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492B1 -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492B1
KR101724492B1 KR1020150145633A KR20150145633A KR101724492B1 KR 101724492 B1 KR101724492 B1 KR 101724492B1 KR 1020150145633 A KR1020150145633 A KR 1020150145633A KR 20150145633 A KR20150145633 A KR 20150145633A KR 101724492 B1 KR101724492 B1 KR 101724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grommet
end piece
vehicle
scre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5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1Belt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2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integral U-shaped retainers
    • B60J10/33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integral U-shaped retain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retaining 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6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belt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the elements being flexible, e.g. belts, cables or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은 차량용 도어패널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되어 도어글라스의 입출을 안내하는 아웃벨트를 상기 도어패널에 고정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에 있어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며, 일측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제1 스크루 홀이 형성되는 엔드피스; 내측면에 형성된 클립을 통하여 도어패널 상에 형성된 클립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형성되는 설치홈을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에 대응하여 삽입되고, 일측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제2 스크루 홀이 형성되는 그로멧; 및 상기 엔드피스 상의 제1 스크루 홀과 상기 그로멧 상의 제2 스크루 홀를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와 그로멧을 상호 체결하는 스크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OUT-BELT FIXING UNIT FOR DOOR GLASS OF VEHILCES}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웃벨트의 들뜸을 방지하며, 간단차를 조절하여 외관을 고급화하며, 리페어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의 아웃터 패널과 인너 패널의 내부에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의해 승하강 작동하는 윈도우 글라스가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 글라스가 출입하는 공간인 도어패널의 상단 플랜지에는 아웃벨트와 인너벨트가 각각 장착되어 빗물, 소음 등의 실내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즉, 실내의 개폐를 위해 마련되는 윈도우 글라스와 도어패널 사이에는 간격이 있어, 빗물 이나 소음이 유입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위도우 글라스와 도어 패널이 접촉하는 부분에는 탄성 재질의 아웃벨트와 인너벨트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아웃벨트는 통상적으로 두 가지 장착구조를 통하여 도어패널에 장착된다.
먼저, 상기 아웃벨트의 첫 번째 장착구조는 도어패널의 조립홀과, 아웃벨트의 선단에 형성된 엔드피스의 조립홀을 상호 연결되도록 위치시킨 후, 스크류를 통하여 상기 도어패널에 아웃벨트가 장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아웃벨트의 두 번째 장착구조는 도어 아웃터 패널의 선단에 걸림단이 형성된 갈고리 모양의 엔드피스를 장착하여, 도어패널의 인너패널에 형성된 조립홀을 통하여 상기 걸림단이 걸리도록 장착함으로써, 상기 도어패널에 아웃벨트가 장착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아웃벨트의 장착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 따른 아웃벨트의 첫 번째 장착구조는 도어패널에 형성된 조립홀을 통하여 스크류가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스크류의 헤드부가 도어패널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품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른 아웃벨트의 두 번째 장착구조는 도어패널 중, 도어인너패널에 장착되기 때문에, 외관은 깨끗하나, A/S 시, 클립이 파손되어 재활용할 수 없어 리페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아웃벨트의 두 번째 장착구조는 A/S가 완료 된 후, 기존 대비 아웃벨트와 엔드피스간의 갭이 발생하여, 들뜸형상이 발생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그로멧이 내측면에 형성된 클립을 통하여 도어패널의 클립홀에 삽입된 상태로, 엔드피스와 스크루에 의해 캠작동을 이루며, 아웃벨트와 함께 도어패널에 밀착 결합 됨으로써, 상기 아웃벨트의 들뜸을 방지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용 도어패널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되어 도어글라스의 입출을 안내하는 아웃벨트를 상기 도어패널에 고정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에 있어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며, 일측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제1 스크루 홀이 형성되는 엔드피스; 내측면에 형성된 클립을 통하여 도어패널 상에 형성된 클립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형성되는 설치홈을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에 대응하여 삽입되고, 일측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제2 