엔드 플레이트에 근접한 셀들) 빙결에 대응가능한 급속 해빙 및 히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연료전지 스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일렬로 적층된 스택 셀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스택 셀들을 고정되게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 및 엔드 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스택 셀들이 발생한 전기를 모아 외부로 내보내는 집전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으로서, 상기 스택 셀들의 양측에 배치되는 집전체 중 적어도 하나의 집전체가 집전단자를 갖는 제1집전판과 상기 제1집전판의 일면에 적층된 제2집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영하의 저온에서 스택 셀들의 열적 수축으로 인해 상기 제1집전판과 제2집전판 사이에 단열 기능을 할 수 있는 간극이 발생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단자관통홀과 이 단자관통홀을 관통하는 제1집전판의 집전단자 사이에는, 상기 집전단자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삽입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자관통홀과 집전단자에는 각각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관통홀에 집전단자가 삽입될 때 서로 대면하게 되는 집전단자의 단차부와 단자관통홀의 단차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수납된다.
또한 상기 제1집전판은 제2집전판과 마주하는 일면에 요철 구조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집전판은 제2집전판에 비해 작은 두께를 가지는 박판형 집전판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전판이 스택 셀에 접합되도록 적층되고, 상기 제1집전판의 집전단자가 제2집전판의 통과홀과 엔드 플레이트의 단자관통홀에 통과하도록 삽입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집전판은 0.05 ~ 0.2 mm의 두께를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집전판과 제2집전판은 영하 20 ~ 30 ℃의 저온에서 상기 간극을 발생하고 정해진 영상의 온도 범위 이내로 승온되었을 때 스택의 체결압력에 의해 최소의 접촉저항을 형성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집전판과 제2집전판은 영상 40 ~ 70 ℃ 정도로 승온되었을 때 스택의 체결압력에 의해 최소의 접촉저항을 형성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전단자는, 제1집전판에 일체형이 되도록 접합되거나, 체결수단에 의해 제1집전판에 일체형이 되도록 조립되거나,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1집전판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층 구조로 형성된 집전체가 엔드 플레이트와 엔드 셀(스택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엔드 플레이트에 근접한 셀들) 사이에 내재되어 연료전지 차량의 영하 시동 및 저온 운전 시 스택의 엔드 셀 승온 속도를 향상하여 스택 시동 속도 및 운전성을 개선하고 저온 상태의 엔드 셀에 의한 셀 전압 저하를 완화하며 영하 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스택 셀들의 열적 팽창 또는 수축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판형 집전판을 갖는 다층 구조의 집전체를 채택함에 의해, 영하의 저온 시동시 스택 셀들의 열적 수축으로 인해 셀 적층방향으로 적층된 제1집전판과 제2집전판 사이에 단열 기능을 할 수 있는 간극이 발생하게 되고, 영하 시동 및 저온 운전 시 스택 셀에서 발생하는 전류가 통전됨에 의해 발생하는 집전체의 저항열과 엔드 셀의 발전폐열이 상기 간극에 의해 단열됨에 의해 엔드 셀을 신속하게 승온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을 나타낸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엔드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작동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종래 연료전지 스택의 운전시 셀의 온도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
통상 연료전지 차량의 경우 영하 20℃ 이하의 냉시동시 요소부품의 냉각에 의한 열적 수축으로 인하여 체결 면압과 적층방향의 길이가 감소하는데, 이때 집전판과 엔드 셀(스택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엔드 플레이트에 근접한 셀들) 간에 체결하중 감소와 이로 인한 접촉저항 증가를 고려하여 영하 시동시 스택의 엔드 셀을 승온시키기 위한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단층형 집전판 대신 적어도 하나의 박판형 집전판을 갖는 다층 구조의 집전체가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박판형의 집전판과 그 후면에 배치되어 적층되는 후판형 집전판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집전체를 형성하여, 영하의 저온에서 상기 집전판들 사이의 간극, 즉 일종의 에어포켓(air pocket)과 같은 단열체로서 이용 가능한 층간 갭(gap)이 발생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영하 20~30℃ 수준의 저온에서 상기 층간 갭이 발생하도록 하고, 영상 40~70℃ 정도로 승온되었을 때 스택의 체결압력에 의해 최소 접촉저항이 형성되도록 하면 별도의 발열량이나 온도 모니터링이 필요 없는 바이메탈 기구와 같이 스택의 엔드 셀을 히팅 가능하다.
