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054A -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054A
KR20150062054A KR1020130146598A KR20130146598A KR20150062054A KR 20150062054 A KR20150062054 A KR 20150062054A KR 1020130146598 A KR1020130146598 A KR 1020130146598A KR 20130146598 A KR20130146598 A KR 20130146598A KR 20150062054 A KR20150062054 A KR 20150062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panel
belt molding
door belt
door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환
Original Assignee
우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6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2054A/ko
Publication of KR20150062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085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remov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6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belt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글라스가 승강되는 아우터 패널 상단부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벨트 몰딩의 단부에 결합되고, 소정 위치에 절개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절개부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돌출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절개부의 타측면 소정 위치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아우터 패널에 마련된 마운팅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 고정된 상기 아우터 패널의 반대면을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Door Belt Molding Mounting Structure Of The End-Piece}
본 발명은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의 윈도글라스가 결합되는 도어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어 윈도 글라스를 고정함과 동시에 차체의 틈새를 보완하여 누수 또는 방음 및 차량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벨트 몰딩은 자동차 도어프레임의 도어글라스가 승강하는 도어 아우터 판넬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되며, 도어벨트 몰딩의 양단부에는 엔드피스 몰딩으로 마감 처리된다.
이러한, 도어벨트 몰딩은 차량의 윈도글라스를 고정하여 차량 내부로 외부의 공기 및 소음 유입 그리고 먼지나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부품으로 차량의 외부에서 그 형상이 인식되어 차량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 차량 외관을 고급화할 수 있는 부품이다.
도어벨트 몰딩을 결합하기 위한 방법은 별도의 볼트를 이용하여 도어벨트 몰딩이 차량에 체결되게 하는 스크류 타입의 체결방법이 사용된다.
전술한 스크류 타입의 체결방법은 체결력은 우수하나 볼트라는 별도의 부품을 요하여 체결의 불편함으로 인해 조립성이 떨어지고, 볼트 머리부가 도어 내측부 내장재의 외부로 노출되며, 스크류의 부식이 차체에 영향을 미쳐 차량 외관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스크류 타입의 체결방법의 단점을 보완하여 도어벨트 몰딩에 체결클립 등의 돌출부를 만들고 차량에 별도로 형성된 관통공에 이 돌출부를 삽입하여 끼움결합시켜 차량에 도어벨트 몰딩을 고정하는 후크 타입의 체결방법이 사용된다.
후크 타입의 체결방법을 이용하여 도어벨트 몰딩을 차량에 결합하는 방법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5749호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의 엔드피스 고정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후크 타입의 체결방법은 도어벨트 몰딩을 차량에 결합하기에 용이하고 외관상의 노출은 없으나, 차량의 측방향으로만 고정되고 경사부에 대한 고정이 되지않아 도어벨트 몰딩이 차량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고, 탈부착시 후크부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도어벨트 몰딩에 일체로 성형된 별도의 엔드피스를 제공하여 차량의 도어 내측부 외관이 개선되고, 조립이 용이하면서 고정력이 개선된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글라스가 승강되는 아우터 패널 상단부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벨트 몰딩의 단부에 결합되고, 소정 위치에 절개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절개부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돌출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절개부의 타측면 소정 위치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아우터 패널에 마련된 마운팅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 고정된 상기 아우터 패널의 반대면을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는 스크류 타입에 조립의 어려움 및 후크 타입의 유동성으로 인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조립으로 외관이 개선됨과 동시에 고정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의 작업성이 개선되어 작업 효율이 증대되고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저면과 정면 및 배면에서 보여지는 각각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와 아우터 패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와 아우터 패널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저면과 정면 및 배면에서 보여지는 각각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와 아우터 패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와 아우터 패널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100)는 차량의 도어 글라스(미도시)가 승강되는 아우터 패널(200) 상단부의 가장자리에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100)는 몸체(110), 고정부(120), 한 쌍의 지지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10)는 도어벨트 몰딩(미도시)의 단부에 결합되고, 소정 위치에 절개부(112)가 형성된다.
몸체(110)의 일단에는 도어벨트 몰딩(미도시)에 결합되는 끼움부(11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마감을 위한 엔드캡(116)이 형성된다.
