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313B1 -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 Google Patents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313B1
KR101584313B1 KR1020150064908A KR20150064908A KR101584313B1 KR 101584313 B1 KR101584313 B1 KR 101584313B1 KR 1020150064908 A KR1020150064908 A KR 1020150064908A KR 20150064908 A KR20150064908 A KR 20150064908A KR 101584313 B1 KR101584313 B1 KR 101584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head
hook
wiper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구
박위영
Original Assignee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79Means to cover the wiper parts
    • B60S1/3481Means to cover the wiper parts for mounting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60S1/407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ng part of, or an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wiper blade
    • B60S2001/407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길이 방향 상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 구비된 U-후크 타입 연결 부재에 결합 되는 U-후크 결합부; 상기 U-후크 결합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U-후크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U-후크 결합부의 상면에 수직인 한 쌍의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U-후크 결합부의 상방으로 연장된 헤드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벽부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부와 반대편에 배치된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측벽부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벽부의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헤드부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진 사선 고정부와, 상기 사선 고정부로부터 상기 헤드부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외측면과 상기 헤드부 방향이 개방된 터널 형태의 직선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그 헤드부에 결합되는 와이퍼 암의 선단부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되는 플립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A clip capable of assembling varius mount type of wiper arm}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 적용되는 클립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여러 가지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면 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빗물을 제거하여 그 자동차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자동차의 편의 장치인 동시에 적극적인 안전장치(active safety device)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는 자동차의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되며 고무 탄성을 가지는 와이퍼 스트립과, 그 스트립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와이퍼 암에 그 와이퍼 스트립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연결 조립체로서 리테이너와 연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스트립과 리테이너 사이에 자동차의 유리의 곡률의 차이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과 자동차의 유리와의 접촉 오차를 수용하기 위하여 리테이너는 토너먼트(tournament)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고성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고속에서도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가 원활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일 예가 공개특허 제2011-010447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와 와이퍼 암은 와이퍼 블레이드 중앙부에 설치된 클립 부재를 매개로 결합된다. 상기 클립 부재의 일 예가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033442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와이퍼 암은 차량의 종류나 차량 제조사에 따라 몇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와이퍼 암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결합되는 마운트 부위의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와이퍼 암의 형태는 예컨대, U-후크 타입, 핀치 탭(pinch tab) 타입, 푸시 버튼 타입(push button type) 타입 등이 있다. 이러한 와이퍼 암과 결합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의 종류에 맞게 전용 클립 부재가 적용된다. 그런데 차량을 구매한 운전자들은 차량을 운행하면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가 마모된 경우에, 운전자의 취향에 맞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운전자의 취향에 맞는 와이퍼 블레이드 제품이 있는 경우에도 자기 차량의 와이퍼 암과 사용하고자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마운트 구조가 다른 경우에는 장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판매 후 시장(After market)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종류에 불문하고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립 부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U-후크 타입 이외의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 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와이퍼 암에 결합될 수 있는 클립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길이 방향 상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 구비된 U-후크 타입 연결 부재에 결합 되는 U-후크 결합부;
상기 U-후크 결합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U-후크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U-후크 결합부의 상면에 수직인 한 쌍의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U-후크 결합부의 상방으로 연장된 헤드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벽부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부와 반대편에 배치된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측벽부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벽부의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헤드부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진 사선 고정부와, 상기 사선 고정부로부터 상기 헤드부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외측면과 상기 헤드부 방향이 개방된 터널 형태의 직선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그 헤드부에 결합되는 와이퍼 암의 선단부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되는 플립 커버를 구비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플립 커버는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걸림 다리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걸림 다리와 결합하는 스냅 결합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립 커버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측벽부 쪽으로 돌출된 캡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의 표면은 부드러운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 부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ASA(Acrylic Styrene Acrylonitrile) 수지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립 커버와 상기 헤드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는, 여러 가지 타입의 와이퍼 암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클립 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차량의 종류에 구속받지 않고 자기 취향에 맞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립 부재의 플립 커버가 열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립 부재와 핀치 탭 타입의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클립 부재와 핀치 탭 타입의 와이퍼 암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클립 부재와 다른 형태의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클립 부재와 다른 형태의 와이퍼 암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 부재를 매개로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 부재를 매개러 다른 형태의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립 부재의 플립 커버가 열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립 부재와 핀치 탭 타입의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클립 부재와 핀치 탭 타입의 와이퍼 암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클립 부재와 다른 형태의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클립 부재와 다른 형태의 와이퍼 암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 부재를 매개로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 부재를 매개러 다른 형태의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10, 이하 "클립 부재"라 함)는 U-후크 타입의 와이퍼 암 전용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다양한 형태의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U-후크 타입이 아닌 와이퍼 암에 장착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부품이다.