이렇게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집전판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의 집전체를 구성하여 영하 시동시 주로 박판형의 집전판에 통전되게 하는데, 영하 시동시 스택 셀에서 발생되는 고전위 기전력과 대면적 반응에 의한 발전 전류를 박판형의 집전판에 통전시키면 대전류 통전에 의한 줄 발열(Joule heating)이 발생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을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에서 본 단면도이다.
여기서, 엔드 셀은 스택(100)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엔드 플레이트(120)에 근접한셀들을 가리키는 것임을 한번 더 밝혀둔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100)은 중앙에 전기 발생을 위한 복수 개의 스택 셀(110)이 일렬로 적층 배열되고, 좌우 양측에 스택 셀(110)들을 고정되게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120)가 배치 구성되며, 각 엔드 플레이트(120)의 내측에는 스택 셀(110)들이 발생한 전기를 모아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집전체(130)가 배치 구성된다.
상기 스택 셀(110)들의 적층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집전체(130) 중 적어도 하나의 집전체는, 엔드 플레이트(120)의 두께를 고려한 일정 높이의 집전단자(133)를 갖는 박판형의 제1집전판(132)과 상기 제1집전판(132)의 일면(엔드 플레이트를 대면하는 일면)에 적층된 제2집전판(13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집전단자(133)에는 탄성부재(136)를 작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단차부(133a)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3은 제1집전판(132)과 제2집전판(134)의 2개의 집전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이중층 구조의 집전체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집전판(132)은 매우 얇은 두께의 박판형 금속 전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집전판(134)과 마주하는 일면에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한 요철 구조를 갖는 것이, 영하 또는 저온 시동시 엔드 플레이트(120) 인근 셀의 발생 열을 보온하고, 셀의 승온 및 이에 수반한 스택 셀(110) 적층방향의 팽창 및 수축에 대한 적정 적층 압력(하중) 및 전기적 접속을 유지함에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집전판(132)은 스택 셀(110)에 접촉되도록 적층되는 집전판이 될 수 있으며, 이때 제1집전판(132)의 그 반대면에 제2집전판(134)이 적층된다.
집전단자(133)는 브레이징, 솔더링, 마찰용접 등에 의해 제1집전판(132)과 일체형으로 접합되거나, 또는 볼트, 리벳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볼팅이나 리벳팅 방식으로 제1집전판(132)에 조립되거나, 또는 조립 및 접합이 없는 기계적, 물리적 접촉에 의해 제1집전판(132)과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게 밀착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제2집전판(134)은 제1집전판(132)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후판형의 집전판으로서, 동(구리), 동합금, 알루미늄, 코팅된 스테인리스강, 카본 플레이트 등의 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집전단자(133)와 탄성부재(136)가 통과할 수 있는 지름의 통과홀(135)을 갖는다.
이러한 제2집전판(134)은 일정 두께와 단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서 엔드 플레이트(120)의 일면(스택 셀을 대면하는 일면)에 형성된 집전체수용부(122)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제2집전판(134)은 간단한 볼팅에 의해 조립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등의 방식으로 집전체수용부(122) 내측에 고정 가능하고, 또는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집전체수용부(122) 내면에 형성한 홈에 끼워맞춤식으로 고정 가능하다.
도 4에 보이듯, 엔드 플레이트(120)는 스택 셀(110)을 대면하는 일면에 적어도 제2집전체(134)를 수용하는 집전체수용부(122)가 형성되고, 이 집전체수용부(122)에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관통홀(124)이 스택 셀(110)의 적층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엔드 플레이트(120)를 두께방향으로 천공한다.
이때 집전체수용부(122)는 제1집전판(132)과 제2집전판(134)이 밀착된 상태의 집전체(130)의 두께 및 단면적을 수용할 수 있게 오목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집전판(132)은 영하의 저온 시동시 스택 셀들의 열적 수축에 의해 제2집전판(134)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며 집전체수용부(122) 밖으로 돌출되고, 승온 후 정상 시동시 스택의 열적 팽창에 의해 제2집전판(134)에 밀착하며 집전체수용부(122) 안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관통홀(124)은 제1집전판(132)의 집전단자(133)를 수용하는 것으로 집전단자(133)의 높이(길이)에 대응하는 깊이(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길이방향의 중앙에 집전단자(133)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36)를 작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단차부(125)를 가진다.