절개부(112)는 후술하는 고정부(120)와 지지부(130)가 수용되게 소정 길이로 마련되고, 아우터 패널(200)의 상부면과 근접되는 높이로 마련되어 몸체(110)의 내부에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절개부(112)는 기본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부에 고정부(120)와 지지부(130)가 수용되는 어떠한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며, 이 절개부(112)는 몸체(110) 성형시에 사용되는 성형수지의 양을 줄여 원가절감을 가져온다.
고정부(120)는 절개부(112)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연장부(122), 걸림턱(124)으로 구성되며 후술하는 아우터 패널(200)에 마련된 마운팅홀(210)에 삽입 고정된다.
연장부(122)는 몸체(110)로 부터 연장형성된다.
즉, 연장부(122)는 몸체(110)에 형성된 절개부(112)의 상부 소정 위치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형상이 몸체(110)의 방향을 향해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마련되며, 이 연장부(122)의 탄성력으로 아우터 패널(200)에 삽입 고정된 몸체(110)가 이탈되지 않는다.
여기서, 연장부(122)는 비교적 원만한 경사각으로 마련되어 몸체(110)에 탄성력을 인가하며, 몸체(110)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직선 또는 곡선의 어떠한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걸림턱(124)은 연장부(122)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돌출형성되며, 후술하는 아우터 패널(200)에 형성된 마운팅홀(210)에 걸림 결합된다.
이러한, 걸림턱(124)은 연장부(122)에서 몸체(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단턱(124a)이 형성되고, 단턱(124a)이 대향되는 외측면이 경사지게 마련된다.
지지부(130)는 고정부(120)를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부(120)가 마련된 절개부(112)의 타측면 소정 위치에 돌출형성되어 한 쌍으로 마련된다.
즉, 지지부(130)는 절개부(112)의 상부에 마련된 고정부(120)를 사이에 두고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절개부(112)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 돌출형성되고, 후술하는 고정부(120)가 삽입 고정된 아우터 패널(200)의 반대면을 탄성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130)는 절개부(112)의 하부에서 일부 돌출되고, 이 돌출된 부분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부분의 형상이 원의 호(弧)형상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
즉, 호(弧)의 내측면인 오목부(132)가 몸체(110) 방향에 형성되고, 오목부(132)의 반대면인 호(弧)의 외측면은 볼록부(134)가 형성된다.
여기서, 볼록부(134)의 일부에는 아우터 패널(200)과 면결합되는 평면부(135)가 마련되는데, 이 평면부(135)가 고정부(120)가 삽입 고정된 아우터 패널(200)의 반대면에 면접촉되어 지지부(130)의 탄성력이 아우터 패널(200)에 인가된다.
아우터 패널(200)은 설치되는 각각의 차량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고정부(120)에 걸림턱(124)이 걸림 결합되는 마운팅홀(210)을 내측 상부면에 구비한다.
즉, 아우터 패널(200)에 몸체(110)가 결합되면, 절개부(112)의 상부에 마련된 고정부(120)의 걸림턱(124)이 마운팅홀(210)에 삽입 고정되어 연장부(122)의 탄성력이 아우터 패널(200)의 마운팅홀(210)에 걸림 결합된 걸림턱(124)에 인가되어 아우터 패널(200)을 탄성지지하고, 고정부(120)를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절개부(112)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된 지지부(130)의 평면부(135)는 고정부(120)가 삽입 고정된 아우터 패널(200)의 반대면을 탄성지지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구조(100)의 장착방법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어벨트 몰딩(미도시)을 아우터 패널(200)에 장착하기 위해 몸체(110)를 도어벨트 몰딩(미도시)에 결합한다.
이후, 아우터 패널(200)에 마련된 마운팅홀(210)에 몸체(110)에 마련된 고정부(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110)를 아우터 패널(200)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후, 절개부(112)에 각각 구비된 고정부(120)의 걸림턱(124)과 지지부(130)의 평면부(135) 사이에 아우터 패널(200)이 삽입되도록 몸체(110)를 상부방향에서 하부방향 가압한다.