스크루 홀이 형성되는 그로멧; 및 상기 엔드피스 상의 제1 스크루 홀과 상기 그로멧 상의 제2 스크루 홀를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와 그로멧을 상호 체결하는 스크루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피스는 외측부와 중앙부에 각각 차고방향을 향하는 하부 차고 캠면과, 차폭방향으로 향하는 외측 차폭 캠면을 갖는 외측 및 중앙 캠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크루 홀은 상기 외측 캠블록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로멧은 외측부와 내측부에 각각 차고방향을 향하는 상부 차고 캠면과, 차폭방향으로 향하는 내측 차폭 캠면을 갖는 외측 및 내측 캠가이더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크루 홀은 상기 외측 캠가이더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피스의 각 내측부에 상기 그로멧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지지되도록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각 캡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의 양측 선단 외측에 상기 클립홀에 지지되는 지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캠블럭은 상기 그로멧의 중앙부 상단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면이 단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벨트의 상단 내측이 상기 그로멧의 외측 및 내측 캠가이더의 일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벨트의 하단이 상기 그로멧의 외측 및 내측 캠가이더와 상기 엔드피스의 내측면 사이에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그로멧이 내측면에 형성된 클립을 통하여 도어패널의 클립홀에 삽입된 상태로, 엔드피스와 스크루에 의해 캠작동을 이루며, 아웃벨트와 함께 도어패널에 밀착 결합 됨으로써, 상기 아웃벨트의 들뜸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엔드피스와 그로멧이 각각 내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스크루 홀을 통하여 스크루 결합되면서 아웃벨트를 도어패널에 밀착 결합시킨 후, 아웃벨트의 각 양단에 캡이 끼워져 설치됨으로써, 외관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의 엔드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의 그로멧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의 장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의 장착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의 투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의 엔드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의 그로멧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1, 이하, 간단히 '아웃벨트 고정유닛' 이라 함)은 도어패널(3)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되어 도어글라스의 입출을 안내하는 아웃벨트(5)를 상기 도어패널(3)에 고정하기 위해 설치한다.
이러한 아웃벨트 고정유닛(1)은 엔드피스(10), 그로멧(20) 및 스크루(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엔드피스(10)는, 도 3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외측 및 중앙에 각각 외측 캠블록(11) 및 중앙 캠블록(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측 캠블록(11) 및 중앙 캠블록(13)은 차고방향으로 향하는 하부 차고 캠면(DH)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 캠블록(11) 및 중앙 캠블록(13)은 차폭방향으로 향하는 외측 차폭 캠면(OL)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 캠블록(13)은 하부 일측이 단차면(S)으로 형성되어, 이하에서 설명할 그로멧(20)의 중앙부 상단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엔드피스(10)는 상기 외측 캠블록(11) 상에 제1 스크루홀(H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스크루홀(H1)은 차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엔드피스(10)는 내측부에 스토퍼(15)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엔드피스(10)는 아웃벨트(5)의 양단에 각각 삽입된다.
한편, 상기 그로멧(20)은,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외측부 및 내측부에 각각 외측 캠가이더(21) 및 내측 캠가이더(2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측 캠가이더(21) 및 내측 캠가이더(23)는 차고방향으로 향하는 상부 차고 캠면(UH)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 캠가이더(21) 및 내측 캠가이더(23)는 차폭방향으로 향하는 내측 차폭 캠면(IL)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그로멧(20)은 상기 외측 캠가이더(21) 상에 상기 제1 스크루 홀(H1)에 대응하는 제2 스크루 홀(H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스크루 홀(H2)은 상기 제1 스크루 홀(H1)과 마찬가지로 차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그로멧(20)은 내측면에 형성된 클립(25)을 통하여 도어패널(3) 상의 클립홀(7)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25)은 양측 선단 외측에 클립홀(7)에 지지되는 지지턱(27)이 형성된다.
즉, 상기 클립(25)은 클립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양측 지지턱(27)을 통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그로멧(20)은 내측면이 상기 엔드피스(10)의 각 내측부에 형성된 스토퍼(29)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그로멧(20)은 아웃벨트(5)의 양단에 형성되는 설치홈(9)을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10)에 대응하여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루(30)는 상기 엔드피스(10) 상의 제1 스크루 홀(H1)과, 그로멧(20) 상의 제2 스크루 홀(H2)을 통하여 엔드피스(10)와 그로멧(20)을 상호 체결한다.