이에 제1집전판(132)의 집전단자(133)는 제2집전판(134)의 통과홀과 엔드플레이트(120)의 단자관통홀(124)에 통과하도록 삽입될 수 있고, 단자관통홀(124)에 집전단자(133)가 삽입될 때 서로 대면하게 되는 집전단자(133)의 단차부(133a)와 단자관통홀(124)의 단차부(125) 사이에 탄성부재(136)가 수납되고, 이렇게 배치된 탄성부재(136)가 제1집전판(13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보이듯, 영하의 저온 시동시 스택의 열적 수축 상태에서 제2집전판(134)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게 되는 제1집전판(132)은, 상기 탄성부재(136)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엔드 셀에 안정적으로 밀착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부재(136)는 제1집전판(13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영하의 저온 시동시 제1집전판(132)과 제2집전판(134) 간에 발생하는 간극을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136)로는 링 모양의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과 같은 스프링부재, 또는 고분자 및 고무와 같은 엘라스토머류의 소재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100)은 스택 셀(110) 양측의 엔드 플레이트(120) 중 적어도 일측의 엔드 플레이트 내측에 상기와 같은 집전체(13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밴드(140) 또는 체결봉 등의 변위 고정형 체결기구를 구비하여 스택(100) 양측에 엔드 플레이트(120)가 체결 면압을 받게 된다.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100)은 극저온의 영하에서 엔드 플레이트(120)에 작용하는 체결 하중이 냉각에 따른 요소부품의 수축으로 인해 초기 하중 대비 감소하게 되고, 이에 엔드 플레이트(120)와 엔드 셀 간에 체결력(밀착력)이 감소하게 되어 미세한 갭이 형성되며, 이때 제1집전판(132)이 탄성부재(136)에 의해 엔드 플레이트(120)에서 엔드 셀 측으로 밀려나 엔드 셀에 밀착하도록 이동되면서 제2집전판(134)과 분리되어 제2집전판(134)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제1집전판(132)과 제2집전판(134)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간극은 영하의 저온에서 에어포켓과 같은 단열체로서 기능하여, 영하 시동시 제1집전판(132)의 통전저항에 의한 발열과 엔드 셀의 발전폐열의 손실을 완화하여 셀 승온 속도 향상 및 스택 시동 속도 개선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연료전지 차량의 영하 시동 및 저온 운전 시에 스택 셀(110)들의 열적 수축에 의해 집전체(130) 내에 형성되는 간극을 단열체로 활용하여 열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엔드 셀의 급속 해빙 및 히팅을 구현하여 엔드 셀 저온 상태에 의한 셀 전압 저하를 완화한다.
또한 이와 같이 제1집전판(132)의 저항열과 엔드 셀 등의 폐열을 활용하여 스택(100)의 양단부에서 엔드 플레이트(120)에 근접하게 배치된 셀들을 승온시키고 정상 시동이 이루어지면, 그에 따른 스택 승온에 의해 스택 셀(110)들의 적층방향으로 열팽창이 발생하고, 이때 제1집전판(132)이 엔드 셀에서 엔드 플레이트(120) 측으로 밀려나서 제1집전판(132)과 제2집전판(134)이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집전판(132)과 제2집전판(134)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집전체(130)는 정상 시동 이후 스택 운전시 기존의 단층형 집전체와 같은 두께 및 단면적을 갖는 동등 수준의 집전 및 통전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제어나 부가기구가 불필요하게 된다.
다시 말해, 집전체(130)의 저항열 등으로 엔드 셀을 승온시키고, 정상 시동에 따른 스택 승온에 의해 스택 셀의 적층방향으로 열팽창이 발생하여 제1집전판(132)과 제2집전판(134)이 맞붙게 되면, 기존의 일반적인 두께와 단면적을 갖는 집전체와 동일한 집전 및 통전 기능을 수행 가능하므로, 이를 위한 별도의 제어나 고가의 부가 기구가 불필요하다.
또한 박판형의 집전판을 다층 구조로 적층하여 집전체를 구성하게 되면, 박판형 집전판의 두께와 성형 형상, 집전판 간에 연결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단열을 주요 기능으로 하는 다공성 또는 다수의 공극을 갖는 통전체를 형성하는 등 여러 가지 부가가능의 구현이 가능하고, 통전전류의 전도 경로(path)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저항열의 발생을 크거나 작게 자유 조정 가능하다.