이때, 고정부(120)에 마련된 걸림턱(124)의 단턱(124a)이 대향되는 걸림턱(124)의 경사진 외측면과 지지부(130)의 볼록부(134) 중 하부방향에 경사진 면에 의해 몸체(110)는 아우터 패널(200)에 슬라이드 되면서 삽입 결합된다.
이후, 걸림턱(124)이 아우터 패널(200)에 마련된 마운팅홀(210)에 삽입 결합되고, 고정부(120)의 단턱(124a)이 마운팅홀(21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체결이 완료된다.
이때, 걸림턱(124)은 마운팅홀(210)에 삽입되어 고정지지되고, 지지부(130)에 마련된 연장부(122)의 탄성력은 마운팅홀(210)에 결합된 걸림턱(124)에 인가되며, 지지부(130)의 탄성력은 고정부(120)가 삽입된 아우터 패널(200)의 반대면과 면접촉된 평면부(135)에 인가되어 아우터 패널(200)로부터 몸체(110)의 들뜸이 방지된다.
한편, 파손 등의 이유로 도어벨트 몰딩(미도시)을 교체할 경우, 고정부(120)의 걸림턱(124)을 단턱(124a)이 마련된 연장부(122)의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걸림턱(124)을 마운팅홀(210)로부터 이격시켜 분리한다.
이후, 몸체(110)를 아우터 패널(200)의 상부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아우터 패널(200)로부터 몸체(110)가 분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는 스크류 타입에 조립의 어려움 및 후크 타입의 유동성으로 인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조립으로 외관이 개선됨과 동시에 고정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의 작업성이 개선되어 작업 효율이 증대되고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당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110: 몸체
112: 절개부
114: 끼움부
116: 엔드캡
120: 고정부
122: 연장부
124: 걸림턱
124a: 단턱
130: 한 쌍의 지지부
132: 오목부
134: 볼록부
135: 평면부
200: 아우터 패널
210: 마운팅홀

Claims (3)

  1. 차량의 도어 글라스가 승강되는 아우터 패널 상단부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벨트 몰딩의 단부에 결합되고, 소정 위치에 절개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절개부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돌출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절개부의 타측면 소정 위치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아우터 패널에 마련된 마운팅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 고정된 상기 아우터 패널의 반대면을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KR1020130146598A 2013-11-28 2013-11-28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KR20150062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598A KR20150062054A (ko) 2013-11-28 2013-11-28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598A KR20150062054A (ko) 2013-11-28 2013-11-28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054A true KR20150062054A (ko) 2015-06-05

Family

ID=5349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598A KR20150062054A (ko) 2013-11-28 2013-11-28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20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492B1 (ko) * 2015-10-19 2017-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492B1 (ko) * 2015-10-19 2017-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도어글라스용 아웃벨트 고정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230B1 (ko)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KR101518908B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KR101740268B1 (ko) 자동차용 ohc 램프 플레이트
KR101582895B1 (ko) 자동차용 고정구
KR20150062054A (ko)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KR20090074896A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KR20080037289A (ko) 클립 체결 구조
KR101509520B1 (ko)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KR101582898B1 (ko) 자동차용 고정구
JP2011235742A (ja) 自動車用ルームランプ
KR20160054190A (ko) 차량의 어시스트 핸들 고정장치
KR200378318Y1 (ko) 천정등 커버의 결합구조
KR10055905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몰딩 설치구조
KR100928282B1 (ko) 자동차용 모듈 클립
KR200482534Y1 (ko) 차량용 테더 클립 고정 구조물
KR100537000B1 (ko) 자동차의 도어 풀 핸들 고정구조
KR200478407Y1 (ko) 원터치로 측면커버가 결합되는 조명등
KR20190011376A (ko) 클립을 이용한 내장재 결합 구조
JP6953368B2 (ja) セッティングブロック
KR100528012B1 (ko) 차량용 보조손잡이 고정브라켓
KR100559054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몰딩 설치구조
KR100693620B1 (ko) 윈드실드 글래스 몰딩의 마운팅 부재
KR20050005573A (ko)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KR101584313B1 (ko)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KR100318241B1 (ko) 자동차의 카울 탑 커버 상단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