이때, 상기 엔드피스(10)와 그로멧(20)은 대응하는 각 캠면을 통하여 캠작동을 이룬다.
이하, 상기 엔드피스(10)와 그로멧(20)의 캠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드 고정유닛의 장착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벨트 고정유닛(1)은 상기 엔드피스(10)와 그로멧(20)이 스크루(30)를 통하여 체결됨에 따라, 각각의 캠면이 상호 맞닿으면서 캠작동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엔드피스(10)의 외측 캠블록(11)의 하부 차고 캠면(DH)과 그로멧(20)의 외측 캠가이더(21)의 상부 차고 캠면(UH)이 대응되며, 상기 엔드피스(10)의 중앙 캠블록(13)의 하부 차고 캠면(DH)과 그로멧(20)의 내측 캠가이더(23)의 하부 차고 캠면(DH)이 대응된다.
또한, 상기 엔드피스(10)의 외측 캠블록(11)의 외측 차폭 캠면(OL)과 그로멧(20)의 외측 캠가이더(21)의 내측 차폭 캠면(IL)이 대응되며, 상기 엔드피스(20)의 중앙 캠블록(23)의 외측 차폭 캠면(OL)과 그로멧(20)의 내측 캠가이더(23)의 내측 차폭 캠면(IL)이 대응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엔드피스(10)와 그로멧(20)은 각 캠면이 맞닿으면서 상호 밀착 결합된다.
이하, 상기 아웃벨트(5)가 도어패널(3)에 장착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의 장착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그로멧(20)의 클립(25)이 도어패널(3)의 클립홀(7)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클립(25)의 지지턱(27)에 의해 그로멧(20)이 도어패널(3)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S1).
이때, 상기 지지턱(27)은, S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3)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상기 그로멧(20)이 아웃벨트(5)의 설치홈(9)에 삽입된 엔드피스(10)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홈(9)에 삽입된다(S2).
즉, 상기 그로멧(20)이 도어패널(3)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엔드피스(10)와 그로멧(20)이 대응되는 위치에 아웃벨트(5)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엔드피스(10)와 그로멧(20)은 각각의 제1 스크루 홀(H1)과 제2 스크루 홀(H2)이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아웃벨트(5)는, S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내측이 그로멧(20)의 외측 캠가이더(21) 및 내측 캠가이더(23)의 일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아웃벨트(5)는 하단이 그로멧(20)의 외측 캠가이더(21) 및 내측 캠가이더(23)와 엔드피스(10)의 내측면 사이에서 지지된다.
즉, 상기 아웃벨트(5)는 상단 내측 및 하단이 각각 도어패널(3)과 그로멧(20) 및 그로멧(20)과 엔드피스(10)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스크루 홀(H1)과 제2 스크루 홀(H2)을 통하여 스크루(30)가 삽입되며, 상기 엔드피스(10)와 그로멧(20)이 상호 체결된다(S3).
이때, 상기 그로멧(20)은 도어패널(3)과 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턱(27)은, S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3)과 밀착되어 초기 상태의 소정의 간극이 사라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아웃벨트(5)는 상기 그로멧(20)이 도어패널(3)과 밀착됨에 따라, 상단 내측 및 하단이 도어패널(3) 측으로 밀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아웃벨트(5)의 선단에 캡(40)을 끼워 설치가 완성된다(S4).