일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박판형 집전판인 제1집전판(132)은 0.05 ~ 0.2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1집전판(132)의 두께가, 0.2 mm를 초과할 경우 대전류 통전에 의한 원하는 줄 발열의 발생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0.05 mm 미만일 경우 집전단자(133)를 통해 가해지는 탄성부재(136)의 탄성력에 의해 제2집전판(134)과의 간극 발생 및 간극 유지 그리고 제2집전판(134)과의 접촉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제1집전판(132)의 형상 유지나 내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제1집전판(132)의 두께가 상기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영하 20 ~ 30 ℃ 수준의 저온에서 원하는 수준의 간극(층간 갭)이 발생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영상 40 ~ 70 ℃ 정도로 승온되었을 때 스택의 체결압력에 의해 균일한 최소 면적 저항(areal resistance) 혹은 최소 접촉저항이 형성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는 제1집전판(132)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 굽힘 강성이 낮을 경우, 굴곡 등으로 인한 불균일한 면접촉에 의한 전압강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연료전지 스택 110 : 스택 셀
120 : 엔드 플레이트 122 : 집전체수용부
124 : 단자관통홀 125 : 단차부
130 : 집전체 132 : 제1집전판
133 : 집전단자 133a : 단차부
134 : 제2집전판 135 : 통과홀
136 : 탄성부재 140 : 체결밴드

Claims (10)

  1. 일렬로 적층된 스택 셀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스택 셀들을 고정되게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 및 엔드 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어 스택 셀들이 발생한 전기를 모아 외부로 내보내는 집전체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으로서,
    상기 스택 셀들의 양측에 배치되는 집전체 중 적어도 하나의 집전체가, 집전단자를 갖고 스택 셀에 접촉되도록 탄성 지지되는 제1집전판과, 엔드 플레이트를 대면하는 상기 제1집전판의 일면에 셀 적층방향으로 적층된 제2집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영하의 저온에서 스택 셀들의 열적 수축으로 인해 상기 제1집전판과 제2집전판 사이에 단열 기능을 할 수 있는 간극이 발생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단자관통홀과 이 단자관통홀을 관통하는 제1집전판의 집전단자 사이에는, 상기 집전단자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자관통홀과 집전단자에는 각각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관통홀에 집전단자가 삽입될 때 서로 대면하게 되는 집전단자의 단차부와 단자관통홀의 단차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집전판은 제2집전판과 마주하는 일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집전판이 제2집전판에 비해 작은 두께를 가지는 박판형 집전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집전판이 스택 셀에 접촉되도록 적층되고, 상기 제1집전판의 집전단자가 제2집전판의 통과홀과 엔드 플레이트의 단자관통홀에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집전판은 0.05 ~ 0.2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집전판과 제2집전판은 영하 20 ~ 30 ℃의 저온에서 상기 간극을 발생하고 정해진 영상의 온도 범위 이내로 승온되었을 때 스택의 체결압력에 의해 최소의 접촉저항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집전판과 제2집전판은 영상 40 ~ 70 ℃ 정도로 승온되었을 때 스택의 체결압력에 의해 최소의 접촉저항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전단자는, 제1집전판에 일체형이 되도록 접합되거나, 체결수단에 의해 제1집전판에 일체형이 되도록 조립되거나,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1집전판에 밀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가지는 연료전지 스택.
KR1020150135234A 2015-09-24 2015-09-24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KR101724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234A KR101724910B1 (ko) 2015-09-24 2015-09-24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US15/201,169 US10122032B2 (en) 2015-09-24 2016-07-01 Fuel cell stack with multilayer type collector plate
JP2016134463A JP6833367B2 (ja) 2015-09-24 2016-07-06 多層集電板構造を持つ燃料電池スタック
EP16180130.3A EP3147986B1 (en) 2015-09-24 2016-07-19 Fuel cell stack with multilayer type collector plate
CN201610575857.5A CN106558710B (zh) 2015-09-24 2016-07-20 具有多层型集电板的燃料电池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234A KR101724910B1 (ko) 2015-09-24 2015-09-24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275A KR20170036275A (ko) 2017-04-03
KR101724910B1 true KR101724910B1 (ko) 2017-04-07

Family

ID=5646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234A KR101724910B1 (ko) 2015-09-24 2015-09-24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22032B2 (ko)
EP (1) EP3147986B1 (ko)
JP (1) JP6833367B2 (ko)
KR (1) KR101724910B1 (ko)
CN (1) CN1065587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8082A1 (de) * 2016-05-11 2017-11-16 Volkswagen Ag Brennstoffzellenfahrzeug mit einer Mehrzahl wählbarer Betriebsmodi
KR102371046B1 (ko) * 2016-07-15 2022-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엔드셀 히터
GB2572989B (en) 2018-04-18 2020-12-30 Intelligent Energy Ltd Thermal managing end plate for fuel cell stack assembly
JP6930497B2 (ja) * 2018-06-08 2021-09-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積層電池
JP7147792B2 (ja) 2020-01-20 2022-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モジュール
CN112103527A (zh) * 2020-09-16 2020-12-18 广东国鸿氢能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电堆组件