상기 클립 부재(10)는 U-후크 타입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된다. 상기 클립 부재(10)는 결합되는 U-후크 타입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클립 부재(10)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ASA(Acrylic Styrene Acrylonitrile)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10)는 U-후크 결합부(20)와, 측벽부(30)와, 헤드부(40)와, 몸통부(50)를 포함한다.
상기 U-후크 결합부(20)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100)와 결합 될 때, 그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100)의 길이 방향 상 중앙부에 배치된다. 상기 U-후크 결합부(20)는 상기 클립 부재(10)의 최하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U-후크 결합부(20)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100)에 구비된 U-후크 타입 연결 부재(미도시)에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30)는 상기 U-후크 결합부(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측벽부(3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상기 측벽부(30)는 상기 클립 부재(1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측벽부(30)는 상기 U-후크 결합부(20)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측벽부(30)는 상기 U-후크 결합부(20)의 상면에 수직이다. 상기 측벽부(30)는 상기 U-후크 결합부(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30)는 사선 고정부(32)와, 직선 고정부(34)를 구비한다.
상기 사선 고정부(32)는 상기 측벽부(30)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사선 고정부(32)는 상기 측벽부(30)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벽부의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후술하는 헤드부(40)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턱이다. 즉, 상기 사선 고정부(32)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 형태의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직선 고정부(34)는 상기 사선 고정부(32)로부터 상기 헤드부(40)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직선 고정부(34)는 상기 측벽부(3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직선 고정부(34)는 외측면과 상기 헤드부(40) 방향이 개방된 터널 형태의 걸림턱이다. 즉, 상기 직선 고정부(34)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 형태의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직선 고정부(34)의 상부벽의 길이는 상기 직선 고정부(34)의 하부벽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직선 고정부(34)의 하부벽의 선단이 상기 직선 고정부(34)의 상부벽의 선단 보다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40)는 상기 측벽부(30)의 선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40)는 상기 U-후크 결합부(20)의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헤드부(40)는 그 헤드부(40)에 결합되는 와이퍼 암(200, 202)의 선단부가 상기 헤드부(4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되는 플립 커버(42)를 구비한다.
상기 플립 커버(42)는 상기 헤드부(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플립 커버(42)는 상기 헤드부(40)에 대해 플립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플립 커버(42)는 걸림 다리(44), 캡부(46)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 다리(44)는 상기 플립 커버(42)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걸림 다리(44)는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 다리(44)는 상기 플립 커버(42)의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헤드부(40)는 상기 걸림 다리(44)와 결합하는 스냅 결합부(48)를 구비한다. 상기 스냅 결합부(48)는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 다리(44)와 상기 스냅 결합부(48)는 억지 결합 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 다리(44)가 상기 스냅 결합부(48)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경우에는 사람이 상기 플립 커버(42)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을 가하여야 한다.
상기 캡부(46)는 상기 플립 커버(42)의 선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캡부(46)는 상기 플립 커버(42) 상기 헤드부(40)로부터 상기 측벽부(30) 쪽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캡부(46)는 상기 클립 부재(10)에 결합되는 핀치 탭(pinch tab) 타입의 와이퍼 암이나, 푸시 버튼(push button) 타입의 와이퍼 암의 선단부를 덮어서 그 와이퍼 암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헤드부(40)의 표면은 부드러운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40)의 표면은 와이퍼 암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이기 때문에 미관상 부드러운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이 감성 품질(emotional quality)의 향상에 유리하다.
상기 몸통부(50)는 상기 한 쌍의 측벽부(30)를 연결하는 부위다. 상기 몸통부(50)는 상기 클립 부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계단 형상의 단면 구조를 형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몸통부(50)의 후반부가 전반부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몸통부(50)에는 상기 클립 부재(10)의 중량 절감을 위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한 클립 부재(10)에 여러 가지 형태의 와이퍼 암을 결합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핀치 탭(pinch tab) 타입의 와이퍼 암과 상기 클립 부재(10)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립 커버(42)를 개방한다. 상기 플립 커버(42)는 손가락으로 상기 캡부(46)에 힘을 가하여 상기 걸림 다리(44)가 상기 스냅 결합부(48)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핀치 탭 타입 와이퍼 암의 측벽에 형성된 걸림턱을 상기 사선 고정부(32)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사선 고정부(32)를 축으로 상기 핀치 탭 타입 와이퍼 암을 회전시켜 상기 헤드부(40)에 상기 와이퍼 암의 선단부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플립 커버(42)를 폐쇄한다. 상기 플립 커버(42)는 사람이 손가락으로 상기 캡부(46)에 힘을 가하여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사선 고정부(32)는 상기 와이퍼 암(200)이 상기 클립 부재(10)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상기 와이퍼 암(200)이 상기 클립 부재(10)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립 커버(42)는 상기 와이퍼 암(200, 202)의 선단부가 상기 클립 부재(10)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상기 클립 부재(10)는 핀치 타입 와이퍼 암(200)과 용이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퍼 암(200)과 클립 부재(10)가 결합된 상태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후크 결합부(20)를 이용하여 U-후크 타입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100)와 결합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푸시 버튼(push button) 타입의 와이퍼 암과 상기 클립 부재(10)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립 커버(42)를 개방한다. 상기 플립 커버(42)는 손가락으로 상기 캡부(46)에 힘을 가하여 상기 걸림 다리(44)가 상기 스냅 결합부(48)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버튼 타입 와이퍼 암의 측벽에 형성된 걸림턱을 상기 직선 고정부(34)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플립 커버(42)를 폐쇄한다. 상기 플립 커버(42)는 사람이 손가락으로 상기 캡부(46)에 힘을 가하여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직선 고정부(34)는 상기 와이퍼 암(202)이 상기 클립 부재(10)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립 커버(42)는 상기 와이퍼 암(202)의 선단부가 상기 클립 부재(10)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100)는 푸시 버튼 타입 와이퍼 암과 용이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퍼 암(202)과 클립 부재(10)가 결합된 상태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후크 결합부(20)를 이용하여 U-후크 타입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1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는, 여러 가지 타입의 와이퍼 암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클립 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차량의 종류에 구속받지 않고 자기 취향에 맞는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클립 부재