이때, 상기 캡(40)은 엔드피스(10)의 외측 캠블록(11)에 와이어를 통하여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캡(40)은 엔드피스(10)의 외측 캠블록(11)에 와이어를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엔드피스(10)와 연결되지 않고, 별도의 캡을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1)은 상기 그로멧(20)이 내측면에 형성된 클립(25)을 통하여 도어패널(3)의 클립홀(7)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엔드피스(10)와 스크루(30) 체결에 의해 캠작동을 이루면서 아웃벨트(5)를 도어패널(3)에 밀착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아웃벨트(5)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1)은 상기 엔드피스(10)와 그로멧(20)을 스크루(30)를 통하여 체결한 후, 아웃벨트(5)의 양단에 캡(40)을 끼워 상기 스크루(30)의 노출을 방지하며, 상기 스크루(30)를 탈거 후, 아웃벨트(5)의 리페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부품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아웃벨트 고정유닛 3 ... 도어패널
5 ... 아웃벨트 7 ... 클립홀
9 ... 설치홈 10 ...엔드피스
11 ... 외측 캠블록 13 ... 중앙 캠블록
15 ... 스토퍼 20 ... 그로멧
21 ... 외측 캠가이더 23 ... 내측 캠 가이더
25 ... 클립 27 ... 지지턱
30 ... 스크루 40 ... 캡
OL ... 외측 차폭 캠면 DH ... 하부 차고 캠면
IL ... 내측 차폭 캠면 UH ... 상부 차고 캠면
H1 ... 제1 스크루 홀 H2 ... 제2 스크루 홀
S ... 단차면

Claims (11)

  1. 삭제
  2. 차량용 도어패널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되어 도어글라스의 입출을 안내하는 아웃벨트를 상기 도어패널에 고정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에 있어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일측에 차체길이방향으로 제1스크루 홀이 형성되고, 외측부와 중앙부에 각각 차고방향을 향하는 하부 차고 캠면과, 차폭방향을 향하는 외측 차폭 캠면을 갖는 외측 및 중앙 캠블록이 형성되는 엔드피스;
    내측면에 형성된 클립을 통하여 도어패널 상에 형성된 클립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형성되는 설치홈을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에 대응하여 삽입되고, 일측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제2 스크루 홀이 형성되는 그로멧; 및
    상기 엔드피스 상의 제1 스크루 홀과 상기 그로멧 상의 제2 스크루 홀을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와 그로멧을 상호 체결하는 스크루;
    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루 홀은
    상기 외측 캠블록 상에 형성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4. 차량용 도어패널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되어 도어글라스의 입출을 안내하는 아웃벨트를 상기 도어패널에 고정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에 있어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며, 일측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제1 스크루 홀이 형성되는 엔드피스;
    내측면에 형성된 클립을 통하여 도어패널 상에 형성된 클립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형성되는 설치홈을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에 대응하여 삽입되고, 일측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제2 스크루 홀이 형성되며, 외측부와 내측부에 각각 차고방향을 향하는 상부 차고 캠면과, 차폭방향을 향하는 내측 차폭 캠면을 갖는 외측 및 내측 캠가이더가 형성되는 그로멧; 및
    상기 엔드피스 상의 제1 스크루 홀과 상기 그로멧 상의 제2 스크루 홀을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와 그로멧을 상호 체결하는 스크루;
    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루 홀은
    상기 외측 캠가이더 상에 형성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6. 차량용 도어패널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되어 도어글라스의 입출을 안내하는 아웃벨트를 상기 도어패널에 고정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에 있어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며, 일측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제1 스크루 홀이 형성되는 엔드피스;
    내측면에 형성된 클립을 통하여 도어패널 상에 형성된 클립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형성되는 설치홈을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에 대응하여 삽입되고, 일측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제2 스크루 홀이 형성되는 그로멧; 및
    상기 엔드피스 상의 제1 스크루 홀과 상기 그로멧 상의 제2 스크루 홀을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와 그로멧을 상호 체결하는 스크루;
    를 포함하되.