DE102020128273A1 (de) * 2020-10-28 2022-04-28 Audi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für einen Froststart einer Brennstoffzellenvorrichtung, Brennstoffzellenvorrichtung sowie Kraftfahrzeug mit einer Brennstoffzellenvorrichtung
CN114865039B (zh) * 2022-05-27 2024-02-02 上海安池科技有限公司 端板组件及燃料电池电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865B1 (ko) 2006-08-16 2007-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8765U (ko) * 1973-08-07 1975-04-21
JPS6438765U (ko) 1987-09-02 1989-03-08
JP4422423B2 (ja) * 2003-04-03 2010-0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10700A (ja) 2004-04-26 2005-11-04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JP4727972B2 (ja) 2004-11-25 2011-07-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6179294A (ja) * 2004-12-22 2006-07-06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スタック
JP4992188B2 (ja) * 2005-03-11 2012-08-08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セパレータユニット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US8535842B2 (en) 2005-04-22 2013-09-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mbustion-thawed fuel cell
JP2007048586A (ja) * 2005-08-10 2007-02-22 Hitachi Ltd 挟持構造体および電子機器
JP5338065B2 (ja) * 2007-02-16 2013-11-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燃料電池の組立方法および組立装置
KR100993650B1 (ko) * 2007-07-13 2010-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전지 스택
JP2009277521A (ja) * 2008-05-15 2009-11-26 Panasonic Corp 燃料電池スタック
JP5434089B2 (ja) 2009-01-22 2014-03-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双極型二次電池用の集電体
CN101990720B (zh) * 2009-03-17 2013-05-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燃料电池组
KR101188997B1 (ko) 2010-06-17 2012-10-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KR20120007771A (ko) 2010-07-15 2012-0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KR20120026291A (ko) * 2010-09-09 2012-03-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전지의 스택 압착장치
CN103125032B (zh) * 2010-09-21 2015-09-02 新神户电机株式会社 非水电解液二次电池
KR101219342B1 (ko) 2010-10-25 2013-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엔드플레이트 가열 장치
JP5608713B2 (ja) * 2011-12-21 2014-10-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US20130171545A1 (en) * 2011-12-28 2013-07-04 Enerfuel, Inc. Fuel cell having minimum incidence of leaks
CN105393390B (zh) 2013-07-22 2018-04-27 日产自动车株式会社 变形吸收构件及燃料电池
US9960435B2 (en) * 2013-07-22 2018-05-01 Nissan Motor Co., Ltd. Fuel-cell-stack manufacturing method and fuel-cell-stack
KR20150101863A (ko) * 2014-02-27 2015-09-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204067474U (zh) * 2014-07-07 2014-12-31 东睦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固体氧化物燃料电池连接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865B1 (ko) 2006-08-16 2007-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58710B (zh) 2021-07-30
EP3147986B1 (en) 2018-09-19
CN106558710A (zh) 2017-04-05
EP3147986A1 (en) 2017-03-29
JP6833367B2 (ja) 2021-02-24
KR20170036275A (ko) 2017-04-03
JP2017063017A (ja) 2017-03-30
US10122032B2 (en) 2018-11-06
US20170092967A1 (en)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910B1 (ko) 다층 집전판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KR100980995B1 (ko) 연료전지용 지능형 전극막
JP4351431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9009853A (ja) 車両用の電源装置
JP2008510288A (ja) Sofcスタックという概念
JP5585621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JP5200300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2367665A (ja) 燃料電池スタックおよびその加圧保持方法
KR102249766B1 (ko) 연료전지용 엔드셀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CA2368891A1 (en) Method for cold-starting a fuel cell battery, and fuel cell battery suitable for this method
KR20170079029A (ko) 연료전지용 엔드셀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JP4313128B2 (ja)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H08306380A (ja) 積層型燃料電池
JP5191303B2 (ja) 燃料電池
KR101703573B1 (ko) 연료 전지 스택
JP4920958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及びその製作方法
US8778550B2 (en) Battery of fuel cells
JP2014089798A (ja) 面状発熱体
JP2007026784A (ja) 燃料電池、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4014855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4809548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6179294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520934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6092997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KR101579124B1 (ko) 고온 연료전지용 앤드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