20 : U-후크 결합부
30 : 측벽부
32 : 사선 고정부
34 : 직선 고정부
40 : 헤드부
42 : 플립 커버
44 : 걸림 다리
46 : 캡부
48 : 스냅 결합부
50 : 몸통부
100 :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200, 202 : 와이퍼 암

Claims (6)

  1.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의 길이 방향 상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에 구비된 U-후크 타입 연결 부재에 결합 되는 U-후크 결합부;
    상기 U-후크 결합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U-후크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U-후크 결합부의 상면에 수직인 한 쌍의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U-후크 결합부의 상방으로 연장된 헤드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벽부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부와 반대편에 배치된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측벽부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측벽부의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헤드부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진 사선 고정부와, 상기 사선 고정부로부터 상기 헤드부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외측면과 상기 헤드부 방향이 개방된 터널 형태의 직선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그 헤드부에 결합되는 와이퍼 암의 선단부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되는 플립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플립 커버는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걸림 다리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걸림 다리와 결합하는 스냅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냅 결합부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직선 고정부의 상부벽의 길이는 상기 직선 고정부의 하부벽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직선 고정부의 하부벽의 선단이 상기 직선 고정부의 상부벽의 선단 보다 앞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커버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측벽부 쪽으로 돌출된 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표면은 부드러운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ASA(Acrylic Styrene Acrylonitrile) 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커버와 상기 헤드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KR1020150064908A 2015-05-08 2015-05-08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KR101584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908A KR101584313B1 (ko) 2015-05-08 2015-05-08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908A KR101584313B1 (ko) 2015-05-08 2015-05-08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313B1 true KR101584313B1 (ko) 2016-01-11

Family

ID=5516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908A KR101584313B1 (ko) 2015-05-08 2015-05-08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3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2407A (ja) * 1996-04-04 1997-10-21 Maruenu Kk ワイパーの連結保持具
JP2010018273A (ja) * 2008-07-11 2010-01-28 Adm 21 Co Ltd フラット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との連結装置
KR20130051113A (ko) * 2011-11-09 2013-05-20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KR101285317B1 (ko) * 2012-11-07 2013-07-11 (주)에이치에스테크놀로지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2407A (ja) * 1996-04-04 1997-10-21 Maruenu Kk ワイパーの連結保持具
JP2010018273A (ja) * 2008-07-11 2010-01-28 Adm 21 Co Ltd フラット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との連結装置
KR20130051113A (ko) * 2011-11-09 2013-05-20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KR101285317B1 (ko) * 2012-11-07 2013-07-11 (주)에이치에스테크놀로지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257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KR101350277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8522393B2 (en) Windshield wiper device
KR101484062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1503661B1 (ko)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KR101285317B1 (ko)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US20160107615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9067569B2 (en) Wiper blade apparatus capable of assembling various mount types of wiper arms
KR20070041734A (ko) 유리창용 와이퍼 장치
KR20150027425A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US20160107616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JP6538653B2 (ja) ウインドスクリーンワイパーデバイスのための接続デバイス
US7703500B2 (en) Bracket and head rail assembly
US20190176766A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JP3607154B2 (ja) ワイパアームを構成するアームヘッドのヘッドカバー
KR101675892B1 (ko)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
KR101584313B1 (ko)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JP2016011105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KR101254779B1 (ko)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JP2007245931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2009113709A (ja) 車両用ワイパ
JP2007261350A (ja) フットレスト
TWI579171B (zh) 雨刷板及其轉接器
WO2017119853A1 (en) A connecting device for the vehicle wipers
KR20150105842A (ko) 윈드쉴드 와이퍼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