    상기 엔드피스의 각 내측부에 상기 그로멧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지지되도록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7. 차량용 도어패널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되어 도어글라스의 입출을 안내하는 아웃벨트를 상기 도어패널에 고정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에 있어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며, 일측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제1 스크루 홀이 형성되는 엔드피스;
    내측면에 형성된 클립을 통하여 도어패널 상에 형성된 클립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형성되는 설치홈을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에 대응하여 삽입되고, 일측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제2 스크루 홀이 형성되는 그로멧;
    상기 엔드피스 상의 제1 스크루 홀과 상기 그로멧 상의 제2 스크루 홀을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와 그로멧을 상호 체결하는 스크루; 및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각각 끼워져 설치되는 캡;
    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8. 차량용 도어패널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되어 도어글라스의 입출을 안내하는 아웃벨트를 상기 도어패널에 고정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에 있어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각각 삽입되며, 일측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제1 스크루 홀이 형성되는 엔드피스;
    내측면에 클립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의 양측 선단 외측에 구성된 지지턱을 통하여 도어패널 상에 형성된 클립홀에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아웃벨트의 양단에 형성되는 설치홈을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에 대응하여 삽입되고, 일측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제2 스크루 홀이 형성되는 그로멧; 및
    상기 엔드피스 상의 제1 스크루 홀과 상기 그로멧 상의 제2 스크루 홀을 통하여 상기 엔드피스와 그로멧을 상호 체결하는 스크루;
    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캠블럭은
    상기 그로멧의 중앙부 상단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면이 단차면으로 형성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벨트의 상단 내측이 상기 그로멧의 외측 및 내측 캠가이더의 일면에 지지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벨트의 하단이 상기 그로멧의 외측 및 내측 캠가이더와 상기 엔드피스의 내측면 사이에서 지지되는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KR1020150145633A 2015-10-19 2015-10-19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KR101724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633A KR101724492B1 (ko) 2015-10-19 2015-10-19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633A KR101724492B1 (ko) 2015-10-19 2015-10-19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492B1 true KR101724492B1 (ko) 2017-04-07

Family

ID=5858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633A KR101724492B1 (ko) 2015-10-19 2015-10-19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4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5749A (ko) * 2008-09-29 2010-04-07 주식회사 세진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의 엔드피스 고정구조
KR101509520B1 (ko) * 2013-11-28 2015-04-07 우영산업 주식회사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KR20150062054A (ko) * 2013-11-28 2015-06-05 우영산업 주식회사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5749A (ko) * 2008-09-29 2010-04-07 주식회사 세진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의 엔드피스 고정구조
KR101509520B1 (ko) * 2013-11-28 2015-04-07 우영산업 주식회사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KR20150062054A (ko) * 2013-11-28 2015-06-05 우영산업 주식회사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326B1 (ko) 차량용 도어 벨트 몰딩
US20120144751A1 (en) Pane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it
KR102634394B1 (ko) 위치 규제가 용이한 차량의 도어 글래스 및 도어 글래스의 조립방법
US8595981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JP2006199234A (ja) 車両用ドア
KR101724492B1 (ko)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KR100941431B1 (ko) 자동차용 도어 로워 웨더 스트립
KR20140010829A (ko) 벨트 몰딩 체결 구조
US10232689B2 (en) Vehicular door structure
KR101560226B1 (ko)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US20200189666A1 (en) Tailgate Panel Assembly for a Vehicle
KR20110003066A (ko) 글레이징 비드 장착용 어댑터 어셈블리
KR102429056B1 (ko) 도어 프레임의 코너 커버
US20190176580A1 (en) Roller blind assembly for a vehicle bod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roller blind assembly
KR10055905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몰딩 설치구조
KR101305117B1 (ko) 자동차용 쿼드런트 인너커버 체결 장치
KR100598507B1 (ko) 차량의 도어 사이드 웨더스트립의 장착구조
KR100559054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몰딩 설치구조
KR102397174B1 (ko) 커튼후크가 인서트된 글라스런 구조
CN104228712A (zh) 一种汽车前车门线束橡胶套及其设计方法
KR101127636B1 (ko) 건물 창호용 창틀의 프레임 조인트 마감장치
KR101198664B1 (ko) 자동차 도어의 쿼드런트 커버 및 그 조립 방법
KR100588692B1 (ko) 차량용 도어사이드 웨더스트립의 장착 구조
KR100536369B1 (ko) 차량의 쿼드런트 인너 커버 장착 구조
KR100559005B1 (ko) 버스 스윙도어의 글래스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